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669A - 인진쑥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진쑥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669A
KR20200092669A KR1020190009855A KR20190009855A KR20200092669A KR 20200092669 A KR20200092669 A KR 20200092669A KR 1020190009855 A KR1020190009855 A KR 1020190009855A KR 20190009855 A KR20190009855 A KR 20190009855A KR 20200092669 A KR20200092669 A KR 20200092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wood
fermented
composition
sk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6051B1 (ko
Inventor
강세원
김은지
정유린
Original Assignee
(주)월드코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드코스텍 filed Critical (주)월드코스텍
Priority to KR1020190009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051B1/ko
Publication of KR20200092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물질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진쑥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SKIN FUNCTIONAL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ARTEMISIA CAPILLARIS}
본 발명은 천연물질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흑화(melanogenesis)는 멜라닌 색소생성세포(melanocyte)에서 자외선 등의 자극에 대한 방어기작으로 멜라닌 생성활동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만들어진 다량의 멜라닌이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로 전이되어 피부표피층에 축척된 결과이다. 멜라닌의 생성목적은 피부보호 일 수 있으나, 멜라닌 생성으로 인한 피부 과색소침착은 기미, 주근깨, 노인성 색소반점 등을 일으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당사자에게 미용상의 불편과 부정적인 정신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최근 AHA, 레티놀, 알부틴 등의 원료를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원료들은 피부에 염증이나, 뾰루지, 부종 등의 부작용을 발생하게 한다는 단점이 있다.[Contact Dermatitis. 1980 Oct;6(6):369-404. Maibach HI, et al., Acta Dermatovenerol Croat. 2005;13(1):3-16., Czarnecka-Operacz M, et al. Korean J. Plant Res. 2011 24(4) : 337~342. Jong Hyuk Park, et al.]
피부는 인체의 최외각층에 존재하기 때문에 대기오염, 건조한 환경, 자외선, 바람, 화학 물질등에 만성적으로 노출된다. 최근 대기오염과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건조한 피부를 가진 사람이 증가하고 있지만, 시중의 보습제는 대부분 피부 외부에서 보습 성분을 보충해 주는 역할을 할 뿐 피부 세포 내 수분 함량을 증가시키는 근원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3-0047778호
본 발명은 미백 및 보습효과를 가지는 천연물질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인진쑥 발효물은 인진쑥 열수 추출물의 발효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인진쑥 발효물은 인진쑥의 유산균 발효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천연 혼합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여 멜라닌의 생성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기작을 제어할 수 있어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어서 멜라닌 생성을 근본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과다 멜라닌에 따라 발병하는 흑색종 등의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상과 같은 미백 효과에 더하여, 피부 수분 함량을 증가시키고 피부결을 개선시킬 수 있는 보습 효과를 가지므로, 피부 보습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건선이나 아토피 등의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약학 조성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천연 유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장기간 사용시에도 부작용이 없고 세포 독성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인진쑥 발효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인진쑥 발효물에 포함되어 있는 인진쑥 발효물의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보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인진쑥 발효물의 세포 독성을 평가한 결과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인진쑥 발효물의 미백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인진쑥 발효물이 피부의 수분 함량을 증가시킨다는 결과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인진쑥"은 아르테미지아 카피러리스(Artemisia capillaries)라는 학명을 가지는 국화과(Compositae)의 다년생 초본을 의미한다. 높이가 약 30~100 cm정도로 곧게 자라며 겨울철에도 죽지 않고 이듬해 줄기에서 다시 싹이 나온다 하여 사철쑥이라고도 불린다.
