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384B1 -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384B1
KR102206384B1 KR1020140001961A KR20140001961A KR102206384B1 KR 102206384 B1 KR102206384 B1 KR 102206384B1 KR 1020140001961 A KR1020140001961 A KR 1020140001961A KR 20140001961 A KR20140001961 A KR 20140001961A KR 102206384 B1 KR102206384 B1 KR 102206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bar
frame
locking
portable terminal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1941A (ko
Inventor
성재현
박상돈
이기동
류인근
권일근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1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384B1/ko
Priority to US14/550,492 priority patent/US9405325B2/en
Priority to EP14199008.5A priority patent/EP2911030B1/en
Priority to CN201410840201.2A priority patent/CN104767843B/zh
Publication of KR20150081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부에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베이스부를 덮도록 배치된 상기 프레임을 록킹시키고 타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록킹을 해제하도록 이루어지는 래치바,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래치바에 각각 설치되고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래치바를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NAL}
본 발명은 제2바디가 제1바디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고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편리함이 있어 보편화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바디의 구성에 따라, 싱글 바디의 바 타입,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최근에는 어느 하나의 바디가 다른 하나의 바디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회동하여 소정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는 틸팅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도 등장하였다.
이러한 틸팅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는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을 고정 및 분리하는 록킹부를 구비한다. 그러나 최근까지 공개된 틸팅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를 살펴보면, 록킹/록킹해제 메커니즘이 누름 조작, 걸림 구조 등에 의해 구현되는 형태로 한정되어 있었다는 점에서,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록킹/록킹해제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록킹부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디에 프레임이 보다 다양한 형태로 고정 및 분리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록킹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일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용 단말기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부에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베이스부를 덮도록 배치된 상기 프레임을 록킹시키고 타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록킹을 해제하도록 이루어지는 래치바,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래치바에 각각 설치되고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래치바를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록킹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이 상기 래치바에 록킹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바에 구비되는 제1후크는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후크에 걸림되며, 상기 록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제1후크와 상기 제2후크는 서로 분리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록킹부는, 상기 록킹 상태에서 자기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록킹 해제 상태로 전환시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자기력을 해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부는, 상기 래치바에 설치되고 자기력에 반응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핀을 구비하는 제1록킹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핀을 끌어당기도록 상기 자기력을 작용하는 자석과 전류의 인가시 상기 핀을 밀어내도록 상기 전자기력을 작용하는 솔레노이드 코일을 구비하는 제2록킹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록킹부재는 상기 록킹 상태에서 상기 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보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의 외주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이 감길 수 있다.
상기 보빈의 일측에는 상기 자석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래치바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록킹 해제시 상기 래치바를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이 해제된 후,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래치바가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흐르는 전류는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록킹이 해제된 후,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래치바가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는 반대 방향의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록킹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전자기력과 탄성력에 의해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핀을 구비하는 솔레노이드 유닛, 및 상기 래치바 및 상기 핀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핀의 인출 및 인입에 따라 상기 래치바를 이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디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핀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핀이 바디 내부에 인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핀에 전자기력을 가하는 솔레노이드 코일, 및 상기 핀이 바디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래치바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핀의 인입에 따라 상기 래치바가 상기 타방향으로 이동된 후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래치바를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래치바를 일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래치바와 연통되는 홀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록킹부는 상기 래치바가 균일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래치바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에는 디스플레이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록킹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를 완전히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록킹 해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틸팅된 상태로 배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록킹부를 구동하는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는 기설정된 터치 입력을 입력받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록킹부는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래치바를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므로, 기존과는 다른 형태의 록킹/록킹해제 메커니즘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바디에는 래치바와 연통되는 홀이 구비되어, 록킹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 가압부재를 홀로 밀어넣어 래치바를 강제로 밀어냄으로써 록킹해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를 보인 개념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가 개폐되는 과정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
도 2b은 도 2a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1바디에 대한 제2바디의 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보인 개념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가 개폐되는 과정의 다른 일 예를 보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
도 5a 및 5b는 도 4에 도시된 제2바디가 제2프레임에 대하여 분리된 상태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보인 개념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회전부를 보인 개념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걸림부를 보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일 예를 보인 개념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고정부를 보인 개념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개념도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를 보인 개념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1프레임을 보인 개념도.
도 14,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1프레임과 래치바 간의 록킹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16, 도 17a, 도 17b, 도 18a, 도 18b 및 도 19는 도 14의 록킹구조의 변형예들을 보인 개념도들.
도 20은 도 14의 록킹구조의 다른 일 예로서, 모터를 이용한 제1프레임과 래치바 간의 록킹구조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를 보인 개념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구동 메커니즘을 보다 상세하게 표현한 개념도.
도 23 내지 도 25는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제2바디가 제1바디에 대하여 상대 이동되는 것을 보인 개념도들.
