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075B1 -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 또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 또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075B1
KR102193075B1 KR1020200072895A KR20200072895A KR102193075B1 KR 102193075 B1 KR102193075 B1 KR 102193075B1 KR 1020200072895 A KR1020200072895 A KR 1020200072895A KR 20200072895 A KR20200072895 A KR 20200072895A KR 102193075 B1 KR102193075 B1 KR 102193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x
gypsum
candle
water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하
Original Assignee
박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하 filed Critical 박진하
Priority to KR1020200072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0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2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with the help of a non-organic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2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adding chemical blow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2Ingredients
    • C11C5/004Ingredients dyes, pigments; products giving a coloured flam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2Apparatus for preparation thereof
    • C11C5/023Apparatus for preparation thereof by casting or melting in a mou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 또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실제 빵이 오븐에서 부풀며 구워지는 현상과 매우 비슷하게 왁스를 굳힐 수 있어 완전한 입체감을 지닌 다양한 빵 재질을 표현할 수 있으며, 결과물의 단면을 잘랐을 때 실제 빵과 거의 유사한 기공을 갖는 표면을 표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석고방향제의 표면에 다공성 구조를 구현하여 화산석이나 콘크리트와 유사한 표면을 표현할 수 있어, 다양한 심미감을 갖는 석고방향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 또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Candle or Gypsum Fragrance with Porous Surface}
본 발명은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 또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포가 빠져나간 것과 같은 다공성 표면을 제조할 수 있어 빵의 내외면이나 화산석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표면을 표현할 수 있는 캔들 또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캔들은 파라핀이나 밀랍 등으로 된 고체 연료와 심지로 이루어져 빛을 발하는 광원인 양초에 향기를 발하는 기능을 부여한 기능성 양초의 의미로 사용되며, 최근 소비자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면서 방향제 뿐 아니라 인테리어 용도 또는 치료요법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인테리어 용도로서 빵, 케이크, 초콜릿 등 디저트 모양의 캔들이 소비자들의 많은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러한 캔들을 제조하기 위해 서로 다른 색상의 수 종의 소이왁스를 적층하여 케이크 형태의 캔들을 제조하는 방법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8255호에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캔들에서 빵의 형상과 재질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빵 형상의 몰드를 제조해야 했으나, 몰드를 아무리 정교하게 제작하더라도 왁스의 특성상 캔들의 정교한 성형이 어렵고, 빵 특유의 기공이 형성된 표면 질감을 표현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캔들을 제조한 다음 잘라서 사용하는 경우 단면의 질감을 컨트롤하는 것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캔들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방향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석고에 방향 오일을 함침시킨 석고방향제는 방향 오일이 소진되면 석고에 방향 오일을 보충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44023호에서는 방향제 리필이 가능한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석고방향제는 석고를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공되기도 하지만, 석고를 세밀하게 성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다소 단조로운 느낌을 주어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향과 미적인 기대감을 충족시키기에는 다소 부족한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캔들 또는 석고방향제의 표면 질감을 정교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연구한 결과, 탄산수소나트륨을 이용하여 캔들 또는 석고방향제의 표면에 다공성 표면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공성 표면을 구현할 수 있어 빵의 내외면의 질감을 정교하게 표현할 수 있는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화산석과 같은 표면의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다공성 표면을 갖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콘크리트와 같은 표면의 질감을 갖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왁스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단계;
(b) 용융된 왁스에 물을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
(c) 상기 왁스 혼합물에 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 및
