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476B1 - 가스 발생기 - Google Patents

가스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476B1
KR102198476B1 KR1020187031030A KR20187031030A KR102198476B1 KR 102198476 B1 KR102198476 B1 KR 102198476B1 KR 1020187031030 A KR1020187031030 A KR 1020187031030A KR 20187031030 A KR20187031030 A KR 20187031030A KR 102198476 B1 KR102198476 B1 KR 102198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filter
peripheral wall
wall portion
shape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3720A (ko
Inventor
겐지 후쿠모토
텟페이 하나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셀
Publication of KR20190013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7/00Apparatus for generating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6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air bag components being completely enclosed in a soft or semi-rigid housing 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46Soft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60R21/262Elongated tubular diffusers, e.g. curtain-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1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filter through which the inflation gas p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29Ign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29Ignitors
    • B60R2021/26041Ignitors of elongated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60R2021/264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bustion chambers or sub-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Bag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제1 단부측에 점화 수단을 갖고, 축 방향 반대측의 제2 단부측이 가스 배출구를 갖는 디퓨저부로 폐색되고,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연소실이 존재하고, 상기 연소실과 상기 디퓨저부 사이가 컵상 부재로 구획되고, 상기 컵 부재의 저면부와 개구부가 상기 제1 단부측과 제2 단부측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주위벽부가,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제1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컵상 부재와 상기 디퓨저부를 포함하는 공간 내에 통상 필터가 배치되고, 그 제1 단부면이 상기 컵상 부재의 저면부, 반대측의 제2 단부면이 상기 디퓨저부의 폐색 단부면에 각각 맞닿아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이, 상기 통상 필터의 제1 단부면 근처이며, 또한 상기 제1 간극에 면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디퓨저부의 가스 배출구가, 상기 통상 필터의 제2 단부면 근처에 형성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이다.

Description

가스 발생기
본 발명은, 자동차에 탑재하는 에어백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가스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가스 발생원으로서 가스 발생제를 포함하는 가스 발생기에는, 연소 가스를 여과 및 냉각하기 위한 필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있다.
JP 2014-184427 A는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의 발명이다. 가스의 출구가 되는 디퓨저부(150)의 근방이며, 가압 가스를 충전한 가압실 하우징(22)의 내부에 있어서의 가스의 출구 부근에 필터(60)가 배치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 필터(60)는, 컵상 부재(170)와 다공판 부재(180)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컵상 부재(170)의 주위벽부에 가스가 유입되는 연통 구멍(173)이 형성되어 있다. 다공 부재(180)는 다수의 연통 구멍(183)을 갖고 있으며, 필터(60)의 외측 둘레면으로부터 연통 구멍(173)을 통해 침입한 가스는, 단부면(제1 단부면)(61)으로부터 배출되게 되어 있다.
US 6,474,685 B는 파이로식 가스 발생기의 발명이다. 가스 발생제(25)가 충전된 연소실(21)과, 필터(71)가 배치된 필터실(29)이, 개구(37)를 갖는 벽(33)을 통해 나뉘어져 있다.
연소실(21)의 내부에는 대략 원추형상 필터(42)가 배치되고, 연소 가스가 원추형상의 경사면부로부터 유입되어, 벽(33)의 개구(37)를 통해 필터실(29)에 들어가고, 방사 방향으로 필터(71)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상태가 개시되어 있다.
JP 2007-131254 A는 파이로식 가스 발생기의 발명이다. JP 2007-131254 A의 가스 발생기는, 2군데에 환상 필터(13a, 13b)를 갖고 있으며, 그것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필터(13a, 13b)를 통과한 연소 가스가, 추가로 또 한번 반대의 면으로부터 유출된다. 이 때문에, 하나의 필터를 2회 통과하게 되는 것 이외에도, 연소 가스가 하우징의 내벽면에 닿는 것으로도 연소 잔사가 포집되기 때문에, 연소 잔사의 포집 효율이 좋다.」(단락 번호 0045).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이하, 「제1 실시 형태」라고 함)는, 통상(筒狀) 하우징 본체부와 디퓨저부를 포함하는 통상 하우징을 갖고 있고,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제1 단부측에 점화 수단을 갖고, 상기 제1 단부와는 축 방향 반대측의 제2 단부측이 가스 배출구를 갖는 디퓨저부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가스 발생제를 포함하는 연소실이 존재하고,
상기 연소실과 상기 디퓨저부 사이가 컵상 부재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상기 컵상 부재가, 저면부, 연통 구멍이 형성된 주위벽부, 및 개구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저면부가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제1 단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가 제2 단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주위벽부가, 반경 방향 외측에 대향하고 있는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상기 연소실과 상기 디퓨저부를 연락하는 제1 간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고,
추가로 상기 컵상 부재와 상기 디퓨저부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통상 필터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통상 필터가, 제1 단부면이 상기 컵상 부재의 저면부에 맞닿고, 반대측의 제2 단부면이 상기 디퓨저부의 폐색 단부면에 맞닿으며, 상기 통상 필터의 중심축이 상기 통상 하우징의 장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이, 상기 통상 필터의 제1 단부면 근처이며, 또한 상기 제1 간극에 면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디퓨저부의 가스 배출구가 상기 통상 필터의 제2 단부면 근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가스 발생기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이하, 「제2 실시 형태」라고 함)는, 통상 하우징 본체부와 디퓨저부를 포함하는 통상 하우징을 갖고 있고,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제1 단부측에 점화 수단을 갖고, 상기 제1 단부와는 축 방향 반대측의 제2 단부측이 가스 배출구를 갖는 디퓨저부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가스 발생제를 포함하는 연소실이 존재하고,
상기 연소실과 상기 디퓨저부 사이가 컵상 부재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상기 컵상 부재가, 저면부, 연통 구멍이 형성된 주위벽부, 및 개구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저면부가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제1 단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가 제2 단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주위벽부가, 반경 방향 외측에 대향하고 있는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상기 연소실과 상기 디퓨저부를 연락하는 제1 간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고,
추가로 상기 컵상 부재와 상기 디퓨저부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저면부, 주위벽부 및 개구부를 갖는 컵상 필터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컵상 필터가, 상기 컵상 필터의 저면부가 상기 컵상 부재의 저면부에 맞닿고, 상기 컵상 필터의 개구부의 단부면이 상기 디퓨저부의 폐색 단부면에 맞닿으며, 상기 컵상 필터의 중심축이 상기 통상 하우징의 장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이, 상기 컵상 필터의 저면부 근처이며, 또한 상기 제1 간극에 면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디퓨저부의 가스 배출구가 상기 컵상 필터의 개구부 근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가스 발생기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더욱 완전히 이해되는 것이지만, 이들은 단지 설명을 위해 첨부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의 축(X)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는, (a)에 있어서는, 도 1에서 사용한 컵상 부재의 단면도, (b) 내지 (e)에 있어서는, 다른 실시 형태의 컵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과는 상이한 통상 필터를 사용한 가스 발생기의 축(X) 방향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a)에 있어서는, 도 1과는 상이한 형태의 컵상 필터를 사용한 가스 발생기의 축(X) 방향의 부분 단면도, (b)에 있어서는, (a)와는 상이한 형태의 컵상 필터를 사용한 가스 발생기의 축(X) 방향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a)에 있어서는, 도 1에서 나타내는 가스 발생기에 확경 저지 부재를 배치한 실시 형태의 부분 단면도, (b), (c)에 있어서는, (a)와는 상이한 확경 저지 부재를 배치한 실시 형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JP 2014-184427 A의 가스 발생기는 하이브리드 형식이기 때문에, 파열판(제2 파열판)(58)이 필요하고, 가압 가스실 하우징 내에 필터를 배치할 때에는, 상기와 같은 필터의 유지 구조가 필요해진다. 그를 위한 구조가 복잡해져, 간소화라는 점에서 개량의 여지를 남긴다.
