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705A -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705A
KR20200059705A KR1020180144757A KR20180144757A KR20200059705A KR 20200059705 A KR20200059705 A KR 20200059705A KR 1020180144757 A KR1020180144757 A KR 1020180144757A KR 20180144757 A KR20180144757 A KR 20180144757A KR 20200059705 A KR20200059705 A KR 20200059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structor
lecture
professional
cu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희
장광희
Original Assignee
송영희
장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희, 장광희 filed Critical 송영희
Priority to KR1020180144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9705A/ko
Publication of KR20200059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7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문강의을 기획한 수요처의 요구에 부응하여 그에 적합한 강사를 수요처에게 제시함으로써 빠르고 효율적으로 양자의 매칭이 가능하게 하는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웹 또는 앱 등을 통한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으로서, (A) 서버가, 웹 또는 앱 등을 통해 접속한 강사로부터 강사의 기초정보, 경력정보, 제안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강사정보입력단계; (B) 서버가, 강사를 필요로 하는 수요처로부터 요구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요구정보에 매칭되는 강사를 추출하여 추출된 강사의 기초정보와 경력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 (C)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상기 수요처와 특정 강사 사이에 강의 약정이 성립되면, 서버가 상기 수요처 또는 상기 특정 강사로부터 약정정보를 입력받고, 약정된 강사의 약정된 강의 시간을 상기 제안정보에 반영하는 약정정보입력단계; (D) 상기 약정된 강의 일정의 최종 일정 이후 결과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상기 경력정보에 반영하는 결과반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Matching Service of Professional Lecturer}
본 발명은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문분야 강의를 기획한 수요처의 요구에 부응하여 그에 적합한 강사를 수요처에게 제시함으로써 빠르고 효율적으로 양자의 매칭이 가능하게 하는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복잡다단한 양상을 보이고 빠른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회의 변화도 매우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정보를 습득해야 하는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예컨대, 바람직한 가족관계를 위한 대화법, 앱이나 프로그램의 활용법, 성폭력이나 학교폭력에 대한 이해와 대처 방법, 건강 생활을 위한 삶 조정법, 청소방법 등과 같이 일상 생활과 관련된 정보나, 병원코디네이터, 비즈니스 매너, 창업을 위한 정보, 특정 법률 개요 등과 같이 전문 분야와 관련된 정보를 얻기 위해서 학교, 직장, 각종 단체 등에서 강의를 시행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위와 같은 강의들은 관련 정보의 체계적인 이해와 업데이트가 용이하지 않으며, 짧으면 수시간 길어야 십여 시간으로 비교적 단기간(횟수로는 1~5회 정도) 소요되며, 또한 잦은 반복수강이 필요 없다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학교나 회사 등에서 정식 교사/강사를 두고 진행하기에는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수요처(학교, 기업체 등 단체)가 강의 일정을 계획하고 적절한 강사를 수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전문분야 강사(이하 편의를 위해 '전문강사'라 표현함)에 관한 객관적이고 공개된 정보가 거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인, 인쿠르트, 알바몬 등 취업 알선 및 인력소개 회사는 불특정 다수에게 불특정 수요처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기 고용직이나 중장기 고용직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전문강사를 위한 중개가 어렵고, 설사 일부 관련 인력정보가 있다고 하더라도 수요처는 관련 인력의 프로필과 경력만으로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적절한 전문강사를 매칭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한편 전문강사를 소개하는 카페 등이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오프라인으로 소수의 전문강사를 소개하고 소개비를 받는 초보적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렇게 전문강사의 정보교류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요처는 자신이 기획한 전문분야 강의(이하 편의를 위해 '전문강의'라 함)에 적합한 학력, 출신 학교, 강의경력, 자격증 보유여부, 강의 수준, 전문성, 열정, 성실성, 강의를 들었던 수강생이나 수요처의 평가 등을 보유한 전문강사를 찾기 어렵다. 또한 전문강사들 특히 이 분야에 진입한 초기 전문강사들이 자신의 전문 분야와 강점, 경력을 잠재 수요처에 충분히 어필할 기회와 장이 거의 없다.
