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513B1 - 커리큘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커리큘럼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커리큘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커리큘럼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513B1
KR102186513B1 KR1020180152849A KR20180152849A KR102186513B1 KR 102186513 B1 KR102186513 B1 KR 102186513B1 KR 1020180152849 A KR1020180152849 A KR 1020180152849A KR 20180152849 A KR20180152849 A KR 20180152849A KR 102186513 B1 KR102186513 B1 KR 102186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iculum
initial
instructor
lectur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5918A (ko
Inventor
임태형
황소연
Original Assignee
임태형
황소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형, 황소연 filed Critical 임태형
Priority to KR1020180152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513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리큘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커리큘럼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리큘럼 관리 서버가 공급자(강사, 교사, 교수 등) 단말기에 의해 초기 교육과정이 결정되면 그 초기 교육과정이 시초 제약 조건(학교의 경우 국가 교육과정이고, 학원의 경우 강의실 수 등 물리적인 제약 조건임)에 부합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부합될 경우 초기 교육과정을 수요자(학습자, 학부모) 단말기에 전송하고 수요자 단말기로부터 선호 강의 과목이 입력되면 강의 장소에 대한 요일별 시간에 대한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을 결정하고,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교육 목표의 우선순위(교육 목표, 학생 선호, 강사-강의 조건 및 수익률 중에서의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예컨대, 강사선호일 경우 해당과목의 교사수를 반드시 X 명으로 둔다. 'XXX 강의실은 반드시 2시간 연강으로 한다', '월요일 1,2교시에 XXX 강사는 배제한다'등)이 입력되면 이에 따라 강사-강의실을 연결하는 이분매칭으로 구현하여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에 강사를 배치하고 운영하는, 커리큘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커리큘럼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리큘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커리큘럼 관리 방법{CURRICULUM MANAGEMENT SERVER AND CURRICULUM MANAGEMENT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커리큘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커리큘럼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리큘럼 관리 서버가 공급자(강사, 교사, 교수 등) 단말기에 의해 초기 교육과정이 결정되면 그 초기 교육과정이 시초 제약 조건(학교의 경우 국가 교육과정이고, 학원의 경우 강의실 수 등 물리적인 제약 조건임)에 부합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부합될 경우 초기 교육과정을 수요자(학습자, 학부모) 단말기에 전송하고 수요자 단말기로부터 선호 강의 과목이 입력되면 강의 장소에 대한 요일별 시간에 대한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을 결정하고,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교육 목표의 우선순위(교육 목표, 학생 선호, 강사-강의 조건 및 수익률 중에서의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예컨대, 강사선호일 경우 해당과목의 교사수를 반드시 X 명으로 둔다. 'XXX 강의실은 반드시 2시간 연강으로 한다', '월요일 1,2교시에 XXX 강사는 배제한다'등)이 입력되면 이에 따라 강사-강의실을 연결하는 이분매칭으로 구현하여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에 강사를 배치하고 운영하는, 커리큘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커리큘럼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의 보급률 확대에 따라, 학습자가 온라인 교육 컨텐츠를 제공받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온라인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교육 기관은 상기 온라인 교육 컨텐츠를 제공 시, 학습자의 교육 컨텐츠 선택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온라인 컨텐츠의 속성, 강사 등 온라인 컨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함께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온라인 컨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가 제공되더라도, 학습자가 자신의 성향에 맞는 맞춤형 온라인 컨텐츠를 선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온라인 컨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가 학습자의 특정 성향 별로 세분화된 온라인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거나, 학습자가 자신의 성향에 대하여 충분히 숙지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다반사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학습자가 온라인 교육 컨텐츠를 수강하기 전에, 설문이나 테스트를 통해 학습자의 성향을 판단하고, 판단된 학습자의 성향 별로 매칭되는 온라인 컨텐츠를 추천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국내 특허 공개 2017-0097871호 공보에는 학습자와 성향이 매칭되는 선행 학습자가 미리 경험한 학습 커리큘럼을 기초로 학습자에게 개인화된 학습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학습 커리큘럼 제공 시스템은 학습자의 성향에 맞는 학습 커리큘럼을 제공하기 때문에 공급자(강사, 교사 등)의 교육과정 및 시초 제약 조건(국가 교육과정, 강의실 수 등과 같은 물리적인 제약 조건 등)이 반영된 커리큘럼을 작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요자의 