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554Y1 -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 - Google Patents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554Y1
KR200434554Y1 KR2020060023367U KR20060023367U KR200434554Y1 KR 200434554 Y1 KR200434554 Y1 KR 200434554Y1 KR 2020060023367 U KR2020060023367 U KR 2020060023367U KR 20060023367 U KR20060023367 U KR 20060023367U KR 200434554 Y1 KR200434554 Y1 KR 2004345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light
signal
signal state
icon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3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재욱
Original Assignee
(주)링스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링스텔레콤 filed Critical (주)링스텔레콤
Priority to KR20200600233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5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5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5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호등의 신호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여 색각이상자가 교통신호를 인식하여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신호등의 신호상태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등 신호 입력부와, 신호등의 신호상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엘이디 전광판과, 신호등 신호 입력부로 입력된 신호등의 신호상태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엘이디 전광판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을 제공한다.
신호등, 엘이디 전광판, 보조표지판, 색각, 색맹

Description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SUBSIDIARY SIGN PLATE FOR DYSCHROMATOPSIA PERSON USED WITH SIGNAL LAMP}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표지판의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표지판이 신호등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표지판이 신호등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신호등의 점등상태와 연동하여 본 고안의 신호등 보조표지판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일실시예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신호등 20 엘이디 전광판
30 제어부 32 신호등 제어기
34 신호등 신호 입력부 36 통신접속부
52a, 52b, 52c, 52d 홀센서 100 보조표지판
본 고안은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호등의 신호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여 색각이상자가 교통신호를 인식하여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호등은 빨강, 노랑 및 초록의 3색을 표시하는 등을 기본으로 하고 여기에 진행이 가능한 방향을 표시하는 화살표 표시등이 있다. 또한, 신호등의 주변에는 신호등의 상태에 따른 통행방법 및 신호등의 점멸순서에 관련된 정보들을 표시하는 보조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나 보행자는 신호등의 신호상태에 따라서 차량을 운전하거나 보도를 보행하여 교통사고를 사전에 방지한다.
색각장애가 없는 정상인들은 신호등의 색을 쉽게 구별할 수 있어서 신호등의 신호를 준수하여 운전이나 보행을 할 경우 교통사고의 위험이 적으나, 색맹자나 색약자 같은 색각이상자들은 신호등의 색을 정확하게 구별할 수 없으므로 차량을 운전하거나 횡단보도를 건널 경우에 신호등의 신호를 정확히 인식할 수 없어서 교통사고를 당할 위험이 있다. 또한, 색각이상자가 아닌 정상인들이라도 신호등이 설치된 장소와 주변의 상대적인 조도의 차이가 작을 경우 또는 운전자나 보행자가 심신이 쇠약할 경우 어느 색의 신호등이 점등되었는 지를 명확히 구별할 수 없어서 교통사고를 당할 위험이 있다.
아울러, 색각 장애가 없는 정상인들도 교차로가 복잡하고 애매하거나 신호등 의 점멸순서가 일반적이지 않을 경우 어느 색의 신호등이 점등되었는 지 착각할 때가 많아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고, 신호가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연출발하여 교통정체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색각이상자나 일반인이 신호등의 신호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신호등과 연동하여 시인성이 우수한 보조 교통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신호등 보조 표지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신호등의 신호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형상의 아이콘을 시인성이 우수한 엘이디 전광판에 표시하여 일반인뿐만 아니라 색각이상자도 신호등이 알리는 정보를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 표지판은, 신호등의 신호상태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등 신호 입력부와, 신호등의 신호상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엘이디 전광판과, 신호등 신호 입력부로 입력된 신호등의 신호상태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엘이디 전광판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신호등의 색을 구별하지 못하는 색각이상자도 보조 표지판에 표시된 신호등과 연동하는 아이콘 형상을 인식하여 운전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신호등의 신호에 연동하여 엘이디 전광판에 표시되는 보조 신호 아이콘을 통하여 신호등에 표시되는 교통신호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신호의 오인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방지하고 동시에 지연출발로 인한 교통체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신호등 보조표지판은, 신호등의 점멸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신호등의 점멸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상기 신호등 입력부에 연결되어 신호등의 신호상태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신호등의 점멸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는, 신호등의 전원선에 설치되어 신호등이 점멸될 때 신호등의 전등에 연결된 전원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홀센서 또는 변류기형(current transformer)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신호등의 점멸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신호등의 점등시 신호등으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신호등을 점멸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전원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나 광센서)를 사용하여 신호등의 신호상태를 인식하고, 신호상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엘이디 전광판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신호등 제어 장치로부터 엘이디 전광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신호등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별도의 배선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치가 간편하고, 기존의 교통신호 장치에 새로운 장치를 추가로 설치함에 따른 오동작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보조표지판이 기존의 제어시스템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신호등이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설치작업을 할 수 있어 신호등의 작동중단으로 인한 교통체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신호등 보조표지판은 신호등의 신호상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제어부로 다운로드 하기 위한 통신접속부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신호등 보조표지판에서 제어부는 신호등의 신호상태가 직진 신호인 경우, 엘이디 전광판에 “
