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754B1 -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 - Google Patents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754B1
KR102204754B1 KR1020200020992A KR20200020992A KR102204754B1 KR 102204754 B1 KR102204754 B1 KR 102204754B1 KR 1020200020992 A KR1020200020992 A KR 1020200020992A KR 20200020992 A KR20200020992 A KR 20200020992A KR 102204754 B1 KR102204754 B1 KR 102204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oving block
molds
ai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우홍
Original Assignee
신우코스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코스텍(주) filed Critical 신우코스텍(주)
Priority to KR1020200020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754B1/ko
Priority to PCT/KR2021/002212 priority patent/WO202116743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8Blow-moulding apparatus
    • B29C49/30Blow-mould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36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를 주입하여 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블로윙 성형 공법 수행시, 용기 금형 간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용기의 프리폼이 수용되며 용기의 외부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가 구비되고 상호 이격되거나 맞닿게 되는 분리 가능한 복수의 용기 금형과; 상기 용기 금형에 부착되어 용기 금형을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동 블록과; 상기 이동 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드라이브와;구동 드라이브와 이동 블록을 연결하여 구동 드라이브의 동력을 이동 블록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와, 복수의 용기 금형이 맞붙은 경우, 맞붙은 상태가 유지되도록 이를 유지시키는 고정상태 유지 모듈과; 복수의 용기 금형이 맞붙은 경우, 맞붙은 상태에서 상호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푸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 {A container shaping module for a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
본 발명은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를 주입하여 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블로윙 성형 공법 수행시, 용기 금형 간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에 의하여 제안된 한국 등록 특허 10-1585157호에서는 인몰드 라벨 용기 성형 장치가 개시된다. 본 선행문헌에서는 두 개의 이격된 용기 금형 사이에 프리폼을 넣고, 용기 금형을 닫은 다음 프리폼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용기를 팽창시켜서 용기를 제작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프리폼을 용기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약 20~40 bar의 압력이 1~2초 만에 주입되어야 하므로,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용기 금형이 벌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 기술에서는 봉 형태의 고정바와, 그 고정바를 잡아서 고정시키는 걸림장치를 제안한 바 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걸림 장치의 경우, 다수의 기계적 구성요소를 구비함으로써, 그 배치가 복잡하고, 설비 원가가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교적 단순하고 경제적인 구조를 통하여 용기 금형의 분리를 방지하는 한편, 용기 금형의 밀착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의 프리폼이 수용되며 용기의 외부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가 구비되고 상호 이격되거나 맞닿게 되는 분리 가능한 복수의 용기 금형과; 상기 용기 금형에 부착되어 용기 금형을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동 블록과; 상기 이동 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드라이브와; 구동 드라이브와 이동 블록을 연결하여 구동 드라이브의 동력을 이동 블록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와, 복수의 용기 금형이 맞붙은 경우, 맞붙은 상태가 유지되도록 이를 유지시키는 고정 모듈과; 복수의 용기 금형이 맞붙은 경우, 맞붙은 상태에서 상호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푸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을 제공한다.
