KR102207738B1 - 도로교통신호 스마트 통합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로교통신호 스마트 통합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738B1
KR102207738B1 KR1020200096664A KR20200096664A KR102207738B1 KR 102207738 B1 KR102207738 B1 KR 102207738B1 KR 1020200096664 A KR1020200096664 A KR 1020200096664A KR 20200096664 A KR20200096664 A KR 20200096664A KR 102207738 B1 KR102207738 B1 KR 102207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light
light
signal
divide
cro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수
임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래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래픽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래픽스
Priority to KR1020200096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신호등 및 횡단신호등을 제어하는 신호제어기의 기능이 상실시에 수동으로 해당 교통신호등 및 횡단신호등을 제어하고자 하는 관리자의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 수동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도로교통신호 스마트 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통행을 유도하는 교통신호등이나 보행자의 통행을 유도하는 횡단신호등이 신호제어기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도로교통신호 통합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횡단신호등은 상기 신호제어기의 동작이 불가능시에 관리서버로 부터 인증받은 관리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횡단신호등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수동동작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수동동작수단은 상기 단말기와 전기회선통신에 의해 연결되는 디바이드, 상기 디바이드에서 필요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횡단신호등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디바이드와 상기 횡단신호등의 발광부가 전기적으로 스위칭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교통신호 스마트 통합관리시스템{The road traffic signal smar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교통 기술 분야 중 도로교통신호 스마트 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통신호등 및 횡단신호등을 제어하는 신호제어기의 기능이 상실시에 수동으로 해당 교통신호등 및 횡단신호등을 제어하고자 하는 관리자의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 수동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도로교통신호 스마트 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호등은 신호를 표현시키기 위하여 1박스 단수램프 등이 이용된 것이며, 이러한 신호를 표현하기 위해서 개별신호박스의 램프를 점등하고 신호를 개별표현 박스수량이 신호수만큼 설치되게 된다.
예컨대 교통신호등의 경우, 직진, 좌회전, 황색, 정지 등의 개별박스 개별 램프가 설치되며, 횡단신호등의 경우에는 보행, 정지 및 보행에 대한 잔여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램프 등이 설치되며, 이러한 교통신호등과 횡단신호등은 모두 배전반에 의해 제어되어 안전사고 없이 차량의 주행이나 보행자의 통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헌데, 이러한 신호등은 외부충격이나 천재지변 등에 의하여 배전반의 기능이 상실되면 모두 무력화될 수 밖에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해당 배전반의 고장신호가 관리기관에 접수되면 경찰관이나 그 주변에 있는 제3자(택시 등의 운전자)가 일일이 수신호로 차량과 보행자를 해당 배전반의 보수가 마감시까지 통제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통제는 통제자가 도로 중간에 위치하여 통제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또 다른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8-109381호(공개일:2008.12.17.) '복수신호표현 신호등'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전반의 동작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을 수신호로 전달하기 위해 관리자가 도로 상에 위치하지 않고도 안전한 장소에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로교통신호 스마트 통합관리시스템은 차량의 통행을 유도하는 교통신호등이나 보행자의 통행을 유도하는 횡단신호등이 신호제어기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도로교통신호 통합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횡단신호등은 상기 신호제어기의 동작이 불가능시에 관리서버로 부터 인증받은 관리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횡단신호등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수동동작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수동동작수단은 상기 단말기와 전기회선통신에 의해 연결되는 디바이드, 상기 디바이드에서 필요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횡단신호등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디바이드와 상기 횡단신호등의 발광부가 전기적으로 스위칭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외부충격이나 천재지변 등으로 인하여 교통신호등 및 횡단신호등을 제어하는 신호제어기의 동작이 불가인 상태가 되면, 관리자는 통행로 등과 같은 안전한 장보에서 상기 횡단신호등에 구비된 수동동작수단을 이용하여 그 도로 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차량이나 보행자를 통제하여 다른 안전사고 없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교통신호 스마트 통합관리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2 및 도 3은 발명에 따른 도로교통신호 스마트 통합관리시스템의 정면도와 측면도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발명에 따른 도로교통신호 스마트 통합관리시스템의 작용관계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교통신호 스마트 통합관리시스템(이하, 간략하게 '통합관리시스템'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통신호등(10), 횡단신호등(20) 및 신호제어기(3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교통신호등(10)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들의 통행을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유도하기 위해 서로 다른 색상 및 기호로 발광하는 구성이다.
