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818B1 -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 - Google Patents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818B1
KR102195818B1 KR1020190003910A KR20190003910A KR102195818B1 KR 102195818 B1 KR102195818 B1 KR 102195818B1 KR 1020190003910 A KR1020190003910 A KR 1020190003910A KR 20190003910 A KR20190003910 A KR 20190003910A KR 102195818 B1 KR102195818 B1 KR 102195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ndre
storage tank
laver
foot
processed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7526A (ko
Inventor
박대롱
주일현
장재훈
Original Assignee
박대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롱 filed Critical 박대롱
Priority to KR1020190003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818B1/ko
Publication of KR20200087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는, 물이 채워진 저수조; 저수조에 인접하게 마련되되, 전처리된 곤드레 잎과 곤드레 줄기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물을 공급하는 혼합물 공급유닛; 및 저수조에 침지된 발장의 상면에 밀착되고 혼합물 공급유닛으로부터 혼합물을 공급받아 발장의 상면에 물김을 형성하는 성형틀을 구비하되, 성형틀과 발장을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김 성형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APPARATUS FOR FORMING PREPARATING PROCESSED FOOD OF LAYER SHAPE USING CIRSIUM SETIDENS NAKAI}
본 발명은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곤드레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 '고려엉겅퀴'를 칭하는 것으로서, 우리나라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 및 노지에서 자라고 재배된다. 특히, 강원도에서는 '곤드레'라고 하여 어린순을 나물로 주로 식용하고 있다.
식용의 곤드레 산채는 식유섬유가 풍부하여 다이어트 식품으로 적합하며, 단백질은 물론 칼슘과 비타민 A를 비롯한 각종 영양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쌀과 섞어서 밥을 지어먹으면 맛도 좋고 쌀만으로는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곤드레 산채는 성인병(항콜레스테롤 등) 예방에 도움이 되며, 정맥 확장 작용, 지혈작용, 소염작용, 이뇨작용 등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주요 활성성분인 펙토리나린(Pectolinarin)은 콜레스테롤 감소 및 간 손상 억제 작용 기능이 있어 음주 후 해독작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곤드레를 이용한 가공식품은 주로 곤드레 나물밥, 곤드레를 이용한 떡 등 거의 대부분 건나물 형태 또는 데친 후 냉동시킨 형태로 나물 무침이나 곤드레 밥 등과 같이 부가가치가 낮은 단순 가공 형태로 공급되고 있다. 또한 생산시기의 제한으로 가정집에서 다량의 양을 냉동으로 보관해야 되는데 저장에 대한 불편함과 건나물의 경우, 식품으로 바로 섭취하려면 30분 전후로 물에 불리고, 20분 전후로 고열로 삶아야 되기 때문에 섭취시간이 오래 걸린다. 이러한 불편함과 부가가치가 낮은 이유로 곤드레 산채를 주원료로 하면서 대중화가 용이하고 부가가치가 높은 2차 가공식품의 개발이 매우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17001호(2018.10.26.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46508호(2018.05.09.공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몸에 좋고 소화와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주는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식물성 단백질이 많이 함유된 곤드레를 계절에 상관없이 손쉽게 애용할 수 있도록 곤드레를 이용한 김 형태의 가공식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이 채워진 저수조; 상기 저수조에 인접하게 마련되되, 전처리된 곤드레 잎과 곤드레 줄기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물을 공급하는 혼합물 공급유닛; 및 상기 저수조에 침지된 발장의 상면에 밀착되고 상기 혼합물 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혼합물을 공급받아 상기 발장의 상면에 물김을 형성하는 성형틀을 구비하되, 상기 성형틀과 상기 발장을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김 성형유닛을 포함하는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김 성형유닛은 하부에 상기 성형틀이 결합되되 상기 성형틀이 상기 발장의 상면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되게 높이방향으로 승강되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하부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호 접근됨에 따라 상기 발장의 양측면을 파지하고 상호 이격됨에 따라 상기 발장의 양측면을 파지해제하는 한 쌍의 제1 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지부는 상기 제1 몸체부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제1 수평 이동블록; 및 상기 제1 수평 이동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발장의 측면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되는 제1 파지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장의 측면에는 복수의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파지부는 상기 제1 파지블록의 내면에 마련되어 복수의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1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지부는 상기 제1 몸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수평 이동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수평 이동블록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김 성형유닛은 상기 성형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혼합물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혼합물을 상기 성형틀의 내부로 공급하는 호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 공급유닛은 상기 혼합물이 저장된 저장탱크; 일단이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호퍼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혼합물을 상기 호퍼에 공급하는 공급배관; 및 상기 공급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배관을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배관의 타단은 상기 혼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U"자형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의 일측에 마련되되 상면에 물김이 형성된 상기 발장을 이송하는 제1 이송유닛를 더 포함하며, 상기 김 성형유닛은 상기 제1 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몸체부를 상기 저수조와 상기 제1 이송유닛 사이에서 왕복운동가능하게 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저수조와 상기 제1 이송유닛의 상부에 길게 