US 6,474,685 B는 많은 필터나 부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가 되어 경량화에는 적합하지 않다.
그러나, JP 2007-131254 A에 있어서 단락 번호 0045에 기재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필터를 2군데에 배치할 필요가 있고, 통상 격벽(19)과 통상 구획벽(18)의 조합이 필요하며, 또한 환상 필터(13a, 13b)는 연소 가스가 좁은 범위를 2회 통과하기 때문에, 연소 가스의 냉각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며 또한 경량이고, 냉각 효과나 여과 효과가 향상된 가스 발생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통상 하우징은, 철,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이며, 통상 하우징 본체부와 디퓨저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통상 하우징 본체부와 디퓨저부는 용접에 의해 접합된 것이어도 되고, 미리 일체 성형된 것이어도 된다.
점화 수단은, 공지된 가스 발생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기식 점화기, 또는 전기식 점화기와 전화약(傳火藥)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화약으로서는, 공지된 가스 발생제나 흑색 화약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디퓨저부의 가스 배출구는, 통상 하우징(디퓨저부)의 주위벽부에 복수가 형성되어 있고, 시일 테이프 등의 폐색 수단으로 폐색되어 있다. 연소실에 충전된 가스 발생제는 공지된 가스 발생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연소실과 디퓨저부 사이는 컵상 부재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여기에서 「구획되어 있는」이란, 연소실 공간과 디퓨저부의 내부 공간이 컵상 부재로 나뉘어져 있지만, 연소실로부터 디퓨저부로의 가스 배출 경로는 확보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연소실로부터 디퓨저부로의 가스 배출 경로는, 연소실, 제1 간극, 연통 구멍 및 디퓨저부를 포함하는 가스 배출 경로이다.
컵상 부재는,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연소실과 디퓨저부를 연통하는 제1 간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형태로 고정할 수 있다.
(I) 통상 하우징 본체부와 디퓨저부 사이에 있어서, 내측으로 돌출된 환상 돌기(환상 단차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상 돌기(환상 단차면)에 컵상 부재의 개구부 단부면이 맞닿은 형태.
(II) 상기 (I)의 형태에서, 컵상 부재로서 개구부에 확경부를 갖는 것을 사용하여, 상기 확경부가 상기 환상 돌기(환상 단차면)에 맞닿은 형태.
(III) 상기 (I)의 형태에서, 컵상 부재로서 저면의 외경(d1)과 개구부의 외경(d2)이 d2>d1이며, 저면으로부터 개구부까지의 주위벽부가 경사면인 것을 사용하여, 상기 개구부 단부면이 상기 환상 돌기(환상 단차면)에 맞닿은 형태.
(IV)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내경(D1)과 디퓨저부의 내경(D2)을 D1>D2로 함으로써 경계부에 환상 단차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상 단차면에 대하여 (I), (II) 또는 (III)의 컵상 부재의 개구부측이 맞닿은 형태.
(V) 컵상 부재로서, 개구부에 확경부를 갖고, 또한 확경부로부터 저면부 방향으로의 폴딩부를 갖고 있는 것을 사용하여, 폴딩부의 외경과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내경이 조정됨으로써, 컵상 부재의 폴딩부가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내벽면에 대하여 압입된 형태.
(VI) 컵상 부재로서 저면의 외경(d1)과 개구부의 외경(d2)이 d2>d1이며, 저면으로부터 개구부까지의 주위벽부가 경사면이고, 또한 확경부로부터 저면부 방향으로의 폴딩부를 갖고 있는 것을 사용하여, 폴딩부의 외경과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내경이 조정됨으로써, 컵상 부재의 폴딩부가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내벽면에 대하여 압입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 전형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는, 연소실 내의 가스 발생제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연소 가스는, 연소실, 제1 간극, 연통 구멍으로부터 통상 필터의 제1 단부면 근처를 통과한 후, 디퓨저부 내에 들어간다. 그 후, 동일한 통상 필터의 제2 단부면 근처를 통과한 후, 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이러한 동작을 하는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다음 (i) 내지 (iii)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 연소 가스가 동일한 필터를 두번 통과함으로써, 연소 가스가 한번밖에 필터를 통과하지 않는 형태(예를 들어, JP 2014-184427 A, US 6,474,685 B)와 비교하면, 냉각 효과 및 여과 효과를 높일 수 있고, 필터를 2군데로 나누어 배치하는 형태(예를 들어, JP 2007-131254 A)와 비교하면, 필터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부품수도 감소시킬 수 있다.
(ii) 또한 필터가 통상 필터이며, 통상 필터의 중심축이 통상 하우징의 장축 방향에 따르는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1회째에 연소 가스가 통과할 때는 통상 필터의 제1 단부면 근처를 통과하여, 2회째에 연소 가스가 통과할 때는 통상 필터의 제2 단부면 근처를 통과한다. 이 때문에, JP 2007-131254 A의 실시 형태와 비교하면, 신속히 연소 가스가 배출되기 쉽다.
(iii) 또한 연소 가스가, 통상 필터의 요철면과 접촉되기 쉽고, 그 면적도 크기 때문에, JP 2007-131254 A의 실시 형태와 비교하면, 연소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연소 잔사가 통상 필터에 부착되기 쉬워져, 포착되기 쉬워진다.
