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280B1 - 피부에서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 및 이러한 반응을 진정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에서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 및 이러한 반응을 진정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280B1
KR102204280B1 KR1020167017413A KR20167017413A KR102204280B1 KR 102204280 B1 KR102204280 B1 KR 102204280B1 KR 1020167017413 A KR1020167017413 A KR 1020167017413A KR 20167017413 A KR20167017413 A KR 20167017413A KR 102204280 B1 KR102204280 B1 KR 102204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poe
polyoxypropylene
polyoxyethylene
p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7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8990A (ko
Inventor
주니치 호소이
가오리 이노우에
쇼코 야마다
미나코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60128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61K31/765Polymers containing oxygen
    • A61K31/77Polymers containing oxygen of oxi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Immu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Toxi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자극에 대한 피부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앞서 언급된 목적은 랑게르한스 세포에서 CD39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는 성분을 발견함으로써 달성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 또는 이의 염, 폴리옥시에틸렌(POE)/폴리옥시프로필렌(POP)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 및 로즈워터의 조합이 CD39 유전자 발현을 촉진한다는 발견에 기초한다.

Description

피부에서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 및 이러한 반응을 진정시키는 방법{AGENT FOR SEDATING RESPONSE TO EXTERNAL STIMULATION IN SKIN AND METHOD FOR SEDATING THAT RESPONSE}
본 발명은 외부 자극에 대한 피부 반응을 감소시키는 약학 제제(pharmaceutical agent)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의 최외층 상에 위치한 기관이며, 외부로부터의 자극 예컨대 자외선, 물리적 자극, 화학적 자극 또는 생물학적 침입에 끊임없이 노출된다. 피부는 표피, 진피 및 피하 조직으로 이루어진 3층 구조를 가지며, 이들 중, 최외층의 표피는 각질세포, 랑게르한스 세포 및 멜라닌 세포 등으로 구성되며, 수분 손실 및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하고 자외선 및 외부 환경의 다른 요소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외부 자극 수신 시, 각질세포는 자극 반응 인자를 방출하고, 이후 방출된 자극 반응 인자의 신호를 수신하는 주변 각질세포가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하고, 이는 면역 세포를 유도하고, 자극된 부위에서 염증을 발생시킨다 (비특허문헌 1). 게다가, 최근 연구에 따르면 랑게르한스 세포가 항원 프로세싱 및 이들의 항원 제시 능력을 통해 피부의 면역 기능에 있어 중대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랑게르한스 세포는 외부에서 진입하는 항원과 빠르게 접촉하고 이 항원을 이물질로서 프로세싱하며, 이를 림프절로 수송하여 이를 T 세포에 제시한 다음 일련의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그 결과, 랑게르한스 세포는 화학적 자극과 생물학적 침입을 저지하는 역할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한편, 랑게르한스 세포는 ATPase로서 기능하는 CD39를 발현하며, 그 결과, 세포외 자극 반응 인자인 ATP의 양을 저하시키는 능력을 갖는다 (비특허문헌 2). 세포외 ATP는 염증 반응의 신호들 중 하나인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랑게르한스 세포는 세포외 ATP의 분해를 매개하여 염증의 감소에 기여함으로써 자외선 또는 물리적 자극에 의해 야기된 피부 질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랑게르한스 세포의 수가 아연 결핍으로 인해 감소하는 경우, 외부 자극에 대한 피부 반응을 진정시키는 CD39 분자의 기능이 감소하고, 이에 과도한 염증을 야기하는 자극에 대한 과민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비특허문헌 3).
