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랍 개폐장치 및 이를 갖는 서랍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랍장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랍장을 나타낸 좌우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랍장의 서랍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랍장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랍장(100)은 본체(110)와 본체(1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랍(120)과 서랍(120)을 개폐시키기 위한 서랍 개폐장치(130)를 포함한다. 도면에는 서랍(120)과 개폐장치(130)가 두 개씩 장착된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서랍(120)과 개폐장치(13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체(110)는 상면판(111), 하면판(112), 배면판(113) 및 한 쌍의 측면판(114)(115)을 포함한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서랍(120) 및 서랍 개폐장치(13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116)이 마련되고, 본체(110)의 전면에는 수용 공간(116)과 연결되는 개구(117)가 형성된다.
서랍(120)은 개구(117)를 통해 수용 공간(116)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랍(120)은 전면판(121), 바닥판(122), 배면판(123) 및 한 쌍의 측면판(124)(125)을 포함한다. 서랍(120)의 상면은 개방되고, 서랍(120)의 내부에는 수납 공간(126)이 마련된다. 서랍(120)이 닫힘 위치로 이동하면 전면판(121)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본체(110)의 수용 공간(116)에 수용된다.
서랍(120)의 양쪽 측면판(124)(125)의 각 외면에는 서랍(12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가이드 레일(127)이 결합된다. 가이드 레일(127)은 본체(110)의 양쪽 측면판(114)(115)의 각 내면에 서랍(12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마련된 레일 지지부재(118)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들 가이드 레일(127) 및 레일 지지부재(118)는 서랍(120)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수단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이드 수단은 도시된 것 이외에 각종 레일이나 롤러 등을 포함하는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랍 개폐장치(13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31), 모터(131)의 구동력을 서랍(12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132), 모터(131)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모터(131)와 연결되는 엔코더 스위치(133), 모터(131)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34), 서랍(12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134)에 제공하는 위치 감지수단(135)을 포함한다. 모터(131)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 등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것이 이용된다. 모터(131)는 본체(110)의 한쪽 측면판(114)에 결합된 모터 케이스(136)에 결합된다. 이하에서, 정회전은 시계 방향 회전을 나타내고, 역회전은 반시계 방향 회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동력전달수단(132)은 본체(110)의 측면판(114)(115) 내면에 장착되며 모터(131)의 구동력을 서랍(120)에 전달한다. 동력전달수단(132)은 모터(131)에 결합되는 모터풀리(140)에 연결되는 연결벨트(141), 연결벨트(141)의 궤도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풀리(150)(160), 각 구동풀리(150)(160)와 연결되는 한 쌍의 구동벨트(151)(161), 각 구동벨트(151)(161)를 궤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종동풀리(152)(16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연결벨트(141)는 복수의 톱니(141a)를 갖는 타이밍벨트이고, 한 쌍의 구동벨트(151)(161) 역시 복수의 톱니(151a)(161a)를 갖는 타이밍벨트이다.
제 1 구동풀리(150)는 본체(110)의 한쪽 측면판(114)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종동풀리(152)는 동일 측면판(114)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 구동풀리(150) 및 제 1 종동풀리(152)는 제 1 구동벨트(151)와 치합될 수 있도록 각각 복수의 톱니(150a)(151a)를 갖는다. 제 1 구동벨트(151)는 제 1 구동풀리(150) 및 제 1 종동풀리(152)에 궤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 1 구동풀리(150)가 회전할 때 궤도운동 한다.
제 1 구동벨트(151)의 일부분에는 제 1 구동벨트(151)의 복수의 톱니(151a)에 대응하는 복수의 톱니(153a)를 갖는 제 1 랙기어(153)가 치합된다. 제 1 랙기어(153)는 서랍(120)에 결합되는 제 1 브라켓(154)에 의해 지지되어 서랍(120)의 한쪽 측면판(124) 외측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구동벨트(151)의 구동력은 제 1 랙기어(153)를 통해 서랍(120)의 한쪽 측면판(124)에 전달된다. 제 1 브라켓(154)에는 제 1 랙기어(153)가 제 1 구동벨트(151)와 안정적으로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제 1 이탈방지부재(155)가 결합된다. 제 1 이탈방지부재(15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구동벨트(151)의 제 1 랙기어(153)와 치합된 부분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 1 구동벨트(151)가 제 1 랙기어(153)로부터 들뜨지 못하게 막는다.
제 2 구동풀리(160)는 본체(110)의 다른 쪽 측면판(115)의 후방에 회전 가능 하게 결합되고 제 2 종동풀리(162)는 동일 측면판(115)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구동풀리(160) 및 제 2 종동풀리(162)는 제 2 구동벨트(161)와 치합될 수 있도록 각각 복수의 톱니(160a)(162a)를 갖는다. 제 2 구동벨트(161)는 제 2 구동풀리(160) 및 제 2 종동풀리(162)에 궤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 2구동풀리(160)가 회전할 때 궤도운동 한다.