본 명세서에서“발효”는 유산균의 번식에 필요한 최소배지에 유산균과 상기 혼합물을 넣어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발효 과정에서 사용 가능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일 수 있고, 유산균 최소배지는 유산균이 잘 배양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조성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발효물"은 형태 및 성질 등에 제한을 두지 않고 인진쑥의 발효과정 중 또는 발효과정이 완료된 후 얻어지는 생성물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미백"은 피부의 미백을 의미하는 것으로 멜라닌 생성을 저해시킴에 따른 결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미백"은 구체적으로 멜라닌의 생성에 의한 증상 또는 질환, 예컨대 기미, 주근깨, 흑색종 등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상기 "미백"은 멜라닌 생성과 관계 있는 유전자, 단백질 등을 조절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거나 저해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보습”은 피부 세포가 함유하는 수분의 양 자체를 증가시킴에 따른 결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보습"은 구체적으로 피부 수분 함량의 감소에 의한 증상 또는 질환, 예컨대 건선, 아토피 등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건강식품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건강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건강식품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건강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인진쑥 발효물은 인진쑥 열수 추출물의 발효물일 수 있다. 인진쑥 열수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열수 추출법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인진쑥 열수 추출물에 비해 인진쑥 열수 추출물을 발효시킨 발효물의 미백능과 보습능이 급격히 상승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인진쑥 발효물은 인진쑥의 유산균 발효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유산균의 발효물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인진쑥 발효물은 인진쑥의 열수 추출물과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의 발효물일 수 있다. 상기 인진쑥 발효물이 특히 인진쑥의 열수 추출물과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의 발효물일 경우, 미백효과와 보습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인진쑥 발효물은 인진쑥의 유산균 발효물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발효에 이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균류 중 특히 유산균을 사용하였을 때 본 발명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인진쑥 발효물의 미백능과 보습능이 급격히 상승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인진쑥 발효물은 인진쑥과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의 발효물일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인진쑥의 열수 추출물과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의 발효물일 수 있다. 상기 인진쑥 발효물이 특히 인진쑥의 열수 추출물과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의 발효물일 경우, 미백효과와 보습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일 수 있다.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유산균 중 특히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를 사용하였을 때 본 발명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인진쑥 발효물의 미백능과 보습능이 급격히 상승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인진쑥 발효물은 인진쑥의 열수 추출물과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의 발효물일 수 있다. 상기 인진쑥 발효물이 특히 인진쑥의 열수 추출물과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의 발효물일 경우, 미백효과와 보습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미백용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성분인 인진쑥 발효물은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 및 저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진쑥 발효물은 티로시나제의 활성 억제 및 저해, DOPA(3,4-dihydroxyphenylalanine) 생성과 활성을 억제하거나 저해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을 억제하여 멜라닌 생성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서 멜라닌 생성에 따라 발병하는 증상 및 질환, 예컨대 기미, 주근깨, 흑색종 등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인진쑥 발효물은 당업계에 일반적인 추출방법에 따라 얻어지는 인진쑥 추출물보다 멜라닌 생성의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인 보습용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성분인 인진쑥 발효물은 피부 수분 함량을 증가시키고 피부결을 개선시킬 수 있는 보습 효과를 가지므로, 피부 보습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건선이나 아토피 등의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약학 조성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스킨로션 및 밀크로션), 영양화장수, 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팩, 젤,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및 보디 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연고, 패치 등의 형태로 피부 외용제의 제형으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액,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유상에 수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고체, 겔, 분말, 페이스트, 포말(foam)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이외에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을 약학 조성물, 이른바 의약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경구 투여제 혹은 비경구 투여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서는 정제, 환제, 과립제, 캡슐제, 산제, 세립제, 분제, 유탁제, 시럽제, 펠렛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는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상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유효 성분은 투여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병리 상태 및 그 심각도, 투여 경로 또는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용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mg/kg/일 내지 1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 mg/kg/일 내지 50 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식품 첨가제 또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침출차, 액상차, 음료, 발효유, 치즈, 요구르트, 주스, 생균제제 및 건강보조식품 등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유화제 및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해초 엑기스 등의 보조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성분들의 첨가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0.01~3 중량%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타블렛, 분말 등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단순 음용, 주사 투여, 스프레이 방식 또는 스퀴즈 방식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인진쑥 열수 추출물(AC-W)의 제조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은 잘 말려 파쇄한 후 8배수(w/v)의 증류수로 80℃에서 4시간 중탕하여 열수추출하여, 인진쑥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이하의 실험예에서는 인진쑥 열수 추출물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사용하였다(AC-W).
[실시예 2] 인진쑥 에탄올 추출물(AC-E)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되 증류수 대신 에탄올을 추출용액으로 하여, 인진쑥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이하의 실험예에서는 인진쑥 에탄올 추출물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사용하였다(AC-E).
