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971B1 - 실린더를 이용한 열융착 장치 - Google Patents

실린더를 이용한 열융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971B1
KR102187971B1 KR1020190016797A KR20190016797A KR102187971B1 KR 102187971 B1 KR102187971 B1 KR 102187971B1 KR 1020190016797 A KR1020190016797 A KR 1020190016797A KR 20190016797 A KR20190016797 A KR 20190016797A KR 102187971 B1 KR102187971 B1 KR 102187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gripping
bonding
gripping members
members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8984A (ko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주)영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성테크 filed Critical (주)영성테크
Priority to KR1020190016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971B1/ko
Publication of KR20200098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29C66/92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29C66/924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pressure, the force or the mechanical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8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constructional aspects, or by the thermal or electrical insulating or conducting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welding jaws or of the clamps ; comprising means for compensating for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welding jaws or of the clamps
    • B29C66/81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constructional aspects, or by the thermal or electrical insulating or conducting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welding jaws or of the clamps ; comprising means for compensating for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welding jaws or of the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constructional aspects
    • B29C66/8181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constructional aspects, or by the thermal or electrical insulating or conducting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welding jaws or of the clamps ; comprising means for compensating for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welding jaws or of the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weld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2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4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 B29C66/9142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join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린더를 이용한 융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동실린더에 의해 상하 왕복 이동하고 서로 마주보는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에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를 구비하고, 접합용 부재의 접합부분을 가열하는 가열부재에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를 구비하여 실린더에 의해 가압되는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의 작동 스트로크를 제어함으로써, 접합용 부재의 접합부분의 가열시 가열부분의 과도한 가열을 방지할 수 있고, 접합용 부재의 접합부분을 서로 가압할 때, 과도한 압력이 접합부분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실린더를 이용한 열융착 장치 {Heat-welding device using cylinder}
본 발명은 실린더를 이용한 열융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재질로 된 한 쌍의 접합용 부재를 접착 결합할 때, 가열과 접착을 위한 가압 작동을 실린더를 사용하고, 실린더의 스트로크를 제어할 수 있는 실린더를 이용한 열융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융착이란 모재 자체를 융착시켜서 용융 상태에서 접합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타재질을 사용하지 않고 모재를 용융 접합한다는 점에서 타재질(예를 들면 용접봉)을 사용하여 접합하는 용접과는 구별될 수 있다.
이러한 융착 접합은 초음파 진동과 압력 및 시간이 융착 접합 상태의 양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을 가하여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부재를 접착시키는 것을 열융착 장치라 하며, 이는 작업 대상물의 재질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한 구조와 구성으로 적용되어 여러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통상의 열융착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부재 사이를 융착하여 결합한다.
즉, 열융착장치는 접합하고자 하는 두 부재(접합용 부재)에 열을 가하여 용융시킨 후에, 용융된 부재를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가압하여 두 부재를 접합할 수 있다.
종래의 열융착장치에서 접합하고자 하는 두 부재(이하 '접합용 부재' 라 한다)를 열융착으로 접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접합용 부재를 접촉시켜 가열한다. 이후에 가열판의 상부와 하부에서 가열된 접합용 부재를 각각 이격시키고, 이격되고 가열된 접합용 부재 사이에서 가열판을 이동시켜 제거한다.
그런 다음, 가열된 접합용 부재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가열되어 용융된 부분을 서로 접촉되도록 한 후에 가압하여 접합하게 된다.
