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478B1 -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478B1
KR101583478B1 KR1020090016784A KR20090016784A KR101583478B1 KR 101583478 B1 KR101583478 B1 KR 101583478B1 KR 1020090016784 A KR1020090016784 A KR 1020090016784A KR 20090016784 A KR20090016784 A KR 20090016784A KR 101583478 B1 KR101583478 B1 KR 101583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ritation
cosmetic composition
skin
skin irritation
tocophe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7904A (ko
Inventor
이창근
박원석
신홍주
김도훈
박종희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016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478B1/ko
Publication of KR20100097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항자극용 화장용 조성물은 홍경천 추출물, 베타 카로틴, 토코페롤 및 극한 미생물 발효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다.
항자극, 화장료, 홍경천

Description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anti-irritation}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환경과 항상 접하고 있는 기관으로서, 그 주된 기능은 수분손실을 막는 보호장벽으로서의 역할이다.
표피의 각질층은 피부에서도 가장 외측에 존재하면서 피부 밖으로 수분과 전해질이 소실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건조를 막고 피부의 정상적인 생화학적 대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외부의 물리적 손상과 화학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거나 세균, 바이러스 등이 피부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대인들은 일상생활에서 자극물질에 많이 노출되어 있으며, 특히 세정제나 유액제품 등에 함유되어 있는 합성계면활성제들의 빈번한 사용으로 인하여 피부가 많은 자극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이 피부와 관련된 많은 제품은 자극이나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서 개인 관리 제품(Personal care products)을 사용하는 사람 중 10% 이상이 피부에 대한 부작용을 호소하고 있으며, 1990년대 미국에서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0% 이상이 자신을 민감성 피부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최근의 화장품은 피부에 실질적인 효과(real effect)를 줄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cosmeceutical)에 치중하는 동향이어서 화장품 등의 개인 관리 제품의 사용으로 인한 피부 부작용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건조한 실내환경, 공해, 자외선, 바람, 오용된 화장품이나 세제류 등 외부자극에 의해 피부가 민감해져가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외부 자극에 의해 민감해진 피부는 홍반과 같이 단순히 가시적인 경우도 있으며, 또한, 가려움, 따가움 등과 같이 몹시 심하고 불쾌한 염증반응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으므로 대중적인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기에는 약간 부담스럽고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자제하게 된다.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고 미화 청결을 위해 사용하는 제품이지만 화장품 조성물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래의 피부 보호 목적과는 상이한 성분들이 제품형성에 필수 불가결한 존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가용화제, 유화제, 방부제, 향료, 자외선 차단제 및 기타 효능,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가지 부가물들을 들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성분들이 피부에 염증, 알레르기, 뾰루지 또는 부종 등을 유발하는 주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
화장품의 사용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피부자극에는 가려움(itching), 따끔 거림(stinging) 및 화끈거림(burning) 등의 자극감과 홍반(erythema) 및 부종(edema) 등이 있다. 접촉성 피부염으로는 자극성 접촉 피부염,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감각성 자극 및 광독성 피부염 등이 대별할 수 있으나, 이들을 명확하게 구별하기는 어려우며 서로 혼합되어 일어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무엇보다도 피부 자극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우선 화장품에 의한 피부 침투가 일어나야 하며, 이들이 표피 혹은 진피세포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면역체계가 활성화되어 자극이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피부 자극을 완화하기 위해서 피부 자극 유발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동원되었으나, 최근에는 기능성 화장품 제조가 늘어나고 있으며, 기능성 원료 자체가 자극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연구는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피부자극을 완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어 왔으며, 예를 들면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기능성 원료 자체가 자극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연구에는 한계가 있다. 즉, 락트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레티노이드(retinoid) 등은 피부세포 재생의 촉진 또는 항주름의 효과를 위해 화장품에 함유되지만 피부자극을 유발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NaOH나 KOH 등의 강알칼리를 자극 유발 기능성원료에 첨가하여 산도를 중화시켜 자극을 완화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나, 이와 같은 처방은 기존 원료의 효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피부 자극을 저하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홍경천 추출물, 베타 카로틴, 토코페롤 및 극한 미생물 발효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은 선천적으로 예민하거나 또는 자극 및 시술 등으로 예민해진 피부에도 안전하게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홍경천 추출물, 베타 카로틴, 토코페롤 및 극한 미생물 발효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항자극"이라 함을 피부 자극을 억제하거나 저하하는 것을 말하며, 이때 "피부 자극"이라 함은 가려움(itching), 따끔거림(stinging) 및 화끈거림(burning) 등의 피부 자극감뿐만 아니라 홍반(erythema) 및 부종(edema) 등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용어이다.