용기 금형은 제1용기 금형과, 제2용기 금형을 포함하고,이동 블록은 제1용기 금형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1 이동 블록과, 제2 용기 금형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2 이동 블록을 포함하고, 제1이동 블록의 측면과 제2이동 블록에 측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 모듈은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맞물린 상태에서, 맞물린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 액츄에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결합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과, 제2결합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을 포함하며, 복수의 용기 금형이 맞붙은 경우, 제1,2관통공은 서로 겹쳐져서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모듈을 구성하는 고정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왕복 운동을 하는 삽입봉이 상기 제1,2관통공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어 제1,2결합부의 결합 상태의 해제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력 전달부는 구동 드라이브의 회전축에 배치된 회동부와; 회동부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2 링크 부재와; 각각 1,2링크 부재와 연결되고, 제1,2 이동 블록과 연결되는 제1,2연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회동부의 회전으로 인하여 제1,2링크 부재가 회동부 주위에 모이는 경우, 제1,2 용기 금형이 맞붙고, 제1,2 링크 부재가 회동부 외측 방향으로 분산되는 경우 제1,2 용기 금형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시 모듈은 상기 복수의 이동 블록 중 어느 하나의 이동 블록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푸시 모듈은; 이동 블록 후방에 결합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와 이동 블록 후방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실린더와; 상기 커버부재에 연결되어 실린더 방향으로 공기압을 제공하는 공기 공급 장치를 포함하며, 공기 공급 장치에 의하여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 실린더가 이동 블록 후방으로 이동하여 용기 금형들이 상호 밀착되게 밀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 블록의 후방에는 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홈부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후방에 위치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진입 공간이 되는 입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직경은 삽입부보다 크고, 입구부의 직경보다 작도록 마련되며 상기 입구부 및 몸체부, 삽입부는 일체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공기가 들어올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 및 커버부재는 하나의 이동 블록의 후방에 복수개로 마련되고,공기 공급장치의 공기 공급유로는 모든 커버 부재에 연결되어 있어서 동시에 공기를 모든 실린더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금형이 서로 맞붙은 상태에서 제1,2결합부가 상호 맞물려 결합되고, 이 상태에서 고정 모듈에 의하여 그 결합상태가 공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강한 공기 압력 주입에도 용기 금형 간의 분리가 방지된다.
특히,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보다 간단한 구조를 제공하면서도, 금형간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어서, 제조 원가를 현저하게 낮출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1이동 블록 후방에서 일시적으로 강한 압력을 가하여, 제1이동 블록을 푸시함으로써, 제1용기 금형과 제2용기 금형 간의 밀착상태를 개선할 수 있으므로, 용기 표면에 형성될 수 있는 파팅라인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 성형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서 용기 금형 사이가 최대한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4는 도3의 상태보다 용기 금형 사이가 좁아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서 용기 금형이 완전하게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서 푸시 모듈의 평단면도이다.
도7(a)는 본 발명에 의한 푸시 모듈에서 공기가 주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7(b)는 본 발명에 의한 푸시 모듈에서 공기가 주입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이하, '용기 성형 모듈'이라고 한다)(1)는 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10)과, 내부에 병과 같은 용기의 외형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를 구비한 용기금형(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 금형(100)은 제1용기 금형(110)과, 제2용기 금형(120)을 포함한다.
제1용기 금형(110)과 제2용기 금형(120)은 서로 밀착되거나 이격될 수 있게 마련되며, 제1용기 금형(110)과 내면과 제2용기 금형(120)의 내면에는 복수의 캐비티(C)가 마련된다. 이 캐비티(C) 내부에 립플레이트(미도시)에 얹혀진 작은 프리폼(pre-form)이 수용되고, 제1,2용기 금형(110,120)이 밀착된 후, 프리폼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팽창과정을 거쳐서 캐비티(C)의 형상에 대응되는 용기가 제작된다.
립 플레이트(미도시)는 제1,2용기 금형(110,120)이 밀착된 상태에서 제1,2용기 금형(110,120)의 아래에 위치하고, 프리폼의 입구가 립 플레이트에 지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프리폼의 입구는 아래 방향을 향해야 한다.
따라서, 프리폼이 거꾸로(입구가 아래로 향하도록 거꾸로 배치) 지지되는 립플레이트가 프레임(10) 내부의 아랫 공간에 들어오고, 그 상태에서 상호 이격되었던 제1,2용기 금형(110,120)이 밀착되어 프리폼이 제1,2용기 금형(110,120) 내부에 있는 캐비티(C)에 수용된다.
그 상태에서 공기가 프리폼 입구에 주입되어, 프리폼이 팽창하여, 용기가 성형되고, 다시 용기 내부에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어 용기가 냉각된다.
그 이후에, 제1,2용기 금형(110,120)이 분리된 후, 립플레이트가 움직여서 용기가 용기 성형 모듈(1)을 빠져나간다.