(d) 상기 혼합물을 몰드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소이왁스(soy wax), 비즈왁스(bees wax) 및 유화왁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왁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중량부의 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b) 단계 후에, 왁스에 염료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왁스 혼합물이 50 내지 80℃의 온도일 때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왁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부의 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성 표면을 갖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석고 가루를 물과 혼합하여 석고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석고 반죽에 유화제 및 향료를 첨가하는 단계;
(c) 상기 석고 반죽을 몰드에 부어 성형하되, 상기 몰드가 내부에 탄산수소나트륨을 포함하는 단계; 및
(d) 탈형 후 건조하는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석고 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55중량부의 물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성 표면을 갖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석고 가루를 물과 혼합하여 석고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석고 반죽에 유화제를 첨가하는 단계;
(c) 상기 석고 반죽을 몰드에 부어 성형하되, 상기 몰드가 내부에 탄산수소나트륨을 포함하는 단계; 및
(d) 탈형 후 향료를 첨가하고 건조하는 단계.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의 질감을 갖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석고 가루와 물을 혼합한 후, 교반하면서 경화시켜 석고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b) 몰드 내에 상기 석고 입자를 배치하는 단계;
(c) 석고 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석고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석고 반죽에 유화제 및 향료를 첨가하는 단계;
(e) 상기 석고 반죽을 상기 몰드에 부어 성형하는 단계; 및
(f) 탈형 후 건조하는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석고 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40중량부의 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석고 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55중량부의 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의 질감을 갖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석고 가루와 물을 혼합한 후, 교반하면서 경화시켜 석고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b) 몰드 내에 상기 석고 입자를 배치하는 단계;
(c) 석고 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석고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석고 반죽에 유화제를 첨가하는 단계;
(e) 상기 석고 반죽을 상기 몰드에 부어 성형하는 단계; 및
(f) 탈형 후 향료를 첨가하고 건조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의 제조방법은 실제 빵이 오븐에서 부풀며 구워지는 현상과 매우 비슷하게 왁스를 굳힐 수 있어 완전한 입체감을 지닌 다양한 빵 재질을 표현할 수 있으며, 결과물의 단면을 잘랐을 때 실제 빵과 거의 유사한 기공을 갖는 표면을 표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석고방향제의 표면에 다공성 구조를 구현하여 화산석이나 콘크리트와 유사한 표면을 표현할 수 있어, 다양한 심미감을 갖는 석고방향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식빵의 외형 질감을 표현한 캔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식빵형 캔들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캔들에 데코레이션을 추가하여 완성한 케이크형 캔들 제품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소보로 빵 캔들 제품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파운드 케이크 캔들 제품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슈크림 빵 캔들 제품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롤 케이크 캔들 제품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현무암의 질감을 표현한 석고방향제 제품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콘크리트형 석고방향제 제품의 예시를 나타낸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의 제조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a) 왁스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단계;
(b) 용융된 왁스에 물을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
(c) 상기 왁스 혼합물에 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 및
(d) 상기 혼합물을 몰드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단계.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캔들은 탄산수소나트륨(베이킹소다)를 사용하여 실제 빵이 오븐에서 부풀며 구워지는 현상과 매우 비슷하게 왁스를 굳힐 수 있어, 완전한 입체감을 지닌 다양한 빵 재질을 표현할 수 있으며, 왁스가 굳어지면서 기포가 빠져나간 형상이 남는 과정에 의해 제조된 캔들의 내외부면에 실제 빵과 같은 다공성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첫 번째 단계는 왁스를 계량한 다음 핫플레이트와 같은 가열 장치를 이용하여 용융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캔들의 제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캔들용 왁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소이왁스, 비즈왁스 및 유화왁스 중에서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이왁스(soy wax)는 콩으로부터 추출된 천연 왁스로서, 부드러운 밀크향이 나고 아이보리 색상을 갖는다. 