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336B1 -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한 고객과 인테리어 업체간 매칭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한 고객과 인테리어 업체간 매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336B1
KR102177336B1 KR1020200063314A KR20200063314A KR102177336B1 KR 102177336 B1 KR102177336 B1 KR 102177336B1 KR 1020200063314 A KR1020200063314 A KR 1020200063314A KR 20200063314 A KR20200063314 A KR 20200063314A KR 102177336 B1 KR102177336 B1 KR 102177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terior
style
expert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인사이트
김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인사이트, 김기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인사이트
Priority to KR1020200063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4Classification techniques
    • G06F18/241Classification techniques relating to the classification model, e.g. parametric or non-parametric approaches
    • G06F18/2413Classification techniques relating to the classification model, e.g. parametric or non-parametric approaches based on distances to training or reference patterns
    • G06K9/62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 시스템은, 인테리어 시공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고객 단말; 인테리어 시공 서비스를 공급하는 시공업체가 소지한 전문가 단말; 및 상기 고객 단말 및 상기 전문가 단말과 매칭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한 고객과 인테리어 업체간 매칭 시스템 {Matching system between customer and interior company using data filtering}
본 발명은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한 고객과 인테리어 업체간 매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테리어 시공을 원하는 고객과 인테리어 업체를 신뢰성 있게 매칭시킬 수 있는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한 고객과 인테리어 업체간 매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테리어란 현대인의 생활방식을 분석하여 공간을 보다 매력 있게, 그리고, 편리하게 디자인하고, 각양각색의 광범위한 실내공간을 적절한 기능과 형태로 실체화시켜 쾌적한 실내환경을 연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제한된 실내 공간에서 인간이 쾌적한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현대 생활에 있어 꼭 필요한 실용적 창조행위라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좋은 인테리어란 공간의 특성을 잘 파악하여 보기에 아름다우면서도 사용할 때의 실용성을 극대화한 인테리어라 할 수 있다. 좋은 인테리어를 위해서는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구 및 각종 소품 등과 더불어, 현관, 침실, 주방, 욕실 등 생활 공간내 패턴에 따른 쾌적한 동선이 잘 어우러져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인테리어 공사는 독창성, 창의성, 전문성 등을 요하는 매우 난해한 작업이다. 따라서, 보다 완성도 있는 인테리어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만족감있게 실행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기술과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전문 인테리어 시공업자들의 도움을 필요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에는 전문 인테리어시공업자와의 상담, 또는 자재구입 등을 위해서는, 소비자가 직접 발품을 팔아 불특정 다수의 인테리어 업체를 두루두루 방문해야 하고, 더욱이, 방문상담 등이 완료된 이후, 전문 인테리어시공업자로 하여금 현장을 답사하게 하여 실측 및 구조확인 등을 통해 시공에 따른 견적비용을 산출토록 해야 하는 것이었 던바, 따라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며,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낭비해야 하는 등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을 갖게 한다.
특히, 관행적으로 이루어지는 불합리한 시공비용 부풀리기와, 시공 후, 하자보수에 관한 소비자의 불만족 및 피해사례는, 상기 인테리어공사의 계획수립과 시공의뢰시 발생하는 가장 대표적인 폐단의 일 예라 할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전술한 종래 인테리어공사의 계획수립 및 시공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출원 공개(특허공개 제2009-0001967호)된 "인터넷을 이용한 건축 시공의 직거래 연결시스템"외 다수의 인테리어 관련기술들이 창안된 바 있다.
