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646B1 - 블로우몰드유닛 및 그를 사용한 블로우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블로우몰드유닛 및 그를 사용한 블로우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646B1
KR102205646B1 KR1020207004719A KR20207004719A KR102205646B1 KR 102205646 B1 KR102205646 B1 KR 102205646B1 KR 1020207004719 A KR1020207004719 A KR 1020207004719A KR 20207004719 A KR20207004719 A KR 20207004719A KR 102205646 B1 KR102205646 B1 KR 102205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
lifting rod
communication hole
mold
mol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020A (ko
Inventor
도시테루 오이케
Original Assignee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0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8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 B29C49/10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using mechanical means for prestretching
    • B29C49/12Stretching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8Blow-mould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8Blow-moulding apparatus
    • B29C49/30Blow-mould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8Blow-moulding apparatus
    • B29C49/30Blow-mould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 B29C49/38Blow-mould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mounted on movable endless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36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54Mould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9/541Moulds for undercut articles having a recessed under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6Opening, closing or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0Removing or ejecting blown articles from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2049/4856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moulds or parts thereof
    • B29C2049/4858Exchanging mould parts, e.g. for changing the mould size or geometry for making different products in the sam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2049/4879Moulds characterised by mould configurations
    • B29C2049/4892Mould halves consisting of an independent main and bottom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6Opening, closing or clamping means
    • B29C2049/563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48185Moulds with more than one separate mould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로드(111)가 삽입되는 삽입구멍(113)이 형성된 고정부재(110)에, 삽입구멍(113)과 서로 통하는 연통구멍(114)을 측면에 개구하도록 형성하고, 키부재(112)를 연통구멍(114)에 삽입하여 승강로드(111)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키홈(118)에 결합시킴으로써 승강로드(111)와 고정부재(110)가 연결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블로우몰드유닛 및 그를 사용한 블로우성형장치{BLOW-MOLD UNIT AND BLOW MOLDING DEVICE USING SAME}
본 발명은, 승강(昇降)시킬 수 있는 바닥금형(bottom 金型)을 갖는 블로우몰드유닛(blow-mold unit) 및 그를 사용한 블로우성형장치(blow成形裝置)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예를 들면 합성수지로 만든 중공용기(中空容器)의 성형방법(成形方法)으로서, 사출성형 혹은 압출성형에 의하여 얻어진 프리폼(preform)을 블로우성형장치가 구비하는 블로우몰드유닛에 의하여 블로우성형하여 중공용기(中空容器)로 만드는 기술이 있다. 예를 들면 블로우몰드유닛이 구비하는 블로우금형(blow金型)로 형성되는 성형공간(캐비티, cavity) 내에 프리폼을 배치하고, 이 캐비티 내에서 프리폼을 블로우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팽창시켜 중공용기로 만드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3-107391호 공보
이러한 블로우성형장치는, 예를 들면 사출성형장치 등과 비교하여, 사용되는 금형의 종류는 수효가 많아, 금형의 탈착·교환작업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바닥면이 높은 바닥으로 되어 있는 중공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블로우몰드유닛은, 한 쌍의 분할금형로 구성되는 블로우캐비티금형와 함께 승강장치(昇降裝置)에 의하여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소정형상의 바닥금형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바닥금형의 탈착·교환작업에는 특별히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상세하게는 바닥금형의 탈착·교환작업은, 블로우캐비티금형를 연 다음에 좁은 스페이스 내에서 바닥금형의 하방에 잠입고정기구를 체결한다는 번잡한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작업성이 나쁘고 작업시간도 길게 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또한 다품종 소로트(多品種 少lot)의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금형의 교환횟수도 증가하기 때문에 교환작업의 부담도 크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한 것으로서, 승강시킬 수 있는 바닥금형의 탈착·교환의 작업성을 향상하여, 작업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블로우몰드유닛 및 그를 사용한 블로우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제1태양은, 파팅면 상호간을 접촉시켜서 금형이 체결되는 한 쌍의 분할금형을 갖고, 높은 바닥의 중공용기를 성형하는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블로우캐비티금형와, 상기 성형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금형과, 상면측에 상기 바닥금형이 고정됨과 아울러 하면측에 승강장치가 구비하는 승강로드가 접속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승강로드와 상기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키부재를 갖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승강로드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이 하면측으로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삽입구멍과 서로 통하는 연통구멍이 측면으로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키부재를 상기 연통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승강로드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키홈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승강로드와 상기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몰드유닛에 있다.