마련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블록; 상기 이송블록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몸체부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2 실린더부재; 및 상기 이송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블록을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조의 타측에 마련되되 상기 제1 이송유닛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물김이 제거된 상기 발장을 이송하는 제2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김 성형유닛은 상기 이송블록의 하부에 마련된 제3 실린더부재에 결합되어 높이방향으로 승강되며 상기 제2 이송유닛과 상기 저수조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부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호 접근됨에 따라 상기 제2 이송유닛에 안착된 상기 발장의 양측면을 파지하고 상호 이격됨에 따라 상기 발장의 양측면을 파지해제하여 상기 발장을 상기 저수조에 침지시키는 한 쌍의 제2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파지부는 상기 제2 몸체부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제2 수평 이동블록; 및 상기 제2 수평 이동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발장의 측면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되는 제2 파지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파지부는 상기 제2 몸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수평 이동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수평 이동블록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4 실린더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틀의 측면을 따라 복수 개 마련되되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발장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저수조에 침지된 발장과 상기 성형틀을 정렬하는 정렬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몸에 좋고 소화와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주는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식물성 단백질이 많이 함유된 곤드레를 취식하기 용이하게 하도록 얇은 김형태의 곤드레 김을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공급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몸체부와 제1 및 제2 파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곤드레의 잎과 줄기를 분리하여 각각 전처리 또는 추출한 후 사용함으로써, 곤드레를 이용한 가공식품의 식감과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가공식품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제조방법은, (A) 곤드레 잎과 줄기를 분리하는 단계(S10)와, (B) 곤드레 잎을 전처리하는 단계(S20)와, (C) 곤드레 줄기에 물을 넣고 10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30)와, (D) 전처리된 곤드레 잎과 곤드레 줄기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S40)와, (E) 혼합물을 성형 및 건조시키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는 곤드레 잎과 줄기를 분리하여 준비하는 단계로, 세척하여 준비한 곤드레는 잎과 줄기를 서로 분리하여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곤드레 줄기는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B) 단계는 곤드레 잎을 전 처리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B) 단계는 (B-a) 곤드레 잎을 물에 넣고 10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3 내지 7분 동안 데치는 단계 및 (B-b) 상기 데친 곤드레 잎을 3 내지 5 cm 크기로 절단하고 다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a) 단계는 곤드레 잎을 물에 넣고 10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3 내지 7분 동안 데쳐서 잎의 식감에 따라 시간을 조절하여 곤드레의 특유의 미세한 향을 제거하고 잎의 식감을 부드럽게 하는 단계이다. 만일 상기 온도 및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식감과 조직의 해체에 영향을 주어서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즉, 상기 (B-a) 단계를 통해 데친 곤드레 잎(섬유질)과 데치고 남은 물이 형성된다.
상기 (B-b) 단계는 상기 데친 곤드레 잎을 3 내지 5 cm 크기로 절단하고 다지는 단계이다. 만일 상기 크기가 3 cm 미만인 경우에는 잎을 다지는 기계에서 다졌을 때 파괴되어서 나오는 섬유질의 사이즈가 매우 적어질 질 수 있다. 사이즈가 너무 적으면 김발을 통과해서 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 즉, 곤드레 섬유 조직이 너무 적어 가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5 c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섬유 조직이 길어져 건조되어 섭취 시에 식감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상기 크기로 절단된 곤드레 잎은 상기 다지는 공정을 통해 데쳐진 곤드레 잎을 또한 부드럽게 만드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C) 단계는 곤드레 줄기에 물을 넣고 10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C) 단계는 준비한 곤드레 줄기에 곤드레 삶은 물을 넣고 10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곤드레 줄기를 1 내지 2 cm 로 절단하여 다지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곤드레 줄기와 물 이외에 상기 (B-a) 단계를 통해 분리된 곤드레 잎을 데치고 남은 물, 설탕, 전분 및 찹쌀 가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투입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물은 곤드레를 삶은 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곤드레 삶은 물을 사용했을 때 펙토리나린의 함량이 현저히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전분은 고구마 전분, 감자 전분, 타피오카 전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곤드레를 가공식품으로 제조할 때 탄성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찹쌀 가루 역시 곤드레 가공식품의 탄성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였으며, 상기 설탕은 풍미 및 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곤드레 줄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물 100 내지 150 중량부, 설탕 2 내지 3 중량부, 전분 0.5 내지 1 중량부 및 찹쌀 가루 0.5 내지 1 중량부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중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D) 단계에서 전처리된 곤드레 잎과 혼합되어 탄성이 약해지거나 너무 탄성이 강해 건조 이후 김발에서 탈피하는데 어려움을 줄 수 있어 가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1 내지 2cm 사이즈로 열수 추출된 줄기는 다지는 기계에서 다진 후 20 내지 30%로 중량부로 B 단계의 곤드레 잎과 섞어 곤드레 김이 서로 얼키고 설키는 프레임 역할을 하도록 같이 섞어 건조한다.
