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061B1 -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 - Google Patents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061B1
KR102187061B1 KR1020170036111A KR20170036111A KR102187061B1 KR 102187061 B1 KR102187061 B1 KR 102187061B1 KR 1020170036111 A KR1020170036111 A KR 1020170036111A KR 20170036111 A KR20170036111 A KR 20170036111A KR 102187061 B1 KR102187061 B1 KR 102187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housing
speaker
microphones
emergency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0126A (ko
Inventor
준이치 오쿠타니
에이키 후지이
키요시 미야자와
요시토 후지모토
야스히로 츠네키
슌지 무라오카
šœ지 무라오카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0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7Emergency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5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nitored vehicles as destination, e.g. accidents, stolen, rent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 H04M9/08Two-way loud-speaking telephone systems with means for conditioning the signal, e.g. for suppressing echoes for one or both directions of traffic
    • H04M9/082Two-way loud-speaking telephone systems with means for conditioning the signal, e.g. for suppressing echoes for one or both directions of traffic using echo canc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4Communication circuits for data transmission
    • B60R2021/01047Architecture
    • B60R2021/01054Bus
    • B60R2021/01061Bus between the airbag system and other vehicle electron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마이크에의 스피커의 영향을 저감하면서, 스피커와 마이크를 동일 하우징에 수납한 스피커·마이크 일체형의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통화장치(20)는, 마이크(M)를, 하우징(30)의 폭방향의 중심선(CL)을 대칭축으로 하는 축 대칭의 위치에 배치된 마이크(M1),(M2)와, 스피커(SP)에 대해서 마이크(M1),(M2)보다도 가까운 중심선(CL) 상의 위치에 배치된 마이크(M3)로 구성하고, 마이크(M1),(M3)에 접속되어, 중심선(CL)과는 수직인 2 방향의 지향성이 강하고, 중심선(CL)에 따른 2 방향의 지향성이 약한 쌍 지향성(102c)을 형성하는 빔 포머부(102)와, 빔 포머부(102)와 마이크(M3)에 접속되어, 빔 포머부(102)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에서 마이크(M3)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를 제거하는 에코 캔슬부(103)를 설치한 음성 처리부(100)를 부가하여 구비한다.

Description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HANDS-FREE CALLING DEVICE FOR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스피커와 마이크를 동일 하우징에 수납한 스피커·마이크 일체형의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차량 또는 탑승자에게 긴급사태가 생겼을 경우, 긴급통보 센터와 통화 회선을 접속하는 긴급통보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긴급통보 시스템에서는, 차량의 탑승자가, 차 실내에 설치된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용하여 핸즈프리로, 긴급통보 센터의 오퍼레이터와 통화할 수 있지만, 스피커로부터 나오는 통화음이 마이크에 돌아 들어가면, 시간 지연을 동반하여 통화 상대에게 에코(echo)로서 되돌아가서, 통화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적응 필터를 이용한 에코 캔슬러(echo canceler)가 이용되고 있다.
또, 이러한 긴급통보 시스템에서는, 차 실내에 스피커와 마이크가 각각 따로 설치되고, 차종에 의해 스피커와 마이크의 사이의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에코 캔슬러 등의 음성 처리를 차종에 맞추어 조정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긴급통보 시스템에서는, 스피커와 마이크를 동일 하우징에 수납한 스피커·마이크 일체형이고, 차종에 관계없이 스피커와 마이크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음성 처리를 차종에 맞추어 조정할 필요가 없는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9-290789호 공보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이와 같은 스피커와 마이크를 동일 하우징에 수납한 스피커·마이크 일체형의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에서는, 스피커와 마이크의 사이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스피커로부터 마이크로 돌아 들어가는 에코가 증대해서, 에코 캔슬러의 제어가 곤란하게 된다. 또한, 스피커로부터의 진동이 하우징을 개재하여 마이크에 전해지기 쉽다. 이와 같이, 스피커와 마이크를 동일 하우징에 수납한 스피커·마이크 일체형의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에서는, 마이크가 스피커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서 음질이 열화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마이크에의 스피커의 영향을 저감하면서, 스피커와 마이크를 동일 하우징에 수납한 스피커·마이크 일체형의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1. 차 실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통화 상대의 수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음성을 집음하는 마이크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스피커의 진동판의 중심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뻗는 1개의 선분을 대칭축으로 하는 축 대칭의 위치에 배치된 제1, 제2의 무 지향성 마이크와, 상기 스피커에 대해서 상기 제 1, 제2의 무 지향성 마이크보다도 가까운 상기 대칭축 위의 위치에 배치된 제3의 무 지향성 마이크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제2의 무 지향성 마이크에 접속되어, 상기 대칭축과는 수직인 2 방향의 지향성이 강하고, 상기 대칭축에 따른 2 방향의 지향성이 약한 쌍 지향성을 형성하는 빔 포머(beam former)부와, 상기 빔 포머부와 상기 제3의 무 지향성 마이크에 접속되어, 상기 빔 포머부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로부터 상기 제3의 무 지향성 마이크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를 제거하는 에코 캔슬부를 갖춘 음성 처리부를 부가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
이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에 의하면, 음성 처리부는, 제1, 제2의 무 지향성 마이크에 접속된 빔 포머부에 의해 대칭축과는 수직인 2 방향의 지향성이 강하고, 대칭축에 따른 2 방향의 지향성이 약한 쌍 지향성을 형성하므로, 즉, 마이크의 스피커 방향의 지향성을 약하게 하므로, 스피커로부터 마이크에 돌아 들어가는 에코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처리부는, 빔 포머부와 제3의 무 지향성 마이크에 접속된 에코 캔슬부에 의해 빔 포머부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로부터 제3의 무 지향성 마이크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를 제거하므로, 탑승자가 발성한 음성만을 고품질로 추출할 수 있다.
2.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차 실내에 있어서의 좌, 우 선 바이저(sun visor) 사이의 천정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면이 아래쪽으로 향하며, 상기 마이크가 상기 스피커의 뒤쪽에 위치하여, 상기 대칭축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
이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에 의하면, 차 실내에 있어서의 좌, 우 선 바이저 사이의 천정 중앙부로부터 보아서, 전후 방향의 지향성이 약해지고, 좌우 방향의 지향성이 강해지므로, 운전석 및 조수석의 탑승자의 음성을 집음할 수 있다.
3.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면에는, 상기 스피커의 상기 진동판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방음 구멍과, 상기 마이크를 수납하는 마이크 수납 오목부와, 상기 마이크 수납 오목부를 덮는 마이크 커버와, 상기 마이크 커버에 형성된 집음 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
이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에 의하면, 마이크는, 하우징의 일면측으로부터 마이크 수납 오목부에 수납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간단하게 된다.
4. 상기 마이크 수납 오목부에는, 상기 마이크를 개별적으로 수납하는 제1, 제2, 제3의 마이크 수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에 기재된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
이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에 의하면, 마이크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5. 상기 마이크의 외주에 끼워 장착된 상태로 상기 마이크와 함께 상기 제1, 제2, 제3의 마이크 수납부에 수납되어, 상기 마이크의 외주면과 상기 제 1, 제2, 제3의 마이크 수납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탄성재로 이루어진 마이크 홀더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에 기재된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
이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에 의하면, 하우징을 개재하여 마이크로 전해지는 스피커로부터의 진동을 마이크 홀더에 의해 저감할 수 있다.
6. 상기 마이크 커버에, 상기 마이크를 개별적으로 수납하는 제1, 제2, 제3의 마이크 수납부를, 상기 마이크 커버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형성하며, 상기 마이크 커버의 상기 마이크 수납 오목부로의 고정용에, 양면에 점착성을 형성한 쿠션재를 형성하여, 상기 마이크 수납 오목부와 상기 마이크 커버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에 기재된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
이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에 의하면, 하우징을 개재하여 마이크에 전해지는 스피커로부터의 진동을 쿠션재에 의해 저감할 수 있다.
7. 상기 마이크 수납 오목부에 끼워맞춤 가능한 통기성을 가지는 쿠션재를 형성하여, 상기 쿠션재에, 상기 마이크를 개별적으로 수납하는 제1, 제2, 제3의 마이크 수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에 기재된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
이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에 의하면, 하우징을 개재하여 마이크에 전해지는 스피커로부터의 진동을 쿠션재에 의해 저감할 수 있다.
