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619B1 - 크로스헤드 및 가구 그리고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 - Google Patents

크로스헤드 및 가구 그리고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619B1
KR102181619B1 KR1020197004718A KR20197004718A KR102181619B1 KR 102181619 B1 KR102181619 B1 KR 102181619B1 KR 1020197004718 A KR1020197004718 A KR 1020197004718A KR 20197004718 A KR20197004718 A KR 20197004718A KR 102181619 B1 KR102181619 B1 KR 102181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head
pocket
bearing
circumferential direction
cool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6031A (ko
Inventor
나오히코 아사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자판엔진코포레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자판엔진코포레숀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6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6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crankshafts or connecting rods with lubricant passageways, e.g. bo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5/00Crossheads; Constructions of connecting-rod heads or piston-rod connections rigid with cross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크로스헤드 및 가구 그리고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에 있어서, 크로스헤드 핀 (52) 과, 반원통 형상을 이루어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면을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베어링 메탈 (71) 을 형성하고, 베어링 메탈 (71) 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지지면 (71a) 과,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면 (71a) 의 양측의 내면에서 축 방향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냉각유 포켓 (72) 과, 외면으로부터 냉각유 포켓 (72) 에 연통되는 냉각유용 연통공 (74) 과,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의 내면에서 축 방향에 있어서의 냉각유 포켓 (72) 의 양측에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윤활유 포켓 (73) 과, 외면으로부터 복수의 윤활유 포켓 (73) 에 연통되는 윤활유용 연통공 (75) 이 형성되고, 크로스헤드 핀 (52) 은, 냉각유 포켓 (72) 에 연통되는 냉각유 공급 유로 (81) 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크로스헤드 및 가구 그리고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
본 발명은, 디젤 엔진이나 가스 엔진 등의 내연 기관을 구성하는 크로스헤드, 이 크로스헤드가 적용된 가구 (架構, 프레임), 이 가구를 구비하는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린더 내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동력을 발생시키는 가스 엔진이나 가솔린 엔진 등의 내연 기관은, 복수의 실린더의 하방에 실린더 배열 방향을 따라 크랭크 샤프트가 배치되어 있다. 크랭크 샤프트는, 피스톤에 접속되어 있고, 베어링을 개재하여 크랭크 케이스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대형 선박에 탑재되는 보어 스트로크비가 큰 내연 기관에 있어서는, 피스톤과 크랭크 샤프트 사이에 크로스헤드가 형성된다.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은, 크랭크 샤프트가 수용되는 받침판 (臺板) 의 상부에 가구가 배치되고, 이 가구의 상부에 실린더 재킷이 배치되고, 복수의 타이볼트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의 가구는, 크로스헤드를 피스톤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을 구비하고 있다. 이 크로스헤드는, 피스톤 봉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크로스헤드 핀과 크랭크 샤프트에 연접되는 연접봉의 상단부에 접속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이, 크로스헤드 핀의 하반부에 있어서 각각 자유롭게 회동 (回動) 할 수 있게 연결된다. 그 때문에, 피스톤이 피스톤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 피스톤과 함께 피스톤 봉이 피스톤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함으로써, 크로스헤드가 가구의 가이드판을 따라 피스톤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이로써, 크로스헤드의 크로스헤드 핀은, 크로스헤드 베어링을 개재하여 연접봉에 회전 구동력을 가한다. 이 회전 구동력에 의해, 연접봉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크랭크가 크랭크 운동하여, 크랭크 샤프트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크로스헤드에는, 냉각, 윤활을 목적으로 하여 오일 (이하, 냉각 기능을 갖는 경우도 「윤활유」로서 표기한다) 이 공급된다. 윤활유는, 크로스헤드의 외부로부터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외면과 연접봉의 내면 사이의 공간에 공급된다. 윤활유는, 그 공간으로부터 크로스헤드 베어링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서 크로스헤드 핀의 외면과 베어링의 내면 사이에 공급된다. 그 후에, 윤활유는, 크로스헤드 핀 및 피스톤 봉에 형성된 유로 (油路) 를 통해서 피스톤에 공급됨으로써, 피스톤을 냉각시킨다. 종래, 크로스헤드 베어링은, 내면에 크로스헤드 핀 윤활용 포켓과, 피스톤 냉각용 포켓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크로스헤드 베어링과 연접봉 사이의 공간에 공급된 윤활유는, 크로스헤드 베어링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서 크로스헤드 핀 윤활용 포켓과 피스톤 냉각용 포켓에 각각 공급된다. 크로스헤드 핀 윤활용 포켓에 공급된 윤활유는, 크로스헤드 핀과 연결봉의 상대 회동시에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내면에 골고루 퍼지고, 피스톤 냉각용 포켓에 공급된 윤활유는, 피스톤 봉의 이동시에 유로를 통해서 피스톤에 공급되어, 피스톤을 냉각시킨다.
