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843B1 - 함수 또는 흡습 제제와 조합하여 항산화제로서 폴리페놀이 풍부한 식물 추출물의 용도 - Google Patents

함수 또는 흡습 제제와 조합하여 항산화제로서 폴리페놀이 풍부한 식물 추출물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843B1
KR101746843B1 KR1020100048559A KR20100048559A KR101746843B1 KR 101746843 B1 KR101746843 B1 KR 101746843B1 KR 1020100048559 A KR1020100048559 A KR 1020100048559A KR 20100048559 A KR20100048559 A KR 20100048559A KR 101746843 B1 KR101746843 B1 KR 101746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mixtures
agent
functional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9689A (ko
Inventor
마르크 뒤마
미쉘르 느뵈
베아트리체 보프르르-세론
장-휴버트 코샤드
발레리 크르지쉬
Original Assignee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filed Critical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ublication of KR20100129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8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함수 또는 흡습 제제와 조합하여, 높은 함량의 폴리페놀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활성 제제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습 및 항산화 화장품 케어를 증진한다.

Description

함수 또는 흡습 제제와 조합하여 항산화제로서 폴리페놀이 풍부한 식물 추출물의 용도{Use of a polyphenol-rich plant extract as antioxidant in combination with a hydrating or humectant agent}
본 발명은 함수 또는 흡습 제제와 조합하여, 화장품 조성물에서 화장 활성 제제로서, 높은 함량의 폴리페놀, 특히 플라보노이드, 이소플라보노이드 또는 안토시아닌을 풍부하게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 조합의 화장품 활성 제제를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는, 살아있는 생물체에 유해한 것으로 입증되어 질 수 있는 결과로, 동물과 식물의 세계에서 공통되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는 인간에 있어 피부를 노화하는 플레이어이고 세포적 준위에서 그의 해로운 효과에 기초하여 이들 효과를 방지하거나 또는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많은 연구의 대상으로 되어 왔다.
산화적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반응성 산소 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s)은 또한 자외선 방사와 같은 물리적 제제 또는 과산화수소와 같은 화학적 제제에 노출 후에 세포질의 대사작용 도중에 형성된 분자이다.
현재까지는, 일정한 수준으로 피부 보습을 유지하는 능력을 말하는 피부의 수분 항상성이 세포질의 수준에서 산화적 진행을 조절함에 의해 노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을 입증하지는 못하고 있다.
수분 항상성의 파괴는 피부 노화에 있어 극히 조기에 일어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신체는 조기 단계에 다량의 수분을 손실한다는 것은 M. Wisser and D. Gallagher in an article entitled "Age-related change in body water and hydration in old age", published in the work entitled "Hydration throughout life", M.J. Arnaud, published by John Libbey Eurotext, 1998, pages 117-125에 의해 밝혀졌다.
또한, 수분 흐름을 제어하는 단백질 시스템이 노화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제시하는, 피부 세포에서 아쿠아포린(aquaporin)-3 (AQP-3)의 발현은 나이와 함께 감소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Dumas et al., J.  Drugs Dermatol ., 2007, 6, 20-24, 및 Dumas et al., Int . J. Cosmet . Sci ., 2005, 27, 47-50).
본 발명은 피부의 세포에 손상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그리고 이들의 노화에 관여하는 산화적 과정과 피부의 함수 정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것과 그리고 따라서 조절자로서 세포 안에 존재하는 세포 수분과 수화 분자를 사용함에 의해 항산화제의 유효성을 증가하는 것이 가증하게 될 수 있다는 본 발명자에 의해 제시된 가설에 기초되어 진다.
따라서, 피부의 표면 층인 상피 및 각질층의 양호한 함수를 유지함에 의해, 피부의 노화에 기여하는 산화적 진행을 감소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항산화 효과와 같은 것을 나타내는 내인성 항산화 분자 또는 화장품 제제의 유효성을 실질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따라서 상기한 이들의 원리를 적용하여 만들어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피부의 함수를 유지하거나 또는 강화할 수 있는 화장품 활성 제제와 이들을 조합함에 의해 피부 수준에서 항산화 화장품 제제의 유효성을 개선하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함수 효과를 유의적으로 증가된 항산화 효과와 조합하는 화장품 활성 제제의 조합을 제공하는 것을 구성하는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조합을 포함하는 신규한 화장품 조성물, 특히 황노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업적으로 그리고 화장품의 규모로 사용되어 질 수 있는 단순하고 그리고 저렴한 방법으로 상기 기술적인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함수 또는 흡습 제제와 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활성 제제로서, 폴리페놀이 풍부한 식물 추출물을 화장품 조성물과 그리고 이런 화장품 활성 제제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별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특히 강력한 항산화제 특성을 제공하는 플라보노이드류, 이소플라보노이드류 또는 안토시아닌류가 풍부하다.
상기 식물 추출물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식물 물질은 폴리페놀이 풍부한, 특히 플라보노이드류, 이소플라보노이드류 또는 안토시아닌류가 풍부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식물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식물 물질은 폴리페놀이 풍부한 식물의 특히 과실, 화분과 같은 꽃이나 꽃의 일 부분 또는 이들의 잎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이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함수 또는 흡습 제제와 조합하여 장미의 추출물의 사용과 이러한 조합을 포함하는 화장품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그리고 본 문헌의 내용 안에서, 용어 "장미"는 장미 관목의 플라워 그리고 더욱이는 그 자체로 식물 전체와 그의 다양한 부분, 특히 꽃과 잎의 양자를 나타낸다.