Figure 112006089428427-utm00001
”(상방향 화살표) 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고, 신호등의 신호상태가 정지 신호인 경우, 엘이디 전광판에 “
Figure 112006089428427-utm00002
”(엑스표)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며, 신호등의 신호상태가 주의 신호인 경우, 엘이디 전광판에 “
Figure 112006089428427-utm00003
”(등호)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고, 신호등의 신호상태가 좌회전 신호인 경우, 엘이디 전광판에 “
Figure 112006089428427-utm00004
”(상방향 진행중 좌측으로 꺽인 화살표)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며, 신호등의 신호상태가 직진과 좌회전 동시신호인 경우, 엘이디 전광판에 “
Figure 112006089428427-utm00005
”(일방은 상방향이며 다른 일방은 상기 상방향 진행중 중앙부에서 좌측직각방향으로 분지된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는 신호등 보조표지판은 신호등의 신호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여 색각이상자가 신호등이 알리는 정보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므로 색각이상자도 운전을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신호등 보조표지판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표지판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조표지판이 신호등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조표지판(100)은 신호등(10)의 신호상태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등 신호 입력부(34)와, 신호등(10)의 신호상태에 대응하는 아이콘 을 표시하기 위한 엘이디 전광판(20)과, 신호등 신호 입력부(34)로 입력된 신호등(10)의 신호상태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엘이디 전광판(2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와, 신호등(10)의 신호상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제어부(30)에 다운로드 하기 위한 통신접속부(36)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조표지판(100)은 노면의 측면에 고정설치된 세로부재(14)와 세로부재(14)에 수직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된 가로부재(16)를 포함하는 철주조립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신호등(10)은 각 램프(12a, 12b, 12c, 12d)에 전기를 인가하는 전원선(54a, 54b, 54c, 54d)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원선(54a, 54b, 54c, 54d)에 인가되는 전기를 신호등제어기(32)에서 제어한다. 상기 신호등제어기(32)는 신호등 신호 입력부(34)와 제어선(56)으로 연결 설치되어 제어부(30)에 신호등(10)의 신호상태를 전달한다.
엘이디 전광판(20)은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신호등(10)의 신호상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엘이디 전광판(20)이 표시하는 아이콘은 도 4를 참조하면, 신호등의 신호상태에 대응하여“
Figure 112006089428427-utm00006
”(상방향 화살표),“
Figure 112006089428427-utm00007
”(엑스표),“
Figure 112006089428427-utm00008
”(등호),“
Figure 112006089428427-utm00009
”(상방향 진행중 좌측으로 꺽인 화살표), “
Figure 112006089428427-utm00010
”(일방은 상방향이며 다른 일방은 상기 상방향 진행중 중앙부에서 좌측직각방향으로 분지된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표시한다.
신호등 신호 입력부(34)는 신호등제어기(32)로부터 전달된 신호등(10)의 신호상태를 제어부(30)에 입력하도록 설치된다.
제어부(30)는 신호등 신호 입력부(34)로 입력된 신호등(10)의 신호상태에 대 응하는 아이콘이 엘이디 전광판(2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신호등(10)의 신호상태에 대응하여 엘이디 전광판(20)에 표시되는 아이콘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신호등(10)의 신호상태가 직진 신호인 경우, 엘이디 전광판(20)에 “
Figure 112006089428427-utm00011
”(상방향 화살표)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고, 신호등(10)의 신호상태가 정지 신호인 경우, 엘이디 전광판(20)에 “
Figure 112006089428427-utm00012
”(엑스표)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며, 신호등(10)의 신호상태가 주의 신호인 경우, 엘이디 전광판(20)에 “
Figure 112006089428427-utm00013
”(등호)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고, 신호등(10)의 신호상태가 좌회전 신호인 경우, 엘이디 전광판(20)에 “
Figure 112006089428427-utm00014
”(상방향 진행중 좌측으로 꺽인 화살표)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며, 신호등(10)의 신호상태가 직진과 좌회전 동시신호인 경우, 엘이디 전광판(20)에 “
Figure 112006089428427-utm00015
”(일방은 상방향이며 다른 일방은 상기 상방향 진행중 중앙부에서 좌측직각방향으로 분지된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표지판이 신호등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조표지판(100)은 신호등의 신호상태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등 신호 입력부(34)와, 신호등(10)의 신호상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엘이디 전광판(20)과, 신호등 신호 입력부(34)로 입력된 신호등(10)의 신호상태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엘이디 전광판(2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와, 신호등(10)의 전원선(54a, 54b, 54c, 54d)에 설치되어 신호등(10)의 전원선(54a, 54b, 54c, 54d)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신호등 신호 입력부(34)에 신호등(10)의 신호상태를 입력하는 홀센서(52a, 52b, 52c, 52d)와, 신호등(10)의 신호상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제어부(30)에 다운로드 하기 위한 통신접속부(36)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조표지판(100)은 노면의 측면에 고정설치된 세로부재(14)와 세로부재(14)에 수직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된 가로부재(16)를 포함하는 철주조립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신호등(10)은 각 램프(12a, 12b, 12c, 12d)에 전기를 인가하는 전원선(54a, 54b, 54c, 54d)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원선(54a, 54b, 54c, 54d)에 인가되는 전기는 신호등 제어기(32)에서 제어한다.