이러한, 선출원 공개기술로서의 "인터넷을 이용한 건축 시공의 직거래 연결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소비자 디바이스 및 시공자 디바이스와 인터넷 접속되며, 인테리어 또는 보수 공사 시공에 따른 각각의 자재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소비자 디바이스의 공사 의뢰 등록에 따른 복수의 시공자 디바이스의 입찰을 통해 소비자와 전문건설 업체의 시공자를 직거래로 연결하여 주는 웹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은 온라인을 통한 전자상거래, 예컨대, O2O (Online to Offline)서비스가 적용된 마케팅 기술로써,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인테리어 정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공하여, 여러 다른 시공업체와 비교를 통해 소비자 자신의 예산과 맞는 합리적인 가격의 시공업체를 찾을 수 있도록 한 것이기는 하나, 이는, 통상의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를 표면에 두고 이루어지는 단순비교형 서비스에 불과한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인테리어 시공업자의 도덕성에 따라 천차만별 격차를 보이며 책정된 빈약한 근거의 가격기준과, 자재 및 시공품질에 상관없이 소비자가 요구하는 예산범위에 맞추어 다수의 인테리어 시공업체가 자체 책정한 견적비용을 제시하고, 그와 같이 제시된 견적비용만을 단순히 비교하는 정도에 불과한 것임에 따라, 인테리어 업계의 관행으로 이루어지는 가격 부풀리기가 여전히 존재하고, 따라서, 소비자의 불만사례 역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869356 호 한국공개특허 제 10-2009-0001967 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인테리어 시공을 원하는 고객과 인테리어 업체를 신뢰성 있게 매칭시킬 수 있는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한 고객과 인테리어 업체간 매칭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실제 시공 과정에서 원격지에서도 고객과 인테리어 시공업체 간의 원활한 의견 교환을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한 고객과 인테리어 업체간 매칭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한 고객과 인테리어 업체간 매칭 시스템은, 인테리어 시공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고객 단말; 인테리어 시공 서비스를 공급하는 시공업체가 소지한 전문가 단말; 및 상기 고객 단말 및 상기 전문가 단말과 매칭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매칭서버는, 통신부; 견적정보 생성부; 매칭부; 전자계약 관리부; 화상통화 제어부; 및 예치금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고객 단말 및 상기 전문가 단말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고객 단말 및 상기 전문가 단말과 데이터를 주고받고,
상기 견적정보 생성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견적요청 데이터를 분석하여 견적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견적요청 데이터는, 인테리어 시공이 요구되는 현장의 공간적 특징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공간유형정보; 상기 현장의 위치, 전체 면적, 시공 희망일, 시공희망예산액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현장정보; 상기 현장에 대한 세부적인 시공 항목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시공항목정보, 상기 현장에 대한 실사 이미지; 및 사용자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컨셉이 반영된 스크랩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견적정보 생성부는,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크랩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스크랩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구분하고, 구분된 객체를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 목록과 비교하여 구분된 각각의 객체가 어떤 인테리어 스타일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한 후,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스타일을 나타내는 스타일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견적정보 생성부는, 모던, 심플, 빈티지, 내츄럴, 클래식, 인더스트리얼, 북유럽, 럭셔리, 미니멀, 레트로 중 어느 하나의 인테리어 스타일로 미리 분류된 복수의 학습용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학습용 데이터를 분석하여 검출된 객체를 동종의 인테리어 소품별로 그룹화하고, 전체 학습용 데이터 수에 대하여 인테리어 스타일별 학습용 데이터에 출현한 수의 비율을 산출하여 인테리어 소품마다 스타일별 점수를 산출하여 상기 기준 데이터 목록에 저장한 후,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크랩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스크랩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구분하고, 구분된 어느 하나의 객체를 상기 기준 데이터 목록에 저장된 모든 소품과의 유사도를 산출한 후 유사도가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소품을 선택하고, 선택된 소품에 미리 설정된 스타일별 점수를 상기 객체에 부여하며, 모든 객체에 부여된 스타일별 점수를 합산하여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는 항목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한 후, 이를 스타일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매칭부는, 상기 견적정보 생성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견적정보를 상기 매칭서버와 연동되는 웹페이지에 게시하여, 상기 견적정보를 열람한 복수의 전문가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전문가 단말을 상기 고객 단말과 매칭시키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매칭부로부터 상기 견적정보에 따라 인테리어 시공을 희망하는 시공업체 목록을 수신하고, 수신된 시공업체 목록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문가 단말에 대한 선택정보를 상기 매칭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매칭부는, 상기 선택정보에 포함된 전문가 단말이 하나인 경우, 상기 선택정보에 포함된 전문가 단말과 상기 고객 단말을 매칭시키고, 상기 선택정보에 포함된 전문가 단말이 둘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전문가 단말 간의 역경매 방식을 통해 어느 하나의 전문가 단말을 선택하되,