특정한 대안적 형태에 따르면, 장미 추출물은 장미로부터 얻어지거나 또는 높은 함량의 안토시아닌류를 자연적으로 나타내는 장미 부분으로부터 얻어진다. 바람직한 장미는 메이데벤(Meidebenne) 버라이어티 이름으로 알려진 장미이다. 이 장미의 꽃은 아주 어두운 적색의 색상이다. 이것은 안토시안류의 아주 높은 함량을 나타낸다.
메이데벤 버라이어티는 메일랜드 인터내셔날 에스에이(Meilland International S.A.)에 의해 얻어진 잡종 장미 버라이어티이고 특히 커뮤니티 플랜트 버라이어티 권리 제7901호에 의해 보호되어 진다.
장미 덤불의 경우에 있어서는, 이것은 잎이고 그리고 특히 폴리페놀, 특히는 안토시안류, 더욱 특히는 시아니딘(cyanidin)과 펠아르고니딘(pelargonidin)이 풍부한 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미 추출물의 제조를 위한 식물 물질은 따라서 유익하기로는 전체 꽃송이 또는 꽃봉오리인 전체 꽃이나 또는 화분과 같은 꽃의 일 부분으로부터, 또는 잎으로부터 얻어진다.
특히 바람직한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장미 추출물은 메이데벤 버라이어티 장미의 꽃으로부터 얻어진다.
식물 물질은 신선한 생태로 사용되어 질 수 있거나 또는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진 기술에 의해 추출 단계에 앞서서 건조되어 지거나 또는 탈수되어 질 수 있다.
식물 물질은 또한 추출 단계 전에 분쇄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인과 그리고 식물 조직에 존재하는 알려진 항산화적 특성인 폴리페놀류, 특히 플라보노이드류, 이소플라보노이드류 또는 안토시아닌류를 추출할 수 있는 이들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추출 과정에 의해 제조되어 질 수 있다.
제일의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식물 추출물은 따라서 선택된 식물 물질을 극성 용매 또는 극성 용매의 혼합물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조되어 질 수 있다.
유익하기로는 추출의 단계에서 사용되어 질 수 있는 극성 용매로서 물, C1-C4 알코올로 예를 들어 에탄올, C2 내지 C6 글리콜로 바람직하기로는 글리세롤, 부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에서 선택되어 진 것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진 용매 또는 용매의 혼합물이 선택되어 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추출을 위해서는 물, 물/글리세롤 혼합물, 또는 물/알코올 혼합물, 예를 들어 물의 혼합물 및 알코올의 혼합물, 바람직하기로는 50% v/v의 물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물, 특히는 90% v/v까지의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사용되어 진다.
본 발명의 다른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추출은 또한 미임계 상태에서 극성 용매를 사용하는 과정에 따라 수행되어 질 수 있으며, 상기 용매는 유익하기로는 미임계 상태에서 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추출은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진 공정에 따르는 냉동적출일 수 있다.
추출은 또한 선택적으로 목표 추출물을, 예를 들어 미임계 또는 초임계 상태에서 비극성 용매 또는 CO2를 사용하여,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탈색하거나 또는 정제하는 처리로 구성된 부가적인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은 수성 농도가 유의성 있는 양의 유기 용매를 제거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건조 잔사가 얻어질 때까지 추출 용매의 부분적인 또는 완전한 제거의 단계가 부가되어 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추출 단계로부터의 산물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에 활성 제제로서 사용되어 지도록 하기 위해, 그 상태로 바로 화장품 조성물에 사용되어 질 수 있는 분말의 형태로 제공되어 지거나 또는 용매 또는 용매의 혼합물에 재분산되어 질 수 있도록 동결건조되거나 가루로 만들어 질 수 있다.