이와 같이, 제1,2용기 금형(110,102)이 서로 밀착되거나,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제1용기 금형(110)의 후방에는 제1이동 블록(210)이 제1용기 금형(110)과 연결되고, 제2용기 금형(120) 후방에는 제2이동 블록(220)이 제2용기 금형과 연결된다.
프레임(10)의 측면에는 레일(11)이 형성되며, 제1이동 블록 금형(210) 및 제2이동 블록(220)의 측면 상단에는 레일에 맞물려서 이동할 수 있는 레일 이동부(211,221)가 마련된다.
한편, 제1,2이동 블록(210, 220)을 움직여서 궁극적으로 제1,2 용기금형(110,120)을 움직이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프레임(10)에는 구동 드라이브(D) 및 구동력 전달부(300)가 마련된다.
구동 드라이브(D)는 프레임(10)의 일측에서 이격된 모터로 구현된다.
프레임(10) 측면에는 구동 드라이브(D)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 브라켓(20)이 마련된다. 구동력 전달부(300)는 구동 드라이브(D)와 연결되어 프레임(10)의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회전축(310)을 포함한다.
회전축(310)의 양 단에는 플레이트 형태의 회동부(320)가 마련되며, 각 회동부(320)의 양 단에는 제1,2 링크 부재(331,332)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제1,2링크 부재(331,332)는 이중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되고, 그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회동부(320)의 동작에 의하여 제1,2링크 부재(331,332)가 회동하여 회동부(320)와 중첩되는 경우, 그 내부 공간으로 회동부(320)가 삽입되어 상호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링크 부재(331)의 타단부에는 'ㄴ' 자 형태의 제1연결 플레이트(341)가 연결되고, 제1연결플레이트(341)는 제1이동 블록(210)의 측벽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링크 부재(332)의 타단부에는 'ㄱ' 자 형태의 제2연결 플레이트(342)가 연결되고, 제2연결플레이트(342)는 제2이동 블록(220)의 측벽에 연결된다.
회전축(310)과, 회동부(320), 제1,2링크 부재(331,332), 제1,2연결 플레이트(341,342)가 구동력 전달부(300)를 구성하는 요소들이다.
이러한 구조하에서 구동 드라이브(D)가 동작하여, 회전축(310)이 회전하면, 회동부(320)가 회전을 하고, 이에 따라서 제1,2링크 부재(331,332)가 회동부(320) 주위에 모이면, 도5와 같이 제1,2 이동 블록(210,220)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제1,2용기 금형(110,120)이 맞붙는다.
이와 반대로 회동부(320)가 회전을 하고, 이에 따라서 제1,2링크 부재(331,332)가 회동부(320)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분산되면, 도4,5와 같이 제1,2 이동 블록(210,220)이 서로 멀어지면서, 제1,2용기 금형(110,120)이 이격된다.
한편, 제1,2이동 블록(210,220)이 가까워져서 제1,2 용기금형(110,120)이 밀착되고, 캐비티(C) 내부에 프리폼이 수용된 상태에서 공기가 주입되어 블로윙 작업이 수행될 때,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은 40~80 bar 정도로서 상당히 강력하다.
따라서, 제1,2용기 금형(110,120)이 그 압력에 의하여 벌어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할 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고정상태 유지모듈이 마련된다.
따라서, 제1이동 블록(210)의 측면에는 상호 이격된 두 개의 플레이트 형태의 제1결합부(410)가 마련되고, 제2이동 블록(220)의 측면에는 제1결합부(410)에 삽입되어 제1결합부(410)와 결합될 수 있는 단일층의 블록 또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2결합부(420)가 마련된다.
제1,2결합부(410,420)의 형상은 위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바뀔수도 있고, 상호 결합될 수 있는 구조라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다.
제1,2결합부(410,420)에는 각각 제1,2관통공(411,421)이 마련되며, 제1결합부(410)의 최외측면에는 상기 제1관통공(411)을 향해서 선택적으로 삽입봉(미도시)을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는 고정 액츄에이터(440)가 마련된다.