본 발명의 제2태양은, 제1태양의 블로우몰드유닛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연통구멍의 개구 둘레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선단부가 상기 연통구멍과 대향하는 제1위치와 선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이 되는 제2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부재를 구비하는 제한부재를 갖고, 상기 연통구멍 내에 상기 키부재가 삽입되어서 상기 승강로드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한부재를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키부재의 후퇴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몰드유닛에 있다.
본 발명의 제3태양은, 제2태양의 블로우몰드유닛에 있어서 상기 키부재에는, 상기 연통구멍 내에서 상기 키부재를 후퇴시켜 상기 승강로드와의 결합을 해제한 소정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재와 대향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소정위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키부재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어서 상기 키부재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몰드유닛에 있다.
본 발명의 제4태양은, 제1 ~ 3의 어느 하나의 태양의 블로우몰드유닛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바닥금형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승강로드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바닥금형의 열방향 양 단부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연통구멍은 상기 바닥금형의 열방향의 양 단면으로 각각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몰드유닛에 있다.
본 발명의 제5태양은, 제1 ~ 4의 어느 하나의 태양의 블로우몰드유닛과, 상기 바닥금형을 승강시키는 상기 승강장치와, 상기 분할금형을 이동시켜서 상기 블로우캐비티금형를 금형체결 및 금형개방 하는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성형장치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장치의 승강로드와 연결된 바닥금형의 탈착·교환 등의 작업성을 향상하여, 작업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사출블로우성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블로우성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블로우성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블로우몰드유닛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블로우몰드유닛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블로우몰드유닛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승강로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키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로크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블로우몰드유닛의 바닥면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회전부재의 결합홈에 대한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로크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은, 본 발명에 관한 블로우성형장치(blow成形裝置)를 구비하는 사출블로우성형장치(射出blow成形裝置)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출블로우성형장치(1)는, 예를 들면 PET병 등의 합성수지로 만든 중공용기(中空容器)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기대(機臺)(2) 상에, 사출성형장치(3)와, 온도조절장치(4)와, 블로우성형장치(5)와, 취출장치(6)를 구비하고 있다.
사출성형장치(3)에는 사출장치의 노즐(nozzle)(7)이 연결되어 있다. 사출성형장치(3)에서는, 노즐(7)로부터 사출된 수지재료로 프리폼(preform)이 성형된다. 온도조절장치(4)에서는 프리폼의 온도가 원하는 온도로 조정되고, 블로우성형장치(5)에서는 온도가 조정된 프리폼이 2축연신 블로우성형(2軸延伸 blow成形)되어서 최종성형품인 중공용기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중공용기는 취출장치(6)에 의하여 외부로 꺼내진다.
이들 사출성형장치(3), 온도조절장치(4), 블로우성형장치(5) 및 취출장치(6)의 상방에는, 회전반(8)이 구비되어 있다. 회전반(8)은, 기대(2)에 대하여 예를 들면 반시계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반(8)의 원주방향의 4군데에는 립금형(lip金型)(9)이 구비되고, 프리폼 및 중공용기는, 립금형(9)에 지지되어서 회전반(8)의 간헐회전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소정의 장치로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사출블로우성형장치(1)를 구성하는 블로우성형장치(5)의 구성, 특히 블로우몰드유닛(blow-mold unit)의 구성에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 블로우성형장치(5)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블로우몰드유닛을 포함하는 블로우성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3은 블로우몰드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면도이다. 도2 및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블로우성형장치(5)는, 하부기반(51)에 부착되는 블로우몰드유닛(100)을 구비한다. 또 블로우몰드유닛(100)의 상방에는 블로우코어금형(blow core 金型) 등이 설치되어 있지만, 그 구성은 기존의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블로우몰드유닛(100)은, 파팅면(parting面) 상호간을 접촉시켜서 금형이 체결되는 제1분할금형(101) 및 제2분할금형(102)을 갖고, 예를 들면 프리폼이 수용되는 복수의 성형공간(캐비티)(103)을 구성하는 블로우캐비티금형(blow cavity金型)(104)과, 각 캐비티(103)의 바닥부를 막아 최종성형품인 중공용기의 바닥면(높은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금형(105)으로 구성되는 블로우금형(106)을 구비한다.