상기 곤드레 줄기의 추출은 열수 추출로 수행하되 스팀으로 삶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는 곤드레에서 추출되는 펙토리나린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만일 스팀으로 삶지 않고 통상적인 열수 추출법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펙토리나린의 함량이 1/2 이하로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C) 단계의 추출물은 40 내지 50 brix의 농도로 농축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농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후 공정인 성형 공정에서 성형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B) 단계를 통해 전처리된 곤드레 잎과 (C) 단계를 통해 제조된 곤드레 줄기의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D) 단계는 앞서 설명 드린 바와 같이, 종래에는 곤드레의 잎과 줄기를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추출하여 사용하였는데, 이는 곤드레 줄기의 단단한 심지 등으로 인하여 식감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일정한 비율로 투입하여 식감을 조절하고 줄기의 절단 사이즈도 1 내지 2 cm 단위로 하여 섭취하는데 불편함을 제거하고 섬유소가 서로 얼키고 설키는데 도움을 주는 프레임 역할을 하게 하여 밥과 함께 취식하는데 문제점이 없도록 한다.
또한 곤드레 잎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풍미가 저하될 수 있으며 김과 같은 가공식품의 시트형태로 가공되는데 문제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곤드레의 잎과 줄기를 상술한 (B) 및 (C) 단계를 통해 각각 전처리 또는 추출한 후 혼합함으로써, 곤드레를 이용한 가공식품의 식감과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 형태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가공식품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곤드레 잎과 줄기 추출물 이외에 상기 (C) 단계를 통해 열수 추출하고 남은 곤드레 줄기 건더기를 다지는 기계에서 다진 후 추가로 혼합하는 것이며, 상기 추가 첨가되는 곤드레 줄기 건더기는 곤드레 총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로 투입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E) 단계는 상기 (D) 단계를 통해 혼합된 혼합물을 성형 및 건조시켜 가공식품으로 제조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E) 단계는 혼합물을 시트 형태로 제조한 후 이를 하이브리드 건조기에서 80 내지 100 ℃의 온도에서 4 내지 10분 동안 건조시켜 가공식품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온도 및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가공식품이 균열되거나 또는 색상을 유지하는 것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가공식품은 건조 김인 것으로, 상기 건조 곤드레 김은 평균 0.2 내지 0.5 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두께 범위에서 곤드레 시트가 쉽게 잘 부서지지 않으면서도 일정한 탄성을 가지고 잘 휘어지며, 식감도 양호하여 건조시간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건조된 곤드레 김 형태는 소비자가 먹기 용이하도록 사각형 형태의 일정한 크기로 절단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대표적인 실험 결과만을 기재한 것이며,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의 각각의 효과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실시예 1: 곤드레 김 제조(곤드레 잎과 줄기를 분리)
곤드레 생채를 노지에서 수확하여 세척한 후, 곤드레 잎과 줄기를 분리하였다. 곤드레 잎 1 kg 기준으로 물 1 kg를 100 ℃ 이상으로 끊인 후 곤드레 잎을 담가 5분 동안 데친 후 건져내 찬물에 3회 세척하였다(색상 원형에 가깝게 유지함). 그리고, 곤드레 잎을 가로 및 세로가 3 내지 5cm인 크기로 절단한 후, 절단된 곤드레를 다지는 기계에 넣어 마늘 다지는 것처럼 다져서 즙과 섬유질을 분리한다.
앞서 분리한 줄기는 따로 모아 1 내지 2 cm 사이즈로 절단한 줄기 1 kg 기준으로 앞서 잎을 다졌을 때 나오는 즙과 곤드레 삶은 물 1 kg, 설탕 20 g, 타피오카 전분 5 g, 찹쌀 가루 5 g을 넣어 고루 희석하게 한 후 100 ℃ 이상에서 10분 동안 삶은 후 끈적한 삶은 물을 얻는다(50 brix농도). 여기에 준비한 다진 곤드레 20 g을 앞서 혼합하여 얻은 삶은 액체가 담겨있는 조금 넓은 용기에 약간 잠기도록 특수 제작된 김발 위에 떨어뜨린 후 액체 속에서 약하게 흔들면서 펼치는 도구를 이용하여 고루 펼친다(도 1 참조). 그리고, 특수 제작된 김발들을 서랍식 캐리어에 층층이 넣은 후 하이브리드 건조기에 넣고, 80 ℃의 온도에서 4분, 60 ℃의 온도에서 2분 동안 건조시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곤드레 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곤드레 김 제조
곤드레 생을 노지에서 수확하여 세척한 후, 곤드레 잎과 줄기를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준비한 후, 상기 곤드레 1 kg을 기준으로 물 1 kg를 100 ℃ 이상으로 끊인 후 곤드레를 담가 5분 동안 데친 후 건져내 찬물에 3회 세척하였다(색상 원형에 가깝게 유지함). 그리고, 곤드레(줄기포함)를 가로 및 세로가 5 mm 내외의 크기로 절단한 후, 여기에 정제수, 찹쌀 가루, 전분, 설탕을 같이 넣어 고루 혼합하여 5분 동안 끓인 후, 특수 제작된 김발위에 떨어뜨린 후 펼치는 도구를 이용하여 고루 펼친다(도 1 참조). 그리고, 특수 제작된 김발들을 서랍식 캐리어에 층층이 넣은 후 하이브리드 건조기에 넣고, 90 ℃의 온도에서 3분 50초 동안 건조하고 곤드레 김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탄성력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곤드레 김의 탄성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샘플의 한쪽 끝을 잡아 고정한 후, 나머지 한쪽을 점차 이동시켜 가면서 휘어져 부러지는 각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각도(°)