선호 과목, 공급자의 교육과정, 시초 제약 조건이 반영된 커리큘럼을 자동으로 작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커리큘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커리큘럼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리큘럼 관리 서버는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초기 교육과정 선택이 이루어진 후 입력된 초기 교육과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초기 교육과정 수신부; 상기 초기 교육과정이 시초 제약 조건에 부합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초기 교육과정 적정성 결정부; 상기 초기 교육과정이 상기 시초 제약 조건에 부합되면 수요자 단말기에 상기 초기 교육과정의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수요자 단말기로부터 수요자가 선호하는 강의 과목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요자 선호 강의 과목 수신부; 상기 수요자가 선택한 강의 과목별 선택수를 기초로 강의 장소에 대한 요일별 시간에 대한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 결정부;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커리큘럼 결정을 위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을 입력하라고 안내하여 상기 공급자 단말기로부터 공급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을 수신하는 교육 목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 수신부;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우선순위 및 제약조건에 따라 강사-강의실을 연결하는 이분 매칭으로 구현하여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에 강사를 배치하는 이분 매칭부; 상기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에 강사를 배치한 결과가 상기 제약 조건에 부합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강사 배치 결과의 제약 조건 부합 여부 결정부; 상기 강사 배치 결과가 상기 제약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강사 배치 결과를 상기 공급자 단말기 및 수요자 단말기에 전송한 후 만족도를 조사하여 상기 공급자와 수요자가 모두 만족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강사 배치 결과 만족 여부 결정부; 및 상기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강사 배치 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커리큘럼 관리 서버는 상기 만족도에 의해 상기 강사 배치 결과에 대한 불만 주체 및 불만 내용을 분석하여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불만 내용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커리큘럼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불만 내용 분석부에 의해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불만 주체 및 불만 내용이 제공되어,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새로운 커리큘럼 결정을 위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이 입력되면, 상기 이분 매칭부가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새롭게 입력된 우선순위에 따라 강사-강의실을 연결하는 이분 매칭으로 구현하여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에 강사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커리큘럼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초기 교육과정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고 추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교육 목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 수신부가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새롭게 입력된 교육 목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교육 목표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교육 목표에 상응하는 초기 교육과정을 안내하는 초기 교육과정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커리큘럼 관리 방법은 (a)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초기 교육과정 선택이 이루어진 후 입력된 초기 교육과정의 정보를 초기 교육과정 수신부가 수신하는 단계; (b) 초기 교육과정 적정성 결정부가 데이터베이스에서 시초 제약 조건(학교의 경우 국가 교육과정이고, 학원의 경우 강의실 수를 포함하는 물리적인 제약 조건)을 판독하여 상기 초기 교육과정이 시초 제약 조건에 부합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초기 교육 과정이 상기 시초 제약 조건에 부합되면, 수요자 선호 강의 과목 수신부가 수요자 단말기에 상기 초기 교육 과정의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수요자 단말기로부터 수요자가 선호하는 강의 과목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d)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 결정부가 상기 수요자가 선택한 강의 과목별 선택수를 기초로 강의 장소에 대한 요일별 시간에 대한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단계; (e) 교육 목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 수신부가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커리큘럼 결정을 위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을 입력하라고 안내하여 상기 공급자 단말기로부터 공급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f) 이분 매칭부가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우선순위 및 제약조건에 따라 강사-강의실을 연결하는 이분 매칭으로 구현하여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에 강사를 배치하는 단계; (g) 강사 배치 결과의 제약 조건 부합 여부 결정부에 의해 상기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에 강사를 배치한 결과가 상기 제약 조건에 부합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h) 상기 강사 배치 결과가 상기 제약 조건에 부합하면, 강사 