화장품 조성물은 바람직한 항산화 효과를 얻기 위해 상기에 언급된 식물 추출물의 유효한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수행된 시험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이 이것을 피부에 함수 또는 흡습 효과를 보이는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 활성 제제를 갖는 화장품 조성물에 혼합함에 의해 개선되어 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함수 또는 흡습 제제는 폴리올; 물에 대해 높은 친화도를 갖는 NMF (Naturl Moisturizing Factor)의 구성 분자; 오스모라이트(osmolyte); 아쿠아포린 생합성을 활성화하는 제제; 히알루론 산, 특히 고분자량 또는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프로테오글리칸 및 CD44 히알루론에이트 수용체; 지질의 생합성을 활성화하는 제제; 케라티노사이트의 분화를 활성화하는 제제; 치밀 접합부(tight junctions)의 형성을 활성화하는 제제; 데즈모섬(접착반) 및 코르네데즈모섬의 형성을 활성화하는 제제; 프로필아그린 및/또는 필라그린의 형성을 활성화하거나 및/또는 NMF를 제공하기 위해 이들 단백질의 자연적인 분해를 활성화하는 제제; 또는 코르네사이트의 각질 엔벨롭의 형성을 활성화하는 제제일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폴리올은 유익하기로는 글리세롤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혼합물이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NMF의 구성 분자는 유익하기로는 필아그린, 피롤리돈카르복실 산, 락테이트, 우레아, 슈거로 예를 들어 글루코스, 플럭토스 및 락토스의 구성 아미노산, 그리고 흔적 요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혼합물이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익하기로는 오스모라이트는 베타인, 타우린, 오르니틴, 라이신, 이노시톨, 트레할로스, 엑토인 및 하이드록시엑토인,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추출물이거나 아니면 피부 세포에 이들의 이송자들을 활성화할 수 있는 추출물로 선택된 단독 또는 혼합물이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아쿠아포린 생합성을 활성화하는 제제는 유익하기로는 아쿠아포린-3 (AQP-3)를 활성화하는 것, 특히는 아주가 터케니스타니카(Ajuga turkestanica) 추출물, 아쿠아포린-9 (AQP-9)를 활성화하는 것, 특히는 말바 실베스트리스(Malva sylvestris) 추출물, 센테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로부터 추출된 헤테로사이드와 조합이거나 또는 단독, 또는 다른 케라티노사이트, 베라노사이트, 피브로블라스트 및 아디포사이트 아쿠아포린을 활성화 하는 것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혼합물이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히알루론 산 및 프로테오글리칸을 활성화하는 제제는 유익하기로는 D-크실로스이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CD44 히알루론에이트 수용체의 생합성을 활성화 하는 제제는 유익하기로는 칼슘 염, 특히는 칼슘 글루코네이트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혼합물이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질의 생합성을 활성화하는 제제는 유익하기로는 루파 실린드리카(Luffa cylindrica) 또는 해바라기 씨앗 추출물 또는, 피부 경계막의 방수기능을 개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케라티노사이트의 라멜라 바디의 성장 및 배출을 자극하는 제제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혼합물이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케라티노사이트의 분화를 활성화하는 제제는 유익하기로는 엑디스테로이드(ecdysteroids), 특히는 β-엑디손, 또는 칼슘 글리코네이트, 또는 피롤리돈카르복실 산이나 칼슘 염과 같은 칼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혼합물이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치밀 접합부의 형성을 활성화하는 제제는 유익하기로는 오피오포곤 쟈포니커스(Ophiopogon japonicus) 추출물이나 저분자량의 히알루론 산 분획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혼합물이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데즈모섬 및 코르네데즈모섬의 형성을 활성화하는 제제는 유익하기로는 라반듈라 스토에카스(Lavandula stoechas) 추출물이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프로필아그린 및/또는 필라그린의 생합성을 활성화하는 제제는 유익하기로는 보안드제이아 서브테라네아(Voandzeia subterranea)의 추출물이나 살리코니아 허브아세아(Salicornia herbacea) 추출물, 임의적으로 유익하기로는 필아그린의 분해에 의해 NMF의 형성을 증진하는 마트립타제를 활성화하는 제제와 조합된 그 자체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혼합물이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코르네사이트의 각질 엔벨롭의 형성을 활성화하는 제제는 유익하기로는 β-엑디손이다.
마지막으로 특정한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피부나 그 세포를 보습하는 다양한 방법이 유익하기로는 보습 작용을 유지하거나 강화하기 위해 조합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활성 제제로서 폴리페놀-풍부 식물 추출물과 상기한 바와 같은 또는 다음에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유래된 적어도 하나의 보습 또는 흡습 제제의 조합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목적으로 하고, 그리고 특히 피부의 노화 현상과 특히는 산화적 스트레스 및 ROS의 작용으로부터 유래하는 피부 노화의 현상을 완화하거나 또는 늦추기 위한 항노화 화장품 조성물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화장품 조성물의 식물 추출물은 안토시아닌-풍부 장미 추출물이다.
특정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화장품 조성물의 식물 추출물의 농도는 0.0001 내지 1 건조 추출물의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001 내지 0.1 건조 추출물의 중량%이다.
다른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화장품 조성물의 가습 또는 흡습 제제는 화장품 조성물의 0.001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10 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상기된 조합에 부가하여 화장품 조성물은 안료, 염료, 폴리머, 표면 활성제제, 유동화제, 향료, 전해질, pH 조정제, 항산화제, 보존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화장품 조성물은 스킨-케어 제품이거나 또는 메이크-업 제품일 수 있고, 그리고 예를 들어, 세럼, 로션, 에멀젼 또는 하이드로겔의 형태로, 특히는 마스크의 형태로 제공되어 질 수 있거나 스틱, 예를 들어 립스틱, 글로스 또는 패치와 같은 형태로 제공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특히 피부의 가습 상태를 유지하거나 강화하기 위해 및/또는 피부의 노화 현상의 발현을 방지하거나 지연하기 위해 또는 항산화 효과를 형성함에 의해 이들의 효과를 늦추기 위해,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또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유효량의 화장품 조성물을 신체의 관련 부위에 국부적 적용을 포함하는 화정품 케어 방법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본 화장품 케어 방법에서, 피부의 노화 현상의 발현을 방지하거나 지연시키기 위해 또는 이들의 효과를 늦추기 위해, 특히는 피부의 색조를 높이기 위해 및/또는 통상적으로는 항노화 효과로 언급되는 주름을 부드럽게 하거나 제거를 증진하기 위한 화장품 케어 또는 산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각종 스트레스에 대해 피부를 보호하도록 하기 위한 케어가 또한 수행되어 진다.