이에, 피부 면역 기능의 향상, 염증 감소, 및 선번과 다른 피부 질환의 감소가 랑게르한스 세포를 증가시키거나 활성화시킴으로써 실현될 것으로 기대될 수 있기 때문에, 랑게르한스 세포를 지시자로서 사용하는 스크리닝 방법(특허문헌 1) 및 랑게르한스 세포를 증가시키거나 활성화시키는 약학적 시약 또는 감소 억제제(특허문헌 2)가 개발중에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비심사 특허 공보 제2000-236775호 [특허문헌 2] 일본 비심사 특허 공보 제2000-239144호 [특허문헌 3] 일본 비심사 특허 공보 제2004-83541호
[비특허문헌 1] Holzer, A.M. and Granstein, R.D., "Role of extracellular adenosine triphosphate in human skin", J. Cutan. Med. Surg., 2004, 8(2): 90-96 [비특허문헌 2] Mizumonot, N., et al., "CD 39 is the dominant Langerhans cell-associated ectoTNPDase: Modulatory roles in inflammation and immune responsiveness", Nat. Med., 2002, 8(4): 358-365 [비특허문헌 3] Kawamura, T., et al., "Severe dermatitis with loss of epidermal Langerhans cells in human and mouse zinc deficiency", J. Clin. Invest., 2012, 122(2): 722-732 [비특허문헌 4] Koivukangas, V. and Oikarinen, A.: Suction Blister Model of Wound Healing (2003), Methods in Molecular Medicine, 78: 255-261
본 발명의 목적은 랑게르한스 세포의 활성화를 매개함으로써 외부 자극에 대한 피부의 반응을 진정시키는 약학 제제 또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랑게르한스 세포의 활성화의 지시자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CD39 유전자 발현이 이의 지시자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밝혀내었다. CD39 유전자 발현을 지시자로서 사용하여 스크리닝을 수행했을 때, 폴리옥시에틸렌(POE)/폴리옥시프로필렌(POP)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 나트륨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 및 로즈워터(rosewater) 각각이 스트레스 조건하에 랑게르한스 세포에서 약해진 CD39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놀랍게도, 폴리옥시에틸렌(POE)/폴리옥시프로필렌(POP)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 나트륨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 및 로즈워터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랑게르한스 세포에서 CD39 유전자 발현이 상승 작용에 의해 증가하는 것을 밝혀내었으며, 이에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된 것에 관한 것이다.
(1)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 또는 이의 염, 폴리옥시에틸렌(POE)/폴리옥시프로필렌(POP)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 및 로즈워터로 이루어진 3성분을 포함하는 CD39 유전자 발현 촉진제(promoter).
(2) CD39 유전자 발현 촉진제를 제조하기 위한,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 또는 이의 염, 폴리옥시에틸렌(POE)/폴리옥시프로필렌(POP)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 및 로즈워터로 이루어진 3성분의 용도.
(3) CD39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 또는 이의 염, 폴리옥시에틸렌(POE)/폴리옥시프로필렌(POP)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 및 로즈워터로 이루어진 3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CD39 유전자 발현의 촉진을 요구하는 피험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촉진 방법.
(4) 피부에서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agent)로서,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 또는 이의 염, 폴리옥시에틸렌(POE)/폴리옥시프로필렌(POP)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 및 로즈워터로 이루어진 3성분을 포함하는 제제.
(5) 피부에서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의 제조를 위한,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 또는 이의 염, 폴리옥시에틸렌(POE)/폴리옥시프로필렌(POP)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 및 로즈워터로 이루어진 3성분의 용도.
(6) 외부 자극에 대한 피부 반응을 진정시키는 방법으로서,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 또는 이의 염, 폴리옥시에틸렌(POE)/폴리옥시프로필렌(POP)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 및 로즈워터로 이루어진 3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외부 자극에 대한 피부 반응의 감소를 요구하는 피험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정 방법.
(7) 피부 면역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로서,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 또는 이의 염, 폴리옥시에틸렌(POE)/폴리옥시프로필렌(POP)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 및 로즈워터로 이루어진 3성분을 포함하는 제제.
(8) 피부 면역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 또는 이의 염, 폴리옥시에틸렌(POE)/폴리옥시프로필렌(POP)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 및 로즈워터로 이루어진 3성분의 용도.
(9) 피부 면역 반응을 진정시키는 방법으로서,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 또는 이의 염, 폴리옥시에틸렌(POE)/폴리옥시프로필렌(POP)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 및 로즈워터로 이루어진 3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부 면역 반응의 감소를 요구하는 피험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정 방법.
본 발명은 CD39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고, 외부 자극에 대한 피부의 반응을 진정시키며, 피부 면역 반응을 진정시키는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덱사메타손 형태의 스트레스 호르몬의 첨가에 의해 약해진 CD39 유전자 발현이 폴리옥시에틸렌(POE) 14/폴리옥시프로필렌(POP) 7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A), 나트륨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B) 및 로즈워터(C)로 이루어진 3성분(A, B, C)의 동시 첨가에 의해 랑게르한스 세포에서 상당히 회복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 폴리옥시에틸렌(POE) 14/폴리옥시프로필렌(POP) 7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 및 로즈워터를 함유하는 표 1에 나타낸 화장품의 적용 동안 CD39 분자의 양에 있어 변화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β-글루칸, 폴리옥시에틸렌(POE) 14/폴리옥시프로필렌(POP) 7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 및 로즈워터로 이루어진 3성분을 포함하는, CD39 유전자 발현 촉진제, 피부에서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 및 피부 면역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에 관한 것이다.