블로우몰드유닛(100)은 또한 제1분할금형(101)이 고정되는 제1고정판(107)과, 제2분할금형(102)이 고정되는 제2고정판(108)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블로우몰드유닛(100)이 2조(2組)의 블로우금형(106)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1장의 제1고정판(107)과, 제1고정판(107)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2장의 제2고정판(108)을 갖는다. 그리고 각 블로우금형(106)을 구성하는 2개의 제1분할금형(101)은, 배면(背面)을 맞춰서 제1고정판(107)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각 블로우금형(106)을 구성하는 제2분할금형(102)은, 2장의 제2고정판(108)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각 제2고정판(108)의 외측에는, 예를 들면 유압실린더(액추에이터) 등으로 구성되고, 블로우캐비티금형(104)을 금형체결/금형개방 하기 위한 구동장치(驅動裝置)(10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들의 구동장치(109)는, 제2분할금형(102)이 고정된 제2고정판(108)의 각각에 연결되어, 제2분할금형(102)을 이동시킴으로써 블로우캐비티금형(104)이 금형체결/금형개방된다.
그런데 블로우금형(106)을 구성하는 바닥금형(105)은, 각 캐비티(103)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고, 이들 복수의 바닥금형(105)은, 예를 들면 유압실린더(액추에이터) 등으로 구성되는 승강장치(昇降裝置)(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승강시킬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블로우몰드유닛(100)이 구비하는 복수의 바닥금형(105)은,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3고정판(고정부재(固定部材))(110)의 상면에 고정되어 일체화(一體化)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3고정판(110)이, 승강장치(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를 구성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승강로드(昇降 rod)(111)에 연결되어 있다. 즉 복수의 바닥금형(105)은, 제3고정판(110)을 통하여 승강장치를 구성하는 승강로드(111)에 연결되어서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3고정판(110)에는,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바닥금형(105)이 고정되어 있고, 2개의 승강로드(111)가, 바닥금형(105)의 열방향에 있어서의 제3고정판(110)의 양 단부(端部) 근방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이들의 승강로드(111)와 제3고정판(110)의 연결구조에 대하여 도4 ~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 ~ 도6은, 블로우몰드유닛(100)을 구성하는 제3고정판(110)과 승강로드(111)의 연결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4는 블로우몰드유닛의 측면, 도5는 도4의 A-A단면, 도6은 블로우몰드유닛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또 도4 ~ 도6에서는, 도면 중 우측에 승강로드가 제3고정판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면 중 좌측에 연결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4 ~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블로우몰드유닛(100)에서는, 각 승강로드(111)를 키부재(key部材)(112)에 의하여 제3고정판(110)에 연결(고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3고정판(110)에는, 각 승강로드(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승강로드(111)가 삽입되는 삽입구멍(揷入孔)(113)이 하면측으로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고정판(110)에는, 삽입구멍(113)과 서로 통하는 연통구멍(連通孔)(114)이 제3고정판(110)의 측면으로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통구멍(114)은, 제3고정판(110)의 바닥금형(105)의 열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면(단면(端面))에 각각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연통구멍(114)은 키부재(112)가 삽입되는 구멍으로서, 키부재(112)의 형상에 맞춰서 형성되어 있다.