녹는점이 낮기 때문에 일반 캔들보다 50% 이상 연소 시간이 길고 깨끗하게 연소되어 경제적이며, 연소시 이산화탄소나 그을음의 발생이 적고, 균일하고 일정하게 불꽃을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소이왁스는 융점이 낮은 컨테이너용과 융점이 높은 필라용으로 구분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필라용 소이왁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에코소야(EcoSoya) 브랜드명을 갖는 소이왁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에코소야 PB, 에코소야 Q230 등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비즈왁스(bees wax)는 밀랍이라고도 불리는 녹는점 62 내지 64℃의 왁스로서, 천연벌집에서 추출하여 납을 정제하여 만든 동물성 왁스이다. 비즈왁스는 연소 시 연기와 이산화탄소 발생이 매우 적고, 악취와 담배연기를 없애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밀납을 탈취, 탈향하여 정제한 정제용 비즈왁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왁스는 천연 유화제로 사용되는 왁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캔들 제조 분야 또는 화장품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식물성 유화 왁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화왁스로는 올리브 오일을 에스테르화시킨 천연 유화제인 올리브 유화왁스(sorbitan olivate)를 사용하거나, 멕시코 북서부, 미국 텍사스 남부와 같이 온도차가 심하고 건조한 곳에서 자생하는 칸데렐라 식물의 줄기에서 얻어진 천연 왁스로서 녹는 온도가 68 내지 72℃인 칸데렐라 왁스(candelillla wax)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왁스는 원하는 표면의 질감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소이왁스는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빵의 재질감을 표현하기에 적합하지만 캔들의 강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소이왁스에 비즈왁스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이왁스와 비즈왁스는 8:2 내지 5: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즈왁스만을 사용하여 빵 형태의 캔들을 제조하는 경우 표면이 너무 빨리 굳어져 갈라질 수 있는데, 이 때 올리브 유화왁스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표면의 갈라짐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올리브 유화왁스를 사용하면 빵 재질을 매우 부드럽게 표현할 수 있지만, 거품의 정도와 부푸는 정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비즈왁스를 혼합하여 거품 발생과 부품의 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비즈왁스와 올리브 유화왁스는 8:2 내지 5: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왁스 외에도 다양한 질감의 표현을 위하여 왁스 또는 기타 첨가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이왁스를 젤왁스와 혼합하여 '니트로커피'와 같은 재질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왁스의 교반시 휘핑기를 사용하여 교반을 하는 경우 부드러운 거품의 질감을 표현할 수 있어 크림맥주의 거품을 표현한 캔들이나 이와 같은 질감을 지닌 라떼 아트 등을 캔들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a) 단계에서 왁스가 완전히 용융되면, (b) 물을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은 끓는 물을 첨가하는 것이 왁스와의 용융 혼합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물은 왁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을 1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 거품이 충분히 발생하지 않고 분리되어 침전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30중량부 초과로 첨가하면 혼합물이 과하게 부풀게 되어 안정성과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왁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25중량부의 물을 첨가하는 것이 좋다.
끓인 물을 첨가하여 충분히 혼합한 다음에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왁스에 염료를 첨가하여 조색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염료는 캔들 제조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고체염료 또는 액체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왁스를 원하는 색상으로 조색한 다음에는, (c) 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탄산수소나트륨(sodium bicarbonate)은 흔히 베이킹소다로 불리는 물질로서, 물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하기 때문에 팽창제로 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탄산수소나트륨을 캔들 또는 방향제 제조에 적용하여 빵과 동일한 표면 질감을 갖는 캔들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은 왁스혼합물이 50 내지 80℃의 온도일 때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가 80℃를 초과하는 경우 거품 반응이 활발하게 발생하지만 왁스가 굳으면서 크게 부풀었다가 푹 꺼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원하는 형상의 캔들을 제조하는 것이 어렵고, 50℃ 미만의 온도에서 첨가하는 경우 왁스가 이미 굳어지기 시작한 후이기 때문에 잘 혼합되지 않아 거품이 충분히 발생하지 않고 작은 덩어리들이 생기게 되어 충분히 부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탄산수소나트륨의 혼합 온도는 50 내지 80℃가 바람직하며, 55 내지 75℃가 더욱 바람직하며, 60 내지 70℃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은 왁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산수소나트륨을 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 거품층은 위로 올라가고 왁스층은 아래로 가라앉아 캔들에 층이 형성되게 되고, 10중량부 초과로 첨가하는 경우 거품이 과량으로 발생하여 캔들의 강도가 약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은 3 내지 7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거품이 안정되면, (d) 혼합물을 몰드를 이용하여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몰드는 왁스 혼합물이 경화될 때의 형태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틀을 의미하며, 캔들을 원하는 형태로 제조하기 위하여 적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와 용어로 표현되는 기구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빵의 형태를 갖는 캔들을 제조하기 위하여 실제로 제과제빵에서 사용되는 베이킹 틀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몰드에서 혼합물이 경화되면 탈형시킨 후 심지를 꽂아 캔들을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재료의 선택에 의한 질감 표현 외에도, 상기 몰드에서 혼합물을 경화시키는 과정을 달리하여 다양한 빵들의 재질을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드로서 밀폐용기를 사용하여 왁스 혼합물을 밀폐된 환경에서 경화시키는 경우, 단면에 큰 구멍이 없는 식빵과 같은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캔들의 예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밀폐 용기를 이용하여 왁스 혼합물을 경화시킨 식빵형 캔들을 나타낸다. 