배치 결과 만족 여부 결정부가 상기 강사 배치 결과를 상기 공급자 단말기 및 수요자 단말기에 전송한 후 만족도를 조사하여 상기 공급자와 수요자가 모두 만족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i) 상기 (h) 단계에서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강사 배치 결과가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커리큘럼 관리 방법은 (j) 불만 내용 분석부가 상기 만족도에 의해 상기 강사 배치 결과에 대한 불만 주체 및 불만 내용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커리큘럼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j) 단계 후에는, (k)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새로운 커리큘럼 결정을 위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이 입력되면, 상기 이분 매칭부가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새롭게 입력된 우선순위에 따라 강사-강의실을 연결하는 이분 매칭으로 구현하여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에 강사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k) 단계 후에는 상기 (c)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커리큘럼 관리 방법은 (l)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초기 교육 과정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고 추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교육 목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 수신부가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새롭게 입력된 교육 목표를 수신하는 단계; 및 (m) 초기 교육 과정 안내부가 상기 수신된 교육 목표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교육 목표에 상응하는 초기 교육 과정을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m) 단계 후에는 상기 (b)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의한 커리큘럼 관리 서버 및 방법에 의하면,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초기 교육과정 선택이 이루어진 후 입력된 초기 교육과정의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시초 제약 조건을 판독하여 상기 초기 교육과정이 시초 제약 조건에 부합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초기 교육 과정이 상기 시초 제약 조건에 부합되면, 수요자 선호 강의 과목 수신부가 수요자 단말기에 상기 초기 교육 과정의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수요자 단말기로부터 수요자가 선호하는 강의 과목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요자가 선택한 강의 과목별 선택수를 기초로 강의 장소에 대한 요일별 시간에 대한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을 결정하며;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커리큘럼 결정을 위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을 입력하라고 안내하여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상기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을 수신하며;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우선순위 및 제약조건에 따라 강사-강의실을 연결하는 이분 매칭으로 구현하여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에 강사를 배치하며; 상기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에 강사를 배치한 결과가 상기 제약 조건에 부합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강사 배치 결과가 상기 제약 조건에 부합하면, 강사 배치 결과 만족 여부 결정부가 상기 강사 배치 결과를 상기 공급자 단말기 및 수요자 단말기에 전송한 후 만족도를 조사하여 상기 공급자와 수요자가 모두 만족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모두 만족여부 결정단계에서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강사 배치 결과가 저장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수요자의 선호 과목, 공급자의 교육과정, 시초 제약 조건이 반영된 커리큘럼을 자동으로 작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리큘럼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리큘럼 관리 서버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리큘럼 관리 서버를 이용한 커리큘럼 관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리큘럼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리큘럼 관리 서버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리큘럼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자 단말기(100), 커리큘럼 관리 서버(200) 및 수요자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공급자 단말기(100)는 강사, 교사, 교수 등이 소지한 단말기로서, 자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교육과정 입력 모드를 선택한 후 커리큘럼 관리 서버(200)에 초기 교육과정의 정보와, 우선순위(교육 목표, 학생 선호, 강사-강의 조건 및 수익률 중에서의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예컨대, 강사선호일 경우 해당과목의 교사수를 반드시 X 명으로 둔다. 'XXX 강의실은 반드시 2시간 연강으로 한다', '월요일 1,2교시에 XXX 강사는 배제한다'등)을 입력하며, 또한 강사 배치 결과에 대한 만족도 정보(만족, 불만족, 불만내용 포함)와 교육 목표를 입력하는 역할을 한다.
공급자 단말기(100)는 예컨대,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넷북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커리큘럼 관리서버(2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통신 방식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수요자 단말기(300)는 수강하고자 하는 학습자 및 학부모가 소지한 단말기로서, 커리큘럼 관리서버(200)에 선호하는 강의 과목에 대한 정보와, 강사 배치 결과에 대한 만족도 정보(만족, 불만족, 불만내용 포함)를 입력하는 역할을 한다.