교통신호등(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정지'를 의미하는 적색(RED:11a), '경고'를 의미하는 황색(YELLOW:11b) 및 '주행'을 의미하는 녹색(GREEN:11c)으로 이루어진 발광부(11)가 교통신호제어기의 제어신호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서로 교번되게 점멸되도록 상기 교통신호등(10)에 설치된다.
물론, 교통신호등(10)은 필요에 따라 '좌회전', '우회전' 및 '유턴' 등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게 화살표 등의 기호로 발광할 수 있는 발광부(11d)가 더 구비된다.
교통신호등(10)은 차량의 통행에 불편을 주지 않도록 도로의 가장자리나 통행로 가장자리 등의 지주(P) 상부에 설치되어 해당 차량의 운전자의 육안을 통해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횡단신호등(20)은 차량들이 주행중인 도로를 가로질러 통행하고자 하는 보행자의 통행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으로 통상 해당 도로에 표시된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통행로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횡단신호등(20)은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보행' 이나 '통행' 등을 의미하는 녹색(GREEN:21a) 및 '정지'를 의미하는 적색(RED:21b)으로 이루어진 발광부(21)가 횡단신호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서로 교번되게 점멸되도록 상기 횡단신호등(20)에 설치되나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디바이드(24)를 통해 상기 횡단신호등(20)을 교통신호의 용도로 사용시에 '경고'를 의미하는 황색(YELLOW:21c)의 타이머 용도의 발광부(21)가 더 구비되며, 해당 발광부(21c)는 보행자가 도로를 횡단할 수 있는 타이머의 기능을 갖는 화살표 기호를 갖는 램프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디바이드(24)의 설명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횡단신호등(20)은 지상에 설치되는 배전반 등으로 이루어진 신호제어기(30)가 벼락 등의 천재지변이나 차량의 충돌로 인한 파손이 발생하여 정상동작이 불가능한 경우는 물론, 교통사고로 인하여 주변 정리가 되지 않은 상태의 교차로 등에 관리자(예를 들어, 경찰관 등)가 수신호가 아닌, 상기 횡단신호등(20)을 이용하여 교통신호를 수동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수동동작수단(22)이 구비되며, 상기 수동동작수단(22)은 상기 횡단신호등(20) 내에 설치되는 디바이드(24) 및 스위치(26)는 물론, 지주(P) 외면에 설치된 상기 횡단신호등(20)을 회전시켜 운전자로 하여금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는 구동모터(28)를 포함한다.
예컨대 디바이드(24)는 상술한 횡단보도 제어부에 구비되되 관리자가 소지한 단말기(50)와 유선케이블이나 블루투스 등의 전기회선통신으로 연결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디바이드(24)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50)는 신호제어기(30)를 관리하는 기관 등의 관리서버(40)를 통해 상기 디바이드(24)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패스워드 등으로 인증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단말기(50)에는 관리서버(4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내려받아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40)에 로그인 후, 패스워드를 상기 단말기(50)에 부여 받아 디바이드(24)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 받는다.
즉, 단말기(50)를 통해 관리서버(40)에 전기회선통신 등으로 접속하여 해당 관리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 등을 입력하면 상기 관리서버(40)는 그 입력정보와 저장된 데이터를 대비하여 해당 데이터에 저장된 관리자인지 확인 후, 패스워드를 상기 단말기(50)에 제공하게 하는 것이다.
