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859B1 -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 Google Patents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859B1
KR102206859B1 KR1020150134362A KR20150134362A KR102206859B1 KR 102206859 B1 KR102206859 B1 KR 102206859B1 KR 1020150134362 A KR1020150134362 A KR 1020150134362A KR 20150134362 A KR20150134362 A KR 20150134362A KR 102206859 B1 KR102206859 B1 KR 102206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vercoat layer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5477A (ko
Inventor
정미혜
김석기
윤경근
채헌승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4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8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35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H01L27/3225
    • H01L51/525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낮은 헤이즈값, 높은 투과율 및 저장 안정성을 가지며, 용제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직접 코팅이 가능한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Composition for overcoat lay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아 유기발광다이오드에 직접 코팅이 가능하고, 기존의 용제를 포함하는 오버코트층의 탈기체(out gassing)로 인한 소자의 데미지가 없으며, 낮은 헤이즈값, 높은 광투과율, 저유전율, 저굴절률 및 저장 안정성을 갖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분야에서 색을 구현하는 방식은 크게 RGB 방식과 WRGB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RGB 방식은 RGB 각각의 유기 화합물을 RGB 픽셀에 증착시켜 박막 트랜지스터(TFT) 기판과 합쳐서 OLED TV를 구현한다.
미세 마스크(Fine Metal Mask; FMM)를 사용하여 RGB 발광물질의 각각 픽셀에 패터닝하여 RGB 서브 픽셀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은 컬러 필터가 필요 없고, OLED 발광물질이 그대로 투과가 된다는 점에서 휘도가 떨어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동일한 밝기를 낼 경우에는 전력 소모가 낮다. 또한, 자연 그대로의 색을 표현하는 색 재현율도 우수하다. 하지만 공정 수율이 저하되고, 따라서 대형 TV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즉 대형화와 양산화가 힘들고 가격이 높은 단점이 있다.
RGB 방식의 우수한 휘도와 색 재현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시장은 WRGB 방식이 주도해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WRGB 방식은 백색 OLED에 RGB 컬러 필터를 구성하고, 하부 TFT 기판과 결합하여 OLED TV를 구현한다. WRGB 방식은 FMM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대형화와 양산화가 유리하며, 가격 경쟁력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RGB 방식과 달리 수명 문제도 거의 없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컬러 필터를 통해서 빛이 나오기 때문에, 휘도가 RGB 방식에 비해 많이 떨어지게 되고, 따라서 동일한 밝기를 내기 위해서는 전력 소비가 커질 수밖에 없다.
한편, 직법 코팅방법이 아닌 용제 타입의 조성은 일반적으로 바인더 수지, 경화제 또는 광개시제, 및 용제 등으로 구성되는 오버코트층 조성물에 대하여, 임펠러 교반기를 사용하고, 이어서 바로 기재 필름상에 오버코트층을 형성시켜 건조 오븐에서 건조한 후, UV, 열 및 수분을 필름 표면에 가하여 오버코트층을 형성한다.
그런데,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1059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82067호 등과 같은 종래 용제 타입의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OLED 소자에 직접 코팅(direct coating)을 할 경우, 소자에 용제가 침투하여 데미지(damage)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컬러 필터 상에 형성되는 오버코트층은 RGB 패턴 간의 단차를 보상할 목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오버코트층 조성물을 형성하는 재료는 우수한 평탄성, 고투명 및 내화학성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일본공개특허 제2008-076860호에는 특정 지환식 화합물을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폴리머 성분과 광중합성 모노머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무기 입자를 함유하지 아니하고도 낮은 헤이즈값, 높은 광투과율 및 저장 안정성을 갖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함으로써, 낮은 헤이즈값, 높은 광투과율 및 저장 안정성을 갖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불소계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불소계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머,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92606159-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M, N은 각각 1 내지 9의 정수이며, X는 하기 R1 또는 R2이다.
[R1]
Figure 112015092606159-pat00002
(상기 R1에서, P는 1 내지 9의 정수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에폭시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4의 아릴기이다.)