제 2 구동벨트(161)의 일부분에는 제 2 구동벨트(161)의 복수의 톱니(161a)에 대응하는 복수의 톱니(163a)를 갖는 제 2 랙기어(163)가 치합된다. 제 2 랙기어(163)는 서랍(120)에 결합되는 제 2 브라켓(164)에 의해 지지되어 서랍(120)의 다른 쪽 측면판(125) 외측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 2 구동벨트(161)의 구동력은 제 2 랙기어(163)를 통해 서랍(120)의 다른 쪽 측면판(125)에 전달된다. 제 2 브라켓(164)에는 제 1 브라켓(154)의 제 1 이탈방지부재(155)에 상응하는 제 2 이탈방지부재(165)가 결합된다. 제 2 이탈방지부재(165)는 제 1 구동벨트(151)가 제 1 랙기어(153)로부터 들뜨지 못하게 막는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구동풀리(150)와 제 2 구동풀리(160)는 하나의 구동축(143)을 통해 연결된다. 구동축(143)은 제 1 구동풀리(150)와 결합되는 제 1 축(144), 제 2 구동풀리(160)와 결합되는 제 2 축(145), 제 1 축(144)과 제 2 축(145)을 연결하는 커플링(146)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동축(143)은 커플링(146)이 제 1 축(144) 및 제 2 축(145)에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작업 공간이 넉넉하지 않은 본체(110)의 수용 공간(116)에서 설치 및 분리가 용이 하다.
제 1 축(144)에는 연결벨트(141)와 연결되는 연결풀리(142)가 결합된다. 연결풀리(142)는 연결벨트(141)와 치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톱니(142a)를 갖는다. 연결벨트(141)는 연결풀리(142)와 모터축(137)에 결합된 모터풀리(140)를 연결한다. 모터풀리(140)에도 연결벨트(141)의 복수의 톱니(141a)에 대응하는 복수의 톱니(140a)가 마련된다. 모터(131)가 작동하여 모터풀리(140)가 회전하면 연결벨트(141)가 궤도운동 하면서 연결풀리(142)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연결풀리(142)가 회전하면 구동축(143)을 통해 제 1 구동풀리(150) 및 제 2 구동풀리(160)에 동시에 구동력이 전달된다.
이와 같이, 동력전달수단(132)은 하나의 모터(131)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을 균일하게 서랍(120)의 양쪽 측부에 전달한다. 따라서, 서랍(120)을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력전달수단(132)은 도시된 벨트 타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동력전달수단(132)은 서랍(120)이 모터(131)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모터(131)와 서랍(120)을 연결하는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동력전단수단으로 체인, 각종 기어, 볼스크류 등 다양한 기구가 이용될 수 있다.
엔코더 스위치(133)는 모터(131)와 동축 상에 배치되어 모터(131)의 회전을 감지한다. 엔코더 스위치(133)는 잘 알려진 것과 같이, 회전체에 결합되어 회전체가 회전할 때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장치이다. 본 발명에서 엔코더 스위치(133)는 모터(131)가 정지된 상태에서 서랍(120)이 사용자가 밀거나 당기는 힘을 받아 움직여 모터(131)가 회전하면, 이를 감지하여 동작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컨트롤러(134)에 제공한다.
컨트롤러(134)는 엔코더 스위치(133)에서 동작신호를 제공받아 모터(131)를 작동시킨다. 컨트롤러(134)는 서랍(120)이 닫힌 상태에서 엔코더 스위치(133)가 동작신호를 발생하면 모터(131)를 정회전시켜 서랍(120)을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반대로, 컨트롤러(134)는 서랍(120)이 열린 상태에서 엔코더 스위치(133)가 동작신호를 발생하면 모터(131)를 역회전시켜 서랍(120)을 닫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컨트롤러(134)는 엔코더 스위치(133)에서 동작신호를 제공받으면 모터(131)를 작동시키고, 위치 감지수단(135)으로부터 닫힘 신호 또는 열림 신호를 제공받을 때 모터(131)를 정지시킨다. 위치 감지수단(135)은 본체(110)의 한쪽 측면판(114)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 1 리미트 스위치(170)와 동일 측면판(114)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 2 리미트 스위치(171)를 포함한다.