제일 측면의 내용에서 본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 또는 대안적인 실시형태가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도 적용되어 진다는 것은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인에게 명확하게 되어 질 것이다. 대안적인 실시형태는 조합되어 질 수 있다.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인은 또한 이렇게 정의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목적에서 제시된 기술적인 문제를 산업적 규모 및 화장품적 규모에 기초하여 사용될 수 있는 만족스럽고, 신뢰할 수 있으면 저렴한 방식으로 해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고 이해되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순수하게 상세한 설명을 목적으로 주어지고 그리고 발명의 범주의 제한을 결코 구성하지 않는 발명의 실시형태의 몇 가지 예로 생체 내에서 그리고 생체 외에서 실시된 예를 참고로 하여 제공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되어 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 및 특히 실시예를 통하여, 달리 명시하는 바가 없으면 모든 백분율은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주어지는 것이고, 온도는 주변 온도, 예를 들어 플러스 23℃ 또는 마이너스 3℃이며, 그리고 압력은 대기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목적에서 제시된 기술적인 문제를 산업적 규모 및 화장품적 규모에 기초하여 사용될 수 있는 만족스럽고, 신뢰할 수 있으면 저렴한 방식으로 해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유중수(oil-in-water) 에멀젼이 냉동 적출의 과정에 따라 얻어진 다양한 이데벤의 장미 꽃의 추출물을 포함하여 제조되었다. 건조 추출물은 상기 추출물 0.5% w/v를 포함하는 물/글레세롤(50/50) 용액에 희석되어 진다.
    %
메이데벤 추출물의 용액 0.3
글리세롤 6.0
수화된 폴리이소부텐 7.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펜틸렌 글리콜 3.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2.5
PEG-100 스테아레이트 2.5
밀납 1.5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1.5
세틸 알코올 1.0
스테아릴 알코올 1.0
디메티콘 1.0
펜옥시에탄올 0.5
크산탄 검 0.2
아크릴레이트/C10 -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횡공중합체 0.2
테트라소디움 EDTA 0.1
수산화나트륨 < 0.1
물 잔량 100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되어 진다.
크림은 아래의 실시예 2의 생체 내 시험에 사용되어 진다.
실시예 2: 국부적 적용을 위한 스킨 케어 제품의 항산화 특성의 평가
이를 위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크림(제품 A)이 생체 내에서 연구를 위해 사용되었다.
상기 언급된 제형의 글리세롤이 배제되고 물로 대체된 동일한 정량적 및 정성적 제형을 갖는 크림(제품 B)이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부적인 적용 후에 피부 표면에서의 반응성 산소 종(ROSs)에서의 감소를 평가함에 의해 각 조성물에 의해 생성된 항산화 효과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1- 실험적 프로토콜
1.1- 평가의 원리
샘플이 각질층으로부터 회수되어 지고 그런 다음 산화 종이, 채색된 인디케이터로서, 탈아세틸화 후 ROS의 존재에서 플루오르화되는 화합물 DCF*로 되는 화합물 DCF(H)-DA(2',7'-디클로로플루오르세인 디아세테이트; dichlorofluorescein diacetate)을 사용하여 시험되었다(cf., Girard et al ., Current Problems in Dermatology, 1998, 26, pages 99-107).
피부에 항산화제의 적용은 이론적으로 ROS의 농도를 감소하고 따라서 측정된 형광성을 감소한다.
피부는 D-스쿠암(Squame) 표준 접착제를 사용하여 샘플되어 진다. D-스쿠암 디스크는 DCF*를 함유하는 버퍼 용액에서 배양되어 지고 그리고 형광성이 형과메터에 의해 정량되어 진다.
1.2- 장비 및 시약의 상세
- 형광성 측정을 위한 장비: 플루오로스캔 앱샌트(Fluoroskan Ascent) (Labsystems), λex=485 nm 및 λem=538 nm.
-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Labsystems: Luminostrip).
- 워터 배쓰(Plexiglas, supplied by Bioblock).
- 스쿠어메터를 사용하여 대략적으로 10초 동안 300 gf/cm2의 압력으로 측정이 수행되어 지는 지점에 적용되어 지는 22mm 직경의 D-스쿠암 투명 접착제 디스크(Cuderm Co.)
- 스쿠아메터 (Giap): 이 장비는 D-스쿠암을 통하여 투과되어 진 적외선 빛의 흡수(850 nm)를 위한 인자의 기능으로서 셈플된 스쿠아매(squamae)의 수를 나타낸다(Parfums Christian Dior를 위한 프랑스 특허 제2 710 517호 참고).
- 미니솔프 플라스틱 튜브(MiniSorp plastic tubes) (Polylabo).
- A DCF(H)-DA 용액 9.44 × 10-4M 농도.
5ml의 96°에탄올 내 2.3mg의 DCF(H)-DA (Reference D-399, Molecular Probes supplied by Interchim).
- 0.01M의 농도를 갖는 NaOH 용액(다시 말하면, 100 ml에 밀리-Q 워터로 희석된 0.5N의 농도를 갖는 2ml의 NaOH), pH=12 (Merck).
- 66 mM의 농도를 갖는 인산염 완충액 용액, pH=7.4.
152ml의 밀리-Q 워터에 희석된 일 포의 PBS (Reference P-3813, supplied by Sigma).
