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505B1 -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을 함유하는 민감성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을 함유하는 민감성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505B1
KR101597505B1 KR1020140038723A KR20140038723A KR101597505B1 KR 101597505 B1 KR101597505 B1 KR 101597505B1 KR 1020140038723 A KR1020140038723 A KR 1020140038723A KR 20140038723 A KR20140038723 A KR 20140038723A KR 101597505 B1 KR101597505 B1 KR 101597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kin
erythema
lotion
extr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4622A (ko
Inventor
노윤화
염종경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8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505B1/ko
Priority to PCT/KR2015/002924 priority patent/WO2015152564A1/ko
Publication of KR20150114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7Euphorbiaceae (Spurge family), e.g. Ricinus (castorbe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2Nymphaeaceae (Water-lily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을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혼합 추출오일은 PPARα를 활성화시키고 피부장벽을 강화시킴으로써 피부장벽기능이 저하되어 있고 다양한 피부염이 동반된 민감성 피부를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을 함유하는 민감성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sensitive skin comprising mixture oil extracted of Euryale ferox, Euphorbia lathyris L. and Rosa multiflora fruit}
본 발명은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을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민감성 피부란 피부 과학적인 명확한 정의는 내려지지 않았으나 피부의 장벽 조직이 평균이상으로 얇아 외부 환경의 자극성 물질, 알레르기성 물질 등에 의해, 또는 스트레스, 과로 등의 인체 내부 원인에 의해 정상적인 피부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여 피부염을 잘 일으키는 피부를 말한다(이승헌 등, 피부 장벽학, 여문각, 2010). 가려움증, 통증, 화끈거림, 피부 당김증과 같은 주관적인 증상에서부터 홍반, 인설, 구진, 농포, 수포 등의 객관적인 증상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지속적인 증상의 민감성 피부 보유자들에게 심한 스트레스를 가져오며, 이로 인해 피부의 염증반응과 홍반을 더욱 악화시키는 악순환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피부질환의 안전한 치료는 일차적으로 원인이 되는 요인을 피하며, 자극이 없는 적절한 보습제를 사용하여 피부장벽기능의 회복을 도모하는 것이다.
피부의 주된 기능은 인체 내의 수분과 전해질의 손실을 방지하는 장벽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런 장벽은 일차적으로 각질층에 존재하는 각질세포간 지질막 구조에 의해 유지되는데, 각질세포간 지질막 구조는 과립층 세포의 층판소체(lamellar body) 분비에 의해 각질세포 외 공간으로 전달된 지질에 의해 이루어진다. 많은 요소들이 이 장벽 형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층판소체의 분비와 장벽의 형성은 표피 과립층내의 칼슘 농도에 의해 촉진되며, 이에 더불어 성장인자의 발현증가 및 핵수용체인 PPARs의 활성화는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여 층판소체의 생성과 분비를 증가시키고, 각질층의 세포외 지질막 형성과정에 필요한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장벽 형성을 촉진한다.
PPARα는 핵수용체의 하나로 지질 및 당대사에 관련된 유전자 등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으며, 피부 항상성 유지에 중요하게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에서 PPARα는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촉진과 증식억제를 조절하고 상처 회복에 관여하며 피부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종합해보면 PPARα 활성화제는 염증반응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유도로 피부장벽기능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다(Matthias Schmuth et el., Elsevier B.V. 2014; 1841:463-473). 또한, PPARα를 활성화시키는 경우에는 자극성 접촉피부염, 알레르기 접촉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자외선에 의한 홍반 등에서 염증 개선 효과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Sandrine Dubrac and Matthias Schmuth, Dermarto-Endocrinology 3:1, 2011; 23-26).
감인은 물에 나는 한해살이풀인 가시연꽃의 열매인 가시연밥의 알맹이로써, 강장제로서 탈장이나 냉대하의 치료에 이용된다. 한국 공개특허 제 10-2004-0022128호는 항산화 활성을 가진 감인추출물 및 분획물과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감인 추출이 활성산소종에 손상된 세포를 치료함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고 기재되어 있다.