도 26은 제2바디가 제1바디에 대하여 배치된 상태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정보가 변경되는 일 예를 보인 개념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100)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바디(110), 제2바디(120) 및 제2바디(120)를 제1바디(11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모듈(130)을 포함한다. 상기 상대 이동은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틸팅을 포함한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반적인 사용 상태에서 제1바디(110)는 바닥면 상에 놓인다. 제1바디(110)의 내부에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10)의 상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1)는 제2바디(120)가 제1바디(1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틸팅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1)는 제2바디(120)가 제1바디(110)를 덮도록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는 제1바디(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제2바디(120)가 제1바디(1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틸팅되면, 상승하여 제1바디(1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2바디(120)에는 화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바디(110)에 대한 제2바디(120)의 상대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1)가 바닥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정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제2바디(120)는 힌지모듈(130)에 의하여, 제1바디(110)와 중첩되게 배치되는 상태와 제1바디(110)에 슬라이드 이동되어 틸팅된 상태(도시된 상태) 사이에서 상대 이동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후술할 바와 같이, 제2바디(120)는 제1바디(110)에 대하여 틸팅된 상태와 제2바디(120)가 제1바디(110)를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제1바디(110)에 대한 틸팅 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제2바디(120)가 제1바디(110)에 대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로 상대 이동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힌지모듈(13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가 개폐되는 과정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2b은 도 2a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제1바디(110)에 대한 제2바디(120)의 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보인 개념도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힌지모듈(130)은 제1프레임(131) 및 제2프레임(13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프레임(132)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두께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두께가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프레임(131, 132)은 고강성, 고강도의 금속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131)은 제1바디(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바디(120)가 제1바디(1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틸팅되었을 때 제1바디(110)의 전단부에 배치되는 사용자 입력부(111)가 노출되도록, 제1프레임(131)은 제1바디(110)의 후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프레임(131)과 제1바디(110)를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부분에는 경첩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이 제1프레임(131)과 제1바디(11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도 있고, 별도의 경첩부재가 제1프레임(131)과 제1바디(110)에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제2프레임(132)은 제1프레임(131) 및 제2바디(120)와 각각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바디(120)는 기본적으로 제2프레임(132)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나, 후술할 고정부(140)에 의해 제2프레임(132)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이 제한될 수도 있다.
제2바디(120)가 제1바디(110)와 중첩되게 배치되는 상태에서, 제1 및 제2프레임(131, 132)은 제1바디(110)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10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1바디(110)의 상면에서 리세스된(recessed) 수용부(130a)에 수용될 수 있다.
제2바디(120)가 제1바디(11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1프레임(131)이 제1바디(110)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면, 제2바디(120)는 제1바디(110)로부터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때, 제2바디(120)의 무게 중심이 회전축보다 아래에 위치하거나 토션 스프링이 제2바디(120)의 타단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제2바디(120)의 일단부는 제1바디(110)의 일면 상을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제1프레임(131)이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된 후, 제2바디(120)는 제1바디(110)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틸팅된 상태에 놓인다. 이러한 틸팅 상태에서, 제2프레임(132)은 제2바디(12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틸팅 상태는 제2프레임(132)을 기준으로 보면 지지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슬라이드 이동 과정에서 제2바디(120)가 정해진 틸팅 각도를 갖도록, 제3프레임(133)은 제1프레임(131)과 제2프레임(13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2프레임(132)의 틸팅 각도는 제1프레임(131)과 제3프레임(133)의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이동 과정에서의 제2바디(120)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2프레임(132)이 제2바디(12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제2바디(120)는 제2프레임(132)에 대하여 상대 회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지지는 해제된다. 제2프레임(132)은 앞서 설명한 제2바디(120)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바디(110)에 대한 제2바디(120)의 틸팅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바디(120)에 디스플레이부(121)가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화면 정보를 보기 좋은 각도로 제2바디(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프레임(132)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는 제2바디(120)는 정해진 각도의 제한 없이 자유롭게 임의의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2바디(120)는 기설정된 회전 각도에서만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가 개폐되는 과정의 다른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힌지모듈(130)에 의하면, 제2바디(120)는 제1바디(110)를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바로 제1바디(110)에 대한 틸팅 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제1 및 제2프레임(131, 132)이 수용부(130a)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2바디(120)는 제2프레임(132)에 대하여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입력부(111)는 제2바디(120)에 의하여 가려지게 된다. 이러한 사용례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11)를 조작하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100)를 사용하고자 할 때 유용할 수 있다.
앞서 간단히 언급한 바와 같이, 제2바디(120)는 기본적으로 제2프레임(132)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나, 고정부(140)에 의해 제2프레임(132)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이 제한될 수도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들을 바탕으로 고정부(14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5a 및 5b는 도 4에 도시된 제2바디(120)가 제2프레임(132)에 대하여 분리된 상태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보인 개념도이다.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고정부(140)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제2바디(120)를 제2프레임(132)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자석(141) 및 금속부재(14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바디(120)와 제2프레임(132)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141)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자석(141)의 자기력을 받도록 형성되는 금속부재(142)가 구비된다. 금속부재(142)는 그 자체로 자석(141)은 아니지만 자석(141)이 접근하면 인력을 받는 일반적인 금속부재(142)뿐만 아니라, 또 다른 자석(141)을 포함한다.
