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051B1 - 우회전 신호등 - Google Patents

우회전 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051B1
KR102492051B1 KR1020220027989A KR20220027989A KR102492051B1 KR 102492051 B1 KR102492051 B1 KR 102492051B1 KR 1020220027989 A KR1020220027989 A KR 1020220027989A KR 20220027989 A KR20220027989 A KR 20220027989A KR 102492051 B1 KR102492051 B1 KR 102492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ess
data
communication unit
module
displ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존
Priority to KR1020220027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회전 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진행 또는 정지 여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구비되어 보행자 신호등에 결합되는 가이드 모듈 및 보행자 신호등으로부터 진행여부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진행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진행여부를 표시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우회전 신호등{RIGHT TURN TRAFFIC LIGHT}
본 발명은 우회전 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대부분의 교차로에서 우회전차량을 위한 신호등을 설치하지 않고 있으며, 일부 설치된 것도 황색점멸등으로 설치된 방식이어서, 사전예고 없이 돌발적으로 변환하는 신호에 대비할 수가 없고 해당 신호의 잔여시간을 운전자가 알 수 없어 항상 불안감을 가지고 운행할 수밖에 없었다.
특히, 차량이 횡단보도에 근접할수록, 언제 신호가 바뀌고 보행자가 진입할지 몰라 항상 불안할 수밖에 없는 운전자 및 달려오고 있는 차량 때문에 불안해하는 보행자 모두가 불안감과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기는 마찬가지이다. 더불어, 사전예고 없이 전환되는 신호로 인해 이제 막 횡단보도에 진입한 차량의 경우 횡단보도 중간에서 정지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대기인파가 많은 횡단보도에서는 교통 혼잡 및 마찰이 발생되기도 하며, 노약자의 경우 신호시간 내에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 접촉사고로 이어지기도 한다.
우리나라 전체 교통사고의 약 2건 중 1건은 교차로와 교차로 부근에서의 교통사고로서 주로 불합리한 신호체계에 기인하고 있고, 특히 교차로주변에 설치된 횡단보도에서의 교통사고는 보행자의 안전을 생각하지 않은 우회전차량의 과도한 통행 허용에 따른 결과이다. 현행의 교통신호체계에서 우회전차량은 직진 및 회전 신호가 적색인 경우에도 보행자의 횡단에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보행신호가 녹색신호인 경우를 제외하고 통행이 가능토록 규정하고 있으나, 운전자가 보행신호를 사전에 파악하기 어려워서 보행자가 횡단보도 통행을 시작하는 시점에서야 급정거하게 되어 교통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고, 이미 횡단보도에 차량이 진입한 경우에는 사전 예고 없이 전환되는 보행신호로 인해 차량운전자가 진행할 수도 없고 되돌아 갈 수도 없는 피치 못할 상황이 전개되어, 도로이용자 간에는 시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좁은 공간에 차량과 보행자가 뒤섞여 교통 혼잡을 유발시키고 있으며, 보행신호가 종료된 후에도 미처 횡단보도를 통과하지 못한 보행자가 남아 있는 등 운전자는 운전자대로 보행자가 언제 진입할지 몰라서 불안해하고, 보행자는 보행자대로 차량이 횡단보도 진입을 멈추지 않아 불안한 마음으로 횡단보도를 이용하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이러한 차량 중심의 교통문화가 지닌 구조적인 문제점으로부터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장치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교차로주변에 설치된 횡단보도에서의 우회전차량에 의한 보행자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우회전차량을 대상으로 하는 전용신호등 개발이 시급하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4762호(2018.10.05.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보행자 신호와 매칭하여 우회전차량에 우회전 진행여부를 확인시켜 횡단보도에서의 우회전차량에 의한 보행자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우회전 신호등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진행 또는 정지 여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구비되어 보행자 신호등에 결합되는 가이드 모듈 및 보행자 신호등으로부터 진행여부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진행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진행여부를 표시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보행자 신호등으로부터 현재의 진행여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진행여부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진행여부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진행 또는 정지 표시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획득한 상기 진행여부 데이터가 진행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정지 표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진행여부 데이터가 정지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진행 표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모듈은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제1 관통홀을 포함하고, 타측의 상부 및 하부에 이격되는 제1 결합홀을 포함하는 제1 연결고리,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고, 타측에 제2 결합홀을 포함하는 제2 연결고리, 상기 제1 결합홀과 상기 제2 결합홀에 끼움결합되는 흰지 및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에 볼트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자 신호등에 따라 서로다른 화면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우회전시 생길 수 있는 보행자와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설치기둥에 우회전 신호등을 결합시킬 때 원활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볼트결합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우회전 신호등과 설치기둥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볼트결합으로 우회전 신호등이 결합되어 있어 수리 및 정비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회전 신호등이 결합된 신호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회전 신호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회전 신호등의 점멸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회전 신호등이 구비된 신호등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회전 신호등을 포함하는 신호시스템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회전 신호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회전 신호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회전 신호등(1)은 디스플레이모듈(10), 가이드 모듈(20) 및 제어모듈(30)을 포함한다.