실시예 1 420
비교예 1 300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곤드레 김은 비교예 1에 비하여 탄성력이 현저히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몸에 좋고 소화와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주는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식물성 단백질도 다른 산채에 비해 많이 함유된 곤드레를 이용하여 김 형태의 얇은 시트 또는 후리가케 형태로 만들어 밥과 함께 취식하기 용이하며, 이는 남녀노소가 계절에 상관없이 곤드레 산채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데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곤드레의 잎과 줄기를 분리하고, 잎에서 나오는 즙과 설탕, 전분, 찹쌀 가루 및 절단 된 줄기, 곤드레 삶은 물을 넣어 100 ℃이상에서 10분간 끊임으로써 식물성 기름 및 펙토리나린 추출을 용이하게 하며, 끈적한 액체(약 50brix)에 조직이 파괴된 잎과 일정 비율의 다져진 줄기를 혼합하여 김 시트를 만들어 일정한 온도의 열풍 및 냉풍 처리를 통해 곤드레의 고유 색상을 유지하면서 일정한 응집력도 높이는데 두드러진 차이의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을 성형함에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김 성형을 자동화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의 동작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공급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몸체부와 제1 및 제2 파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100)는, 물이 채워진 저수조(110)와, 저수조(1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면에 물김이 형성된 발장(B)을 이송하는 제1 이송유닛(120)과, 저수조(110)의 타측에 제1 이송유닛(120)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물김이 제거된 발장(B)을 이송하는 제2 이송유닛(130)과, 저수조(110)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전처리된 곤드레 잎과 곤드레 줄기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물을 공급하는 혼합물 공급유닛(140)과, 저수조(110)와 제1 이송유닛(120)과 제2 이송유닛(130)의 상부에 마련되어 제2 이송유닛(130)에 안착된 물김이 제거된 발장(B)을 저수조(110)에 침지시키고 저수조(110)에 침지된 발장(B)의 상면에 물김을 형성하며 상면에 물김이 형성된 발장(B)을 제1 이송유닛(120)에 안착시키는 김 성형유닛(1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저수조(110)는 전처리된 곤드레 잎과 곤드레 줄기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물을 이용하여 김형태의 가공식품을 성형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저수조(110)에는 물이 채워지며, 저수조(110)에 발장(B)을 침지시킨 상태에서 성형틀(151)을 발장(B)의 상면에 밀착시키고 성형틀(151) 내에 전처리된 곤드레 잎과 곤드레 줄기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물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성형틀(151)은 김형태를 갖도록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저수조(110)를 사이에 두고 저수조(110)의 양측에는 제1 이송유닛(120)과 제2 이송유닛(130)이 마련된다. 제1 이송유닛(120)은 제1 지지프레임(121)과, 제1 지지프레임(121)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면에 물김이 형성된 발장(B)을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벨트(123)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이송유닛(130)은 제2 지지프레임(131)과, 제2 지지프레임(131)의 상부에 마련되어 물김이 제거된 발장(B)을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벨트(133)를 포함한다.
제2 이송유닛(130)에 의해 이송되는 물김이 제거된 발장(B)은 후술할 김 성형유닛(150)에 의해 저수조(110)로 침지되고, 김 성형유닛(150)은 저수조(110)에 침지된 발장(B)의 상면에 물김을 형성하고 물김이 형성된 발장(B)을 제1 이송유닛(120)에 안착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물 공급유닛(140)은 저수조(110)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성형틀(151)이 저수조(110)에 침지된 발장(B)의 상면에 밀착되는 경우에 성형틀(151)의 내부로 혼합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혼합물 공급유닛(140)은 저수조(110)에 침지된 발장(B)의 상면에 밀착되는 성형틀(151)의 내부에 혼합물을 공급하도록 제어된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혼합물 공급유닛(140)은 혼합물이 저장된 저장탱크(141)와, 저장탱크(141)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혼합물을 공급하는 공급배관(143)과, 공급배관(143)에 연결되어 공급배관(143)을 개폐하는 밸브(145)를 포함한다.