본 도면에서는, 제2바디(120)에 자석(141)이 설치되고, 제2프레임(132)에 금속부재(142)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제2바디(120)에 구비되는 자석(141)은 외관상 드러나지 않도록 제2바디(1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프레임(132)은 그 자체로 자성체를 포함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금속부재(142)가 제2프레임(132)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별도의 금속부재(142)가 제2프레임(132)에 설치되는 경우, 금속부재(142)는 제2바디(120)와 마주보는 면이 단차 없는 평면을 이루도록 제2프레임(132)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삽입될 수 있으며, 지지상태에서 금속부재(142)는 자석(141)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석(141)과 금속부재(142) 간의 인력에 의하여, 제2바디(120)는 제2프레임(132)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제2바디(120)가 제1바디(110)와 중첩되게 배치되는 상태와 제2바디(120)가 제1바디(1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틸팅된 상태에서, 제2바디(120)는 제2프레임(132)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제2바디(120)가 제2프레임(132)에 고정된 상태에서, 자석(141)과 금속부재(142) 간의 인력보다 큰 힘이 인가되면, 제2바디(120)와 제2프레임(132) 간의 고정은 해제되게 된다. 상기 해제로 인하여, 제2바디(120)는 제2프레임(13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힘을 가하여 상기 고정을 해제하고 제2바디(120)를 제2프레임(132)에 대하여 회전시켜 제1바디(110)에 대한 제2바디(12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금속부재(142)는 제어명령에 따라 자기력의 방향을 변경시키도록, 극성이 변경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금속부재(142)는 극성이 변경 가능한 전자석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부재(142)는, 제2바디(120)가 제2프레임(132)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어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자석(141)과의 사이에서 척력이 발생되도록, 극성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보다 용이하게 제2바디(120)와 제2프레임(132) 간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금속부재(142)는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에 의해 자석(141)과 마주보는 극성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제2바디(120)가 제2프레임(132)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어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자석(141)과의 사이에서 척력이 발생되도록, 반대 극성이 자석(141)을 향하는 방향으로 금속부재(14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위의 예들에서, 상기 제어명령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00)의 특정 부분을 잡는 동작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의 후면 상단부에는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바디(120)를 제2프레임(132)에 대하여 회전시키고자 하여 제2바디(120)의 후면 상단부를 잡게 되면, 터치센서에 의해 터치가 감지되고, 제어부는 상기 터치에 근거하여 금속부재(142)의 극성을 변경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회전부(150)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프레임(132)은 회전부(150)에 의하여 제2바디(120)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프레임(132)과 제2바디(120)를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부(150)는 경첩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이 제2프레임(132)과 제2바디(1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경첩부재가 제2프레임(132)과 제2바디(120)에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제2바디(120)는 제2프레임(13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부(150)는 제2바디(120)를 제2프레임(132)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결합시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회전부(150)는 제2바디(120)와 제2프레임(13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자석, 제2바디(120)와 제2프레임(132)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자석의 자기력을 받도록 형성되는 금속부재, 및 제2바디(120)와 제2프레임(132)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자석과 상기 금속부재가 자기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면 서로 접촉되어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걸림부(160)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2바디(120)가 제1바디(1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틸팅된 상태에서, 제2바디(120)의 일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제2바디(120)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걸림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160)는 걸림홈(161) 및 스토퍼(162)를 포함한다.
걸림홈(161)은 제2바디(120)의 상기 일단부에 형성된다. 걸림홈(161)은 제2바디(120)의 후면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62)는 제1바디(110)의 상면에 배치되며, 제2바디(120)가 제1바디(1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틸팅되면 단부가 걸림홈(161)에 삽입 가능하도록 갈고리 형상('ㄱ'자)으로 형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스토퍼(162)가 사용자 입력부(111)의 후방에 위치한 것을 보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62)에 의해 제2바디(120)의 일단부가 고정됨으로써, 제2바디(120)의 틸팅된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스토퍼(162)의 내측에는 곡선 형태의 라운드부(162a)가 형성될 수 있다. 라운드부(162a)에 의해, 제2바디(120)는 스토퍼(162)에 걸림된 상태로 제2프레임(132)에 대하여 용이하게 상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프레임(132)에 대한 제2바디(120)의 상대 회전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100)에는 다음의 구조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62)의 적어도 일측에는 돌기(162b)가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홈(161)은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홈(161)은 제1수용부(161a) 및 제2수용부(161b)를 포함한다. 제1수용부(161a)는 제2바디(120)의 일단부가 슬라이드 이동되면 스토퍼(162)의 단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2수용부(161b)는 제1수용부(161a)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2수용부(161b)의 내측벽은 제2바디(120)가 제2프레임(132)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기(162b)를 덮도록 배치된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제2바디(120)가 제2프레임(132)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 스토퍼(162)가 제2수용부(161b)에 삽입되고 돌기(162b)가 제2수용부(161b)의 내측벽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므로, 스토퍼(162)가 걸림홈(161)으로부터 빠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프레임(132)에 대한 제2바디(120)의 상대 회전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고정부(140)의 다른 구조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구조는 후술하는 고정부(140)와 직접 관련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후술하는 휴대용 단말기(100)에도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200)의 다른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고정부(240)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고정부(240)는 걸림 구조를 이용하여 제2바디(220)를 제2프레임(232)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며, 걸림홀(241), 조작부(242) 및 이동부재(243)를 포함한다.