속수자는 높이 1m 내외의 털이 없는 식물이며, 자르면 짙은 녹색의 진이 나오고 흰 가루로 덮인다. 이 식물의 종자는 타원형으로서 길이는 5-6㎜ 이고 직경은 4㎜ 정도이며 내면은 광택이 있다. 수종장만, 간성복수, 이편불통, 월경, 식중독, 독충에 효과 있음이 알려져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310613호는 속수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피지억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5알파-리덕테이즈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여드름 또는 피지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고 기재되어 있다.
영실은 찔레꽃의 열매로서 생리통, 생리불순, 변비, 신장염, 방광염, 각기, 수종 등에 치료 효과가 뛰어난 약재로 알려져 있다. 약리작용으로 관상 동맥확장작용, 생쥐 수명연장, 지질 및 단백질 대사개선 작용, 죽상동맥경화 형성억제작용이 보고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 10-1210492호는 영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의 감인, 속수자 및 영실 추출물에는 PPARα활성화, 장벽기능 향상을 통한 민감성 피부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어디에도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더욱이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 오일에 대한 민감성 피부 개선 효과는 어디에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을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경우, 본 발명의 혼합 추출오일이 PPARα를 활성화시키고 피부장벽을 강화시킴으로써 피부장벽기능이 저하되어 있고 다양한 피부염이 동반된 민감성 피부를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KR 10-2004-0022128 A KR 10-0310613 B KR 10-1210492 B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PPARα를 활성화시키고 피부장벽을 강화시킴으로써 피부장벽기능이 저하되어 있고 다양한 피부염이 동반된 민감성 피부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갖는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을 함유하는 민감성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을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병에 있어서, 상기 용어 “민감성 피부”란, 가려움증, 따끔따금거림, 화끈거림, 당김 등 주관적인 증상에서부터 홍반, 인설, 구진, 농포, 수포 등 객관적인 증상까지 다양한 증상을 포함하며, 또한, 아토피 피부염, 지루 피부염, 자극 또는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주사, 여드름 등의 여러 피부염을 동반된 경우도 포함하는 피부 상태를 말한다(Berardesca E et al., 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 2013; 35:2-8).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은 민감성 피부의 대표적인 증상인 홍반 또는 홍조를 개선하고(실험예 3), 약화된 피부장벽기능을 회복 또는 강화시켜 주는데(실험예 2)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오일은 종래에 알려진 식물의 오일 추출 방법, 예컨대 고온압착법, 초임계 추출법 또는 헥산과 같은 유기용매를 이용한 유기용매 추출법 등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온압착법의 경우에는 단순히 물리적인 방법으로 추출하기 때문에 오일을 충분히 추출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유기용매 추출법은 유기용매를 별도로 제거해야 하는 복잡한 과정을 추가해야 하고, 오일에 남은 잔류유기용매가 독성을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오일은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분말을 25 내지 40℃에서 65 내지 100 bar의 압력 조건에서 초임계 유체를 가하거나, 35 내지 90℃에서 250 내지 800 bar의 압력 조건에서 초임계 유체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오일 및 유용성 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거나, 추출 조건이 까다로워져서 전체적인 추출 수율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추출법에서 초임계 유체는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초임계 유체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O2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추출 시 에탄올 및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보조용매를 추가적으로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조용매를 사용 시, 정제수는 1% 이하, 에탄올은 10%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인, 속수자 및 영실은 1~5 : 4~8 : 1~5의 혼합 중량비율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혼합오일의 생산 비용이 현저히 올라가서 상업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대비 0.1 내지 10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은 다른 성분을 첨가하지 않고 100% 혼합 추출오일 자체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성분들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오일은 퍼옥시좀 증식 활성화 수용체 알파(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α)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퍼옥시좀 증식 활성화 수용체 알파(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α, PPARα)는 핵수용체의 하나로 지질 및 당대사에 관련된 유전자 등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으며, 피부 항상성 유지에 중요하게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에서 PPARα는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촉진과 증식억제를 조절하고 상처 회복에 관여하며 피부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종합해보면 PPARα 활성화제는 염증반응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유도로 피부장벽기능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다(Matthias Schmuth et el., Elsevier B.V. 2014; 1841:463-473). 