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491A -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491A
KR20200137491A KR1020190063947A KR20190063947A KR20200137491A KR 20200137491 A KR20200137491 A KR 20200137491A KR 1020190063947 A KR1020190063947 A KR 1020190063947A KR 20190063947 A KR20190063947 A KR 20190063947A KR 20200137491 A KR20200137491 A KR 20200137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barrier
strengthening
methyl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821B1 (ko
Inventor
김규한
최현정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90063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821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을 적정 함량 범위로 포함하며, 피부 장벽 마커의 발현시켜 정상적인 각질층을 형성함으로써 피부 장벽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REINFORCING SKIN BARRIER}
본 발명은 피부 장벽 강화를 통해 피부 보습 효능을 나타내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각질층의 주요 기능은 피부의 수분 증발을 막거나 외부로부터 유해물질의 침투를 막아 피부를 보호해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특히, 각질층에는 건조중량 대비 30%의 물이 존재하는데 이중 20%는 각질세포(corneocyte) 내에 존재하고 10%는 세포간 지질에 존재한다. 각질세포 내의 물은 필라그린이 분해된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erizing Factors; NMFs)와 결합하여 존재한다.
필라그린은 표피의 분화과정 중 최종 분화와 관련되어 발현되며, 필라그린외에 인볼루크린과 로리크린도 보습과 관련된 중요한 마커들이다. 로리크린은 최종 분화를 거치는 동안 발현되는 단백질로서, 각질 형성 세포가 분화하여 안정적인 각질을 형성하는데 필요하며 각질 질량의 7085%를 차지하는 물질인데, 이는 트랜스글루타미나제가 촉매하는 펩티드간의 교차결합에 참여할 수 있는 글루타민과 리신이 풍부한 도메인을 가지고 있으며, 각질 형성 단백질들간의 교차결합을 도와줌으로써 각질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로리크린은 상부 과립층에서 세포막과 서로 결합하여 단백질로 완성되므로, 각질 형성 세포의 최종 분화 과정을 추적하는 데 있어서 표지자로 사용된다.
필라그린, 인볼루크린, 로리크린과 같은 마커들의 증가는 정상적인 각질층의 형성을 통해 각질세포 내에 NMF의 전구체인 필라그린과 세포간 지질이 정상화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외부 환경 변화인 대기 건조, 자외선 및 각종 공해 물질로 피부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피부 조직의 수분 유지를 촉진하면서, 피부 조직의 수분의 손실을 방지하는 피부 장벽을 강화하도록 각질층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필라그린, 인볼루크린, 로리크린 등과 같은 마커의 발현을 촉진하는 피부 보습용 물질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457949호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종래 미백 기능성 물질로만 인식되었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을 이용하여 피부 장벽 강화를 통해 보습 기능성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pat00001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부틸이고, 상기 X는 CO 또는 CH2=CH2CO 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미백 기능성 물질로만 인식되었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적정량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은 각질 형성 세포에서 필라그린의 생성을 촉진하고, 로리크린(loricrin) 및 인볼루크린(involucrin)의 발현을 증가시켜 정상적인 각질층 형성을 촉진하며, 이로 인하여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적정량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피부에 적용할 경우 피부 장벽기능 강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항산화 기능 개선과 강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의 처리 유무 및 처리량에 따른 피부 장벽 마커 발현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는 생물의 외부를 덮고 있는 기관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얼굴 또는 몸 전체의 외부를 덮는 조직 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멜라솔브(melasolve)라는 상표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at00002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부틸이고, 상기 X는 CO 또는 CH2=CH2CO 이다.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은 미백 기능을 나타내는 물질로만 인식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이 각질 형성 세포에 포함된 피부 장벽 마커인 필라그린, 로리크린 및 인볼루크린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피부 장벽 마커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특성을 이용하여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멜라솔브(melasolve)라는 상표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피부 장벽 마커인 필라크린, 로리크린 또는 인볼루크린의 발현량 증가 정도가 미미하고, 10 중량% 초과이면 조성물의 안정성과 제형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제조 비용이 상승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은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에서 필라그린, 로리크린 및 인볼루크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피부 장벽 마커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피부 장벽의 최외각을 이루는 각질층은 천연보습인자와 지질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필라그린(Filaggrin)은 표피 세포에 존재하는 케라틴 섬유에의 부착과 관련된 단백질로서, 표피의 최종 분화를 촉진한다. 