또 제3고정판(110)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기판(115)과 하부기판(116)의 2장의 기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상부기판(115)과 하부기판(116)은,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지만,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구멍(113)은, 하부기판(116)을 관통하고 또한 상부기판(115)의 일부에 도달하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연통구멍(114)은 상부기판(115)과 하부기판(116)의 경계면에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부기판(116)의 표면에 형성된 홈을 상부기판(115)으로 막음으로써 연통구멍(11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승강로드(111)는,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선단부(상단부)에 다른 부분보다 작은 지름의 연결부(117)를 갖는다. 승강로드(111)는, 이 연결부(117)가 삽입구멍(113)에 삽입된 상태로 제3고정판(110)에 연결되어 있다(도5 등 참조). 또 승강로드(111)의 연결부(117)에는, 연결부(117)를 삽입구멍(113)에 삽입했을 때에 연통구멍(114)과 대향하는 위치에 키홈(118)이 형성되어 있다. 이 키홈(118)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승강로드(111)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연결부(117)의 키홈(118)에 대응하는 부분은, 연결부(117)의 다른 부분보다 작은 지름의 소경부(119)로 되어 있다.
키부재(112)는, 도8(a),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평면형상이 대략 직4각형이고 소정의 두께를 구비하는 판모양의 부재로서, 제3고정판(110)에 형성된 연통구멍(114)에 삽입하는 쪽의 단부에는, 삽발방향(揷拔方向)을 따라 슬릿부(slit部)(120)가 형성되어 있다. 또 키부재(112)의 하면에는, 슬릿부(120)와 반대측의 단부 근방에 오목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21)는, 키부재(112)를 연통구멍(114)으로부터 뽑아낼 때에 이용한다.
그리고 승강로드(111)를 제3고정판(110)에 연결할 때에는, 도4 ~ 도6의 우측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승강로드(111)를 삽입구멍(113)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3고정판(110)의 연통구멍(114)에 키부재(112)를 삽입하고, 슬릿부(120)에 승강로드(111)의 소경부(119)가 결합될 때까지 키부재(112)를 연통구멍(114) 내로 압입한다. 이에 따라 승강로드(111)의 상하방향의 이동이 제한되어 제3고정판(110)에 고정된다. 즉 키부재(112)가 승강로드(111)의 키홈(118)에 결합함으로써 승강로드(111)와 제3고정판(110)이 연결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3고정판(110)을 구성하는 상부기판(115)은, 키부재(112)의 삽발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금형(105)의 열방향)에 있어서 연통구멍(114)이 개구하는 하부기판(116)의 단면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키부재(112)를 연통구멍(114)에 삽입할 때에는, 상부기판(115)의 하면에 키부재(112)를 접촉시킨 상태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키부재(112)를 연통구멍(114)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 제3고정판(110)에는, 연통구멍(114)의 개구 둘레가장자리에, 연통구멍(114)에 삽입된 키부재(112)의 이동(진퇴)을 제한하는 로크부재(lock部材)(제한부재(制限部材))(1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로크부재(122)는, 제3고정판(110)을 구성하는 하부기판(116)의 단면(연통구멍(114)의 개구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回轉部材, 회전판)(123)를 구비하고, 이 회전부재(123)는 지지판(124)에 장착되어 있다.
