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241B1 -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241B1
KR101509241B1 KR20080055305A KR20080055305A KR101509241B1 KR 101509241 B1 KR101509241 B1 KR 101509241B1 KR 20080055305 A KR20080055305 A KR 20080055305A KR 20080055305 A KR20080055305 A KR 20080055305A KR 101509241 B1 KR101509241 B1 KR 101509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ne
extract
substance
cosmetic composition
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55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9172A (ko
Inventor
조인식
신경훈
김관철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20080055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241B1/ko
Publication of KR20090129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2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5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레스에 의해 분비가 증가되는 물질 P(Substance P)에 의한 피지 생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여 여드름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납작파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납작파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스트레스로 인한 여드름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 자극이 적어 여드름 개선을 위하여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여드름, 스트레스, 물질 P, Substance P, 납작파래

Description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nd preventing acne}
본 발명은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질 P (Substance P)에 의한 피지 생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납작파래 추출물을 함유하여 여드름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으면서도 피부 자극이 적은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드름은 피부의 모낭피지선에서 일어나는 염증성 질환으로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 피부각질 생성, 피지와 세균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생하며 특히 혐기성 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가 주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여드름을 치료하기 위하여 엔드로겐을 사용한 피지생성의 억제, 스테로이드호르몬에 의한 염증 억제, 레조시놀, 유황 및 벤조 일퍼옥사이드와 같은 항균제 사용, 테트라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 메크로 사이클린등의 항생물질에 의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균의 활성억제방법등이 사용되고 있 다. 최근에는 레티노익산등의 비타민 A유도체를 이용한 치료방법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방법들은 여드름 치료에 효과적인 면이 있으나, 피부안전성 측면에서 부작용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호르몬제의 사용은 표피의 생장억제나 기타 호르몬 남용 부작용이 보고되어 있으며, 레티노익산과 벤조일 퍼옥사이드등은 피부 자극성과 접촉성 피부염의 우려가, 테트라사이클린등의 항생물질은 내성균의 출현 및 광과민작용의 가능성이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사춘기에 남성 호르몬으로 인한 피지분비량 증가로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던 여드름이 성인에서도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성인기에 증가하는 여드름의 원인으로는 과도한 화장, 불규칙한 생활 습관, 환경오염등의 여러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는데,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여드름 악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이를 증명하기 위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Arch dermatol, 2003). 심리적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질환의 악화는 여드름뿐만 아니라 아토피 피부염, 건선등 여러 피부질환에서도 발견된다(J Am Acad Dermatol 1996;34:1030-46, J Am Acad Dermatol 1981;5:125-36).
심리적 스트레스로 자극을 받으면 신체는 호르몬 분비 및 신경전달 물질의 변화가 나타난다. 코르티코트로핀 방출호르몬(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 CRH)과 같은 뇌하수체 호르몬의 생성이 증가하고, 신경전달물질인 물질 P (Substance P), 칼시토닌 유전자관련 펩타이드(calcitonin gene related protein/CGRP)등이 스트레스에 의해서 그 분비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피부에도 영향을 미쳐 염증반응 및 색초침착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2006; 126:1697-1704).
이들 중에서 물질 P(substance P)는 타키키닌 류(tachykinin family)에 속하는 신경전달 펩타이드로서 통증전달에 관여한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물질 P는 혈류량 증가, 혈관확장, 비만세포의 과립화 등을 유도하며, 특히 피부의 각질형성세포등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europeptide. 2006;40:251-263). 또한, 혈장의 물질 P(Substance P)의 농도가 아토피 피부염의 심각성을 평가하는 유용한 생물표지로 생각되고 있으며, 여드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드름 병변 부위에는 물질 P(Substance P)를 포함하고 있는 신경이 비 병변부위보다 증가되어 있으며(Exp Dermatol. 2002 Jun;11(3):241-7), 물질 P(substance P)에 의해서 피지선세포에서의 피지생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ed Electron Microsc. 2001; 34(1):29-40). 따라서, 물질 P에 의한 피지생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면 스트레스로 인한 여드름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레스에 의하여 분비가 증가 되는 물질 P(Substance P)에 의한 피지생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을 억제하는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여드름 개선에 효과가 있으면서도 부작용이 없고 피부에 자극이 적은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납작파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납작파래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추출물은 유기용매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함수 알코올 아세톤 및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물질 P에 의한 피지생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여 여드름의 개선 및 예방에 효과가 있다. 물질 P는 스트레스에 의해 분비가 증가되는 물질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스트레스에 의한 여드름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므로 부작용이 작고 피부자극이 적은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고 여드름 개선에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납작파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납작파래(Enteromorpha compressa)는 외해수(外海水)의 영향이 있는 바닷가의 바위·돌·말뚝 등에 붙어 살며 시기가 이른 김발에도 잘 붙는다. 길이 약 40cm, 지름 1∼5cm이다. 몸은 둥근 통 모양이고 약간 납작하며 때로 잘록하다. 크기는 다양하게 변한다. 아랫부분에서 갈라지기도 하나 가지는 보통 하나이며 윗부분은 크게 부풀거나 불규칙하게 꼬여서 창자처럼 된다. 처음에는 짧은 원기둥 모양의 줄기로 붙어 있으나 곧 떨어져 나와 떠다닌다. 세포는 지름 10∼15μm이며 일정한 순서 없이 늘어서고 그리 두껍지 않은 막이 있다. 한국을 비롯해 전세계에 널리 분포하며 식용이 가능하다.