수요자 단말기(300)는 예컨대,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넷북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커리큘럼 관리서버(2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통신 방식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커리큘럼 관리서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교육과정 수신부(210), 초기 교육과정 적정성 결정부(220), 수요자 선호 강의 과목 수신부(230),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 결정부(240), 교육 목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 수신부(250), 이분 매칭부(260), 강사 배치 결과의 제약 조건 부합 여부 결정부(270), 강사 배치 결과 만족 여부 결정부(280), 불만 내용 분석부(290), 초기 교육과정 안내부(294)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초기 교육과정 수신부(210)는 공급자 단말기(210)에 의해 초기 교육과정 선택이 이루어진 후 입력된 초기 교육과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초기 교육과정 적정성 결정부(220)는 초기 교육과정 수신부(210)에 의해 수신된 초기 교육과정이 시초 제약 조건(학교의 경우 국가 교육과정이고, 학원의 경우 강의실 수를 포함하는 물리적인 제약 조건)에 부합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시초 제약 조건은 데이터베이스가 이미 가지고 있는 조건일 경우 데이터베이스에서 인출해오고, 없다면 공급자 단말기(100)에 의해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요자 선호 강의 과목 수신부(230)는 초기 교육과정이 시초 제약 조건에 부합되면 수요자 단말기(300)에 초기 교육과정의 정보를 전송하여 수요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요자가 선호하는 강의 과목의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 결정부(240)는 수요자가 선택한 강의 과목별 선택수(강의 과목별로 수요자 단말기에 의해 수강신청 된 수)를 기초로 강의 장소에 대한 요일별 시간에 대한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교육 목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 수신부(250)는 공급자 단말기(100)에 커리큘럼 결정을 위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을 입력하라고 안내하여 상기 공급자 단말기(100)로부터 공급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을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분 매칭부(260)는 공급자 단말기(100)에 의해 입력된 교육 목표, 학생 선호, 강사-강의 조건 및 수익률에 대한 우선순위 및 제약조건에 따라 강사-강의실을 연결하는 이분 매칭으로 구현하여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 결정부(240)에 의해 결정된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에 강사를 배치하는 역할을 한다.
강사 배치 결과의 제약 조건 부합 여부 결정부(270)는 이분 매칭부(260)에 의한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에 강사를 배치한 결과가 상기 제약 조건에 부합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강사 배치 결과 만족 여부 결정부(280)는 이분 매칭부(260)에 의한 강사 배치 결과가 제약 조건에 부합하면, 강사 배치 결과를 공급자 단말기(100) 및 수요자 단말기(300)에 전송한 후 만족도를 조사하여 상기 공급자와 수요자가 모두 만족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베이스는 커리큘럼 관리 서버(2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강사 배치 결과 만족 여부 결정부(280)에 의해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강사 배치 결과를 저장하며, 위에 설명한 시초 제약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는 연산을 위한 각종 함수 값, 변수 값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불만 내용 분석부(290)는 공급자 단말기(100) 및 수요자 단말기(300)에 의해 입력된 강사 배치 결과에 대한 만족도 정보(만족, 불만족, 불만내용 포함)에 의해 강사 배치 결과에 대한 불만 주체 및 불만 내용을 분석하여 공급자 단말기(100)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초기 교육과정 안내부(294)는 수신된 교육 목표를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데이터처리하고, 이산푸리에 변환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교육 목표에 상응하는 초기 교육과정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리큘럼 관리 서버를 이용한 커리큘럼 관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리큘럼 관리 서버를 이용한 커리큘럼 관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로서, 여기서 S는 스텝(step)을 의미한다.
먼저, 공급자 단말기(100)에 의해 초기 교육과정 선택(초기 교육과정 버튼이 존재함)이 이루어지고(S10의 YES), 초기 교육과정이 입력된 후 초기 교육과정 수신부(210)가 이 초기 교육과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S20), 공급자 단말기(100)에 포함된 초기 교육과정 결정 버튼에 의해 초기 교육과정이 결정된다(S30).
