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013A -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013A
KR20210067013A KR1020190156207A KR20190156207A KR20210067013A KR 20210067013 A KR20210067013 A KR 20210067013A KR 1020190156207 A KR1020190156207 A KR 1020190156207A KR 20190156207 A KR20190156207 A KR 20190156207A KR 20210067013 A KR20210067013 A KR 20210067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king
candle
wax
manufacturing
wh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희망
강선영
Original Assignee
함희망
강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희망, 강선영 filed Critical 함희망
Priority to KR1020190156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7013A/ko
Publication of KR20210067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0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2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6Candles wicks, related accesso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은 캔들의 주 원료인 베이스 왁스를 용융하고 색소 및 베이킹 소다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베이킹용 왁스 용액 제조 단계, 베이킹용 왁스 용액에 향료와 물을 더 첨가하여 혼합하는 베이킹용 혼합 용액 제조 단계, 베이킹용 혼합 용액을 저어 기포를 형성하고 가열하여 기포 형성을 활성화 하는 베이킹용 휘핑 거품 제조 단계, 베이킹용 휘핑 거품을 심지가 부착된 형틀에 투입하고 경화시켜 형틀을 제거하는 성형 단계, 도색 내지 장식품을 융착시키는 장식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은 일정한 형태로 제작된 형틀뿐만 아니라 종이, 비닐 등의 유연한 재료로 만들어진 다양한 형틀을 이용하여 캔들을 제조할 수 있으며, 캔들이 제작된 후 휘핑 거품의 형태가 빵 특유의 질감을 유지하여 실제 빵과 매우 유사한 형태의 캔들의 제조가 가능하여 심미적이고 높은 상품성을 가지는 캔들의 제작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 {Baking Candl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빵, 머핀, 타르트 등 다양한 빵 제품 형상과 재료적 특성을 모사할 수 있는 베이킹 캔들과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 양초라고도 불리는 캔들은 소이 왁스 내지 비즈 왁스 등의 고체 연료를 적당한 온도에서 용융시켜 자연섬유 내지 합성섬유로 제작된 실 모양의 심지와 함께 형틀에 부어 경화시켜 제작하는 광원으로, 기존에는 단순한 광원의 기능으로 주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향료를 첨가하여 치료목적 내지 방향 효과를 위해 사용하거나 독특한 디자인을 구현하여 심미적 장식품으로 활용하는 등의 활용 범위가 크게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캔들의 상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고안들이 시도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음식이나 자연물, 소품과 유사한 형태의 캔들 제작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식빵, 머핀, 타르트 등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베이커리 제품 형태의 캔들이 최근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왁스를 용융시켜 형틀에 부어 경화시키는 종래의 캔들 제조 방법은 일정한 모양을 갖는 캔들을 비교적 쉽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대상물의 내부 형상이나 질감 등의 특성을 원래의 대상물과 동일하게 표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용융된 왁스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이러한 내부 질감을 모사하거나 외부에 부가적인 처리 내지 가공을 통하여 이러한 제한사항을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으나 한계가 있다.