CD39(이의 발현은 CD39 유전자 발현 촉진제에 의해 촉진됨)는 엑토뉴클레오시드 트리포스페이트 디포스포히드롤라제-1 (ENTPD1)로서 지칭되는 단백질을 나타내며, ATP/UTP 및 ADP/UDP를 각각 AMP 및 다른 뉴클레오시드로 가수분해하는 효소이다. CD39는 2개의 막 투과 도메인을 가진 막 단백질이며, 랑게르한스 세포뿐만 아니라 T 세포 서브셋, B 세포 및 수지상 세포를 포함한 다른 세포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인식된다. CD39는 세포외 ATP를 분해하는 작용을 가지며, 이러한 작용의 결과, CD39를 발현하는 세포가 염증을 진정시키는 역할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비록 ATP가 세포 외부에서 CD39의 효소 작용에 의해 분해되어진 후 세포 내에서 에너지 매체로서 사용되지만, 이는 정보 전달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물질이다. 예를 들면, ATP는 신경계에서 신경전달물질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피부에서, ATP는 기계적 자극, 화학적 자극 또는 자외선 자극에 반응하여 또는 세포 파괴의 결과로서 세포 외부에서 방출되고, 바로 가까운 면역 세포에 작용함으로써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의 생성의 촉진을 통해 면역 세포를 유도함으로써 면역력, 알레르기 및 염증 반응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비특허문헌 1). 이에, CD39를 발현하는 세포는 외부 자극에 대한 피부, 특히 표피에 의한 과민 반응을 감소시키거나, 세포외 ATP를 분해함으로써 과도한 면역 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다.
피부에서, CD39를 발현하는 세포는 주로 랑게르한스 세포 및 멜라닌 세포로 이루어지며, 피부에서 CD39의 유전자 발현의 촉진은 이들 세포, 및 특히 랑게르한스 세포의 활성화, 증식, 유도 또는 감소 억제와 관련될 수 있다. 랑게르한스 세포는 골수 유래 수지상 세포이고, 이들은 가시 세포층에서 상층까지 존재하는 이동하는 세포이며, 이들은 CD39뿐만 아니라 CD1a와 같은 마커를 발현한다. 랑게르한스 세포의 기능의 예는 외부에서 진입한 이물질의 포획과 인식 및 이러한 이물질의 T 세포로의 제시, 암세포의 인식, 면역관용의 유도 및 세포외 ATP의 분해를 포함하며, 랑게르한스 세포는 피부에서의 면역 반응에 주로 수반된다. 랑게르한스 세포의 다수의 기능들 중, CD39에 의해 매개된 세포외 ATP 분해 작용이 피부에서, 특히 표피에서 과도한 면역 반응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외부 자극에 대한 과민 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CD39 유전자 발현 촉진제는 CD39를 발현하는 세포, 특히 랑게르한스 세포에서 CD39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는 약학 제제를 지칭한다.
이에, 본 발명의 CD39 유전자 발현 촉진제는 또한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는 외부 자극에 의해 생성된, 피부, 특히 표피에서의 반응을 감소시킨다. 피부의 외부 자극의 예는 자외선, 기계적 자극, 열 자극, 저온 자극, 화학적 자극 및 생물학적 침입을 포함한다. 피부가 이러한 외부 자극을 받으면, 표피의 각질세포가 세포 밖으로 자극 반응 인자, 특히 ATP를 방출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포외 ATP가 정보 전달자로서 작용하여 면역력, 알레르기 또는 염증 반응을 유도한다. 기계적 자극의 예는 스크래칭, 스크레이핑 및 곤충자상을 포함하며 이는 예를 들면, 스크래치, 열상, 상처, 발적 또는 종창을 발생시키지만, 선번 또는 화상 등은 자외선에 의한 자극에 기인한다. 화학적 자극은 피부에 대해 과민성을 나타내는 화학 물질에 의해 유도되며, 예를 들면, 산, 염기 또는 유기 용매에 의해 유도되고, 습진, 발진 또는 피부염의 발생을 초래한다. 생물학적 침입의 일례는 박테리아 감염이다.