또한, PPARα를 활성화시키는 경우에는 자극성 접촉피부염, 알레르기 접촉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자외선에 의한 홍반 등에서 염증 개선 효과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Sandrine Dubrac and Matthias Schmuth, Dermarto-Endocrinology 3:1, 2011; 23-26).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감인, 속수자 및 영실 추출오일은 농도의존적으로 PPARα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양성대조군인 WY14634보다 PPAR α의 활성을 더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은 PPARα의 활성을 증가시켜 염증감소 및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유도로 피부장벽기능을 향상시키고, 자극성 접촉피부염, 알레르기 접촉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및 자외선에 의한 홍반에서 나타나는 염증을 개선시킴으로써 민감성 피부를 예방 또는 개선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실험예 1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오일은 각질형성세포분화 단백질 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부의 주된 기능은 인체 내의 수분과 전해질의 손실을 방지하는 장벽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런 장벽은 일차적으로 각질층에 존재하는 각질세포간 지질막 구조에 의해 유지되는데, 각질세포간 지질막 구조는 과립층 세포의 층판소체(lamellar body) 분비에 의해 각질세포 외 공간으로 전달된 지질에 의해 이루어진다. 많은 요소들이 이 장벽 형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층판소체의 분비와 장벽의 형성은 표피 과립층내의 칼슘 농도에 의해 촉진되며, 이에 더불어 성장인자의 발현증가 및 핵수용체인 PPARs의 활성화는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여 층판소체의 생성과 분비를 증가시키고, 각질층의 세포외 지질막 형성과정에 필요한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서 피부장벽 형성을 촉진한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각질형성세포를 통한 장벽기능에 대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각질형성세포가 분화될 때 증가하는 분화 표지 단백질 발현량과 각질세포간 지질막 구조 형성에 필요한 효소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은 양성대조군보다 각질형성세포 분화 표지 단백질(도 2) 및 각질세포간 지질막 구소 형성 효소의 유전자 발현량(도 3)에서 확연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여 피부장벽 기능을 개선시킴으로써 민감성 피부를 예방 또는 개선 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실험예 2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오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 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담체 이외에 다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보존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을 함유하는 보습제(제형예 1)로 민감성 피부 개선도를 확인한 결과, 본 발명의 혼합 추출오일을 함유하는 보습제가 혼합 추출오일을 함유하지 않은 보습제보다 더 뛰어난 홍반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혼합추출오일은 홍반을 개선함으로써 민감성 피부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실험예 3). 민감성 피부는 가려움증, 따끔따금거림, 화끈거림, 당김 등 주관적인 증상에서부터 홍반, 인설, 구진, 농포, 수포 등 객관적인 증상까지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이들 증상 중에서 특히 홍반 또는 홍조는 민감성 피부의 가장 대표적인 객관적인 증상으로서 민감성 피부의 개선도를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 이에 본 발병자들은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실험예 3), 홍반 또는 홍조 증상이 있는 민감성 피부 환자를 피험자로 참여시키고, 본 발명에 따른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이 민감성 피부의 홍반 개선도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의 경우 PPARα를 활성화시키고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유도 및 지질막 형성관련 효소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피부의 장벽 기능을 향상시켜 주며, 홍반을 가진 민감성 피부의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킴으로써 민감성 피부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감인, 속수자 및 영실 초임계 추출오일에 의한 PPARα 활성 정도를 측정한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2는 감인, 속수자 및 영실 초임계 추출오일과 이들의 혼합물에 의한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유도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유전자 발현 증가를 측정한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3은 감인, 속수자 및 영실 초임계 추출오일과 이들의 혼합물에 의한 각질층의 세포외 지질막 형성에 필요한 효소의 유전자 발현 증가를 측정한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임상 시험을 통하여 감인, 속수자 및 영실의 혼합물에 대한 초임계 추출오일을 함유하는 보습제의 정량화된 홍반 지수의 비율를 측정한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임상 시험을 통하여 감인, 속수자 및 영실의 혼합물에 대한 초임계 추출오일을 함유하는 보습제의 피부 홍반 지수를 측정한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비교예 1: 감인 초임계 추출오일의 제조
감인 초임계 추출오일은 국내에서 구입한 감인 1 kg을 분쇄기로 미세 분쇄한 후, 초임계 추출조에서 초임계 유체인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40℃의 온도 및 300 bar의 압력을 가하여 감인 추출오일 5g을 얻었다.