8. 상기 마이크는, 상기 마이크의 진동판이, 상기 스피커의 상기 진동판의 진동 방향과는 수직인 2 방향으로 진동하는 상태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
이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에 의하면, 하우징을 개재하여 마이크에 전해지는 스피커로부터의 진동에 의한 마이크로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에의 스피커의 영향을 저감하면서, 스피커와 마이크를 동일 하우징에 수납한 스피커·마이크 일체형의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긴급통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긴급통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통화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A)는 통화장치의 정면을 위로 향한 상태에서 윗쪽에서 본 분해사시도, (B)는 통화장치의 정면을 위로 향한 상태에서 아래쪽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통화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통화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A-A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B-B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C-C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제2, 제3의 무 지향성 마이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통화장치의 정면을 위로 향한 상태에서 마이크의 수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분해 상태의 마이크 커버, 마이크 홀더, 마이크를 아래쪽에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마이크의 수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정면도이며, (A)는 마이크 수납 오목부의 정면도(마이크 커버의 정면도), (B)는 (A)의 마이크 커버를 투명화한 상태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의 정면도, (C)는 (B)의 마이크 홀더 및 마이크를 투명화한 상태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하우징의 내면을 나타내는 도이며, (A)는 프런트 케이스의 배면도, (B)는 리어 케이스(rear case)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6의 D-D단면도이다.
도 16은 음성 처리부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17은 마이크의 지향 특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2의 통화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통화장치의 정면을 위로 향한 상태에서 마이크의 수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분해 상태의 마이크 커버, 마이크 홀더, 마이크, 플레이트, 쿠션재를 아래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1은 마이크의 수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정면도이며, (A)는 마이크 수납 오목부의 정면도(마이크 커버의 정면도), (B)는 (A)의 마이크 커버를 투명화한 상태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의 정면도, (C)는 (B)의 마이크 홀더 및 마이크를 투명화한 상태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의 정면도, (D)는 (C)의 설치 플레이트 및 쿠션재를 투명화한 상태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18의 A-A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18의 B-B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8의 C-C단면도이다.
도 25는 실시예 1의 도 15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실시예 3의 통화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통화장치의 정면을 위로 향한 상태에서 마이크의 수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8은 마이크의 수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정면도이며, (A)는 마이크 수납 오목부의 정면도(마이크 커버의 정면도), (B)는 (A)의 마이크 커버를 투명화한 상태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의 정면도, (C)는 (B)의 마이크 앞면 누름용 스펀지를 투명화한 상태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 정면도, (D)는 (C)의 마이크 고정용 스펀지, 마이크 및 마이크 배면 누름용 스펀지를 투명화한 상태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의 정면도이다.
도 29는 도 26의 A-A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6의 B-B단면도이다.
도 31은 실시예 1의 도 15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32는 실시예 4의 통화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3은 통화장치의 정면을 위로 향한 상태에서 마이크의 수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4는 마이크의 수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정면도이며, (A)는 마이크 수납 오목부의 정면도(마이크 커버의 정면도), (B)는 (A)의 마이크 커버를 투명화한 상태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의 정면도, (C)는 (B)의 마이크 및 마이크 홀더를 투명화한 상태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의 정면도이다.
도 35는 도 32의 A-A단면도이다.
도 36은 도 32의 B-B단면도이다.
도 37은 도 32의 C-C단면도이다.
도 38은 실시예 1의 도 15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긴급통보 시스템(1)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낸다. 차량(2)은, 긴급통보 센터(5)와 무선통화 가능한 긴급통보 장치(10)를 탑재하여, 긴급 시에는 휴대전화기망이나 공중전화 회선망의 기지국(3) 및 네트워크(4)를 개재해서 긴급통보 센터(5)와 접속하여, 탑승자와 긴급통보 센터(5)의 오퍼레이터가 통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하면, 긴급통보 센터(5)의 오퍼레이터는 소방(6), 경찰(7), 또는, JAF(8)에 차량(2)으로 급행하도록 요청한다.
도 2는, 긴급통보 장치(10)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긴급통보 장치(10)는 긴급통보 ECU(1)에 의해 제어된다. 긴급통보 ECU(11)에는, GPS 위성으로부터의 전파에 의해 차량(2)의 위치를 검출하는 GPS 수신기(12), 에어백의 작동을 검출하는 에어백 스위치(13),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긴급통보 센터(5)와의 통화를 개시하는 통신 개시 스위치(14), 긴급통보 센터(5)와 접속하는 통신장치(15) 및 본 실시예의 스피커(SP)와 마이크(M)를 동일 하우징(30)에 수납한 스피커·마이크 일체형의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이하, "통화장치"라고 칭함.)(20)가 접속된다.
긴급통보 ECU(11)는, CPU, ROM, RAM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갖춘 컴퓨터로서 구성된다.
통신장치(15)는 예를 들면, 음성 통화 기능을 부착한 데이터 통신 유닛 또는 탑승자의 스마트폰이다. 통신장치(15)가 데이터 통신하는 경우, 통신장치(15)는 예를 들면, PPP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링크를 확립해서, 상위층인 TCP/IP 프로토콜 등에 의해 네트워크(4)를 개재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로써, 긴급 시에는 미리 긴급통보 ECU(l1)에 등록된 차종, 연료 종별, GPS 수신기(12)에 의해 취득한 차량(2)의 위치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 세트를 긴급통보 센터(5)에 자동으로 송신한다.
통신장치(15)가 스마트폰인 경우, 긴급통보 ECU(11)와 통신장치(15)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유선의 경우는 예를 들면, USB 케이블로 접속되고, 무선의 경우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등록상표) 통신규격에 의해 접속된다.
긴급통보 ECU(11)는, 스위치 등의 입력장치를 구비하고, 이 입력장치의 이용자 조작에 따라서 온 후크(on hook)/오프 후크(off hook) 명령을 통신장치(15)에 중계하여, 통신장치(15)에 온 후크/오프 후크 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 긴급 시, 에어백 스위치(13)가 에어백의 동작을 검출했을 경우, 또는 통신개시 스위치(13)가 조작된 경우, 긴급통보 ECU(11)는 미리 등록해 둔 전화번호를접속할 곳으로 설정하여 긴급통보 센터(5)와 접속한다.
통신장치(15)는, 긴급통보 센터(5)로부터 네트워크(4)를 개재하여 수신한 수화음성신호를 긴급통보 ECU(11)에 출력해서, 긴급통보 ECU(11)로부터 입력하는 송화 음성신호를 네트워크(4)를 개재하여 긴급통보 센터(5)에 송신한다.
긴급통보 ECU(11)는, 통신장치(15)로부터 입력하는 수화음성신호를 통화장치(20)로 출력해서, 통화장치(20)로부터 입력하는 송화 음성신호를 통신장치(15)에 출력한다.
도 3은, 통화장치(20)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다. 통화장치(20)는, 차 실내에 있어서의 좌, 우 선 바이저(sun visior)(2a), (2b)의 사이의 천정 중앙부(2c)에 배치된다. 도면에는 천정 중앙부(2c)에 배치된 오버헤드 콘솔(2d)에 조립해 넣은 예를 나타낸다. 오버헤드 콘솔(2d)에는, 내장하는 통화장치(20)의 스피커(SP)에서 출력되는 수화 음성을 차 실내에 방사하는 동시에, 탑승자가 발성하는 음성을 내장하는 통화장치(20)의 마이크(M)로 집음하기 위한 통음(통기)부(2e)가 설치되어 있다. 통화장치(20)에 의해 구체적인 설치 상태는 후술한다.
도 4는, 통화장치(20)의 분해사시도를, 도 5는, 통화장치(20)의 정면도를, 도 6은, 통화장치(20)의 측면도를, 도 7은, 도 5의 A-A단면도를, 도 8은, 도 5의 B-B단면도를, 도 9는, 도 5의 C-C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통화 장치(20)는, 주로, 통화장치(20)의 외곽(본 실시예에서는 폭 60mm×높이 65mm×안쪽길이 30mm의 상자 형상)을 형성하는 하우징(30)과, 하우징(30)에 수납되는 스피커(SP), 마이크(M), 음성 처리부(100)로 구성된다.
하우징(3)은, 프런트 케이스(40)와 리어 케이스(50)로 구성된다. 프런트 케이스(40)는, 절연성 합성 수지재를 성형하는 함으로써 형성되며, 직사각형의 앞면판(정면판)(41)과, 앞면판(41)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후방(배면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직사각형 틀 형상의 측벽(42)을 가진다. 리어 케이스(50)는, 절연성 합성 수지재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며, 직사각형의 후면판(배면판)(51)과, 후면판(51)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앞쪽(정면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직사각형 틀 모양의 측벽부(52)를 가진다. 그리고, 프런트 케이스(40)에 스피커(SP), 마이크(M), 음성 처리부(100)를 설치하고, 후술하는 음성 처리부(100)를 실장한 프린트 기판(104)으로부터 인출된 도시하지 않은 접속 케이블을 프런트 케이스(40)의 측벽(42)에 형성한 케이블 인출 구멍(43)으로부터 외부로 인출한 상태에서, 즉, 통화장치(20)의 조립 공정의 마지막에, 프런트 케이스(40)에 리어 케이스(50)를 접합하여 고정함으로써, 하우징(30)을 조립할 수 있고, 통화장치(20)가 조립된다. 프런트 케이스(40)와 리어 케이스(50)의 고정은, 서로 네 귀퉁이를 도시하지 않은 4개의 탭핑(tapping) 나사에 의해 체결하는 것으로 행해진다.