납작파래 추출물은 공지의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얻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건조분쇄된 납작파래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1~7일간 실온에서 침적 추출하거나 1~5시간 가온 추출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건조분쇄된 납작파래를 당업계에서 관용되는 추출용매에 침지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는 방법에 의해 납작파래 추출물을 얻었다. 바람직한 추출용매로는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함수 알코올 아세톤 및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3-부틸렌글리콜과 글리세린을 1:1 부피비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추출용매 는 건조분쇄된 납작파래에 대하여 1~50배의 부피비로 가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납작파래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한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피지생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제형화에 어려움이 있고 변색, 변취 등의 화장료로서 갖추어야할 제형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어렵다. 상기의 방법으로 추출한 납작파래 추출물은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질이 주요 성분일 것으로 추정된다. 납작파래 추출물은 피부의 이온 균형을 조절하여 줌으로서 피부에 보습과 냉감을 줄 수 있는 기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고, 스트레스로 인해 분비가 증가되는 물질 P에 의한 피지생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여 여드름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다.
상기의 납작파래 추출물에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용성 스킨제, 점도와 경도 조절제, 자외선 흡수제, 안료, 보습, 방부제, 향료 및 색소등을 배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형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어서, 크림, 스킨, 로션, 팩, 화운데이션뿐만 아니라 비누, 세안폼과같은 세안료등 여러가지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여러가지 제형으로 여드름의 예방과 개선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 실시예 1 : 납작파래 추출물의 제조 >
납작파래는 깨끗한 담수로 씻어 실온에서 완전히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납작파래의 건조 분쇄물 100g에 1,3-부틸렌글리콜과 글리세린을 1:1 부피비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 1L를 가하여 하루동안 상온에서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고 감압증발기로 농축하여 납작파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농축후 1,3-부틸렌글리콜로 희석하여 중량%로 추출물의 농도를 조절하였다.
< 실시예 2 내지 7 >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실시예 1의 납작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수를 제조하였고, 표 2와 같은 조성으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1,3-부틸렌 글리콜 5.0 5.0 5.0
구연산 0.1 0.1 0.1
글리세린 0.5 0.5 0.5
에탄올 20 20.0 20.0
향료 0.15 0.15 0.15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납작파래추출물 0.1 1.0 5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성분(중량%)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다이프로필렌글리콜 2 2 2
글리세린 2.5 2.5 2.5
1,3-부틸렌글리콜 8.0 8.0 8.0
에탄올 5.0 5.0 5.0
향료 0.2 0.2 0.2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납작파래추출물 0.1 1.0 5
증류수 잔량 잔량 잔량
< 비교예 1 내지 4 >
하기 표 3 및 4와 같은 조성으로 화장수 및 로션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비교예 1
1,3-부틸렌 글리콜 5.0
구연산 0.1
글리세린 0.5
에탄올 20
향료 0.15
방부제 적량
납작파래추출물 0
정제수 잔량
성분(중량%) 비교예 2
다이프로필렌글리콜 2
글리세린 2.5
1,3-부틸렌글리콜 8.0
에탄올 5.0
향료 0.2
방부제 적량
납작파래추출물 0
증류수 잔량
< 실험예 1 : 피지생성억제 측정 >
피지선 세포를 DMEM/F-12 (1:1)에 10% FBS를 첨가한 배지에 배양하였으며, 96well plate에 2 X 103의 세포를 부착하여 2일간 배양하였다. 물질 P와 실시예 1의 납작파래 추출물을 농축 후, 1,3-부틸렌 글리콜로 희석하여 하기 표 5와 같이 농도별로 투여하고 3일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PBS로 세척 후 세포내 지질을 nile red로 염색하였다. 다기능 효소 면역분석기를 이용하여 형광 측정을 하였으며, excitation 485nm, emission 565nm 필터를 이용하여 피지선 세포 내 피지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 5는 무처리군을 1로 하여 형광 강도비율을 나타낸 결과이다.