이어서, 초기 교육과정 적정성 결정부(220)가 데이터베이스에서 시초 제약 조건(학교의 경우 국가 교육과정이고, 학원의 경우 강의실 수를 포함하는 물리적인 제약 조건)을 판독하여(S40) 초기 교육과정이 시초 제약 조건에 부합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S50).
상기 스텝(S50)에서 초기 교육 과정이 시초 제약 조건에 부합되면(YES), 수요자 선호 강의 과목 수신부(230)가 수요자 단말기(300) 및 공급자 단말기(100)의 계정을 준비하여(S60), 수요자 단말기(300)에 초기 교육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S70), 수요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요자가 선호하는 강의 과목의 정보를 수신한다(S80).
이어서,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 결정부(240)가 수요자가 선택한 강의 과목별 선택수를 기초로 강의 장소에 대한 요일별 시간에 대한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을 결정한다(S90).
이후, 교육 목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 수신부(250)가 공급자 단말기(100)에 커리큘럼 결정을 위한 우선순위(교육 목표, 학생 선호, 강사-강의 조건 및 수익률에 대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예컨대, 강사선호일 경우 해당과목의 교사수를 반드시 X 명으로 둔다. 'XXX 강의실은 반드시 2시간 연강으로 한다', '월요일 1,2교시에 XXX 강사는 배제한다'등)을 입력하라고 안내하여(S100), 공급자 단말기(100)로부터 공급자에 의해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이 입력된 후 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110).
이어서, 이분 매칭부(260)가 공급자 단말기(100)에 입력된 우선순위 및 제약조건에 따라 강사-강의실을 연결하는 이분 매칭으로 구현하여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에 강사를 배치한다(S120).
이후, 강사 배치 결과의 제약 조건 부합 여부 결정부(270)에 의해 상기 스텝(S120)에서의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에 강사를 배치한 결과가 상기 제약 조건에 부합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S130).
상기 스텝(S130)에서 강사 배치 결과가 제약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NO) 상기 스텝(S120)으로 진행되는 한편, 강사 배치 결과가 제약 조건에 부합하면(YES), 강사 배치 결과 만족 여부 결정부(280)가 강사 배치 결과를 공급자 단말기(100) 및 수요자 단말기(300)에 전송한 후(S140), 만족도를 조사하여 공급자와 수요자가 모두 만족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S150).
상기 스텝(S150)에서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되면(YES), 데이터베이스에 강사 배치 결과가 저장된 후(S160) 종료된다.
한편, 상기 스텝(S150)에서 모두 만족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NO), 불만 내용 분석부(290)가 만족도 조사에 의해 강사 배치 결과에 대한 불만 주체 및 불만 내용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공급자 단말기(100)에 제공하고(S170), 공급자 단말기(100)에 의해 새로운 새로운 커리큘럼 결정을 위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이 입력되면(S180), 이분 매칭부(260)가 공급자 단말기(100)에 의해 새롭게 입력된 우선순위에 따라 강사-강의실을 연결하는 이분 매칭으로 구현하여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에 강사를 배치한 후(S190), 상기 스텝(S60)으로 진행된다.
한편, 상기 스텝(S50)에서 초기 교육 과정이 시초 제약조건에 부합되지 않으면(NO), 초기 교육과정 적정성 결정부(220)가 공급자 단말기(100)로 하여금 초기 교육과정을 수정하도록 한 후(S200), 상기 스텝(S50)을 반복하게 한다.
한편, 공급자 단말기(100)에 의해 초기 교육 과정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고(S10의 NO), 추천 모드가 선택되면(S210의 YES), 공급자 단말기(100)에 의해 교육 목표가 새롭게 입력된 후 교육 목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 수신부(250)가 공급자 단말기(100)에 의해 새롭게 입력된 교육 목표를 수신하고(S220), 초기 교육 과정 안내부(294)가 수신된 교육 목표를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데이터 처리하고, 이산푸리에 변환 방법을 통해 분석하여 그 분석된 교육 목표에 상응하는 초기 교육 과정을 공급자 단말기(100)에 안내한 후(S230), 상기 스텝(S40)으로 진행된다.