1.3- 시험의 상세
- 단계 A: 탈아세틸화
0.01M의 농도를 갖는 3ml의 NaOH 용액(pH=12)이 20㎕의 상술한 DCF(H)-DA 용액에 부가되어 진다. 반응은 100초 동안 교반하면서 일어나도록 되고 그리고 DCF(H)(2',7'-dichlorofluorescein)의 용액이 얻어진다.
- 단계 B: 반응
D-스쿠암이 피부에 적용되어 지고, 그리고 스쿠아메터가 10초 동안 300 gf/cm2의 압력에서 사용되어 진다.
D-스쿠암은 플라스틱 튜브 내에 66mM의 농도를 갖는 1.5ml의 인산염 완충액 용액(pH=7.4)에 실질적으로 침지되어 진다. D-스쿠암디스크를 포함하지 않는 튜브는 대조로서 사용되었다.
단계 A에서 제조된 50㎕의 DCF(H) 용액이 부가되었다.
튜브는 교반되어 지고 그리고 나서 2시간 동안 37℃ 온도의 워터 배쓰에 놓여 진다.
250㎕의 이전된 용액은 마이크로플레이트의 웰에 위치되어 진다.
형광성은 그런 다음 37℃, λex=485 nm 및 λem=538 nm에서 플루오로스캔을 사용하여 판독되었다.
1.4- 상세한 방법
조성물은 팔뚝의 전면에 연속적인 6시간 동안에 4번, 즉 매 2시간에 한번 씩 적용되었다.
2㎕/cm2의 조성물이 손가락 싸개를 사용하여 작용되었다.
손목과 팔꿈치 사이의 각 팔뚝의 피부의 세 영역이 시험되었다.
- 영역 당 반복된 측정 수: DCF(H)와 반응 후 얻어진 동일 용액이 두 개의 다른 웰에 위치되어 진다.
각질층의 각질세포가 각 영역에 D-스쿠암디스크로 t=24h에서 스트립핑함에 의해 각 각 팔뚝 상에서 채취되어 졌다. 반응성 산소 종의 형광성에 의한 분석은 D-스쿠암상에서 수행되어 졌다.
2- 통계
평가를 위한 주요 표준은 형광성의 측정이다.
비처리된 대조군과 비교하여 형광성에서의 유의성 있는 감소는 ROS의 양의 감소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것은 시험된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분석이 시험의 유의성 준위 α=5%를 갖는, 윈도우 NT에 의해 제공된 적용 스타트그래픽 플러스(application Statgraphics Plus)인 아노바(ANOVA)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통계적 비교는, 한 손에는 실시예 1의 조성물(제품 A)을 사용하고, 다른 한 손에는 글리세롤이 없는 실시예 1의 조성물(제품 B)을 사용하여, 시험된 영역에 대해 얻어진 형광성 값 사이에서 수행되어 졌다.
3 - 결과
얻어진 결과는 95.0% 신뢰성 간격으로 최소한 다음의 표에 자세하게 나타난다:
n=20 평균 표준 편차 하한 상한
제품 A 166.7 3.9 158.8 174.5
제품 B 188.5 3.9 180.6 196.4
5% 리스크를 갖는 통계적 분석은 측정된 두 개의 평균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형광성은, 보습 제제가 없는 조성물과 비교하여 보습 제제로 6%의 글리세롤과 조합한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상응하는 제품 A로 처리된 샘플에 대해 평균 이하였다.
장미 추출물과 가습 제제를 조합한 조성물은 조합을 포함하지 않는 것에 비하여 반응성 산소 종에 대한 유의적으로 상당히 큰 항산화 잠재능을 가진다.
이것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제시된 기술적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고 그리고 특히 아주 효과적인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항노화 효과로 귀결되는 항산화 효과와 가습 또는 흡습 효과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되어 진다.
로션은 다음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성 용액의 형태로 제조되어 진다:
다음의 활성 제제가 중량 백분율로 혼합되어 진다:
    %
메이데벤 추출물의 용액 0.2
글리세롤 3.0
아주가 투르케스타니카 추출물 0.02
말바 실베스트리스 추출물 0.2
센텔라 아시아티카 헤테로사이드 0.02
베타인 1.0
글리세롤 3.0
고분자 및 저분자량의 히알루론 산 0.05
부형제 잔량 100
로션은 얼굴에 매일 적용되어 진다.
더욱이, 눈에 사용하기 위한 크림은 다음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중수(oil-in-water)의 에멀젼의 형태로 제조되어 진다:
다음의 화장품 활성 제제가 중량 백분율로 혼합되어 진다:
    %
메이데벤 추출물의 용액 1.0
아주가 투르케스타니카 추출물 0.1
말바 실베스트리스 추출물 0.5
센텔라 아시아티카 헤테로사이드 0.1
베타인 1.0
글리세롤 5.0
고분자 및 저분자량의 히알루론 산 <0.001
부형제 및 물 잔량 100
이들 활성 제제는, 일 예로 유중수 에멀젼의 형태로, 화장품 조성물을 생산하기 위한 통상적인 방식으로 혼합되어 진다.