저장탱크(141)는 저수조(110)에 인접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며, 각각의 저장탱크(141)에 수용된 혼합물은 공급배관(143)을 통해 성형틀(151)로 공급된다. 따라서 공급배관(143)의 일단은 복수의 저장탱크(141)에 연통되게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성형틀(151)의 내부로 혼합물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성형틀(151)에 연통되게 연결된 호퍼(155)가 마련된다. 호퍼(155)는 공급배관(143)을 통해 공급되는 혼합물을 성형틀(151)의 내부로 공급한다. 따라서, 공급배관(143)의 타단은 성형틀(151)이 저수조(110)에 침지된 발장(B)의 상면에 밀착되는 위치에서 호퍼(155)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성형틀(151)의 내부로 정량의 혼합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급배관(143)의 타단은 혼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U"자형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성형틀(151)이 저수조(110)에 침지된 발장(B)의 상면에 밀착된 후 성형틀(151)의 내부로 혼합물을 공급하도록 하기 위해 성형틀(151)의 위치에 따라 공급배관(143)을 개폐하는 밸브(145)가 마련된다. 밸브(145)는 성형틀(151)의 위치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여 공급배관(143)을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김 성형유닛(150)은 혼합물 공급유닛(140)으로부터 전처리된 곤드레 잎과 곤드레 줄기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물을 공급받아 저수조(110)에 침지된 발장(B)의 상면에 물김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김 성형유닛(150)은 제2 이송유닛(130)에 안착된 물김이 제거된 발장(B)을 저수조(110)에 침지시키고, 저수조(110)에 침지되며 상면에 물김이 형성된 발장(B)을 제1 이송유닛(120)에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김 성형유닛(150)은 저수조(110)와 제1 이송유닛(120)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며 하부에 성형틀(151)이 결합되는 제1 몸체부(170)와, 제1 몸체부(170)의 하부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발장(B)을 파지 및 파지해제하는 한 쌍의 제1 파지부(180)와, 제2 이송유닛(130)과 저수조(110)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는 제2 몸체부(175)와, 제2 몸체부(175)의 하부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발장(B)을 파지 및 파지해제하는 한 쌍의 제2 파지부(190)와, 제1 몸체부(170)와 제2 몸체부(175)가 연결되며 제1 몸체부(170)를 저수조(110)와 제1 이송유닛(120) 사이에서 왕복 운동가능하게 하며 제2 몸체부(175)를 저수조(110)와 제2 이송유닛(130) 사이에서 왕복 운동가능하게 하는 이송부(160)를 포함한다.
이송부(160)는 제1 이송유닛(120)과 제2 이송유닛(130) 및 저수조(110)의 상부에 길게 마련된 가이드레일(161)과, 가이드레일(161)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이송블록(163)과, 이송블록(163)의 하부에 마련되고 제1 몸체부(170)에 결합되어 제1 몸체부(170)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2 실린더부재(165)와, 이송블록(163)의 하부에 마련되고 제2 몸체부(175)에 결합되어 제2 몸체부(175)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3 실린더부재(167)와, 이송블록(163)에 연결되어 이송블록(163)을 가이드레일(161)을 따라 왕복 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161)은 저수조(110)를 중심으로 제1 이송유닛(120)과 제2 이송유닛(130)에 교차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구동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이드레일(161)에 결합된 이송블록(163)이 가이드레일(161)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 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이송블록(163)의 하부에 제2 실린더부재(165)를 매개로 제1 몸체부(170)가 연결되고 제3 실린더부재(167)를 매개로 제2 몸체부(175)가 연결되게 도시되었으나, 별개의 이송블록(163)에 제2 실린더부재(165)를 매개로 제1 몸체부(170)가 연결되고 제3 실린더부재(167)를 매개로 제2 몸체부(175)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70)는 이송블록(163)이 가이드레일(161)을 따라 왕복 운동함에 따라 저수조(110)의 상부와 제1 이송유닛(120)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제1 몸체부(170)는 이송블록(163)의 하부에 마련된 제2 실린더부재(165)에 결합되어 높이방향으로 승강된다. 또한 제1 몸체부(170)의 하부에는 전술한 성형틀(151)이 결합되어 제1 몸체부(170)와 함께 승강되며, 성형틀(151)에는 호퍼(155)가 연통되게 결합된다. 또한 제1 몸체부(170)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제1 파지부(180)가 연결된다.
한 쌍의 제1 파지부(180)는 저수조(110)에 침지되고 상면에 물김이 형성된 발장(B)을 파지하고 상면에 물김이 형성된 발장(B)이 제1 이송유닛(120)에 안착된 경우에 물김이 형성된 발장(B)을 파지해제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1 파지부(180)는 제1 몸체부(170)의 하부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호 접근됨에 따라 발장(B)의 양측면을 파지하고 상호 이격됨에 따라 발장(B)의 양측면을 파지해제한다. 또한 한 쌍의 제1 파지부(180)는 성형틀(151)의 양측부에 각각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호 접근됨에 따라 성형틀(151)과 성형틀(151)의 하부에 밀착된 발장(B)의 양측면에 밀착된다.
한 쌍의 제1 파지부(180) 각각은 제1 몸체부(170)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제1 수평 이동블록(181)과, 제1 수평 이동블록(181)에 연결되며 발장(B) 및 발장(B)의 상면에 밀착되는 성형틀(151)의 측면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되는 제1 파지블록(183)과, 제1 몸체부(170)에 마련되고 제1 수평 이동블록(181)에 결합되어 제1 수평 이동블록(181)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부재(187)를 포함한다.