이렇게 가열된 접합용 부재를 가압하여 접합할 때, 가열된 접합용 부재를 가압하는 압력이 크게 되면 서로 접합되는 용융된 부분이 뭉그러지면서 접합 불량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가열된 접합용 부재를 가압하는 압력이 작으면, 용융된 부분이 서로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쉽게 떨어지는 접합 불량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접합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접합하는 부분의 용융상태, 접합 두께 등을 고려하여 접합용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유닛의 가압력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는 가압유닛의 스트로크 레인지를 미세하게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가압유닛의 스트로크 레인지를 미세하게 설정하기 위해서는 스트로크 레인지의 제어를 할 수 있는 고가의 스테핑 모터를 사용해야 함으로 열융착 장치에 대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4589호 (2007.05.28.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접합용 부재를 실린더로 가압하되, 접합용 부재를 가열하는 가열부재 및 접합용 부재를 파지하는 파지부재에 실린더의 스트로크 레인지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추가하여 장치의 구조를 간소하게 하면서 설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열융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로 가열하여 접합하고자 하는 두 개의 접합용 부재를 각각 파지하며, 서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를 각각 왕복 이동시키는 한 쌍의 작동실린더와, 상기 한 쌍의 작동실린더로 압력을 공급하는 압력 공급부와, 상기 작동실린더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에 각각 파지되는 접합용 부재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부재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두 개의 접합용 부재의 접합부분을 가열하는 가열부재와, 상기 가열부재를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 사이로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유닛과, 상기 가열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가 왕복 이동할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가 상기 가열부재로 이동하여 상기 접합용 부재의 접합부분이 가열부재에 접촉된 후에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복수의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접합용부재의 접합부분이 가열시키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에 각각 파지된 상기 접합용 부재의 접합부분을 접촉하여 접합할 때,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정지시킬 수 있는 복수의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는, 서로 마주보고 마련되는 상기 상부 파지부재의 밑면과 상기 하부 파지부재의 윗면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상부 파지부재에 형성되는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와 상기 하부 파지부재의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는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의 높이는, 상기 접합용부재의 접합부분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의 높이는 상기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의 높이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접합용 부재의 접합부분에 대한 가열을 위한 작동 중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에 마련되는 상기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가 상기 가열부재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와 상기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를 상하로 왕복 이동시키는 상기 작동 실린더의 작동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압력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열부재에서 상기 작동실린더의 위치까지 배치되는 거리 측정부재와, 상기 거리 측정부재에 마련되는 제1센서와, 상기 제1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센서와, 상기 제2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압력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재, 상기 파지부재, 상기 작동실린더, 상기 가압부재를 별도의 공간부를 갖는 챔버에 수용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챔버 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온도 조절유닛은, 상기 챔버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챔버 내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부와, 상기 챔버 내로 온기를 공급하는 온기 공급부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냉기 공급부와 온기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파지부재에 각각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와, 가열부재에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를 구성함으로써, 실린더로 한 쌍의 파지부재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접합할 때, 실린더에 의해 가압되어 접합되는 접합용 부재의 접합 두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설비비용을 절감할 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융착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2a와 도 1의 열융착장치에서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가 형성된 상부 파지부재와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가 형성된 가열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도 1의 열융착 장치에서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가 형성된 가열부재와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가 형성된 하부 파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열융착 장치에서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가 형성된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열융착 장치의 압력 조절유닛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1의 열융착 장치에서 온도 조절 유닛을 도시한 블록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융착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와 도 1의 열융착장치에서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가 형성된 상부 파지부재와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가 형성된 가열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1의 열융착 장치에서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가 형성된 가열부재와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가 형성된 하부 파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열융착 장치에서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가 형성된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열융착 장치의 압력 조절유닛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1의 열융착 장치에서 온도 조절 유닛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융착 장치(1)는, 접합하고자 하는 두 개의 부재(이하'접합용부재'라 한다)의 접합 부분을 열로 가열한 후에 가압하여 가열된 부분을 접합하는 것으로, 한 쌍의 파지부재(10)(11)와, 한 쌍의 작동 실린더(20)와, 압력 공급부(30)와, 한 쌍의 가압부재(40)와, 가열부를 갖는 가열부재(50)와, 이동유닛(60)과,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70)와, 융착 스트로크 스토퍼(8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접합용 부재(3)는 열에 의해 가열되면 용융되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예로서 탱크(통부재)를 만들기 위한 일측이 개구되는 반구 형상의 용기를 한 쌍으로 구성하고, 이를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을 갖는 탱크(tank)를 만들 수 있다. 한 쌍의 접합용 부재(3)의 가장자리에는 서로 맞대어서 열로 융착할 수 있는 접합부분(3a)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파지부재(10)(11)는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 쌍의 파지부재(10)(11)는 가열부재(40)를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파지부재(10)와 상측에 위치하는 하부 파지부재(11)로 이루어진다.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는 각각의 중앙부에 접합용 부재(3)를 끼워 파지할 수 있는 홀을 구비한다. 이러한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는 중앙부의 홀에 접합용 부재(3)를 끼워 파지할 때, 접합용 부재(3)에서 서로 접촉되어 접합되는 개구부의 가장자리가 서로 마주볼 수 있는 상태로 파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작동실린더(20)는 그 단부가 각각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에 연결되고, 각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를 직선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작동 실린더(20)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의 각각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 파지부재(10)(11)의 상면 또는 하면을 연결하여 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작동 실린더(20)는 유체나 에어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에어펌프, 에어 컴프레샤 등과 같은 에어 공급부에 의해 작동되는 에어 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다.