한편,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강사 배치 결과가 저장되는 스텝(S160)이후에, 학생들을 각 반에 자동으로 배정시키는 스텝을 추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스텝(S160)에서 저장되는 강사 배치 결과를 기초로 해서 설정된 A, B, 과목을 선택한 학생을 중심으로 가장 비슷하게 선택한 학생들끼리 그룹화하고, 그룹화된 학생들을 각 반에 배정하였을 때, 최대한 비슷한 수가 나오도록 다시 이분 매칭한 후, 매칭이 완료된 학생 그룹을 성적순(또는 남녀 순, 또는 계열 순)으로 정렬하여, 다시 각 반에 최종 배정시키는 스텝을 추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학생들이 각 반에 자동 배정되는 스텝이후에 실제 운영과정에서 결강되는 수업에 따른 교체 수업과 보강 수업의 스텝을 추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학생들이 각 반에 자동 배정되는 스텝이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강사 배치 결과와 상기 각 반에 배정된 학생들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결강되는 수업을 다른 수업과 교체하여 진행하거나, 또는 다른 시간에 보강 수업으로 배정하여 진행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과학강사가 A반 월요일 2교시에 결강을 하게 될 경우, 영어강사가 A 반 화요일 1교시 수업인데, 월요일 2교시 수업이 가능하며, 과학강사 또한 화요일 1교시가 가능하다고 할 때 이를 자동으로 찾아내어 상호 수업 시간과 장소를 교체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교체 방법이 있다.
또한 커러큘럼 관리 서버에서 보강이 가능한 강사(교사)를 찾아내어 월요일 2교시에 보강 수업을 진행시키는 방법, 또는 보강이 가능한 비어있는 시간을 찾아내어 해당 강사가 다른 날에 보강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보강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리큘럼 관리 서버 및 방법에 의하면,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초기 교육과정 선택이 이루어진 후 입력된 초기 교육과정의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시초 제약 조건을 판독하여 상기 초기 교육과정이 시초 제약 조건에 부합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초기 교육 과정이 상기 시초 제약 조건에 부합되면, 수요자 선호 강의 과목 수신부가 수요자 단말기에 상기 초기 교육 과정의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수요자 단말기로부터 수요자가 선호하는 강의 과목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요자가 선택한 강의 과목별 선택수를 기초로 강의 장소에 대한 요일별 시간에 대한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을 결정하며;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커리큘럼 결정을 위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을 입력하라고 안내하여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상기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을 수신하며;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우선순위 및 제약조건에 따라 강사-강의실을 연결하는 이분 매칭으로 구현하여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에 강사를 배치하며; 상기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에 강사를 배치한 결과가 상기 제약 조건에 부합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강사 배치 결과가 상기 제약 조건에 부합하면, 강사 배치 결과 만족 여부 결정부가 상기 강사 배치 결과를 상기 공급자 단말기 및 수요자 단말기에 전송한 후 만족도를 조사하여 상기 공급자와 수요자가 모두 만족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모두 만족여부 결정단계에서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강사 배치 결과가 저장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수요자의 선호 과목, 공급자의 교육과정, 시초 제약 조건이 반영된 커리큘럼을 자동으로 작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는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공급자 단말기
200: 커러큘럼 관리 서버
300: 수요자 단말기

Claims (8)

  1.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초기 교육과정 선택이 이루어진 후 입력된 초기 교육과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초기 교육과정 수신부;
    상기 초기 교육과정이 시초 제약 조건(학교의 경우 국가 교육 과정이라는 제약 조건, 학원의 경우 강의실 수를 포함하는 물리적인 제약 조건)에 부합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초기 교육과정 적정성 결정부;
    상기 초기 교육과정이 상기 시초 제약 조건에 부합되면 수요자 단말기에 상기 초기 교육과정의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수요자 단말기로부터 수요자가 선호하는 강의 과목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요자 선호 강의 과목 수신부;
    상기 수요자가 선택한 강의 과목별 선택수를 기초로 강의 장소에 대한 요일별 시간에 대한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 결정부;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커리큘럼 결정을 위한 우선순위(교육 목표, 학생 선호, 강사-강의 조건 및 수익률에 대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을 입력하라고 안내하여 상기 공급자 단말기로부터 공급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을 수신하는 교육 목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 수신부;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우선순위 및 제약조건에 따라 강사-강의실을 연결하는 이분 매칭으로 구현하여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에 강사를 배치하는 이분 매칭부;
    상기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에 강사를 배치한 결과가 상기 제약 조건에 부합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강사 배치 결과의 제약 조건 부합 여부 결정부;