눈 주위 그리고 보다 자세하게는, 예를 들어 눈의 코너에 눈 꼬리 잔주름 같은 주름이나 미세한 선을 나타낼 수 있는 영역 주위에 본 화장품 조성물의 매일 적용은 피부의 유해한 산화반응의 효과를 누그러뜨림에 의해 피부의 질에 있어서의 유의성 있는 개선을 초래한다.

Claims (35)

  1. 메이데벤(Meidebenne) 장미로부터 얻어진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폴리페놀 함유 식물 추출물과;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함수 제제의 조합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품 제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미 추출물은 전체 꽃송이 또는 꽃봉오리인 전체 꽃이나 또는 화분을 포함하는 꽃의 일부분으로부터, 그리고 잎으로부터 선택되어 진 식물 부분으로부터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장미 추출물은 메이데벤(Meidebenne) 버라이어티의 장미의 꽃으로부터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선택된 식물 물질을 극성 용매 또는 극성 용매의 혼합물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조되어 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용매 또는 극성 용매의 혼합물은 물, C1-C4 알코올, C2 내지 C6 글리콜에서 선택되어 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은 글리세롤, 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어 진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냉동 적출에 의해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제제는 필아그린, 피롤리돈카르복실 산, 락테이트, 우레아, 슈거, 글루코스, 플럭토스, 락토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제제는 베타인, 타우린, 오르니틴, 라이신, 이노시톨, 트레할로스, 엑토인 및 하이드록시엑토인으로부터 선택된 오스모라이트; 오스모라이트를 포함하는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제.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제제는 아쿠아포린-3 (AQP-3)를 활성화하는 제제, 아주가 투르케니스타니카(Ajuga turkestanica) 추출물, 아쿠아포린-9 (AQP-9)를 활성화하는 제제, 말바 실베스트리스(Malva sylvestris) 추출물, 센테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로부터 추출된 헤테로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제.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제제는 D-크실로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제.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제제는 칼슘 염, 칼슘 글루코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제.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제제는 루파 실린드리카(Luffa cylindrica), 해바라기 씨앗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제.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제제는 β-엑디스테로이드(ecdysteroids), β-엑디손, 칼슘 글리코네이트, 피롤리돈카르복실 산, 칼슘 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제.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제제는 오피오포곤 쟈포니커스(Ophiopogon japonicus) 추출물, 히알루론 산 분획;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제.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제제는 라반듈라 스토에카스(Lavandula stoechas)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제.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제제는 보안드제이아 서브테라네아(Voandzeia subterranea)의 추출물이나 살리코니아 허브아세아(Salicornia herbacea) 추출물; 마트립타제를 활성화하는 제제, 필아그린의 분해에 의해 NMF의 형성을 증진하는 제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제.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제제는 β-엑디손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제.
  26. 메이데벤(Meidebenne) 장미로부터 얻어진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폴리페놀 함유 식물 추출물과,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함수 제제의 조합 및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청구항1, 청구항7 내지 청구항12, 청구항15 내지 청구항25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것과 같은 화장품 제제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27. 삭제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의 농도는 0.0001 내지 1 건조 추출물의 중량% 사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29.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의 농도는 0.001 내지 0.1 건조 추출물의 중량% 사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30.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 제제의 농도는 0.001 내지 10 화장품 조성물의 중량% 사이의 농도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31.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 제제의 농도는 0.01 내지 10 화장품 조성물의 중량% 사이의 농도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32.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부형제는 안료, 염료, 폴리머, 표면-활성 제제, 유동화제, 향료, 전해질, pH 조정제, 항산화제, 보존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33. 제 26항에 있어서, 세럼, 로션, 에멀젼, 하이드로겔, 마스크, 스틱, 립스틱, 글로스 및 패치로부터 선택된 형태로 제공되어 진 스킨-케어 제품 및 메이크-업 제품으로부터 선택되어 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34. 삭제
  35. 삭제
KR1020100048559A 2009-06-01 2010-05-25 함수 또는 흡습 제제와 조합하여 항산화제로서 폴리페놀이 풍부한 식물 추출물의 용도 KR101746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53608A FR2945943B1 (fr) 2009-06-01 2009-06-01 Utilisation d'un extrait vegetal riche en polyphenols comme agent antioxydant en association avec un agent hydratant ou humectant
FR0953608 2009-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689A KR20100129689A (ko) 2010-12-09