제1,2이동 블록(210,220)이 최대한 가까워지면, 제1,2용기 금형(110,120)은 밀착되고, 제1결합부(410)와 제2결합부(420)가 상호 결합된다. 본 도면을 기초로 하면, 제1결합부(410) 사이의 공간에 제2결합부(420)가 삽입되고, 그 때, 제1관통공(411)과, 제2관통공(421)이 중첩된다..
이때, 고정 액츄에이터(440)가 동작하여, 삽입봉이 돌출되어 바깥쪽의 제1관통공(411)과, 제2관통공(421)과, 안쪽의 제1관통공(411)에 한꺼번에 삽입되면, 제1,2결합부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하여, 강한 공기압이 캐비티(C) 내부에 있는 프리폼 내부에 주입되어서 제1,2용기 금형(110,120)이 벌어지려고 하여도, 위와 같은 고정 액츄에이터(440)의 삽입봉 및 제1,2관통공(411,421)의 체결 구조에 의하여, 제1,2용기 금형(110,120)이 벌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고정 액츄에이터(440), 삽입봉, 제1,2관통공(411,421)을 구비한 제1,2결합부(410,420)의 구성이 고정상태 유지모듈을 구성한다.
제1이동 블록(212) 후방에는 제1,2 용기 금형(110,120)이 맞붙은 상태에서, 그 맞붙은 밀착 상태를 더 개선 또는 향상하기 위해서, 제1용기 금형(110)을 제2용기 금형(120) 방향으로 밀어주는 푸쉬 모듈(500)이 마련된다.
한편, 푸시 모듈(500)의 후방에는 프레임(100)을 소정의 바닥면 또는 작업대에 고정시키는 고정 기둥(600)이 마련되며, 고정기둥(600)의 상단부는 프레임(10)에서 돌출되는 돌출부(15)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고정 기둥(600) 하단부는 바닥면에 고정된다.
도1,2 및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푸시 모듈(500)은 제1이동 블록(210) 후방에 배치되며, 제1이동 블록(210) 후방에 결합되는 커버부재(510)와, 커버 부재(510)와 제1이동 블록(210) 후방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실린더(520)와, 커버부재(510)에 연결되어 실린더(520) 방향으로 공기압을 제공하는 공기 공급 장치(5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공기 공급 장치(530)는 공기 공급을 위한 공급 유로(531) 및 이와 연결되어 실린더(520) 내부로 공기를 안내 하는 안내 유로(5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커버 부재(510) 는 제1이동 블록(210) 후방에 복수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이동 블록(210)의 후방에는 홈부(215)가 마련되고, 실린더(520)는 홈부(215)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521)와, 삽입부(521) 후방에 위치하는 몸체부(522)와, 몸체부(522)의 후방에 배치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진입 공간(S)이 되는 입구부(523)를 포함한다.
몸체부(522)의 직경은 삽입부(521)보다 크고, 입구부(523)의 직경보다 작도록 마련되며 입구부(523) 및 몸체부(522), 삽입부(523)는 일체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공기가 들어올 수 있는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가 유입되면, 도7(a)와 같이, 커버부재(510)의 내면과 실린더(520)의 입구부(523) 테두리는 이격되고, 삽입부(521)와 홈부(215) 사이는 밀착되며, 공기가 유출되면, 도7(b)와 같이, 커버부재(510)의 내면과 실린더(520)의 입구부(523) 테두리는 밀착되고, 삽입부(521)와 홈부(215) 사이는 이격된다.
실린더(520)의 이동이나 설치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입구부(523) 테두리 바깥쪽에는 커버부재(510) 내면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챔퍼(524)가 마련되고, 커버부재(510) 측벽 내면에는 입구부(523) 테두리의 길이보다 짧은 이격홈(511)이 마련된다.