이들 리미트 스위치(170)(171)은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 자기센서의 일종으로 서랍(120)의 일측에 마련된 감지부(128)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감지부(128)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진다. 모터(131)가 역회전하여 서랍(120)이 닫힘 위치에 도달하면 서랍(120)의 감지부(128)가 제 1 리미트 스위치(170)에 근접한다. 이때, 제 1 리미트 스위치(170)가 감지부(128)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닫힘 신호를 발생하고, 컨트롤러(134)가 모터(131)를 정지시킨다. 또한, 모터(131)가 정회전하 여 서랍(120)이 열림 위치에 도달하면 서랍(120)의 감지부(128)가 제 2 리미트 스위치(171)에 근접한다. 이때, 제 2 리미트 스위치(171)가 감지부(128)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열림 신호를 발생하고 컨트롤러(134)가 모터(131)를 정지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위치 감지수단(135)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위치 감지수단(135)은 자기 타입 이외에, 기계 타입, 전자 타입, 광학 타입 등 서랍(120)의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컨트롤러(134)는 서랍(120)이 외력, 즉 사용자가 서랍(120)을 당기거나 미는 힘을 받아 움직여 모터(131)가 정회전할 때 엔코더 스위치(133)가 발생하는 신호를 동작신호로 이용할 수도 있고, 모터(131)가 역회전할 때 엔코더 스위치(133)가 발생하는 신호를 동작신호로 이용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사용자가 서랍(120)을 열림 방향으로 당길 때 컨트롤러(134)가 모터(131)를 작동시키게 되고, 후자의 경우 사용자가 서랍(120)을 닫힘 방향으로 밀 때 컨트롤러(134)가 모터(131)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랍장(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랍 개폐장치(130)의 컨트롤러(134)는 정지 상태의 모터(131)가 서랍(120)의 이동에 의해 역회전할 때 엔코더 스위치(133)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동작신호로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랍(120)이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서랍(120)은 다소 안쪽으로 밀릴 수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서랍(120)의 위치는 제 1 리 미트 스위치(170)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완전히 닫힌 상태의 서랍(120)을 모터(131)를 일정 회전수만큼 정회전시켜서 바깥쪽으로 다소 이동시키는 것으로 어렵지 않게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서랍(120)을 밀어 서랍(120)이 닫힘 방향으로 이동하면, 서랍(120)의 제 1 랙기어(153) 및 제 2 랙기어(163)와 치합된 제 1 구동벨트(151) 및 제 2 구동벨트(161)가 움직인다. 이들 구동벨트(151)(161)가 움직이면 제 1 구동풀리(150) 및 제 2 구동풀리(160)가 역회전하고, 이러한 구동풀리(150)(160)의 회전력은 연결벨트(141)를 통해 모터풀리(140) 및 모터축(137)으로 전달된다. 모터축(137)이 역회전하면 엔코더 스위치(133)는 동작신호를 발생하여 컨트롤러(134)에 제공한다.
이렇게 서랍(120)이 닫힌 상태에서 엔코더 스위치(133)가 동작신호를 발생하면, 컨트롤러(134)는 모터(131)를 정회전시킨다. 모터(131)가 정회전하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구동벨트(151) 및 제 2 구동벨트(161)가 시계 방향으로 궤도운동하여 서랍(120)이 열림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서랍(120)이 열림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림 위치에 도달하면, 서랍(120)의 감지부(128)가 제 2 리미트 스위치(171)에 근접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랍(120)의 감지부(128)가 제 2 리미트 스위치(171)에 근접하면, 제 2 리미트 스위치(171)가 열림 신호를 발생하여 컨트롤러(134)에 제공한다. 이때, 컨트롤러(134)는 모터(131)를 정지시켜 서랍(120)을 열림 위치에 정지시킨다.
한편, 서랍(120)이 열림 위치에 정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서랍(120)을 밀면 서랍(120)의 움직임이 모터(131)에 전달되어 모터(131)가 역회전한다. 모터(131)가 역회전하면 엔코더 스위치(133)가 동작신호를 발생하여 컨트롤러(134)에 제공한다. 이렇게 서랍(120)이 열린 상태에서 엔코더 스위치(133)가 동작신호를 발생하면 컨트롤러(134)는 모터(131)를 역회전시켜 서랍(120)을 닫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모터(131)의 구동으로 서랍(120)이 닫힘 위치에 도달하면, 서랍(120)의 감지부(128)가 제 1 리미트 스위치(170)에 근접한다. 이때, 제 1 리미트 스위치(170)가 닫힘 신호를 발생하여 컨트롤러(134)에 제공하고, 컨트롤러(134)는 모터(131)를 정지시켜 서랍(120)을 닫힘 위치에 정지시킨다.
한편, 컨트롤러(134)는 정지 상태의 모터(131)가 서랍(12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정회전할 때 엔코더 스위치(133)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동작신호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랍(120)의 열림 위치는 서랍(120)이 바깥쪽으로 다소 이동할 수 있는 위치로 설정되며, 사용자가 닫힘 위치에 있는 서랍(120)을 당기거나 열림 위치에 있는 서랍(120)을 당기면 모터(131)가 작동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 서랍(120)이 열림 방향으로 당겨질 때 엔코더 스위치(133)가 발생하는 신호를 열림 동작신호로 이용하고, 서랍(120)이 닫힘 방향으로 밀릴 때 엔코더 스위치(133)가 발생하는 신호를 닫힘 동작신호로 이용하여 모터(13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닫힘 위치에 있는 서랍(120)을 당기면 모터(131)가 작동하여 서랍(120)이 자동으로 열리고, 열림 위치에 있는 서랍(120)을 사용자가 밀면 모터(131)가 작동하여 서랍(120)이 자동으로 닫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서랍(12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 1 리미트 스위치(170) 및 제 2 리미트 스위치(171)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34)는 동작신호가 발생하면 모터(131)를 미리 설정된 일정 회전수 또는 일정 시간만큼만 작동시켜 서랍(120)을 닫힘 위치 또는 열림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134)는 엔코더 스위치(133)로부터 모터(131)의 회전수에 대한 정보를 피드백 받아 모터(131)의 동작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