지지판(124)은, 예를 들면 연통구멍(114)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서 하부기판(116)측으로 돌출하도록 체결부재(125)에 의하여 상부기판(115)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부재(123)는, 그 선단부가 연통구멍(114)과 대향하는 제1위치(第1位置)와 선단부가 연통구멍(114)의 외측으로 되는 제2위치(第2位置)와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전부재(123)는, 도9(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직방향 하방으로 향하게 되는 제2위치로부터, 도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평방향이 되는 제1위치까지 90°의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회전부재(123)의 회전방향은 부착위치에 의하여 달라진다. 또 회전부재(123)는, 회전작동부재(126)에 연결되어 일체로 된 상태로 지지판(124)에 부착되고 있어, 예를 들면 일자 드라이버(一字 driver) 등에 의하여 회전작동부재(126)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작동부재(126)와 함께 회전부재(123)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연통구멍(114) 내에 키부재(112)를 삽입하여 승강로드(111)에 결합시켰을 때에, 로크부재(122)의 회전부재(123)를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회전시킨다(도9(b)). 이에 따라 키부재(112)의 후퇴가 제한되어 승강로드(111)와 제3고정판(110)의 연결상태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 회전부재(123)가 제1위치에 있을 경우, 회전부재(123) 자체의 무게나 기계작동 시에 받는 진동 등의 영향에 의하여 회전부재(123)가 제2위치측으로 벗어나면, 키부재(112)가 슬라이드하여 승강로드(111)와 제3고정판(110)의 연결도 해제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로크부재(로크기구)(122)는, 회전작동부재(126) 상의 압입부(드라이버 홈이 있는 부분)를 일자 드라이버 등의 공구로 가압하지 않는 한, 회전부재(123)의 회전을 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바닥금형(105)의 교환을 할 때 등, 승강로드(111)와 제3고정판(110)의 연결상태를 해제하고 싶은 경우에는, 우선은 로크부재(122)의 회전부재(123)를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 회전시킨다(도9(a)). 그 후에 키부재(112)를 연통구멍(114) 내에서 후퇴시켜서, 승강로드(111)와 제3고정판(110)의 연결상태를 해제한다(도6 좌측 참조). 그 후에 승강로드(111)를 삽입구멍(113)으로부터 뽑아내는 것으로(도4 및 도5 좌측 참조), 바닥금형(105)이 고정된 제3고정판(110)을 승강장치(승강로드(111))로부터 비교적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즉 제3고정판(110)의 측면으로부터 키부재(112)를 뽑아내는 것만으로, 제3고정판(110)과 승강로드(111)의 연결상태(결합상태)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금형(105)의 교환시의 작업효율이 향상되어 작업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종래의 블로우성형장치에서는, 승강로드가 제3고정판의 하면측에 체결부재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바닥금형의 교환을 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예를 들면 바닥금형의 하측 등의 좁은 스페이스에 들어가서 작업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작업성이 나빠서 작업시간도 길게 되었다. 이에 대하여 본원 발명에 관한 블로우성형장치(5)에서는, 바닥금형(105)의 하측으로 들어가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되어 작업시간도 단축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키부재(112)에는, 키부재(112)를 후퇴시켜서 승강로드(111)와의 결합을 해제한 소정위치에 있어서 로크부재(122)의 회전부재(123)와 대향하는 부위에 결합홈(127)이 형성되어 있다(도8 참조). 승강로드(111)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위치까지 연통구멍(114) 내로 키부재(112)를 후퇴시켰을 때에, 회전부재(123)를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에 회전시킴으로써,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부재(123)가 결합홈(127)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키부재(112)의 연통구멍(114) 내에서의 이동(전진 및 후퇴)이 제한된다. 이 때문에 바닥금형(105)의 교환 등을 할 때, 바닥금형(105)이 고정되어 있는 제3고정판(110)의 반송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바닥금형(105)의 교환 등을 할 때의 작업성을 더 향상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3고정판(110)을 구성하는 상부기판(115)에는, 키부재(112)의 소정위치로부터의 후퇴를 제한하는 제2제한부재로서의 비스부재(vis部材)(128)가 설치되어 있다(도5 등 참조). 비스부재(128)는, 그 헤드부의 일부가 상부기판(115)의 표면(하면)보다 하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상부기판(115)에 부착되어 있다. 이 비스부재(128)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키부재(112)의 승강로드(111)와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즉 키부재(112)를 이 비스부재(128)에 접촉할 때까지 후퇴시킴으로써 키부재(112)를 떨어뜨리지 않고 키부재(112)의 승강로드(111)와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키부재(112)가 비스부재(128)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로크부재(122)의 회전부재(123)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부재(123)가 결합홈(127)에 결합된다. 따라서 바닥금형(105)의 교환 등을 할 때의 작업효율이 더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로크부재(122)의 일례로서 연직방향의 하방을 향하게 되는 제2위치로부터 수평방향이 되는 제1위치까지의 범위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부재(123)를 구비하는 구성을 예시했다. 