먼저, 디스플레이모듈(10)은 후술할 제어모듈(30)을 통해 우회전 차량의 진행여부를 디스플레이 한다. 여기서 우회전 차량이 진행가능한 경우, 녹색불을 점등하고, 우회전 차량이 진행 불가능한 경우, 빨간불을 점등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회전 신호등의 점멸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10)은 녹색 또는 빨간 색으로 우회전 차량의 진행여부를 제공하고, 우회전이 가능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0)는 복수의 차량 측면과 차량 사이에 우회전 표시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차량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복수의 차량 측면과 우회전 표시는 우측으로 점차 이동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반면에 우회전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0)는 복수의 차량의 정면 형태와 사이에 ‘STOP’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부착되는 기둥의 직경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는 변경될 수 있으며, 도 1a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0)의 가로 길이는 1084mm, 세로 길이는 300mm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 1b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0)의 가로 길이는 1096mm, 세로 길이는 350m으로 제작되어 설치기둥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설치될 기둥의 직경에 따라 복수의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는 설치기둥에 부착되기 위해 플렉서블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트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도 3a 및 도 3b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도트 매트릭스는 문자, 기호 또는 이미지를 나타내는 2차원 패턴의 배열로, 복수개의 LED로 형성되어 원하는 형태(도 3a 및 도 3b의 형태 및 색상)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0)를 이용함으로써, 차량을 이용하여 우회전 하려는 운전자에게 우회전 여부를 확인시켜 우회전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음으로, 가이드 모듈(20)은 디스플레이부(10)의 후면에 함께 부착되며, 설치기둥에 디스플레이부(10)를 결합시킨다. 도 4에서 나타낸 것처럼, 가이드 모듈(20)은 제1 연결고리(21), 제2 연결고리(22), 흰지(23) 및 결합부재(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연결고리(21) 및 제2 연결고리(22)는 반원 형태로 형성된다. 먼저, 제1 연결고리(21)는 제1 관통홀(211) 및 제1 결합홀(212)을 포함한다. 제1 관통홀(211)은 제1 연결고리(21)의 일측에 형성되며, 후술할 결합부재(24)와 볼트결합으로 결합되기 위해 내측에 나사산을 포함한다. 또한, 제1 결합홀(212)은 타측에 ‘ㄷ’형태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된 결합홀은 일정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있다. 이때, 이격된 간격은 후술한 제2 결합홀(222)의 길이에 대응된다.
다음으로, 제2 연결고리(22)는 제2 관통홀(221) 및 제2 결합홀(222)을 포함한다. 제2 관통홀(221)은 제2 연결고리(22)의 일측에 제1 관통홀(211)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후술할 결합부재(24)와 볼트결합으로 결합되기 위해 내측에는 나사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홀(222)는 제1 결합홀(212)의 이격된 위치에 결합된다.
다음으로, 흰지(23)는 제1 결합홀(212)과 제2 결합홀(222)이 체결된 상태에서 제1 결합홀(212) 및 제2 결합홀(222)의 직경의 크기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끼움부재를 결합한다. 이렇게 끼움부재가 결합됨으로써, 흰지(23)는 끼움부재를 기준으로 제1 연결고리(21)와 제2 연결고리(22)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결합부재(24)는 한쌍의 볼트와 너트로 형성되며, 제1 관통홀(211)과 제2 관통홀(221)에 볼트가 볼트결합된 상태에서 너트를 이용하여 볼트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가이드부재(20)의 제1 연결고리(21)와 제2 연결고리(22)는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설치기둥에 우회전 신호등(1)을 결합할 때에 원활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볼트결합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우회전 신호등(1)과 설치기둥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볼트결합으로 우회전 신호등(1)이 결합되어 있어 수리 및 정비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나타낸 것처럼, 제어모듈(30)은 디스플레이모듈(10)과 함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 하며, 통신부(31) 및 제어부(32)로 구성된다.