이러한 현실에서 현재는 수요처의 교육담당자들과 수요처에서 기존에 강의한 적이 있던 소수의 전문강사들 사이의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서로 소개하는 초보적 방식으로 전문강사와 수요처의 매칭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훌륭한 역량을 가진 전문강사라도 네트워크가 다르면 그 존재 자체도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특정 전문강의에 최적의 전문강사가 매칭되지 못하는 사회적인 낭비가 반복되고 있다.
또한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전문강사와 수요처가 연결되더라도 전문강사의 이력/경력 및 이를 입증하는 증명서 등을 보내서 확인하고, 강의 주제에 적합한 전문강사인지 여부를 상호검토하고, 강의 시간(일정)이 가능한지를 확인해야 하는 귀찮고 시간 소모적인 중간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을 거치더라도 실제 원하는 강의주제나 수준에 적합한지는 확인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전문분야 강사와 전문분야 강의를 원하는 수요처를 효과적으로 매칭시킴으로써 전문분야 강의 시장의 접근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문분야 강의 시장의 '오픈'을 통해 관계자들 사이의 거래를 투명하고 공정하게 하고, 전문강사의 역량 증대를 유도할 수 있는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웹 또는 앱 등을 통한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으로서,
(A) 서버가, 웹 또는 앱 등을 통해 접속한 강사로부터
강사의 이름, 연락처, 나이, 성별, 학력, 자격증 보유여부를 포함하는 기초정보, 상기 강사가 진행했던 강의 주제 또는 명칭, 수강자 특성 또는 주최자 정보를 포함하는 경력정보, 하나 또는 복수개의 강의 가능 분야, 강의가 가능한 시간 및 지역을 포함하는 제안정보를 웹 또는 앱 등을 통해 입력받아 저장하는 강사정보입력단계;
(B) 서버가, 강사를 필요로 하는 수요처로부터
필요한 강의 분야, 강의가 수행될 시간 및 지역을 포함하는 요구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요구정보에 완전 또는 부분적으로 매칭되는 강사를 추출하여 추출된 강사의 기초정보와 경력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
(C) 이후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상기 수요처와 특정 강사 사이에 강의 약정이 성립되면, 서버가 상기 수요처 또는 상기 특정 강사로부터
약정된 수요처 및 강사 성명, 약정된 강의 일정을 포함하는 약정정보를 입력받고, 약정된 강사의 약정된 강의 시간을 상기 제안정보에 반영하는 약정정보입력단계;
(D) 상기 약정된 강의 일정의 최종 일정 이후 소정일 이내에, 상기 수요처 또는 상기 특정 강사, 또는 양자로부터 강의의 시행 여부, 시행되었다면 시행된 강의의 주제 또는 명칭, 수강자 특성 또는 주최자 정보를 포함하는 결과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상기 경력정보에 반영하는 결과반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요처가 기획하고 있는 전문분야 강의에 적합한 전문 강사 정보를 수요처에 제공함으로써 빠르고 효율적인 전문분야 강사 매칭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문 강사로서의 경력과 교육이수, 강의방식이나 수준, 과거 수행한 강의에 대한 평가 등이 매칭 결정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장기적으로 전문 강사 스스로 경력과 이력을 관리하고 이를 본 발명에 의한 서버에 충실하게 업데이트 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전문 강사의 역량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 따른 서비스의 신용도도 비례하여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궁극적으로 수요처의 강의 수요를 예측하고 그에 적합한 강사를 사전에 준비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문분야 강의 시장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복수의 강사, 복수의 수요처 및 서버(운영자)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을 위한 관계자의 예.
