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855B1 - 단감비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감비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855B1
KR102663855B1 KR1020230118076A KR20230118076A KR102663855B1 KR 102663855 B1 KR102663855 B1 KR 102663855B1 KR 1020230118076 A KR1020230118076 A KR 1020230118076A KR 20230118076 A KR20230118076 A KR 20230118076A KR 102663855 B1 KR102663855 B1 KR 102663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persimmon
leaf
sweet persimmon
sw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8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인
Original Assignee
이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인 filed Critical 이수인
Priority to KR1020230118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16Shaping in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11D9/265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glycero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40Prote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감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단감비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감의 잎부분과 과육부분을 각각 다른 성분의 천연재료로 혼합한 혼합재료를 사용하여 단감의 모양과 유사하게 성형함으로써 사용자가 새로운 심미감을 느낌과 동시에 피부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시켜 고품질의 비누를 만들 수 있는 단감비누 제조방법이다.

Description

단감비누 제조방법{Method of making persimmon soap}
본 발명은 단감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단감비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감의 잎부분과 과육부분을 각각 다른 성분의 천연재료로 혼합한 혼합재료를 사용하여 단감의 모양과 유사하게 성형함으로써 사용자가 새로운 심미감을 느낌과 동시에 피부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시켜 고품질의 비누를 만들 수 있는 단감비누 제조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비누(soap)는 세수를 하거나, 빨래를 할 때 사용하는 계면활성제로, 지방과 수산화나트륨의 중합 반응에 의해 만들어지며 일상에서 흔히 사용된다.
이러한 비누는 화학성분을 이용해 만들어지는데, 비누에 각종 천연재료를 넣어서 만드는 다양한 천연비누가 개발이 되었고, 아토피피부염과 같은 염증의 완화를 위해서나 피부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사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천연비누 중에서 감의 성분을 이용한 종래기술로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3830호에 개시되어 있는 감꼭지를 이용한 미백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미백비누가 있다.
상기 특허에는 감꼭지 및 감껍질을 세척하여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감꼭지로부터 감꼭지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감껍질로부터 감껍질 추출물 및 감껍질 분쇄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감껍질 추출물, 오일 및 가성소다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감껍질 추추물, 오일 및 가성소다가 혼합된 혼합물에 상기 감꼭지 추출물과 상기 감껍질 분쇄물을 투입 후 교반하여 비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꼭지를 이용한 미백비누 제조방법이 제안되어 있는데, 폐기되는 감꼭지와 감껍질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서 환경적으로 유익한 측면이 있으나, 소비자의 호응을 유도하기 위한 특별한 구성이나 효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3829호에 제안되어 있는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스크럽 비누가 있다.
상기 특허에는 세척한 감껍질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감껍질로부터 감껍질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감껍질 추출물 수득 후 남은 감껍질 잔유물을 분쇄하여 감껍질 분쇄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감껍질 추출물, 오일 및 가성소다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감껍질 추출물, 오일 및 가성소다가 혼합된 혼합물에 상기 감껍질 분쇄물을 투입 후 교반하여 비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가 제안되어 있는데, 이 역시 폐기되는 감껍질을 재사용함에 따라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유익하지만, 이 역시 소비자의 호응을 유도하기 위한 특별한 구성이나 효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감 성분을 활용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6487호에 개시되어 있는 감꼭지(枾滯)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주름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조성물이 있다.