먼저, 통신부(31)는 기 설치되어 있는 보행자 신호등으로부터 현재 보행자 신호등의 진행여부를 수신한다. 이때, 보행자 신호등의 진행여부는 보행자의 횡단보도 진행유무이다. 즉,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진행하는 경우, 보행자 신호등은 파란색으로 점등되고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진행하지 못하는 경우, 보행자 신호등을 빨간색으로 점등된다. 그리고 통신부(31)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보행자 신호등 및 디스플레이모듈(10)과 연동된다.
그러면, 제어부(32)는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보행자 신호등의 진행여부 데이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듈(10)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통신부(31)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모듈(1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생성된 신호는 통신부(31)로부터 획득한 진행여부 데이터가 진행인 경우, 제어부(32)는 디스플레이모듈(10)에 정지표시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고, 통신부(31)로부터 획득한 진행여부 데이터가 미진행인 경우, 제어부(32)는 디스플레이모듈(10)에 진행표시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통신부(31)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듈(10)에 제공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회전 신호등을 포함하는 신호 시스템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회전 신호등(1)은 보행자 신호등과 함께 설치되며, 차량운전자가 확인하기 용이한 위치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보행자 신호등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도 6b 및 도 6c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회전 신호등(1)은 보행자 신호등이 파란불로 켜져있는 경우, 우회전 차량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빨간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보행자 신호등이 빨간불로 켜져있는 경우, 우회전 차량의 이동을 진행시키는 파란색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렇게 보행자 신호등에 따라 서로다른 화면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우회전시 생길 수 있는 보행자와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30)은 해킹 또는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위변조 방지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변조 방지모듈은 제어부(32)와 통신부(31)사이에 구비되며, 통신부(31)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의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고, 통신부(31)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0)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위변조되지 않도록 송신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0)에는 해당 데이터의 암호화를 디코딩할 수 있느 디코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자명하다.
이러한 위변조 방지모듈은 통신부(31)로부터 보행자 신호등의 데이터 수신시 보행자 신호등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정보, 보행자 신호등의 고유 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제어부(32)로부터 우회전 신호등(1)의 고유 번호를 저장한다. 이때, 위치정보는 GPS 정보를 의미하며, 보행자 신호등의 고유 번호 및 우회전 신호등(1)의 고유번호는는 복수의 문자, 특수기호 및 숫자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유번호는 기기당 1개의 번호만을 가지고 있다.
먼저, 위변조 방지모듈은 우회전 신호등(1)의 고유번호로부터 랜덤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해쉬함수를 통해 암호화하고, 보행자 신호등의 고유번호로부터 랜덤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해쉬함수를 통해 암호화한다.
그리고, 위변조 방지모듈은 암호화된 두 개의 데이터와 보행자 신호등의 위치정보의 일부를 추출하려 하나의 데이터로 제작하고, 제작된 데이터를 제어부(32)에서 디스플레이모듈(32)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랜덤한 위치에 삽입함과 동시에 송신되는 데이터의 마지막에 삽입된 데이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태그데이터를 함께 부착하여 암호화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모듈(10)은 디코딩 모듈을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제작된 데이터와 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제어부(32)로부터 송신된 진행 또는 미진행 여부를 디스플레이하고, 제작된 데이터와 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32)로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피드백 신호를 제공한다.
