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332B1 - 상부재봉틀과 하부재봉틀이 각각 구분되어 재봉물의 걸림이 없는 산업용재봉틀 - Google Patents

상부재봉틀과 하부재봉틀이 각각 구분되어 재봉물의 걸림이 없는 산업용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332B1
KR102179332B1 KR1020190087225A KR20190087225A KR102179332B1 KR 102179332 B1 KR102179332 B1 KR 102179332B1 KR 1020190087225 A KR1020190087225 A KR 1020190087225A KR 20190087225 A KR20190087225 A KR 20190087225A KR 102179332 B1 KR102179332 B1 KR 102179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machine
sewing
shaft
industrial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봉구
Original Assignee
강봉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봉구 filed Critical 강봉구
Priority to KR1020190087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5/00Frames, stands, tables, or other furniture adapted to carry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용 재봉틀에 관한 것으로써, 재봉물에 대해 재봉 시에 상기 재봉물의 길이로 인해 걸림 되지 않도록 재봉틀을 구성하는 상부재봉틀과 하부재봉틀에 대해 각각 구분되어 있는 산업용 재봉틀에 관한 것으로써,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재봉물의 경우, 그 크기가 대형화되어 있음으로 인해 재봉 시에 상부재봉틀과 하부재봉틀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성하지 않아 재봉물이 상기 연결부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상부재봉틀과 하부재봉틀을 동시에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동력전달샤프트를 구성한 상부재봉틀과 하부재봉틀이 각각 구분되어 재봉물의 걸림이 없는 산업용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부재봉틀과 하부재봉틀이 각각 구분되어 재봉물의 걸림이 없는 산업용재봉틀{An industrial sewing machine in which the upper sewing machine and the lower sewing machin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은 산업용 재봉틀에 관한 것으로써, 재봉물에 대해 재봉 시에 상기 재봉물의 길이로 인해 걸림 되지 않도록 재봉틀을 구성하는 상부재봉틀과 하부재봉틀에 대해 각각 구분되어 있는 산업용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우선,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도 1은 종래의 재봉기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테이블(10)의 상측에 헤드부를 포함한 암부(40)가 위치하고, 상기 테이블(10)의 하측에는 훅(Hook)을 포함한 베드부(미도시)가 위치하며, 상기 암부(40)와 베드부를 연결하는 결합부(60)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부와 베드부의 훅이 협동에 의해 재봉물 고정부재(50)에 고정된 재봉대상물을 재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재봉기는 암, 베드 구조로 인해 재봉물 고정부재(50)를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하여 한정된 영역의 재봉 대상물 가공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재봉기에서는 상기 재봉물 고정부재(50)가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움직이므로, 곡선이나 원형, 사선의 스티치를 할 경우 구간별로 히치 스티치(hitch stitch)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재봉기에서 히치스티치가 발생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마름모형이나 직사각형의 경우, 4변 중 2개의 변이 퍼펙트 스티치인 P구간(Perfect Stitch)이고, 1개의 변은 정상과 불량 스티치가 혼합된 H/P구간(Hitch/Perfect Stitch)이고. 1개의 변은 H구간(Hitch Stitch)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재봉 후 구간별 H-P Stitch 분포도를 나타낸 것으로, 원형의 스티치에서는 P구간(Perfect Stitch)과 H구간(Hitch Stitch)의 구간이 거의 1:1의 비율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급봉재를 위해 전구간 퍼팩트 스티치를 구현할 수 있는 재봉기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편, 재봉틀을 산업용으로 사용 시에 재봉물의 크기가 커질 경우 재봉영역의 제한으로 인해 재봉기의 대형화가 요구되는데, 대형 패턴 재봉기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개념의 재봉기 개발의 필요성도 요구되어 왔다.
