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885B1 -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885B1
KR101369885B1 KR1020120058682A KR20120058682A KR101369885B1 KR 101369885 B1 KR101369885 B1 KR 101369885B1 KR 1020120058682 A KR1020120058682 A KR 1020120058682A KR 20120058682 A KR20120058682 A KR 20120058682A KR 101369885 B1 KR101369885 B1 KR 101369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swing
coupled
actua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4848A (ko
Inventor
이성로
김철홍
손재환
Original Assignee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
주식회사 한독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 주식회사 한독하이테크 filed Critical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58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885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5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electrically-powered actu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A47B88/477Buffers; End stop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는 서랍장의 내부에 설치되어 서랍을 인출시키는 경우, 자동으로 서랍을 인출하는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서랍의 후면 일측과 접촉하는 스윙부와, 스윙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서랍의 인출 또는 인입시 서랍의 후면의 위치에 따라 스윙부를 요동시키는 요동부와, 요동부에 결합되어 스윙부의 요동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에서 스윙부의 요동이 감지되는 경우 요동부를 회전시켜 스윙부가 서랍을 인출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는 서랍을 열기 위하여 서랍을 미동시키는 경우 서랍에 접촉되어 있는 스윙암이 요동하고, 요동하는 스윙암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스윙암을 이동시켜 서랍을 자동으로 열릴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스윙암의 일부 회전구간에 모터에 부하를 주지 않고 스윙암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서랍을 미동시키는 경우, 모터에 부하를 발생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ACTUATOR FOR AUTOMATIC DRAWER}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는 액추에이터에 관한 분야이다. 구체적으로 서랍을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에 관한 분야이다.
최근 가전 및 가구용 서랍 수납함에 사용자의 서랍 전면부 터치 신호로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는 자동 개폐용 서랍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개폐용 서랍에는 액추에이터가 설치될 장소가 협소하므로, 출력에 한계가 있는 모터가 사용된다. 따라서 약 200 : 1의 감속 및 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웜 기어와 복수 개의 평기어를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각 기어를 제작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303244호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 서랍을 열기 위하여 서랍을 미동시키는 경우 서랍의 미동을 감지하여 서랍을 자동으로 열릴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서랍을 열기 위하여 서랍을 미동시키는 경우, 모터에 부하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셋째, 서랍을 닫는 경우 닫히는 서랍에 완충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는 서랍장의 내부에 설치되어 서랍을 인출시키는 경우, 자동으로 서랍을 인출하는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서랍의 후면 일측과 접촉하는 스윙부와, 스윙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서랍의 인출 또는 인입시 서랍의 후면의 위치에 따라 스윙부를 요동시키는 요동부와, 요동부에 결합되어 스윙부의 요동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에서 스윙부의 요동이 감지되는 경우 요동부를 회전시켜 스윙부가 서랍을 인출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의 요동부는 스윙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호 형상의 장공이 형성된 연결로드와, 연결로드의 장공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회전부재와, 연결로드의 타측과 회전부재 사이에 결합되어 연결로드의 요동시 연결로드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장공은 돌출부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의 탄성체는 일단이 연결로드에 결합되고, 타단이 회전부재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의 회전부재는 측면에 치가 형성되고, 구동부는 회전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치와 치합되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모터는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의 감지부는 요동부에 결합되어 요동부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엔코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의 스윙부는 요동부에 결합되는 스윙암과 스윙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랍의 