[R2]
Figure 112015092606159-pat00003
(상기 R2에서, a, b, s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9의 정수이고, R4는 수소, 에폭시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4의 아릴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무용제 타입의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이기 때문에,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에 직접 코팅이 가능하여 공정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또한, 낮은 헤이즈 값과 높은 광투과율을 가지며, 저장 안정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삼차원 지수 측정기로 보우잉 디스턴스(bowing distance)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광투과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불소계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불소계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머,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92606159-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M, N은 각각 1 내지 9의 정수이며, X는 하기 R1 또는 R2이다.
[R1]
Figure 112015092606159-pat00005
(상기 R1에서, P는 1 내지 9의 정수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에폭시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4의 아릴기이다.)
[R2]
Figure 112015092606159-pat00006
(상기 R2에서, a, b, s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9의 정수이고, R4는 수소, 에폭시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4의 아릴기이다.)]
본 발명의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상기 불소계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분자 내에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고, 예를 들어, 불소계 폴리올,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및 하이드록실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켜 수득된 불소계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상기 불소계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는 그 함량의 조절을 통하여 백탁 현상을 일으킴으로써, 일정한 헤이즈 값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상기 불소계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폴리올,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및 하이드록실기-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불소계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의 아이소시아네이트기를 상기 폴리올 및 상기 하이드록실기-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하이드록실기와 반응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상기 불소계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폴리올, 상기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및 상기 하이드록실기-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모두 함께 반응시키고, 상기 폴리올을 상기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키고, 생성 생성물을 상기 하이드록실기-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와 반응시키고, 상기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를 상기 하이드록실 기-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와 반응시키고, 생성 생성물을 상기 폴리올과 반응시키고, 상기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를 상기 하이드록실기-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와 반응시키고, 생성 생성물을 상기 폴리올과 반응시키고, 생성 생성물을 상기 하이드록실 기-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추가로 반응시키는 것 등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상기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의 예는 2,4-톨릴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1,3-자일릴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1,4-자일릴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m-페닐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3,3'-다이메틸-4,4'-다이페닐메탄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4,4'-다이페닐메탄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3,3'-다이메틸페닐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4,4'-바이페닐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1,6-헥산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4-사이클로헥실아이소시아네이트), 2,2,4-트라이메틸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비스(2-아이소시아나토에틸)푸마레이트, 6-아이소프로필-l,3-페닐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4-다이페닐프로판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라이신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된 다이페닐메탄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된 자일릴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릴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2,5-비스(아이소시아나토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탄, 2,6-비스(아이소시아나토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상기 하이드록실 기-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예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닐옥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다이올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로일 포스페이트, 4-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다이올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판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에탄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메트)아크릴산 및 글리시딜기 함유 화합물 (예컨대, 알킬 글리시딜 에터, 알릴 글리시딜 에터, 또는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첨가 반응시켜 수득되는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하이드록실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중에서,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상기 불소계로 치환된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올리고머, 폴리머는 말단기 메틸기가 불소계(F)로 치환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상기 불소계로 치환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저유전율, 저굴절률을 갖고, 또한 상기 불소계로 치환된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는 용매를 대신하여 점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불소계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구체적인 예는 2-퍼플루오로옥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lH,lH,5H-옥타플루오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실란 커플링제는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비닐트라이클로로실란, 비닐트라이에톡시실란, 비닐트리스(β-메톡시에톡시)실란, β-(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라이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다이에톡시실란, γ-(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틸다이메톡시실란,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 γ-클로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 γ-머캅토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 비스-l,2-(트라이메톡시실일)에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비스-[3-(트라이에톡시실일)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 비스-[3-(트라이에톡시실일)프로필] 다이설파이드, γ-트라이메톡시실일프로필다이메틸티오카바밀 테트라설파이드, γ-트라이메톡시실일프로필벤조티아질 테트라설파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실란 커플링제는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불소계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불소계 (메트)아크릴레이트 150 내지 250 중량부 및 상기 실란 커플링제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용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저굴절률, 저유전율 및 저헤이즈값을 갖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용제를 함유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OLED 패널은 얇은 두께의 장점을 갖지만, 광확산 필름이라든지 광확산 판의 삽입이 어려워, OLED 패널의 광확산층은 10㎛ 이내에 불과하기 때문에, 코팅을 직접할 수 밖에 없는데, 용제 타입의 경우는 코팅시 소자에 직접적으로 닿기 때문에, 데미지를 주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은 무용제 타입의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불소계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경화 개시제 1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디.