이와 같은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으로는,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032055호
상기 서술한 크로스헤드는, 피스톤 봉의 하단부에 고정된 크로스헤드 핀이 크로스헤드 베어링을 개재하여 연접봉의 상단부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크로스헤드 베어링은, 크로스헤드 핀의 하반부를 지지하는 반할 (半割) 형상을 이루고, 크로스헤드 핀의 중심 위치의 하방에 대응하는 내면에 크로스헤드 핀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 소정 면적의 지지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크로스헤드 핀 윤활용 포켓과 피스톤 냉각용 포켓은, 지지면을 피해 크로스헤드 베어링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단부측에 형성되게 된다. 한편, 크로스헤드 핀은, 크로스헤드 핀과 연결봉이 상대 이동해도, 유로의 단부가 항상 피스톤 냉각용 포켓에 연통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또, 크로스헤드는 크로스헤드 핀의 상반부를 밀착시키기 위한 고정면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크로스헤드 핀은, 소정의 외경을 확보해야 하여, 크로스헤드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소형 경량화를 도모하는 크로스헤드 및 가구 그리고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는, 크로스헤드 핀과, 반원통 형상을 이루어 상기 크로스헤드 핀의 외면을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에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지지면과,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면의 양측에서 또한 축 방향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제 1 포켓과,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면의 양측에서 또한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켓에 접속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제 2 포켓과, 상기 제 1 포켓에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 연통공과, 상기 제 2 포켓에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크로스헤드 핀에는, 상기 제 1 포켓에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외면측에 공급된 냉각유는, 제 1 연통공을 통과하여 제 1 포켓에 일시적으로 저류되고, 이 제 1 포켓으로부터 크로스헤드 핀의 유로를 통과하여 피스톤에 공급되어 냉각시킨다. 한편,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외면측에 공급된 윤활유는, 제 2 연통공을 통과하여 제 2 포켓에 일시적으로 저류되고, 이 제 2 포켓으로부터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내면과 크로스헤드 핀의 외면 사이에 공급되어 윤활시킨다. 이 때, 제 2 포켓은, 제 1 포켓에 접속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 1 포켓을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어, 크로스헤드 핀과 크로스헤드 베어링이 상대 회동해도, 제 1 포켓과 유로의 연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한편, 크로스헤드 핀에 있어서의 피스톤 봉의 고정면을 확보할 수 있어, 크로스헤드 핀의 외경을 작게 함으로써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에서는, 상기 제 1 포켓과 상기 제 2 포켓은,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면측의 단부 위치가 동일 위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포켓과 제 2 포켓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면측의 단부 위치를 동일 위치로 설정함으로써, 각 포켓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충분한 양의 냉각유와 윤활유를 저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에서는, 상기 크로스헤드 핀은,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에 지지되는 원호 형상면과, 피스톤 봉이 밀착하여 고정되는 평탄면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는, 일단부가 상기 원호 형상면에 개구되고, 타단부가 상기 평탄면에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유로의 일단부를 크로스헤드 핀의 원호 형상면에 개구하고, 타단부를 크로스헤드 핀의 평탄면에 개구함으로써, 제 1 포켓에 저류된 냉각유를 유로로부터 피스톤에 적정하게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에서는,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외면을 지지하는 원호 형상을 이루는 베어링 지지면이 형성된 연접봉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지지면에 둘레 방향을 따름과 함께 상기 제 1 연통공이 연통되는 제 1 홈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베어링 지지면에 둘레 방향을 따름과 함께 상기 제 2 연통공이 연통되는 제 2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외면을 지지하는 연접봉의 베어링 지지면에, 제 1 연통공이 연통되는 제 1 홈과, 제 2 연통공이 연통되는 제 2 홈을 형성함으로써, 냉각유를 제 1 홈으로부터 제 1 연통공을 통과하여 제 1 포켓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윤활유를 제 2 홈으로부터 제 2 연통공을 통과하여 제 2 포켓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에서는,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은, 외면이 상기 연접봉에 있어서의 상기 베어링 지지면에 지지됨과 함께, 둘레 방향의 단부가 상기 연접봉에 고정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 지지 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 지지 부재에 상기 제 1 포켓에 연통되는 보조 포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크로스헤드 베어링 지지 부재에 제 1 포켓에 연통되는 보조 포켓을 형성함으로써, 냉각유를 저류하는 영역을 둘레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고, 크로스헤드 핀을 원활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가구는, 정상부에 배치되는 천판과, 바닥부에 배치되는 바닥판과, 측부에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천판에 접속됨과 함께 타단부가 상기 바닥판에 접속되는 측판과, 상기 천판과 상기 바닥판과 상기 측판에 접속됨으로써 복수의 공간부가 구획되는 격벽과, 상기 공간부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각각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상기 크로스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크로스헤드 핀을 지지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에서, 제 1 포켓을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어, 크로스헤드 핀과 크로스헤드 베어링이 상대 회동해도, 제 1 포켓과 유로의 연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한편, 크로스헤드 핀에 있어서의 피스톤 봉의 고정면을 확보할 수 있어, 크로스헤드 핀의 외경을 작게 함으로써, 크로스헤드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어, 그 결과, 가구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은,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 상에 형성되는 상기 가구와, 상기 가구 상에 형성되는 실린더 재킷과, 상기 받침판과 상기 가구와 상기 실린더 재킷을 관통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크로스헤드 핀을 지지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에서, 제 1 포켓을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어, 크로스헤드 핀과 크로스헤드 베어링이 상대 회동해도, 제 1 포켓과 유로의 연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한편, 크로스헤드 핀에 있어서의 피스톤 봉의 고정면을 확보할 수 있어, 크로스헤드 핀의 외경을 작게 함으로써, 크로스헤드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어, 그 결과,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 및 가구 그리고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에 의하면, 크로스헤드 핀을 지지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에서, 지지면의 양측에 제 1 포켓을 형성함과 함께, 제 1 포켓에 접속하지 않고 제 2 포켓을 독립적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크로스헤드 핀의 외경을 작게 함으로써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디젤 엔진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의 가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크로스헤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크로스헤드에 있어서의 냉각유용 포켓의 위치에서 절단한 종단면 (縱斷面) (도 4 의 V-V 단면) 도이다.