엘이디 전광판(20)은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신호등(10)의 신호상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엘이디 전광판(20)이 표시하는 아이콘은 도 4를 참조하면, 신호등(10)의 신호상태에 대응하여“
Figure 112006089428427-utm00016
”(상방향 화살표),“
Figure 112006089428427-utm00017
”(엑스표),“
Figure 112006089428427-utm00018
”(등호),“
Figure 112006089428427-utm00019
”(상방향 진행중 좌측으로 꺽인 화살표), “
Figure 112006089428427-utm00020
”(일방은 상방향이며 다른 일방은 상기 상방향 진행중 중앙부에서 좌측직각방향으로 분지된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표시한다.
홀센서(52a, 52b, 52c, 52d)는 신호등(10)의 전원선(54a, 54b, 54c, 54d)에 설치되어 신호등의 전원선(54a, 54b, 54c, 54d)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신호등 신호 입력부(34)에 신호등의 신호상태를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신호등(10)의 점멸을 감지하기 위하여 홀센서(52a, 52b, 52c, 52d)를 사용하고 있지만, 변류 기(CT: Current Transformer)형 센서를 사용하여 신호등의 점멸을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신호등(10)의 램프 전방에 광센서를 설치하여 신호등(10)의 점멸을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의 변류기형 센서나 광센서를 이용하여 신호등(10)의 점멸을 감지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신호등 신호 입력부(34)는 홀센서(52a, 52b, 52c, 52d)로부터 전달된 신호등(10)의 신호상태를 제어부(30)에 입력하도록 설치된다.
제어부(30)는 신호등 신호 입력부(34)로 입력된 신호등(10)의 신호상태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엘이디 전광판(2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신호등(10)의 신호상태에 대응하여 엘이디 전광판(20)에 표시되는 아이콘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등(10)의 신호상태가 직진 신호인 경우, 엘이디 전광판(20)에 “
Figure 112006089428427-utm00021
”(상방향 화살표)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고, 신호등(10)의 신호상태가 정지 신호인 경우, 엘이디 전광판(20)에 “
Figure 112006089428427-utm00022
”(엑스표)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며, 신호등(10)의 신호상태가 주의 신호인 경우, 엘이디 전광판(20)에 “
Figure 112006089428427-utm00023
”(등호)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고, 신호등(10)의 신호상태가 좌회전 신호인 경우, 엘이디 전광판(20)에 “
Figure 112006089428427-utm00024
”(상방향 진행중 좌측으로 꺽인 화살표)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며, 신호등(10)의 신호상태가 직진과 좌회전 동시신호인 경우, 엘이디 전광판(20)에 “
Figure 112006089428427-utm00025
”(일방은 상방향이며 다른 일방은 상기 상방향 진행중 중앙부에서 좌측직각방향으로 분지된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초록색을 발광하는 램프(12d)에 전기를 인가하는 전원선(54d)에 설치된 홀센서(52d)에서 전류의 흐름이 감지될 때 엘이디 전광판(20)이 “
Figure 112006089428427-utm00026
”(상방향 화살표)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빨간색을 발광하는 램프(12a)에 전기를 인가하는 전원선(54a)에 설치된 홀센서(52a)에서 전류의 흐름이 감지될 때 엘이디 전광판(20)이 “
Figure 112006089428427-utm00027
”(엑스표)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노란색을 발광하는 램프(12b)에 전기을 인가하는 전원선(54b)에서 설치된 홀센서(52b)에 전류의 흐름이 감지될 때 엘이디 전광판(20)이 “
Figure 112006089428427-utm00028
”(등호)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신호등의 빨간색을 발광하는 램프(12a)와 좌측을 향하는 화살표를 발광하는 램프(12c)에 전기를 인가하는 전원선(54c)에 설치된 홀센서(52c)에서 전류의 흐름이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았을 때 상기 엘이디 전광판이 “
Figure 112006089428427-utm00029
”(상방향 진행중 좌측으로 꺽인 화살표)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초록색을 발광하는 램프(12d)와 좌측을 향하는 화살표를 발광하는 램프(12c)에 전기을 인가하는 전원선(54d, 54c)에 설치된 홀센서(52d, 52c)에서 전류의 흐름이 감지될 때 보조표지판(20)이 “
Figure 112006089428427-utm00030
”(일방은 상방향이며 다른 일방은 상기 상방향 진행중 중앙부에서 좌측직각방향으로 분지된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통신접속부(36)는 제어부(30)에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신호등 보조표지판은 신호등의 신호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여 색각이상자가 신호등이 알리는 정보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므로 색각이상자도 운전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신호등 보조표지판은 심신이 쇠약한 상태에 있는 사람도 아이콘의 형상을 보고 신호등이 알리는 정보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므로 신호의 오인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방지하고 동시에 지연출발로 인한 교통체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신호등 보조표지판은 신호등의 램프에 전기를 인가하는 전원선에 홀센서를 설치하고 신호등의 신호상태를 감지하여 신호등의 신호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엘이디 전광판을 제어하므로 기존의 제어시스템을 다시 설정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신호등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신호등 보조표지판은 보조표지판이 기존의 제어시스템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신호등이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설치작업을 할 수 있어 신호등의 작동중단으로 인한 교통체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9)