본 발명의 피부에서의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는 피부, 특히 표피에서의 이러한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 예컨대 염증, 또는 염증에 의해 야기되는 소양감, 발적, 통증, 작열감 또는 종창 등을 완화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그 결과로서 나타나는 증상들을 완화, 감소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피부에서의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는 앞서 언급된 증상들을 완화,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제제일 수 있다. 게다가, 피부에서의 면역 반응이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킨 결과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피부에서의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는 또한 피부 면역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에서의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는 피부의 자극 반응의 캐스케이드를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ATPase의 기능을 가진 CD39의 유전자 발현의 촉진을 통해 자극 반응을 간접적으로 완화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는 외부 자극에 대한 과민 반응을 진정시키는 피부가 보유한 정상 기능을 증진시키며, 이에 의해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는 기능을 증진시키는 제제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해준다. 염증이 발생하는 부위에 직접적으로 투여하는 대신에 심지어 염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정기적으로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는 기능을 증진시키는 제제를 사용한 결과, 외부 자극 시에 예를 들면, 소양감, 발적, 통증, 작열감, 종창 또는 발진 형태의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감소시키는 제제가 의약품에 포함될 수 있지만, 이는 바람직하게는 정기적으로 사용될 것이 의도되는 화장품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피부에서의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가 의약품에 포함되는 경우, 항염증 작용을 가진 또 다른 약학 제제가 함께 포함되면 그 약학 제제의 항염증 작용을 촉진하거나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에서의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는 또한, 피부에서 면역 반응을 감소시키고 특히 랑게르한스 세포의 감소 또는 세포외 ATP의 증가에 의해 야기되는 면역 반응의 감소, 및 특히 과도한 염증의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약학 제제이다. 과도한 염증의 예는 만성 피부염 예컨대 아토피 피부염, 건선 또는 홍피증 및 급성 피부염 예컨대 발진 또는 다른 접촉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또는 일광성 피부염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피부에서의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를 포함하는 약학 제제, 준의약품 또는 화장품의 사용은 피부가 다양한 종류의 외부 자극을 받을 때 발생하는 발적 또는 소양감 형태의 과민 반응의 발생에 대해 덜 감수성이도록 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염증성 피부 질환의 발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른다. 피부 질환 예컨대 특히 아토피 피부염의 경우, 증상은 가려움을 동반한 환부를 스크래칭함으로써 악화되기 때문에, 과도한 염증 반응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은 불용성 베타 글루칸의 카르복시메틸화에 의해 수용성이도록 개질된 베타 글루칸이다.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은 임의의 식물, 곰팡이 또는 박테리아에서 유래한 베타 글루칸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거나 또는 이로부터 합성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천연 발생 베타 글루칸은 버섯 예컨대 아가리쿠스 블라자이(Agaricus blazei), 가노더마 루시둠(Ganoderma lucidum) 또는 시조필룸 코문(Schizophyllum commune)에 의해, 또는 효모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면, 소스에 해당하는 1,000 내지 5,000,000 달톤이고, 효모로부터 얻어진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의 경우, 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5,000,000 달톤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000,000 달톤이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000,000 달톤인 반면에,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0,000 달톤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00,000 달톤이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00,000 달톤이다.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은 또한 임의 염의 형태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나트륨 염, 칼륨 염, 암모늄 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 염의 형태일 수 있다. 비록 CM-Glucan(Mibelle Biochemistry) 형태의 나트륨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이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으로서 사용될 수 있지만,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록 이것이 포함되는 화장품 또는 의약품의 약물 형태에 따라 달라지지만, 이의 혼입 양은 적절한 효능을 나타내는 관점에서 볼때 예를 들면, 0.00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02 중량% 이상 및 더 바람직하게는 0.002 중량% 이상이다. 