가열부재(50)는 상면과 하면에 각각 열을 발생하는 가열부를 마련할 수 있다. 즉, 가열부는 가열부재(50)의 상면과 하면의 표면에서 열을 발생하도록 가열부재(50)에 내장될 수 이다. 여기서, 가열부는 전기의 인가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니크롬선으로 구성하여 가열부재(50)에 내장시킬 수 있다. 가열부재(50)는 접합용 부재(3)의 접합부분(3a)이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 접합부분(3a)을 가열해야 함으로 상면과 윗면이 접합부분(3a)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압부재(40)는 한 쌍의 작동실린더(20)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접합용 부재(3)를 파지하는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를 각각 가열부재(50)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가압부재(40)는 작동실린더(20)의 끝에 결합되어 작동실린더(20)의 작동시 도 1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압부재(40)는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와 연결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유닛(60)은 가열부재(50)를 직선 이동시켜서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 사이로 이동시키거나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 사이에서 꺼내는 역할을 한다. 이동유닛(60)은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가열부재(5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의 배치 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유닛(60)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와, 피니언기어에 기어 결합되는 랙기어로 구성할 수 있고, 랙기어를 가열부재에 구비하거나 결합하여 가열부재(50)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70)는 가열부재(50)의 윗면과 밑면에 각각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70)는 접합용 부재(3)를 파지하고 있는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1)(10)가 가열부재(50) 쪽으로 이동할 때,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70)는 접합용 부재(3)의 접합부분(3a)이 가열부재(50)에 밀착되어 용융되기 시작된 후에 접합부분(3a)이 과도하게 용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가 가열부재(50) 쪽으로 더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70)는 접합용 부재(3)의 접합부분(3a)이 가열부재(50)에 접촉된 후에도 접합용 부재(3)가 가열부재(50) 쪽으로 조금 더 가압될 수 있도록 접합용 부재(3)의 접합부분(3a)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70)의 두께는 접합용 부재(3)의 접합부분(3a)의 가열된 후에 서로 접합될 때 접합되는 상태와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70)의 두께는 다수의 접합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80)는 서로 마주보는 상부 파지부재(10)의 밑면과 하부 파지부재(20)의 윗면에 각각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80)는 가열된 접합용 부재(3)의 접합부분(3a)을 접합하는 과정에서 접합부분(3a)이 서로 접촉된 후에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가 서로를 향해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즉,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80)는 가열된 접합용 부재(3)의 접합부분(3a)이 서로 밀착된 후에 서로를 향해 가압될 때 가열된 접합부분(3a)이 과도하게 가압되어 접합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80)는 복수로 구성하여 서로 마주보는 상부 파지부재(10)의 밑면과 하부 파지부재(11)의 윗면에 각각 형성하되, 도 3과 같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접합용 부재(3)의 접합부분(3a)의 접합 과정 중 상부 파지부재(10)의 밑면에 형성된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80)는 하부 파지부재(11)의 윗면에 접촉되고, 하부 파지부재(11)의 윗면에 형성된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80)는 상부 파지부재(10)의 밑면에 접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접합용 부재(3)의 접합부분(3a)을 가열 작업시 가열부재(50)의 윗면과 밑면에 각각 형성된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70)가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의 밑면과 윗면에 각각 접촉될 때,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에 형성된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80)가 가열부재(50)의 윗면과 밑면에 각각 접촉되지 않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80)의 높이는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7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70)가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에 접촉될 때,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80)는 가열부재(50)의 윗면과 밑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접합용 부재(3)의 접합부분(3a)의 가열시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의 밑면과 윗면에 형성된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80)와 가열부재(50)의 윗면과 밑면에 돌출 형성된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70)는 서로 접촉되거나 걸리지 않도록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융착 장치(1)는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를 가압하는 작동실린더(20)에 의해 작용하는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유닛(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조절유닛(90)은 한 쌍의 작동실린더(20)에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이동되는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를 일정거리까지 신속하게 이동시킨 후에,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에 파지된 접합용 부재(3)의 접합부분(3a)이 가열부재(50)에 접촉된 후에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가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70)에 접촉되어 완전히 정지하기 까지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를 서서히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압력 조절유닛(90)은 작동실린더(20)의 작동 전 상태에서 작동실린더(20)의 위치부터 가열부재(50)까지 배치되는 거리 측정부재(91)와, 거리 측정부재(91)에 구비되는 제1센서(92)와, 상부 파지부재(10)에 구비되어 제1센서(92)의 신호를 수시하는 제2센서(93)와, 제2센서(93)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압력 공급부(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부(9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거리 측정부재(91)는 작동실린더(20)가 작동되는 방향 즉, 상부 파지부재(10)가 왕복 이동하는 상항 방향으로 배치되되, 작동실린더(20)가 작동되기 전의 상부 파지부재(10)가 있는 위치에서 작동실린더(20)가 작동된 후에 접합용 부재(3)가 가열부재(50)에 접촉되기 전의 상부 파지부재(10)가 있는 위치까지 수직 방향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 거리 측정부재(91)는 작동실린더(20)의 작동시 작동실린더(20)에 의해 이동하는 상부 파지부재(10)의 이동 스트로크를 측정할 수 있도록 자(율척)로 구성할 수 있다.