전사 후 변형(posttranscriptional modification) 과정을 거쳐 여러 종류의 친수성 아미노산(hydrophilic amino acid)으로 분해되며, 아미노산 풀(pool)이 천연 보습인자(NMF)를 구성하고, 이는 각질층의 수분 유지를 돕는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필라그린 유전자 돌연변이가 피부 보습 인자들을 감소시키고, 피부 장벽 기능을 손상시키며,알러젠(allergen)이나 미생물(microbe)에 대한 피부 방어 능력이 감소시키고, T 세포군을 활성화하여 자가면역 메커니즘에 의한 만성 염증(chronic inflammation)을 일으켜 아토피 습진(Atopic eczema)를 유도하는 중요 유전 위험 요소라고도 알려져 있다. 상기 인볼루크린(Involucrin)은 각질형성세포의 가교(crosslink)를 이루는 요소 중의 하나로서 세포질에서 발견이 되며, 트랜스글루타미나제(transglutaminase)에 의해 막 단백질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로리크린(Loricrin)은 각화외피(cornified envelope)에서 발견되는 주요 단백질의 하나로, 주로 최종적으로 분화된 표피세포에서 발현된다.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과 피부 장벽 강화 기능과의 관계는 아직까지 알려진 바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연구를 통하여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이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상기 필라그린, 로리크린 및 인볼루크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장벽 강화 기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밝혀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된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은 피부로 적용될 경우, 필라그린, 로리크린 및 인볼루크린과 같은 피부 장벽마커들의 발현량을 증가시켜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키는데 더욱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유상에 수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고체, 겔, 분말, 페이스트, 포말(foam)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이외에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체적으로는 피부 장벽 강화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분자 다당 및 스핑고 지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계면 활성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制汗)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피부 장벽 기능 약화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건조 피부, 아토피 등의 예방 또는 치료용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경구 투여제 혹은 비경구 투여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서는 정제, 환제, 과립제, 연, 경 캡슐제, 산제, 세립제, 분제, 유탁제, 시럽제, 펠렛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는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상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피부 장벽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장벽의 손상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피부장벽 손상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질환으로는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피부건조증(xeroderma), 건선(psoriasis), 어린선(ichthyosis), 여드름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성분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일반적인 투여량은 0.001 mg/kg/일 내지 2000 mg/kg/일, 구체적으로는 0.5 mg/kg/일 내지 1500 mg/kg/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의 적용 유무 및 적용량에 따른, 각질형성세포의 피부 장벽마커의 발현량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인간 1차 각질형성세포(Human primary keratinocyte)를 론자사(Lonza, Inc. Walkersville, MD, USA)에서 구입하여 60파이 디쉬에 분주한 뒤, 각질형성배지(Keratinocyte Growth Medium, KGM-GoldTM,http://www.lonza.com/products-services/bio-research/primary-cHMGA1s/humancHMGA1s-and-media/keratinocytes-and-media/kgm-gold-keratinocyte-growthmedium.aspx)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상기 배양된 인간 1차 각질형성세포에 상기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을 각각 5 ppm 및 10 ppm 씩 처리하여, 상기 인간 1차 각질형성세포를 분화시켰다. 상기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인간 1차 각질형성세포를 control으로 하였다.