도 2는 본 발명에서 강사, 수요처 및 서버 사이에서 일어나는 이벤트의 진행예의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웹 또는 앱 등'이란 서버와 스마트폰, 태블릿PC, PC 등 통신단말기가 통신하는 구체적인 UI(user interface)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웹, 앱, 문자, SNS 등 현존하거나 장차 개발될 UI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 UI가 어떤 것인가가 중요한 요소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강의'란 전문분야의 전문가가 복수의 대상자들을 상대로 행하는 강의나 멘토링, 상담, 컨설팅, 가이딩 등 어떠한 종류나 유형에 관계없이 지식이나 정보 전달행위/행사를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강사'란 그러한 전달행위/행사에서 지식 또는 정보를 제공하는 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강사', '수요처'는 통신수단과 관련해서는 각각이 사용하는 통신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이하에서 '강사', '수요처'는 입력, 검색행위 등을 하는 행위자를 의미할 수도 있고, 이들 행위자의 입력, 검색행위 등이 수행되는 스마트폰, 태블릿PC, PC 등 통신단말기를 의미할 수도 있다.
전술하였듯이 본 발명은, 강사정보입력단계, 정보제공단계, 약정정보입력단계, 결과반영단계를 포함하는, 웹 또는 앱 등을 통한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복수의 강사, 복수의 수요처 및 서버(운영자)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을 위한 관계자의 예를, 도 2에 이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이벤트의 진행예의 흐름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이하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당연히, 상기 강사, 수요처 및 서버는 인터넷 등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망에 접속되어 상호 통신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A) 강사정보입력단계는, 강사의 이름, 연락처, 나이, 성별, 학력를 포함하는 기초정보, 상기 강사가 진행했던 강의의 주제 또는 명칭, 수강자 특성 또는 주최자 정보를 포함하는 경력정보, 하나 또는 복수개의 강의 가능 분야, 강의가 가능한 시간 및 지역을 포함하는 제안정보를 웹 또는 앱 등을 통해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이다.
상기 기초정보에는 이외에도, 출신 학교, 자격증 보유여부, 프로필 사진 또는 각각의 기초정보를 입증하는 증명자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력정보에서 '수강자 특성'이란 수강자의 나이, 성별, 학생여부, 직업, 학력, 수강목적 등 수강자가 어떤 유형에 속하는지를 알 수 있는 속성을 의미하며, '주최자 정보'란 강의를 주관·주최하는 조직이나 집단의 명칭, 유형 등을 의미하는데, 주최자는 당시의 수요처인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경력정보에는 이외에도, 진행했던 강의 목차나 자료, 장소, 일시 및 일정, 수강자 수 등의 정보 또는 샘플강의 동영상 또는 진행했던 강의 동영상 전부나 일부 또는 강의자료의 전부나 일부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정보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경력정보는, 진행했던 강의의 수요처 또는 주최자의 사실 확인을 거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경력정보에는 강사 평가점수가 포함되고, 상기 서버는, (D) 결과반영단계에서 상기 결과정보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평가점수를 감점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안정보는 강사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강의)의 내용과 조건에 관한 것으로서, 강의 단가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능한 시간'은 불가능한 기간으로 표현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매주 월요일, 매월 말일, 7월~8월은 근무 불가능하다는 식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추가자료들은 수요처가 강사를 보다 세밀하게 검색하고 판단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B) 정보제공단계는, 서버가, 강사를 필요로 하는 수요처로부터 필요한 강의 분야, 강의가 수행될 시간 및 지역을 포함하는 요구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요구정보에 완전 또는 부분적으로 매칭되는 강사를 추출하여 추출된 강사의 기초정보와 경력정보를 수요처에게 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요구정보는 수요처가 기획한 강의의 내용과 조건에 관한 것으로서 이외에도 상기 기초정보와 경력정보에 해당하는 조건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강자가 고등학생이라면 고등학교에서 강의한 경력을, 강의 내용이 직장내 인간관계에 관한 것이라면 인간관계 심리학을 전공한 석사 이상의 학력을 요구정보에 추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요구정보의 내용과 개수는 필요에 따라 운영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강의란 것은 정형화된 상품이나 서비스가 아니라서 대략적인 주제와 강의시간이 정해져 있더라도 수강대상과 강의 목적에 따라 구체적인 강의 주제, 목차, 강의 난이도, 일정 등을 조정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이는 수요처와 (잠재적인) 강사가 양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반복적인 협의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통상은 직접 미팅이나 컨퍼런스 콜과 같은 오프라인 형태로 진행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C) 약정정보입력단계는, 위에서 설명한 협의를 거쳐 상기 수요처와 특정 강사 사이에 강의 약정이 성립되면, 서버가 상기 수요처 또는 상기 특정 강사로부터 약정된 수요처 및 강사에 대한 정보(이름, 회원번호, ID 등)와 약정된 강의 일정을 포함하는 약정정보를 입력받고, 약정된 강사의 약정된 강의 시간을 상기 제안정보에 반영하는 단계이다.