도 6 은, 크로스헤드에 있어서의 윤활유용 포켓의 위치에서 절단한 종단면 (도 4 의 VI-VI 단면) 도이다.
도 7 은,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크로스헤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크로스헤드 및 가구 그리고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실시형태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각 실시형태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디젤 엔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 엔진 (10) 은, 예를 들어, 선박 추진용의 주기로서 사용되고, 2 스트로크 1 사이클의 유니플로 소기 방식의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이다. 이 디젤 엔진 (10) 은, 하방에 위치하는 받침판 (11) 과, 받침판 (11) 상에 형성되는 가구 (12) 와, 가구 (12) 상에 형성되는 실린더 재킷 (13) 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받침판 (11) 과 가구 (12) 와 실린더 재킷 (13) 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타이볼트 (연결 부재) (14) 및 너트 (15) 에 의해 일체로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 라이너 (16) 는, 실린더 재킷 (13) 내에 배치되고, 상부에 실린더 커버 (17) 가 고정되어 공간부를 구획하고 있고, 이 공간부 내에 피스톤 (18) 이 상하로 자유롭게 왕복동할 수 있게 형성된다. 또, 실린더 커버 (17) 는, 배기 밸브 (20) 가 형성되어 있고, 배기 밸브 (20) 는, 동(動) 밸브 장치 (21) 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배기 밸브 (20) 는, 실린더 라이너 (16), 실린더 커버 (17) 및 피스톤 (18) 과 함께 연소실 (19) 을 형성한다. 배기 밸브 (20) 는, 연소실 (19) 과 배기관 (22) 을 개폐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연소실 (19) 에 대해, 도시되지 않은 연료 분사 펌프로부터 공급된 연료 (예를 들어, 저질유, 천연 가스, 또는 그 혼합 연료 등) 와, 도시되지 않은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연소용 가스 (예를 들어, 공기, EGR 가스, 또는 그 혼합 가스 등) 가 공급됨으로써, 연소실 (19) 에서 연료와 연소용 가스가 연소된다. 그리고, 이 연소에서 발생한 에너지에 의해 피스톤 (18) 이 피스톤 축 방향으로 왕복동한다. 이 때, 동밸브 장치 (21) 에 의해 배기 밸브 (20) 가 작동하여 연소실 (19) 이 개방되면, 연소에 의해 발생한 배기 가스가 배기관 (22) 으로 밀려 나오는 한편, 도시되지 않은 소기 포트로부터 연소용 가스가 연소실 (19) 에 도입된다.
피스톤 (18) 은, 하단부에 피스톤 봉 (23) 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받침판 (11) 은, 크랭크 케이스를 구성하고 있고, 크랭크 샤프트 (24) 가 베어링 (25) 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이 크랭크 샤프트 (24) 는, 크랭크 (26) 를 개재하여 연접봉 (27) 의 하단부가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가구 (12) 는, 피스톤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판 (28) 이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1 쌍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크로스헤드 (29) 는, 피스톤 봉 (23) 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크로스헤드 핀과 크랭크 샤프트 (24) 에 연접되는 연접봉 (27) 의 상단부에 접속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이, 크로스헤드 핀의 하반부에 있어서 각각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된다. 이 크로스헤드 (29) 는, 1 쌍의 가이드판 (28) 사이에 배치되고, 이 가이드판 (28) 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다.
그 때문에, 피스톤 (18) 이 피스톤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 피스톤 (18) 과 함께 피스톤 봉 (23) 이 피스톤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함으로써, 크로스헤드 (29) 가 가이드판 (28) 을 따라 피스톤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이로써, 크로스헤드 (29) 의 크로스헤드 핀은, 크로스헤드 베어링을 개재하여 연접봉 (27) 에 회전 구동력을 가한다. 이 회전 구동력에 의해, 연접봉 (27) 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크랭크 (26) 가 크랭크 운동하여, 크랭크 샤프트 (24) 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디젤 엔진 (10) 을 구성하는 가구 (12) 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의 가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 은, 본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둘레 방향이란, 크로스헤드 핀의 둘레 방향이고, 축 방향이란, 크로스헤드 핀의 축심 방향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구 (12) 는, 천판 (31) 과, 바닥판 (32) 과, 측판 (33) 과, 복수의 격벽 (34) 으로 구성되어 있다. 천판 (31) 은, 정상부에 배치되어 실린더 재킷 (13) (도 1 참조) 에 접속된다. 바닥판 (32) 은, 바닥부에 배치되어 받침판 (11) (도 1 참조) 에 접속된다. 측판 (33) 은, 좌우의 측부에 배치되어 피스톤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 (하단부) 가 바닥판 (32) 에 접속되고, 타단부 (상단부) 가 천판 (31) 에 접속된다. 복수의 격벽 (34) 은, 크랭크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 가구 (12) 는, 천판 (31) 과 바닥판 (32) 과 측판 (33) 과 각 격벽 (34) 에 의해 공간부 (35)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부 (35) 는, 크로스헤드 (29) 가 가이드판 (28) 에 지지되어 이동할 수 있는 공간부이며, 크로스헤드 (29) 는, 이 공간부 (35) 에 수용되어, 피스톤 축 방향을 왕복 이동할 수 있다.