홍경천은 참돌꽃(학명: Rhodiola Sachalinensis A. Bor)이라 하는데, 해발 2000 내지 5000 m 정도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이다. 홍경천은 일교차가 크고 건조하며, 산소가 희박하고, 자외선이 강한 고산 지대의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특수한 적응성을 가지고 있어 고산 경천 또는 고산 홍경천 등의 별명으로도 불린다. 홍경천의 주요한 성분은 살리드로사이드(salidroside), 타이로솔(tyrosol), 및 배당체를 비롯하여 전분, 단백질, 지방, 당분, 플라본류 화합물, 아미노산, 무기원소 및 미량의 정유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자극 화장료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홍경천 추출물은 통상적인 추출방법에 의해 얻는다. 이때, 홍경천은 그 뿌리, 잎, 줄기 모두를 사용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홍경천을 그늘에서 충분히 말린 뒤, 절단기로 세절하거나 분쇄기로 분쇄하여 추출물의 출발물질을 만들고,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과 같은 유기용매 및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바람직한 추출 용매로는 예를 들어 80%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추출 온도는 예를 들어 약 10∼80℃ 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6∼24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홍경천 추출물은 피부 자극 완화 또는 억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자극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베타 카로틴과 토코페롤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 자유 라디칼(free-radical)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피부 자극을 완화 또는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베타 카로틴과 토코페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자극 화장료 조성물에서 각각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마이크로 캡슐화하거나 또는 나노 유화 입자화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자극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극한 미생물 발효물은 고온에서도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 이또한 자유 라디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피부 자극을 완화 또는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극한 미생물 발효물은 예를 들어 더무스 더모필러스(Thermus thermophilu) 발효물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도호열균 발효물은 더무스 더모필러스를 예를 들어 약 75℃, 약 200 bars의 압력에서 배양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배양배지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더무스 더모필러스 배양용 배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특정하지 않더라도 당업자라면 상기 더무스 더모필러스를 배양하기 위한 적절한 배양온도 및 배지를 한국미생물존센터(KCCM)나 생물자원센터(KCTC)에서 검색하여 선택하는 것이 용이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홍경천 추출물, 베타 카로틴, 토코페롤 및 극한 미생물 발효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1∼50.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효성분은 상기 중량 범위에서 우수한 항자극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자외선차단제 등의 기초화장료와 파운데이션, 립스틱 등의 메이컵화장료로 제형화하여 사용 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참고예 1] 홍경천 추출물 제조
건조한 홍경천 뿌리 1 kg에 중량대비 10배의 80% 에탄올 수용액 10 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45℃에서 3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홍경천 추출물 90 g을 얻었다.
[참고예 2] 베타카로틴/토코페롤 함유 캡슐 제조
부틸렌글리콜 15.0 g,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트 2.4937 g, 마이크로바이오사이드 콜레티카[Microbiocide COLETICA: 부틸렌글리콜, 에틸파라벤, 메틸파라벤 및 프로필파라벤] 2.0 g, 아스코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1.25 g, 토코페롤 1.25 g, 카보머(Carbomer) 0.3 g 및 소듐 DNA(Sodium DNA) 0.0062 g을 용해한 후 잔량의 물을 넣고 유성연동 교반(planetary stirring)하면서 35℃ 이하의 온도에서 pH 5-8 사이로 조절하여 베타카로틴/토코페롤 함유 캡슐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3] 더무스 더모필러스 발효물 제조
더무스 더모필러스를 배양배지[THERMUS THERMOPHILUS MEDIUM[335]: 증류수 1 ℓ 기준으로 효모 추출물 4.0 g, 폴리펩톤 8.0 g 및 NaCl 2.0 g로 구성되며, pH 7.0으로 조절]에서 75℃, 200 bars의 압력에서 7일간 배양하여 더무스 더모필러스 발효물 20 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들을 포함하는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의 에멀젼을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먼저, 스쿠알란과 PEG-60 경화 피마자유를 혼합한 유상을 72℃로 가온하여 7000 rpm으로 3분간 충분히 섞어주었다. 나머지 성분들은 수상에 따로 섞어주었고, 이 수상을 상기 유상에 천천히 첨가하며 7000 rpm으로 3분간 호모믹싱(homomixing) 해주었다. 자극유발원료로서 SLS(Sodium Lauryl Sulfate)를 일정량 첨가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스쿠알란 5.0 5.0 5.0 5.0 5.0
PEG-60 경화 피마자유 0.5 0.5 0.5 0.5 0.5
홍경천 추출물(참고예 1) 1.0 - 1.0 1.0 -
베타카로틴/토코페롤 함유 캡슐(참고예 2) 1.0 1.0 - 1.0 -
더무스 더모필러스 발효물(참고예 3) 1.0 1.0 1.0 - -
SLS 2.0 2.0 2.0 2.0 2.0
[시험예 1]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에멀젼의 피부 자극 감소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40대 여자 24명을 대상으로 종래의 화장료에 의한 자극이 심한 부위 또는 피부과시술을 통해 자극이 심해진 부위에 4주간 하기의 평가방법을 통하여 실험하였다.
1) 첫날 피부과 전문의가 상주하는 곳으로 환자들이 내방하여 최초 피부상태를 측정하고 자극예민정도를 문답으로 확인하였다. 문답에는 따가움, 화끈거림, 가려움 및 눈이 시림 등을 항목별로 그 강도를 9점척도로 표시하도록 하였으며, 시간에 따라 기록하도록 하여서 도포 후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정도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2) 세안 후 항온항습실에서 30분 이상 대기하면서 안정을 취하게 하였다.
3) 얼굴의 부위별 피부자극 정도를 확인한 후,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을 각각 피험자별로 다른 시료를 얼굴 전체에 고르게 도포한 다음 항온항습실에서 대기하였다.
4) 10분 후 9점척도의 문답에 의해 피험자의 자극정도를 확인하였다.
5) 다음날과 그 다음날(실험 삼일째) 내방하여 화장료를 도포한 부위의 자극을 확인하였다.
6) 피험자에게 지속사용할 에멀젼과 문답지를 배부하면서 매일 사용과 함께 자극감을 기록할 것을 교육시켰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으며, 도 1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4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피부의 자극이 도포전보다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비교예 1을 도포한 경우에는 피부자극 감소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4의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자극을 피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경우 비교예 1에서 나타나는 자극감과 자극이 전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품 사용 후의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인원의 92% 정도가 부정기적으로 불확실한 원인물에 의한 얼굴의 자극감이 없어지고 시술후 열감이 사라짐을 느낄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도 1은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의 화장료 도포 후 자극 감소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9점기준으로 자극이 강해지는 정도에 따라 숫자가 커지는 채점기준의 점수이다. 점수는 따가움, 화끈거림, 가려움 및 눈이 시림의 4가지 항목에 대한 평균값을 나타낸다.