제2프레임(232)에는 걸림홀(241)이 형성된다. 걸림홀(241)은 제2프레임(23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242)는 제2바디(220)에 누름조작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도면에서는, 제2바디(220)의 상단부 중앙에 조작부(242)가 하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누름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이동부재(243)는 조작부(242)의 누름조작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이동에 의하여 걸림홀(241)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걸림후크(243a)를 구비한다. 즉, 걸림홀(241)에 걸림후크(243a)가 체결되면 제2바디(220)는 제2프레임(232)에 고정된 상태가 되며, 조작부(242)의 누름조작에 의하여 걸림홀(241)에 대한 걸림후크(243a)의 체결이 해제되면 제2바디(220)는 제2프레임(23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고정부(240)는, 조작부(242)의 누름조작에 의하여 이동된 이동부재(243)가 복귀되도록, 조작부(24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44)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탄성부재(244)가 제2바디(220)와 조작부(242) 사이에 배치되어, 제2조작부(242)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한편, 이동부재(243)는 디스플레이(221a)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 조작부(242)의 누름조작시, 이동부재(243)는 디스플레이(221a)의 배면 상을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300, 400)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개념도들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고정부(340, 440)는 삽입 구조를 이용하여 제2바디(320, 420)를 제2프레임(332, 432)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며, 돌출부(341, 441) 및 탄성부재(342, 44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바디(320, 420)와 제2프레임(332, 432)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부(341, 441)가 구비된다. 본 예들에서는, 제2바디(320, 420)의 배면에 돌출부(341, 441)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돌출부(341, 441)가 탄성부재(342, 442)의 홀에 삽입되었을 때 걸림되도록, 돌출부(341, 441)의 단부는 외주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320, 420)와 제2프레임(332, 432) 중 다른 하나에는 돌출부(341, 441)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탄성부재(342, 442)가 구비된다. 탄성부재(342, 442)에는 돌출부(341, 441)가 삽입되는 홀을 구비하며, 탄성부재(342, 442)는 돌출부(341, 441)의 삽입시 홀이 변형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도 10에서는, 돌출부(341)가 탄성부재(342)의 홀에 삽입 및 분리시 탄성변형되도록 복수의 피스(341a, 341b)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한편, 도 11에서는 돌출부(441)가 탄성부재(442)의 홀에 삽입시 홀의 크기가 보다 커질 수 있도록, 홀의 외주에 중공부(442a)가 구비된 탄성부재(442)를 예시하고 있다.
이하, 다른 방식으로 제1바디에 대한 제2바디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500)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1프레임(531)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힌지모듈(530)은 제1프레임(531) 및 제2프레임(532)을 구비한다.
제1프레임(531)이 제1바디(5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프레임(532)이 제1프레임(5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바디(520)의 상대 이동시 제2바디(52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는 본 실시예의 구조는 앞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유사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2바디(520)가 제1바디(5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틸팅된 상태에서, 제1바디(510)에 대한 제2바디(52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제1프레임(531)은 길이를 가변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제1프레임(531)은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고정부재(531a)와 이동부재(531b) 및 상기 상대 이동을 구현하는 가이드레일(531c)과 가이드부재(531f)를 포함한다.
고정부재(531a)는 제1바디(5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동부재(531b)는 고정부재(531a)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이동부재(531b)는 제2프레임(5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레일(531c)은 고정부재(531a)에 설치되고, 이동부재(531b)의 상대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부재(531b)의 안정된 상대 이동을 위하여 가이드레일(531c)이 고정부재(531a)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된 것을 보이고 있다.
이동부재(531b)에는 가이드부재(531f)가 장착되고, 가이드레일(531c)과 결합되어 이동부재(531b)의 상대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레일(531c)에 형성되는 가이드홀(531d)에 가이드부재(531f)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동부재(531b)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또한, 가이드홀(531d)에는 가이드부재(531f)가 걸림 가능한 걸림부(531e)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531e)는, 제2바디(520)가 제1바디(510)에 대하여 기설정된 틸팅 각도로 변화될 수 있도록, 가이드홀(531d) 내에서 기설정된 간격마다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2바디(520)의 상측을 당기게 되면, 제2바디(520)의 틸팅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조절은 제2바디(520)가 제1바디(5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틸팅된 상태뿐만 아니라, 제2바디(520)가 제1바디(510)를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2바디가 제1바디를 덮도록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1바디에 대한 제1프레임의 상대 회전은 제한될 수 있다. 이하, 이를 구현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600)에서, 제1프레임(631)과 래치바(670) 간의 록킹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1프레임(631)에는 제1후크(631a)가 구비된다. 제1프레임(631)이 제1바디(610)를 덮도록 회전시, 제1후크(631a)는 래치바(670)에 구비되는 제2후크(670a)를 향하여 이동된다.
제1바디(610)에는 래치바(670)가 서로 반대되는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래치바(670)는 제1프레임(631)을 제1바디(610)에 고정시키도록 제1후크(631a)에 걸림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후크(670a)를 구비한다. 본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래치바(67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도시하였으나, 래치바(670)는 제2후크(670a)를 포함하는 일부분만 외부로 노출되고 이외의 부분은 제1바디(6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5a에 도시된 상태는 제1후크(631a)가 제2후크(670a)에 걸림되어 제1프레임(631)의 회전이 제한되는 상태이며, 도 15b에 도시된 상태는 제1후크(631a)와 제2후크(670a) 간의 걸림이 해제되어 제1프레임(631)이 회전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2바디(620)가 제1바디(610)를 덮도록 상대 이동되면, 제1바디(610)와 연결된 제1프레임(631) 또한 제1바디(610)를 덮도록 상대 회전된다. 제2바디(620)가 제1바디(610)를 완전히 덮도록 배치되면, 제1후크(631a)는 제2후크(670a)에 걸림되어, 제1프레임(631) 및 이와 연결된 제2바디(620)의 상대 회전이 제한되는 상태가 된다.