다음에, 스피커(SP)는, 하우징(30)의 정면에서 통화 상대(긴급통보 센터(5)의 오퍼레이터)의 수화 음성을 출력하는 것이며, 도 5,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정면, 즉, 프런트 케이스(40)의 앞면판(41)에 설치한 원형의 방음구멍(44)에 대향해서 그 안쪽에 부착된다.
스피커(SP)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진동계 유지부(60a)의 후단에 진동계 유지부(60a)보다도 작은 지름인 원통형상의 자기회로 유지부(60b)를 일체로 형성한 통형의 프레임(60)을 구비하고, 진동계 유지부(60a)의 앞단 개구부에 바깥 둘레 가장자리부가 고정된 직경 40mm의 돔형의 진동판(61)과, 진동판(61)의 후면에 고정된 통형상의 보빈(62)과, 보빈(62)의 후단에 설치된 보이스 코일(63)로, 전후방향으로 진동 가능한 진동계를 구성하여, 이 진동계와 자기회로 유지부(60b)에 끼워 맞추어 고정된 자기회로로 구성된다.
자기회로는, 원판형상의 요크(64)와, 요크(64)의 중앙부에 탑재 고정된 원기둥 형상의 안쪽 영구자석(inner permanent magnet)(65)과, 요크(64)의 외측부에 탑재 고정되며, 안쪽 영구자석(65)의 주위에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여 배치된 둥근 고리 형상의 바깥쪽 영구자석(outer permanent magnet)(66)과, 안쪽 영구자석(65)에 탑재 고정된 원판 형상의 이너 폴 피스(inner pole piece)(67)와, 바깥쪽 영구자석(66)에 탑재 고정되어, 이너 폴 피스(67)의 주위에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여 배치된 동근 고리 형상의 아우터 폴 피스(68)로, 안쪽, 바깥쪽 영구자석 (65),(66)의 틈새에서 자기 갭(magnetic gap)(69)을 형성한 내외자형(內外磁型)으로 구성되며, 자기갭(69)에 보이스코일(63)이 삽입 배치된다.
그리고, 프런트 케이스(40)의 앞면판(41)의 내면으로부터 방음구멍(44)의 주위에 돌출하여 설치된 스피커(SP) 설치용의 복수의 원호형상 리브(rib)(45)의 안쪽에, 프레임(60)의 진동계 유지부(60a)의 앞단을 끼워 맞추어 접착제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스피커(SP)는 그 프레임(60)을 개재해서 프런트 케이스(40)에 진동판(61)의 앞면을 방음구멍(44)에 대향한 상태로 부착된다.
또 음성 코일(63)으로부터 도출된 도시하지 않은 한 쌍의 리드선은 후술하는 음성 처리부(100)를 실장한 프린트 기판(104)에 접속하며, 음성 처리부(100)로부터 리드선을 개재하여 보이스코일(63)에 수화음성신호를 입력하면, 이 수화음성신호의 전류와 안쪽, 바깥쪽의 영구자석(65),(66)의 자계에 의해 보이스 코일(63)에 전자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보빈(62)이 진동판(61)을 수반하여 전후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이때, 진동판(61)으로부터 수화음성신호에 따른 수화음성이 방음구멍(44)을 통하여 하우징(30)의 앞쪽으로 방사된다. 즉, 동전형(electrokinetic type)의 스피커(SP)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동전형의 스피커(SP)는, 자기회로로서 내외자형의 자기회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내자형 또는 외자형의 자기회로에 비교해서, 높은 음압레벨을 얻기 쉽고, 긴급 시, 통화 상대(긴급통보 센터(5)의 오퍼레이터)의 수화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SP)로서 매우 적합하다. 또한, 자기회로는 내자형 또는 외자형이어도 된다.
그런데, 스피커(SP)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화장치(20)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스피커(SP)의 중심이 되는 진동판(61)의 중심(O)이 하우징(30)의 폭방향의 중심선(CL)상에 위치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 방음구멍(44)은 진동판(61)과 동심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도 5의 A-A선은 중심선(CL)과 일치한다.
다음에, 마이크(M)는, 하우징(30)의 정면에서 음성을 집음하는 것으로서, 도 5, 도 7 ~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 제3의 3개의 무 지향 마이크(M1), (M2), (M3)로 구성된다. 이들 제1, 제2, 제3의 무 지향 마이크(M1), (M2), (M3)(이하, 단순히, 마이크(M1), 마이크(M2), 마이크(M3)라고 칭함.)는,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 10은, 마이크(M1), (M2), (M3)의 구성을 나타낸다. 마이크(M1), (M2), (M3)는, 직경 4mm, 두께 1.5mm의 백 일렉트릭형(back electret type)의 일렉트릭 콘덴서마이크로 구성된다. 프린트 기판(70) 상에 배치한 링(71)이 황동으로 이루어진 전극(72)을 지지하고, 전극(72)과 프린트 기판(70)과의 사이에는 황동 링(73)이 설치된다. 또한, 전극(72)에 대향하여 테프론(등록상표)의 진동막(74)이 배치되고, 진동막(74)은 황동 링(75)에 의해 지지된다. 전극(72)과 진동막(74)과의 사이에 형성된 에어 갭에는 스페이서(76)가 배치된다. 그리고, 프린트 기판(70) 상의 케이스(77)가 상기 각 부분을 덮음으로써, 일렉트릭 콘덴서 마이크로폰의 외곽이 구성되며, 프린트 기판(70) 위에 배치한 정션(junction) FET(78)를 개재하여 증폭된 음성신호가 출력된다.
이러한 마이크(M1), (M2), (M3)는, 전극(72)에 근접하여 평행으로 진동판(74)이 배치되어 있으며, 전극(72)은, 전하가 갇힌(즉, 대전한 상태) 일렉트릭 막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외부로부터의 음향 신호가 진동판(74)을 프린트 기판(70)과 직교하는 2 방향(도 10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진동판(74)과 전극(72)과의 사이의 거리가 변동하고, 진동판(74)과 전극(72)과의 사이의 정전용량이 음향 신호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고저항을 개재하여 진동판(74)과 전극(72)과의 사이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면, 음향 신호를 전압의 변동으로서 꺼낼 수 있다. 또한 전극(72)은, 증착 등에 의해 금속을 붙인 플라스틱 필름이나, 황동 등의 금속 박막으로 형성되고, 코로나 방전 등에 의해 전하 주입이 이루어지며, 반영구적으로 전하를 축적하는 특성을 가진다.
하우징(30)의 정면(프런트 케이스(40)의 앞면판(41)의 외면)에는, 도 5, 도 7 ~ 도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스피커(SP)의 방음구멍(44)과 함께, 그 방음구멍(44)보다도 상부에서 마이크(M1), (M2), (M3)를 수납하는 마이크 수납 오목부(46)와, 마이크 수납 오목부(46)를 덮는 마이크 커버(80)와, 마이크 커버(80)에 형성된 제1, 제2, 제3의 3개의 집음 구멍(81a), (81b), (81c)(이하, 단순히 "집음 구멍(81a)", "집음 구멍(81b)", "집음 구멍(81c)"이라고 칭함.)을 형성하고 있다. 마이크 커버(80)는, 절연성 합성 수지재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마이크(M1), (M2), (M3)는, 마이크 수납 오목부(46) 내에 있어서, 마이크(M1), (M2)가 하우징(30)의 폭방향의 중심선(CL)을 대칭축으로 하는 축대칭의 위치에 배치되며, 마이크(M3)가 스피커(SP)에 대해서 마이크(M1), (M2)보다도 가까운 대칭축 상의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하우징(30)의 폭방향의 중심선(CL)은, 스피커(SP)의 진동판(61)의 중심(0)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뻗는 1개의 선분에 상당한다.