후면과 접촉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는 서랍을 열기 위하여 서랍을 미동시키는 경우 서랍에 접촉되어 있는 스윙암이 요동하고, 요동하는 스윙암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스윙암을 이동시켜 서랍을 자동으로 열릴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스윙암의 일부 회전구간에 모터에 부하를 주지 않고 스윙암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서랍을 미동시키는 경우, 모터에 부하를 발생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랍을 닫는 경우 닫히는 스윙암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완충력을 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가 부착된 서랍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의 주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가 부착된 서랍장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의 주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는 서랍장(1)의 내부에 설치되어 서랍(10)을 인출시키는 경우 자동으로 서랍(10)을 인출하는 것으로, 서랍(10)의 후면 일측과 접촉하는 스윙부(100)와, 스윙부(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서랍(10)의 인출 또는 인입시 서랍(10)의 후면의 위치에 따라 스윙부(100)를 요동시키는 요동부(200)와, 요동부(200)에 결합되어 스윙부(100)의 요동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에서 스윙부(100)의 요동이 감지되는 경우 요동부(200)를 회전시켜 스윙부(100)가 서랍(10)을 인출시키는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스윙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10)의 후면과 접촉하여 서랍(10)을 자동으로 여는 것으로, 요동부(200)와 결합되어 있다.
요동부(200)는 구동부(300)와 스윙부(100) 사이에 결합되어 스윙부(100)가 요동부(200)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경우 구동부(300)의 회전축을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스윙부(100)가 요동부(200)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는 경우 구동부(300)에 의해 회전되어 스윙부(100)를 회전시켜 서랍(10)을 서랍장(1)의 전면 방향으로 밀어준다. 이때, 요동부(100)에는 스윙부(100)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요동부(200)는 스윙부(100)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호 형상의 장공(211)이 형성된 연결로드(210)와, 연결로드(210)의 장공(211)에 삽입되는 돌출부(221)를 구비한 회전부재(220)와, 연결로드(210)의 타측과 회전부재(220) 사이에 결합되어 연결로드(210)의 요동시 연결로드(21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230)를 포함한다.
연결로드(21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윙부(100)와 구동부(300) 사이에 결합되어 구동부(300)의 회전력을 스윙부(100)로 전달시켜 주는 것으로, 연결로드(210)의 일측에는 스윙부(100)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구동부(300)와 결합되는 회전부재(220)가 결합된다.
이때, 연결로드(210)의 타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형상의 장공(211)이 설치되고, 회전부재(220)의 일면에 장공(211)에 삽입되는 장공(211)보다 작은 돌출부(221)가 형성되어 연결로드(210)에 결합된 스윙부(100)가 일정 각도 회전하는 경우 즉, 돌출부(221)와 장공(211)의 내면에서 맞닿기 전에는 구동부(300)에 부하를 주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210)와 회전부재(220)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230)가 배치된다. 탄성체(230)는 연결부재(210)에 결합된 스윙부(100)에 가해지는 힘이 소거되는 경우 스윙부(100)를 원 상태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하며, 서랍(10)을 닫는 경우 스윙부(100)를 일정 부분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완충을 할 수 있게 한다.
탄성체(230)는 다양한 형상의 탄성체(230)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연결로드(210)에 결합되고, 타단이 회전부재(220)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230)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살펴본 회전부재(220)의 측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2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구동부(300)는 회전부재(220)의 측면에 형성된 치(222)와 치합되는 구동기어(310)와, 구동기어(310)를 회전시키는 모터(3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터는 모터(320)는 앞에서 설명한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감지부는 요동부(200)에 결합되어 요동부(200)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엔코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윙부(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스윙부(100)는 요동부(200)에 결합되는 스윙암(110)과 스윙암(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랍(10)의 후면과 접촉하는 롤러(120)로 구성되어 스윙부(100)가 서랍의 후면과 맞닿는 경우 발생되는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스윙부
200 : 요동부
210 : 연결로드
211 : 장공
220 : 회전부재
221 : 돌출부
222 : 치
230 : 탄성체
300 : 구동부
310 : 구동기어
320 : 모터