더불어,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재봉물의 경우 크기의 대형화로 인해 상부재봉틀과 하부재봉을 상호 잇는 연결부로 인해 재봉물이 상기 연결부에 걸림 되어 재봉물이 훼손되거나 또는 재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공고번호 실용신안 제1991-0001325호의 '대형 봉제용 재봉기'와, 등록번호 제20-0229265호의 '횡관식 재봉테이블 고속 ㅅ자형 산업용 재봉기'와, 등록번호 제20-0430549호의 '재봉기'와, 등록번호 제10-1941790호의 '복합재료 스티칭 장치' 및 공개번호 제10-2012-0064006호의 '재봉기'가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개선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해낸 것으로써,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재봉물의 경우, 그 크기가 대형화되어 있음으로 인해 재봉 시에 상부재봉틀과 하부재봉틀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성하지 않아 재봉물이 상기 연결부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상부재봉틀과 하부재봉틀을 동시에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동력전달샤프트를 구성한 상부재봉틀과 하부재봉틀이 각각 구분되어 재봉물의 걸림이 없는 산업용재봉틀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부와 하부에 레일이 각각 구성된 기본틀이 구성되고, 상기 상부레일에 연결되는 상부칼럼과 하부레일에 연결되는 하부칼럼이 각각 구성되며, 상기 상부칼럼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되 일 측에 재봉상부부재가 구성된 상부재봉틀이 구성되고, 상기 하부칼럼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되 상기 재봉상부부재와 대응되는 부분에 재봉하부부재가 구성된 하부재봉틀이 구성되며, 상기 기본틀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하되 상기 상부재봉틀과 연결된 상부샤프트와, 상기 하부재봉틀과 연결된 하부샤프트 및 상기 상하부샤프트를 상호 연결하는 동력전달샤프트로 구성된 동력부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재봉틀과 하부재봉틀이 각각 구분되어 재봉물의 걸림이 없는 산업용재봉틀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상부재봉틀과 하부재봉틀이 각각 구분되어 재봉물의 걸림이 없는 산업용재봉틀에 따르면,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대형의 재봉물을 재봉 시에 상부재봉틀과 하부재봉틀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가 없어 재봉물에 대한 훼손이 발생하지 않고, 더불어 재봉완성품에 대해서도 품질에 하자가 발생되지 않는 등 그 효과가 큰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재봉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핵심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3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인 산업용재봉틀은 상부와 하부에 레일이 각각 구성된 기본틀(100)이 구성되고, 상기 상부레일(110)에 연결되는 상부칼럼(200)과 하부레일(120)에 연결되는 하부칼럼(300)이 각각 구성되며, 상기 상부칼럼(200)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되 일 측에 재봉상부부재가 구성된 상부재봉틀(400)이 구성되고, 상기 하부칼럼(300)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되 상기 재봉상부부재와 대응되는 부분에 재봉하부부재가 구성된 하부재봉틀(500)이 구성되며, 상기 기본틀(100)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는 구동모터(610)와, 상기 구동모터(610)와 연결되어 구동하되 상기 상부재봉틀(400)과 연결된 상부샤프트(620)와, 상기 하부재봉틀(500)과 연결된 하부샤프트(630) 및 상기 상하부샤프트(620, 630)를 상호 연결하는 동력전달샤프트(640)로 구성된 동력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기본틀(100)에는 상부와 하부에 상부레일(110)과 하부레일(120)이 각각 구성된다.
상부칼럼(200)과 하부칼럼(300)은 상기 상부레일(110)과 하부레일(12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상, 하부레일(110, 120)을 따라 슬라이딩 한다.
상부재봉틀(400)은 상기 상부칼럼(200)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일 측에는 재봉상부부재가 구성된다.
하부재봉틀(500)은 상기 하부칼럼(300)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재봉상부부재와 대응되는 부분에 재봉하부부재가 구성된다.
상기 재봉상부부재에는 노루발, 윗실장력조절장치, 실패꽂이, 실채기, 바늘대, 톱니, 반달, 윗실조절기, 압력조절기, 윗실안내가 구성되고, 상기 재봉하부부재에는 속도조절판, 바늘판, 미끄럼판이 구성되어 있다.