한편,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은 용해도의 관점에서 볼때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하에서 그리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이하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옥시에틸렌(POE)/폴리옥시프로필렌(POP)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에서 사용되는 폴리옥시프로필렌(POP)의 평균 첨가 몰수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이고, 첨가되는 폴리옥시에틸렌(POE)의 평균 몰수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0이며, 첨가되는 폴리옥시에틸렌(POE)과 폴리옥시프로필렌(POP)의 총 몰수에 대해 첨가되는 폴리옥시에틸렌(POE)의 평균 몰수의 비[POE/(POE + POP)]는 바람직하게는 0.5 이상이다. 여기서, POE 및 POP는 각각 폴리옥시에틸렌 및 폴리옥시프로필렌에 대한 약어이며, 이하 동일한 방식으로 약칭된다. 게다가, 폴리옥시에틸렌(POE)/폴리옥시프로필렌(POP)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에서 사용되는 폴리옥시에틸렌 대 폴리옥시프로필렌의 몰비는 원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폴리머를 획득하는 관점에서 볼때 1:5 내지 5:1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3:1의 범위 내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1의 범위 내이다. 예를 들면, POE:POP의 비가 2:1인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POE)/폴리옥시프로필렌(POP)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는 공지 방법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특허문헌 3). 예를 들면, 히드록실기를 가진 화합물에 첨가 중합에 의해 에틸렌 옥시드 및 프로필렌 옥시드를 첨가한 후, 폴리옥시에틸렌(POE)/폴리옥시프로필렌(POP)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가 염기성 촉매의 존재하에 알킬 할라이드의 에테르화에 의해 얻어진다. 비록 이것이 포함되는 화장품 또는 약학 제제의 약물 형태에 따라 달라지지만, 이의 혼입 양은 적절한 효능을 나타내는 관점에서 볼때 예를 들면, 0.01 중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상이다. 한편, 혼입 양은 용해도의 관점에서 볼때 바람직하게는 3 중량%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하이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이다. 이와 관련해서, 폴리옥시에틸렌(POE)/폴리옥시프로필렌(POP)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는 그 자체로 또는 또 다른 성분과 조합하여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CD39 유전자 발현과 관련한 효과는 폴리옥시에틸렌(POE)/폴리옥시프로필렌(POP)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에 대해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로즈워터는 로자(Rosa) 속에 속하는 식물의 꽃잎의 스팀 증류에 의해 얻어지는 프레이그런스(fragrance)를 가진 수성 성분을 지칭한다. 비록 로즈워터를 위해 사용되는 로즈의 품종은 임의의 품종일 수 있지만, 사용될 수 있는 품종의 예는 로자 다마세나 밀러(Rosa damascena Miller) 및 로자 센티폴리아 엘.(Rosa centifolia L.)을 포함한다. 로즈워터는 로즈 꽃잎에 대해 고온 및 고압에서 (예를 들면, 4 atm 및 120℃) 스팀 증류한 후에 얻어진 수성 층 성분을 여과함으로서 얻어지며, 이후 여액이 그 자체로 사용된다. 이의 혼입 양은 적절한 효능을 나타내는 관점에서 볼때 예를 들면, 0.01% (v/v)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5% (v/v)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1% (v/v) 이상이다. 한편, 혼입 양은 용해도의 관점에서 볼때 바람직하게는 3% (v/v)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 (v/v) 이하이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5% (v/v) 이하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 또는 이의 염, 폴리옥시에틸렌(POE)/폴리옥시프로필렌(POP)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 및 로즈워터의 블렌딩 비는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 또는 이의 염의 2% 수용액의 혼입 양에 대해 1의 값을 기준으로 1:1 내지 100:1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20:1 내지 20 및 더 바람직하게는 1:10:10이다.
CD39 유전자 발현 촉진제,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 및 피부에서의 면역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는 화장품, 의약품 또는 준의약품에 각각 혼입될 수 있다. 이들 약제는 경구, 비경구 또는 경피 투여될 수 있다. 경피 투여의 경우, 약학 제제는 외용 피부 조제물의 형태일 수 있다. 피부에 도포될 수 있다면 외용 피부 조성물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도포될 수 있는 약물 형태의 예는 용액, 에멀젼, 고형물, 반고형물, 파우더, 분리된 수-오일 2층 조제물, 분리된 수-오일-파우더 3층 조제물, 연고, 겔, 에어로졸, 무스, 스틱 및 다른 임의의 약물 형태를 포함한다. 외용 피부 조제물을 제제화하는 경우, 조제물 베이스뿐만 아니라 외용 피부 조제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히클 예컨대 방부제, 유화제 또는 pH 조절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항염증 성분 예컨대 스테로이드 또는 항히스타민제가 또한 첨가될 수 있다. 