비교예 2: 속수자 초임계 추출오일의 제조
속수자 초임계 추출오일은 국내에서 구입한 속수자 1 kg을 분쇄기로 미세 분쇄한 후, 초임계 추출조에서 초임계 유체인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40℃의 온도 및 300 bar의 압력을 가하여 속수자 추출오일 350g을 얻었다.
비교예 3: 영실 초임계 추출오일의 제조
영실 초임계 추출오일은 국내에서 구입한 영실 1 kg을 분쇄기로 미세 분쇄한 후, 초임계 추출조에서 초임계 유체인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40℃의 온도 및 300 bar의 압력을 가하여 영실 추출오일 40g을 얻었다.
상기의 얻어진 초임계 추출오일을 용해제로서 DMSO(Dimethyl sulfoxide)에 10중량%의 농도로 용해시켜 이하의 실험예 1~2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초임계 추출오일의 제조
감인, 속수자 및 영실의 혼합 초임계 추출오일은 국내에서 구입한 감인 300g, 속수자 400g, 영실 300g을 혼합하여 분쇄기로 미세 분쇄한 후, 초임계 추출조에서 초임계 유체인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40℃의 온도 및 300 bar의 압력을 가하여 감인, 속수자 및 영실의 혼합 추출오일 160g을 얻었다.
실험예 1: PPAR α 활성화 실험
상기 천연물의 초임계 추출오일에 의한 핵수용체 PPARα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PPARα 유전자를 지닌 플라스미드와 이의 활성 정도를 보고할 수 있는 luciferase가 붙어있는 리포터로서 역할을 하는 플라스미드(PPRE-Luc)를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에 일시적 주입법(transient transfection)으로 삽입하였다. 24시간 후 1x 인산완충식염수(이하 PBS)로 세척하고 상기한 초임계 추출오일을 농도별로 (100, 200, 300 ㎍/㎖) 처리하였다. 양성대조군은 PPARα 활성화제로 알려진 WY14643(Sigma, USA)을 사용하였다. 24시간 배양한 후 1x PBS로 세척한 후 1x 라이시스 버퍼로 세포를 깬 후 듀얼-루시퍼라아제 수용체 분석 시스템 키트(dual-Luciferase Reporter Assay System kit, Promega, USA)를 사용하여 루시퍼라아제 활성(luciferase activity)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초임계 추출오일의 농도에 따라 PPARα 활성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인, 속수자, 영실 초임계 추출오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WY14643 10μM에서의 활성보다 더 높은 활성화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각질형성세포를 통한 장벽기능에 대한 효능 평가
상기 초임계 추출오일에 의한 장벽기능의 향상을 평가하기 위해 각질형성세포가 분화될 때 증가하는 분화 표지 단백질의 발현량과 각질세포간 지질막 구조 형성에 필요한 효소의 발현량을 유전자 레벨에서 측정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질형성세포인 HaCaT 세포를 고농도의 칼슘(1.8mM) 배지에서 최종 100, 200, 300 ㎎/㎖의 농도로 초임계 추출오일을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 내에 mRNA를 추출하여 cDNA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와 타겟 주형(primer)을 사용하여 실시간(real-time) PCR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시 증가하는 단백질인 Filaggrin과 Transglutaminase 3의 유전자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양성대조군은 WY14643(Sigma, USA)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원료별로 분화 표지 단백질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가 가장 높고 확연한 증가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의 합성된 cDNA를 사용하여 각질세포간 지질막 구조 형성에 작용하는 효소인 elongation of very long chain fatty acids protein(이하 “elovl"로 약칭함)의 유전자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양성대조군은 WY14643(Sigma, USA)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원료별로 지질막 구조 형성관련 효소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가 가장 높고 확연한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예 2의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감인, 속수자, 영실 초임계 추출오일이 민감성 피부에서 약화된 피부장벽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암시하였다.