이렇게 데이터를 암호화 시킴으로써, 우회전 신호등(1)의 보안성을 높여 해킹과 같은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보안성이 높ㅇ아짐으로써, 우회전 신호등(1)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동시에 보행자와 우회전 차량의 사고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청구범위를 통해 한정되지 않은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우회전 신호등
10: 디스플레이모듈
20: 가이드모듈 21: 제1 연결고리
211: 제1 관통홀 212: 제1 결합홀
22: 제2 연결고리 221: 제2 관통홀
222: 제2 결합홀 23: 흰지
24: 결합부재 30: 제어모듈
31: 통신부 32: 제어부

Claims (4)

  1. 진행 또는 정지 여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구비되어 보행자 신호등에 결합되는 가이드 모듈; 및
    보행자 신호등으로부터 진행여부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진행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진행여부를 표시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보행자 신호등으로부터 현재의 진행여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진행여부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진행여부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진행 또는 정지 표시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해킹 또는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위변조 방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변조 방지모듈은 상기 통신부와 상기 제어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로 송신되는 데이터를 암호화고,
    상기 제어부는
    획득한 상기 진행여부 데이터가 진행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정지 표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진행여부 데이터가 정지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진행 표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가이드 모듈은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제1 관통홀을 포함하고, 타측의 상부 및 하부에 이격되는 제1 결합홀을 포함하는 제1 연결고리;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고, 타측에 제2 결합홀을 포함하는 제2 연결고리;
    상기 제1 결합홀과 상기 제2 결합홀에 끼움결합되는 흰지; 및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에 볼트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우회전 신호등.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027989A 2022-03-04 2022-03-04 우회전 신호등 KR102492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989A KR102492051B1 (ko) 2022-03-04 2022-03-04 우회전 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989A KR102492051B1 (ko) 2022-03-04 2022-03-04 우회전 신호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051B1 true KR102492051B1 (ko) 2023-01-26

Family

ID=85110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989A KR102492051B1 (ko) 2022-03-04 2022-03-04 우회전 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0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409U (ko) * 2007-05-11 2008-11-14 이장용 원통형의 전방향 식별 횡단보도 신호등
KR20120002003U (ko) * 2010-09-09 2012-03-19 김은경 보행 신호의 가시각을 확장시킨 신호등 장치
KR20160003715U (ko) * 2016-06-20 2016-10-26 주식회사 창우 우회전 교통사고 예방 시스템
KR102175983B1 (ko) * 2019-10-08 2020-11-06 주식회사 산흥이지 우회전 신호등이 일체로 형성된 횡단보도용 신호등
KR20210092036A (ko) * 2020-01-15 2021-07-23 주식회사 오션소프트 독립형 신호등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409U (ko) * 2007-05-11 2008-11-14 이장용 원통형의 전방향 식별 횡단보도 신호등
KR20120002003U (ko) * 2010-09-09 2012-03-19 김은경 보행 신호의 가시각을 확장시킨 신호등 장치
KR20160003715U (ko) * 2016-06-20 2016-10-26 주식회사 창우 우회전 교통사고 예방 시스템
KR102175983B1 (ko) * 2019-10-08 2020-11-06 주식회사 산흥이지 우회전 신호등이 일체로 형성된 횡단보도용 신호등
KR20210092036A (ko) * 2020-01-15 2021-07-23 주식회사 오션소프트 독립형 신호등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45403B (zh) Led交通灯
US6850169B2 (en) Emergency traffic signal device
CN207397508U (zh) 一种公路平交路口车辆警示装置及系统
US20090135024A1 (en) Display control system of traffic light and display method
KR102305577B1 (ko)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
EP1779353B1 (en) Traffic safety integrated system, particularly in low visibility conditions and method of use of same
US5892461A (en) Traffic condition displaying system
WO2007097599A2 (en) Integrated traffic signal, sign and information display device
RU187177U1 (ru) Регулируемый пешеходный переход
CN1700262B (zh) 新型交通信号系统
KR102492051B1 (ko) 우회전 신호등
KR20010103326A (ko) 보행자 보호용 신호등 제어시스템
KR20190110760A (ko) 횡단보도 교통안전시스템
KR20150100190A (ko) 우회전 차량의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교차로 신호등
KR20100104696A (ko) 3색 발광 led를 이용하는 차로별 교통신호등
CN111477018A (zh) 在多车道道路上构成紧急通道的方法和车辆
KR102170319B1 (ko) 가로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도로조명 제어 시스템
KR101233864B1 (ko) 통행 위반 경고 시스템
KR102269615B1 (ko) 교통 신호 스크린 장치와 이를 포함한 교통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 제어 방법
US20220292961A1 (en) Warning Device And Signal Lamp
KR100469639B1 (ko) 도로용 교통신호 시스템
KR20230049499A (ko) 교통신호등 연동형 빔프로젝터
CN211181072U (zh) 无色盲障碍单色白色图形切换显示的交通信号系统装置
KR200434554Y1 (ko)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
KR102635356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안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