심미적 목적으로의 캔들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캔들을 이용해 다양한 베이커리 제품을 보다 유사한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방법과 다른 캔들 제조 방법을 이용한 새롭고 효과적인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왁스 혼합물에 팽창제 역할을 하는 베이킹 소다와 물을 특정 온도에서 혼합하여 빵 제품과 매우 유사한 형태의 질감과 형상을 가지는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방법은 베이킹용 왁스 용액 제조 단계, 베이킹용 혼합 용액 제조 단계, 베이킹용 휘핑 거품 제조 단계, 성형 단계, 장식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킹용 왁스 용액 제조단계는 캔들을 제조하기 위한 베이스 왁스 용융 단계와 캔들의 고유 색상을 만들기 위한 색소 첨가 단계, 본 발명의 특징적 기술인 빵 모양의 캔들을 만들기 위한 베이킹 소다 첨가 후 혼합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킹용 혼합 용액 제조 단계는 캔들의 향기를 첨가하기 위한 향료 첨가 단계, 빵 모양의 캔들을 만들기에 적절한 농도 조절을 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킹용 휘핑 거품 제조 단계는 캔들이 빵 모양으로 부풀리게 하기 위하여 젓개, 휘핑기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기포를 형성하는 단계, 휘핑 거품의 기포가 더 잘 발생하도록 가열 도구로 가열하는 휘핑 거품 가열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성형 단계는 가열된 베이킹용 휘핑 거품을 딱딱하거나 유연한 재료로 만들어진 형틀에 투입하는 단계, 형틀에 투입된 베이킹용 휘핑 거품을 온도를 낮추어 경화하는 단계, 경화된 베이킹 캔들을 형틀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심지가 연결된 탭을 형틀 내부 바닥에 부착하는 심지 부착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장식 단계는 제작된 베이킹 캔들에 도색을 하거나 장식품을 녹여 붙이는 융착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단계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일부 단계를 생략하거나 통합 또는 순서를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베이킹 캔들 제조 방법을 이용한 베이킹 캔들은 식빵, 머핀, 타르트와 같은 다양한 빵 모양의 캔들을 제조할 수 있으며, 빵의 내부에 형성되는 기포모양의 재질적 특성을 매우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고 표면 재질 또한 다양한 빵의 고유한 형상과 질감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은 기존의 캔들 제조에서 사용되는 밀도가 높은 용융된 왁스를 사용하는 대신 베이킹 파우더를 이용하여 왁스를 기포가 포함된 휘핑 거품 형태로 만들어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캔들 제조시 사용하던 일정한 형태로 제작된 형틀뿐만 아니라 종이, 비닐 등의 유연한 재료로 만들어진 다양한 형틀을 이용하여 캔들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캔들이 제작된 후 휘핑 거품의 형태가 빵 특유의 질감을 유지하여 실제 빵 제조와 매우 유사한 형태의 캔들의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심미적이고 높은 상품성을 가지는 캔들의 제작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베이킹 캔들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베이킹 캔들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베이킹 캔들의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킹 캔들의 제조 단계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다른 여려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베이킹 캔들의 사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베이킹 캔들(100)은 식빵 모양(10)으로 제작될 수 있다. 식빵의 일부분에 심지(11)를 부착하여 캔들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식빵 모양의 베이킹 캔들을 제작 시, 실제 식빵을 제조할 때와 거의 유사한 식빵의 단면까지 베이킹 캔들 단면(12)에서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베이킹 캔들의 사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베이킹 캔들(100)은 머핀 모양(20)으로도 제작될 수 있는데, 머핀의 일부분에 심지(21)를 부착하여 캔들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실제 머핀과 매우 유사한 외형의 베이킹 캔들을 제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베이킹 캔들의 사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베이킹 캔들(100)은 타르트 모양(30)으로 제작될 수 있다. 타르트의 일부분에 심지(31)를 부착하여 캔들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타르트 모양의 베이킹 캔들(30) 상단 내지 측면에 과일, 생크림, 초컬릿 등의 장식을 첨가함으로써 실제 타르트와 매우 유사한 외형의 베이킹 캔들을 제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킹 캔들의 제조 단계 순서도이다.
상기 도 1, 2, 3, 및 4를 참조하면, 다양한 빵 모양의 베이킹 캔들의 제조 방법은 베이킹용 왁스 용액 제조 단계, 베이킹용 혼합 용액 제조 단계, 베이킹용 휘핑 거품 제조 단계, 심지 부착을 포함하는 성형 단계, 장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킹용 왁스 용액 제조 단계는 소이 왁스 내지 소이 왁스와 비즈 왁스를 혼합한 베이스 왁스 용융단계, 용융된 베이스 왁스에 색소를 첨가하는 단계, 색소가 첨가된 용융 베이스 왁스에 베이킹 소다를 첨가 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베이스 왁스는 소이 왁스를 100퍼센트 사용할 수 있으며 소이 왁스 80퍼센트와 비즈 왁스 20퍼센트의 중량비로 사용할 수도 있고 소이 왁스 70퍼센트와 비즈 왁스 30퍼센트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색소가 첨가된 용융 베이킹용 왁스에 베이킹 소다를 혼합함에 있어 용융 베이킹 왁스를 섭씨 70도 내지 85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베이킹 소다를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베이킹용 혼합 용액 제조 단계는 상기 베이킹용 왁스 용액에 향료를 첨가하는 단계, 적절한 농도 유지를 위해 물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료를 첨가하는 단계는 원하는 향료를 3 내지 10퍼센트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적절한 농도 유지를 위해 물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는 향료가 첨가된 베이킹용 왁스 용액에 섭씨 55도 내지 65도의 온도에서 물 3 내지 8퍼센트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베이킹용 혼합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베이킹용 휘핑 거품 제조 단계는 베이킹용 혼합 용액에서 기포가 발생하도록 하는 기포 형성 단계, 휘핑 거품 기포가 더 잘 발생하게 하는 휘핑 거품 가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휘핑 거품 가열 단계는 히팅건 등의 가열 도구로 셥씨 60 내지 65도의 열가를 가하여 베이킹 소다의 기포 발생 반응을 촉진할 수 있다.