제형예 1 : 보습제의 제조
상기의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에서 얻은 초임계 추출오일을 함유하는 보습제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 성분 및 조성비로 제조하였으며, 각각 제형예 1 및 비교 제형예 1로 하였다.
성 분 함량 (중량 %)
제형예 1 비교 제형예 1
실시예 1 3.0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7.0 1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2.0 2.0
폴리솔베이트60 0.5 0.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5 0.5
피토스쿠알란 5.0 5.0
알로에 버터 3.0 3.0
밀납 1.0 1.0
스테아릴 알코올 0.5 0.5
베헤릴 알코올 0.5 0.5
스테아린산 0.5 0.5
글리세린 7.0 7.0
부틸렌 글리콜 5.0 5.0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2 0.2
아르기닌 0.3 0.3
디메치콘 0.5 0.5
방부제, 향료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실험예 3 : 민감성 피부의 개선도 평가
상기의 실험예 1과 2의 결과를 토대로,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을 함유한 보습제(제형예 1)를 만들어 민감성 피부에 대한 임상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임상을 위해, 얼굴에 발생한 홍반을 주소로 내원한 민감성 피부를 가진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홍반 및 민감성 피부 증상의 개선도를 평가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환자의 안면부를 좌우로 나누어 제형예 1을 바르는 효능군과 비교 제형예 1을 바르는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시험자 및 피험자 모두 어느 쪽이 효능군인지 모르게 하였다. 피험자는 하루 2회 2주간 보습제를 도포하였으며, 0일(처음 내원일)과 치료 2주 후에 방문하여 피부영상분석 시스템 및 Mexameter를 이용하여 홍반(또는 홍조)의 개선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먼저 홍반지수 측정기인 피부영상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정량화한 홍반지수의 비율을 나타내었을 때,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혼합 추출오일이 포함된 제형예 1을 14일 동안 사용한 효능군은 홍반지수의 비율이 20% 감소한 반면, 비교 제형예 1을 사용한 대조군는 5.9% 감소하였다.
이어 Mexameter로 피부홍반지수를 측정하였을 때,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혼합 추출오일이 포함된 제형예 1을 14일 동안 사용한 효능군은 홍반지수가 35.8 감소한 반면, 비교 제형예 1을 사용한 대조군는 6.5 감소하였다.
또한, 전문 시험자 2명이 피험자의 전반적인 홍반 개선도를 얼굴의 양 측면에서 각각 평가(증상 개선도 정도를 0~5번으로 평가)한 후 평균을 내었을 때, 본 발명의 혼합 추출오일을 바른 효능군에서는 2.63, 비교제형예 1을 바른 대조군에서는 2.19의 개선도를 보였다.