형광강도 비율(control=1)
음성 대조군 (control) 1
물질 P (10-9M) 1.66
물질 P(10-9M) + 납작파래추출물(0.025중량%) 1.43
물질 P(10-9M) + 납작파래추출물(0.05중량%) 1.21
물질 P (10-9M)+ 납작파래추출물(0.1중량%) 1.17
상기 표 5에서 보듯이 물질 P를 투입하였을 때 지질생성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납작파래 추출물을 함께 투여하였을 경우 세포 내 피지 생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납작파래 추출물이 물질 P에 의한 피지생성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 :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 >
여드름 생성 원인 중 모낭 세포벽 및 각질층에서 발생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IL-1a)이 과각화 및 염증 생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트레스로 인해 분비량이 증가하는 물질 P가 각질 형성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어, 납작파래 추출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각질형성 세포를 FBS가 첨가된 DMEM 배지에 배양하고, 96well plate에 1 X 104의 세포를 하루 동안 부착시킨 후 물질 P(Substance P)와 실시예 1의 납작파래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후에 배양액을 회수하였다. 납작파래 추출물은 농축후, 1,3-부틸렌 글리콜로 희석하여 농도를 조절하였다. IL-1a ELISA assay kit을 이용하여 IL-1a의 생성량을 비교하였으며, 무처리군을 1로 하여 비율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IL-1a 생성율
음성 대조군 ( control ) 1
물질 P(10-7M) 1.49
물질 P(10-7M) + 납작파래추출물(0.005중량%) 1.24
물질 P(10-7M) + 납작파래추출물(0.01중량%) 1.18
물질 P(10-7M) + 납작파래추출물(0.02중량%) 0.79
표 6의 결과와 같이 물질 P를 처리하였을 때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a의 생성이 증가하였으며, 납작파래 추출물을 함께 투여하였을 경우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납작 파래 추출물이 물질 P(Substance P)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3 : 피부자극 테스트 >
건강한 피부를 가진 사람 2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의 납작파래 추출물에 대한 일차피부자극 테스트를 시행하였다. 실시예 1의 납작파래 추출물은 농축 후 1,3-부틸렌 글리콜로 희석하여 농도를 다르게 하여 실험하였다. 피험자의 상박내측에 Finn Chambers on scanpor tape을 이용하여 48시간 동안 패색 첩포 하였으며, 패취제거 후 1시간과 24시간 후의 반응을 ICDRG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첩포지 제거 후 2시간과 24시간의 반응을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피부 반응도를 구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42054108-pat00001
피부반응도 자극도 판정
증류수 0.4 무자극
납작파래추출물 (0.5중량%) 0.8 무자극
납작파래추출물 (0.2중량%) 0.4 무자극
표 7의 결과와 같이 납작파래 추출물의 피부반응도는 0.5중량%에서 0.8, 0.2중량%에서는 0.4 정도로 피부 자극의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4 : 여드름 개선 효과 시험 >
상기 실시예 2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스킨, 로션의 여드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염증성 여드름 병변이 있는 여드름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여드름 개선 효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15명씩 두 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어 비교예 1 내지 2를 사용한 비교군과 실시예 2 내지 7을 사용한 시험군의 염증성 여드름 개선 효과를 사용 전 후의 사진촬영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제품 사용 기간은 5주로 하였으며, 5주 후 개방면포, 폐쇄면포인 비염증성 여드름과 염증성 구진, 농포, 결절의 염증성 여드름의 총 병변 수 변화를 사진 촬영을 통하여 사용 전과 비교하였다.