    상기 강사 배치 결과가 상기 제약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강사 배치 결과를 상기 공급자 단말기 및 수요자 단말기에 전송한 후 만족도를 조사하여 상기 공급자와 수요자가 모두 만족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강사 배치 결과 만족 여부 결정부; 및
    상기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강사 배치 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커리큘럼 관리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족도에 의해 상기 강사 배치 결과에 대한 불만 주체 및 불만 내용을 분석하여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불만 내용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커리큘럼 관리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불만 내용 분석부에 의해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불만 주체 및 불만 내용이 제공되어,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새로운 커리큘럼 결정을 위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이 입력되면,
    상기 이분 매칭부가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새롭게 입력된 우선순위에 따라 강사-강의실을 연결하는 이분 매칭으로 구현하여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에 강사를 배치하는 커리큘럼 관리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초기 교육과정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고 추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교육 목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 수신부가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새롭게 입력된 교육 목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교육 목표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교육 목표에 상응하는 초기 교육과정을 안내하는 초기 교육과정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커리큘럼 관리 서버.
  5. 제 1 항에 기재된 커리큘럼 관리 서버를 이용하는 커리큘럼 관리 방법으로서,
    (a)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초기 교육과정 선택이 이루어진 후 입력된 초기 교육과정의 정보를 초기 교육과정 수신부가 수신하는 단계;
    (b) 초기 교육과정 적정성 결정부가 데이터베이스에서 시초 제약 조건을 판독하여 상기 초기 교육과정이 시초 제약 조건에 부합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초기 교육 과정이 상기 시초 제약 조건에 부합되면, 수요자 선호 강의 과목 수신부가 수요자 단말기에 상기 초기 교육 과정의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수요자 단말기로부터 수요자가 선호하는 강의 과목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d)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 결정부가 상기 수요자가 선택한 강의 과목별 선택수를 기초로 강의 장소에 대한 요일별 시간에 대한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단계;
    (e) 교육 목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 수신부가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커리큘럼 결정을 위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을 입력하라고 안내하여 상기 공급자 단말기로부터 공급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f) 이분 매칭부가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우선순위 및 제약조건에 따라 강사-강의실을 연결하는 이분 매칭으로 구현하여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에 강사를 배치하는 단계;
    (g) 강사 배치 결과의 제약 조건 부합 여부 결정부에 의해 상기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에 강사를 배치한 결과가 상기 제약 조건에 부합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h) 상기 강사 배치 결과가 상기 제약 조건에 부합하면, 강사 배치 결과 만족 여부 결정부가 상기 강사 배치 결과를 상기 공급자 단말기 및 수요자 단말기에 전송한 후 만족도를 조사하여 상기 공급자와 수요자가 모두 만족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i) 상기 (h) 단계에서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강사 배치 결과가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리큘럼 관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j) 불만 내용 분석부가 상기 만족도에 의해 상기 강사 배치 결과에 대한 불만 주체 및 불만 내용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리큘럼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j) 단계 후에는, (k)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새로운 커리큘럼 결정을 위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이 입력되면, 상기 이분 매칭부가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새롭게 입력된 우선순위에 따라 강사-강의실을 연결하는 이분 매칭으로 구현하여 강의 시간표 레이아웃에 강사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k) 단계 후에는 상기 (c) 단계로 진행되는 커리큘럼 관리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l)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초기 교육 과정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고 추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교육 목표 우선순위 및 제약 조건 수신부가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의해 새롭게 입력된 교육 목표를 수신하는 단계;
    (m) 초기 교육 과정 안내부가 상기 수신된 교육 목표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교육 목표에 상응하는 초기 교육 과정을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m) 단계 후에는 상기 (b) 단계로 진행되는 커리큘럼 관리 방법.