상기 특허에는 감꼭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폴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 주름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는데, 감꼭지에서 추출한 추출물이나 여기서 분리된 트리폴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기능적인 측면에서 유익할 수는 있으나, 이 역시 소비자의 호응을 유도하기 위한 차별화된 구성이나 효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3830호(2017. 12. 6.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3829호(2017. 12. 6.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6487호(2014. 5. 12.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단감의 잎부분과 과육부분을 각각 다른 성분의 천연재료로 혼합한 혼합재료를 사용하여 단감의 모양과 유사하게 성형함으로써 사용자가 새로운 심미감을 느낌과 동시에 피부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시켜 고품질의 비누를 만들 수 있는 단감비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단감의 잎부분과 과육부분을 잎부분 성형단계와 과육부분 성형단계로 나누어 성형함에 따라 실제 단감의 모양과 색깔과 유사한 단감비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과육부분의 성형을 위해 사용되는 과육혼합재료는 치자분말을 사용함에 따라 성형된 과육에서 단감의 검은점과 같이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심미감을 줄 수 있는 단감비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단감의 잎부분 성형단계는 잎부분 성형을 위한 잎혼합재료를 캐비티에 부은 다음 에탄올을 뿌려서 거품을 제거하고, 과육부분과의 접착력을 높여 비누의 사용 중 잎부분이 과육부분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 단감비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감비누 제조방법은 단감 성분을 함유하는 단감 비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감비누를 만들기 위한 재료를 준비하는 원재료 준비단계(S 10)와, 단감의 잎(10)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몰드(M)의 캐비티(C1)에 비누베이스와 특정 성분이 함유된 잎혼합재료를 부어서 성형시키는 잎부분 성형단계(S 20)와, 단감의 과육(20)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몰드(M)의 캐비티(C2)에 비누베이스와 특정 성분이 함유된 과육혼합재료를 부어서 성형시키는 과육부분 성형단계(S 30)와, 성형이 완료된 단감비누를 몰드(M)에서 탈형하는 탈형단계(S 40);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단감비누 제조방법은 단감의 잎부분과 과육부분을 각각 다른 성분의 천연재료로 혼합한 혼합재료를 사용하여 단감의 모양과 유사하게 성형함으로써 사용자가 새로운 심미감을 느낌과 동시에 피부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시켜 고품질의 비누를 만들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단감의 잎부분과 과육부분을 잎부분 성형단계와 과육부분 성형단계로 나누어 성형함에 따라 실제 단감의 모양과 색깔과 유사한 효과가 있고, 상기 과육부분의 성형을 위해 사용되는 과육혼합재료는 치자 분말을 사용함에 따라 성형된 과육에서 단감의 검은점과 같이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심미감을 줄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단감의 잎부분 성형단계는 잎부분 성형을 위한 잎혼합재료를 캐비티에 부은 다음 에탄올을 뿌려서 거품을 제거하고, 과육부분과의 접착력을 높여 비누의 사용 중 잎부분이 과육부분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작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단감비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몰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단감비누의 잎부분 성분별 함유량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단감비누의 과육부분 성분별 함유량표
본 발명은 단감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단감비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감의 잎부분과 과육부분을 각각 다른 성분의 천연재료로 혼합한 혼합재료를 사용하여 단감의 모양과 유사하게 성형함으로써 사용자가 새로운 심미감을 느낌과 동시에 피부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시켜 고품질의 비누를 만들 수 있는 단감비누 제조방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작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단감비누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몰드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단감비누 제조방법은 단감 성분을 함유하는 단감비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감비누를 만들기 위한 재료를 준비하는 원재료 준비단계(S 10)와, 단감의 잎(10)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몰드(M)의 캐비티(C1)에 비누베이스와 특정 성분이 함유된 잎혼합재료를 부어서 성형시키는 잎부분 성형단계(S 20)와, 단감의 과육(20)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몰드(M)의 캐비티(C2)에 비누베이스와 특정 성분이 함유된 과육혼합재료를 부어서 성형시키는 과육부분 성형단계(S 30)와, 성형이 완료된 단감비누를 몰드(M)에서 탈형하는 탈형단계(S 40);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원재료 준비단계(S 10)는 단감비누를 만들기 위한 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이며, 상기 잎부분 성형단계(S 20)는 단감의 모양에서 잎(10) 모양으로 성형하는 과정이며, 잎 모양으로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는 몰드(M)에 비누베이스와 비누베이스의 효능을 높여주기 위해 특정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잎혼합재료를 부어서 일정시간 굳도록 성형해주게 되며, 상기 과육부분 성형단계(S 30)는 단감의 모양에서 과육(20) 모양으로 성형하는 과정이며, 과육 모양으로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는 몰드(M)에 비누베이스와 비누베이스의 효능을 높여주기 위해 특정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과육혼합재료를 부어서 일정시간 굳도록 성형해주며, 이후 몰드에서 단감비누는 탈형하는 탈형단계(S 40)가 이루어지며, 이후 비닐과 같은 포장지를 이용해 개별 포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잎혼합재료는 쑥 분말, 글리세린 및 비누베이스를 섞어서 사용하며, 라벤더트루 에센셜오일을 일정량 첨가하여 사용하게 된다.