도 11은, 통화장치(20)의 정면을 위로 향한 상태로 마이크(M1), (M2), (M3)의 수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2는, 분해 상태의 마이크 커버(80), 마이크 폴더(90a), (90b), (90c), 마이크(M1), (M2), (M3)를 아래쪽으로부터 본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또, 도 13은, 마이크(M1), (M2), (M3)의 수납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A)는 마이크 수납 오목부(46)의 정면도(마이크 커버(80)의 정면도), (B)는 (A)의 마이크 커버(80)를 투명화한 상태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46)의 정면도, (C)는 (B)의 마이크폴더(90a), (90b), (90c), 마이크(M1), (M2), (M3)를 투명화한 상태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46)의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마이크 수납 오목부(46)는, 하우징(30)의 정면에 있어서의 방음구멍(44)보다 상부에, 직사각형 판 모양으로 형성된 마이크 커버(80)가 정확하게 끼워 넣어진 직사각형 오목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직사각형 오목부의 바닥면에는, 개개의 마이크(M1), (M2), (M3)를 수납하는 원형 모양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제1, 제2, 제3의 3개의 마이크 수납부(47a), (47b), (47c)(이하, 단순히 "마이크 수납부(47a)", "마이크 수납부(47b)", "마이크 수납부(47c)"라고 칭함.)와 마이크 커버(8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의 나사 고정용의 보스부(82)를 삽입하는 복수의 오목부(48)를 형성해서, 마이크 수납부(47a), (47b), (47c)의 바닥면에, 마이크(MI), (M2), (M3)의 프린트 기판(70)으로부터 도출된 도시하지 않은 리드선을 하우징(30)의 내면(프런트 케이스(40)의 앞면판(41)의 내면)으로 끌어 넣기 위한 제1, 제2. 제3의 3개의 리드구멍(49a), (49b), (49c)(이하, 단순히 "리드구멍(49a)", "리드구멍(49b)", "리드구멍(49c)"라고 칭함.)을, 또한, 오목부(48)의 바닥면에, 나사 삽입통과구멍(48a)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마이크(M1), (M2), (M3)는, 마이크 (M1), (M2), (M3)의 진동판(74)이스피커(SP)의 진동판(61)의 진동 방향과 동일 방향(전후방향)으로 진동하고, 마이크(M1), (M2), (M3)의 집음면이 스피커(SP)로부터의 음성 출력 방향과 동일 방향(앞쪽)을 향해서 설치되는 자세로, 마이크 수납부(47a), (47b), (47c)에 수납된다.
그리고, 마이크(Ml), (M2), (M3)는, 하우징(30)의 정면측(프런트 케이스(40)앞면판(41)의 앞쪽)으로부터 마이크 수납 오목부(46)의 마이크 수납부(47a),(47b), (47c)에 수납한 후, 하우징(30)의 정면측으로부터 마이크 수납 오목부(46)에 마이크 커버(80)를 끼워 넣어서, 하우징(30)에 마이크 커버(80)를 고정함으로써, 마이크 커버(80)의 내면에서 마이크(M1),(M2),(M3)를 누르면서, 마이크(M1),(M2),(M3)의 집음면에 집음 구멍(81a),(81b),(81c)을 대향한 상태로, 마이크 수납 오목부(46)에 유지되어, 상기의 위치에 상기 자세로 배치된다. 마이크 커버 (80)의 고정은, 프런트 케이스(40)의 앞면판(41)의 후방으로부터 각 나사 삽입통과구멍(48a)을 통해 마이크 커버(80)의 각 보스부(82)에 도시하지 않은 탭핑(tapping) 나사를 비틀어 넣음으로써 행한다.
또, 마이크(M1,(M2),(M3)의 외주에 끼워 장착된 상태로 마이크(M1),(M2),(M3)와 함께, 마이크 수납부(47a),(47b),(47c)에 수납되어 마이크(M1),(M2),(M3)의 외주면과 마이크 수납부(47a),(47b),(47c)와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고무탄성재(elastomer))로 이루어지는 통 형상의 제1, 제2, 제3의 3개의 마이크 홀더(90a),(90b),(90c)를 설치하고 있으며, 하우징(30)을 개재하여 마이크(M1), (M2), (M3)에 전해지는 스피커(SP)로부터의 진동을 마이크 홀더(90a),(90b),(90c)에서 흡수해서 저감할 수 있다.
도 14는, 하우징(30)의 내면을 나타내는 도이며, (A)는, 프런트 케이스(40)의 배면도, (B)는, 리어 케이스(50)의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또, 도 15는, 도 6의 D-D단면도를 나타낸다.
프런트 케이스(40)의 앞면판(41)의 내면에 있어서의 스피커 설치용의 원호형상 리브(rib)(45)의 주위에는, 도 14(A),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집 구조의 보강 리브(40a)를 형성하고 있고, 또한, 리어 케이스(50)의 후면판(51)의 내면에도, 벌집 구조의 보강 리브(50a)를 형성하고 있으며, 보강 리브(40a),(50a)에 의해 하우징(30)의 강성을 높임으로써, 하우징(3O)을 개재하여 마이크(M1),(M2),(M3)에 전해지는 스피커(SP)로부터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6은, 음성 처리부(100)의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다. 음성 처리부(100)는, 증폭부(101), 빔 포머부(102), 에코 캔슬부(103)를 구비한 IC로 구성되고, 통신 장치(15)로 수신되어 긴급통보(ECU)(11) 경유에 의해 입력된 수화 음성 신호는, 증폭(101)로 증폭된 후, 스피커(SP)로부터 출력된다. 또, 마이크(M1),(M2),(M3)로부터 입력된 각 음성 신호는, 빔 포머부(102), 에코 캔슬부(103)에서 후술하는 신호 처리를 실시한 후, 긴급통보(ECU)(11) 경유에 의해 통신 장치(15)로 출력되어 긴급통보 센터(5)에 송신된다.
빔 포머부(102)는, 마이크(Ml),(M2)에 접속되어, 한쪽의 마이크(M2)의 출력을 마이크(M1),(M2)의 집음면의 중심의 사이의 거리(X) (본 실시예에서는 43mm)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지연부(10a)와, 지연부(102a)의 출력을 다른 한쪽의 마이크(M1)의 출력에 가산하는 가산부(102b)를 구비하고,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폭방향의 중심선(CL)과는 수직인 2 방향(하우징(30)의 폭방향에서 마이크(M1), (M2)의 배열 방향의 좌우 방향)의 지향성이 강하고, 하우징(30)의 폭방향의 중심선(CL)에 따른 2 방향 (하우징(30)의 높이 방향에서 스피커(SP)와 마이크(M)의 사이의 배열 방향의 상하 방향)의 지향성이 약한 쌍지향성(102c)을 형성한다. 또한, 스피커(SP)의 진동판(61)의 중심(0)으로부터, 마이크(M1),(M2)의 집음면의 중심의 사이를 잇는 직선과 하우징(30)의 폭방향의 중심선(CL)과의 교점까지의 거리는 31.5mm이다.
에코 캔슬부(103)는, 마이크(M3) 및 가산부(102b)에 접속되어, 마이크(M3)의 출력을 마이크(Ml),(M2)의 집음면의 중심과 스피커 SP의 진동판(61)의 중심의 사이의 거리(Yl),(Y2) (Yl=Y2=Y)와 마이크(M3)의 집음면의 중심과 스피커(SP)의 진동판(61)의 중심(0)의 사이의 거리(Y3) (본 실시예에서는 24mm)의 차이(Y-Y3)에 따른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지연부(103a)와, 지연부(103a)의 출력을 빔 포머부(102)의 가산부(l02b)의 출력에 가산하는 가산부(103b)를 구비하고, 빔 포머부(102)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에서 마이크(M3)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를 제거한다. 즉, 빔 포머부(102)의 출력에 포함되는 스피커(SP)로부터의 음성 신호(잔류 에코)를 제거한다.
그런데, 음성 처리부(100)는, 프린트 기판(104)에 실장되어 하우징(30)에 수된다. 프린트 기판(104)은, 도 7 ∼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런트 케이스(40)에 설치되어, 하우징(30) 내에 있어서의 스피커(SP)의 후단과 리어 케이스(51)의 후면판(51)과의 틈새에 수납된다.
그리고, 통화장치(2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 실내에 있어서의 좌, 우 선 바이저(2a),(2b) 사이의 천정 중앙부(2c)에 배치된 오버헤드 콘솔(overhead console)(2d) 내에 있어서, 하우징(3O)의 정면(프런트 케이스(40)의 전면판(41)의 외면)이 아래쪽을 향하여 그 바로 아래에 있는 통음부(2e)와 대향하고, 하우징(30)의 전후 측면이 차량(2)의 전후방향으로 향해서 마이크(M)가 스피커(SP)의 뒤쪽에 위치하며, 하우징(30)의 폭방향의 중심선(CL)이 차량(2)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상태로 배치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예의 통화장치(20)에서는, 차 실내에 설치되는 하우징(30)과, 하우징(30)에 수납되고, 하우징(30)의 정면으로부터 통화 상대의 수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SP)와, 하우징(30)에 수납되어, 하우징(30)의 정면으로부터 음성을 집음하는 마이크(M)를 구비하고, 마이크(M)는, 하우징(30)의 폭방향의 중심선(CL)을 대칭축으로 하는 축 대칭의 위치에 배치된 마이크(M1),(M2)와, 스피커(SP)에 대해서 마이크(M1),(M2)보다도 가까운 중심선(CL) 상의 위치에 배치된 마이크(M3)로 구성되며, 마이크(M1),(M3)에 접속되어, 중심선(CL)과는 수직인 2 방향의 지향성이 강하고, 중심선(CL)에 따른 2 방향의 지향성이 약한 쌍 지향성(102c)을 형성하는 빔 포머부(102)와, 빔 포머부(102)와 마이크(M3)에 접속되어, 빔 포머부 (102)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에서 마이크(M3)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를 제거하는 에코 캔슬부(103)을 설치한 음성 처리부(100)를 부가하여 구비한다.