분화를 시작한 후, 3 day 째 되는 날, 상기 인간 1차 각질형성세포에서 RNA를 추출하였다. 트리졸(Trizol, Invitrogen, Carlsbad, CA, USA) 1ml을 이용하여 상기 세포를 녹인 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상층액을 분리하였으며,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0.35ml를 넣어 핵산의 펠렛을 형성시키고, 70% EtOH로 세척한 후 펠렛을 물에 녹여 RNA를 분리하였다. 약 1μg의 RNA를 올리고 디티(oligo dT) 및 역전사 효소(reverse transcripase)를 이용하여 cDNA로 만든 뒤, 필라그린(FLG) mRNA(Genebank Accession No.: NM_002016)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Life technology사의 taqman probe ID: Hs00856927_g1), 피부 장벽기능 마커 유전자인 인볼루크린(IVL) mRNA(Genebank Accession No.: NM_005547)에 특이적인 프라이머(Life technology사의 taqman probe ID: Hs00846307_s1), 로리크린(LOR) mRNA(Genebank Accession No.: NM_000427)에 특이적인 프라이머(Life technology사의 taqman probe ID: Hs01894962_s1)를 이용하여 Applied biosystems사의 taqman 방식의 RT-qPCR을 실시하여 정량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a 내지 도 1c에 나타내었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각각 필라그린(FLG), 인볼루크린(IVL) 및 로리그린(LOR)의 발현량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필라그린(FLG), 인볼루크린(IVL) 및 로리그린(LOR)의 발현량은 각각 control의 발현량을 기준(1)으로 한 상대적인 값이다 (1a: Relative FLG/RPLP0 mRNA; 1b: Relative IVL/RPLP0 mRNA; 1c: Relative LOR/RPLP0 mRNA).
상기 PCR은 하기의 온도사이클에 따라 총 45사이클로 진행하였다.
- 전변성(Pre-denaturation): 95℃, 10min,
- 변성(Denaturation): 95℃, 10sec,
- 어닐링(Annealing) 및 신장(Extension): 60℃, 1min
그 결과,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을 적용한 처리군(5 ppm, 10 ppm)은 미처리군(control)에 비해, 피부 장벽 마커인 필라그린(FLG), 인볼루크린(IVL) 및 로리그린(LOR) 발현량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을 적용한 처리군(5 ppm, 10 ppm) 중에서, 5 ppm 처리군에 비해, 10 ppm 처리군에서 필라그린(FLG), 인볼루크린(IVL) 및 로리그린(LOR) 발현량이 더 증가한 것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영양 화장수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글리세린 3
부틸렌글리콜 3
프로필렌글리콜 3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 1
밀납 4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리글리세라이드 5
스쿠알란 5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세테아릴 알코올 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2. 영양 로션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3
부틸렌글리콜 3
유동파라핀 5
베타글루칸 7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 1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
스쿠알란 5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5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0.1
100
제형예 3. 영양 크림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글리세린 3.5
유동파라핀 3
베타글루칸 7
카보머 7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 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
스쿠알란 3
세타아릴 글루코사이드 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5
폴리솔베이트 60 0.4
트리에탄올아민 1.2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4. 국소 투여용 약제( 패취제 )의 제조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국소 투여용 약제(패취제)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실시예 1의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 1
베타-1,3-글루칸 3
디에틸아민 0.7
아황산나트륨 0.1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E.O=9) 1
폴리히드록시에틸렌세틸스테아릴에테르(Cetomacrogol 1000) 1
점성의 파라핀 오일 2.5
카프릴산에스테르/카프르산에스테르(Cetiol LC) 2.5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3
폴리아크릴산(Carbopol 934P) 1
정제수 잔량
100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5-methyl-2-(methylethyl)phenyl (2E)-3-(3,4,5-trimethoxyphenyl)prop-2-enoate)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화학식 I>
    Figure pat00003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부틸이고, 상기 X는 CO 또는 CH2=CH2CO 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5-메틸-2-(메틸에틸)페닐 (2E)-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에티트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인,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각질 형성 세포에서 필라그린, 로리크린 및 인볼루크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피부 장벽 마커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인,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인,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20190063947A 2019-05-30 2019-05-30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2634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947A KR102634821B1 (ko) 2019-05-30 2019-05-30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947A KR102634821B1 (ko) 2019-05-30 2019-05-30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491A true KR20200137491A (ko) 2020-12-09