상기 성형 단계는 제조된 베이킹용 휘핑 거품을 형틀에 투입하는 단계, 형틀내에서 상온으로 냉각하여 캔들을 경화시키는 단계, 경화된 캔들에서 형틀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형틀에 휘핑 거품을 투입하기 전에 심지가 연결된 탭을 형틀 내부 바닥에 부착하는 심지 부착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틀은 휘핑 거품의 가볍고 부피가 큰 특성으로 이용하여 반드시 딱딱한 정형의 틀이 아니더라도 종이, 비닐 등의 유연한 재료로 만들어진 임시적인 틀이어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장식 단계는 상기 성형 단계가 완료된 베이킹 캔들의 외부에 도색을 하거나 부가적인 장식품을 녹여 붙이는 융착 단계를 포함한다. 장식은 빵의 색감을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색상의 도색 뿐만 아니라, 과일, 초컬릿, 생크림 등의 부가적인 장식품을 캔들로 별도 제작하여 융착시킬 수 있다.
상기의 베이킹 캔들 제조 방법은 베이킹용 휘핑 거품의 발생량을 줄여서 타르트와 같은 단순한 형태의 빵 종류의 캔들을 만들 수 있다. 휘핑 거품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 향료가 첨가된 베이킹용 왁스 용액을 섭씨 55도 내지 65도에서 1 내지 2퍼센트 중량비의 물을 혼합하여 베이킹용 혼합 용액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예시에 따른 발명은 베이킹 캔들에 대한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베이킹 캔들의 대상물인 빵과 유사한 질감 내지 형상을 가지는 제품에 탄력적 내지 가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기공을 가지는 다양한 구조의 자연물 내지 인공물을 모사한 캔들을 제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는 캔들 제조 및 유통 시장에서 높은 상품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 빵의 질감과 형상을 매우 유사하게 구현하여 캔들을 제조할 수 있다. 왁스의 용융과 순차적 적층으로 제작하던 기존의 방법으로는 구현하기 제한되는 빵과 같은 대상물의 질감 구현에 있어서, 본 발명을 통한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적용하여 실제 빵 제품과 거의 유사한 획기적인 캔들을 제작하여 상품성을 높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본 발명에 따른 베이킹 캔들 사진
1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빵 모양의 베이킹 캔들
1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빵 모양의 베이킹 캔들 심지
12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빵 모양의 베이킹 캔들 단면
2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핀 모양의 베이킹 캔들
21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핀 모양의 베이킹 캔들 심지
30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르트 모양의 베이킹 캔들
31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르트 모양의 베이킹 캔들 심지
32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르트 모양의 베이킹 캔들 장식

Claims (8)

  1. 베이킹 캔들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이 왁스 단독 내지 소이 왁스와 비즈 왁스를 혼합한 베이스 왁스를 용융하고 용융된 베이스 왁스에 색소 및 베이킹 소다를 첨가한 후 혼합하는 과정의 베이킹용 왁스 용액 제조 단계; 상기 베이킹용 왁스에 향료를 첨가하고 베이킹 소다와 물을 첨가 후 혼합하는 베이킹용 혼합 용액 제조 단계; 상기 베이킹용 혼합 용액을 젓개, 휘핑기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기포를 형성하고 형성된 휘핑 거품에 기포가 더 잘 발생하도록 가열하는 베이킹용 휘핑 거품 제조 단계; 상기 베이킹용 휘핑 거품을 형틀에 투입하여 경화시킨 후 형틀을 제거하는 성형단계; 및
    상기 경화된 베이킹 캔들 상부 및 측면부에 도색 내지 부가적인 장식품을 융착하는 장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왁스는 소이왁스를 100퍼센트 사용하거나 소이 왁스 80퍼센트와 비즈 왁스 20퍼센트의 중량비 또는 소이 왁스 70퍼센트와 비즈 왁스 30퍼센트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킹용 왁스 용액은 색소가 첨가된 베이스 왁스에 섭씨 70도 내지 85도에서 왁스의 팽창제 역할을 하는 베이킹 소다를 혼합하여 베이킹용 왁스 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킹용 왁스 용액에 향료를 3 내지 10퍼센트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향료가 첨가된 베이킹용 왁스 용액에 섭씨 55도 내지 65도의 온도에서 물을 3내지 8퍼센트를 혼합하여 베이킹용 혼합 용액을 제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킹용 휘핑 거품의 기포가 더 잘 발생하도록 히팅건 등의 가열 도구로 섭씨 60 내지 65도의 열기를 가하는 가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킹용 휘핑 거품을 형틀에 투입하기 전에 심지가 연결된 탭을 형틀 내부 바닥에 부착하여 심지를 만드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