한편, 공기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커버부재(510) 측벽 내면과 실린더(520)의 측면 사이에 실링부재(540)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3과 같이 구동 드라이브(D)의 동작에 의하여, 회동부(320)의 양단에 있는 제1,2링크부재(331,332)가 최대한 벌어지면, 제1,2링크부재(331,332)와 연결된 제1,2 연결 플레이트(341,342)에 의하여, 제1,2이동블록(210, 220)의 간격이 최대가 된다.
이에 의하여 제1,2용기 금형(110,120)의 간격도 최대가 된다.
이 상태에서, 프리폼이 거꾸로 장착된(입구가 아래로 향하는) 립플레이트가 제1용기 금형(110)과 제2용기 금형(120) 사이 공간의 하부 공간으로 들어온다.
한편, 여기서 미설명 부호 140은 제1,2용기 금형(110, 120)가 밀착되었을 때 그 상부를 막아서, 거꾸로 세워질 용기의 바닥면을 형성할 밀폐부재이다.
이 상태에서, 구동 드라이브(D)가 동작하여, 회동부(320)가 회동 운동을 하면,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링크부재(331,332)가 회동부 주변으로 모이게 되고, 이 운동은 제1,2연결플레이트(341,342)로 전달되어, 제1,2이동 블록(210, 220)의 간격이 좁아지고, 제1,2 용기 금형(110,120)도 서로 가까워진다.
그리고, 그 운동이 더 지속되면,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링크부재(331,332)가 회동부(320)를 완전히 감싸면서 간섭되지 않게 중첩되고, 최종적으로 제1,2용기금형(110,120)이 완전하게 밀착된다.
이렇게 되면, 제1이동 블록(210)의 측면에 있는 제1결합부(410)와, 제2이동 블록(220)의 측면에 있는 제2결합부(420)도 결합되고, 제1관통공(411)과, 제2관통공(421)이 상호 중첩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 액츄에이터(440)의 삽입봉이 제1,2관통공(411,421)으로 진입함으로써, 제1,2결합부(410, 420)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고정 모듈 동작 전 또는 동작 후에, 또는 동작과 동시에, 푸시 모듈(500)이 동작한다. 따라서, 도6 및 도7과 같이, 공기 공급 장치(530)에 있는 공급유로(531) 및 연결유로(532)를 통해서 공기가 실린더(520) 내부로 유입되면, 커버 부재(510) 내면에 밀착되어 있는 실린더(520)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제1이동블록(210)의 후방에 형성된 홈(215)에 실린더(520)의 삽입부(521)가 밀착되어 제1이동블록(210) 및 제1용기 금형(110)이 살짝 제2용기 금형 (120)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용기 금형(110)과 제2용기 금형(120) 간의 밀착력이 높아진다.
이와 같이 실린더(52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시간은 0.5초~1초의 짧은 시간이며, 그 짧은 시간에, 프리폼에 공기를 주입하여 용기의 성형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용기 형성용 공기 주입시에 푸시 모듈(500)가 동작함으로써, 용기 형성용 공기 주입에 의하여 제1,2용기 금형(110,120)의 틈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기 주입을 통한 블로윙 작업이 완료되면, 실린더(520)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방출되고, 이후, 고정 액츄에이터(440)가 삽입봉을 후퇴시켜서, 제1,2관통공(411,421)에서 삽입봉을 인출한다.
그 상태에서, 다시 구동 드라이브(D)가 동작하면, 회동부(320)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회동부(320) 주위에 모였던 제1,2링크 부재(331,332)가 분산되어, 제1,2용기 금형(110,120) 간의 거리와, 제1,2이동 블록(210, 220)간의 거리가 벌어져서, 순차적으로 도4 상태가 되고, 완전히 제1,2링크 부재(110,120)가 펼쳐져서 그 간격이 최대가 되면 도3과 같이, 제1,2용기 금형(110,120)간의 거리가 최대가 된다.