'약정되었다'는 것은 수요처와 강사 사이에서 강의에 관련된 협의가 완료되어 이러저러한 조건으로 강의를 진행하는 것으로 '확정되었다'는 것이다. 약정정보는 약정의 주체(수요처와 강사) 및 약정된 일정을 포함하는데, 필요한 경우 확정된 강의의 주제 또는 명칭, 수강자 특성 등 상기 경력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매칭이 확정된 즉, 약정된 강사의 경우 약정된 시간 또는 일정 동안은 다른 강의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강의가 시간적으로 중복되지 않도록 서버는 약정된 강사의 제안정보에서 '가능한 시간'을 업데이트하는 정보변경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수요처와 특정 강사 사이에 강의 약정이 성립되고 그 정보가 서버에 입력되었더라도, 실제 강의가 시행되었는지에 대한 업데이트가 없다면 본 발명에 의한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을 운영하는 시스템의 신뢰도가 점차 낮아지게 될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D) 결과반영단계는, 상기 약정된 강의 일정의 최종 일정 이후 소정일 이내에, 상기 수요처 또는 상기 특정 강사, 또는 양자로부터 강의의 시행 여부, 시행되었다면 시행된 강의의 주제 또는 명칭, 수강자 특성 또는 주최자 정보를 포함하는 결과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상기 경력정보에 반영하는 단계이다. '수강자 특성'과 '주최자 정보'의 의미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결과정보에는 상기 경력정보에 해당하는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 또는 수요처나 주최자 또는 수강자에 의한 강사 평가점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객관적인 결과반영을 위하여 서버는, '결과정보'에 입력된 정보가 사실임을 상기 수요처로부터 확인받는 소단계를 거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전술하였듯이 상기 서버는, 상기 결과정보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평가점수를 감점함으로써 강사가 자신이 진행한 강의의 결과를 충실하게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강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문분야 강사는 자신의 강점과 역량을 객관적으로 많은 수요처에 어필할 수 있게 되고, 수요처는 자신이 기획한 강의에 적합한 강사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운영자에 의해 강사의 경력과 역량이 객관적으로 모니터링되고 업데이트되므로 강사는 자신의 능력에 맞는 대우를 받을 수 있고, 수요처는 신뢰를 가지고 강사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으로서,
    (A) 서버가, 서버에 접속한 강사로부터
    강사의 이름, 연락처, 나이, 성별, 학력을 포함하는 기초정보, 상기 강사가 진행했던 강의의 주제 또는 명칭, 수강자 특성 또는 주최자 정보를 포함하는 경력정보, 하나 또는 복수개의 강의 가능 분야, 강의가 가능한 시간 및 지역을 포함하는 제안정보를 웹 또는 앱 등을 통해 입력받아 저장하는 강사정보입력단계;
    (B) 서버가,
    강사를 필요로 하는 수요처로부터 필요한 강의 분야, 강의가 수행될 시간 및 지역을 포함하는 요구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요구정보에 완전 또는 부분적으로 매칭되는 강사를 추출하여 추출된 강사의 기초정보와 경력정보를 수요처에게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
    (C) 이후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상기 수요처와 특정 강사 사이에 강의 약정이 성립되면, 서버가 상기 수요처 또는 상기 특정 강사로부터
    약정된 수요처 및 강사 정보와 약정된 강의 일정을 포함하는 약정정보를 입력받고, 약정된 강사의 약정된 강의 시간을 상기 제안정보에 반영하는 약정정보입력단계;
    (D) 상기 약정된 강의 일정의 최종 일정 이후 소정일 이내에, 상기 수요처 또는 상기 특정 강사, 또는 양자로부터 강의의 시행 여부, 시행되었다면 시행된 강의의 주제 또는 명칭, 수강자 특성 또는 주최자 정보를 포함하는 결과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상기 경력정보에 반영하는 결과반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초정보는, 각 정보를 입증하는 증명자료를 포함하며,
    상기 경력정보는, 진행했던 강의의 수요처 또는 주최자의 확인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력정보는,
    상기 강사의 샘플강의 동영상 또는 진행했던 강의 동영상 전부나 일부 또는 강의자료의 전부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력정보는 강사 평가점수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단계(D)에서 상기 결과정보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평가점수를 감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력정보는 강사 평가점수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단계(D)에서 상기 수요처로부터 수강자 또는 수요처의 사후평가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평가점수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80144757A 2018-11-21 2018-11-21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KR202000597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757A KR20200059705A (ko) 2018-11-21 2018-11-21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757A KR20200059705A (ko) 2018-11-21 2018-11-21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705A true KR20200059705A (ko) 2020-05-29