격벽 (34) 은, 중앙판 (41) 과, 중간판 (42) 과, 가이드판 (28) 을 갖고 있다. 중앙판 (41) 은, 격벽 (34) 에 있어서의 내연 기관 폭 방향의 중앙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다. 각 중간판 (42) 은, 격벽 (34) 에 있어서의 내연 기관 폭 방향의 양단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다. 가이드판 (28) 은, 격벽 (34) 에 있어서의 중앙판 (41) 과 각 중간판 (42) 사이에 배치되고,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중앙판 (41) 은, 한 변에 절결부 (41a) 가 형성된 사각형상을 이루는 평면판이며, 절결부 (41a) 가 격벽 (34) 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중앙판 (41) 은, 내연 기관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가 가이드판 (28) 에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로스헤드 (29) 는, 피스톤 봉 (23) 과, 연접봉 (27) 과, 1 쌍의 가이드 슈 (51) 와, 크로스헤드 핀 (52) 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접봉 (27) 은, 연접봉 본체 (61) 의 상단부에 하부 베어링부 (62)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봉 (23) 은, 피스톤 봉 본체 (63) 의 하단부에 연결부 (64)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가이드 슈 (51) 는, 사각형상을 이루고, 본체 (65) 의 양측에 각각 가이드부 (66)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크로스헤드 핀 (52) 은, 피스톤 봉 (23) 의 연결부 (64) 가 연결 볼트 (67) 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연접봉 (27) 의 하부 베어링부 (62) 와 상부 베어링부 (베어링 지지 부재) (68) 에 의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1 쌍의 가이드 슈 (51) 는, 피스톤 봉 (23) 및 연접봉 (27) 의 양측에 배치되고, 크로스헤드 핀 (52) 의 각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피스톤 봉 (23) 에 연결된 크로스헤드 핀 (52) 과 연접봉 (27) 의 상단부가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된다. 즉, 피스톤 (18) (도 1 참조) 이 왕복 이동하면, 피스톤 (18) 과 일체인 피스톤 봉 (23) 이 동일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고, 이 때, 1 쌍의 가이드 슈 (51) 가 1 쌍의 가이드판 (28) 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연접봉 (27) 은, 피스톤 봉 (23) 과 연동하여 동일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함과 함께, 크로스헤드 핀 (52) 을 지점 (支點) 으로 하여 피스톤 봉 (23) 에 대해 상대적으로 왕복 회동한다. 그리고, 연접봉 (27) 과 크랭크 (26) (도 1 참조) 가 크랭크 운동하여, 크랭크 샤프트 (24) (도 1 참조) 를 회전시킨다.
이하, 크로스헤드 (29) 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는, 크로스헤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 는, 크로스헤드에 있어서의 냉각유용 포켓의 위치에서 절단한 종단면 (도 4 의 V-V 단면) 도, 도 6 은, 크로스헤드에 있어서의 윤활유용 포켓의 위치에서 절단한 종단면 (도 4 의 VI-VI 단면) 도, 도 7 은,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 은, 크로스헤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로스헤드 (29) 는, 피스톤 봉 (23) 에 연결된 크로스헤드 핀 (52) 이 연접봉 (27) 의 하부 베어링부 (62) 와 상부 베어링부 (68) 에 베어링 메탈 (베어링) (71) 을 개재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이 베어링 메탈 (크로스헤드 베어링) (71) 은, 반원통 형상을 이루고, 외면이 연접봉 (27) 의 하부 베어링부 (62) 에 형성된 원호 형상을 이루는 베어링 지지면 (62a) 에 지지되고, 내면의 지지면 (71a) 에 의해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면을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고 있다.
베어링 메탈 (71) 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부측이고, 또한 축 방향의 중간부에 냉각유 포켓 (제 1 포켓) (72) 이 형성되어 있다. 또, 베어링 메탈 (71) 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부측이고, 또한 축 방향의 각 단부측에 윤활유 포켓 (제 2 포켓) (73) 이 형성되어 있다. 냉각유 포켓 (72) 은, 베어링 메탈 (71) 의 내면에 소정의 폭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부이다. 윤활유 포켓 (73) 은, 베어링 메탈 (71) 의 내면에 소정의 폭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부이며, 냉각유 포켓 (72) 에 있어서의 양측에 냉각유 포켓 (72) 에 접속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냉각유 포켓 (72) 은, 베어링 메탈 (71) 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일단부가 베어링 메탈 (71) 의 단면 (端面) 에 개구되고, 타단부가 베어링 메탈 (71) 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중간부측의 소정의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각 윤활유 포켓 (73) 은, 베어링 메탈 (71) 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일단부가 베어링 메탈 (71) 의 단면의 앞까지 형성되고, 타단부가 베어링 메탈 (71) 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중간부측의 소정의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냉각유 포켓 (72) 과 각 윤활유 포켓 (73) 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베어링 메탈 (71) 의 둘레 방향의 중간부측의 단부 위치가 동일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베어링 메탈 (71) 은, 지지면 (71a)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각 포켓 (72, 73) 사이에 크로스헤드 핀 (52) 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 지지 영역 (A) 이 확보되어 있다.
또, 냉각유 포켓 (72) 은, 둘레 방향의 길이가 각 윤활유 포켓 (73) 의 둘레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축 방향의 폭이 각 윤활유 포켓 (73) 의 축 방향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냉각유 포켓 (72) 은, 두께 방향의 깊이가 각 윤활유 포켓 (73) 의 두께 방향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메탈 (71) 은, 외면으로부터 냉각유 포켓 (72) 에 연통되는 냉각유용 연통공 (제 1 연통공) (74) 이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3 개) 형성되어 있다. 또, 베어링 메탈 (71) 은, 외면으로부터 각 윤활유 포켓 (73) 에 연통되는 윤활유용 연통공 (제 2 연통공) (75) 이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2 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냉각유용 연통공 (74) 과 윤활유용 연통공 (75) 은, 각 포켓 (72, 73) 에 있어서의 베어링 메탈 (71) 의 둘레 방향의 단부측에 형성되어 있지만, 어느 위치에 형성해도 된다.