그러나 로크부재(122)의 구성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로크부재(122)가 구비하는 회전부재(123A)는,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직방향 상방을 향하게 되는 제2위치와, 수평방향이 되는 제1위치(도9(b) 참조)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 로크부재(122)가 회전부재(123A)를 구비할 경우에, 이 회전부재(123A)가 삽입되는 삽입홈(129)을 상부기판(115)에 형성하여 놓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1위치에 있어서 회전부재(123A)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삽입홈(129) 내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고정부재(110)를 반송할 때 등에, 회전부재(123A)가 장해물과 충돌하여 파손(변형)하는 등의 문제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서는, 로크부재(제한부재) 및 비스부재(제2제한부재)를 설치한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들 로크부재 및 비스부재는 필수적인 구성이 아니고,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캐비티가 2열로 설치된 블로우몰드유닛을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복수의 캐비티가 1열로 설치된 블로우몰드유닛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키부재가 삽입되는 연통구멍이, 바닥금형의 열방향에 있어서의 제3고정부재의 단면에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이 연통구멍은, 물론 바닥금형의 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3고정부재의 단면에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서는, 2개의 승강로드를 구비하는 블로우성형장치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승강로드를 3개 이상 구비하는 블로우성형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사출블로우성형장치
2 기대
3 사출성형장치
4 온도조절장치
5 블로우성형장치
6 취출장치
7 노즐
8 회전반
9 립금형
51 하부기반
100 블로우몰드유닛
101 제1분할금형
102 제2분할금형
103 캐비티(성형공간)
104 블로우캐비티금형
105 바닥금형
106 블로우금형
107 제1고정판
108 제2고정판
109 구동장치
110 제3고정판(고정부재)
111 승강로드
112 키부재
113 삽입구멍
114 연통구멍
115 상부기판
116 하부기판
117 연결부
118 키홈
119 소경부
120 슬릿부
121 오목부
122 로크부재(제한부재)
123 회전부재
124 지지판
125 체결부재
126 회전작동부재
127 결합홈
128 비스부재(제2제한부재)
129 삽입홈

Claims (9)

  1. 파팅면(parting面) 상호간을 접촉시켜서 금형이 체결되는 한 쌍의 분할금형을 갖고, 바닥면을 구비하는 중공용기를 성형하는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블로우캐비티금형(blow cavity金型)과,
    상면측에 상기 성형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금형(bottom 金型)이 고정됨과 아울러, 하면측에 승강장치(昇降裝置)가 구비하는 승강로드(昇降 rod)가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부재(固定部材)를
    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하면측으로 개구하는 삽입구멍(揷入孔)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로드는,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몰드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을 갖고,
    상기 삽입구멍은 상기 하부기판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몰드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멍은, 상기 하부기판을 관통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기판의 일부에 도달하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몰드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의 측면으로 개구하여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멍과 서로 통하는 연통구멍에 대하여 삽발(揷拔)되는 키부재를 갖고,
    상기 연통구멍에 삽입된 상기 키부재가,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된 상기 승강로드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승강로드와 상기 고정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몰드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은, 상기 키부재의 삽발방향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멍이 개구하는 상기 하부기판의 단면(端面)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몰드유닛.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연통구멍의 개구 둘레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선단부가 상기 연통구멍과 대향하는 제1위치(第1位置)와 선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이 되는 제2위치(第2位置)와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부재(回轉部材)를 구비하는 제한부재(制限部材)를 갖고,
    상기 연통구멍 내에 상기 키부재가 삽입되어서 상기 승강로드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한부재를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키부재의 후퇴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몰드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키부재에는, 상기 연통구멍 내에서 상기 키부재를 후퇴시켜 상기 승강로드와의 결합을 해제한 소정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재와 대향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소정위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어서 상기 키부재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몰드유닛.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바닥금형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승강로드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바닥금형의 열방향 양 단부(端部)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연통구멍은, 상기 바닥금형의 열방향의 양 단면(端面)으로 각각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몰드유닛.