화장품에 혼입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 제제는 얼굴 또는 바디를 위한 화장품, 예컨대 뷰티 세정제, 밀키 로션, 뷰티 로션, 크림, 로션, 얼굴팩, 에센스 또는 겔에, 메이크업 화장품 예컨대 파운데이션, 코스메틱 베이스 또는 컨실러에, 또는 목욕 첨가제에 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사용은 본 발명의 성분들이 염증 반응을 완화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발적, 가려움 또는 발진의 발생에 덜 민감한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CD39 유전자 발현 촉진제, 피부에서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 및 피부 면역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 즉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 또는 이의 염, 폴리옥시에틸렌(POE) 14/폴리옥시프로필렌(POP) 7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 및 로즈워터로 이루어진 3성분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장품 적용 방법,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는 방법,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 방법 및 염증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들 방법에서, 본 발명의 3성분의 투여는 3성분 모두를 포함하는 외용 피부 조제물 또는 화장품을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개개 성분을 포함하는 외용 피부 조제물들 또는 화장품들을 잇달아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인간 랑게르한스 세포-유사 세포에서 각 성분의 CD39 발현 촉진 효과
THP-1 세포(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미국 버지니아주)를 인간 랑게르한스 세포에 대한 대용물로서 사용하였다. 대략 200,000 THP-1 세포를 10% FBS 함유 RPMI1640 배지에서 컴플루언스로 배양했다. 배양 이후에, 10 nM 덱사메타손 형태의 스트레스 호르몬을 첨가한 다음 0.1% 폴리옥시에틸렌(POE) 14/폴리옥시프로필렌(POP) 7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A), 0.01%의, 나트륨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의 2% 수용액 (CM-Glucan, Mibelle Biochemistry)(B) 및 0.1% 로즈워터 (Bulgaria Rose Water, Toyotama International)(C)를 각각 첨가했다. 또한, 3성분 모두 각각 1/3 포함한 3-종류 믹스처 그룹(ABC)을 첨가했다. 첨가 후 24시간 배양한 후, RNA를 Isogen(Wako Pure Chemical Industries)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Superscript III 및 랜덤 프라이머(Invitrogen)를 사용하여 cDNA를 합성했다. SYBR Green(Invitrogen) 및 이하에 나타낸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rism 7900HT(ABI)로 RT-PCR을 수행했다.
1) CD39-정방향: GGAGAATGACACAGGCGTGGTGCATC (서열 번호: 1)
CD39-역방향: GTGGCTCCCAGGTAAACGGGTGTCT (서열 번호: 2)
2) RPS9-정방향: TGCTGACGCTTGATGAGAAG (서열 번호: 3)
RPS9-역방향: CGCAGAGAGAAGTCGATGTG (서열 번호: 4)
이러한 RT-PCR 동안, 리보솜 단백질 S9를 표준화 인자로서 사용했다. 결과가 도 1에 도시된다. 덱사메타손 형태의 스트레스 호르몬을 첨가했을 때, CD39의 발현이 랑게르한스 세포-유사 세포에서 감소했다. 폴리옥시에틸렌(POE) 14/폴리옥시프로필렌(POP) 7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그룹 A), 나트륨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그룹 B) 및 로즈워터(그룹 C)를 각각 첨가하는 경우, CD39의 감소된 발현 수준이 어느 정도 개선되었다. 한편, 3성분 모두 각각 1/3 포함한 3-종류 믹스처 그룹(그룹 ABC)을 첨가하는 경우, 감소된 CD39 발현 수준이 덱사메타손 무-첨가 그룹의 발현 수준과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회복되었고, 다른 시험 그룹(그룹 A, B 및 C)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p<0.01, 쉐프(Scheffe)의 F 테스트).
실시예 2: 시험 피험체에서 각 성분의 적용 후 CD39 발현 수준에 있어 변화
0.1% 폴리옥시에틸렌(POE) 14/폴리옥시프로필렌(POP) 7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 0.01%의, 나트륨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의 2% 수용액(CM-Glucan, Mibelle Biochemistry) 및 0.1% 로즈워터(Bulgaria Rose Water, Toyotama International)를 함유하는 화장품(상세한 조성에 대해서는 표 1 참조)을 도포 시험에 사용했다. 표 1에 기재된 화장품을 20 내지 30세의 10명의 건강한 남성 피험체 및 49 내지 58세의 12명의 건강한 남성 피험체에 6주간 1일 2회 도포했다. 석션 블리스터링 방법을 사용하여 의사에 의해 표피 샘플을 수집했다. 석션 블리스터링 방법은 연속 도포 이전 및 이후에 비특허문헌 4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진공 펌프의 단부에 연결된 시린지를 피부와 접촉시키고, 30분 내지 60분간 석션하며, 블리스터가 형성된 표피를 컷팅하여 제거함으로써 표피 샘플을 수집했다. 수집된 표피를 포스페이트-완충된 식염수(PBS)로 세척하고, 아세톤으로 고정했으며 10% 염소 혈청으로 블로킹한 후, 항-CD39 항체(ab97552, Abcam) 및 Alexa Fluor 488-표시된 염소 항-마우스 항체(Alexa Fluor 488, Molecular Probes, A11001)로 면역형광 염색을 실시했다. 레이저 스캐닝 공초점 현미경(Pascal, Zeiss)을 사용하여 단면 이미지를 얻었으며, 얻어진 이미지를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IP Labo 4.0, Solution System)를 사용하여 양성 부위의 비율에 대해 정량 분석했다. 결과가 도 2에 도시된다. 폴리옥시에틸렌(POE) 14/폴리옥시프로필렌(POP) 7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 나트륨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의 2% 수용액 및 로즈워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6주간 팔뚝에 도포한 결과, 표피에 존재하는 CD39 분자가 유의하게 증가했다 (도 2).