비교군 시험군
염증성 여드름 병변 감소율 34% 76%
비염증성 여드름 병변 감소율 22% 35%
표 8의 결과와 같이 비교군에 비하여 시험군이 비염증성 여드름과 염증성 여드름 감소가 큰 것으로 나타나 여드름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에서 본 바대로, 본 발명의 납작 파래 추출물은 스트레스로 분비량이 증가하는 물질 P에 의한 피지생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 개선 및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천연추출물로 피부 자극이 적어 부작용의 위험을 줄이면서 안전하게 사용가능하다.

Claims (4)

  1. 납작파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납작파래 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납작파래 추출물이 유기용매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가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함수 알코올 아세톤 및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080055305A 2008-06-12 2008-06-12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9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5305A KR101509241B1 (ko) 2008-06-12 2008-06-12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5305A KR101509241B1 (ko) 2008-06-12 2008-06-12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172A KR20090129172A (ko) 2009-12-16
KR101509241B1 true KR101509241B1 (ko) 2015-04-06

Family

ID=41689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55305A KR101509241B1 (ko) 2008-06-12 2008-06-12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2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911B1 (ko) * 2020-08-03 2022-08-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백, 주름개선 및 안티폴류션용 기능성 조성물
CN114392210B (zh) * 2022-01-24 2023-09-12 上海上水和肌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抗衰、淡纹及提升皮肤光泽感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871A (ja) * 1992-12-24 1995-04-18 Lion Corp 生体ヒアルロン酸合成促進剤
KR20040004274A (ko) * 2003-12-12 2004-01-13 주식회사 선진애드 한국산 녹조류 유래의 면역증강용 추출물, 그 추출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약제
KR20060013168A (ko) * 2004-08-06 2006-02-09 오충헌 아토피 피부 트러블 방지 효과가 있는 해조추출물 함유화장료 조성물
US20070248563A1 (en) 2006-04-19 2007-10-25 Iovanni Carl F Skin care compositions including marine extrac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871A (ja) * 1992-12-24 1995-04-18 Lion Corp 生体ヒアルロン酸合成促進剤
KR20040004274A (ko) * 2003-12-12 2004-01-13 주식회사 선진애드 한국산 녹조류 유래의 면역증강용 추출물, 그 추출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약제
KR20060013168A (ko) * 2004-08-06 2006-02-09 오충헌 아토피 피부 트러블 방지 효과가 있는 해조추출물 함유화장료 조성물
US20070248563A1 (en) 2006-04-19 2007-10-25 Iovanni Carl F Skin care compositions including marine extra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172A (ko)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845B1 (ko) 피부 노화의 징후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1746843B1 (ko) 함수 또는 흡습 제제와 조합하여 항산화제로서 폴리페놀이 풍부한 식물 추출물의 용도
KR101333209B1 (ko) 파이토케미컬로 표면처리된 금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13164797B (zh) 聚伞岩蔷薇提取物的新型化妆品和皮肤病学用途
KR101972071B1 (ko) 피부톤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JP2010150258A (ja) 保湿効果又は老化防止効果を有する少なくとも2つの浸透圧調節物質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CN110691630A (zh) 红毛丹果皮提取物在皮肤和/或粘膜保湿中的用途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17774B1 (ko) 블랙커민씨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보존용 조성물
KR20160036236A (ko) 극지 지의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EP3102181B1 (fr) Complexe actif pour un produit cosmétique contre le vieillissement cutané
CN108578325A (zh) 一种保湿防晒组合物及其用途
KR101837446B1 (ko) 알파-망고스틴, 베타-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가르탄닌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101810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358611B1 (ko) 호장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9241B1 (ko)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82635A (ko) 적송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KR20170010499A (ko) 달팽이 점액 발효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개선 및 높은 피부 흡수율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과 기능성 화장품
KR20140025737A (ko) 산성 이온수를 이용한 새싹 발효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로써 얻어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2238981A1 (en) Composition comprising mucilaginous polysaccharides derived from aloe barbadensis combined with liposomes, method for obtaining same and use thereof as a sun protector, an anti-acne agent, an epidermal regenerator and a moisturiser
JP2019530655A (ja) アルブツス・ウネドの果実抽出物の化粧品としての使用
EP4183404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extract of above-ground part of carrots
KR101910419B1 (ko) 피지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7411B1 (ko) 생약 추출물 함포 펙틴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1000A (ko) 퀘르세틴, 제니스테인 및 알파리포산을 함유하는 광손상 방지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