이 과정에서, 제1후크(631a)는 제2후크(670a)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다가 상기 경사면을 지나면 제2후크(670a)의 내측에 걸림되도록 이루어진다. 제1후크(631a)가 상기 경사면을 슬라이드 이동할 때, 래치바(670)는 제1후크(631a)와 제2후크(670a) 간의 걸림이 해제되는 제1방향으로 조금 이동될 수 있으나, 후술할 바와 같이, 탄성력에 의하여 제2방향으로 이동되어 복귀될 수 있다.
제2바디(620)가 제1바디(610)를 덮도록 중첩되게 배치되어 제1후크(631a)가 제2후크(670a)에 걸림된 상태에서, 제어명령이 인가되면, 래치바(670)는 제1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후크(631a)와 제2후크(670a) 간의 걸림을 해제하도록 이루어진다. 그 결과, 제1프레임(631) 및 이와 연결된 제2바디(620)는 제1바디(61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래치바(670)가 제1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후크(631a)와 제2후크(670a) 간의 걸림이 해제되면, 제1프레임(631)은 토션 스프링(631b)에 의하여 제1바디(610)에 대하여 상대 회전된다. 이후, 앞서 설명한 메커니즘에 따라, 제2바디(620)는 제1바디(6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틸팅되게 된다.
이하, 래치바(670)와 제1프레임(631) 간의 록킹 및 록킹 해제를 구현하는 상세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래치바(670)는 제1바디(610)에 제1 및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록킹을 해제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프레임(631)이 래치바(670)에 록킹된 상태에서 제1후크(631a)는 제2후크(670a)에 걸림되고, 상기 록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제1후크(631a)와 제2후크(670a) 간의 걸림은 해제된다.
제1바디(610)와 래치바(670)에는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래치바(670)를 이동시키는 록킹부(680)가 구비된다. 록킹부(680)는 록킹 상태에서 자기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록킹 해제 상태로 전환시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자기력을 해제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래치바(670)는 자기력과 전자기력에 의하여 제1 및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록킹부(680)는 서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록킹부재(681)와 제2록킹부재(682)를 포함한다.
제1록킹부재(681)는 래치바(670)에 설치되고, 자기력에 반응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핀(681a)을 구비한다. 본 도면에서는, 복수 개의 핀(681a)이 래치바(67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제2록킹부재(682)는 제1바디(610)에 설치되며, 핀(681a)을 끌어당기도록 자기력을 작용하는 자석(682a) 및 전류의 인가시 핀(681a)을 밀어내도록 전자기력을 작용하는 솔레노이드 코일(682b)을 구비한다. 즉, 자석(682a)은 핀(681a)에 인력을 작용하며, 솔레노이드 코일(682b)은 전류가 인가되면 핀(681a)에 척력을 작용한다.
제2록킹부재(682)는 록킹 상태에서 핀(681a)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보빈(bobbin, 682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의 외주에는 솔레노이드 코일(682b)이 감길 수 있으며, 보빈(682c)에는 자석(682a)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1바디(610)와 래치바(670)에는 래치바(670)를 제2방향을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부재(670d)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670d)는 록킹 해제 후 래치바(670)를 제2방향, 즉 제1록킹부재(681)와 제2록킹부재(68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래치바(670)에는 래치바(67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홀(670b)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바디(610)에는 상기 가이드홀(670b)에 삽입되어 래치바(67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670c)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681a)이 자석(682a)에 의한 인력 및 탄성부재(670d)에 의한 탄성력을 받아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후크(631a)는 제2후크(670a)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1프레임(631)은 래치바(670)에 록킹되어 회전이 제한된다.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코일(682b)에 전류가 흐르면, 자석(682a)에 의한 인력과 탄성부재(670d)에 의한 탄성력의 합력보다 큰 전자기력이 생성된다. 이에 따라, 핀(681a)은 상기 수용부로부터 인출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제1후크(631a)와 제2후크(670a) 간의 걸림이 해제되어, 제1프레임(631)의 록킹이 해제되게 된다.
제1프레임(631)의 록킹이 해제된 후, 핀(681a)이 자기력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다시 수용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코일(682b)에 흐르는 전류는 차단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코일(682b)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면, 래치바(670)는 핀(681a)과 자석(682a) 간에 작용하는 인력 및 탄성부재(670d)에 의한 탄성력을 받아 제2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래치바(670)는 제1후크(631a)와 제2후크(670a) 간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제1방향으로 이동된 후, 곧바로 다시 제2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제2바디(620)가 제1바디(610)를 덮도록 배치되면, 제1후크(631a)는 제2후크(670a)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다가 상기 경사면을 지나면 제2후크(670a)의 내측에 걸림되게 된다. 제1후크(631a)가 제2후크(670a)의 상기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과정에서, 래치바(670)는 제1방향으로 살짝 이동될 수 있으나, 제1후크(631a)가 상기 경사면을 넘어 제2후크(670a)에 걸림되면, 핀(681a)과 자석(682a) 간의 인력 및 탄성부재(670d)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바(670)는 다시 제2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한편, 래치바(67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명령은 다양한 형태로 인가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용 단말기(600)에는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부가 구비되거나, 사용자의 인증을 통하여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는 인증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기설정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620)에 터치센서가 구비되고, 터치센서에 의하여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연속되는 드래그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력이 발생하도록 솔레노이드 코일(682b)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6, 도 17a, 도 17b, 도 18a, 도 18b 및 도 19는 도 14의 록킹구조의 변형예들을 보인 개념도들이다.
