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446B1 - 커넥터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446B1
KR102204446B1 KR1020180136914A KR20180136914A KR102204446B1 KR 102204446 B1 KR102204446 B1 KR 102204446B1 KR 1020180136914 A KR1020180136914 A KR 1020180136914A KR 20180136914 A KR20180136914 A KR 20180136914A KR 102204446 B1 KR102204446 B1 KR 102204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rail
connector
slide
rail member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3739A (ko
Inventor
이원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80136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446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에 형성되는 제 1슬라이드결합부재, 고정체에 형성되어 제 1슬라이드결합부재를 슬라이드 안내함으로써 커넥터와 고정체의 조립을 허용하는 제 2슬라이드결합부재, 및 고정체에 대한 커넥터의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진동에 의한 커넥터와 고정체의 상호 완충을 안내하는 완충로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프로텍터 등의 고정체에서 커넥터를 고정하는 부분을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커넥터를 고정체에 조립 고정 후 탄성 변형으로 인해 차량의 진동시에도 고정체와 커넥터의 조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조립 부위의 탄성 변형을 통해 커넥터와 고정체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의 고정장치{CONNECTOR MOUNTING UNIT}
본 발명은 커넥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텍터 등의 고정체에서 커넥터를 고정하는 부분을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커넥터를 고정체에 조립 고정 후 탄성 변형으로 인해 차량의 진동시에도 고정체와 커넥터의 조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조립 부위의 탄성 변형을 통해 커넥터와 고정체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커넥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있다. 이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류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져 있어서 와이어링이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각종의 밴드케이블, 와이어고정판 등의 서포트(Support)부재를 사용하여서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하도록 한다.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와이어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자동차의 각 전장품들은 전력 구동원인 배터리나 발전기에 와이어 하네스로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시켜 놓지 않으면, 차량의 주행진동으로 인해서 와이어 하네스가 심하게 유동되고, 또한 다른 부품과 마찰을 일으켜서 파손되는 사태가 발생되기 때문에, 반드시 수 개의 와이어 하네스용 프로텍터로 고정시켜야 한다.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61156호(등록일 : 2012.06.19.)인 "인젝터 커넥터 일체형 프로텍터"에는 프로텍터에 커넥터를 일체로 구비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에의 커넥터는 프로텍터 등 고정체에 강제로 슬라이드 조립되어야 함에 따라 조립성이 현저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진동에 의해 고정체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프로텍터 등의 고정체에서 커넥터를 고정하는 부분을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커넥터를 고정체에 조립 고정 후 탄성 변형으로 인해 차량의 진동시에도 고정체와 커넥터의 조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커넥터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조립 부위의 탄성 변형을 통해 커넥터와 고정체의 조립시 작업자가 가하는 힘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넥터의 고정을 위한 조립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커넥터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고정장치는: 커넥터에 형성되는 제 1슬라이드결합부재; 고정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슬라이드결합부재를 슬라이드 안내함으로써, 상기 커넥터와 상기 고정체의 결합을 허용하는 제 2슬라이드결합부재; 및 상기 고정체에 대한 상기 커넥터의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진동에 의한 상기 커넥터와 상기 고정체의 상호 완충을 안내하는 완충로킹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슬라이드결합부재는, 상기 커넥터의 일측면에 나란한 한 쌍으로 배열되는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 상기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 각각의 축 방향을 따라 동일측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는 제 1막음부재; 및 나란한 상기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넥터에 돌출 형성되는 제 1걸림돌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슬라이드결합부재는, 상기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 각각을 따라 안내되도록 상기 고정체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 상기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의 단부에 접하여 상기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제 2막음부재; 및 상기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가 상기 제 2막음부재에 접할 경우, 상기 제 1걸림돌부에 걸려 상기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의 임의적 후진 이탈을 방지하는 제 2걸림돌부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로킹부는 나란한 상기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걸림돌부의 누름에 의해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제 2걸림돌부를 구비하는 탄성브릿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체는 둘레면에서 프레임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와 상기 탄성브릿지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접한 채 상기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브릿지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이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곡률보강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고정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프로텍터 등의 고정체에서 커넥터를 고정하는 부분을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커넥터를 고정체에 조립 고정 후 탄성 변형으로 인해 차량의 진동시에도 고정체와 커넥터의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립 부위의 탄성 변형을 통해 커넥터와 고정체의 조립시 작업자가 가하는 힘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넥터의 고정을 위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고정체에 고정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고정체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고정체가 분리된 상태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고정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고정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고정체에 고정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고정체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고정체가 분리된 상태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고정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의 고정장치(100)는 제 1슬라이드결합부재(110), 제 2슬라이드결합부재(120) 및 완충로킹부(130)를 포함한다.