먼저, 쑥 분말의 원료과 되는 쑥은 강변이나 산책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로서 시네올, 탄닌 등 유익한 성분이 많이 들어가 있어서 혈액순환, 면역력 증강, 폐질환이나 호흡기 질환 예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글리세린은 보습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유익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쑥 분말과 글리세린을 녹은 상태의 비누베이스에 넣어서 교반시켜 잎혼합재료로 사용하게 되며, 여기에 라벤더트루 에센셜오일을 일정량 넣어서 은은한 향과 함께 화상이나 염증 치료에 효과가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쑥 분말은 단감의 잎과 같이 푸른 빛이 나도록 잎부분을 성형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잎혼합재료의 성분별 함유량은 쑥 분말 0.1~0.2g, 글리세린 0.1~0.2g, 비누베이스 14g, 라벤더트루 에센셜오일 0.05~0.1g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비누베이스 14g과 대비하여 쑥 분말의 함유량이 0.1g 미만이 되면 쑥 분말이 가진 효능의 발휘가 잘되지 않을 수 있고, 글리세린의 함유량 역시 0.1g 미만이 되면 보습효과가 떨어지게 되며, 라벤더트루 에션설오일의 함유량 역시 0.05g 미만이 되면 향이 잘 나지 않고 라벤더트루 에션설오일의 효능 역시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잎부분 성형단계(S 20)는 잎부분 성형을 위한 잎혼합재료를 몰드(M)의 캐비티에 부은 다음 에탄올을 뿌려서 거품을 제거하고, 과육부분과의 접착력을 높여주게 된다.
즉, 잎부분 성형을 위해 잎혼합재료를 몰드(M) 내의 잎부분 모양대로 형성되어 있는 캐비티에 붓고 에탄올을 뿌려서 거품이 나는 것을 제거하며, 뿌린 에탄올은 과육부분과의 접합성을 높여서 단감비누의 사용 중에 잎부분과 과육부분이 서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또한, 상기 과육부분 성형단계(S 30)에서 사용하는 과육혼합재료는 치자 분말, 감 분말, 콜라겐 분말, 골든호호바오일, 글리세린 및 비누베이스를 섞어서 사용하게 된다.
즉, 과육부분은 잎부분과는 다른 과육혼합재료를 사용하게 되는데, 치자 분말의 재료로 사용되는 치자는 치자나무의 열매를 말하며, 이러한 치자는 본경(本經)에 체내에 침범한 사기(邪氣), 위(胃)의 열기를 제거하며 얼굴이 붉은 것과 딸기코를 치료하며, 나병(癩病)과 부스럼병을 치료한다라고 기재되어 있어서 피부에 유익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감 분말은 감의 유익한 성분 즉, 많은 양의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고, 특히 비타민 C는 레몬보다 1.5배 많고 사과보다 10배나 많으며, 비타민 A가 풍부해서 눈 건강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콜라겐 분말의 원료인 콜라겐은 단백질의 일종으로서, 교원질 또는 아교질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과육부분의 투명도를 높여주고, 골든호호바오일은 보습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고, 글리세린 역시 보습효과가 놓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다양한 효과가 있는 치자 분말, 감 분말, 콜라겐 분말, 골든호호바오일 및 글리세린을 녹은 상태의 비누베이스에 넣어서 교반시켜 과육혼합재료로 사용하게 되며, 이로써 보습효과를 높이고 피부에 잔존하고 있는 노폐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특히, 치자 분말은 색깔 자체가 노란색을 띠고, 감 분말은 옅은 아이보리색을 띠게 되는데, 감 분말은 감의 색과 유사하도록 과육부분의 색을 만들어주고, 치자 분말은 미세한 형태의 갈색에 가까운 점(21)으로 보이게 되고, 이러한 과육(20)의 점(21)은 통상적인 단감에서 보이는 갈색의 점과 같이 보이도록 하여 단감비누의 심미감을 더욱 높여주게 된다.
즉, 단감이 숙성되는 과정에서 탄닌 성분이 수용성에서 비수용성으로 바뀌는데, 단감에서 갈색 또는 검게 보이는 점은 불용성으로 변한 탄닌 성분이 산화된 것처럼 보이게 됨에 따라 나타나게 되는데, 과육혼합재료로 사용하는 치자 분말을 이용해 이러한 단감의 점과 같이 보이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과육혼합재료의 성분별 함유량은 치자 분말 0.5~1.0g, 감 분말 0.2~0.5g, 콜라겐 분말 0.2~0.5g, 골든호호바오일 0.1~0.2g, 글리세린 0.5~1.0g 및 비누베이스 100g을 사용하게 된다.