KR101746843B1 true KR101746843B1 (ko) 2017-06-27

Family

ID=41567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559A KR101746843B1 (ko) 2009-06-01 2010-05-25 함수 또는 흡습 제제와 조합하여 항산화제로서 폴리페놀이 풍부한 식물 추출물의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68211B2 (ko)
JP (1) JP2011021001A (ko)
KR (1) KR101746843B1 (ko)
DE (1) DE102010017151A1 (ko)
FR (1) FR2945943B1 (ko)
GB (1) GB2470817B (ko)
IT (1) IT14008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1961B2 (en) 2008-09-04 2013-11-26 Allergan, Inc. Aesthetic treatment of scars and aging skin
US8071139B2 (en) * 2008-09-04 2011-12-06 Alan David Widgerow Treatment of damaged skin
FR2969494B1 (fr) * 2010-12-22 2013-11-08 Expanscience Lab Extrait de parties aeriennes de gynandropsis gynandra ou cleome gynandra et compositions cosmetiques, dermatologiques le comprenant
FR2969495B1 (fr) * 2010-12-22 2013-10-11 Expanscience Lab Extrait de parties aeriennes de maca riche en polyphenols et composition le comprenant
EP2641584A1 (en) * 2012-03-19 2013-09-25 Coty Germany GmbH Cosmetic skin composition with soothing effect and its use
EP2641585A1 (en) * 2012-03-19 2013-09-25 Coty Germany GmbH Cosmetic skin composition with soothing effect and its use
KR102122619B1 (ko) * 2012-08-10 2020-06-12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필라그린 유전자 발현 촉진제
WO2014092681A2 (en) * 2012-12-11 2014-06-19 Avon Products, Inc. Callistephus chinensis extracts and methods of use
JP6243123B2 (ja) * 2013-01-21 2017-12-06 株式会社 資生堂 角層状態の評価方法、及び化粧料の角層改善効果についての評価方法
TWI667041B (zh) 2014-05-19 2019-08-01 日商三得利控股股份有限公司 玫瑰色素化合物之新穎用途
KR20180043368A (ko) * 2015-09-07 2018-04-27 메드스킨 솔루션즈 닥터. 수버랙 아게 디메틸 이소소르비드, 폴리올, 및 페놀계 또는 폴리페놀계 항산화제를 포함하는 국소 적용을 위한 조성물
KR102506399B1 (ko) * 2015-11-30 2023-03-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폴리페놀계 유효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CN110090192A (zh) * 2018-01-31 2019-08-06 黄宇慧 一种可以修复皮肤、增厚角质的植物复合物
CN112218616A (zh) 2018-03-23 2021-01-12 玫琳凯有限公司 局部用组合物和方法
FR3080285B1 (fr) * 2018-04-20 2020-12-04 Lvmh Rech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extrait aqueux de fruits de rose
CN112739363A (zh) 2018-07-03 2021-04-30 玫琳凯有限公司 局部肌肉松弛组合物和方法
KR20200137432A (ko) * 2019-05-30 2020-12-09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미용액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장미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FR3110426B1 (fr) 2020-05-19 2022-09-16 Int Flavors & Fragrances Inc Nouvel extrait de roses pour son utilisation cosmétique
US20230404902A1 (en) * 2022-06-15 2023-12-21 Jamrm, Llc Skincare Composition Utilizing a Metabolomics Guided, Bioprocess Engineered Sunflower Sprout Activ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560A (ja) * 2001-07-12 2003-01-29 Kanebo Ltd 活性酸素消去剤、老化防止用皮膚化粧料、及び活性酸素消去能の安定化方法。
JP2004067552A (ja) * 2002-08-05 2004-03-04 Naris Cosmetics Co Ltd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08096317A (ja) * 2006-10-12 2008-04-24 Toyama Prefecture 植物が含有するフラボノイドの組成比率による品種識別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0517B1 (fr) 1993-09-27 1995-12-22 Dior Christian Parfums Procédé d'évaluation de l'état d'hydratation de la peau et appareil destiné à sa mise en Óoeuvre.
FR2768925B1 (fr) * 1997-09-29 1999-11-05 Sederma Sa Compositions a usage cosmetique ou dermopharmaceutique actives contre les multiples agressions chimiques de l'environnement sur la peau
FR2770776B1 (fr) * 1997-11-07 2000-03-17 Lvmh Rech Utilisations du d-xylose et de ses esters pour ameliorer la fonctionnalite des cellules de l'epiderme
BR9908869A (pt) 1998-03-16 2000-11-21 Procter & Gamble Composição para evitar ou tratar distúrbios da pele
JP3625373B2 (ja) * 1998-04-07 2005-03-02 株式会社ノエビア 皮膚外用剤
FR2791260B1 (fr) * 1999-03-26 2003-06-06 Dior Christian Parfums Compositions cosmetiques ou dermatologiques contenant au moins une substance destinee a augmenter la fonctionnalite et/ou l'expression des recepteurs membranaires cd44 des cellules de la peau
FR2797187B1 (fr) * 1999-08-03 2001-09-21 Engrais Composes Mineraux Et A Extrait d'algues laminaria, procede de preparation et compositions cosmetiques ou pharmaceutiques le contenant
ES2367523T3 (es) * 1999-08-26 2011-11-04 Jean Julia Composición cosmética que contiene aceites de cynara cardunculus o de silybum marianum.
FR2801504B1 (fr) * 1999-11-26 2002-02-15 Lvmh Rech Extrait d'ajuga turkestanica et ses applications cosmetiques
FR2802812B1 (fr) 1999-12-22 2002-08-23 Serobiologiques Lab Sa Utilisation de residus issus de la fabrication du vin pour la fabrication de preparations cosmetiques et/ou pharmaceutiques.