상기 역경매 방식을 통해 어느 하나의 전문가 단말을 선택하는 것은, 상기 매칭부가 각각의 전문가 단말별로 미리 예치된 예치금의 금액 크기에 비례하여 경매에 참여하기 위한 입찰 토큰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생성하여 전문가 단말로 전송한 후, 전문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입찰 토큰 데이터에 기록된 공급가액을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전문가 단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입찰 토큰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생성하여 전문가 단말로 전송하는 것은, 상기 매칭부가 전문가 단말로부터 수신된 시공사례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시공사례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구분하고, 구분된 어느 하나의 객체를 상기 기준 데이터 목록에 저장된 모든 소품과의 유사도를 산출한 후 유사도가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소품을 선택하고, 선택된 소품에 미리 설정된 스타일별 점수를 상기 객체에 부여하고, 모든 객체에 부여된 스타일별 점수를 항목별로 합산하여 인테리어 시공업체의 스타일별 점수 분포 패턴을 추정하고,
상기 스크랩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스크랩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구분하고, 구분된 어느 하나의 객체를 상기 기준 데이터 목록에 저장된 모든 소품과의 유사도를 산출한 후 유사도가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소품을 선택하고, 선택된 소품에 미리 설정된 스타일별 점수를 상기 객체에 부여하며, 모든 객체에 부여된 스타일별 점수를 항목별로 합산하여 사용자의 스타일별 점수 분포 패턴을 추정하며,
추정된 상기 사용자의 스타일별 점수 분포 패턴과 시공업체별로 추정된 상기 시공업체의 스타일별 점수 분포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타일별 점수 분포 패턴과 가장 유사한 점수 분포 패턴을 갖는 전문가 단말 순서대로 추가적인 입찰 토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자계약 관리부는, 선택된 상기 전문가 단말과 상기 고객단말 간인테리어 시공 서비스에 대한 전자계약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전자계약서를에 대한 블록 데이터를 기 구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되,
생성된 상기 전자계약서를에 대한 블록 데이터를 기 구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은, 상기 역경매 과정에서 상기 입찰 토큰 데이터의 수신 간격 패턴에 기초하여 디지털 워터마크를 생성하고, 생성된 디지털 워터마크를 상기 전자계약서에 삽입하여 상기 블록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화상통화 제어부는, 인테리어 시공 기간 동안 상기 전문가 단말과상기 고객 단말간의 화상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며, 화상통화 과정에서 상기 전문가 단말에서 선택된 화면 위치가 상기 고객 단말의 화면에 동기화되어 표시되거나 상기 고객 단말에서 선택된 화면 위치가 상기 전문가 단말의 화면에 동기화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전문가 단말 및 상기 고객 단말은, 단말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는 입력 신호를 상기 매칭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화상통화 제어부는, 수신된 입력 신호의 픽셀 좌표를 상기 터치스크린의 전체 영역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문가 단말 및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전문가 단말 및 상기 고객 단말은, 수신된 상기 상대적인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소정 위치에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객체를 생성하여 표시하며,
상기 화상통화 제어부는, 상기 전문가 단말과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동시에 상기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각각의 입력 신호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값을 생성한 후, 생성된 두 좌표값을 끝점으로 하는 가이드 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전문가 단말 및 상기 고객 단말에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스크랩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무의식적인 인테리어 선호도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인테리어를 시공하는 시공업체를 매칭시켜 신뢰성 있는 매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계약 과정에서 악의적인 수정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실제 인테리어 시공 과정에서 원격지에 위치한 고객과 시공업체가 동기화된 화면을 통해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어 인테리어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매칭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견적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고객 단말에 표시되는 견적 신청 화면의 구체적인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스타일을 추정하는 구체적인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2의 매칭부의 매칭 알고리즘의 일 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한 고객과 인테리어 업체간 매칭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한 고객과 인테리어 업체간 매칭 시스템(1000)은, 고객 단말(100), 전문가 단말(200) 및 매칭서버(300)를 포함한다.