이상의 시험 결과에 따라,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애 대한 초임계 추출오일을 함유한 보습제가 홍반 및 민감성 피부 증상의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Claims (10)

  1.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을 포함하는 홍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오일은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오일은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분말을 25 내지 40℃에서 65 내지 100 bar의 압력 조건에서 초임계 유체를 가하거나, 35 내지 90℃에서 250 내지 800 bar의 압력 조건에서 초임계 유체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추출법에서 초임계 유체는 CO2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추출 시 에탄올 및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보조용매를 추가적으로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인, 속수자 및 영실은 1~5 : 4~8 : 1~5의 혼합 중량비율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대비 0.1 내지 10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오일은 퍼옥시좀 증식 활성화 수용체 알파(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α)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오일은 각질형성세포분화 단백질 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오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 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038723A 2014-04-01 2014-04-01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을 함유하는 민감성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97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723A KR101597505B1 (ko) 2014-04-01 2014-04-01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을 함유하는 민감성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15/002924 WO2015152564A1 (ko) 2014-04-01 2015-03-25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을 함유하는 민감성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723A KR101597505B1 (ko) 2014-04-01 2014-04-01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을 함유하는 민감성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622A KR20150114622A (ko) 2015-10-13
KR101597505B1 true KR101597505B1 (ko) 2016-02-26

Family

ID=54240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723A KR101597505B1 (ko) 2014-04-01 2014-04-01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을 함유하는 민감성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97505B1 (ko)
WO (1) WO20151525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0190A (ja) * 2016-03-07 2017-09-14 御木本製薬株式会社 トランスグルタミナーゼ産生促進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0613B1 (ko) 1999-07-12 2001-10-12 서경배 5알파-리덕테이즈의 활성을 억제하는 속수자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여드름 또는 피지억제 화장료 또는 피부도포의약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128A (ko) 2002-09-06 2004-03-11 아람 바이오시스템 주식회사 항산화 활성을 가진 감인 추출물 및 분획물과 이들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40043971A (ko) * 2002-11-20 2004-05-27 동방에프티엘 주식회사 자연산 상황버섯, 녹차, 정향, 영실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그 혼합 추출물을 사용한 미백 화장품의 제조 방법
KR101210492B1 (ko) * 2009-10-16 2012-12-10 주식회사 이지함화장품 항산화 능을 갖는 영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0613B1 (ko) 1999-07-12 2001-10-12 서경배 5알파-리덕테이즈의 활성을 억제하는 속수자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여드름 또는 피지억제 화장료 또는 피부도포의약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622A (ko) 2015-10-13
WO2015152564A1 (ko)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33430A1 (en) Lactobacillus plantarum for skin care
US10137070B2 (en) Composition including ionone or salt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and having effect of enhancing skin moisturizing, exfoliating skin, improving skin elasticity, inhibiting erythema, improving skin wrinkles, or alleviating skin photoaging
KR20110131498A (ko) 패각 또는 패산호로부터 추출한 알카리용액에 은이온을 포함하는 항균제와 이를 포함하여 조성된 조성물.
WO2012172199A1 (fr) Composition a base de camellia japonica et polygonum hydropiper pour protection de la peau
KR101796866B1 (ko)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JP4288306B2 (ja) ダイマージリノール酸ジエチレングリコールオリゴマーエステル含有化粧料
KR101996732B1 (ko)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발효한 오메기주의 농축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개선, 탄력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00264B1 (ko) 진피 및 우슬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JP6055667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101597505B1 (ko)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을 함유하는 민감성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2162487A (ja) 美白剤、抗老化剤及び皮膚化粧料
KR102628844B1 (ko) 등나무 꽃, 두릅나무 꽃, 동백나무 잎 및 동백나무 꽃 혼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5579B1 (ko)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7692A (ko) 홍설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2233441A1 (en) Novel bacterial ferment of lactobacillus species
JP5855949B2 (ja) ケラチン産生促進剤、染毛用剤及びマニキュア用剤
KR102306041B1 (ko) 스테비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50088973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60000318A (ko) 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4518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00092669A (ko) 인진쑥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
KR20050022315A (ko) 국소투여에 의한 로디올라 크레뉼라타 추출물의 이용
KR102305942B1 (ko)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P2811977B1 (fr) Utilisation d'un extrait de feuille de pommier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raffermissement de la pea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