연접봉 (27) 은, 하부 베어링부 (62) 의 베어링 지지면 (62a) 에 둘레 방향을 따름과 함께 냉각유용 연통공 (74) 이 연통되는 냉각유 홈 (제 1 홈) (76) 이 형성됨과 함께, 복수의 윤활유용 연통공 (75) 이 연통되는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2 개) 의 윤활유 홈 (제 2 홈) (77) 이 형성되어 있다. 냉각유용 연통공 (74) 은, 연접봉 (27) 의 하부 베어링부 (62) 에 축 방향의 중간 위치에 형성되고, 둘레 방향의 단부에 개구되는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윤활유 홈 (77) 은, 연접봉 (27) 의 하부 베어링부 (62) 에 축 방향의 중간 위치로부터 각 단부측에서 냉각유 홈 (76) 의 양측에 형성되고, 둘레 방향의 단부에 개구되는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냉각유 홈 (76) 과 윤활유 홈 (77) 은 길이 및 폭이 거의 동일하지만, 냉각유 홈 (76) 은, 깊이가 각 윤활유 홈 (77) 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접봉 (27) 은, 하부 베어링부 (62) 의 측부에 냉각유 홈 (76) 에 냉각유를 공급하는 냉각유 공급공 (78) 이 형성됨과 함께, 윤활유 홈 (77) 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 공급공 (79) 이 형성되어 있다.
또, 크로스헤드 핀 (52) 은, 냉각유 포켓 (72) 에 연통되는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2 개) 의 냉각유 공급 유로 (流路) (유로) (81) 가 형성되어 있다. 크로스헤드 핀 (52) 은, 베어링 메탈 (71) 에 지지되는 원호 형상면 (52a) 과, 피스톤 봉 (23) 이 밀착하여 고정되는 평탄면 (52b) 이 형성되어 있다. 냉각유 공급 유로 (81) 는, 일단부가 원호 형상면 (52a) 에 개구되는 제 1 냉각유 공급 유로 (82) 와, 일단부가 평탄면 (52b) 에 개구되는 제 2 냉각유 공급 유로 (83) 로 구성되어 있고, 제 1 냉각유 공급 유로 (82) 와 제 2 냉각유 공급 유로 (83) 는, 타단부끼리가 연통되어 있다. 이 각 냉각유 공급 유로 (81) 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피스톤 봉 (23) 내를 통과하여 피스톤 (18) (도 1 참조) 까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연접봉 (27) 은, 하부 베어링부 (62) 의 하부에 냉각유 홈 (76) 에 연통되는 냉각유 공급 유로 (84)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냉각유 공급 유로 (84) 는, 크랭크 (26) (도 1 참조) 까지 연통되어 있다.
베어링 메탈 (71) 은, 연접봉 (27) 에 있어서의 하부 베어링부 (62) 의 베어링 지지면 (62a) 에 재치 (載置) 되고, 지지면 (71a) 에 크로스헤드 핀 (52) 이 장착되어, 하부 베어링부 (62) 와 상부 베어링부 (68) 가 고정됨으로써 위치 결정되고, 피스톤 봉 (23) 의 크로스헤드 핀 (52) 이 베어링 메탈 (71) 을 개재하여 연접봉 (27) 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지지된다. 상부 베어링부 (68) 는, 베어링 메탈 (71) 의 단면에 맞닿아 위치 결정되어 있고, 내면에 각 냉각유 포켓 (72) 에 연통되는 냉각유 보조 포켓 (85)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냉각유 포켓 (72), 윤활유 포켓 (73), 냉각유용 연통공 (74), 윤활유용 연통공 (75), 냉각유 홈 (76), 윤활유 홈 (77), 냉각유 공급 유로 (81), 냉각유 보조 포켓 (85) 은, 각각 크로스헤드 핀 (52) 의 중심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좌우 대칭이 아니어도 된다.
그 때문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유가 냉각유 공급공 (78) 으로부터 베어링 메탈 (71) 의 외면측의 냉각유 홈 (76) 에 공급되면, 복수의 냉각유용 연통공 (74) 을 통과하여 베어링 메탈 (71) 의 내면측의 냉각유 포켓 (72) 에 일시적으로 저류된다. 그리고, 피스톤 봉 (23) 및 연접봉 (27) 의 작동시에, 냉각유 포켓 (72) 의 냉각유가 냉각유 공급 유로 (81) 로부터 피스톤 봉 (23) 의 내부를 통과하여 피스톤 (18) 에 공급되어 냉각된다.