일 예로, 도 16을 참조하면, 록킹부(680, 680')는 래치바(670)가 균일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682a)과 솔레노이드 코일(682b)을 구비하는 제2록킹부재(682)는 래치바(67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록킹부(780)는 자석(782a)에 의한 자기력과 솔레노이드 코일(782b)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해 제1 및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래치바(670)가 밀려난 후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674)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래치바(770)는 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아울러, 제1후크(731a)가 제2후크(770a)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과정에서, 래치바(770)는 제1방향으로 살짝 이동될 수 있으나, 제1후크(731a)가 상기 경사면을 넘어 제2후크(770a)에 걸림되면, 핀(781a)과 자석(782a) 간의 인력에 의해 래치바(770)는 다시 제2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제1바디(810)에는 연결부(881) 및 솔레노이드 유닛(882)을 이용하여 래치바(870)를 이동시키는 록킹부(88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유닛(882)은 바디(882a), 솔레노이드 코일(882b), 탄성부재(882c) 및 핀(882d)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882a)의 내부에는 솔레노이드 코일(882b)이 바디(882a)의 내부에 수용된 핀(882d)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핀(882d)의 일부는 바디(882a)의 내부에 수용되고, 다른 일부는 바디(882a)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다. 탄성부재(882c)는 핀(882d)이 바디에서 인출되도록 핀(882d)에 탄성력을 가하고, 전류가 인가된 솔레노이드 코일(882b)은 핀(882d)이 바디(882a)에 인입되도록 핀(882d)에 전자기력을 가한다. 이처럼, 탄성부재(882c)의 탄성력과 솔레노이드 코일(882b)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해 핀(882d)은 바디(882a)로부터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다.
연결부(881)는 래치바(870)에 연결되며 핀(882d)과 결합되어 핀(882d)의 인출 및 인입에 따라 래치바(87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바디(820)가 제1바디(810)를 덮도록 중첩되게 배치되어 제1후크(831a)가 제2후크(870a)에 걸림된 상태에서, 제어명령이 인가되면, 핀(882d)은 솔레노이드 코일(882b)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력을 받아 바디(882a)에 인입되고, 이에 따라 래치바(870)는 제1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후크(831a)와 제2후크(870a) 간의 걸림을 해제하도록 이루어진다. 이후, 앞서 설명한 메커니즘에 따라, 제2바디(820)는 제1바디(8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틸팅되게 된다.
래치바(870)가 밀려난 후 솔레노이드 코일(882b)에는 전류가 차단되고, 핀(882d)은 탄성부재(882c)의 탄성력에 의해 바디(882a)로부터 인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래치바(870)는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바(870)의 복귀를 위하여, 제1바디(810)와 래치바(870)에는 탄성부재(870d)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록킹부(880)는 래치바(870)에 보다 큰 힘이 작용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9를 참조하면, 제1바디(810)에는 래치바(870)와 연결되는 홀(810a)이 구비될 수 있다. 홀(810a)은 가압부재(예를 들어, 클립, 핀 등)가 삽입되어 제1후크(831a)와 제2후크(870a) 간의 걸림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래치바(870)를 밀어낼 수 있도록, 래치바(870)의 일단부와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솔레노이드 유닛(882)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 래치바(870)를 강제로 밀어내어 제1후크(831a)와 제2후크(870a) 간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한 구조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0은 도 14의 록킹구조의 다른 일 예로서, 모터(971)를 이용한 제1프레임(931)과 래치바(970) 간의 록킹구조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어명령이 인가되면 모터(971)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모터(971)는 직선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리니어 모터가 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972)는 모터(97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래치바(970)를 이동시킨다. 피니언 기어(972)의 일측 외주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치가 형성되어, 피니언 기어(972)의 회전시 래치바(970)가 치에 의해 가압되어 밀려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모터(971)와 피니언 기어(972) 사이에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97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래치바(970)가 밀려나면, 제1후크(931a)와 제2후크(970a) 간의 걸림이 해제되어, 제1프레임(931) 및 이와 연결된 제2바디(920)는 제1바디(91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래치바(970)는 밀려난 후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974)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탄성부재(974)는, 예를 들어, 제1바디(910)와 래치바(970)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링이 될 수 있다.
한편, 래치바(970)는 밀려나는 과정에서 리미트 스위치(975)에 접촉될 수 있다. 리미트 스위치(975)는 래치바(970)가 접촉되면, 모터(971)의 구동이 정지될 수 있도록 구동정지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위에서 설명한 구조는, 록킹 해제는 자동으로 구현되나 록킹은 사용자가 제2바디(920)를 제1바디(910)에 대하여 중첩되게 배치시켜야 한다[제1후크(931a)가 제2후크(970a)에 걸림되도록 제2바디(920)를 가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반자동 메커니즘으로 볼 수 있다.