캔들의 색 및 질감이 실제 식빵과 거의 흡사하게 표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과 같은 식빵형 캔들의 단면을 도 2에 나타내었다. 캔들의 단면이 식빵의 단면과 동일하게 작은 기공들이 형성된 질감이 구체적으로 표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의 캔들은 데코레이션을 추가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제 케이크와 같은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왁스 혼합물을 몰드에 부은 후 몰드의 가장자리를 톡톡 치면서 표면에 균열을 내면, 표면이 부풀면서 균열이 생긴 채로 굳어져 소보로 빵과 같은 표면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소보로 빵 캔들을 나타낸다. 캔들의 표면이 소보로 빵과 같이 균열이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표면이 부풀면서 굳을 때 막대기 등으로 휘저어주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욱 거친 표면을 갖는 파운드 케이크의 재질을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제조예로서, 몰드에 굳힌 결과물에 작은 구멍을 뚫어 그 사이로 크림 제형의 소이왁스를 넣어주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슈크림 빵을 표현할 수 있으며, 돌돌 말아 굳힌 소이왁스를 베이킹용 몰드 안에 넣고 본 발명의 왁스 혼합물을 부어 굳히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롤 케이크의 단면을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의 제조방법은 빵과 같은 형태 뿐만 아니라, 거품을 발생시키는 레시피를 활용하여 부드러운 거품을 갖는 라떼 또는 크림 생맥주 등 다양한 제품의 표현을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다공성 표면을 갖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공성 표면을 갖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a) 석고 가루를 물과 혼합하여 석고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석고 반죽에 유화제 및 향료를 첨가하는 단계;
(c) 상기 석고 반죽을 몰드에 부어 성형하되, 상기 몰드가 내부에 탄산수소나트륨을 포함하는 단계; 및
(d) 탈형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a) 단계에서는 석고 가루를 물과 혼합하여 석고 반죽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석고 가루와 물의 혼합 비율이 중요한데, 석고 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55중량부의 물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석고 가루 대비 물의 양이 30중량부 미만인 경우 탄산수소나트륨과 만나는 경계면에서 발포가 진행되기 전에 석고가 굳어버리기 때문에 원하는 질감을 표현하는 것이 어렵고, 물이 5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탄산수소나트륨이 물에 희석되어 오히려 발포가 잘 일어나지 않고 겉면에 하얗게 침전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석고 가루에는, 필요에 따라, 염료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염료는 최종 제조될 제품의 색상을 고려하여 석고방향제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염료를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채화 물감, 먹물, 옥사이드 색소 분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석고 가루에 물을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시럽 또는 떠먹는 요구르트 정도의 점도가 되면, 상기 석고 반죽에 유화제와 향료를 첨가한다.
상기 유화제는 지용성인 향료와 물이 석고 반죽 내에서 잘 혼합될 수 있도록 하며, 석고방향제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로는 올리브 리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는 석고 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가 소량 함유되면 향료가 물과 잘 혼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과량 첨가되면 잔량이 남게 되어 석고방향제가 가구나 플라스틱과 닿았을 때 화학반응을 일으켜 손상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향료는 방향제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향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석고 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료를 5중량부 미만 사용하면 석고방향제의 방향이 부족하게 되고, 10중량부 초과로 사용할 경우 유화제에 의해 혼합될 수 있는 한계를 벗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향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화제와 함께 첨가될 수 있지만, 석고 반죽이 굳은 다음에 표면에 뿌리는 방식으로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 형태에 따른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석고 가루를 물과 혼합하여 석고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석고 반죽에 유화제를 첨가하는 단계;
(c) 상기 석고 반죽을 몰드에 부어 성형하되, 상기 몰드가 내부에 탄산수소나트륨을 포함하는 단계; 및