  1. 신호등의 신호상태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등 신호 입력부와,
    신호등의 신호상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엘이디 전광판과,
    상기 신호등 신호 입력부로 입력된 신호등의 신호상태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엘이디 전광판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
  2. 제1항에 있어서,
    신호등의 점멸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등의 점멸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상기 신호등 입력부에 연결되어 신호등의 신호상태를 입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의 점멸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신호등의 전원선에 설치되어 신호등의 전원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홀센서 또는 변류기형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의 점멸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신호등의 램프 전방에 설치되어 신호등의 램프에서 발광하는 빛을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신호등의 신호상태가 직진 신호인 경우, 엘이디 전광판에 상방향 화살표 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신호등의 신호상태가 정지 신호인 경우, 엘이디 전광판에 엑스표 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신호등의 신호상태가 주의 신호인 경우, 엘이디 전광판에 등호 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신호등의 신호상태가 좌회전 신호인 경우, 엘이디 전광판에 상방향 진행중 좌측으로 꺽인 화살표 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신호등의 신호상태가 직진과 좌회전 동시신호인 경우, 엘이디 전광판에 일방은 상방향이며 다른 일방은 상기 상방향 진행중 중앙부에서 좌측직각방향으로 분지된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
KR2020060023367U 2006-08-30 2006-08-30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 KR2004345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367U KR200434554Y1 (ko) 2006-08-30 2006-08-30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367U KR200434554Y1 (ko) 2006-08-30 2006-08-30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168 Division 2006-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554Y1 true KR200434554Y1 (ko) 2006-12-22

Family

ID=41782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367U KR200434554Y1 (ko) 2006-08-30 2006-08-30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5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433B1 (ko) * 2013-01-07 2013-07-24 (주)코렉스시스템 보행자 안전차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433B1 (ko) * 2013-01-07 2013-07-24 (주)코렉스시스템 보행자 안전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35024A1 (en) Display control system of traffic light and display method
KR101674443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 보도 안전시스템
KR20180078493A (ko)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
WO2007097599A2 (en) Integrated traffic signal, sign and information display device
KR20010103326A (ko) 보행자 보호용 신호등 제어시스템
KR102296204B1 (ko) 스마트 엘이디 교통신호등
KR100966831B1 (ko) 횡단보도 상의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434554Y1 (ko)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
KR200430823Y1 (ko)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
KR20110055882A (ko) 도로 표지병, 교차로 안전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90052741A (ko) 횡단보도 안전선표시장치
KR20030080842A (ko) 차량의 과속 및 도로상태 표시장치
KR100469639B1 (ko) 도로용 교통신호 시스템
KR20190114468A (ko) 교통 신호등 및 교통 신호의 제어 방법
KR200249452Y1 (ko) 보행자 안전장치
KR102274695B1 (ko) 정보 전달 기능이 구비된 교통표지판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56905A (ko) 표지병을 적용한 스마트 신호등 제어시스템
KR20220056263A (ko) 능동형 도로 표지판 및 그 제어 방법
KR100535398B1 (ko)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신호등 정보표시장치
KR102516575B1 (ko) 신호등용 전광판
KR100530956B1 (ko) 횡단보도 경고 및 조명장치
JP2012234380A (ja) 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
KR102492051B1 (ko) 우회전 신호등
KR102532489B1 (ko) 보행자신호등과 연동되는 바닥신호등 및 그 작동방법
KR101226847B1 (ko) 광고표시 및 안전보행 유도가 가능한 횡단보도 신호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