원료 혼입 양 (%)
에탄올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아크릴산-알킬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수산화칼륨
글리세릴 트리-2-에틸렌 헥사노에이트
dl-α-토코페롤 아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14)/폴리옥시프로필렌(7) 디메틸 에테르
나트륨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 (2% 수용액)
로즈워터
프레이그런스
정제수
5
1
5
0.1
0.1
0.1
4
0.1
0.1
0.01
0.1
0.1
84.29
[제제 예]
원료 혼입 양 (%)
디메틸폴리실록산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1500
스쿠알란
스테아릴 알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알킬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14)/폴리옥시프로필렌(7) 디메틸 에테르
나트륨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 (2% 수용액)
로즈워터
방부제
프레이그런스
정제수
1
3
6
4
5
3
0.2
0.1
0.5
0.05
0.2
적당히
적당히
밸런스
원료 혼입 양 (%)
디메틸폴리실록산
에탄올
베헤닐 알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 글리콜
에리트리톨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0
스쿠알란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나트륨 N-스테아로일-L-글루타메이트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아르기닌 클로라이드
트리소듐 에데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14)/폴리옥시프로필렌(7) 디메틸 에테르
나트륨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 (2% 수용액)
로즈워터
방부제
프레이그런스
정제수
1
3
0.3
5
5
1
1
0.4
0.1
0.2
0.1
0.1
0.1
1
0.1
0.01
적당히
적당히
밸런스

Claims (7)

  1.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 또는 이의 염, 폴리옥시에틸렌(POE)/폴리옥시프로필렌(POP)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 및 로즈워터(rosewater)로 이루어진 3성분을 포함하는, CD39 유전자 발현 촉진을 위한 화장용 조성물.
  2.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 또는 이의 염, 폴리옥시에틸렌(POE)/폴리옥시프로필렌(POP)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 및 로즈워터로 이루어진 3성분을 포함하는, 피부에서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화장용 조성물.
  3.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 또는 이의 염, 폴리옥시에틸렌(POE)/폴리옥시프로필렌(POP)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 및 로즈워터로 이루어진 3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면역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화장용 조성물.
  4. 카르복시메틸-베타 글루칸 또는 이의 염, 폴리옥시에틸렌(POE)/폴리옥시프로필렌(POP) 랜덤 코폴리머 디메틸 에테르 및 로즈워터로 이루어진 3성분을 포함하는, 만성 피부염 또는 급성 피부염의 치료 또는 예방용 피부 외용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가 CD39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는 것인 피부 외용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가 피부에서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는 것인 피부 외용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가 피부 면역 반응을 진정시키는 것인 피부 외용제.
KR1020167017413A 2014-03-12 2014-03-12 피부에서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 및 이러한 반응을 진정시키는 방법 KR102204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57629 WO2015136718A1 (en) 2014-03-12 2014-03-12 Agent for sedating response to external stimulation in skin and method for sedating that response technical fiel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990A KR20160128990A (ko) 2016-11-08
KR102204280B1 true KR102204280B1 (ko) 2021-01-15

Family

ID=51469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7413A KR102204280B1 (ko) 2014-03-12 2014-03-12 피부에서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 및 이러한 반응을 진정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17710B2 (ko)
EP (1) EP2941254B1 (ko)
JP (1) JP6381641B2 (ko)
KR (1) KR102204280B1 (ko)
CN (1) CN104039337B (ko)
WO (1) WO20151367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0091070A1 (ja) * 2018-11-02 2021-09-30 株式会社 資生堂 オルタナティブオートファジー誘導剤を含む紫外線起因性炎症抑制剤
JP2020176065A (ja) * 2019-04-15 2020-10-29 共栄化学工業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WO2022045261A1 (ko) * 2020-08-27 2022-03-03
US11789476B2 (en) 2021-01-18 2023-10-17 Altria Client Services Llc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including intra-draw heater control, and methods of controlling a hea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9113A (ja) * 2003-05-14 2004-12-02 Ichimaru Pharcos Co Ltd ストレスによる肌荒れ予防改善剤