[실시예 3] 인진쑥 발효물 (AC-F)의 제조
실시예 1의 인진쑥 열수 추출물(AC-W)에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를 중량 5%가 되도록 접종하고, 30℃에서 72시간 동안 정치배양하여 인진쑥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이하의 실험예에서는 인진쑥 발효물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사용하였다(AC-F).
[실험예 1] 인진쑥 발효물 (AC-F)의 항산화능 평가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추출물 및 발효물 각각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assay와 ABTS assay로 자유 라디컬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당업계에 알려진 항산화제인 L-아스코르빈산(L-ascobic acid, L-A)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실험군은 각각 100μℓ/ml, 200μℓ/ml, 400μℓ/ml 씩 사용하여 실험하였고, 그 결과 도 1 을 얻었다.
도 1에 의할 때, 본 발명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인진쑥 발효물 (AC-F)의 우수한 항산화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효과는 종래 인진쑥 열수 추출물(AC-W)에서는 발견하지 못하였던 것으로, 발효,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를 통한 발효에 의해 급격히 증가한 것이다. 인진쑥 열수 추출물(AC-W)은 발효 전에는 인진쑥 에탄올 추출물(AC-E)보다 항산화능이 낮았지만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를 통한 발효에 의해 인진쑥 에탄올 추출물(AC-E)보다 높은 항산화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인진쑥 발효물 (AC-F)의 항산화능 평가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추출물 및 발효물 각각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ssay로 자유 라디컬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당업계에 알려진 항산화제인 L-아스코르빈산(L-ascobic acid, L-A)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실험군은 각각 100μℓ/ml, 200μℓ/ml, 400μℓ/ml 씩 사용하여 실험하였고, 그 결과 도 2를 얻었다.
도 2에 의하여 본 발명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인진쑥 발효물 (AC-F)의 우수한 항산화능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효과는 종래 인진쑥 열수 추출물(AC-W)에서는 발견하지 못하였던 것으로, 발효,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를 통한 발효에 의해 급격히 증가한 것이다. 인진쑥 열수 추출물(AC-W)은 발효 전에는 인진쑥 에탄올 추출물(AC-E)보다 항산화능이 낮았지만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를 통한 발효에 의해 인진쑥 에탄올 추출물(AC-E)보다 높은 항산화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인진쑥 발효물 (AC-F)의 피부 탄력 증진능 평가
피부단백질과 유사한 혈액단백질인 헤모글로빈을 사용하여 피부 탄력 증진능을 평가하였다. 피부 탄력 증진능은 수렴(astringent) 활성 정도를 평가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모공이나 땀구멍이 확대되고 근육이 이완되어 탄력을 잃은 피부에 수렴작용을 주면 모공을 수축시켜주고 피부에 긴장감을 주어 피부탄력을 부여하고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피부 수렴작용은 피부 단백질이 폴리페놀과 결합하여 가교결합을 형성하면서 피부가 수축되어 발생하므로 피부단백질과 유사한 혈액단백질인 헤모글로빈을 사용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추출물 및 발효물과 대조군인 탄닌산(Tannic acid)을 헤모글로빈 용액과 각 1:1로 혼합한 후 3,000rpm 조건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576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수렴활성은 각각의 실시예에서의 흡광도와 무첨가 시료군 간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인진쑥 발효물 (AC-F)의 우수한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효과는 종래 인진쑥 열수 추출물(AC-W)에서는 발견하지 못하였던 것으로, 발효,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를 통한 발효에 의해 급격히 증가한 것이다. 인진쑥 열수 추출물(AC-W)은 발효 전에는 인진쑥 에탄올 추출물(AC-E)보다 피부 탄력 증진능이 낮았지만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를 통한 발효에 의해 인진쑥 에탄올 추출물(AC-E)보다 높은 피부 탄력 증진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인진쑥 발효물 (AC-F)의 세포 독성 유무 확인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 유래 B16/F10세포(한국 세포주 은행)와 인간 유래 CCD-986sk세포(한국 세포주 은행)를 사용하였다.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penicillin/streptomycin, GIBCO) 1%와 소 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GIBCO) 10%가 함유된 DMEM(Lonza) 배지에서 각각의 세포에 실험시료를 처리하고 37°C, 5% CO2항온기에서 배양시켰다.