즉, 비누베이스 100g과 대비하여 치자 분말의 함유량이 0.5g 미만이 되면 치자가 가진 효능이 잘 나타나지 않고, 검은 점의 표현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감 분말의 함유량이 0.2g 미만이 되면 역시 감 분말이 가진 효능과 검은 점의 표현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콜라겐 분말의 함유량이 0.2g 미만이 되면 보습효과가 떨어지고 주름개선효과 역시 저하될 수 있고, 골든호호바오일의 함유량이 0.1g 미만이 되거나 글리세린의 함유량이 0.5g 미만이 되면 보습효과가 떨어질 수 있어서, 상술한 비율의 함유량대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잎부분 성형단계(S 20)와 과육부분 성형단계(S 30) 사이에는 성형이 진행되는 과정의 잎부분에 에탄올을 뿌려서 잎부분과 과육부분의 접합성을 높이며, 잎부분이 굳은 뒤 2~3분 사이에 과육혼합재료를 붓게 된다.
즉, 에탈올의 경우 잎혼합재료를 몰드(M)에 붓기 전에 뿌려서 소독을 한 뒤 잎혼합재료를 몰드에 붓고, 몰드에 다 부은 다음 성형 중에 다시 뿌려서 거품이 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잎부분과 과육부분의 접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잎부분 형상의 캐비티에 완전히 부은 다음 상온에서 2~3분이 경과하고 나서 과육혼합재료를 과육 형상의 캐비티에 부어서 잎부분과 과육부분이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또한, 상기 과육혼합재료는 라벤더트루 에센셜오일 0.4g과 스윗오렌지 0.1g을 더 넣어서 비누에서 나는 향을 보충해줄 수 있다.
즉, 단감 자체는 특별한 향이 없으므로, 라벤더트루 에센셜오일이나 스윗오렌지를 더 넣어서 비누의 향을 보충해줄 수 있다.
또한, 과육부분에 사용되는 베이스는 투명베이스와 함께 흰색베이스를 섞어서 사용할 수 있는데, 두 가지의 베이스를 섞어서 사용할 경우 단감의 표면과 같이 빛이 반짝거리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혼합비율은 투명베이스 1중량부에 대해 흰색베이스 0.5~1.0중량부를 섞어서 사용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단감비누 제조방법은 단감의 잎부분과 과육부분을 각각 다른 성분의 천연재료로 혼합한 혼합재료를 사용하여 단감의 모양과 유사하게 성형함으로써 사용자가 새로운 심미감을 느낌과 동시에 피부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시켜 고품질의 비누를 만들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단감의 잎부분과 과육부분을 잎부분 성형단계와 과육부분 성형단계로 나누어 성형함에 따라 실제 단감의 모양과 색깔과 유사한 효과가 있고, 상기 과육부분의 성형을 위해 사용되는 과육혼합재료는 치자 분말을 사용함에 따라 성형된 과육에서 단감의 검은점과 같이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심미감을 줄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단감의 잎부분 성형단계는 잎부분 성형을 위한 잎혼합재료를 캐비티에 부은 다음 에탄올을 뿌려서 거품을 제거하고, 과육부분과의 접착력을 높여 비누의 사용 중 잎부분이 과육부분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S 10; 원재료 준비단계 S 20; 잎부분 성형단계
S 30; 과육부분 성형단계 S 40; 탈형단계
10. (단감) 잎 20. (단감) 과육
21. 검은 점
M. 몰드(mold) C1, C2. 캐비티

Claims (8)

  1. 단감 성분을 함유하는 단감비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감비누를 만들기 위한 재료를 준비하는 원재료 준비단계(S 10)와, 단감의 잎(10)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몰드(M)의 캐비티(C1)에 비누베이스와 특정 성분이 함유된 잎혼합재료를 부어서 성형시키는 잎부분 성형단계(S 20)와, 단감의 과육(20)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몰드(M)의 캐비티(C2)에 비누베이스와 특정 성분이 함유된 과육혼합재료를 부어서 성형시키는 과육부분 성형단계(S 30)와, 성형이 완료된 단감비누를 몰드(M)에서 탈형하는 탈형단계(S 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잎혼합재료는 쑥 분말, 글리세린 및 비누베이스를 섞어서 사용하며, 라벤더트루 에센셜오일을 일정량 첨가하여 사용하며,
    상기 과육부분 성형단계(S 30)에서 사용하는 과육혼합재료는 치자 분말, 감 분말, 콜라겐 분말, 골든호호바오일, 글리세린 및 비누베이스를 섞어서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단감비누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잎혼합재료의 성분별 함유량은 쑥 분말 0.1~0.2g, 글리세린 0.1~0.2g, 비누베이스 14g, 라벤더트루 에센셜오일 0.05~0.1g인 것이 특징인 단감비누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잎부분 성형단계(S 20)는 잎부분 성형을 위한 잎혼합재료를 캐비티에 부은 다음 에탄올을 뿌려서 거품을 제거하고, 과육부분과의 접착력을 높여주는 것이 특징인 단감비누 제조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육혼합재료의 성분별 함유량은 치자 분말 0.5~1.0g, 감 분말 0.2~0.5g, 콜라겐 분말 0.2~0.5g, 골든호호바오일 0.1~0.2g, 글리세린 0.5~1.0g 및 비누베이스 100g인 것이 특징인 단감비누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잎부분 성형단계(S 20)와 과육부분 성형단계(S 30) 사이에는 성형이 진행되는 과정의 잎부분에 에탄올을 뿌려서 잎부분과 과육부분의 접합성을 높이며, 잎부분이 굳은 뒤 2~3분 사이에 과육혼합재료를 붓는 것이 특징인 단감비누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과육혼합재료는 라벤더트루 에센셜오일 0.4g과 스윗오렌지 0.1g을 더 넣어서 비누에서 나는 향을 보충해 주는 것이 특징인 단감비누 제조방법.