KR1020207004719A 2015-03-17 2016-03-09 블로우몰드유닛 및 그를 사용한 블로우성형장치 KR102205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53916 2015-03-17
JP2015053916 2015-03-17
PCT/JP2016/057360 WO2016147981A1 (ja) 2015-03-17 2016-03-09 ブロー型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ブロー成形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205A Division KR102080894B1 (ko) 2015-03-17 2016-03-09 블로우몰드유닛 및 그를 사용한 블로우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020A KR20200020020A (ko) 2020-02-25
KR102205646B1 true KR102205646B1 (ko) 2021-01-20

Family

ID=569188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205A KR102080894B1 (ko) 2015-03-17 2016-03-09 블로우몰드유닛 및 그를 사용한 블로우성형장치
KR1020207004719A KR102205646B1 (ko) 2015-03-17 2016-03-09 블로우몰드유닛 및 그를 사용한 블로우성형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205A KR102080894B1 (ko) 2015-03-17 2016-03-09 블로우몰드유닛 및 그를 사용한 블로우성형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086553B2 (ko)
EP (1) EP3272492B1 (ko)
JP (1) JP6391196B2 (ko)
KR (2) KR102080894B1 (ko)
CN (2) CN107428067B (ko)
TW (1) TWI720973B (ko)
WO (1) WO20161479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7981A1 (ja) 2015-03-17 2016-09-22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ブロー型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ブロー成形装置
WO2019017494A1 (ja) 2017-07-21 2019-01-24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ブロー成形用金型ユニット及びブロー成形装置
CN109774102A (zh) * 2019-01-29 2019-05-21 广州纯元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吹塑成型技术的高效型自动化塑料桶生产系统
CN110978461A (zh) * 2019-12-02 2020-04-10 童爱霞 一种吹塑模具及其使用方法
KR20220066625A (ko)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KR20220066702A (ko)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CN112721107A (zh) * 2020-12-25 2021-04-30 佛山市工正包装设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吹塑模结构
CN116638738B (zh) * 2023-07-27 2023-09-22 康立光学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防雾护罩的塑料罩体成型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8866A (ja) * 2002-12-12 2004-07-08 Aoki Technical Laboratory Inc 延伸ブロー成形方法及びブロー金型装置
US20060068048A1 (en) 2002-12-12 2006-03-30 Hideaki Koda Elongation drive device of stretch rod in stretch blow molding machine and bottom-type lifting drive device
US20070048399A1 (en) 2005-08-30 2007-03-01 Fields Randal L Quick change blow mold tooling
JP2011156728A (ja) 2010-01-29 2011-08-18 Nissei Asb Mach Co Ltd ブロー型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ブロー成形機
JP2013086500A (ja) 2011-10-24 2013-05-13 Nissei Asb Mach Co Ltd ブロー型ユニット、ブロー成形機及びブロー型ユニットの交換方法
US20140010910A1 (en) 2011-03-16 2014-01-09 S.I.P.A. Societa' Industrializzazione Progettazione E Automazione S.P.A. Blow mould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9517A (en) * 1972-02-28 1974-05-07 Synthetic Electronic Tech Blow injection apparatus
JPS5850573B2 (ja) * 1979-05-10 1983-11-11 固 青木 吹込金型への容器袴のセット装置
JPH0813502B2 (ja) * 1991-08-05 1996-02-14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吹込成形装置及びその装置での型取付/取外し方法
JPH0638750A (ja) 1991-08-09 1994-02-15 Meiji Seika Kaisha Ltd マクロライド抗生物質の3位アシル化酵素およびそれをコードする遺伝子
US5496166A (en) * 1994-08-25 1996-03-05 R & D Tool And Engineering, Inc. Highly accurate position adjustment mechanism for the mold sections of an injection stretch blow molding machine
JP5095365B2 (ja) * 2007-11-27 2012-12-12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ブロー成形機
US8905747B2 (en) * 2008-11-26 2014-12-0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ur removing apparatus