Claims (3)

  1. 홍경천 추출물, 베타 카로틴, 토코페롤 및 더무스 더모필러스(Thermus thermophilus)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홍경천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홍경천 추출물, 베타 카로틴, 토코페롤 및 더무스 더모필러스 발효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1∼50.0 중량%로 함유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16784A 2009-02-27 2009-02-27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83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784A KR101583478B1 (ko) 2009-02-27 2009-02-27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784A KR101583478B1 (ko) 2009-02-27 2009-02-27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904A KR20100097904A (ko) 2010-09-06
KR101583478B1 true KR101583478B1 (ko) 2016-01-11

Family

ID=43004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784A KR101583478B1 (ko) 2009-02-27 2009-02-27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4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49372B (zh) * 2023-06-08 2024-05-24 诺德溯源(广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遇热增强的抗氧化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3839A1 (fr) * 2006-07-06 2008-01-10 Laboratoires Clarins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utter contre les effets des ondes electromagnetiques sur la peau
WO2008034821A1 (en) 2006-09-20 2008-03-27 Chanel Parfums Beaute Cosmetic use of active agents that stimulate matriptase express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9849A (ja) * 1994-10-20 1996-05-14 Kose Corp 皮膚外用剤
KR100505818B1 (ko) * 1998-03-23 2006-02-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산홍경천 추출물 함유 두발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3839A1 (fr) * 2006-07-06 2008-01-10 Laboratoires Clarins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utter contre les effets des ondes electromagnetiques sur la peau
WO2008034821A1 (en) 2006-09-20 2008-03-27 Chanel Parfums Beaute Cosmetic use of active agents that stimulate matriptase expre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904A (ko) 2010-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946B1 (ko) 인삼꽃 흑효모 발효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Rg3 강화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246578B2 (ja) 皮膚化粧料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07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카카두플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45476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산자나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4056871A (ja) 毛髪化粧料
KR101860352B1 (ko) 청호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6796A (ko)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KR101662272B1 (ko) 흑미의 배아와 미강 추출물 및 보리 추출물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JP2003176218A (ja) 皮膚外用剤
JP2014221754A (ja) 化粧料
KR20140137540A (ko)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1953676B1 (ko) 악마의 발톱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2007045733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101843976B1 (ko) 흑효모 발효 발아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83478B1 (ko)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US8986758B2 (en) Method for extracting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component using a polished-rice steaming method
JP6559948B2 (ja) 皮膚ターンオーバー改善剤
KR2019002111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피지 분비 억제용, 또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JP4716497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101969684B1 (ko) 천연 미세침 분말과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3523A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7422B1 (ko) 때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525091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