동력부재는 상기 기본틀(100)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는 구동모터(610)와, 상기 구동모터(610)와 연결되어 구동하되 상기 상부재봉틀(400)과 연결된 상부샤프트(620)와, 상기 하부재봉틀(500)과 연결된 하부샤프트(630) 및 상기 상하부샤프트(620, 630)를 상호 연결하는 동력전달샤프트(640)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610)는 상부재봉틀(400)과 하부재봉틀(500)의 동시 구동을 위해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상, 하부샤프트(620, 630)는 상, 하부레일(110, 120)에서 일정 간격 이격을 이루며 구성되되 상기 상, 하부레일(110, 120)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구성된다.
상기 동력전달샤프트(640)는 상, 하부샤프트(620, 630)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모터(610)와 연결된 상부샤프트(620)가 구동함에 따라 하부샤프트(630)가 동시에 구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상, 하부샤프트(620, 630)와 동력전달샤프트(640)는 헤리컬기어를 각각 구성하여 상, 하부샤프트(620, 630)가 동시 구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부재봉틀(400)과 연결되는 상부샤프트(620)와, 하부재봉틀(500)과 연결되는 하부샤프트(630)도 헤리컬기어로 각각 연결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동력전달샤프트(640)의 연결로 인해 상, 하부샤프트(620, 630)가 동시에 구동되고, 그로 인해 상, 하부샤프트(620, 630)와 연결된 상, 하부재봉틀(400, 500)도 동시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헤리컬기어의 경우, 상, 하부샤프트(620, 630)의 동시구동을 위한 별도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음으로 한정하지 않겠다.
상부재봉틀(400) 또는 하부재봉틀(500)의 일 측에는 돌림바퀴가 구성된다.
돌림바퀴는 상기 상부재봉틀(400)의 일 측에는 수동 또는 반자동 또는 자동으로 구동하되 재봉상부부재에 구성되는 실채기, 바늘대, 톱니, 반달을 움직여 재봉물에 바느질을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대형의 재봉물을 재봉 시에 상부재봉틀과 하부재봉틀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가 없어 재봉물에 대한 훼손이 발생하지 않고, 더불어 재봉완성품에 대해서도 품질에 하자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100 : 기본틀 110 : 상부레일 120 : 하부레일
200 : 상부칼럼
300 : 하부칼럼
400 : 상부재봉틀
500 : 하부재봉틀
610 : 구동모터 620 : 상부샤프트
630 : 하부샤프트 640 : 동력전달샤프트

Claims (3)

  1. 상부와 하부에 레일이 각각 구성된 기본틀(100)과, 상기 상부레일(110)에 연결되는 상부칼럼(200)과, 하부레일(120)에 연결되는 하부칼럼(300)과, 상기 상부칼럼(200)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되 일 측에 재봉상부부재가 구성된 상부재봉틀(400)과, 상기 하부칼럼(300)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되 상기 재봉상부부재와 대응되는 부분에 재봉하부부재가 구성된 하부재봉틀(500)과, 상기 기본틀(100)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는 구동모터(610)와, 상기 구동모터(610)와 연결되어 구동하되 상기 상부재봉틀(400)과 연결된 상부샤프트(620) 및 상기 하부재봉틀(500)과 연결된 하부샤프트(630)로 구성된 산업용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샤프트(620, 630)는 상, 하부레일(110, 120)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구성되고,
    상기 상, 하부샤프트(620, 630)를 상호 연결하는 동력전달샤프트(640)가 구성되며,
    상기 상, 하부샤프트(620, 630) 및 동력전달샤프트(640)는 상호 헬리컬기어로 연결 구성되되
    상기 상부샤프트(620)와 동력전달샤프트(640)를 연결하는 각각의 헬리컬기어 사이와, 상기 하부샤프트(630)와 동력전달샤프트(640)를 연결하는 각각의 헬리컬기어 사이에는 방향전환기어(650a, 650b)가 각각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재봉틀과 하부재봉틀이 각각 구분되어 재봉물의 걸림이 없는 산업용재봉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상부부재에는 노루발, 윗실장력조절장치, 실패꽂이, 실채기, 바늘대, 톱니, 반달, 윗실조절기, 압력조절기, 윗실안내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재봉틀과 하부재봉틀이 각각 구분되어 재봉물의 걸림이 없는 산업용재봉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하부부재에는 속도조절판, 바늘판, 미끄럼판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재봉틀과 하부재봉틀이 각각 구분되어 재봉물의 걸림이 없는 산업용재봉틀.