제1 실시 형태의 가스 발생기는, 상기 통상 필터의 주위벽부가, 상기 제1 단부면측의 후육부와 상기 제2 단부면측의 박육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후육부만이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에 대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소실 내의 가스 발생제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연소 가스는, 연소실, 제1 간극, 연통 구멍으로부터 통상 필터의 제1 단부면 근처를 통과한 후, 디퓨저부에 들어간다. 이 때문에, 통상 필터의 제1 단부면 근처를 통과하는 연소 가스는, 반드시 통상 필터의 후육부를 통과함으로써, 냉각 효과 및 여과 효과가 높아진다.
후육부와 박육부의 두께비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후육부의 두께/박육부의 두께=1.2 내지 3.0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가스 발생기는, 필터로서 컵상 필터를 사용한 것이 제1 실시 형태의 가스 발생기와 상이하다.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은, 컵상 필터의 주위벽부에만 대향되어 있어도 되고, 컵상 필터의 주위벽부와 함께 저면부에도 대향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의 가스 발생기는 제1 실시 형태의 가스 발생기와 동일한 동작을 하여,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2 실시 형태의 가스 발생기는, 상기 컵상 필터의 저면부의 두께가, 상기 컵상 필터의 주위벽부의 두께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 내경보다도 커져 있으며, 상기 컵상 필터의 저면부만이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에 대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소실 내의 가스 발생제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연소 가스는, 연소실, 제1 간극, 연통 구멍으로부터 컵상 필터의 저면부를 통과한 후, 디퓨저부 내에 들어간다. 이렇게 연소 가스가 디퓨저부 내에 들어갈 때, 주위벽부보다도 두께가 두꺼워진 컵상 필터의 저면부를 통과하는 것이기 때문에, 냉각 효과 및 여과 효과가 높아진다.
제1 실시 형태의 가스 발생기는, 상기 컵상 부재가, 상기 저면부의 외경보다도 상기 개구부측의 외경이 크게 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상기 디퓨저부측의 내벽면에는, 환상 단차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상 부재의 개구부 단부면이 상기 환상 단차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을 갖는 주위벽부와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내벽면 사이에 상기 제1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을 갖는 주위벽부의 내표면에 대하여, 상기 통상 필터의 제1 단부면측의 주위벽부의 외표면이 맞닿아 있으며, 상기 통상 필터의 제2 단부면측의 주위벽부의 외표면과 상기 가스 배출구 사이에 제2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제3 실시 형태)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가스 발생기는, 상기 컵상 부재가, 상기 저면부의 외경보다도 상기 개구부측의 외경이 크게 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상기 디퓨저부측의 내벽면에는, 환상 단차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상 부재의 개구부 단부면이 상기 환상 단차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을 갖는 주위벽부와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내벽면 사이에 상기 제1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을 갖는 주위벽부의 내표면에 대하여, 상기 컵상 필터의 저면부측의 주위벽부의 외표면이 맞닿아 있으며, 상기 컵상 필터의 개구부측의 주위벽부의 외표면과 상기 가스 배출구 사이에 제2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제4 실시 형태)이 바람직하다.
제3 실시 형태와 제4 실시 형태의 가스 발생기에서는, 컵상 부재는, 저면부의 외경보다도 개구부측의 외경이 크게 되어 있다. 이러한 컵상 부재로서는, 상기한 (II), (III), (V) 및 (VI)의 형태에서 사용한 컵상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환상 단차면은, 상기한 (I)의 형태에 있어서의 환상 돌기, (IV)의 형태에 있어서의 환상 단차면으로 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또는 제4 실시 형태의 가스 발생기에서는, 컵상 부재와 환상 단차면은, 통상 필터 또는 컵상 필터를 배치했을 때, 통상 필터의 제2 단부면측의 주위벽부의 외표면 또는 컵상 필터의 개구부측의 주위벽부의 외표면과, 가스 배출구 사이에 제2 간극이 형성되도록 치수가 조정되어 있다. 제2 간극이 존재하면, 디퓨저부 내의 연소 가스가 제2 간극에 면한 필터의 전체를 통과하여 제2 간극에 유입된 후, 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도록 되기 때문에, 필터의 냉각 효과 및 여과 효과가 높아진다.
제3 실시 형태의 가스 발생기는, 상기 컵상 부재가, 상기 저면부의 외경보다도 상기 개구부측의 외경이 크게 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상기 디퓨저부측의 내벽면에는, 환상 단차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상 부재의 개구부 단부면이 상기 환상 단차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을 갖는 주위벽부와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내벽면 사이에 상기 제1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을 갖는 주위벽부의 내표면에 대하여, 상기 통상 필터의 제1 단부면측의 주위벽부의 외표면이 맞닿고, 상기 통상 필터의 제2 단부면측의 주위벽부의 외표면과 상기 가스 배출구 사이에 제2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상 필터의 주위벽부와 상기 컵상 부재의 주위벽부가 맞닿아 있는 면적(A1)과, 상기 통상 필터의 주위벽부가 상기 제2 간극에 면해 있는 면적(A2)이, A1과 A2의 합계 면적을 100%라 할 때의 A2가 50% 초과 내지 8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실시 형태의 가스 발생기는, 상기 컵상 부재가, 상기 저면부의 외경보다도 상기 개구부측의 외경이 크게 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상기 디퓨저부측의 내벽면에는, 환상 단차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상 부재의 개구부 단부면이 상기 환상 단차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을 갖는 주위벽부와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내벽면 사이에 상기 제1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을 갖는 주위벽부의 내표면에 대하여, 상기 컵상 필터의 저면부측의 주위벽부의 외표면이 맞닿아 있으며, 상기 컵상 필터의 개구부측의 주위벽부의 외표면과 상기 가스 배출구 사이에 제2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상 필터의 주위벽부와 상기 컵상 부재의 주위벽부가 맞닿아 있는 면적(A1)과, 상기 컵상 필터의 주위벽부가 상기 제2 간극에 면해 있는 면적(A2)이, A1과 A2의 합계 면적을 100%라 할 때의 A2가 50% 초과 내지 8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A1과 A2가 상기 관계를 만족시키면, 상기한 (i) 내지 (iii)의 효과 중, 특히 (ii)와 (iii)의 효과가 보다 현저해진다. A1과 A2의 합계 면적을 100%라 할 때, A2의 면적%는 60% 내지 8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60 내지 75%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3 실시 형태의 가스 발생기는, 상기 컵상 부재가, 상기 저면부의 외경보다도 상기 개구부측의 외경이 크게 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상기 디퓨저부측의 내벽면에는, 환상 단차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상 부재의 개구부 단부면이 상기 환상 단차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을 갖는 주위벽부와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내벽면 사이에 상기 제1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을 갖는 주위벽부의 내표면에 대하여, 상기 통상 필터의 제1 단부면측의 주위벽부의 외표면이 맞닿아 있으며, 상기 통상 필터의 제2 단부면측의 주위벽부의 외표면과 상기 가스 배출구 사이에 제2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상 필터의 제2 단부면측의 주위벽부와, 상기 디퓨저부의 폐색 단부면측의 내주벽면 사이에, 상기 통상 필터 제2 단부면측의 주위벽부가 확경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확경 저지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실시 형태의 가스 발생기는, 상기 컵상 부재가, 상기 저면부의 외경보다도 상기 개구부측의 외경이 크게 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상기 디퓨저부측의 내벽면에는, 환상 단차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상 부재의 개구부 단부면이 상기 환상 단차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을 갖는 주위벽부와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내벽면 사이에 상기 제1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을 갖는 주위벽부의 내표면에 대하여, 상기 컵상 필터의 저면부측의 주위벽부의 외표면이 맞닿아 있으며, 상기 컵상 필터의 개구부측의 주위벽부의 외표면과 상기 가스 배출구 사이에 제2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상 필터의 개구부측의 주위벽부와, 상기 디퓨저부의 폐색 단부면측의 내주벽면 사이에, 상기 컵상 필터의 개구부측의 주위벽부가 확경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확경 저지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퓨저부 내에 들어간 연소 가스가 통상 필터 또는 컵상 필터를 통과하여 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될 때, 디퓨저부의 폐색 단부면측의 통상 필터 또는 컵상 필터는, 연소 가스가 통과할 때의 압력을 받아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넓어지게 변형될 우려도 있다.