KR1020180152849A 2018-11-30 2018-11-30 커리큘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커리큘럼 관리 방법 KR102186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849A KR102186513B1 (ko) 2018-11-30 2018-11-30 커리큘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커리큘럼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849A KR102186513B1 (ko) 2018-11-30 2018-11-30 커리큘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커리큘럼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918A KR20200065918A (ko) 2020-06-09
KR102186513B1 true KR102186513B1 (ko) 2020-12-03

Family

ID=71082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849A KR102186513B1 (ko) 2018-11-30 2018-11-30 커리큘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커리큘럼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5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9950A (zh) * 2020-08-07 2020-12-29 湖南强智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课程信息的编排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5496430B (zh) * 2022-11-22 2023-04-18 广东银谷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智能教学管理系统
KR102566166B1 (ko) * 2023-04-04 2023-08-10 이덕호 데이터 기반 교육 수강생 수 예측 및 강의 시간표 배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6752A (ja) * 2007-04-27 2008-11-13 Fuji Xerox Co Ltd 共同授業計画についての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0519A (ko) * 2003-02-03 2004-08-11 권혁필 어학 에듀테인먼트 매개시스템 및 어학 에듀테인먼트매개방법
KR20140021796A (ko) * 2012-08-10 2014-02-20 주식회사 티피코리아 전화영어학습관리시스템
KR101958918B1 (ko) * 2012-08-30 2019-03-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커리큘럼 강의 스케줄 조정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6752A (ja) * 2007-04-27 2008-11-13 Fuji Xerox Co Ltd 共同授業計画についての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918A (ko)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0721B2 (en) Integrated student-growth platform
KR101455907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컨설팅 방법 및 시스템
KR102186513B1 (ko) 커리큘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커리큘럼 관리 방법
US9368042B2 (en) Educational-app engine for representing conceptual understanding using student populations' electronic response latencies
US20190066525A1 (en) Assessment-based measurable progress learning system
US20190385471A1 (en) Assessment-based assignment of remediation and enhancement activities
US20190080295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testing schedules for standarized tests
KR101214759B1 (ko)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
US20230044523A1 (en) Curriculum management and enrolment system
KR101754616B1 (ko) 무선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대화형 학습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대화형 학습콘텐츠 제공방법
Fields et al. The revision of competency standards for occupational therapy driver assessors in Australia: A mixed methods approach
KR102011255B1 (ko) 수업 매칭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수업 매칭 방법
Melvina et al. The autonomy of Indonesian EFL students: A mixed method investigation
US20170075881A1 (en) Personalized learning system and method with engines for adapting to learner abilities and optimizing learning processes
KR101704679B1 (ko)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한국어 학습 방법
KR101453385B1 (ko) 사용자의 학습 이력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59705A (ko)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KR101844047B1 (ko) 온라인 프로그래밍 교육 방법
OZUDOGRU et al. A Qualitative Research on Competency-Based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Its Effectiveness
KR20210147269A (ko) 온라인 뷰티 강의 시스템에서 뷰티 강사를 추천하는 방법
KR20000058960A (ko) 인터넷을 이용한 회화강습 시스템의 운용방법
KR20220008542A (ko) 언어학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언어학습방법
Paulson et al. Leveraging learning outcomes to build an online information literacy tool
Duta et al. Effectiveness of LMS in online learning by analyzing its usability and features
WO2014025422A1 (en) Educator effective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