  8. 베이킹용 휘핑 거품의 발생량을 줄여 타르트와 같은 단순한 형태의 베이킹 캔들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이 왁스 단독 내지 소이 왁스와 비즈왁스를 혼합한 베이스 왁스를 용융하고 용융된 베이스 왁스에 색소 및 베이킹 소다를 첨가한 후 혼합하는 과정의 베이킹용 왁스 용액 제조 단계; 상기 베이킹용 왁스 용액을 섭씨 55 내지 65도의 온도에서 물 1 내지 2 퍼센트이 중량비로 혼합하여 베이킹용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베이킹용 혼합 용액을 젓개, 휘핑기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기포를 형성하고 형성된 휘핑 거품에 기포가 더 잘 발생하도록 가열하는 베이킹용 휘핑 거품 제조 단계; 상기 베이킹용 휘핑 거품을 형틀에 투입하여 경화시킨 후 형틀을 제거하는 성형단계; 및
    상기 경화된 베이킹 캔들 상부 및 측면부에 도색 내지 부가적인 장식품을 융착하는 장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90156207A 2019-11-29 2019-11-29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10067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207A KR20210067013A (ko) 2019-11-29 2019-11-29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207A KR20210067013A (ko) 2019-11-29 2019-11-29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013A true KR20210067013A (ko) 2021-06-08

Family

ID=7639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207A KR20210067013A (ko) 2019-11-29 2019-11-29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70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5513A (zh) * 2021-10-19 2022-02-08 云南番多多文化发展有限公司 一种香薰蜡烛及其制作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5513A (zh) * 2021-10-19 2022-02-08 云南番多多文化发展有限公司 一种香薰蜡烛及其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88777A (zh) 一种陶瓷雕刻工艺
KR20210067013A (ko) 베이킹 캔들 및 그의 제조 방법
EP1150069A1 (en) Decorative candle display
CN103465718A (zh) 浮雕彩色玻璃画及其制造方法
CN101580407A (zh) 釉下彩骨质瓷的制备方法
KR20170048255A (ko) 캔들 제조방법
CN107009491A (zh) 陶瓷彩刻方法
US1690764A (en) Ornamental form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180134722A (ko) 친환경 양초 점토의 제조 방법
CN202727832U (zh) 贝雕黑陶
KR20170001242A (ko) 플라워 데코레이션 캔들의 제조방법
KR102113953B1 (ko)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 또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
JP7004884B1 (ja) 装飾材、菓子類及び装飾材の作成方法
KR100861489B1 (ko) 결 형상을 갖는 모조 음식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된 모조 음식물
KR20190012711A (ko) 경화유와 젤라틴을 이용한 식품 장식용 시트 제조방법
KR102315600B1 (ko)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 또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
JP3047289B2 (ja) シュガークラフト
JP3222818U (ja) 造形装飾石鹸
JP3197231U (ja) アイシング洋菓子
TW561190B (en) Method for producing jelly candle
TWM310218U (en) Modeling candle of do-it-yourself
KR100521307B1 (ko) 즉석 성형틀을 이용한 초콜렛의 제조방법
CN117982913A (zh) 奶油状物
CN113492616A (zh) 一种仿真身体模型制品及制作方法
KR20160002608U (ko) 프린팅 문양부가 구비된 아이스크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