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추출물 및 발효물을 실험시료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배양세포에서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어세이를 이용하여 세포 독성 여부를 확인하였고, 이를 도 4에 나타내었다. MTT는 담황색의 기질로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 효소와 반응하여 포르마잔(Formazan)을 형성하는데, 이 포르마잔을 DMSO(Dimethyl sulfoxide)에 녹여 570nm의 흡광도를 측정하면 세포 생존율을 측정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4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인진쑥 발효물 (AC-F)은 B16/F10세포 (도 4)와 CCD-986 세포 (도 5) 모두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인진쑥 열수 추출물(AC-W)과 인진쑥 에탄올 추출물(AC-E)은 B16/F10세포 (도 4)에서 세포 생존율이 급격히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는 바 세포 독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실험예 5] 인진쑥 발효물 (AC-F)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능 평가
0.1M Tris-HCl완충용액(pH 7.0) 760ul을 시험관에 넣고 37℃를 유지하면서 10mM L-DOPA 190ul와 버섯의 티로시나제 50ul를 넣어준 후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추출물 및 발효물을 각각 처리하였다. 당업계에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알부틴(Arb)은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실험군에 대해 475nm에서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율은 각각의 실험군에서 얻어진 흡광도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실험군에서의 흡광도 감소율로부터 구하였다.
그 결과,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인진쑥 발효물 (AC-F)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가 가장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인진쑥 열수 추출물(AC-W)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는 발효 전에는 인진쑥 에탄올 추출물(AC-E)보다 낮았지만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를 통한 발효에 의해 인진쑥 에탄올 추출물(AC-E)보다 우수해졌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인진쑥 발효물 (AC-F)의 보습효과 평가(임상)
아래 제형예 4의 미용액을 제조하여 임상 평가를 진행하였다. 다음과 같은 선정기준에 부합하고 제외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피험자 22명을 선정하여 2mg/cm2의 시험시료를 안면부에 도포하고 Corneometer CM 825 (Courage & Khazaka, Germany) 를 이용한 기기평가를 이용해 수분함량 개선에 대한 효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에센스 도포 전후의 수분량을 측정하고 상대적인 개선율을 계산하여 도 7에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인진쑥 발효물이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 피시험자 선정기준
1) 시험책임자 또는 시험책임자의 위임을 받은 사람이 피험자에게 알려주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충분이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동의서를 작성하고 서명한자
2) 피부 질환을 포함하는 급, 만성 신체 질환이 없는 건강한 자
3) 시험기간 동안 추적 관찰이 가능한 자
나. 피시험자 제외기준
1) 임신 또는 수유중인 여성과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
2) 피부질환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가 함유된 피부 외형제를 1개월 이상 사용하는 사람
3) 동일한 시험에 참가한 뒤 6개월이 경과되지 않은 사람
4) 민감성, 과민성 피부를 가진 사람
5) 시험 부위에 점, 여드름, 홍반, 모세혈관확장 등의 피부 이상 소견이 있는 사람
6) 연구 시작 전 3개월 내에 시험 부위에 동일 또는 유사한 효능 화장품 및 의약품 등을 사용한 사람
7) 연구 시작 전 6개월 내에 시험 부위에 시술을 받은 사람
8) 그 외 시험책임자의 판단으로 시험에 부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사람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 예를 설명하나, 이는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연질캅셀제
실시예 3의 인진쑥 발효물150 mg, 팜유 2 mg, 팜경화유 8 mg, 황납 4 mg 및 레시틴 6 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캡슐당 400 mg씩 충진하여 연질캅셀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
실시예 3의 인진쑥 발효물150 mg, 포도당 100 mg, 홍삼추출물 50 mg, 전분 96 m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4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4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고 타정기를 이용하여 정제로 타정하였다.
[제제예 3] 과립제
실시예 3의 인진쑥 발효물 150 mg, 포도당 100 mg, 홍삼추출물 50 mg 및 전분 600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10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다음 포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중량은 1 g으로 하였다.
[제제예 4] 드링크제
실시예 3의 인진쑥 발효물 150 mg, 포도당 10 g, 홍삼추출물 50 mg, 구연산 2 g 및 정제수 187.8 g을 혼합하고 병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용량은 200 ml로 하였다.