제2 몸체부(175)는 이송블록(163)이 가이드레일(161)을 따라 왕복 운동함에 따라 저수조(110)의 상부와 제2 이송유닛(130)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제2 몸체부(175)는 이송블록(163)의 하부에 마련된 제3 실린더부재(167)에 결합되어 높이방향으로 승강된다. 또한 제2 몸체부(175)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제2 파지부(190)가 연결된다.
한 쌍의 제2 파지부(190)는 제2 이송유닛(130)에 안착된 물김이 제거된 발장(B)을 파지하고 저수조(110)에 물김이 제거된 발장(B)이 침지된 경우에 물김이 제거된 발장(B)을 파지해제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2 파지부(190)는 제2 몸체부(175)의 하부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호 접근됨에 따라 발장(B)의 양측면을 파지하고 상호 이격됨에 따라 발장(B)의 양측면을 파지해제한다.
한 쌍의 제2 파지부(190) 각각은 제2 몸체부(175)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제2 수평 이동블록(191)과, 제2 수평 이동블록(191)에 연결되며 발장(B)의 측면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되는 제2 파지블록(193)과, 제2 몸체부(175)에 마련되고 제2 수평 이동블록(191)에 결합되어 제2 수평 이동블록(191)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4 실린더부재(197)를 포함한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조(110)에 침지된 발장(B)을 파지하기 위해 이송블록(163)은 저수조(110)의 상부로 이동된다. 이때 제1 몸체부(170)는 저수조(110)에 침지된 발장(B)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 몸체부(175)는 제2 이송유닛(130)의 상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조(110)에 침지된 발장(B)의 상면에 성형틀(151)을 밀착하고 저수조(110)에 침지된 발장(B)의 양측면을 파지하기 위해 제2 실린더부재(165)를 신장시켜 제1 몸체부(170)를 하강시킨다.
제1 몸체부(170)가 저수조(110)의 상부로 하강된 후 성형틀(151)이 저수조(110)에 침지된 발장(B)의 상면에 접촉되면, 제1 실린더부재(187)들이 수축됨에 따라 한 쌍의 제1 파지블록(183)이 상호 접근되어 한 쌍의 제1 파지블록(183)이 저수조(110)에 침지된 발장(B)과 성형틀(151)의 양측면에 밀착되어 저수조(110)에 침지된 발장(B)을 파지한다. 또한 한 쌍의 제1 파지블록(183)이 저수조(110)에 침지된 발장(B)을 파지한 경우에 혼합물이 호퍼(155)를 통해 성형틀(151)의 내부로 공급되어 발장(B)의 상면에 물김이 형성된다.
한 쌍의 제1 파지블록(183)이 저수조(110)에 침지된 발장(B)을 파지함에 있어서, 발장(B)이 한 쌍의 제1 파지블록(18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발장(B)의 측면들에는 복수의 홈부(H)가 형성되고 한 쌍의 제1 파지블록(183)의 내면에는 발장(B)에 형성된 복수의 홈부(H)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1 돌기(185)가 마련된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저수조(110)에 침지된 발장(B)과 성형틀(151)을 정렬하기 위해 성형틀(151)의 측면을 따라 복수 개 마련되되 하방으로 돌출되어 발장(B)의 측면에 밀착되는 정렬돌기(152)를 더 포함한다. 특히 한 쌍의 제1 파지블록(183)이 발장(B)의 폭방향 양측면에 밀착되는 경우에 복수의 정렬돌기(152)는 발장(B)의 전후방향 양측면에 밀착된다.
한편, 제2 이송유닛(130)의 상면에 안착된 발장(B)의 양측면을 파지하기 위해 제3 실린더부재(167)를 신장시켜 제2 몸체부(175)를 하강시킨다. 제2 몸체부(175)가 제2 이송유닛(130)의 상부로 하강된 후 제4 실린더부재(197)들이 수축됨에 따라 한 쌍의 제2 파지블록(193)이 상호 접근되어 한 쌍의 제2 파지블록(193)이 제2 이송유닛(130)에 안착된 발장(B)을 파지한다.
한 쌍의 제2 파지블록(193)이 제2 이송유닛(130)에 안착된 발장(B)을 파지함에 있어서, 발장(B)이 한 쌍의 제2 파지블록(19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8을 참조하면 발장(B)의 측면들에는 복수의 홈부(H)가 형성되고 한 쌍의 제2 파지블록(193)의 내면에는 발장(B)에 형성된 복수의 홈부(H)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2 돌기(195)가 마련된다.
한편, 제2 이송유닛(130)에 안착된 발장(B)이 없는 경우에는 발장(B)을 파지하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조(110)에 침지된 발장(B)의 상면에 물김이 형성된 경우에 한 쌍의 제1 파지부(180)가 상면에 물김이 형성된 발장(B)을 파지한 상태에서 제2 실린더부재(165)를 수축시켜 제1 몸체부(170)를 상승시킨다.