이 상태에서 립플레이트에는 완성된 용기가 거꾸로 지지되어 있고, 이후 립플레이트가 다른 구성요소(예, 회전 테이블)에 의하여 용기 성형 모듈(1)이 있는 영역에서 이탈하여 용기 취출 모듈(미도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용기 성형 모듈10: 프레임
110: 제1용기 금형120: 제2용기 금형
210: 제1이동 블록220: 제2이동 블록
310: 회전축320: 회동부
331: 제1링크 부재332: 제2링크부재
341: 제1연결 플레이트342: 제2연결 플레이트
410: 제1결합부420: 제2결합부
440: 고정 액츄에이터500: 푸시 모듈
510: 커버 부재520: 실린더
530: 공기 공급 장치

Claims (7)

  1. 용기의 프리폼이 수용되며 용기의 외부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가 구비되고 상호 이격되거나 맞닿게 되는 분리 가능하며 립플레이트에 거꾸로 장착된 프리폼이 들어와서 수용될 수 있는 복수의 용기 금형과;
    상기 용기 금형에 부착되어 용기 금형을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동 블록과;
    상기 복수의 용기 금형 및 복수의 이동 블록이 수용되는 프레임과;
    상기 이동 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며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는 구동 드라이브와;
    구동 드라이브와 이동 블록을 연결하여 구동 드라이브의 동력을 이동 블록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와,
    복수의 용기 금형이 맞붙은 경우, 맞붙은 상태가 유지되도록 이를 유지시키는 고정 모듈과;
    복수의 용기 금형이 맞붙은 경우, 맞붙은 상태에서 상호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푸시 모듈을 포함하며,
    용기 금형은 제1용기 금형과, 제2용기 금형을 포함하고,
    이동 블록은 제1용기 금형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1 이동 블록과, 제2 용기 금형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2 이동 블록을 포함하되,
    제1,2이동블록 및 제1,2용기금형은 프레임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마련되고,
    제1이동 블록의 측면과 제2이동 블록에 측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 모듈은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맞물린 상태에서, 맞물린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 액츄에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과, 제2결합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을 포함하며, 복수의 용기 금형이 맞붙은 경우, 제1,2관통공은 서로 겹쳐저서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모듈을 구성하는 고정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왕복 운동을 하는 삽입봉이 상기 제1,2관통공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어 제1,2결합부의 결합 상태의 해제를 방지하며,
    구동력 전달부는 구동 드라이브에 연결되고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프레임의 폭방향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양측에 배치된 회동부와;
    회동부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2 링크 부재와;
    각각 제1,2링크 부재와 연결되고, 제1,2 이동 블록과 연결되는 제1,2연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동부와 상기 제1,2링크부재와, 상기 제1,2연결 플레이트는 프레임의 양측면에 배치되고,
    회동부의 회전으로 인하여 제1,2링크 부재가 회동부 주위에 모이는 경우, 제1,2 용기 금형이 맞붙고, 제1,2 링크 부재가 회동부 외측 방향으로 분산되는 경우 제1,2 용기 금형이 분리되고,
    상기 푸시 모듈은 상기 복수의 이동 블록 중 어느 하나의 이동 블록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푸시 모듈은;
    이동 블록 후방에 결합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와 이동 블록 후방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실린더와;
    상기 커버부재에 연결되어 실린더 방향으로 공기압을 제공하는 공기 공급 장치를 포함하며,
    공기 공급 장치에 의하여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 실린더가 이동 블록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1,2용기 금형들이 상호 밀착되게 밀도록 작동하되,
    제1,2용기 금형이 맞붙은 상태에서 프리폼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때에 푸시 모듈이 동작하여 제1,2용기 금형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블록의 후방에는 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홈부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후방에 위치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진입 공간이 되는 입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직경은 삽입부보다 크고, 입구부의 직경보다 작도록 마련되며
    상기 입구부 및 몸체부, 삽입부는 일체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공기가 들어올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및 커버부재는 하나의 이동 블록의 후방에 복수개로 마련되고,