그리고, 음성 처리부(100)는, 마이크(M1),(M2)에 접속된 빔 포머부(102)에 의해서 중심선(CL)과는 수직인 2 방향의 지향성이 강하고, 중심선(CL)에 따른 2 방향의 지향성이 약한 쌍 지향성(102c)를 형성하므로, 즉, 마이크(M1),(M2)의 스피커 (SP) 방향의 지향성을 약하게 하므로, 스피커(SP)로부터 마이크(M1),(M2)에 돌아 들어가는 에코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처리부(100)는, 빔 포머부(102)와 마이크(M3)에 접속된 에코 캔슬부(103)에 의해 빔 포머부(102)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에서 마이크(M3)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를 제거하므로, 탑승자가 발성한 음성만을 고품질로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M)에의 스피커(SP)의 영향을 저감하면서, 스피커(SP)와 마이크(M)를 동일 하우징(30)에 수납한 스피커·마이크 일체형의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하우징(30)은, 차 실내에 있어서의 좌, 우 선 바이저(2a),(2b) 사이의 천정 중앙부(2c)에 있어서 하우징(30)의 정면이 아래쪽으로 향하며, 마이크(M)가 스피커 (SP)의 뒤쪽에 위치하여, 중심선(CL)이 차량(2)의 전후 방향으로 뻗는 상태로 배치된다. 이로써, 차 실내에 있어서의 좌, 우 선 바이저(2a),(2b) 사이의 천정 중앙부(2e)로부터 보아서, 전후방향의 지향성이 약해지고, 좌우 방향의 지향성이 강해지므로, 운전석 및 조수석의 탑승자의 음성을 집음할 수 있다.
또, 하우징(30)의 정면에는, 스피커(SP)의 진동판(61)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방음구멍(44)과 마이크(M)를 수납하는 마이크 수납 오목부(46)와, 마이크 수납 오목부(46)를 덮는 마이크 커버(80)와, 마이크 커버(80)에 형성된 집음 구멍(81a), (81b),(81e)를 형성한다. 이로써, 마이크(M)는, 하우징(30)의 정면측으로부터 마이크 수납오목부(46)에 수납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간단하게 된다.
또, 마이크 수납 오목부(46)에는, 마이크(M1),(M2),(M3)를 개별적으로 수납하는 마이크 수납부(47a),(47b),(47c)를 형성한다. 이로써, 마이크(M1),(M2),(M3)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마이크(M1),(M2),(M3)의 외주에 끼워 장착된 상태로 마이크(M1),(M2),(M3)와 함께 마이크 수납부(47a),(47b),(47e)에 수납되고, 마이크 (M1),(M2),(M3)의 외주면과 마이크 수납(47a),(47b),(47c)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고무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마이크 홀더(90a),(90b),(90c)를 설치한다. 이로써, 하우징(30)을 개재하여 마이크(M1),(M2),(M3)에 전해지는 스피커(SP)로부터의 진동을 마이크 홀더(90a),(90b),(90c)에 의하여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0)을 개재하여 마이크(M1),(M2),(M3)에 전해지는 스피커(SP)로부터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다른 구조에 대하여, 이하, 실시예 2∼4에 의해 설명한다.
도 18은, 실시예 2의 통화장치(200)의 정면도를, 도 19는, 통화장치(200)의 정면을 위로 향한 상태에서 마이크(M1),(M2),(M3)의 수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를, 도 20은, 도 19의 분해 상태의 마이크 커버(280), 마이크 홀더(90a),(90 b),(90c), 마이크(M1),(M2),(M3), 설치 플레이트(203), 쿠션재(202)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를, 도 21은, 마이크(M1),(M2),(M3)의 수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정면도이며, (A)는 마이크 수납 오목부(246)의 정면도(마이크 커버(280)의 정면도)를, (B)는 (A)의 마이크 커버(280)를 투명화한 상태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246)의 정면도를, (C)는 (B)의 마이크 홀더(90a),(90b),(90c) 및 마이크(M1),(M2),(M3)를 투명화한 상태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246)의 정면도를, (D)는 (C)의 플레이트(203) 및 쿠션재(202)를 투명화한 상태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246)의 정면도를, 도 22는, 도 18의 A-A단면도를, 도 23은, 도 18의 B-B단면도를, 도 24는, 도 18의 C-C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또, 통화장치(200)의 측면도는, 실시예 l의 도 6에 도시한 측면도와 동일하다. 그리고, 도 25는, 실시예 1의 도 15(도 6의 D-D단면도)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스피커(SP)와 마이크(M)를 동일 하우징(30)에 수납한 스피커·마이크 일체형의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이하, "통화장치"라고 칭한다.)(200)에서는, 마이크 커버(280)는, 마이크 수납 오목부(246)에 끼워 넣었을 때, 하우징(30)에 접촉하지 않도록, 마이크 수납 오목부(246)의 개구 형상보다 한 단계 작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주위에 틈새(201)를 형성한다. 그리고, 마이크 (M1),(M2),(M3)는 마이크 커버(280)에 설치되며, 마이크 커버(280)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246)에 고정을, 양면에 점착성을 형성한 쿠션재(202)로 행한다. 이로써, 하우징(30)을 개재하여 마이크(M1),(M2),(M3)에 전해지는 스피커(SP)로부터의 진동을 쿠션재(202)에 의하여 저감한다.
또, 마이크(M1),(M2),(M3)의 마이크 커버(280)에의 설치는, 마이크 커버(280)의 배면 측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여 평행으로 고정하는 설치 플레이트 (203)를 설치해서, 마이크 커버(280)와 설치 플레이트(203)와의 사이에 마이크(M1),(M2),(M3)를 끼우는 것으로써 실시한다. 설치 플레이트(203)는, 절연성 합성 수지재를 성형하는 것으로써 형성된다.
마이크 커버(280)의 내면에 있어서, 마이크 커버(280)에 형성된 3개의 제1, 제2, 제3의 3개의 집음 구멍(281a),(281b),(281c) (이하, 단순히 "집음 구멍(281a), "집음 구멍(281b)", "집음 구멍(281c)" 라고 칭함)에 대응하는 3개의 위치에는, 제l, 제2, 제3의 3개의 원기둥형의 보스부(282a),(282b),(282c)(이하, 단순히, "보스부(282a)", "보스부(282b)", "보스부(282c)"라고 칭한다.)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각 보스부(282a),(282b),(282c)의 축방향의 후단면에는, 둥근 형상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제1, 제2, 제3의 3개의 마이크 수납부(247a),(247b),(247c)(이하, 단순히, "마이크 수납부(247a)", "마이크 수납부(247b)", "마이크 수납부(247c)" 라고 칭한다.)가 설치된다. 또, 마이크 커버(280)의 내면에는, 복수의 위치 결정 핀(204) 및 나사 고정용의 복수의 보스부(205)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마이크 커버(280)의 내면에 대향하는 설치 플레이트(203)의 전면에 있어서, 마이크 수납부(247a),(247b),(247c)에 대향하는 3개의 위치에는, 제1, 제2, 제3의 3개의 둥근 형상의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마이크 누름부(206a),(206b), (206c) (이하, 단순히 "마이크 누름부(206a)", "마이크 누름부(206b)", "마이크 누름부(206c)"라고 칭함. )가 돌출 형성된다. 또, 설치 플레이트(203)에는, 각 위치결정 핀(204)에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결정구멍(207) 및 나사 고정용의 각 보스부(205)에 대응하는 복수의 나사 삽입통과구멍(208)이 형성된다.
그리고, 마이크(M),(M2),(M3)를 마이크 커버(280)의 마이크 수납부(247a),(247b),(247c)에 수납한 후, 마이크 커버(280)의 배면 측에 설치 플레이트(203)를 소정 간격을 형성해서 평행하게 고정함으로써, 마이크(M1),(M2),(M3)는, 설치 플레이트(203)의 마이크 누름부(206a),(206b),(206c)의 단부면에 의해서 누를 수 있으며, 마이크(M1),(M2),(M3)의 집음면을 마이크 커버(280)의 집음 구멍(281a),(281b),(281c)에 대향한 상태로, 마이크 커버(280)의 마이크 수납부 (247a),(247b),(247c)에 유지된다. 여기서, 마이크(M1),(M2),(M3)는, 그 외주에 마이크 홀더(90a),(90b),(90c)를 끼워 장착한 상태로, 마이크 커버(280)의 마이크 수납부(247a),(247b),(247c)에 수납한다. 또, 설치 플레이트(203)의 마이크 커버(280)에의 고정은, 설치 플레이트(203)의 각 위치결정구멍(207)에 마이크 커버(280)의 각 위치결정핀(204)을 끼워맞춘 위치 결정 상태에서, 설치 플레이트( 203)의 배면측으로부터 각 나사 삽입통과구멍(208)을 통해서 마이크 커버(280)의 각 보스부(205)에 도시하지 않는 탭핑(tapping) 나사를 비틀어 넣음으로써 행한다.