제1센서(92)와 제2센서(93)는 하나의 조(세트)로 구성할 수 있으며, 거리 측정부재(91)와 상부 파지부재(10)에 각각 마련할 수 있다.
제1센서(92)는 거리 측정부재(91)에 구비하되,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70)의 윗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1센서(92)는 신호를 발생하여 제2센서(93)로 송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센서(92)는 자력을 발생하거나 적외선을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제2센서(93)는 접합용 부재(3)를 파지하는 상부 파지부재(10)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센서(93)는 제1센서(9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압력제어부(94)로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제2센서(93)는 제1센서(92)가 자력을 발생하는 마그네트로 구성되면 마그네트의 자기력을 검출하는 홀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제2센서(93)는 제1센서(92)가 적외선을 발생하면, 적외선을 검출하는 센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2센서(93)는 상부 파지부재(10)의 측면에 구비하되, 구체적으로 상부 파지부재(10)의 측부 하단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센서(92)의 위치는 상부 파지부재(10)에 의해 파지된 접합용 부재(3)의 접합부분이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70)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때, 제2센서(93)가 위치하는 위치와 동일한 높이로 설정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센서(92)의 위치는 작업자가 작동실린더(20)의 작동을 실험하는 과정에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압력 제어부(94)는 제2센서(93)와 연결되고, 제2센서(93)로부터 신호를 전송 받아 압력 공급부(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압력 제어부()는 작동 실린더(20)의 작동이 시작될 때에는 압력 공급부(94)에서 고압을 작동실린더(20)로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압력 제어부(94)는 상부 파지부재(10)가 이동할 때, 상부 파지부재(10)의 제2센서(93)가 제1센서(92)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제2센서(93)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으면 압력 공급부(30)를 제어하여 작동실린더(20)로 공급되는 압력을 낮춰서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압력제어부(94)는 압력공급부(30)에서 작동실린더(20)로 공급되는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접합용 부재(3)를 파지하는 상부 파지부재(10)를 제1센서(92)의 위치까지는 신속하게 이동시키고, 제1센서(92)의 위치부터 접합용 부재(3)의 접합부분이 가열부재(50)에 밀착되고 가압되어 용융될 때까지 상부 파지부재(10)를 느리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융착 장치는 가열부재(50),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 작동실린더(20), 가압부재(40),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80),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70)의 구성들을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챔버를 포함할 수 있고, 챔버 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조절유닛(1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조절유닛(100)은 챔버 내의 온도가 상승되거나 하강되지 않고 일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챔버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온도 조절유닛(100)은 챔버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01)와, 챔버 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부(102)와, 챔버 내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온기를 공급하는 온기 공급부(103)와, 온도센서(101)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냉기공급부(102)와 온기 공급부(103)의 작동을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10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융착 장치의 작동관계를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작동 실린더(20)의 작동 전 즉,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가 가열부재(50)로 이동하기 전 상태로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와 가열부재(50)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에 접합용 부재(3)가 파지되지 않은 상태를 열융착 장치(1)의 초기 상태라 한다. 이 초기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 사이에 가열부재(50)가 위치하고 있고, 상부 파지부재(10)와 가열부재(50)의 윗면이 서로 마주보고, 하부 파지부재(11)와 가열부재(50)의 밑면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융착 장치(1)는 작동 실린더(20)에 작동시의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작동 실린더(20)로 공급되는 압력과 가열부재(50)로 가열되는 온도 등을 미리 설정해야 한다.
이러한 열융착 장치(1)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된 한 쌍의 접합용 부재(3)를 서로 접합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접합용 부재(3)를 각각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에 각각 파지하게 된다.