FR2810242B1 (fr) 2000-06-16 2003-01-17 Nuxe Lab Composition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a base d'extraits de cacao
FR2811894B1 (fr) * 2000-07-19 2003-01-10 Serobiologiques Lab Sa Utilisation de fractions proteiniques solubles pour la stimulation de la synthese de filaggrine
USPP13152P2 (en) * 2000-10-27 2002-10-29 Cp (Delaware), Inc. Hybrid Tea rose plant named ‘Meidebenne’
EP1243254A1 (fr) 2001-03-23 2002-09-25 L'oreal Composition contenant des fibres et un flavonoide
DE10133202A1 (de) * 2001-07-07 2003-01-16 Beiersdorf Ag Osmolyte enthaltende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zur Behandlung und aktiven Prävention trockener Haut und anderer negativer Veränderungen der physiologischen Homöostase der gesunden Haut
EP1344516A1 (de) * 2002-03-12 2003-09-17 Cognis Iberia, S.L. Antioxidative Zubereitungen
EP1545579A1 (en) 2002-07-31 2005-06-29 Procyte Corporation Compositions containing peptide copper complexes and phytochemical compound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FR2869541B1 (fr) * 2004-04-30 2007-12-28 Expanscience Sa Lab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comprenant du d-mannoheptulose et/ou du perseitol dans le traitement et la prevention des maladies liees a une modification de l'immunite innee
JP2008507523A (ja) * 2004-07-23 2008-03-1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フラボノイド及びビタミンb3を含有するスキンケア組成物
JP2006036744A (ja) * 2004-07-26 2006-02-09 Nahotoshi Fujikawa 天然青色色素を有効成分とする皮膚機能賦活外用剤
US20070065396A1 (en) 2005-09-21 2007-03-22 Tracie Martyn International, Llc Topical macqui berry formulation
JP4994684B2 (ja) * 2006-03-20 2012-08-08 株式会社ノエビア 保湿剤、細胞賦活剤、及び抗酸化剤
JP2008105985A (ja) * 2006-10-25 2008-05-08 Nicca Chemical Co Ltd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皮膚外用剤、浴用剤及び飲食物
FR2915897B1 (fr) * 2007-05-11 2009-08-21 Lvmh Rech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extrait d'adenium obesum, son utilisation et une methode de soin cosmetique en comportant l'application.
JP2008285424A (ja) * 2007-05-15 2008-11-27 Maruzen Pharmaceut Co Ltd プロ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剤、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剤及びシクロオキシゲナーゼ−2活性阻害剤
FR2918274B1 (fr) * 2007-07-06 2009-12-18 Saint Laurent Parfums Composition cosmetique ayant des proprietes anti-radicalaires et procede d'application correspondant
JP2009023936A (ja) * 2007-07-19 2009-02-05 Dainichiseika Color & Chem Mfg Co Ltd 抗酸化剤および化粧料組成物
JP2009062330A (ja) * 2007-09-07 2009-03-26 Fujifilm Corp 粉末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560A (ja) * 2001-07-12 2003-01-29 Kanebo Ltd 活性酸素消去剤、老化防止用皮膚化粧料、及び活性酸素消去能の安定化方法。
JP2004067552A (ja) * 2002-08-05 2004-03-04 Naris Cosmetics Co Ltd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08096317A (ja) * 2006-10-12 2008-04-24 Toyama Prefecture 植物が含有するフラボノイドの組成比率による品種識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303872A1 (en) 2010-12-02
ITTO20100446A1 (it) 2010-12-02
DE102010017151A1 (de) 2010-12-30
IT1400858B1 (it) 2013-07-02
US8168211B2 (en) 2012-05-01
GB201008813D0 (en) 2010-07-14
KR20100129689A (ko) 2010-12-09
JP2011021001A (ja) 2011-02-03
FR2945943B1 (fr) 2015-04-03
GB2470817B (en) 2011-06-29
GB2470817A (en) 2010-12-08
FR2945943A1 (fr) 201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843B1 (ko) 함수 또는 흡습 제제와 조합하여 항산화제로서 폴리페놀이 풍부한 식물 추출물의 용도
KR101932766B1 (ko) 덴드로븀 크리소톡숨 추출물 및 항노화제로서 이의 화장품학적 용도
ES2653666T3 (es) Composición cosmética y/o farmacéutica que comprende un extracto de algarroba como agente activo de activación de la expresión de las acuaporinas
KR102625374B1 (ko) 피부 및/또는 점막을 수화시키기 위한 네펠리움 라파세움의 과피의 추출물의 용도
KR20180089373A (ko) 미용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미용 관리 방법
KR20160063394A (ko) 하마멜리스 비르기니아나 추출물의 미용 또는 피부과 용도
KR20180081602A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피부 및 모발을 위한 그의 용도
EP3102181B1 (fr) Complexe actif pour un produit cosmétique contre le vieillissement cutané
KR101915655B1 (ko) 드래곤블러드수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94987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6797A (ko) 식물 부채파초의 추출물과 화장 보습제로서의 이들의 용도
KR102233140B1 (ko) 저분자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3201214A (ja)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活性阻害剤
KR101056756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20896B1 (ko) 블루로터스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5551B1 (ko) 포름오노네틴을 지표성분으로 포함하는 레드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티에이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JP4594580B2 (ja) 蛋白質のカルボニル化抑制剤、皮膚外用剤及び方法
KR101558186B1 (ko) 여우구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608691B2 (ja) 蛋白質のカルボニル化抑制剤、皮膚外用剤及び方法
KR100434898B1 (ko)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약용 식물 복합 추출액 함유 화장료조성물
KR100444196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약용식물 복합 추출액 함유화장료 조성물
KR102382002B1 (ko) 펩타이드 복합체 및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주름 및 피부탄력 개선,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등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997442B1 (ko) 달뿌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28074B1 (ko) 꿩의밥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JP2000256174A (ja) 化粧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