US20100233128A1 (en) 2009-03-13 2010-09-16 Mci Media Capital Inc. Natural Skin Products Containing Dairy and Process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4713B1 (fr) 1996-10-22 1999-01-08 Roc Sa Utilisation de complexes pour la preparation de compositions pour le traitement des peaux sensibles, procede de preparation et compositions hypoallergeniques
US5968530A (en) * 1997-10-17 1999-10-19 International Flora Technologies, Inc. Emollient compositions
JP2000239144A (ja) 1999-02-22 2000-09-05 Kose Corp ランゲルハンス細胞減少抑制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2000236775A (ja) 1999-02-23 2000-09-05 Shiseido Co Ltd 感作動物における免疫応答の制御
JP3660656B2 (ja) * 2001-09-28 2005-06-15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US7625574B2 (en) 2001-09-28 2009-12-01 Shiseido Research Center Skin treatment composition
JP3759714B2 (ja) * 2001-12-27 2006-03-29 株式会社資生堂 幹細胞因子の産生・放出の抑制による掻痒、肌荒れ、敏感肌及び美白用薬剤
GB0204010D0 (en) 2002-02-20 2002-04-03 Xaar Technology Ltd Droplet deposition apparatus
JP2003277221A (ja) 2002-03-22 2003-10-02 Takeshi Fukuda 皮膚外用剤
US20060292108A1 (en) * 2005-06-28 2006-12-28 Ibrahim Hanna Topical skin mask for oily and acneic skin
BR112012017243A2 (pt) 2010-01-13 2017-09-19 Apt Therapeutics Inc constructos terapêuticos de apirase, agentes de apirase, e métodos de produção
JP6122605B2 (ja) 2012-10-16 2017-04-26 株式会社 資生堂 美白方法及びメラニン合成抑制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9113A (ja) * 2003-05-14 2004-12-02 Ichimaru Pharcos Co Ltd ストレスによる肌荒れ予防改善剤
US20100233128A1 (en) 2009-03-13 2010-09-16 Mci Media Capital Inc. Natural Skin Products Containing Dairy and Process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Cosmetic Science. 2010. Vol.61, No.1, pp.39-4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81641B2 (ja) 2018-08-29
KR20160128990A (ko) 2016-11-08
WO2015136718A1 (en) 2015-09-17
US10617710B2 (en) 2020-04-14
EP2941254B1 (en) 2017-01-11
EP2941254A1 (en) 2015-11-11
CN104039337B (zh) 2020-06-02
US20170014444A1 (en) 2017-01-19
CN104039337A (zh) 2014-09-10
JP2017511790A (ja) 2017-04-27
EP2941254A4 (en)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9856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skin diseases and disorders using antimicrobial peptide sequestering compounds
KR102204280B1 (ko) 피부에서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 및 이러한 반응을 진정시키는 방법
ES2433690T3 (es) Composiciones que comprenden extracto de Hypsizygus ulmarius
KR20190014477A (ko) 은이 버섯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US20160120792A1 (en)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US20200384046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damage by fine dust comprising culture or its extract of aureobasidium pullulans
EP2612654A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elasticity
WO2007132900A1 (ja) 皮膚保湿剤および皮膚炎治療剤
EP3130332B1 (en) Anti-aging external skin preparation
US20190365637A1 (en) Cytomimetic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Li et al. Fucoidan may treat jellyfish dermatitis by inhibiting the inflammatory effect of jellyfish venom
Krisdaphong et al. Evaluation of Immunological and Moisturizing Activities of Beta-Glucan Isolated from Molasses Yeast Waste
TWI630920B (zh) 緩和皮膚對外在刺激之反應之製劑及緩和該反應之方法
EP390379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lonal stem cell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WO2022045261A1 (ja) Cd39遺伝子の発現低下の抑制剤
JP2016084337A (ja) 外用組成物
KR20160000318A (ko) 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2019224A1 (ja) 核酸損傷抑制剤、皮膚外用剤、および核酸損傷抑制方法
US11413313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clonal stem cells
JP6868060B2 (ja) 皮膚疾患の治療効果を有するキク抽出物の作製方法、皮膚疾患の治療効果を有するキク抽出物、およびその抽出物を含む医薬組成物
TWI716940B (zh) 使用2,4-二甲氧基-6-甲基苯-1,3-二醇來預防和/或治療乾癬
KR101583478B1 (ko)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JP4889986B2 (ja) Dhea作用増強剤
JP2022119185A (ja) 抗光老化のための薬剤及び美容方法,並びに抗光老化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KR20200137491A (ko)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