또, 이와 같이, 마이크(M1),(M2),(M3)를 마이크 커버(280)에 설치한 후, 하우징(30)의 정면측(프런트 케이스(40)의 앞면판(41)의 앞쪽)으로부터 마이크 수납 오목부(246)에 마이크 커버(280)를 끼워 넣어서, 하우징(30)에 마이크 커버(80)를 고정함으로써, 마이크(M1),(M2),(M3)는, 하우징(30)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46)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동일 위치에 동일 자세로 수납배치된다.
마이크 수납 오목부(246)의 둘레 벽부의 상부 중앙부 및 하부 양쪽 단부의 3개의 위치에는, 마이크 커버(280)를 마이크 수납 오목부(246)에 끼워 넣었을 때, 마이크 커버(280)의 내면의 바깥쪽 가장자리부를 당접시켜서, 마이크 커버(280)의 외면이 하우징(30)의 정면과 한면이 되는 상태에서, 마이크 커버(280)를 마이크 수납 오목부(246)의 개구부에 지지하기 위한 폭이 일정한 커버 접촉부(209)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커버 접촉부(211)의 앞쪽 단부면에 폭이 일정한 테이프 형상으로 양면에 점착성을 형성한 쿠션재(202)가 접착되어 부착되어 있다. 쿠션재(202)는, 예를 들면 폭이 일정한 테이프 형상의 스펀지 기재의 양면에 양면 점착테이프를 접착하여 부착하는 또는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마이크(Ml),(M2),(M3)를 마이크 커버(280)에 설치한 후, 하우징(30)의 정면측으로부터 마이크 수납 오목부(246)에 마이크 커버(280)를 끼워 넣으면, 마이크 커버(280)의 내면의 바깥쪽 가장자리부가 쿠션재(202)에 접착되므로, 마이크 커버(280)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246)에의 고정이 쿠션재(202)로 행해지고, 또한, 마이크 커버(280)가 하우징(30)에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30)을 개재하여 마이크(M1),(M2),(M3)에 전해지는 스피커(SP)로부터의 진동이 저감한다.
또한, 설치 플레이트(203)는, 마이크 커버(280)와 일체적으로 마이크 수납 오목부(246)에 끼워 넣었을 때, 하우징(30)에 접촉되지 않도록, 마이크 커버(280)와 동일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마이크 커버(280)의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커버 접촉부(209)와의 간섭(접촉)을 방지하는 노치부(210)를 형성하고 있다.
또, 설치 플레이트(203)의 마이크 누름부(206a),(206b),(206c)에는, 마이크 (M1),(M2),(M3)의 리드 선을 설치 플레이트(203)의 배면측의 수납 오목부(246)의 바닥부에서 꺼내기 위한 제1, 제2, 제3의 3개의 리드구멍(211a),(2l1b),(211c)(이하, 단순히 "리드구멍(211a)", "리드구멍(211b)", "리드구멍(210c)" 이라고 칭한다.)이 형성되어 있으며, 설치 플레이트(203)의 배면에 대향하는 마이크 수납 오목부(246)의 바닥면에는, 리드구멍(211a),(211b),(211c)에 대향하여, 마이크(M1),(M2),(M3)의 리드 선을 하우징(30)의 내면(프런트 케이스(40)의 앞면판(41)의 내면)으로 끌어 넣기 위한 제1, 제2, 제3의 3개의 리드구멍(249a),(249b),(249c)을 형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예의 통화장치(200)에서는, 마이크 커버(280)에, 마이크(M1),(M2),(M3)를 개별적으로 수납하는 마이크 수납부(247a),(247b),(247c)를, 마이크 커버(28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설치하여, 마이크 커버(280)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246)에의 고정용으로, 양면에 점착성을 형성한 쿠션재(202)를 설치하여, 마이크 수납 오목부(246)와 마이크 커버(280)의 사이에 틈새(201)를 형성한다. 이로써, 하우징(30)을 개재하여 마이크(M1),(M2),(M3)에 전해지는 스피커(SP)로부터의 진동을 쿠션재(202)에 의해 저감할 수 있다.
도 26은, 실시예 3의 통화장치(300)의 정면도를, 도 27은, 통화장치(300)의 정면을 위로 향한 상태에서 마이크(M1),(M2),(M3)의 수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를, 도 28은, 마이크(M1),(M2),(M3)의 수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정면도이며, (A)는 마이크 수납 오목부(346)의 정면도(마이크 커버(380)의 정면도)를, (B)는 (A)의 마이크 커버(380)를 투명화한 상태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346)의 정면도를, (C)는 (B)의 마이크 앞면 누름용 스펀지(303)를 투명화한 상태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346)의 정면도를, (D)는 (C)의 마이크 고정용 스펀지(301), 마이크(M1),(M2),(M3) 및 마이크 배면 누름용 스폰지(302)를 투명화한 상태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346)의 정면도를, 도 29는, 도 26의 A-A단면도를, 도 30은, 도 26의 B-B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또, 통화장치(300)의 측면도는, 실시예 1의 도 6에 나타낸 측면도와 동일하다. 그리고, 도 31은, 실시예 l의 도 15(도 6의 D-D단면도)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스피커(SP)와 마이크(M)를 동일 하우징(30)에 수납한 스피커·마이크 일체형의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이하, "통화장치"라고 칭한다.)(300)에서는, 통기성을 가짐과 동시에 마이크 수납 오목부(346)와 대략 동일한 외부형상으로 형성되어 마이크 수납 오목부(346)에 자유 상태로 끼워 맞춤 가능한 쿠션재인 블록형상의 마이크 고정(위치 결정)용 스펀지(301)를 설치하고, 이 마이크 고정 스펀지(301)에, 마이크(M1),(M2),(M3)와 대략 동일 직경을 가지고 자유 상태로 마이크(M1),(M2),(M3)를 개별적으로 수납 가능한 원형의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제2, 제3의 3개의 마이크 수납부(347a),(347b),(347c)(이하, 단순히, "마이크 수납부(347a)", "마이크 수납부(347b)", "마이크 수납부(347e)"라고 칭한다.)를 형성한다. 이로써, 하우징(30)을 개재하여 마이크(M1),(M2),(M3)에 전해지는 스피커(SP)로부터의 진동을 마이크 고정용 스펀지(301)에 의해 저감한다.
또, 마이크(M1),(M2),(M3)와 대략 동일 직경을 가지고 자유 상태로 마이크 수납부(347a),(347b),(347c)에 마이크(M1),(M2),(M3)보다 먼저 수납되어, 마이크 (M1), (M2), (M3)의 배면을 누르는 원기둥형상의 마이크 배면 누름용 스펀지(302)와, 마이크 수납 오목부(346)와 대략 동일한 외부형상으로 형성되고, 마이크 고정용 스펀지(301)의 앞면에 중첩되어, 마이크(M1),(M2),(M3)의 집음면(앞면)을 누르는 판 형상의 마이크 앞면 누름용 스펀지(303)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마이크(M1), (M2), (M3)를 마이크 수납 오목부(346)에 수납하려면, 하우징(30)의 정면측(프런트 케이스(40)의 앞면판(41)의 앞쪽)으로부터 마이크 수납 오목부(346)에 마이크 고정용 스펀지(301)를 끼워 넣고, 이 마이크 고정용 스펀지(301)의 마이크 수납부(347a),(347b),(347c)에 마이크 배면 누름용 스펀지(302)를 끼워 넣은 후, 동일 마이크 수납부(347a),(347b),(347c)에 마이크(M1),(M2),(M3)를 수납한다. 그리고, 마이크 고정용 스펀지(301)의 앞면에 마이크 앞면 누름용 스펀지(303)을 중첩한 후, 하우징(30)의 정면측으로부터 마이크 수납 오목부(346)에 마이크 커버(380)를 끼워 넣고, 하우징(30)에 마이크 커버(380)를 고정함으로써, 마이크(M1),(M2),(M3)는, 하우징(30)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346)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 자세로 수납배치된다.
또, 마이크 수납 오목부(346)의 둘레 벽부에는, 마이크 커버(380)를 하우징(30)의 정면측으로부터 수납 오목부(346)에 끼워 넣었을 때, 마이크 커버(380)의 내면의 바깥쪽 가장자리부를 당접시켜, 마이크 커버(380)의 외면이 하우징(30)의 정면과 한면이 되는 상태에서, 마이크 커버(380)를 마이크 수납 오목부(346)의 개구부에 지지하기 위한 커버 접촉부(304)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마이크 커버(380)의 고정은, 커버 접촉부(301)의 앞쪽 단부면에 접착되어 부착된 도시하지 않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 실시된다.