본 발명의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상기 광경화 개시제는 상기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광경화 개시제의 예로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2,2-다이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잔톤, 플루오레논, 벤즈알데하이드, 플루오렌, 안트라퀴논, 트라이페닐아민, 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클로로벤조페논, 4,4'-다이메톡시벤조페논, 4,4'-다이아미노벤조페논, 미흘러(Michler) 케톤, 벤조인 프로필 에터, 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질 메틸 케탈, 1-(4-아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2-하이드록시-2-메틸-l-페닐프로판-l-온, 티옥산톤, 다이에틸티옥산톤, 2-아이소프로필티옥산톤, 2-클로로티옥산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리노-프로판-1-온, 2,4,6-트라이메틸벤조일다이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6-다이메톡시벤조일)-2,4,4-트라이메틸펜틸포스핀 옥사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다양한 첨가제 예컨대 산화방지제, 착색제, UV 흡수제, 광 안정화제, 실란 커플링제, 열중합 개시제, 평활제, 계면활성제, 보존제, 가소제, 윤활제, 충전제, 시효 방지제, 습윤성 개선제 및 코팅 표면 개선제 등이 본 발명의 특성에 해를 입히지 않는 한, 임의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무기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표면의 요철이 심한 광확산층 표면에 평탄화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오버코트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 불소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물성 변화
전체 조성물 중, 불소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에 따른 물성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불소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을 갖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광투과도, 헤이즈 및 보우잉 디스턴스(bowing distance)의 물성을 측정하였는 바,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조성물의 경화는 벨트 타입의 노광기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2100mJ로 광경화하였다.
광투과도 측정은 광확산 용액을 유리기판에 도포한 후, 스핀 코팅하고 광경화한 다음, 기판을 이용하여 Labsphere社의 Evolution 600 UV-VIS를 이용하여 광투과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상기 광투과도는 헤이즈 미터 장비의 전투과율(Tt) 값으로도 확인 가능하다.
또한, 헤이즈 측정은 광확산 용액을 유리 기판에 도포한 후, 스핀 코팅하고 광경화한 다음, 기판을 이용하여 Nippon Denshoku사의 Haze meter NDH 2000 장비를 이용하여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상기 헤이즈의 단위는 %로서, 수치가 높을수록 백탁이 높다는 의미이고, 수치가 낮을수록 투명하다는 의미이다.
한편, 보우잉 디스턴스(bowing distance)는 삼차원 치수 측정기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092606159-pat00007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높은 투과도와 낮은 헤이즈 값, 즉 헤이즈값이 0%에 가까워야 하고, 불소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함유량이 20% 이상이 되면, 경화 후의 헤이즈값이 2% 이상이 되기 때문에, 오버코트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은 보우잉디스턴스가 커서, 즉 휨이 발생해서 오버코트층 조성물로 부적합하고, 비교예 2는 헤이즈가 높아서, 즉 충분히 투명하지 않아서 오버코트층 조성물로 부적합함을 알 수 있다.
< 실시예 3 내지 4 및 비교예 3 내지 4>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2의 결과에 따라,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비에 따라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여, 무용제이면서 무기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92606159-pat00008
※ 불소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 화학식1의 화합물 (제품명:FI-12, 제조사: NC-CHEM)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모노머1 : 2,2,2-trifluoroethylmethacrylate (제조사:시그마알드리치)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모노머2 : octafluoropentyl acrylate (제조사: 한농화성)
아크릴레이트 폴리머 : hexafunctional polyester acrylate (제품명:FM-13, 제조사: NC-CHEM)
광경화 개시제 : diphenyl(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산화방지제 1 : Tetrakis-(methylene-(3,5-di-(tert)-butyl-4-hydrocinnamate))methane (제조사:시그마 알드리치)
산화방지제 2 : tris(nonylphenly) phosphite(TNPP)
실란커플링제 : 비닐트리메톡시실란
< 비교예 5 내지 6> 용제를 포함하는 오버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3과 같은 조성비에 따라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제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92606159-pat00009
※ 다관능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 디펜카리트리올 헥사아크릴레이트
단관능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 : Benzyl Acrylate
단관능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 : Lauryl Acrylate
광경화 개시제 : diphenyl(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산화방지제 1 : IRGANOX 1010, BASF KOREA
산화방지제 2 : tris(nonylphenly) phosphite(TNPP)
실란커플링제 : 비닐트리메톡시실란
< 실시예 5>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물성 굴절률 및 유전율 측정
상기 실시예 3, 4 및 비교예 5, 6에서 제조한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굴절류 및 유전율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092606159-pat00010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종래의 용제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비하여, 저유전율 및 저굴절률을 갖는 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무용제 타입의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이기 때문에,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에 직접 코팅이 가능하여 공정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또한, 낮은 헤이즈 값과 높은 투과율을 가지며, 저장 안정성을 갖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불소계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불소계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머,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0026169101-pat00011

    [상기 화학식 1에서, M, N은 각각 1 내지 9의 정수이며, X는 하기 R1 또는 R2이다.