이하, 제1바디에 대한 제2바디의 상대 이동이 자동으로 구현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1000)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구동 메커니즘을 보다 상세하게 표현한 개념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제1바디(1010)에는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구동하는 모터(1081)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명령은 다양한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예로, 휴대용 단말기(1000)에는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부가 구비되거나, 사용자의 인증을 통하여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는 인증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조작부는, 예를 들어, 누름조작에 의해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메커니컬 키 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인증부는, 예를 들어, 입력되는 음성을 통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음성인식센서 또는 사용자의 홍채를 통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홍채인식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모터(1081)를 구동시키도록 이루어지며, 모터(1081)가 구동되면 모터(1081)와 연결된 제1기어(1082)가 회전된다. 제1기어(1082)와 모터(1081) 사이에는 속도, 토크 등의 조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어(108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회전축(1031a)은 제1프레임(1031)에 고정되어, 회전축(1031a)이 회전되면 제1프레임(1031)도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회전축(1031a)에는 제1기어(1082)와 맞물리는 제2기어(1083)가 연결된다. 본 도면에서는, 제1 및 제2기어(1082, 1083)가 베벨기어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연동관계에 따라, 모터(1081)가 구동되면 제1프레임(1031)은 제1바디(1010)에 대하여 상대 회전된다. 제2바디(1020)가 제1바디(1010)에 대하여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위와 같은 메커니즘에 의해 제1프레임(1031)이 회전되면, 제2프레임(1032)도 제1프레임(1031)에 대하여 상대 회전된다. 제2프레임(1032)과 연결된 제2바디(1020)는 제1바디(10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회동하여 소정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게 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 모터(1081)가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면, 제2바디(1020)는 다시 제1바디(1010)를 덮도록 중첩되게 배치되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모터(1081)의 구동 방향에 따라 제1프레임(1031)의 회전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1바디(1010)에 대한 제2바디(1020)의 상대 이동이 자동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5는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제2바디(1120)가 제1바디(1110)에 대하여 상대 이동되는 것을 보인 개념도들이다.
위에서 설명한 제어명령[솔레노이드 코일(682b, 782b, 882b)에 전류를 인가하는 제어명령, 모터(971, 1081)를 구동하는 제어명령 등)은 이하 설명하는 입력수단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입력수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1100)에는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부가 구비되거나, 사용자의 인증을 통하여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는 인증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조작부는, 예를 들어, 누름조작에 의해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메커니컬 키 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3에서는 터치센서(1191)에 의해 감지되는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제2바디(1120)가 제1바디(1110)에 대하여 상대 이동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또는 제2바디(1110, 1120)에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센서(1191)가 구비된다.
제2바디(1120)가 제1바디(1110)에 대하여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터치센서(1191)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제어부는 이를 제2바디(1120)의 상대 이동과 관련된 제어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은 일 지점을 시작으로 다른 일 지점에서 종료되는 드래그 터치, 터치가 연속적으로 가해지는 더블 탭, 적어도 두 지점에 터치가 가해지는 멀티 터치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제어부는, 전자기력이 발생되도록 솔레노이드 코일(682b, 782b, 882b)에 전류를 인가하거나, 래치바(970)가 제1후크(931a)와 제2후크(970a) 간의 걸림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모터(971)를 구동시키거나, 제1프레임(1031)을 제1바디(1010)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키는 회전축(1031a)이 회전되도록 모터(108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터치센서(1191)에 대한 터치입력을 제1터치입력과 제2터치입력으로 구별하여, 이들을 서로 다른 제어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도 21 및 도 22와 관련된 실시예의 경우, 제2바디(1020)가 제1바디(1010)에 대하여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터치센서(1191)에 의해 제1방향의 드래그 터치가 감지되면, 제2바디(1020)가 제1바디(10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틸팅될 수 있도록 회전축(1031a)이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바디(1020)가 제1바디(10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틸팅된 상태에서, 터치센서(1191)에 의해 제2방향의 드래그 터치가 감지되면, 제2바디(1020)가 제1바디(1010)에 대하여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회전축(1031a)이 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2바디(1120)에는 디스플레이부(1121)가 구비된다. 제2바디(1120)가 제1바디(1110)를 덮도록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부(1121)가 비활성화된(OFF) 상태에서, 상기 제어명령이 인가되면, 제2바디(1120)는 제1바디(11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틸팅된 상태로 전환되고, 디스플레이부(1121)는 활성화(ON)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인증부는, 예를 들어, 입력되는 음성을 통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음성인식센서 또는 사용자의 홍채를 통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홍채인식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4 및 25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100)에는 음성인식센서를 포함하는 음성인식모듈(1192) 또는 홍채인식센서를 포함하는 홍채인식모듈(1193)이 구비될 수 있다. 