Family

ID=7091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757A KR20200059705A (ko) 2018-11-21 2018-11-21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97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246B1 (ko) 2021-08-26 2022-05-02 김동혁 커뮤니케이션 지수를 이용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519461B1 (ko) 2022-10-28 2023-04-10 주식회사 어썸스쿨 교육 학습 성취율 기반의 강사 훈련을 통한 강사 매칭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246B1 (ko) 2021-08-26 2022-05-02 김동혁 커뮤니케이션 지수를 이용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519461B1 (ko) 2022-10-28 2023-04-10 주식회사 어썸스쿨 교육 학습 성취율 기반의 강사 훈련을 통한 강사 매칭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ler An evaluation of a development program for new principals.
Villares et al. Updating the school counseling research agenda: A Delphi study
US10056002B2 (en) Technologies for students evaluating teachers
US10104182B1 (en) System and method of facilitating communication within an interface system
Moore et al. Social and student engagement and support: The Sloan-C Quality Scorecard for the Administration of Online Programs.
AU2019309314A1 (en) Talent and work experience-centered credit recognition academic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alent contribution bank service using same
Singh Open source integrated library systems migration: Librarians share the lessons learnt
Olivares Business graduate skills: Competency-based model
Tako et al. Participative simulation (PartiSim): a facilitated simulation approach for stakeholder engagement
Lewthwaite et al. A web for all: A manifesto for critical disability studies in accessibility and user experience design
KR20200059705A (ko)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Cole et al. Public libraries
KR102035746B1 (ko)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
US111703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providing behavioral insights and meeting guidance
Florell Web-based training and supervision
Shane et al. A case study in updating academic integrity policy and procedures
Migliore et al. Supporting employment consultants in their work with job seekers: A longitudinal study
Murza et al. Data-based decision making in professional learning for school speech-language pathologists
Mochel et al. INTERACT in VA community living centers (CLCs): Training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Taylor et al. Increasing academic performance of deaf students at Alpha university: a case study
McNabb Introducing mobile technologies to strengthen the national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program in Vietnam
Wundenberg Requirement Engineering for Knowledge-Intensive Processes: Reference Architecture for the Selection of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erson et al. Lessons learned from a district-wide implementation of a computer science initiative in the District of Columbia public schools
Roche Career Development in ICT for a Professional Association of Electrotechnical Standardization
Blagoveshchenskaya et al. Developing the concept of a network environment for monitoring the level of learning outco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