또, 마이크 커버(380)에는, 그 바깥쪽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부분에 다수의 작은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집음 구멍(381)이 형성된다.
또, 마이크 수납 오목부(346)의 바닥면에는, 마이크 배면 누름용 스펀지(302)의 후단면에 대향해서, 마이크(M1),(M2),(M3)의 리드선을 하우징(30)의 내면(프런트 케이스(40)의 앞면판(41)의 내면)으로 끌어 넣기 위한 제1, 제2, 제3의 3개의 리드구멍(349a),(349b),(349c)을 형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예의 통화장치(300)에서는, 마이크 수납 오목부(346)에 끼워 맞춤 가능한 통기성을 가진 마이크 고정용 스펀지(301)를 설치하고, 마이크 고정용 스펀지(301)에, 마이크(M1),(M2),(M3)를 개별적으로 수납하는 마이크 수납부(347a),(347b),(347e)를 형성한다. 이로써, 하우징(30)을 개재하여 마이크(M1),(M2),(M3)에 전해지는 스피커(SP)로부터의 진동을 마이크 고정용 스펀지(301)에 의해 저감할 수 있다.
도 32는, 실시예 4의 통화장치(400)의 정면도를, 도 33은, 통화장치(400)의 정면을 위로 향한 상태에서 마이크(Ml),(M2),(M3)의 수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를, 도 34는, 마이크(M1),(M2),(M3)의 수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정면도이며, (A)는 마이크 수납 오목부(446)의 정면도(마이크 커버(480)의 정면도)를, (B)는 (A)의 마이크 커버(380)을 투명화한 상태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346)의 정면도를, (C)는 (B)의 마이크(M1),(M2),(M3) 및 마이크 홀더(90a),(90b),(90c)를 투명화한 상태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446)의 정면도를, 도 35는, 도 32의 A-A단면도를, 도 36은, 도 32의 B-B단면도를, 도 37은, 도 32의 C-C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또, 통화장치(400)의 측면도는, 실시예 1의 도 6에 나타낸 측면도와 대략 동일하다. 그리고, 도 38은, 실시예 1의 도 15(도 6의 D-D단면도)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실시예 1 ∼ 3의 통화장치(20),(200),(300)에서는, 마이크(Ml),(M2),(M3)는, 그 진동판(74)이 스피커(SP)의 진동판(61)의 진동 방향(전후방향)과 동일 방향에서 진동하는 상태로 설치, 즉, 마이크(Ml),(M2),(M3)의 집음면(앞면)을 하우징(30)의 정면으로 향한 상태로 마이크 수납 오목부(46),(246),(346)의 마이크 수납부(47 a),(47b),(47c),(247a),(247b),(247c),(347a),(347b),(347c)에 수납하여 설치했지만, 본 실시예의 스피커(SP)와 마이크(M)를 동일 하우징(30)에 수납한 스피커·마이크 일체형의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이하, "통화장치"라고 칭한다. )(400)에서는, 마이크(Ml),(M2),(M3)는, 그 진동판(74)이 스피커(SP)의 진동판(61)의 진동 방향과는 수직 방향(좌우 방향이나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상태로 설치, 즉, 마이크(M1),(M2),(M3)의 측면을 하우징(30)의 정면으로 향한 상태로 마이크 수납 오목부(446)에 수납해서 설치한다. 이로써, 하우징(30)을 개재하여 마이크(M1),(M2),(M3)에 전해지는 스피커(SP)로부터의 진동에 의한 마이크(M1), (M2),(M3)에의 영향을 저감한다.
마이크 수납 오목부(446)는, 하우징(30)의 정면에 있어서의 방음 구멍(44)보다도 상부에,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된 마이크 커버(480)가 정확히 끼워 넣는 직사각형 오목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직사각형 오목부의 바닥면에는, 개개의 마이크(M1),(M2),(M3)를 이것에 외부에서 끼워진 마이크 홀더(90a),(90b),(90c)와 함께 수납하는 직사각형상(하우징(30)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제l, 제2, 제3의 3개의 마이크 수납부(447a),(447b),(447c)(이하, 단순히 "마이크 수납부(447a)", "마이크 수납부(447b)", "마이크 수납부(447c)"라고 칭함)와, 마이크 수납부(447a),(447b),(447c)의 일측면에 형성된 직사각형상(하우징(30)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제1, 제2, 제3의 3개의 음도(301a),(301b),(301c)를 형성하고, 마이크 수납부(447a),(447b),(447c)의 바닥면에, 마이크(Ml),(M2),(M3)의 프린트 기판(70)으로부터 도출된 도시하지 않은 리드 선을 하우징(30)의 내면(프런트 케이스(40)의 앞면판(41)의 내면)으로 끌어 넣기 위한 제1, 제2, 제 3의 3개의 리드구멍(449a),(449b),(449c)을 형성하고 있다. 또, 마이크 커버(480)의 집음 구멍(481a),(481b),(481c)은, 음도(301a),(301b),(301c)에 대향하는 3개의 위치에 형성하고 있다.
또, 빔 형성용의 마이크(M1), (M2)를 수용하는 마이크 수납부(447a),(447b)는, 그 음도(301a),(301b)를 형성하는 일측면이 하우징(30)의 폭방향(좌우 방향)에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마이크(M1),(M2)를 그 집음면이 하우징(30)의 폭방향에서 대향하도록 수납한다. 한편, 에코 캔슬용의 마이크(M3)를 수납하는 마이크 수납부(447c)는, 그 음도(301c)를 형성하는 일측면이 스피커(SP)와 반대측(윗쪽)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있으며, 마이크(M3)를 그 배면이 스피커(SP)측(아래쪽 방향)으로 향하도록 수납한다.
그리고, 마이크(M1),(M2),(M3)는 이것에 외부 쪽에서 끼워진 마이크 홀더(90 a),(90b),(90c)와 함께, 하우징(30)의 정면측(프런트 케이스(40)의 앞면판(41)의 앞쪽)으로부터 마이크 수납 오목부(446)의 마이크 수납부(447a),(447b),(447c)에 수납한 후, 하우징(30)의 정면측으로부터 마이크 수납 오목부(446)에 마이크 커버 (480)을 끼워 넣고, 하우징(30)에 마이크 커버(480)를 고정함으로써, 마이크 커버 (480)의 내면에서 마이크(M1),(M2),(M3)를 누르면서, 음도(301a),(301b),(301c)에 집음 구멍(81a),(81b),(81c)을 대향한 상태로, 마이크 수납 오목부(446)에 유지되어, 실시예 1과 동일 위치에 배치된다. 마이크 커버(480)의 마이크 수납 오목부(446)에의 고정은, 마이크 커버(480)의 내면에 도시하지 않은 양면 점착 테이프로 실시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예의 통화장치(400)에서는, 마이크(M1),(M2),(M3)는, 그 진동판(74)이 스피커(SP)의 진동판(61)의 진동 방향과는 수직 방향(좌우 방향이나 상하 방향)에서 진동하는 상태로 설치한다. 이로써, 하우징(30)을 개재하여 마이크(M1),(M2),(M3)에 전해지는 스피커(SP)로부터의 진동에 의한 마이크(M1),(M2),(M3)에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SP : 스피커
M1, M2, M3 : 마이크
CL : 하우징의 폭방향의 중심선
O : 진동판의 중심
1 : 긴급통보 시스템
2 : 차량
2a, 2b : 좌, 우 선 바이저(sun visior)
2c : 천정 중앙부
20 : 통화장치
30 : 하우징
44 : 방음 구멍
46 : 마이크 수납 오목부
47a, 47b, 47e : 마이크 수납부
61 : 진동판
80 : 마이크 커버
81a, 81b, 81c : 집음 구멍
90a, 90b, 90c : 마이크 홀더
100 : 음성 처리부
102 : 빔 형성부
103 : 에코 캔슬부

Claims (8)

  1. 차 실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통화 상대의 수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음성을 집음하는 마이크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스피커의 진동판의 중심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뻗는 1개의 선분을 대칭축으로 하는 축 대칭의 위치에 배치된 제1, 제2의 무 지향성 마이크와, 상기 스피커에 대해서 상기 제 1, 제2의 무 지향성 마이크보다도 가까운 상기 대칭축 위의 위치에 배치된 제3의 무 지향성 마이크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제2의 무 지향성 마이크에 접속되어, 상기 대칭축과는 수직인 2 방향의 지향성이 강하고, 상기 대칭축에 따른 2 방향의 지향성이 약한 쌍 지향성을 형성하는 빔 포머(beam former)부와, 상기 빔 포머부와 상기 제3의 무 지향성 마이크에 접속되어, 상기 빔 포머부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로부터 상기 제3의 무 지향성 마이크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를 제거하는 에코 캔슬부를 갖춘 음성 처리부를 부가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차 실내에 있어서의 좌, 우 선 바이저(sun visor) 사이의 천정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면이 아래쪽으로 향하며, 상기 마이크가 상기 스피커의 뒤쪽에 위치하여, 상기 대칭축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면에는, 상기 스피커의 상기 진동판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방음 구멍과, 상기 마이크를 수납하는 마이크 수납 오목부와, 상기 마이크 수납 오목부를 덮는 마이크 커버와, 상기 마이크 커버에 형성된 집음 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수납 오목부에는, 상기 마이크를 개별적으로 수납하는 제1, 제2, 제3의 마이크 수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의 외주에 끼워 장착된 상태로 상기 마이크와 함께 상기 제1, 제2, 제3의 마이크 수납부에 수납되어, 상기 마이크의 외주면과 상기 제 1, 제2, 제3의 마이크 수납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탄성재로 이루어진 마이크 홀더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커버에, 상기 마이크를 개별적으로 수납하는 제1, 제2, 제3의 마이크 수납부를, 상기 마이크 커버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형성하며, 상기 마이크 커버의 상기 마이크 수납 오목부로의 고정용에, 양면에 점착성을 형성한 쿠션재를 형성하여, 상기 마이크 수납 오목부와 상기 마이크 커버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수납 오목부에 끼워맞춤 가능한 통기성을 가지는 쿠션재를 형성하여, 상기 쿠션재에, 상기 마이크를 개별적으로 수납하는 제1, 제2, 제3의 마이크 수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마이크의 진동판이, 상기 스피커의 상기 진동판의 진동 방향과는 수직인 2 방향으로 진동하는 상태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