이렇게 필터가 반경 방향으로 넓어지게 변형되면, 제2 간극이 축소되어버려, 냉각 효과 및 여과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지만, 확경 저지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의 발생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간단한 구조이며 또한 경량이고, 연소 가스의 냉각 효과 및 여과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자동차에 탑재되는 에어백 장치용의 가스 발생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제1 실시 형태의 가스 발생기
도 1에 나타내는 가스 발생기(1)는, 외각 용기인 통상 하우징(10)이 통상 하우징 본체부(11)와 디퓨저부(30)를 포함하는 것이다. 통상 하우징 본체부(11)와 디퓨저부(30)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이다.
통상 하우징 본체부(11)의 제1 단부(12a)측에는, 점화기(15)가 설치되어 있다. 점화기(15)는, 착화부(16)를 갖는 점화기 본체부가 점화기 컬러(17)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 공지된 전화약을 병용할 수 있다. 점화기 컬러(17)와 통상 하우징 본체부(11)의 내벽면(11a) 사이에는, 방습을 위한 O링(18)이 배치되어 있다.
통상 하우징 본체부(11)의 제1 단부(12a)와 축(X) 방향 반대측의 제2 단부(12b)측은, 가스 배출구(31)를 갖는 디퓨저부(30)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디퓨저부(30)는 폐색 단부면(32)과 주위벽부(33)를 갖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 하우징 본체부(11)와 디퓨저(30)는 용접부(19)에 있어서 용접되어 있다.
가스 배출구(31)는, 복수가 둘레 방향으로 균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측으로부터 알루미늄제의 시일 테이프(34)로 폐색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 하우징 본체부(11)와 디퓨저부(30)의 경계부에 환상 단차면(35)이 형성되어 있다. 환상 단차면(35)은, 통상 하우징 본체부(11)의 내경(D1)과 디퓨저부(30)의 내경(D2)을 D1>D2로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는 통상 하우징 본체부(11)의 대부분과 디퓨저부(30)는 각각 일정한 내경이지만, 일정하지 않은 경우, D1, D2는 각각, 환상 단차에 접하는 제1 단부(12a)측 내경, 제2 단부(12b)측 내경이 된다. 즉, 각각 내경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D1은 하우징 본체부 중 환상 단차면(35)의 좌측에 인접하는 부분의 내경, D2는 디퓨저부(30) 중 환상 단차면(35)의 우측에 인접하는 부분의 내경이 된다.
통상 하우징 본체부(11)의 내부 공간은, 가스 발생제(21)를 포함하는 연소실(20)이다. 연소실(20) 내에는, 필요에 따라서 가스 발생제(21)의 충전체량에 따라서 연소실(20)의 용적을 조정하기 위한 리테이너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연소실(20)과 디퓨저부(30) 사이는, 컵상 부재(40)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컵상 부재(40)는 철, 스테인리스 등을 포함하는 것이며, 도 1,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면부(41), 연통 구멍(43)이 형성된 주위벽부(42), 및 개구부(44)를 갖고 있는 것이다. 연통 구멍(43)은 복수개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컵상 부재(40)의 개구부(44)측의 단부면은, 외측으로 넓어지는 확경부(45)를 갖고 있다. 확경부(45)는, 주위벽부(42)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신된 환상 확경부(45a)와, 환상 확경부(45a)와 주위벽부(42) 사이에 있는 환상 경사면부(45b)를 포함한다. 환상 확경부(45a)의 외경은, 주위벽부(42)의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컵상 부재(40)는, 확경부(45)의 외경 치수와 통상 하우징 본체부(11)의 내경 치수를 조정하여, 하우징 본체부(11)에 압입할 수 있다.
컵상 부재(40)의 형상은, 통상 하우징 본체부(11) 및 디퓨저부(30)의 형상에 관련시킴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의 (b)는, 도 2의 (a)의 확경부(45)에 상당하는 부분이 통상적인 플랜지부(46)로 되어 있는 것이다.
도 2의 (c)는, 도 2의 (a)의 확경부(45)가 없는 것이다.
도 2의 (d)는, 저면부(41)의 외경(d1)과 개구부(44)의 외경(d2)이 d2>d1이며, 저면부(41)로부터 개구부(44)까지의 주위벽부(42a)가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도 2의 (e)는, 도 2의 (b)의 플랜지부(46)에 더하여, 추가로 플랜지부(46)로부터 저면부(41) 방향으로의 폴딩부(47)를 갖고 있는 것이다.
도 2의 (a)의 컵상 부재(40)를 통상 하우징(10)에 배치할 때는, 저면부(41)가 제1 단부(12a)측에 위치하고, 개구부(44)의 확경부(45)의 환상 확경부(45a)가 환상 단차면(35)에 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반경 방향 외측에 대향하고 있는 통상 하우징 본체부(11)의 내벽면(11a)과 주위벽부(42) 사이에는, 제1 간극(25)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간극(25)의 폭은, 주위벽부(42)의 외경과 확경부(45)의 환상 확경부(45a)의 차에 상당하는 크기이다.