제 1슬라이드결합부재(110)는 커넥터(10)의 둘레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 2슬라이드결합부재(120)는 프로텍터 등 고정체(20)의 둘레면에 형성된다. 이때, 제 1슬라이드결합부재(110)와 제 2슬라이드결합부재(120)가 상호 슬라이드 결합됨으로써, 커넥터(10)는 고정체(20)에 고정된다.
한편, 완충로킹부(130)는 고정체(20)에 대한 커넥터(10)의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외부 진동시 커넥터(10)와 고정체(20)의 조립 부위의 상호 완충을 안내함으로써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 1슬라이드결합부재(110)는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112), 제 1막음부재(114) 및 제 1걸림돌부(116)를 포함한다.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112)는 커넥터(10)의 일측면에 나란한 한 쌍으로 배열된다. 이때,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112)는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 1거치부재(113)를 포함한다. 물론,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112)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112)는 커넥터(1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커넥터(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막음부재(114)는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112) 각각의 축 방향을 따라 동일측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물론, 제 1막음부재(114)는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112) 각각의 동일측 단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걸림돌부(116)는 나란한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112)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커넥터(10)에 돌출 형성된다.
한편, 제 2슬라이드결합부재(120)는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122), 제 2막음부재(124) 및 제 2걸림돌부(126)를 포함한다.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122)는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112) 각각을 따라 안내되도록 고정체(20)에 나란하게 구비된다. 특히,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122)는 상호 마주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 2거치부재(123)를 포함한다.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112)와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122)가 상호 슬라이드 이동시, 제 1거치부재(113)의 상측면과 제 2거치부재(123)의 하측면이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10)는 고정체(20)에 슬라이드 이동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상부 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된다.
제 2막음부재(124)는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122)의 축 방향을 따라 동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122)를 따라 이동되는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112)의 단부에 접함으로써,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112)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122)가 제 1막음부재(114)에 접하고,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112)가 제 2막음에 접할 때까지,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112)와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122)는 상호 슬라이드 이동된다.
물론, 제 2막음부재(12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제 2걸림돌부(126)는,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112)가 제 2막음부재(124)에 접할 경우, 제 1걸림돌부(116)에 걸려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122)의 임의적 후진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 1걸림돌부(116)는 제 1경사면(117)을 형성하고, 제 2걸림돌부(126)는 제 2경사면(127)을 형성한다. 그래서,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112)가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122)를 따라 이동시, 제 1경사면(117)이 제 2경사면(127)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나서, 제 1걸림돌부(116)가 제 2걸림돌부(126)의 후측면에 걸리게 된다. 특히, 제 1걸림돌부(116)는 제 2경사면(127)을 따라 억지 이동된다.
한편, 완충로킹부(130)는 제 2걸림돌부(126)를 탄성적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완충로킹부(130)는 탄성브릿지(132)를 포함한다. 탄성브릿지(132)는 나란한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122) 사이에 구비되어 제 1걸림돌부(116)의 누름에 의해 탄성 변형되고, 제 2걸림돌부(126)를 구비한다.
즉, 제 1걸림돌부(116)가 제 2걸림돌부(126)를 누르면서 강제 이동시, 탄성브릿지(132)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제 2걸림돌부(126)가 하향하게 된다. 제 1걸림돌부(116)가 제 2걸림돌부(126)를 누르는 외력 제거시, 탄성브릿지(132)는 탄성 복원되어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그래서, 제 1걸림돌부(116)는 제 2걸림돌부(126)의 후측면에 접하여 걸리게 된다.
아울러, 고정체(20)는 둘레면에서 프레임(140)을 돌출 형성하고,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122)와 탄성브릿지(132)는 프레임(140)에 연결된다. 특히, 탄성브릿지(132)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이 프레임(140)에 연결됨으로써, 탄성브릿지(132)의 탄성 변형을 위한 허용 공간이 마련된다.
그리고,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112)는 프레임(140)에 접한 채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122)를 따라 이동된다. 즉, 커넥터(10)가 고정체(20)의 둘레면에 접하며 조립되는 것보다 고정체(20)의 둘레면에서 돌출된 프레임(140)에 접한 채 고정체(20)에 접하여 조립됨에 따라, 고정체(20)에 대한 커넥터(10)의 고정 체결을 위한 조립성이 향상된다.
물론, 탄성브릿지(132)가 고정체(2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브릿지(132)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곡률보강부(134)를 형성한다. 즉, 탄성브릿지(132)는 프레임(140)과의 연결부위가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률보강부(134)를 형성함으로써, 탄성브릿지(132)의 제 2걸림돌부(126)에 대응되는 중앙 부위가 하부 방향으로 휜 상태에서, 탄성 복원을 위한 응답성이 향상된다.