(d) 탈형 후 향료를 첨가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이상과 같이, 석고 반죽에 유화제와 (선택적으로) 향료를 첨가한 다음에는, 반죽을 몰드에 넣어 성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몰드는 석고방향제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몰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몰드의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 탄산수소나트륨을 뿌려 놓으면, 석고 반죽을 넣었을 때 해당 위치에 기포가 발생하여 화산석(현무암)과 같은 표면 질감을 갖는 석고방향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은 최종 제품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도포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량의 탄산수소나트륨을 도포한 부분은 상대적으로 큰 기공이 형성되어 움푹 파인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고, 탄산수소나트륨을 소량 도포한 부분은 균일한 다공성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
석고 반죽이 완전히 굳으면 몰드에서 탈형한 후 건조시켜 제품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그늘에서 3 내지 5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석고방향제의 예시를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8 및 9의 석고방향제는 검정색 염료를 사용하고 표면에 기포가 발생하도록 하여 현무암 등의 화산석과 같은 질감이 잘 표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콘크리트의 질감을 갖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석고 가루와 물을 혼합한 후 교반하면서 경화시켜 석고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b) 몰드 내에 상기 석고 입자를 배치하는 단계;
(c) 석고 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석고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석고 반죽에 유화제 및 향료를 첨가하는 단계;
(e) 상기 석고 반죽을 상기 몰드에 부어 성형하는 단계; 및
(f) 탈형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a) 단계에서, 석고 가루에 물을 혼합한 후 교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 때 상기 물의 혼합 비율이 매우 중요한데, 석고 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40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을 소량 혼합하는 경우 석고가 알맹이로 뭉쳐지지 않고 가루처럼 흩어지게 되고, 물을 과량 첨가하는 경우 경화 속도가 늦어져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석고 가루에는, 필요에 따라, 염료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염료는 최종 제조될 제품의 색상을 고려하여 석고방향제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염료를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채화 물감, 먹물, 옥사이드 색소 분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료는 상기 (a) 단계에서 물과 함께 첨가하여 석고 입자의 색상을 조색할 수 있고, 또한 (d) 단계 및 (e) 단계의 사이에 첨가하여 전체 방향제에 색을 부여할 수 있다.
물을 정량하여 석고 가루와 혼합한 다음 교반을 계속하면서 경화시키면 석고가 입자의 형태로 굳어지게 된다. 이 때 교반의 속도와 시간을 조절하여 원하는 입자의 크기로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분 가량 교반하면서 경화시키면 약 0.5 내지 3mm의 입경을 갖는 석고 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
석고 입자가 완성되면, 준비된 몰드에 상기 입자들을 배치한다. 상기 몰드는 석고방향제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몰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실리콘 몰드를 사용하거나 PVC 필름을 접어서 원하는 형상의 몰드를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입자는 최종 제작될 제품의 형태를 고려하여, 몰드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입자들을 몰드에 뿌려두거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배치하는 것도 가능한다.
다음으로는, 다시 석고 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석고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물은 석고 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55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단계에서도 물의 혼수율이 매우 중요한데, 물을 소량 사용하면 석고가 되직해지면서 석고 반죽이 석고 입자들 사이로 잘 들어가지 않아 건조 후 입자들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물을 과량 사용하는 경우 석고 반죽이 입자들 사이로 완전히 침투하여 최종 결과물에서 입자들이 전혀 보이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석고 반죽을 제조한 후에는, 유화제 및 향료를 첨가할 수 있다. 유화제 및 향료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재료 및 함량으로 첨가할 수 있으며, 향료를 본 단계에서 첨가하지 않고 석고방향제의 건조 후에 뿌리는 방식으로 첨가할 수도 있다.
유화제 및 (선택적으로) 향료를 첨가한 석고 반죽은 앞서 석고 입자를 배치한 몰드에 부어 넣어 성형할 수 있다.
석고 반죽이 완전히 굳으면 몰드에서 탈형한 후 건조시켜 제품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그늘에서 3 내지 5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콘크리트 형상 석고방향제의 예시를 도 10 내지 12에 나타내었다. 입자의 크기, 몰드의 형상, 반죽의 색상 등을 조절하여 다양한 형태의 콘크리트형 석고방향제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의 제조방법:
    (a) 왁스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단계;
    (b) 용융된 왁스에 물을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
    (c) 상기 왁스와 물의 혼합물에 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 및
    (d) 상기 왁스, 물 및 탄산수소나트륨 혼합물을 몰드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가 소이왁스, 비즈왁스, 및 유화왁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왁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중량부의 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후에, 왁스에 염료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왁스 혼합물이 50 내지 80℃의 온도일 때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왁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부의 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의 제조방법.