연소실(20)과 디퓨저부(30)는, 제1 간극(25)을 통해 연통 구멍(43)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컵상 부재(40)와 디퓨저부(30)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는, 통상 필터(50)가 배치되어 있다. 통상 필터(50)는, 제1 단부면(51)이 컵상 부재(40)의 저면부(41)에 맞닿고, 축(X) 방향에 반대측의 제2 단부면(52)이 디퓨저부(30)의 폐색 단부면(32)에 맞닿아 있다.
통상 필터(50)는, 제1 단부면(51)측의 주위벽부(53)의 외주면(53a)이 컵상 부재(40)의 주위벽부(42)의 내벽면(42a)에 맞닿아 있으며, 잔부의 제2 단부면(52)측의 주위벽부(53)의 외주면(53a)과 디퓨저부(30)의 가스 배출구(31)가 있는 주위벽부(33) 사이에는, 제2 간극(37)이 형성되어 있다.
통상 필터(50)는, 통상 필터(50)의 중심축이 통상 하우징(10)의 축(X)에 따른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컵상 부재(40)의 연통 구멍(43)은 통상 필터(50)의 제1 단부면(51) 근처이며, 또한 제1 간극(25)에 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디퓨저부(30)의 가스 배출구(31)는 통상 필터(50)의 제2 단부면(52)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통상 필터(50)의 주위벽부(53)와 컵상 부재(40)의 주위벽부(42)가 맞닿아 있는 면적(A1)과, 통상 필터(50)의 주위벽부(53)의 제2 간극(37)에 면해 있는 면적(A2)은, A1과 A2의 합계 면적을 100%라 할 때, A2가 약 70%이다.
통상 하우징 본체부(11) 내에는, 추가로 제1 단부(12a)측이 개구되고, 제2 단부(12b)측이 폐색된 통상 지지 부재(60)가 배치되어 있다.
통상 지지 부재(60)는, 내측에 가스 발생제를 수용하는 충전 공간을 형성함과 함께 컵상 부재(40)와 통상 필터(50)를 축(X)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것이며, 컵상 부재(40)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충전 공간도 연소실에 포함된다. 통상 지지 부재(60)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다.
통상 지지 부재(60)는, 통상 하우징 본체부(11)의 내경보다도 작은 외경을 갖고 있으며, 통상 지지 부재(60)와 통상 하우징 본체부(11) 사이에는 통상 간극(65)이 형성되어 있다. 통상 지지 부재(60)는, 주위벽부(61)에 복수의 가스 통과 구멍(63)이 축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균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충전 공간과 통상 간극(65)은 가스 통과 구멍(63)으로 연통되어 있다.
통상 지지 부재(60)는 점화기(15)측의 개구부에 확경부(66)를 갖고 있고, 확경부(66)의 외주연부(66a)가 통상 하우징 본체부(11)의 내벽면(11a)에 맞닿아 있으며, 폐색 단부면(62)은 컵상 부재(40)의 저면부(41)에 맞닿아 있다.
외주연부(66a)의 외경은, 통상 하우징 본체부(11)의 내경보다도 약간 커져 있고, 통상 하우징 본체부(11) 내에 배치되었을 때, 확경부(66)가 갖는 탄성에 의해, 통상 하우징 본체부(11)의 내벽면(11a)에 대하여 압입되어 있다. 확경부(66)가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압입된 부분에는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1)는, 도 1에 나타내는 통상 필터(50) 대신에, 도 3에 나타내는 통상 필터(150)를 사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통상 필터(150)는 제1 단부면(151), 제2 단부면(152), 주위벽부(153)를 포함하는 것이며, 주위벽부(153)는 제1 단부면(151)측의 후육부(153a)와 제2 단부면(152)측의 박육부(153b)를 포함하는 것이다.
후육부(153a)과 박육부(153b) 사이에는 환상 단차면이 형성되어 있지만, 후육부(153a)로부터 박육부(153b)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이어도 된다.
컵상 부재(40)의 연통 구멍(43)은 후육부(153a)에만 대향되어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통상 필터(150)는 제1 단부면(151)으로부터 제2 단부면(152)에 걸쳐 주위벽부(153)의 두께가 얇아져 있는 것이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가스 발생기(1)의 동작을 설명한다.
점화기(15)가 작동하여 연소실(20) 내의 가스 발생제(21)가 착화 연소되어, 연소 가스가 발생한다. 연소 가스는, 통상 지지 부재(60)의 가스 통과 구멍(63)을 통하여 통상 간극(65)과 충전 공간 사이를 출입하면서 제2 단부(12b)의 방향으로 흘러간다.
그 후, 제1 간극(25)에 이르고, 거기에서부터 연통 구멍(43)과 통상 필터(50)의 제1 단부면(51) 근처를 통과하여, 디퓨저부(30) 내에 들어가고, 다시 통상 필터(50)를 빠져 나가 제2 간극(37)에 들어간다. 도 1에서는 컵상 부재(40)의 연통 구멍(43)을 갖는 주위벽부(42)의 내벽면(42a)에 대하여, 통상 필터(50)의 제1 단부면(51)측의 주위벽부(53)의 외표면이 맞닿아 있다. 이것 때문에 연통 구멍(43)을 통과한 가스의 거의 전체량이 통상 필터(50)의 내측 공간까지 들어간다.
그 후 연소 가스는, 통상 필터(50)의 제2 단부(52)측의 주위벽부(53)를 통과하여, 시일 테이프(34)를 찢어, 가스 배출구(31)로부터 배출된다.
이렇게 연소 가스가 하나의 통상 필터(50)를 두번 통과하기 때문에, 연소 가스가 한번밖에 필터를 통과하지 않는 형태와 비교하면, 냉각 효과 및 여과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필터를 복수 개소에 나누어 배치하는 형태와 비교하면, 필터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나 필터의 고정에 필요한 부재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통상 필터(50)의 중심축이 통상 하우징 본체부(11)의 축(X)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1회째에 연소 가스가 통과할 때는 통상 필터(50)의 제1 단부면(51) 근처를 통과하여, 2회째에 연소 가스가 통과할 때는 통상 필터(50)의 제2 단부면 근처(52)를 통과한다. 따라서 통상 필터(50)의 내부 공간이 잔사 포집의 공간으로서 기능하고, 내부까지 막힌 원주형 필터와 비교하여, 잔사의 막힘에 의한 가스의 폐색이 일어나기 어려워, 출력 성능이 안정된다. 또한 제2 간극(37)에 의해 연소 가스가 통상 필터(50)의 넓은 영역을 통과하기 쉬워진다. 이 효과는, A2/(A1+A2)×100의 범위를 조정함으로써 보다 높아진다.