KR1020170036111A 2016-07-20 2017-03-22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 KR1021870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42334A JP6634354B2 (ja) 2016-07-20 2016-07-20 緊急通報システム用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
JPJP-P-2016-142334 2016-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126A KR20180010126A (ko) 2018-01-30
KR102187061B1 true KR102187061B1 (ko) 2020-12-04

Family

ID=59315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111A KR102187061B1 (ko) 2016-07-20 2017-03-22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13084B2 (ko)
EP (1) EP3273671B1 (ko)
JP (1) JP6634354B2 (ko)
KR (1) KR102187061B1 (ko)
CN (1) CN107645584B (ko)
TW (1) TWI7221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28975B2 (ja) * 2016-04-19 2019-06-12 マツダ株式会社 緊急通報装置及び緊急通報システム
WO2018216694A1 (ja) * 2017-05-24 2018-11-29 株式会社トランストロン 車載装置
US11689850B2 (en) 2018-10-11 2023-06-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ound source separation device,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EP3650275B1 (en) * 2018-11-06 2024-02-28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Invisible headliner microphone
JP7139272B2 (ja) * 2019-03-20 2022-09-20 株式会社トランストロン 車載装置
JP2022087575A (ja) * 2020-12-01 2022-06-13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用発音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3773A2 (en) 2003-05-19 2004-12-02 Gentex Corporation Rearview mirror assemblies incorporating hands-free telephone components
WO2010009414A1 (en) 2008-07-18 2010-01-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nhanced intelligibility
WO2014203380A1 (ja) 2013-06-20 2014-12-24 株式会社トランストロン ハンズフリー通話補助装置及びハンズフリー通話補助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4051A (ja) * 1998-12-15 2000-06-30 Nec Corp 音声会議装置及び集音方法
GB2367730B (en) * 2000-10-06 2005-04-27 Mitel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far-end speech effects in hands-free telephony systems using acoustic beamforming
CA2354858A1 (en) * 2001-08-08 2003-02-08 Dspfactory Ltd. Subband directional audio signal processing using an oversampled filterbank
JP4161685B2 (ja) * 2002-11-11 2008-10-08 株式会社デンソー 音声入出力装置
JP2004309536A (ja) * 2003-04-02 2004-11-04 Tokai Rika Co Ltd 音声処理装置
US7403611B1 (en) * 2004-04-13 2008-07-22 Fortemedia, Inc. Small size hands-free speakerphone apparatus
US20070165875A1 (en) * 2005-12-01 2007-07-19 Behrooz Rezvani High fidelity multimedia wireless headset
JP4802808B2 (ja) * 2006-03-28 2011-10-2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通話装置
JP2007336132A (ja) * 2006-06-14 2007-1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コー抑圧装置
CN101198235B (zh) * 2006-12-08 2011-05-18 美商富迪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以及将麦克风安装于该电子装置中的方法
JP4700673B2 (ja) * 2007-11-15 2011-06-1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エコー消去方法、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9290789A (ja) 2008-05-30 2009-12-10 Toyota Motor Corp 緊急通報システム、緊急通報方法
US8401178B2 (en) * 2008-09-30 2013-03-19 Apple Inc. Multiple microphone switching and configuration
CN101510426B (zh) * 2009-03-23 2013-03-27 北京中星微电子有限公司 一种噪声消除方法及系统
KR20110106715A (ko) * 2010-03-23 2011-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후방 잡음 제거 장치 및 방법
US9025782B2 (en) * 2010-07-26 2015-05-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multi-microphone location-selective processing
FR2974655B1 (fr) * 2011-04-26 2013-12-20 Parrot Combine audio micro/casque comprenant des moyens de debruitage d'un signal de parole proche, notamment pour un systeme de telephonie "mains libres".
JP5545676B2 (ja) * 2011-11-07 2014-07-09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車室内のマイクアレイ配置構造
US10229697B2 (en) * 2013-03-12 2019-03-1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forming to obtain voice and noise signals
WO2015009748A1 (en) * 2013-07-15 2015-01-22 Dts, Inc. Spatial calibration of surround sound systems including listener position estimation
TW201507489A (zh) * 2013-08-09 2015-02-16 Nat Univ Tsing Hua 利用陣列麥克風消除迴聲的方法
CN104464739B (zh) * 2013-09-18 2017-08-11 华为技术有限公司 音频信号处理方法及装置、差分波束形成方法及装置
EP2996112B1 (en) * 2014-09-10 2018-08-22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Adaptive noise control system with improved robustness
US20160275961A1 (en) * 2015-03-18 2016-09-22 Qualcomm Technologies International, Ltd. Structure for multi-microphone speech enhanc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3773A2 (en) 2003-05-19 2004-12-02 Gentex Corporation Rearview mirror assemblies incorporating hands-free telephone components
WO2010009414A1 (en) 2008-07-18 2010-01-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nhanced intelligibility
WO2014203380A1 (ja) 2013-06-20 2014-12-24 株式会社トランストロン ハンズフリー通話補助装置及びハンズフリー通話補助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14588A (ja) 2018-01-25
US20180027369A1 (en) 2018-01-25
EP3273671A1 (en) 2018-01-24
US9913084B2 (en) 2018-03-06
CN107645584B (zh) 2020-09-25
CN107645584A (zh) 2018-01-30
TW201804780A (zh) 2018-02-01
EP3273671B1 (en) 2019-03-13
KR20180010126A (ko) 2018-01-30
TWI722150B (zh) 2021-03-21
JP6634354B2 (ja)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7061B1 (ko) 긴급통보 시스템용 핸즈프리 통화장치
JP4307488B2 (ja) 骨伝導デバイスユニット並びに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及びヘッドセット
CN105745119B (zh) 头枕装置以及声音采集装置
AU2013350472B2 (en) Bone-conduction speaker unit
CN108551639B (zh) 扬声器模组及便携终端
US8213644B2 (en) Vibration speaker having comfortable contacting face plate and portable terminal
WO2005096664A1 (ja) ハイブリッドスピーカ及びハイブリッドスピーカユニット
WO2013164999A1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WO2004082327A1 (ja) 骨伝導デバイス
CN111655537B (zh) 用于车辆座椅的具有扬声器的头枕
US20200053443A1 (en) Speaker Assembly
CN109863756B (zh) 骨传导扬声器及骨传导头戴式耳机装置
WO2002019765A1 (en) Near-field speaker/microphone acoustic/seismic dampening communication device
WO2008066303A1 (en) Vibration speaker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CN209390326U (zh) 扬声器模组
CN210781329U (zh) 扬声器箱
CN209897258U (zh) 一种微型发声器件
CN110352600B (zh) 音响装置
CN213126465U (zh) 发声单体及扬声器
CN111800531B (zh) 听筒模组和电子设备
CN1878429B (zh) 整合有麦克风的耳机装置
CN214101658U (zh) 一种发声装置
JP2602620Y2 (ja) スピーカ内蔵機器
CN212125003U (zh) 汽车
CN102711011A (zh) 双回路电声转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