  7.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의 제조방법:
    (a) 왁스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단계;
    (b) 용융된 왁스에 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
    (c) 상기 왁스 및 탄산수소나트륨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 및
    (d) 상기 왁스, 탄산수소나트륨 및 물 혼합물을 몰드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단계.
KR1020200072895A 2020-06-16 2020-06-16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 또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 KR102193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895A KR102193075B1 (ko) 2020-06-16 2020-06-16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 또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895A KR102193075B1 (ko) 2020-06-16 2020-06-16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 또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474A Division KR102315600B1 (ko) 2019-09-19 2020-02-05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 또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075B1 true KR102193075B1 (ko) 2020-12-18

Family

ID=7404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895A KR102193075B1 (ko) 2020-06-16 2020-06-16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 또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0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3975A (ko) 2021-04-18 2022-10-25 지용한 석고공예용 페이스트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549U (ja) * 1984-07-10 1986-02-06 太陽蝋燭株式会社 ロ−ソク
US20090233249A1 (en) * 2008-03-17 2009-09-17 Taylor Maxwell A Self-extinguishing candle
KR20110036552A (ko) * 2011-02-24 2011-04-07 권순덕 양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30401A (ko) * 2013-09-12 2015-03-20 임기태 다기능의 인조대리석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인조대리석
KR20160087314A (ko) * 2015-01-13 2016-07-21 정진욱 기본향초 둘레에 기포밀랍을 채워 제조되는 기포향초
KR101778693B1 (ko) * 2017-02-21 2017-09-14 윤영식 다공 표면을 갖는 인조현무암 제조방법
KR20180099576A (ko) * 2018-05-21 2018-09-05 최은화 발포 지지체가 구비된 양초 제조 방법 및 발포 지지체가 구비된 양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549U (ja) * 1984-07-10 1986-02-06 太陽蝋燭株式会社 ロ−ソク
US20090233249A1 (en) * 2008-03-17 2009-09-17 Taylor Maxwell A Self-extinguishing candle
KR20110036552A (ko) * 2011-02-24 2011-04-07 권순덕 양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30401A (ko) * 2013-09-12 2015-03-20 임기태 다기능의 인조대리석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인조대리석
KR20160087314A (ko) * 2015-01-13 2016-07-21 정진욱 기본향초 둘레에 기포밀랍을 채워 제조되는 기포향초
KR101778693B1 (ko) * 2017-02-21 2017-09-14 윤영식 다공 표면을 갖는 인조현무암 제조방법
KR20180099576A (ko) * 2018-05-21 2018-09-05 최은화 발포 지지체가 구비된 양초 제조 방법 및 발포 지지체가 구비된 양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3975A (ko) 2021-04-18 2022-10-25 지용한 석고공예용 페이스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13056B1 (fr) Biscuit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KR102193075B1 (ko)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 또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
JPH10210934A (ja) 焼き菓子の製造法
KR102072498B1 (ko) 장기간 보관 및 가공이 용이한 석고공예용 페이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315600B1 (ko)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 또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
KR102113953B1 (ko)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 또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
JPH0371099B2 (ko)
RU2166259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зефира и зефир
KR100851834B1 (ko) 슈가 페이스트로 가죽 질감을 표현하는 방법
KR20210067013A (ko)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0235971B (zh) 一种寿桃及其制作工艺
AU2021203050A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play, craft and/or toy compound
KR20170001242A (ko) 플라워 데코레이션 캔들의 제조방법
KR100349327B1 (ko) 팥빵의 제조방법
KR20180134722A (ko) 친환경 양초 점토의 제조 방법
KR102178104B1 (ko) 친환경 놀이용 클레이 제조방법
JP3149426B2 (ja) 麸菓子の製造方法
JP2787798B2 (ja) シュー皮の製造方法
KR102663855B1 (ko) 단감비누 제조방법
JP3226476U (ja) メレンゲクッキー
KR102034066B1 (ko) 수제 캔디 제조 방법
KR101585759B1 (ko)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0861489B1 (ko) 결 형상을 갖는 모조 음식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된 모조 음식물
RU2737975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ряников
JPS5920215A (ja) 薫物線香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