또한 연소 가스가 통상 필터(50)의 내측에 들어가면, 내벽면의 요철에 의해 연소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연소 잔사가 부착되어 포착되기 쉬워진다.
(2) 제2 실시 형태의 가스 발생기
도 4의 (a), (b)에 의해 제2 실시 형태의 가스 발생기(1A, 1B)를 설명한다. 도 4의 (a), (b)에 나타내는 가스 발생기(1A, 1B)는, 도 1의 가스 발생기(1)와는 필터의 형상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것이다.
도 4의 (a)에 나타내는 컵상 필터(250)는, 저면부(251), 주위벽부(252), 개구부(253)를 갖는 것이다. 컵상 필터(250)는, 저면부(251)가 컵상 부재(40)의 저면부(41)에 맞닿고, 컵상 필터(250)의 개구부(253)의 단부면이 디퓨저부(30)의 폐색 단부면(32)에 맞닿아 있다.
컵상 부재(40)의 연통 구멍(43)은 컵상 필터(250)의 저면부(251) 근처이며, 또한 제1 간극(25)에 면한 위치에 형성되고, 디퓨저부(30)의 가스 배출구(31)는 컵상 필터(250)의 개구부(253)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컵상 필터(250)는, 도 1의 통상 필터(50), 도 3의 통상 필터(150)와 비교하면 저면부(251)분만큼 질량이 증가하지만, 저면부(251) 중 디퓨저부(30) 내부에 면하는 부분이 요철이 되어 표면적이 늘어나는 점에서, 연소 잔사의 포착 효과가 높아진다.
도 4의 (b)에 나타내는 컵상 필터(350)는, 저면부(351), 주위벽부(352), 개구부(353)를 갖는 것이며, 저면부(351)의 두께는 주위벽부(352)의 두께보다도 크고, 또한 컵상 부재(40)의 연통 구멍(43)의 내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컵상 필터(350)는, 저면부(351)가 컵상 부재(40)의 저면부(41)에 맞닿고, 컵상 필터(350)의 개구부(353)의 단부면이 디퓨저부(30)의 폐색 단부면(32)에 맞닿아 있다.
컵상 필터(350)는, 저면부(351)의 두께의 중간 위치가 컵상 부재(40)의 연통 구멍(43)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대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통 구멍(43)의 전부가 저면부(351)에 면해 있으며, 연통 구멍(43)으로부터 들어간 연소 가스는, 반드시 컵상 필터(350)의 저면부(351)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통과함으로써, 냉각 효과 및 여과 효과가 높아진다.
도 5의 (a) 내지 (c)에 의해 다른 실시 형태의 가스 발생기(1C, 1D, 1E)를 설명한다. 도 5의 (a) 내지 (c)의 가스 발생기(1C, 1D, 1E)는, 통상 필터(50)의 확경 저지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도 1의 가스 발생기(1)와 동일한 것이다.
또한, 도 5의 (a) 내지 (c)의 가스 발생기(1C, 1D, 1E)에서는, 통상 필터(50) 대신에, 도 3에서 나타내는 통상 필터, 도 4의 (a), (b)에서 나타내는 컵상 필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의 (a)의 실시 형태의 가스 발생기(1C)는, 통상 필터(50)의 제2 단부면(52)측의 주위벽부(53)와 디퓨저부(30)의 폐색 단부면(32)측의 내주벽면(30a) 사이에, 환상의 확경 저지 부재(70)가 배치되어 있다. 환상의 확경 저지 부재(70)는, 내주면이 통상 필터(50)의 주위벽부(53)에 맞닿아 있으며, 시일 테이프(34)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관점에서, 그 외주면은 디퓨저부의 주위벽부(33)와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대향되어 있다.
도 5의 (b)의 실시 형태의 가스 발생기(1D)는, 통상 필터(50)의 제2 단부면(52)측의 주위벽부(53)와 디퓨저부(30)의 폐색 단부면(32)측의 내주벽면(30a) 사이에, 바닥이 얕은 컵형의 확경 저지 부재(80)가 배치되어 있다. 컵형의 확경 저지 부재(80)는 저면부(81)와 주위벽부(82)를 갖고 있다.
컵형의 확경 저지 부재(80)의 저면부(81)는 디퓨저부(30)의 폐색 단부면(32)에 맞닿고, 주위벽부(82)의 내주면이 통상 필터(50)의 주위벽부(53)에 맞닿아 있으며, 시일 테이프(34)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관점에서, 그 주위벽부(82)의 외주면은 디퓨저부의 주위벽부(33)와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대향되어 있다.
도 5의 (c)의 실시 형태의 가스 발생기(1E)는, 통상 필터(50)의 제2 단부면(52)측의 주위벽부(53)와 디퓨저부(30)의 폐색 단부면(32)측의 내주벽면(30a) 사이에, 복수의 독립 돌기를 포함하는 확경 저지 부재(90)가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독립 돌기를 포함하는 확경 저지 부재(90)는, 디퓨저부의 주위벽부(33)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것이다. 또한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예를 들어, 2 내지 8개) 형성된 것이며, 시일 테이프(34)와는 접촉되어 있지 않다.
복수의 독립 돌기를 포함하는 확경 저지 부재(90)는, 통상 필터(50)의 제2 단부면(52)측의 주위벽부(53)에 맞닿아 있거나, 약간의 간극을 두고 대향되어 있다. 또한, 확경 저지 부재(90)는, 복수의 독립 돌기 이외에도 연속된 환상 돌기여도 된다. 또는, 통상 필터(50)의 제2 단부면(52)측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여도 된다.
도 5의 (a) 내지 (c)에 나타내는 가스 발생기(1C, 1D, 1E)는, 확경 저지 부재(70, 80, 90)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컵상 부재(40)의 연통 구멍(43)으로부터 통상 필터(50)를 통과하여 디퓨저부(30) 내에 들어간 연소 가스는, 도 1의 가스 발생기의 작동 기구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시 통상 필터(50)를 통과하여 제2 간극(37)에 들어간 후, 시일 테이프(34)를 찢어 가스 배출구(31)로부터 배출된다.