물론, 탄성브릿지(1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탄성브릿지(132)는 일측 가장자리만 프레임(140)에 연결되고, 타측 가장자리가 자유단을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프레임(140)은 고정체(20)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고정체(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브릿지(132)의 탄성 변형성에 의해, 차량의 진동시, 커넥터(10)가 소정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112)와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122)가 개별적으로 설정 범위 이상의 진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122)는 유동방지돌기(125)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유동방지돌기(125)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유동방지돌기(125)는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112)와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122) 간의 접촉 면적을 줄여 마찰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커넥터 20: 고정체
100: 고정장치 110: 제 1슬라이드결합부재
112: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 114: 제 1막음부재
116: 제 1걸림돌부 120: 제 2슬라이드결합부재
122: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 124: 제 2막음부재
126: 제 2걸림돌부 130: 완충로킹부
132: 탄성브릿지 134: 곡률보강부
140: 프레임

Claims (5)

  1. 커넥터에 형성되는 제 1슬라이드결합부재; 고정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슬라이드결합부재를 슬라이드 안내함으로써, 상기 커넥터와 상기 고정체의 결합을 허용하는 제 2슬라이드결합부재; 및 상기 고정체에 대한 상기 커넥터의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진동에 의한 상기 커넥터와 상기 고정체의 상호 완충을 안내하는 완충로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슬라이드결합부재는, 상기 커넥터의 일측면에 나란한 한 쌍으로 배열되는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 상기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 각각의 축 방향을 따라 동일측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는 제 1막음부재; 및 나란한 상기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넥터에 돌출 형성되는 제 1걸림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슬라이드결합부재는, 상기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 각각을 따라 안내되도록 상기 고정체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 상기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의 단부에 접하여 상기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제 2막음부재; 및 상기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가 상기 제 2막음부재에 접할 경우, 상기 제 1걸림돌부에 걸려 상기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의 임의적 후진 이탈을 방지하는 제 2걸림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로킹부는 나란한 상기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걸림돌부의 누름에 의해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제 2걸림돌부를 구비하는 탄성브릿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브릿지의 탄성 변형 발생시에, 상기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와 상기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가 개별적으로 설정 범위 이상의 진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는 유동방지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는 상호 마주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 2거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걸림돌부는 제 1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걸림돌부는 제 2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가 상기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를 따라 이동시, 상기 제 1경사면이 상기 제 2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둘레면에서 프레임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와 상기 탄성브릿지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 1슬라이드레일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접한 채 상기 제 2슬라이드레일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고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브릿지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이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곡률보강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고정장치.
KR1020180136914A 2018-11-08 2018-11-08 커넥터의 고정장치 KR102204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914A KR102204446B1 (ko) 2018-11-08 2018-11-08 커넥터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914A KR102204446B1 (ko) 2018-11-08 2018-11-08 커넥터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739A KR20200053739A (ko) 2020-05-19
KR102204446B1 true KR102204446B1 (ko) 2021-01-19

Family

ID=70913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914A KR102204446B1 (ko) 2018-11-08 2018-11-08 커넥터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4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059A (ko) 2020-09-02 2022-03-1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안착구조
KR102507027B1 (ko) * 2021-02-26 2023-03-07 주식회사 경신 멀티박스용 일체형 어스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5677A (ja) * 2000-07-04 2002-01-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の固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069A (ja) * 1997-06-27 1999-01-29 Yazaki Corp スライド嵌合型コネクタ
JP3276313B2 (ja) * 1997-08-08 2002-04-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嵌脱構造
JP3501344B2 (ja) * 1998-05-27 2004-03-02 矢崎総業株式会社 樹脂成形品のロック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5677A (ja) * 2000-07-04 2002-01-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の固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739A (ko) 202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32465A1 (en) Wire harness arrangement structure
KR102204446B1 (ko) 커넥터의 고정장치
CN102016333A (zh) 将两个零件保持在一起的夹子
CN110254955B (zh) 固定用捆扎带
JP6399383B2 (ja) 防振クランプ
KR101495512B1 (ko) 역조립 방지 케이블 고정용 클립
KR102226417B1 (ko)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
KR100820604B1 (ko) 자동차용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KR101455866B1 (ko) 도어 커넥터
JP2015220919A (ja) 電線固定構造
KR20120058815A (ko) 후크 터미널
JP2011150807A (ja) コネクタ
JP6294683B2 (ja) インバータ装置、及びファンの取付構造
JP2012070569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コルゲートクランプ
JP6313263B2 (ja) 光通信装置および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固定方法
CN111033065B (zh) 末端支承装置及使用末端支承装置的控制缆线组件
JP7081978B2 (ja) プロテクタ及びプロテクタの取付構造
JP2009110996A (ja) ハーネスガイド
US6971708B2 (en) Fixing structure of protector
KR100902736B1 (ko)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
CN112424027A (zh) 机动车手柄
KR20240052358A (ko) 커넥터 연결용 프로텍터
KR200473675Y1 (ko) 에어크리너의 덕트용 실링부재
KR102507034B1 (ko)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EP0536708A2 (en) Anti-vibratio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