Claims (6)

  1. 서랍장(1)의 내부에 설치되어 서랍(10)을 자동으로 인출하는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서랍(10)의 후면에 접촉되는 스윙부(100);
    상기 스윙부(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서랍(10)의 후면 위치에 따라 상기 스윙부(100)를 회전 요동시키는 요동부(200);
    상기 요동부(200)에 결합되며 상기 스윙부(100)의 회전 요동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스윙부(100)의 요동이 감지될 경우 상기 요동부(200)를 회전시켜 상기 스윙부(100)를 통해 상기 서랍(10)을 인출시키도록 구동되는 구동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요동부(200)는,
    상기 스윙부(100)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일측면이 폐쇄되고 타측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개방된 내측부에 소정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 바닥면상에는 중앙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호 형상을 갖는 복수의 장공(211)이 서로 등간격을 이루며 배열된 연결로드(210)와;
    상기 연결로드(210)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로드(210)와 동일 회전축을 가지도록 결합되고, 외주면에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직선형태의 복수의 치(222)가 형성된 평기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일 측면에는 상기 연결로드(210)의 장공(211)과 대응하는 호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장공(211)보다 작은 호 길이를 갖도록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장공(211) 내에 삽입되는 복수의 돌출부(221)를 구비한 회전부재(220)와;
    상기 연결로드(210)의 개방된 일 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연결로드(210)와 상기 회전부재(220)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결로드(210)의 회동시 상기 연결로드(21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회전부재(220)와 같은 평기어 형상을 가지며 상기 회전부재(220)와 치합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구동기어(310)와;
    상기 구동기어(310)와 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어(310)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부재(22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스윙부(100)의 회전각이 일정 각도 이상일 경우 상기 모터(320)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30)는 일단이 상기 연결로드(2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부재(220)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요동부(200)에 결합되어 상기 요동부(200)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엔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부(100)는 상기 요동부(200)에 결합되는 스윙암(110)과
    상기 스윙암(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랍(10)의 후면과 접촉하는 롤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

KR1020120058682A 2012-05-31 2012-05-31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 KR101369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682A KR101369885B1 (ko) 2012-05-31 2012-05-31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682A KR101369885B1 (ko) 2012-05-31 2012-05-31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848A KR20130134848A (ko) 2013-12-10
KR101369885B1 true KR101369885B1 (ko) 2014-03-05

Family

ID=49982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682A KR101369885B1 (ko) 2012-05-31 2012-05-31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8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677B1 (ko) * 2020-09-25 2021-03-17 (주)비에이치 자동 인출식 수거함이 구비된 골절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361Y1 (ko) * 2002-09-11 2002-12-16 인탑스 주식회사 도어록킹장치
JP2007303244A (ja) * 2006-05-15 2007-11-22 Nifco Inc 引出装置
KR101098361B1 (ko) * 2009-08-05 2011-12-23 김화선 서랍 개폐장치 및 이를 갖는 서랍장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361Y1 (ko) * 2002-09-11 2002-12-16 인탑스 주식회사 도어록킹장치
JP2007303244A (ja) * 2006-05-15 2007-11-22 Nifco Inc 引出装置
KR101098361B1 (ko) * 2009-08-05 2011-12-23 김화선 서랍 개폐장치 및 이를 갖는 서랍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848A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7312B2 (ja) 冷蔵庫
TWI479072B (zh) 可動傢俱部份用的推出裝置
JP6709790B2 (ja) 家具用減速ヒンジ
ES2531662T3 (es) Aparato doméstico
JP3864948B2 (ja) 冷蔵庫
IT201900002526U1 (it) Cerniera motorizzata
WO2021208453A1 (zh) 冰箱
JP6482920B2 (ja) 冷蔵庫用扉開閉装置
JP6415214B2 (ja) トイレブースにおけるドアの開閉装置
KR101369885B1 (ko) 자동개폐 서랍용 액추에이터
JP5075038B2 (ja) ハンガーフック
US10113344B2 (en) Stay
EP2778579B1 (en) Improved assembly for a closable compartment
JP2008163592A (ja) プッシュプル錠用のドアハンドル構造
CN210738346U (zh) 一种用于智能柜的柜门关闭装置
CN112212594B (zh) 一种冰箱
CN109826925B (zh) 自动开门装置及具有其的冰箱
JP3922285B2 (ja) 冷蔵庫
JP2017181010A (ja) 冷蔵庫用扉開閉機構
JP2016108092A (ja) 物品投入機構および物品収容装置
JP2001008408A (ja) 動作補助装置
CN113279642A (zh) 铰链组件及家用电器
JP3142139U (ja) 位置制限式横開きカーテン
KR20170042191A (ko) 기어박스
JP2010164146A (ja) 伝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