    공기 공급장치의 공기 공급유로는 모든 커버 부재에 연결되어 있어서 동시에 공기를 모든 실린더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

KR1020200020992A 2020-02-20 2020-02-20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 KR102204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992A KR102204754B1 (ko) 2020-02-20 2020-02-20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
PCT/KR2021/002212 WO2021167430A1 (ko) 2020-02-20 2021-02-22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992A KR102204754B1 (ko) 2020-02-20 2020-02-20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754B1 true KR102204754B1 (ko) 2021-01-19

Family

ID=74237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992A KR102204754B1 (ko) 2020-02-20 2020-02-20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4754B1 (ko)
WO (1) WO20211674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7430A1 (ko) * 2020-02-20 2021-08-26 신우코스텍(주)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552B1 (ko) * 2012-03-26 2014-03-27 (주)피스코 페트병성형기
KR101568641B1 (ko) * 2015-01-27 2015-11-11 대창기계공업 주식회사 실린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타입 블로우 성형기
KR101585157B1 (ko) * 2015-06-26 2016-01-14 신우코스텍(주)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 그리고 인몰드 라벨 용기 성형 어셈블리
KR101585153B1 (ko) * 2015-06-26 2016-01-14 신우코스텍(주)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KR101947398B1 (ko) * 2016-05-27 2019-02-13 배민준 고압의 블로우 사출용 몰드에 대한 안정된 형폐를 보장하는 형개폐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8585A (ja) * 2010-04-05 2011-11-04 Canon Electronics Inc 金型開閉装置
KR101991815B1 (ko) * 2018-10-04 2019-06-21 이성원 금형 개폐 장치
KR102204754B1 (ko) * 2020-02-20 2021-01-19 신우코스텍(주)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552B1 (ko) * 2012-03-26 2014-03-27 (주)피스코 페트병성형기
KR101568641B1 (ko) * 2015-01-27 2015-11-11 대창기계공업 주식회사 실린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타입 블로우 성형기
KR101585157B1 (ko) * 2015-06-26 2016-01-14 신우코스텍(주)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 그리고 인몰드 라벨 용기 성형 어셈블리
KR101585153B1 (ko) * 2015-06-26 2016-01-14 신우코스텍(주)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KR101947398B1 (ko) * 2016-05-27 2019-02-13 배민준 고압의 블로우 사출용 몰드에 대한 안정된 형폐를 보장하는 형개폐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7430A1 (ko) * 2020-02-20 2021-08-26 신우코스텍(주)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7430A1 (ko)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2351B2 (en) Molding apparatus
US6036472A (en) Ejection methods and linkage apparatus for stack molds
KR100342196B1 (ko) 분할장치에 부착된 냉각장치
KR102204754B1 (ko)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
KR20010104220A (ko) 열가소성 재료로 제작된 물품의 열간 성형 장치 및 방법
US9102089B2 (en) Injection molding process
KR20160140205A (ko) 이종 재료의 사출 성형장치 및 그 방법
JPH08164538A (ja) インモールド成形方法、その金型構成体及び装置
JP4484128B2 (ja) 射出成形方法、射出成形装置
JP3304832B2 (ja) 中空成形品の多段成形方法および射出成形機
EP3906143B1 (en) Slide guidance and wear reduction for injection molding
CN220534897U (zh) 一种注吹一体机的吹塑结构
WO2012135678A2 (en) Injection blow molding in a standard injection press with a rotating table
JPH10278048A (ja) 成形機の成形型移動装置
CN220261887U (zh) 注塑锁模机构及具有其的成型机
CN218966032U (zh) 注塑模具
JP3153879B2 (ja) 合成樹脂製管状体製造用金型
JP2000301570A (ja) 射出成形機
US8500435B2 (en) Positioning device
KR101332187B1 (ko) 언더컷형 제품 금형의 취출장치
CN116811144A (zh) 一种便于脱模的驱动盖板模具
JP2003181880A (ja) 射出成形金型及び射出成形方法
KR20060012773A (ko) 사출블로우 성형장치
JPH09277314A (ja) 射出成形用金型
JPH0710537B2 (ja) 射出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