접합용 부재(3)를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에 파지하거나 파지 하기 전에 가열부재(50)는 미리 작동시켜 일정온도가 되도록 예열시킬 수 있다.
이후에, 작동 실린더(20)를 작동시켜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를 각각 가열부재(50)의 윗면과 밑면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때, 작동 실린더(20)는 압력 조절유닛(90)에 의해 2단계의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초기 위치에 있던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는 거리 측정부재(91)에 구비되는 제1센서(92)가 구비된 위치까지 신속하게 이동된
후에, 제1센서(92) 이후부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에 파지된 접합용 부재(3)의 접합부분(3a)이 가열될 때까지 느리게 이동하게 된다.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에 파지된 접합용 부재(3)의 접합부분(3a)은 상기와 같은 작동실린더(20)의 작동에 의해 가열부재(50)로 이동하여 밀착된 후에 가열된다.
이렇게 접합용 부재(3)의 접합부분(3a)의 가열이 이루어지면, 다시 작동실린더(20)를 작동시켜 가열부재(50)로부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를 멀어지도록 이동시킨다.
그런 다음, 이동유닛(60)을 작동시켜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 사이에 있던 가열부재(50)를 이동시킨다.
이후에, 작동실린더(20)를 다시 작동시켜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10)(11)는 서로를 향해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접합용 부재(3)의 가열된 접합부분(3a)이 서로 접촉되면서 서로 접합이 시작된다.
이후에, 서로 접합이 시작되는 접합용 부재(3)의 가열된 접합부분(3a)은 작동실린더(20)의 가압 작동에 의해 더욱 가압되어 압착되면서 접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접합용 부재(3)의 접합부분(3a)에 대한 융착이 이루어질 때, 상부 파지부재(10)의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80)는 하부 파지부재(11)의 윗면에 접촉되고, 하부 파지부재(11)의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80)는 상부 파지부재(10)의 밑면에 접촉되면서 작동실린더(20)의 가압 작동은 멈추게 된다.
1: 열융착 장치
3: 접합용 부재 3a; 접합부분
10: 상부 파지부재 11: 하부 파지부재
20: 작동실린더 30: 압력 공급부
40: 가압부재 50: 가열부재
60: 이동유닛
70: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 80: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
90: 압력 조절유닛 91: 거리 측정부재
92: 제1센서 93: 제2센서
94: 압력 제어부
100: 온도 조절유닛 101: 온도센서
102: 냉기공급부 103: 온기 공급부
104: 온도 제어부

Claims (7)

  1. 열로 가열하여 접합하고자 하는 두 개의 접합용 부재를 각각 파지하며, 서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를 각각 왕복 이동시키는 한 쌍의 작동실린더;
    상기 한 쌍의 작동실린더로 압력을 공급하는 압력 공급부;
    상기 작동실린더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에 각각 파지되는 접합용 부재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부재;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두 개의 접합용 부재의 접합부분을 가열하는 가열부재;
    상기 가열부재를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 사이로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가 상기 가열부재로 이동하여 상기 접합용 부재의 접합부분이 가열부재에 접촉된 후에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의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가열부재에 마련된 복수의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
    상기 접합용부재의 접합부분이 가열된 후,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에 각각 파지된 상기 접합용 부재의 접합부분을 접촉하여 접합할 때,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됨이 정지되게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에 마련된 복수의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를 상하로 왕복 이동시키는 상기 작동 실린더의 작동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압력 조절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압력 조절 유닛은,
    상기 가열부재에서 상기 작동실린더의 위치까지 작동실린더가 작동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거리 측정부재와;
    상기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의 일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거리 측정부재에 마련되는 제1센서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파지부재의 측부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센서와;
    상기 제2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압력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부;를 포함하여, 작동실린더에 작용하는 압력을 조절함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실린더를 이용한 열 융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는,
    서로 마주보고 마련되는 상기 상부 파지부재의 밑면과 상기 하부 파지부재의 윗면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상부 파지부재에 형성되는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와 상기 하부 파지부재의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는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실린더를 이용한 열 융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의 높이는,
    상기 접합용부재의 접합부분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실린더를 이용한 열 융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의 높이는 상기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의 높이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접합용 부재의 접합부분에 대한 가열을 위한 작동 중 상기 상부 및 하부 파지부재에 마련되는 상기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가 상기 가열부재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실린더를 이용한 열 융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스트로크 스톱퍼와 상기 융착 스트로크 스톱퍼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실린더를 이용한 열 융착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 상기 파지부재, 상기 작동실린더, 상기 가압부재를 별도의 공간부를 갖는 챔버에 수용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챔버 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온도 조절유닛은,
    상기 챔버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챔버 내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부와,
    상기 챔버 내로 온기를 공급하는 온기 공급부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냉기 공급부와 온기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실린더를 이용한 열 융착장치.