이후, 패스워드의 입력에 의해 디바이드(24)에 접속한 관리자는 단말기(50)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들(예를 들어, '주행', '정지', '경고', '좌회전' 등을 개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아이콘)을 활용하여 차량의 경우, '주행'은 녹색, '경고'는 타이머, '정지'는 적색으로 발광할 수 있게 횡단신호등(20)의 발광부(21)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을 통제하며, 보행자의 보행은 해당 적색인 상태에서 수신호 등으로 통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위치(26)는 도시한 바와 같이, 횡단신호 제어부를 구성하는 수신부와 발광부(21) 간에 및 상기 발광부(21)와 디바이드(24) 간에 각각 온/오프 가능하게 설치되며, 신호제어기(30)의 동작이 불가한 경우에, 해당 수신부와 발광부(21) 간의 스위치(26)는 오프(OFF) 상태로 스위칭하고, 상기 발광부(21)와 상기 디바이드(24) 간에 설치되는 스위치(26)는 온(ON) 상태로 스위칭하여 상기 디바이드(24)와 연결된 단말기(50)를 통해 상기 발광부(21)가 개별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동모터(28)는 디바이드(24)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횡단신호등(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지주(P) 내/외부에 설치된다.
이때, 지주(P)는 횡단신호등(20) 및 교통신호등(10)이 설치된 상부지주 및 구동모터(28)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지주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부지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반적인 횡단신호등(20)의 설치는 차량의 운전자보다는 보행자의 통행에 중점을 두고 있어 해당 운전자가 주행하는 방향으로는 식별이 불편한 구조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신호제어기(30)가 미동작시에 관리자가 디바이드(24)로 상기 횡단신호등(20)의 발광부(21)를 제어한다 하여도 해당 운전자는 식별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관리자의 단말기(50)로 횡단신호등(20)을 제어시에 상기 횡단신호등(20)의 발광부(21) 방향을 교통신호등(10)의 발광부(11) 방향과 서로 동일한 방향을 바라볼 수 있게 구동모터(28)의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횡단신호등(20)을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신호제어기(30)는 지상에 설치되되 상술한 교통신호등(10)이나 횡단신호등(20)을 제어할 수 있는 배전반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관리시스템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외부충격이나 천재지변 등으로 인하여 교통신호등(10) 및 횡단신호등(20)을 제어하는 신호제어기(30)의 동작이 불가인 상태가 되면, 관리자는 통행로 등과 같은 안전한 장보에서 상기 횡단신호등(20)에 구비된 수동동작수단(22)을 이용하여 그 도로 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차량이나 보행자를 통제하여 다른 안전사고 없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교통신호등 11: 교통신호등 발광부
20: 횡단신호등
21: 횡단신호등 발광부 22: 수동동작수단
24: 디바이드 26: 스위치
28: 구동모터 30: 신호제어기
40: 관리서버 50: 단말기

Claims (1)

  1. 차량의 통행을 유도하는 교통신호등(10)이나 보행자의 통행을 유도하는 횡단신호등(20)이 신호제어기(3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도로교통신호 통합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횡단신호등(20)은 상기 신호제어기(30)의 동작이 불가능시에 관리서버(40)로 부터 인증받은 관리자의 단말기(50)를 통해 상기 횡단신호등(20)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수동동작수단(22);을 포함하되,
    상기 수동동작수단(22)은 상기 단말기(50)와 전기회선통신에 의해 연결되는 디바이드(24), 상기 디바이드(24)에서 필요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횡단신호등(2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8) 및 상기 디바이드(24)와 상기 횡단신호등(20)의 발광부(21)가 전기적으로 스위칭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위치(26)를 포함하되,
    상기 디바이드(24)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단말기(50)는 상기 신호제어기(30)를 관리하는 관리서버(40)를 통해 상기 디바이드(24)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패스워드로 인증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단말기(50)에는 상기 관리서버(4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내려받아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40)에 로그인 후, 패스워드를 상기 단말기(50)에 부여 받아 상기 디바이드(24)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으며,
    상기 구동모터(28)를 통해 회전하는 상기 횡단신호등(20)의 회전은 상기 교통신호등(10)이 미 동작시에 상기 디바이드(24)의 제어를 통해 상기 발광부(21)의 방향이 상기 교통신호등(10)의 상기 발광부(21) 방향과 서로 동일한 방향을 바라볼 수 있게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신호 스마트 통합관리시스템.