KR102634821B1 KR102634821B1 (ko) 2024-02-07

Family

ID=73787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947A KR102634821B1 (ko) 2019-05-30 2019-05-30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82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949B1 (ko) 2001-09-24 2004-11-18 주식회사 태평양 3,4,5-트리메톡시 페닐아세트산, 3,4,5-트리메톡시 신남산또는 3,4,5-트리메톡시 히드로 신남산의 에스테르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조성물
KR20160066186A (ko) * 2014-12-02 2016-06-10 (주)아모레퍼시픽 피크리오노시드 a를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20160066733A (ko) * 2014-12-03 2016-06-13 (주)아모레퍼시픽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20160067428A (ko) * 2014-12-04 2016-06-14 (주)아모레퍼시픽 (2S)-1-O-리놀레노일-2-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20160081163A (ko) * 2014-12-31 2016-07-08 (주)아모레퍼시픽 컴파운드 k 및 이카리시드 b2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949B1 (ko) 2001-09-24 2004-11-18 주식회사 태평양 3,4,5-트리메톡시 페닐아세트산, 3,4,5-트리메톡시 신남산또는 3,4,5-트리메톡시 히드로 신남산의 에스테르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조성물
KR20160066186A (ko) * 2014-12-02 2016-06-10 (주)아모레퍼시픽 피크리오노시드 a를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20160066733A (ko) * 2014-12-03 2016-06-13 (주)아모레퍼시픽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20160067428A (ko) * 2014-12-04 2016-06-14 (주)아모레퍼시픽 (2S)-1-O-리놀레노일-2-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20160081163A (ko) * 2014-12-31 2016-07-08 (주)아모레퍼시픽 컴파운드 k 및 이카리시드 b2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821B1 (ko)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6917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skin appearance
FR2843125A1 (fr) Principes actifs stimulant les beta-defensives humaines de type 2 et/ou de type 3, et compositions cosmetiques ou pharmaceutiques comprenant de tels principes actifs
DE102009059220A1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die wenigstens zwei Osmolyten mit hydratisierender oder altershemmender Wirkung enthält
US9439972B2 (en) Antifungal serum
JP2015078226A (ja) 抗菌ペプチドおよびタンパク質のレベルの上昇に関連する皮膚の疾患または障害を処置または緩和するための組成物
US20130183257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skin appearance
CN107920974A (zh) 含有有效成分istp的用于抑制瘙痒症及改善特应性皮炎的化妆品组合物
EP3954359A1 (en) Topical cosmetic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KR102204280B1 (ko) 피부에서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진정시키기 위한 제제 및 이러한 반응을 진정시키는 방법
EP2722075B1 (en) Prevention of conditions arising from an impaired skin barrier function
KR20160137040A (ko) 아토피 피부염증 치료용 식물추출 조성물
AU2017272269B2 (en) Excipient system for topical delivery of pharmaceutical agents
KR102059513B1 (ko) 애엽 및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2747739B1 (fr) Compositions dermo-cosmétiques à base d&#39;une association synergique d&#39;argent colloïdal et d&#39;acide désoxyribonucléique
KR102634821B1 (ko)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1762111B1 (ko) 동규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0932B1 (ko) Card18 발현 촉진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기능 강화용 조성물 및 card18 촉진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KR102039608B1 (ko) 미도드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509241B1 (ko)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06890A (ko) 필라그린 생성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2475130B1 (ko) 펜타사이클릭 트리터펜 카페익 액씨드 에스터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60020038A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97505B1 (ko)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을 함유하는 민감성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35297B1 (ko) Linc00302 발현 촉진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기능 강화용 조성물 및 linc00302 촉진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KR101917252B1 (ko) 프로토파낙사디올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