2번째로 통상 필터(50)를 통과하여 가스 배출구(31)로부터 배출될 때, 통상 필터(50)의 제2 단부면(52)측은, 연소 가스가 통과할 때의 압력을 받아 반경 방향 외측으로 넓어지게 변형되어, 제2 간극(37)을 작게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도 5의 (a) 내지 (c)에 나타내는 가스 발생기(1C, 1D, 1E)는, 확경 저지 부재(70, 80, 90)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 필터(50) 제2 단부면(52)측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넓어지게 변형되는 것이 저지되어, 제2 간극(37)이 작아지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통상 필터(50)에 의한 냉각 효과 및 여과 효과는 충분히 발휘된다.
본 발명을 이상과 같이 기재하였다. 당연히,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그 범위에 포함하며, 이들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의 일탈은 아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명백하게 본 발명의 변형으로 간주하는 모든 것은, 이하에 기재하는 청구항의 범위에 있다.

Claims (10)

  1. 통상 하우징 본체부와 디퓨저부를 포함하는 통상 하우징을 갖고 있고,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제1 단부측에 점화 수단을 갖고, 상기 제1 단부와는 축 방향 반대측의 제2 단부측이 가스 배출구를 갖는 디퓨저부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가스 발생제를 포함하는 연소실이 존재하고,
    상기 연소실과 상기 디퓨저부 사이가 컵상 부재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상기 컵상 부재가, 저면부, 연통 구멍이 형성된 주위벽부, 및 개구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저면부가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제1 단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가 제2 단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주위벽부가, 반경 방향 외측에 대향하고 있는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제1 간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고,
    추가로 상기 컵상 부재와 상기 디퓨저부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통상 필터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통상 필터가, 제1 단부면이 상기 컵상 부재의 저면부에 맞닿고, 반대측의 제2 단부면이 상기 디퓨저부의 폐색 단부면에 맞닿아 있는 것이고,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이, 상기 통상 필터의 제1 단부면 근처이며, 또한 상기 제1 간극에 면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디퓨저부의 가스 배출구가 상기 통상 필터의 제2 단부면 근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가스 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필터의 주위벽부가, 상기 제1 단부면측의 후육부와 상기 제2 단부면측의 박육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후육부만이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에 대향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3. 통상 하우징 본체부와 디퓨저부를 포함하는 통상 하우징을 갖고 있고,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제1 단부측에 점화 수단을 갖고, 상기 제1 단부와는 축 방향 반대측의 제2 단부측이 가스 배출구를 갖는 디퓨저부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가스 발생제를 포함하는 연소실이 존재하고,
    상기 연소실과 상기 디퓨저부 사이가 컵상 부재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상기 컵상 부재가, 저면부, 연통 구멍이 형성된 주위벽부, 및 개구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저면부가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제1 단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가 제2 단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주위벽부가, 반경 방향 외측에 대향하고 있는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제1 간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고,
    추가로 상기 컵상 부재와 상기 디퓨저부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저면부, 주위벽부 및 개구부를 갖는 컵상 필터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컵상 필터가, 상기 컵상 필터의 저면부가 상기 컵상 부재의 저면부에 맞닿고, 상기 컵상 필터의 개구부의 단부면이 상기 디퓨저부의 폐색 단부면에 맞닿아 있는 것이고,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이, 상기 컵상 필터의 저면부 근처이며, 또한 상기 제1 간극에 면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디퓨저부의 가스 배출구가 상기 컵상 필터의 개구부 근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가스 발생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컵상 필터의 저면부의 두께가, 상기 컵상 필터의 주위벽부의 두께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의 내경보다도 커져 있고,
    상기 컵상 필터의 저면부만이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에 대향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상 부재가, 상기 저면부의 외경보다도 상기 개구부측의 외경이 크게 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상기 디퓨저부측의 내벽면에는, 환상 단차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상 부재의 개구부 단부면이 상기 환상 단차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을 갖는 주위벽부와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내벽면 사이에 상기 제1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을 갖는 주위벽부의 내표면에 대하여, 상기 통상 필터의 제1 단부면측의 주위벽부의 외표면이 맞닿아 있으며, 상기 통상 필터의 제2 단부면측의 주위벽부의 외표면과 상기 가스 배출구 사이에 제2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컵상 부재가, 상기 저면부의 외경보다도 상기 개구부측의 외경이 크게 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상기 디퓨저부측의 내벽면에는, 환상 단차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상 부재의 개구부 단부면이 상기 환상 단차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을 갖는 주위벽부와 상기 통상 하우징 본체부의 내벽면 사이에 상기 제1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상 부재의 연통 구멍을 갖는 주위벽부의 내표면에 대하여, 상기 컵상 필터의 저면부측의 주위벽부의 외표면이 맞닿아 있으며, 상기 컵상 필터의 개구부측의 주위벽부의 외표면과 상기 가스 배출구 사이에 제2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필터의 주위벽부와 상기 컵상 부재의 주위벽부가 맞닿아 있는 면적(A1)과, 상기 통상 필터의 주위벽부가 상기 제2 간극에 면해 있는 면적(A2)이, A1과 A2의 합계 면적을 100%라 할 때의 A2가 50% 초과 내지 80%의 범위인 가스 발생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컵상 필터의 주위벽부와 상기 컵상 부재의 주위벽부가 맞닿아 있는 면적(A1)과, 상기 컵상 필터의 주위벽부가 상기 제2 간극에 면해 있는 면적(A2)이, A1과 A2의 합계 면적을 100%라 할 때의 A2가 50% 초과 내지 80%의 범위인 가스 발생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필터의 제2 단부면측의 주위벽부와, 상기 디퓨저부의 폐색 단부면측의 내주벽면 사이에, 상기 통상 필터 제2 단부면측의 주위벽부가 확경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확경 저지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컵상 필터의 개구부측의 주위벽부와, 상기 디퓨저부의 폐색 단부면측의 내주벽면 사이에, 상기 컵상 필터의 개구부측의 주위벽부가 확경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확경 저지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KR1020187031030A 2016-05-23 2017-04-28 가스 발생기 KR102198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02061A JP6619293B2 (ja) 2016-05-23 2016-05-23 ガス発生器
JPJP-P-2016-102061 2016-05-23
PCT/JP2017/016926 WO2017203934A1 (ja) 2016-05-23 2017-04-28 ガス発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720A KR20190013720A (ko) 2019-02-11
KR102198476B1 true KR102198476B1 (ko) 2021-01-06

Family

ID=60412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030A KR102198476B1 (ko) 2016-05-23 2017-04-28 가스 발생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96267B2 (ko)
JP (1) JP6619293B2 (ko)
KR (1) KR102198476B1 (ko)
CN (1) CN109257930B (ko)
DE (1) DE112017002619T5 (ko)
WO (1) WO20172039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3985B2 (ja) * 2016-07-20 2020-01-22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650365B2 (ja) * 2016-07-26 2020-02-19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934372B2 (ja) * 2017-09-05 2021-09-15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40336A (ja) 2007-10-05 2010-12-24 タカタ・ペトリ アーゲー ガス発生器及びガス発生器のガス流に影響を及ぼす方法
JP2011157025A (ja) 2010-02-03 2011-08-18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ガス発生器
JP2016022929A (ja) 2014-07-24 2016-02-08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0190A (en) * 1993-07-06 1994-09-27 Primrose, Inc. Air bag assembly mount including snap-fit horn attachment
US5380037A (en) * 1993-10-25 1995-01-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Snap-in inflatable restraint module mounting mechanism including latch elements
US5470100A (en) * 1994-08-25 1995-11-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inflator retainer
DE19503816B4 (de) * 1995-02-06 2007-03-22 Volkswagen Ag Anordnung zur Befestigung eines aus einem Gehäuseboden und einem Gehäusedeckel bestehenden Gehäuses im Lenkrad
EP0823362B1 (en) * 1996-08-06 2003-10-01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US6092832A (en) * 1998-03-04 2000-07-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mounting mechanism and method of making
DE29906173U1 (de) * 1999-04-06 1999-08-12 TRW Airbag Systems GmbH & Co. KG, 84544 Aschau Gasgenerator
IT1308842B1 (it) * 1999-09-24 2002-01-11 Gallino Plasturgia S R L Dispositivo di azionamento di avvisatore acustico per un volante diazionamento.