이때 한 쌍의 제2 파지부(190)가 물김이 제거된 발장(B)을 파지한 상태에서 제3 실린더부재(167)를 수축시켜 제2 몸체부(175)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 물김이 형성된 발장(B)을 제1 이송유닛(120)에 안착시키기 위해 이송블록(163)을 가이드레일(161)을 따라 제1 이송유닛(120)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1 몸체부(170)가 제1 이송유닛(120)의 상부에 위치되게 한다.
또한 이송블록(163)이 가이드레일(161)을 따라 제1 이송유닛(120)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몸체부(175)는 저수조(110)의 상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 물김이 형성된 발장(B)을 제1 이송유닛(120)에 안착시키기 위해 제2 실린더부재(165)를 신장시켜 제1 몸체부(170)를 하강시키고 상면에 물김이 형성된 발장(B)이 제1 이송유닛(120)의 상면에 안착되게 한다.
그리고 상면에 물김이 형성된 발장(B)이 제1 이송유닛(120)의 상면에 안착된 경우에 한 쌍의 제1 실린더부재(187)를 신장시켜 한 쌍의 제1 파지블록(183)을 제1 몸체부(170)의 양측면에서 이격시킨다. 한 쌍의 제1 파지블록(183)이 제1 몸체부(170)의 양측면에서 이격됨에 따라 한 쌍의 제1 파지블록(183)은 상면에 물김이 형성된 발장(B)을 파지해제한다.
또한 물김이 제거된 발장(B)을 저수조(110)에 침지시키기 위해 제3 실린더부재(167)를 신장시켜 제2 몸체부(175)를 하강시키고 물김이 제거된 발장(B)이 저수조(110)에 안착되게 한다.
그리고 물김이 제거된 발장(B)이 저수조(110)에 안착된 경우에 한 쌍의 제4 실린더부재(197)를 신장시켜 한 쌍의 제2 파지블록(193)을 제2 몸체부(175)의 양측면에서 이격시킨다. 한 쌍의 제2 파지블록(193)이 제2 몸체부(175)의 양측면에서 이격됨에 따라 한 쌍의 제2 파지블록(193)은 물김이 제거된 발장(B)을 파지해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완료한 후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몸체부(170)는 상승된 후 저수조(110)의 상부로 이송되고 제2 몸체부(175)는 상승된 후 제2 이송유닛(130)의 상부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가공식품 성형기 110: 저수조
120: 제1 이송유닛 130: 제2 이송유닛
140: 혼합물 공급유닛 141:저장탱크
143: 공급배관 145: 밸브
150: 김 성형유닛 151: 성형틀
152: 정렬돌기 155: 호퍼
160: 이송부 161: 가이드레일
163: 이송블록 165: 제2 실린더부재
167: 제3 실린더부재 170: 제1 몸체부
175: 제2 몸체부 180: 제1 파지부
181: 제1 수평 이동블록 183: 제1 파지블록
185: 제1 돌기 187: 제1 실린더부재
190: 제2 파지부 191: 제2 수평 이동블록
193: 제2 파지블록 195: 제2 돌기
197: 제4 실린더부재

Claims (13)

  1. 물이 채워진 저수조;
    상기 저수조에 인접하게 마련되되, 전처리된 곤드레 잎과 곤드레 줄기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물을 공급하는 혼합물 공급유닛;
    상기 저수조에 침지된 발장의 상면에 밀착되고 상기 혼합물 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혼합물을 공급받아 상기 발장의 상면에 물김을 형성하는 성형틀과, 하부에 상기 성형틀이 결합되되 상기 성형틀이 상기 발장의 상면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되게 높이방향으로 승강되는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하부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호 접근됨에 따라 상기 발장의 양측면을 파지하고 상호 이격됨에 따라 상기 발장의 양측면을 파지해제하는 한 쌍의 제1 파지부를 구비하되, 상기 성형틀과 상기 발장을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김 성형유닛; 및
    상기 저수조의 일측에 마련되되 상면에 물김이 형성된 상기 발장을 이송하는 제1 이송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김 성형유닛은,
    상기 제1 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몸체부를 상기 저수조와 상기 제1 이송유닛 사이에서 왕복운동가능하게 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저수조와 상기 제1 이송유닛의 상부에 길게 마련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블록;
    상기 이송블록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몸체부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2 실린더부재; 및
    상기 이송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블록을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부는,
    상기 제1 몸체부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제1 수평 이동블록; 및
    상기 제1 수평 이동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발장의 측면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되는 제1 파지블록을 포함하는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장의 측면에는 복수의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파지부는,
    상기 제1 파지블록의 내면에 마련되어 복수의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1 돌기를 더 포함하는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부는,
    상기 제1 몸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수평 이동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수평 이동블록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부재를 더 포함하는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김 성형유닛은,
    상기 성형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혼합물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혼합물을 상기 성형틀의 내부로 공급하는 호퍼를 더 포함하는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공급유닛은,
    상기 혼합물이 저장된 저장탱크;
    일단이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호퍼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혼합물을 상기 호퍼에 공급하는 공급배관; 및
    상기 공급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배관을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배관의 타단은 상기 혼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U"자형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타측에 마련되되 상기 제1 이송유닛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물김이 제거된 상기 발장을 이송하는 제2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김 성형유닛은,