    [R1]
    Figure 112020026169101-pat00012

    (상기 R1에서, P는 1 내지 9의 정수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에폭시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4의 아릴기이다.)
    [R2]
    Figure 112020026169101-pat00013

    (상기 R2에서, a, b, s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9의 정수이고, R4는 수소, 에폭시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4의 아릴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불소계 폴리올,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및 하이드록실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불소계 (메트)아크릴레이트 150 내지 250 중량부 및 상기 실란 커플링제 2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제를 함유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불소계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경화 개시제 1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오버코트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
  7. 제6항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KR1020150134362A 2015-09-23 2015-09-23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KR102206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362A KR102206859B1 (ko) 2015-09-23 2015-09-23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362A KR102206859B1 (ko) 2015-09-23 2015-09-23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477A KR20170035477A (ko) 2017-03-31
KR102206859B1 true KR102206859B1 (ko) 2021-01-22

Family

ID=5850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362A KR102206859B1 (ko) 2015-09-23 2015-09-23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8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63925A (zh) * 2022-12-29 2023-05-05 武汉尚赛光电科技有限公司 光固化性组合物及其硬涂层和应用
CN116041999A (zh) * 2022-12-29 2023-05-02 武汉尚赛光电科技有限公司 有机封装膜组合物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2799A (ja) 2007-11-30 2009-06-18 Jsr Corp 放射線硬化性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2800A (ja) * 2007-11-30 2009-06-18 Jsr Corp 放射線硬化性樹脂組成物
KR20110015304A (ko) * 2009-08-07 2011-02-15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임프린트 리소그래피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임프린트 몰드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2799A (ja) 2007-11-30 2009-06-18 Jsr Corp 放射線硬化性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477A (ko) 201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246548A (ja) 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透明フィルム
KR20080061703A (ko) 하드코팅용 조성물
TWI717649B (zh) 含有硫醇化合物之可固化組成物
KR102154158B1 (ko) 무용제형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30087576A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255450B1 (ko) 광학부품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광학부품의 제조 방법
US20030004222A1 (en)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plastic sheet
KR20140138815A (ko)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터치 패널 센서용 투명막 및 터치 패널
KR102206859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JP6471509B2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膜
JP6075443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塗料組成物
KR20140127675A (ko) 광학 적층체
KR20170033813A (ko) 경화막 형성용 수지 조성물, 경화막, 도전성 부재 및 마이그레이션의 억제 방법
WO2006057413A1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光学部材
KR102004506B1 (ko) 광확산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KR101163922B1 (ko) 광경화형 불소변성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내지문수지 조성물 및 내지문도료 조성물도료 조성물
WO2006134964A1 (ja) 接着剤用液状硬化性樹脂組成物
JP4313137B2 (ja) ハードコート剤
EP3184560A1 (en) Photo-curable copolymer,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anti-fingerprint film made therefrom
JP6998730B2 (ja) カバーフィルム
JP6571315B2 (ja) 透明画素形成用感光性樹脂組成物
CN115785800B (zh) 一种光固化导热涂层及其制备方法
CN113423771B (zh) 用于柔性显示器的窗口膜
KR20220083203A (ko) 유기발광소자 오버코트용 저굴절률 조성물
JP6748419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