이 때,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로스헤드 핀 (52) 에 대해 연접봉 (27) 이 회동하면, 냉각유 공급 유로 (81) 와 냉각유 포켓 (72) 의 연통 위치가 변동되어, 일방 (도 8 의 우측) 의 냉각유 공급 유로 (81) 는, 단부가 베어링 메탈 (71) 의 둘레 방향의 중간부측의 냉각유 포켓 (72) 에 연통되고, 타방 (도 8 의 좌측) 의 냉각유 공급 유로 (81) 는, 단부가 베어링 메탈 (71) 의 둘레 방향의 단부측의 냉각유 포켓 (72) 을 넘어 상부 베어링부 (68) 의 냉각유 보조 포켓 (85) 에 연통된다. 그리고, 피스톤 봉 (23) 은, 연결부 (64) 가 상부 베어링부 (68) 에 접촉하는 경우가 없다. 이와 같이 냉각유 포켓 (72) 을 베어링 메탈 (71) 의 내면에, 하중 지지 영역 (A) 의 앞까지 형성함으로써,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경을 작게 해도, 냉각유 포켓 (72) 의 냉각유를 냉각유 공급 유로 (81) 로부터 피스톤 (18) 에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피스톤 봉 (23) 을 연결하기 위한 평탄면 (52b) 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윤활유가 윤활유 공급공 (79) 으로부터 베어링 메탈 (71) 의 외면측의 윤활유 홈 (77) 에 공급되면, 복수의 윤활유용 연통공 (75) 을 통과하여 베어링 메탈 (71) 의 내면측의 윤활유 포켓 (73) 에 일시적으로 저류된다. 그리고, 피스톤 봉 (23) 및 연접봉 (27) 의 작동시에, 윤활유 포켓 (73) 의 윤활유가 베어링 메탈 (71) 의 지지면 (71a) 과 크로스헤드 핀 (52) 의 원호 형상면 (52a) 에 공급되어 윤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에 있어서는, 크로스헤드 핀 (52) 과, 반원통 형상을 이루어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면을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베어링 메탈 (71) 을 형성하고, 베어링 메탈 (71) 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지지면 (71a) 과,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면 (71a) 의 양측의 내면에서 축 방향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냉각유 포켓 (72) 과,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면 (71a) 의 양측에서 축 방향에 있어서 냉각유 포켓 (72) 에 접속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윤활유 포켓 (73) 과, 냉각유 포켓 (72) 에 베어링 메탈 (71) 의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냉각유용 연통공 (74) 과, 복수의 윤활유 포켓 (73) 에 베어링 메탈의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윤활유용 연통공 (75) 이 형성되고, 크로스헤드 핀 (52) 은, 냉각유 포켓 (72) 에 연통되는 냉각유 공급 유로 (81) 가 형성된다.
따라서, 베어링 메탈 (71) 의 외면측에 공급된 냉각유는, 냉각유용 연통공 (74) 을 통과하여 냉각유 포켓 (72) 에 일시적으로 저류되고, 이 냉각유 포켓 (72) 으로부터 크로스헤드 핀 (52) 의 냉각유 공급 유로 (81) 를 통과하여 피스톤 (18) 에 공급되어 냉각시킨다. 한편, 베어링 메탈 (71) 의 외면측에 공급된 윤활유는, 윤활유용 연통공 (75) 을 통과하여 윤활유 포켓 (73) 에 일시적으로 저류되고, 이 윤활유 포켓 (73) 으로부터 베어링 메탈 (71) 의 내면과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면 사이에 공급되어 윤활시킨다. 이 때, 복수의 윤활유 포켓 (73) 은, 냉각유 포켓 (72) 의 양측에 독립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냉각유 포켓 (72) 을 베어링 메탈 (71) 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어, 크로스헤드 핀 (52) 과 베어링 메탈 (71) 이 상대 회동해도, 냉각유 포켓 (72) 과 냉각유 공급 유로 (81) 의 연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한편, 크로스헤드 핀 (52) 에 있어서의 피스톤 봉 (23) 의 고정면 (평탄면 (52b)) 을 확보할 수 있어,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경을 작게 함으로써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에서는, 냉각유 포켓 (72) 과 각 윤활유 포켓 (73)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면 (71a) 측의 단부 위치를 동일 위치로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각 포켓 (72, 73) 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각 포켓 (72, 73) 에 충분한 양의 냉각유와 윤활유를 저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에서는, 크로스헤드 핀 (52) 에, 베어링 메탈 (71) 에 지지되는 원호 형상면 (52a) 과, 피스톤 봉 (23) 이 밀착하여 고정되는 평탄면 (52b) 을 형성하여, 냉각유 공급 유로 (81) 의 일단부를 원호 형상면 (52a) 에 개구하고, 타단부를 평탄면 (52b) 에 개구하고 있다. 따라서, 냉각유 포켓 (72) 에 저류된 냉각유를 냉각유 공급 유로 (81) 로부터 피스톤 (18) 에 적정하게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에서는, 베어링 메탈 (71) 의 외면을 지지하는 원호 형상을 이루는 베어링 지지면 (62a) 이 형성된 연접봉 (27) 을 형성하고, 베어링 지지면 (62a) 에 둘레 방향을 따름과 함께 냉각유용 연통공 (74) 이 연통되는 냉각유 홈 (76) 을 형성함과 함께, 베어링 지지면 (62a) 에 둘레 방향을 따름과 함께 복수의 윤활유용 연통공 (75) 이 연통되는 윤활유 홈 (77) 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냉각유를 냉각유 홈 (76) 으로부터 냉각유용 연통공 (74) 을 통과하여 냉각유 포켓 (72) 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윤활유를 윤활유 홈 (77) 으로부터 윤활유용 연통공 (75) 을 통과하여 윤활유 포켓 (73) 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에서는, 베어링 메탈 (71) 의 외면을 연접봉 (27) 에 있어서의 베어링 지지면 (62a) 에 의해 지지함과 함께, 둘레 방향의 단부를 연접봉 (27) 에 고정되는 상부 베어링부 (68) 에 의해 지지하고, 상부 베어링부 (68) 에 냉각유 포켓 (72) 에 연통되는 냉각유 보조 포켓 (85) 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냉각유를 저류하는 영역을 둘레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고, 크로스헤드 핀 (52) 을 원활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가구에 있어서는, 정상부에 배치되는 천판 (31) 과, 바닥부에 배치되는 바닥판 (32) 과, 측부에 배치되어 일단부가 천판 (31) 에 접속됨과 함께 타단부가 바닥판 (32) 에 접속되는 측판 (33) 과, 천판 (31) 과 바닥판 (32) 과 측판 (33) 에 접속됨으로써 연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공간부 (35) 가 구획되는 복수의 격벽 (34) 과, 복수의 공간부 (35) 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가이드판 (28) 과, 복수의 가이드판 (28) 의 각각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복수의 크로스헤드 (29) 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크로스헤드 핀 (52) 을 지지하는 베어링 메탈 (71) 에서, 지지면 (71a) 의 양측에 냉각유 포켓 (72) 을 형성함과 함께, 냉각유 포켓 (72) 의 양측에 복수의 윤활유 포켓 (73) 을 독립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냉각유 포켓 (72) 을 베어링 메탈 (71) 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어, 크로스헤드 핀 (52) 과 베어링 메탈 (71) 이 상대 회동해도, 냉각유 포켓 (72) 과 냉각유 공급 유로 (81) 의 연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한편, 크로스헤드 핀 (52) 에 있어서의 피스톤 봉 (23) 의 고정면 (평탄면 (52b)) 을 확보할 수 있어,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경을 작게 함으로써, 크로스헤드 (29) 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어, 그 결과, 가구 (12) 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에 있어서는, 받침판 (11) 과, 받침판 (11) 상에 형성되는 가구 (12) 와, 가구 (12) 상에 형성되는 실린더 재킷 (13) 과, 받침판 (11) 과 가구 (12) 와 실린더 재킷 (13) 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복수의 타이볼트 (14) 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경을 작게 함으로써, 크로스헤드 (29) 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어, 그 결과, 디젤 엔진 (10) 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베어링 메탈 (71) 은, 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에 냉각유 포켓 (72) 을 형성하고, 그 양측에 대칭으로 윤활유 포켓 (73) 을 형성하였지만, 냉각유 포켓 (72) 은, 베어링 메탈 (71) 에 있어서의 축 방향의 중간 위치에 대해 일방측으로 어긋나 있어도 되고, 윤활유 포켓 (73) 도 냉각유 포켓 (72) 에 대해 좌우 대칭이 아니어도 된다.
10 : 디젤 엔진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
11 : 받침판
12 : 가구
13 : 실린더 재킷
14 : 타이볼트 (연결 부재)
15 : 너트
16 : 실린더 라이너
17 : 실린더 커버
18 : 피스톤
19 : 연소실
21 : 동밸브 장치
22 : 배기관
23 : 피스톤 봉
24 : 크랭크 샤프트
25 : 베어링
26 : 크랭크
27 : 연접봉
28 : 가이드판
29 : 크로스헤드
31 : 천판
32 : 바닥판
33 : 측판
34 : 격벽
35 : 공간부
51 : 가이드 슈
52 : 크로스헤드 핀
52a : 원호 형상면
52b : 평탄면
62 : 하부 베어링부
62a : 베어링 지지면
68 : 상부 베어링부 (베어링 지지 부재)
71 : 베어링 메탈 (크로스헤드 베어링)
71a : 지지면
72 : 냉각유 포켓 (제 1 포켓)
73 : 윤활유 포켓 (제 2 포켓)
74 : 냉각유용 연통공 (제 1 연통공)
75 : 윤활유용 연통공 (제 2 연통공)
76 : 냉각유 홈 (제 1 홈)
77 : 윤활유 홈 (제 2 홈)
78 : 냉각유 공급공
81 : 냉각유 공급 유로 (유로)
82 : 제 1 냉각유 공급 유로
83 : 제 2 냉각유 공급 유로
85 : 냉각유 보조 포켓
A : 하중 지지 영역

Claims (8)

  1. 크로스헤드 핀과,
    반원통 형상을 이루어 상기 크로스헤드 핀의 외면을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을 구비하는 크로스헤드로서,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에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지지면과,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면의 양측에서 또한 축 방향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제 1 포켓과,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면의 양측에서 또한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켓에 접속하지 않고, 상기 제 1 포켓의 양측에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제 2 포켓과,
    상기 제 1 포켓에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 연통공과,
    상기 제 2 포켓에는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크로스헤드 핀에는, 상기 제 1 포켓에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켓과 상기 제 2 포켓은,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면측의 단부 위치가 동일 위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헤드 핀은,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에 지지되는 원호 형상면과, 피스톤 봉이 밀착하여 고정되는 평탄면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는, 일단부가 상기 원호 형상면에 개구되고, 타단부가 상기 평탄면에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외면을 지지하는 원호 형상을 이루는 베어링 지지면이 형성된 연접봉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지지면에 둘레 방향을 따름과 함께 상기 제 1 연통공이 연통되는 제 1 홈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베어링 지지면에 둘레 방향을 따름과 함께 상기 제 2 연통공이 연통되는 제 2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은, 외면이 상기 연접봉에 있어서의 상기 베어링 지지면에 지지됨과 함께, 둘레 방향의 단부가 상기 연접봉에 고정되는 베어링 지지 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베어링 지지 부재에 상기 제 1 포켓에 연통되는 보조 포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켓의 깊이가, 상기 제 2 포켓의 깊이보다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
  7. 정상부에 배치되는 천판과,
    바닥부에 배치되는 바닥판과,
    측부에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천판에 접속됨과 함께 타단부가 상기 바닥판에 접속되는 측판과,
    상기 천판과 상기 바닥판과 상기 측판에 접속됨으로써 복수의 공간부가 구획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각각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크로스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8.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 상에 형성되는 제 7 항에 기재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실린더 재킷과,