KR1020190016797A 2019-02-13 2019-02-13 실린더를 이용한 열융착 장치 KR102187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797A KR102187971B1 (ko) 2019-02-13 2019-02-13 실린더를 이용한 열융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797A KR102187971B1 (ko) 2019-02-13 2019-02-13 실린더를 이용한 열융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984A KR20200098984A (ko) 2020-08-21
KR102187971B1 true KR102187971B1 (ko) 2020-12-07

Family

ID=72235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797A KR102187971B1 (ko) 2019-02-13 2019-02-13 실린더를 이용한 열융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9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228B1 (ko) 2021-04-23 2021-09-28 이스테판상수 변속기 노브 열융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699B1 (ko) * 2021-04-21 2023-10-25 송철규 마스크 고속 제조 시스템 및 그의 이어 밴드 부착장치
KR20230120014A (ko) 2022-02-08 2023-08-16 한국브렌슨 주식회사 용착기의 가열포일 교체장착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688B1 (ko) 1999-11-23 2002-10-19 주식회사 정산기계시스템 자동 융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70478B1 (ko) * 2014-03-26 2014-12-09 서우산업주식회사 엔진 커버용 흡음재 제조방법 및 엔진 커버용 흡음재의 제조설비
JP2018024246A (ja) 2016-08-09 2018-02-15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加飾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加飾成形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103A (ko) * 1998-08-07 2000-03-25 신메이와 인더스트리즈,리미티드 글래스 융착 방법 및 장치
KR100724589B1 (ko) 2006-01-11 2007-06-04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용 열융착장치
KR101495118B1 (ko) * 2013-06-12 2015-02-24 동아소노텍 주식회사 초음파 융착장치 및 초음파 융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688B1 (ko) 1999-11-23 2002-10-19 주식회사 정산기계시스템 자동 융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70478B1 (ko) * 2014-03-26 2014-12-09 서우산업주식회사 엔진 커버용 흡음재 제조방법 및 엔진 커버용 흡음재의 제조설비
JP2018024246A (ja) 2016-08-09 2018-02-15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加飾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加飾成形体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228B1 (ko) 2021-04-23 2021-09-28 이스테판상수 변속기 노브 열융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984A (ko) 2020-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7971B1 (ko) 실린더를 이용한 열융착 장치
TWI357168B (en) Battery pack manufacturing apparatus
JP5107417B2 (ja) 成型装置および同成型装置による成型方法
US6749703B2 (en) Ultrasonic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welding reinforcing tape piece to fastener tape
KR102126221B1 (ko) 열융착기 시스템
KR20100016788A (ko) 열풍융착용 모듈
JP5781071B2 (ja) 光学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素子の製造装置
KR101192577B1 (ko) 열융착장치
WO2004108396A1 (en) Fusion splicer
US9919473B2 (en) Method for producing fiber-reinforced resin bonded body
KR101821523B1 (ko) 열과 진동을 이용한 융착 장치 및 방법
JP6093067B2 (ja) 蓋が接合された容器の製造方法
JP2019531210A (ja) 側壁接着機および側壁を熱可塑性ベルトに接着するための方法
KR102083370B1 (ko) 플로트의 상하부캡 접합용 열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로트 제조방법
KR100851217B1 (ko) 열융착기
EP3017931A1 (en) Induction welding method for electrically conducting composite materials having a thermosetting matrix
KR101583480B1 (ko) 이종소재의 시험편 제조장치
JP7013383B2 (ja) 材料連続性を有する、又は材料連続性及び形状適合性を有する、少なくとも1つの金属製又はセラミック製の構成要素と、熱可塑性ポリマーから形成されるか、または熱可塑性ポリマーによって形成される構成要素と、の接続を、確立又は分離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06794667B (zh) 填料热结合方法
JP7439304B2 (ja) 複合材接合装置及び複合材接合方法
JPH0419016B2 (ko)
CN109263054A (zh) 热熔熔接装置
JP7268977B2 (ja) 圧力調整ユニ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12094725A (ja) 実装装置および実装方法
JP3961068B2 (ja) 電子部品の樹脂封止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