KR1020190087225A 2019-07-18 2019-07-18 상부재봉틀과 하부재봉틀이 각각 구분되어 재봉물의 걸림이 없는 산업용재봉틀 KR102179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225A KR102179332B1 (ko) 2019-07-18 2019-07-18 상부재봉틀과 하부재봉틀이 각각 구분되어 재봉물의 걸림이 없는 산업용재봉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225A KR102179332B1 (ko) 2019-07-18 2019-07-18 상부재봉틀과 하부재봉틀이 각각 구분되어 재봉물의 걸림이 없는 산업용재봉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332B1 true KR102179332B1 (ko) 2020-11-16

Family

ID=73680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225A KR102179332B1 (ko) 2019-07-18 2019-07-18 상부재봉틀과 하부재봉틀이 각각 구분되어 재봉물의 걸림이 없는 산업용재봉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3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2544Y2 (ko) * 1986-10-22 1987-08-20
JPH07275537A (ja) * 1994-04-13 1995-10-24 Aisin Seiki Co Ltd ミシン頭部駆動装置
KR20080089985A (ko) * 2007-04-03 2008-10-08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2본침 패턴 재봉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2544Y2 (ko) * 1986-10-22 1987-08-20
JPH07275537A (ja) * 1994-04-13 1995-10-24 Aisin Seiki Co Ltd ミシン頭部駆動装置
KR20080089985A (ko) * 2007-04-03 2008-10-08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2본침 패턴 재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301299A (ja) 多頭刺繍ミシン
DE102011120436A1 (de) Nähmaschine und Verfahren zum Steuern ihres Betriebs
KR101147075B1 (ko) 자수 무늬의 보수 방법
CN111094642A (zh) 缝纫机
JPH02259154A (ja) ミシンにおける普通縫及び刺しゅう縫の切換装置
KR102179332B1 (ko) 상부재봉틀과 하부재봉틀이 각각 구분되어 재봉물의 걸림이 없는 산업용재봉틀
US2609769A (en) Automatic pattern control for sewing machines
JPH03234291A (ja) ミシン
JP4384201B2 (ja) ミシンの縫製枠駆動装置
CN111705443A (zh) 一种自动绣作方法和自动绣花机
JP2866504B2 (ja) ミシンにおけるルーパ装置
EP1947228A2 (en) Apparatus for driving embroidery frame of embroidery machine
CN207418999U (zh) 可调节的绗缝机
KR100589558B1 (ko) 원단 이송장치의 원단 미끄럼 방지 장치
JP2007075223A (ja) 環縫いミシンのルーパー装置
JP4420704B2 (ja) 多頭式ミシン
DE112005000258T5 (de) Nähmaschine
JP3287638B2 (ja) ミシンの布張装置及び縫製方法
JP2722778B2 (ja) ミシンの加工布送り装置
JP5854478B2 (ja) 縫製装置の下糸繰出し装置
JP2005205153A (ja) シークイン供給装置
KR101856902B1 (ko) 줄누비기
JPS6112042Y2 (ko)
JPH01303192A (ja)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
US6708633B2 (en) Method for seaming linking loops on knitted fabr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