KR1020230118076A 2023-09-06 2023-09-06 단감비누 제조방법 KR102663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8076A KR102663855B1 (ko) 2023-09-06 2023-09-06 단감비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8076A KR102663855B1 (ko) 2023-09-06 2023-09-06 단감비누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855B1 true KR102663855B1 (ko) 2024-05-07

Family

ID=91078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8076A KR102663855B1 (ko) 2023-09-06 2023-09-06 단감비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85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981A (ko) * 2002-08-23 2004-03-02 (주)씨앤씨엘티디 감추출물을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KR100970846B1 (ko) * 2009-01-21 2010-07-16 김경원 보석 형상을 가지는 환경친화형 비누제조방법
KR20140056487A (ko) 2012-10-26 2014-05-12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감꼭지(枾滯)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 주름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조성물
KR20170133829A (ko) 2016-05-26 2017-12-06 원성권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스크럽 비누
KR20170133830A (ko) 2016-05-26 2017-12-06 원성권 감꼭지를 이용한 미백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미백비누
KR20190097673A (ko) * 2018-02-13 2019-08-21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손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2038650B1 (ko) * 2018-10-24 2019-11-15 서혜림 보습 및 미백 효능을 갖는 천연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981A (ko) * 2002-08-23 2004-03-02 (주)씨앤씨엘티디 감추출물을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KR100970846B1 (ko) * 2009-01-21 2010-07-16 김경원 보석 형상을 가지는 환경친화형 비누제조방법
KR20140056487A (ko) 2012-10-26 2014-05-12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감꼭지(枾滯)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 주름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조성물
KR20170133829A (ko) 2016-05-26 2017-12-06 원성권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스크럽 비누
KR20170133830A (ko) 2016-05-26 2017-12-06 원성권 감꼭지를 이용한 미백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미백비누
KR20190097673A (ko) * 2018-02-13 2019-08-21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손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2038650B1 (ko) * 2018-10-24 2019-11-15 서혜림 보습 및 미백 효능을 갖는 천연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786B1 (ko) 조성물
CN104293538A (zh) 一种去皱养颜皂的配制方法
EP2398445B1 (en)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ream of tartar
KR102663855B1 (ko) 단감비누 제조방법
KR100781553B1 (ko)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916187A (zh) 一种羊奶合成皂
CN101760360A (zh) 功能性透明皂
KR20170133830A (ko) 감꼭지를 이용한 미백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미백비누
CN107523446A (zh) 一种驴奶肥皂及其制备方法
KR101804954B1 (ko) 쌀 미분을 이용한 천연 쌀비누의 제조방법
KR20200123672A (ko) 천연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한약재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한약재 조성물을 이용한 세정제
CN106566728A (zh) 橄榄油护肤皂及制作方法
CN109135966A (zh) 一种清肌美容手工皂及其制备方法
CN108865543A (zh) 一种中性护肤香皂
TWI784872B (zh) 玩具黏土組成物及其製備方法
CN116942587A (zh) 一种可食用口红及其制备方法
KR101862675B1 (ko) 천연 액체비누의 제조방법
CN106381242A (zh) 一种亚麻籽油手工皂及其制备方法
CN106434056A (zh) 乌发养发中药洗发研磨皂
KR20160016252A (ko) 춘천옥을 함유한 원석무늬 비누
KR20020067784A (ko) 원적외선 바이오 미용비누의 제조방법
CN106398915A (zh) 一种中药美肤皂及其制作方法
CN109576091A (zh) 一种黄瓜香皂及制备方法
WO2023139349A2 (en) Composition
KR20180024589A (ko) 색채 무늬를 갖는 비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