    상기 이송블록의 하부에 마련된 제3 실린더부재에 결합되어 높이방향으로 승강되며 상기 제2 이송유닛과 상기 저수조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부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호 접근됨에 따라 상기 제2 이송유닛에 안착된 상기 발장의 양측면을 파지하고 상호 이격됨에 따라 상기 발장의 양측면을 파지해제하여 상기 발장을 상기 저수조에 침지시키는 한 쌍의 제2 파지부를 포함하는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지부는,
    상기 제2 몸체부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제2 수평 이동블록; 및
    상기 제2 수평 이동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발장의 측면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되는 제2 파지블록을 포함하는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지부는,
    상기 제2 몸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수평 이동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수평 이동블록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4 실린더부재를 더 포함하는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의 측면을 따라 복수 개 마련되되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발장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저수조에 침지된 발장과 상기 성형틀을 정렬하는 정렬돌기를 더 포함하는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90003910A 2019-01-11 2019-01-11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 KR102195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910A KR102195818B1 (ko) 2019-01-11 2019-01-11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910A KR102195818B1 (ko) 2019-01-11 2019-01-11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526A KR20200087526A (ko) 2020-07-21
KR102195818B1 true KR102195818B1 (ko) 2020-12-28

Family

ID=71832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910A KR102195818B1 (ko) 2019-01-11 2019-01-11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8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587B1 (ko) * 2023-08-17 2024-02-14 주식회사 달콤나라앨리스 탕후루 자동생산장치 및 이용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361Y1 (ko) * 2002-08-08 2002-11-21 최광주 해태 건조기의 김 성형장치
KR100837878B1 (ko) 2007-01-31 2008-06-13 우석수 김 성형장치 및 이를 적용한 해태 건조기
KR101423263B1 (ko) 2014-02-07 2014-08-01 김한나 산채 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산채 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7728A (ja) * 1993-01-26 1994-08-09 Toofuaa:Kk 絹ごし厚揚げ生地の製造装置
KR20180046508A (ko) 2016-10-28 2018-05-09 박산옥 곤드레 오색떡의 제조방법
KR20180117001A (ko) 2017-04-18 2018-10-26 이주선 양념장이 혼합되는 곤드레 나물밥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361Y1 (ko) * 2002-08-08 2002-11-21 최광주 해태 건조기의 김 성형장치
KR100837878B1 (ko) 2007-01-31 2008-06-13 우석수 김 성형장치 및 이를 적용한 해태 건조기
KR101423263B1 (ko) 2014-02-07 2014-08-01 김한나 산채 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산채 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587B1 (ko) * 2023-08-17 2024-02-14 주식회사 달콤나라앨리스 탕후루 자동생산장치 및 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526A (ko) 202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7356B1 (ko) 시즈닝 육류 수비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시즈닝 육류 수비드 제품
KR101496345B1 (ko) 울금을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울금 혼합 음료
WO2005036974A1 (ja) 押圧成型乾燥食材の製造方法
Uchoi et al. Diversified traditional cured food products of certain indigenous tribes of Tripura, India
KR101880263B1 (ko)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
KR102195818B1 (ko) 곤드레를 이용한 김형태의 가공식품 성형기
CN107712694A (zh) 一种烘烤型即食罗非鱼片制作工艺
KR102075481B1 (ko) 찹쌀가루를 이용한 한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한과
RU2421003C2 (ru) Подготовленные к хранению ломтики овощей и фруктов и способы их обработки
CN113367305A (zh) 火锅底料及其制备方法、食品配料
CN109601922B (zh) 一种采用冻结与间隙式湿热处理生产咖啡色营养枣的方法
KR101827886B1 (ko) 찹쌀 쑥떡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58484B1 (ko) 감을 이용한 말랭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감말랭이 또는 곶감말랭이
KR102009378B1 (ko) 곤드레를 이용한 김 형태의 가공식품 제조방법
CN103988953A (zh) 一种低温烘焙的苦瓜茶叶及其制作方法
CN103907973A (zh) 一种纯天然低温烘焙熟的花生粉及其制作方法
CN104664271A (zh) 一种茄子干的晒制
CN105795241A (zh) 食用菌脆片及其制备方法
KR20160011545A (ko) 껍질이 제거된 군고구마와 이의 제조방법
CN111670984B (zh) 一种桑叶绿茶的制作方法
KR101718600B1 (ko) 매생이 전병 제조방법
KR101662281B1 (ko) 돼지감자-산양삼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돼지감자-산양삼 음료
CN104509812A (zh) 一种土豆米的制备方法
CN104824126A (zh) 一种保鲜红薯茎叶的加工方法
CN109315761A (zh) 一种短波红外联合脉动压差闪蒸进行香菇脆片制备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