DE20213144U1 (de) * 2002-08-27 2003-01-09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Gassackmodul
US7059631B2 (en) * 2003-04-29 2006-06-13 Toyoda Gosei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a driver's side airbag to a steering wheel
US20040239080A1 (en) * 2003-05-30 2004-12-02 Berrahou Philip F. Housing retention mechanism
JP4280161B2 (ja) * 2003-12-22 2009-06-17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US7343862B2 (en) * 2004-05-27 2008-03-18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ing system
US7390019B2 (en) * 2004-06-10 2008-06-24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Inflator for airbag
US7654565B2 (en) * 2005-06-02 2010-02-02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ing system
US20080078486A1 (en) * 2006-09-30 2008-04-03 Khandhadia Paresh S Gas generating system and composition
US7806954B2 (en) * 2005-11-01 2010-10-05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or
JP2007131254A (ja) 2005-11-14 2007-05-31 Daicel Chem Ind Ltd 人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US8376400B2 (en) 2006-04-21 2013-02-19 Tk Holdings, Inc. Gas generating system
DE102007005588B4 (de) * 2007-02-05 2014-02-13 Trw Airbag Systems Gmbh Filter zur Verwendung in einem Gasgenerator, Gasgenerator,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Filters und Verwendung des Filters
US7950691B1 (en) * 2007-10-31 2011-05-31 Tk Holdings, Inc. Inflator body with adapter form end
FR2929903A1 (fr) * 2008-04-10 2009-10-16 Livbag Soc Par Actions Simplif Generateur de gaz pour un dispositif de securite pour vehicule automobile
US8764054B2 (en) * 2009-02-04 2014-07-01 Tk Holdings Inc. Gas generating system
CN102414058A (zh) * 2009-04-30 2012-04-11 日本化药株式会社 气体发生器
CN102414057A (zh) * 2009-04-30 2012-04-11 日本化药株式会社 气体发生器
JP5436036B2 (ja) * 2009-05-12 2014-03-05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5770978B2 (ja) * 2010-04-19 2015-08-26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WO2012153427A1 (ja) * 2011-05-12 2012-1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6313031B2 (ja) * 2013-02-22 2018-04-18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261596B2 (ja) * 2013-08-20 2018-01-17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184829B2 (ja) * 2013-10-11 2017-08-23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374811B2 (ja) * 2014-05-16 2018-08-15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261458B2 (ja) * 2014-06-23 2018-01-17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351439B2 (ja) * 2014-08-27 2018-07-04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JP6454143B2 (ja) * 2014-12-03 2019-01-16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CN204432595U (zh) * 2015-01-29 2015-07-01 湖北航天化学技术研究所 一种气体发生器
DE102015009705A1 (de) * 2015-07-30 2017-02-02 Trw Airbag Systems Gmbh Gasgenerator,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sicherheitssystem, Gassackmodul, Fahrzeugsicherheits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zum Betreiben eines Gasgenerators
JP6514067B2 (ja) * 2015-08-19 2019-05-15 株式会社ダイセル ローリングかしめ具とそれを使用した筒部材開口部の閉塞方法
JP6521834B2 (ja) * 2015-10-27 2019-05-29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40336A (ja) 2007-10-05 2010-12-24 タカタ・ペトリ アーゲー ガス発生器及びガス発生器のガス流に影響を及ぼす方法
JP2011157025A (ja) 2010-02-03 2011-08-18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ガス発生器
JP2016022929A (ja) 2014-07-24 2016-02-08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210006A (ja) 2017-11-30
US10696267B2 (en) 2020-06-30
DE112017002619T5 (de) 2019-02-21
JP6619293B2 (ja) 2019-12-11
CN109257930B (zh) 2021-09-17
KR20190013720A (ko) 2019-02-11
US20190126885A1 (en) 2019-05-02
CN109257930A (zh) 2019-01-22
WO2017203934A1 (ja)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252B1 (ko) 가스 발생기 및 그의 조립 방법
US8434783B2 (en) Gas generator for restraining device of vehicle
KR20150120353A (ko) 가스 발생기
EP2834105B1 (en) Gas generator
KR102198476B1 (ko) 가스 발생기
US20070046005A1 (en) Gas generator
EP2825795B1 (en) Gas generator
US8720944B2 (en) Gas generator for restraining device of vehicle
JP2007253666A (ja) 車両の人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US10814828B2 (en) Gas generator
KR101722806B1 (ko) 가스 발생기 및 그의 조립 방법
KR100319077B1 (ko)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US20140123869A1 (en) Gas generator for restraining device
CN109476274B (zh) 气体发生器
KR20170093115A (ko) 가스 발생기
US20220276030A1 (en) Gas Generator
CN109476273B (zh) 气体发生器
JP4819481B2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US10166501B2 (en) Gas generator
JP7274359B2 (ja) ガス発生器
KR20150024310A (ko) 가스 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