음성인식모듈(1192) 또는 홍채인식모듈(1193)을 통하여 기설정된 사용자임이 인증되면, 제어부는 이를 제2바디(1120)의 상대 이동과 관련된 제어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음성인식모듈(1192) 또는 홍채인식모듈(1193)은 절전을 위하여 비활성화 상태에 놓여있다가, 사용자에 의하여 기설정된 조작이 인가되면, 음성을 입력받거나 홍채를 인식하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조작은 터치키에 대한 터치입력, 메커니컬 키에 대한 누름조작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음성인식모듈(1192) 또는 홍채인식모듈(1193)은 상기 기설정된 조작이 인가되면, 팝업(pop-up)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6은 제2바디(1120)가 제1바디(1110)에 대하여 배치된 상태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121)에 표시되는 화면정보가 변경되는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제어부는 제1바디(1110)에 대한 제2바디(1120)의 배치 상태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121)에 표시되는 화면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바디(1120)가 제1바디(1110)를 덮도록 중첩되게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부(1121)에 제1모드의 화면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2바디(1120)가 제2프레임(1132)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면, 디스플레이부(1121)에는 제1모드와 다른 제2모드의 화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제1모드는 웹 서치 모드, 문서 작성 모드 등이 될 수 있고, 제2모드는 (동)영상 재생 모드가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바디(1120)가 제1바디(1110)를 덮도록 중첩되게 배치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21)에는 웹 서치와 관련된 화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제2바디(1120)가 제1바디(1110)에 대하여 회전되면, 제어부는 상기 회전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1121)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동영상 재생과 관련된 화면 정보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휴대용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7)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베이스부에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베이스부를 덮도록 배치된 상기 프레임을 록킹시키고, 타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록킹을 해제하도록 이루어지는 래치바;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래치바에 각각 설치되고,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래치바를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래치바에 록킹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바에 구비되는 제1후크는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후크에 걸림되며,
    상기 록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제1후크와 상기 제2후크는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래치바에 록킹된 상태에서 자기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록킹이 해제된 상태로 전환시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자기력을 해제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래치바에 설치되고, 자기력에 반응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핀을 구비하는 제1록킹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핀을 끌어당기도록 상기 자기력을 작용하는 자석과, 전류의 인가시 상기 핀을 밀어내도록 상기 전자기력을 작용하는 솔레노이드 코일을 구비하는 제2록킹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록킹부재는, 상기 록킹 상태에서 상기 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보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의 외주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이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일측에는 상기 자석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전자기력과 탄성력에 의해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핀을 구비하는 솔레노이드 유닛; 및
    상기 래치바 및 상기 핀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핀의 인출 및 인입에 따라 상기 래치바를 이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래치바가 균일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래치바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디스플레이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래치바에 록킹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를 완전히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록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틸팅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를 구동하는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삭제
KR1020140001961A 2014-01-03 2014-01-07 휴대용 단말기 KR102206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961A KR102206384B1 (ko) 2014-01-07 2014-01-07 휴대용 단말기
US14/550,492 US9405325B2 (en) 2014-01-03 2014-11-21 Portable terminal
EP14199008.5A EP2911030B1 (en) 2014-01-03 2014-12-18 Portable terminal
CN201410840201.2A CN104767843B (zh) 2014-01-03 2014-12-30 便携式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961A KR102206384B1 (ko) 2014-01-07 2014-01-07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941A KR20150081941A (ko) 2015-07-15
KR102206384B1 true KR102206384B1 (ko) 2021-01-22

Family

ID=53793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961A KR102206384B1 (ko) 2014-01-03 2014-01-07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3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4511B2 (en) 2006-03-03 2010-05-25 Jacobs Matthew B Adjustable display screen for a laptop computer
US8520377B2 (en) 2007-05-01 2013-08-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 adjustable display member
US20140002963A1 (en) * 2012-06-27 2014-01-02 First Dome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locking/unlock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841B1 (ko) * 2010-03-22 2012-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4511B2 (en) 2006-03-03 2010-05-25 Jacobs Matthew B Adjustable display screen for a laptop computer
US8520377B2 (en) 2007-05-01 2013-08-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 adjustable display member
US20140002963A1 (en) * 2012-06-27 2014-01-02 First Dome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locking/unlock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941A (ko) 2015-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1030B1 (en) Portable terminal
CN107514200B (zh) 家用电器
JP6635845B2 (ja) カーテン開閉装置及びカーテン開閉システム
WO2019105374A1 (zh) 一种摄像头组件及一种移动终端
EP2772830B1 (en) Display apparatus
KR20180110373A (ko) 냉장고
JP6362346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200993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200139054A (ko)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가전제품
JP6571554B2 (ja) カードリーダ
KR102206384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1098361B1 (ko) 서랍 개폐장치 및 이를 갖는 서랍장
JPH0773565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ー
WO2019105367A1 (zh) 一种摄像头组件及一种移动终端
JP2006337755A (ja) パネル傾動装置
JP2007113283A (ja) ロッカーの施錠装置
WO2016169183A1 (zh) 一种开合机构、卡连接器以及智能终端
CN110892218B (zh) 门开闭机构
JP2020012242A (ja) 建具
KR102403934B1 (ko)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는 물건 보관함
JP2020008213A (ja) 扉駆動装置および冷蔵庫
CN215773537U (zh) 容纳盒及充电盒组件
JP5145183B2 (ja) 扉ロック装置
WO2019105372A1 (zh) 一种摄像头组件及一种移动终端
JP2001266560A (ja) フロントパネルの開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