CN201471719U (zh) * 2009-08-07 2010-05-19 宁波阿拉塑机模业有限公司 一种应用于吹瓶机的底模具机构
KR101104715B1 (ko) * 2009-09-28 2012-01-10 (주) 우성정공 이중사출을 위한 회전코어가 구비된 멀티 사출금형의 회전장치
CN201604291U (zh) * 2009-09-28 2010-10-13 谭铭扬 全自动吹塑机的合模机构
FR2966374B1 (fr) * 2010-10-26 2014-06-27 Sidel Participations Perfectionnement au support de fond de moule pour le faconnage d'un recipient en matiere thermoplastique
JP5798440B2 (ja) * 2011-10-18 2015-10-21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ブロー型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ブロー成形機
JP6204013B2 (ja) 2011-10-24 2017-09-27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ブロー成形機
KR101318184B1 (ko) 2012-03-22 2013-10-18 김동진 자동 클린칭 장치
JP6193861B2 (ja) * 2012-08-17 2017-09-06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ブロー型ユニット、ブロー成形機及びブロー型ユニットの固定方法
CN203713059U (zh) * 2014-02-12 2014-07-16 佛冈国珠吹瓶设备有限公司 快速换模结构
CN204076797U (zh) * 2014-09-12 2015-01-07 江苏新美星包装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吹瓶机的底模快换装置及吹瓶机
WO2016147981A1 (ja) 2015-03-17 2016-09-22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ブロー型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ブロー成形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8866A (ja) * 2002-12-12 2004-07-08 Aoki Technical Laboratory Inc 延伸ブロー成形方法及びブロー金型装置
US20060068048A1 (en) 2002-12-12 2006-03-30 Hideaki Koda Elongation drive device of stretch rod in stretch blow molding machine and bottom-type lifting drive device
US20070048399A1 (en) 2005-08-30 2007-03-01 Fields Randal L Quick change blow mold tooling
JP2011156728A (ja) 2010-01-29 2011-08-18 Nissei Asb Mach Co Ltd ブロー型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ブロー成形機
US20140010910A1 (en) 2011-03-16 2014-01-09 S.I.P.A. Societa' Industrializzazione Progettazione E Automazione S.P.A. Blow mould
JP2013086500A (ja) 2011-10-24 2013-05-13 Nissei Asb Mach Co Ltd ブロー型ユニット、ブロー成形機及びブロー型ユニットの交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69926A1 (en) 2018-06-21
CN107428067B (zh) 2019-10-29
KR20200020020A (ko) 2020-02-25
CN107428067A (zh) 2017-12-01
EP3272492B1 (en) 2019-11-27
KR20180002612A (ko) 2018-01-08
EP3272492A4 (en) 2018-12-05
US20190047203A1 (en) 2019-02-14
US10086553B2 (en) 2018-10-02
KR102080894B1 (ko) 2020-02-24
CN110667083A (zh) 2020-01-10
US10486356B2 (en) 2019-11-26
JP6391196B2 (ja) 2018-09-19
WO2016147981A1 (ja) 2016-09-22
JPWO2016147981A1 (ja) 2017-12-28
EP3272492A1 (en) 2018-01-24
TW201641255A (zh) 2016-12-01
TWI720973B (zh)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646B1 (ko) 블로우몰드유닛 및 그를 사용한 블로우성형장치
EP2507028B1 (en) A molded article transfer device with shuttling movement
CN107428064B (zh) 双轴拉伸吹塑成型装置
CN103874572B (zh) 吹塑模单元和使用该吹塑模单元的吹塑成形机
US20160214297A1 (en) Slim injection molding apparatus
TW201634226A (zh) 模具在沒有電子,液壓或氣動裝置輔助下被機械式地移動的吹氣模製機
US20210078225A1 (en) Platen apparatus for center section of a stack mold injection molding machine
CN102825740A (zh) 塑胶模具的顶出机构
US9393724B2 (en) Multi shot injection molding apparatus
US20070248713A1 (en) Vertical alternation type bottle blower
US6416313B1 (en) Blow molding machine for low-waste blow molding
KR20150051702A (ko) 이중 사출 성형 금형
CN220534897U (zh) 一种注吹一体机的吹塑结构
US8758666B2 (en) Apparatus for fabricating parts and method of forming the apparatus
CN207859324U (zh) 一种注塑瓶加工传输一体机
KR101332187B1 (ko) 언더컷형 제품 금형의 취출장치
EP1839841A1 (en) Vertical alternation blow moulding apparatus
KR20160136524A (ko) 외골격형 성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