KR1020200096664A 2020-08-03 2020-08-03 도로교통신호 스마트 통합관리시스템 KR102207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664A KR102207738B1 (ko) 2020-08-03 2020-08-03 도로교통신호 스마트 통합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664A KR102207738B1 (ko) 2020-08-03 2020-08-03 도로교통신호 스마트 통합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738B1 true KR102207738B1 (ko) 2021-01-26

Family

ID=74310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664A KR102207738B1 (ko) 2020-08-03 2020-08-03 도로교통신호 스마트 통합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7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342B1 (ko) * 2021-12-21 2022-07-13 재단법인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 자율주행차량이 혼재된 교통흐름 제어를 위한 교통흐름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9613A (ja) * 2006-11-16 2008-06-05 Nec Corp 交通信号機制御システム,信号機制御装置,交通信号機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80109381A (ko) 2007-06-13 2008-12-17 김경복 복수신호표현 신호등
KR20090083127A (ko) * 2008-01-29 2009-08-03 김순호 횡단보도용 교통신호등
KR20160062826A (ko) * 2014-11-25 2016-06-03 (주)클린 교통 신호등 제어기의 원격제어장치
KR102033993B1 (ko) * 2019-02-01 2019-10-18 장의섭 특정모양을 가진 패턴의 표시가 가능한 아이오티기반 신호등 유지관리시스템
KR102075646B1 (ko) * 2019-07-08 2020-02-10 (주)휴먼케어 시각장애인용 횡단경로 안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9613A (ja) * 2006-11-16 2008-06-05 Nec Corp 交通信号機制御システム,信号機制御装置,交通信号機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80109381A (ko) 2007-06-13 2008-12-17 김경복 복수신호표현 신호등
KR20090083127A (ko) * 2008-01-29 2009-08-03 김순호 횡단보도용 교통신호등
KR20160062826A (ko) * 2014-11-25 2016-06-03 (주)클린 교통 신호등 제어기의 원격제어장치
KR102033993B1 (ko) * 2019-02-01 2019-10-18 장의섭 특정모양을 가진 패턴의 표시가 가능한 아이오티기반 신호등 유지관리시스템
KR102075646B1 (ko) * 2019-07-08 2020-02-10 (주)휴먼케어 시각장애인용 횡단경로 안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342B1 (ko) * 2021-12-21 2022-07-13 재단법인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 자율주행차량이 혼재된 교통흐름 제어를 위한 교통흐름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WO2023120818A1 (ko) * 2021-12-21 2023-06-29 재단법인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 자율주행차량이 혼재된 교통흐름 제어를 위한 교통흐름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08126A1 (en) Emergency traffic signal attachment
KR102207738B1 (ko) 도로교통신호 스마트 통합관리시스템
EP3243701B1 (en) Passenger communication lighting
WO2014148505A1 (ja) 交通標識投影システム
US10896605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traffic control equipment
KR101542715B1 (ko) 도로의 위험구간 경고 및 감속 유도 장치
KR102072530B1 (ko) 회전교차로 차량 진행 방향 표시 시스템
KR102296204B1 (ko) 스마트 엘이디 교통신호등
KR200483183Y1 (ko) 지능 인식형 디지털 신호등
KR101330836B1 (ko) 시선유도등 및 이를 이용한 시선유도장치
KR200432446Y1 (ko) 교통 신호등
KR102060985B1 (ko) 언어에 독립적인 gdd를 통한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84384A (ko) 운전자 지원 시스템
KR100535398B1 (ko)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신호등 정보표시장치
KR102597260B1 (ko) 엘이디모듈을 이용한 안전 신호 제어시스템
CN112313108A (zh) 运输工具和用于输出接管车辆驾驶的请求的装置
KR19990084157A (ko) 도로교통 신호등의 교체시간 확인용 표식장치
KR200355761Y1 (ko) 교차로 차량 보조등
KR102303181B1 (ko) 교통신호 제어 시스템
CN213183098U (zh) 一种可变车道地面指示系统
WO2021177299A1 (ja) 路面描画システム、灯具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表示システム
RU2700651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дорожным движением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ветофора
KR20240000722U (ko) 교통 신호등
KR200430823Y1 (ko)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
KR200434554Y1 (ko)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