    상기 받침판과 상기 프레임과 상기 실린더 재킷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
KR1020197004718A 2016-08-24 2017-07-31 크로스헤드 및 가구 그리고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 KR1021816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63740A JP6697822B2 (ja) 2016-08-24 2016-08-24 クロスヘッド及び架構並びにクロスヘッド式内燃機関
JPJP-P-2016-163740 2016-08-24
PCT/JP2017/027771 WO2018037845A1 (ja) 2016-08-24 2017-07-31 クロスヘッド及び架構並びにクロスヘッド式内燃機関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031A KR20190026031A (ko) 2019-03-12
KR102181619B1 true KR102181619B1 (ko) 2020-11-23

Family

ID=6124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718A KR102181619B1 (ko) 2016-08-24 2017-07-31 크로스헤드 및 가구 그리고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97822B2 (ko)
KR (1) KR102181619B1 (ko)
CN (1) CN109642479B (ko)
WO (1) WO20180378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68404B2 (ja) * 2018-10-01 2022-11-09 株式会社ジャパンエンジンコーポレーション クロスヘッドおよびクロスヘッド式内燃機関
CN111140589B (zh) * 2019-12-29 2020-12-18 陕西航天动力高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隔膜泵用十字头组件的润滑结构
JP7403321B2 (ja) * 2020-01-10 2023-12-22 株式会社ジャパンエンジンコーポレーション 架構
JP7414547B2 (ja) * 2020-01-21 2024-01-16 株式会社ジャパンエンジンコーポレーション 台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0091A (ja) * 2014-09-26 2016-05-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イド板、隔壁ユニット、架構及びクロスヘッド式内燃機関
JP2016130534A (ja) * 2015-01-13 2016-07-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クロスヘッド軸受装置およびエンジン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1905A (en) * 1946-08-06 1953-03-17 Nat Lead Co Bearing surface
CH576082A5 (ko) * 1974-03-21 1976-05-31 Sulzer Ag
JPS5833931B2 (ja) * 1976-09-21 1983-07-23 真茅 和子 内燃機関のクロスヘツド用軸受装置
CH666094A5 (de) * 1985-04-26 1988-06-30 Sulzer Ag Kreuzkopfzapfenlager fuer kolbenmaschinen.
DK167075B1 (da) * 1991-03-26 1993-08-23 Man B & W Diesel Gmbh Krydshoved til en totakts stempelmotor
JPH07208446A (ja) * 1994-01-21 1995-08-11 Mitsubishi Heavy Ind Ltd クロスヘッドピンの軸受構造
JP4476006B2 (ja) * 2004-04-20 2010-06-09 大同メタル工業株式会社 クロスヘッド軸受の焼付防止のための検知装置及び検知方法
JP5227277B2 (ja) 2009-09-07 2013-07-03 エムエーエヌ・ディーゼル・アンド・ターボ・フィリアル・アフ・エムエーエヌ・ディーゼル・アンド・ターボ・エスイー・ティスクランド 大型2サイクル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クロスヘッド軸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0091A (ja) * 2014-09-26 2016-05-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イド板、隔壁ユニット、架構及びクロスヘッド式内燃機関
JP2016130534A (ja) * 2015-01-13 2016-07-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クロスヘッド軸受装置およびエンジ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7845A1 (ja) 2018-03-01
CN109642479A (zh) 2019-04-16
CN109642479B (zh) 2021-02-12
JP2018031291A (ja) 2018-03-01
JP6697822B2 (ja) 2020-05-27
KR20190026031A (ko) 201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1619B1 (ko) 크로스헤드 및 가구 그리고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
US4598672A (en) Apparatus for stabilizing the position of a yok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761694B1 (en) A sodium cooled piston for a free piston engine
JP2009293570A (ja) 空冷式汎用エンジンにおける潤滑装置
GB2414516A (en) Free piston engine fuel injector location
JP6813989B2 (ja) クロスヘッド式内燃機関
US8622042B2 (en) Bearing connection, engine cylinder, and engine with the bearing connection
US10584657B2 (en) Oil cool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cylinder liner and method of use
KR102231313B1 (ko) 크로스헤드 베어링 및 크로스헤드 그리고 가구,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
JP2021134892A (ja) 2気筒内燃機関
US6652338B2 (en) Lubricant drain arrangement for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12292516A (zh) 双作用活塞发动机
JP2021513024A (ja) 内燃エンジン
KR102124752B1 (ko) 동변 장치 및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
JP2005331056A (ja) エンジンの軸受潤滑構造
JP2019148207A (ja) 可変圧縮比機構
WO2020070998A1 (ja) クロスヘッドおよびクロスヘッド式内燃機関
KR102593671B1 (ko) 대판
KR101490900B1 (ko) 가변 압축비 엔진용 오일 공급 통로
US20220243650A1 (en) Engine with slider-crank mechanism
JP2017160825A (ja) 動弁装置及びクロスヘッド式内燃機関
JP6685864B2 (ja) シリンダ注油装置及びクロスヘッド式内燃機関
JP2021110298A (ja) 架構
JP2001303901A (ja) ディーゼル機関
JPS59690B2 (ja) 2サイクルエンジ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