[제제예 5]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3의 인진쑥 발효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비타민 A 아세테이트.......................70 ㎍
비타민 E ............................................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6]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3의 인진쑥 발효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율을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제형예 1] 로션
배합성분 중량%
실시예 3의 인진쑥 발효물 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1.00
시트르산나트륨 0.10
시트르산 0.05
백굴채 엑기스 0.20
1,3-부틸렌글리콜 3.00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크림
배합성분 중량%
실시예 3의 인진쑥 발효물 1.00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2.0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5.00
세틸알코올 4.00
스쿠알렌 6.00
트리2-에틸헥산글리세릴 6.00
스핑고당지질 1.00
1,3-부틸렌글리콜 7.00
정제수 to 100
[제형예 3] 팩
배합성분 중량%
실시예 3의 인진쑥 발효물 5.00
폴리비닐알코올 1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라우로일히드록시프롤린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3.00
에탄올 5.00
정제수 to 100
[제형예 4] 미용액
배합성분 중량%
실시예 3의 인진쑥 발효물 2.00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 (2% 수용액) 12.00
크산탄검 (2%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6.00
진한 글리세린 4.00
히알루론산나트륨 (1% 수용액) 5.00
정제수 to 100
[제형예 5] 연고
배합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3의 인진쑥 발효물 0.1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밀납 4.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인진쑥 발효물은 인진쑥 열수 추출물의 발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진쑥 발효물은 인진쑥의 유산균 발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90009855A 2019-01-25 2019-01-25 인진쑥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 KR102196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855A KR102196051B1 (ko) 2019-01-25 2019-01-25 인진쑥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855A KR102196051B1 (ko) 2019-01-25 2019-01-25 인진쑥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669A true KR20200092669A (ko) 2020-08-04
KR102196051B1 KR102196051B1 (ko) 2020-12-29

Family

ID=72049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855A KR102196051B1 (ko) 2019-01-25 2019-01-25 인진쑥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0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691B1 (ko) * 2020-09-02 2021-10-12 주식회사 네오캠코리아 산야초 발효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7778A (ko) 2011-10-25 2013-05-09 (주)아모레퍼시픽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111384A (ko) * 2013-03-11 2014-09-19 신성욱 항산화제와 쑥 발효액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8100A (ko) * 2014-06-30 2016-01-21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7778A (ko) 2011-10-25 2013-05-09 (주)아모레퍼시픽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111384A (ko) * 2013-03-11 2014-09-19 신성욱 항산화제와 쑥 발효액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8100A (ko) * 2014-06-30 2016-01-21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통신일보], "쑥미인, 친환경 기능성화장품 ‘더 행복한 피부’ 5종 출시"(2011.11.15.)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691B1 (ko) * 2020-09-02 2021-10-12 주식회사 네오캠코리아 산야초 발효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051B1 (ko)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7549A (ko) 미강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호 및 개선용조성물
KR20130083780A (ko)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180106155A (ko) 천연 혼합물의 발효물질을 포함하는 미백 및 보습기능성 조성물
KR101295368B1 (ko)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299276B1 (ko) 납떼기콩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96051B1 (ko) 인진쑥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
US11306117B2 (en) 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novel quercetin-based compound
KR102238329B1 (ko) 천연 혼합물의 유산균 발효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
KR102462347B1 (ko) 가지 발효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및 피부장벽 기능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123588B1 (ko) 복합 해조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활성 조성물
KR20160081176A (ko) 카테킨 및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08942A (ko) 발효된 부활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98695B1 (ko) 뽕나무뿌리와 모란뿌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4961B1 (ko)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652809B1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746622B1 (ko) 땅빈대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014960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070121193A (ko) 청주 순미주 농축물 및 청주박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함유하는 피부 보호 또는 염증 완화용 조성물
KR101597505B1 (ko)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을 함유하는 민감성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0052B1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628844B1 (ko) 등나무 꽃, 두릅나무 꽃, 동백나무 잎 및 동백나무 꽃 혼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9897A (ko) 해조류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기능성 조성물
KR102139827B1 (ko) 식물성 발효 점액질(mucilase)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200141599A (ko) 해조류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기능성 조성물
KR20170114740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