고객 단말(100)은 인테리어 시공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전자장치로,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데이터의 연산 및 처리가 가능하며 이동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바이스(device), 기구(apparatus), 단말(terminal),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전문가 단말(200)은 고객 단말(100), 즉 사용자가 요청하는 특정 전문분야에 능숙한 전문가가 소지한 단말로, 전자장치로,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데이터의 연산 및 처리가 가능하며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바이스(device), 기구(apparatus), 단말(terminal),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예컨대, 전문가 단말(200)은 인테리어 시공 서비스를 공급하는 시공업체가 소지한 전자장치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전문가 단말(200)은 다양한 산업분야의 전문가가 소지한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문가 단말(200)은 인테리어 전문업체 또는 전문가가 소지한 단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고객 단말(100) 및 전문가 단말(200)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한 고객과 인테리어 업체간 매칭 시스템(1000)을 이용한 인테리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및 시공자는 고객 단말(100) 및 전문가 단말(200)에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매칭서버(300)에 접속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매칭서버(300)는 상기 고객 단말(100) 및 상기 전문가 단말(200)과 매칭서버(300)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시공을 위한 매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매칭서버(300)는 고객 단말(100)로부터 인테리어 시공을 위한 업체 매칭이 요청되면, 고객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세부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 맞춤형 시공업체를 매칭할 수 있으며, 매칭된 시공업체와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sontract) 서비스를 지원함으로써 계약 내용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시공 과정에서 사용자와 시공업체 간의 원할한 의사소통 서비스를 제공하여 상호 만족도가 높은 매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매칭서버(3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매칭서버(30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로, 매칭서버(300)는 통신부(310), 사용자 관리부(320), 견적정보 생성부(330), 매칭부(340), 전자계약 관리부(350) 및 화상통화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10)는, 상기 고객 단말(100) 및 상기 전문가 단말(200)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고객 단말(100) 및 상기 전문가 단말(200)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320)는 통신부(310)를 통해 매칭서버(300)로 접속하는 고객 단말(100) 및 전문가 단말(200)의 가입 과정을 제어하고, 이후 접속 과정에서의 로그인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관리부(320)는 회원 가입된 사용자 및 시공업체로부터 예치되는 예치금을 관리할 수 있으며, 충전된 예치금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매칭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비용을 차감할 수 있다.
상기 견적정보 생성부(330)는,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견적요청 데이터를 분석하여 견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은 고객 단말(100)에 표시되는 견적 신청 화면의 구체적인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사용자는 고객 단말(100)을 통해 매칭서버(300)에 접속한 후 인테리어 시공을 신청하기 위한 견적신청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견적신청 과정은 총 5단계로 이루어지며, 그 중 제1 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인테리어 시공이 요구되는 현장의 공간적 특징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공간유형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고객 단말(100)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시공을 받고자 하는 공간이 주거공간인지 또는 상업공간인지를 선택한 후, 주거공간인 경우 아파트/빌라/주택/원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세부 항목을 선택하여 공간유형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제2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리어 시공을 받고자 하는 현장의 위치, 전체 면적, 시공 희망일, 시공희망예산액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현장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제3 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에 대한 세부적인 시공 항목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시공항목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로, 사용자는 현재 거주 중인 공간 중에서도 어느 영역에 대한 인테리어 시공을 요청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영역에서의 인테리어 세부 시공 내역을 선택할 수 있다.
제4 단계는 사용자의 추가적인 요청사항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장에 대한 실사 이미지 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컨셉이 반영된 스크랩 이미지를 첨부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희망하는 인테리어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으며, 희망 스타일 영역을 클릭하는 경우 모던 / 심플 / 빈티지 / 내츄럴 / 클래식 / 인더스트리얼 / 북유럽 / 럭셔리 / 미니멀 / 레트로 스타일 중 1개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의 실제 인테리어 사진을 첨부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인테리어 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이미지 파일로 첨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견적정보 생성부(330)는 고객 단말(100)로부터 인테리어 시공이 요구되는 현장의 공간적 특징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공간유형정보; 상기 현장의 위치, 전체 면적, 시공 희망일, 시공희망예산액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현장정보; 상기 현장에 대한 세부적인 시공 항목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시공항목정보, 상기 현장에 대한 실사 이미지; 및 사용자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컨셉이 반영된 스크랩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기 견적요청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견적정보 생성부(330)는 사용자가 인테리어 스타일을 선택하지 않거나 특정 인테리어 스타일을 선택했더라도, 사용자가 첨부한 스크랩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호는 인테리어 스타일을 추정하여 이를 스타일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견적정보 생성부(330)는, 상기 고객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크랩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스크랩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구분할 수 있다. 견적정보 생성부(300)는 스크랩 이미지를 구성하는 객체를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 목록과 비교하여 구분된 각각의 객체가 어떤 인테리어 스타일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영상 속 객체를 구분하는 기술은 영상 처리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견적정보 생성부(330)는 스크랩 이미지를 구성하는 객체가 어떠한 인테리어 소품인지를 구분한 후, 주로 사용된 인테리어 소품의 종류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스타일을 나타내는 스타일 정보를 생성하되,
이를 위해, 상기 견적정보 생성부(330)는, 모던, 심플, 빈티지, 내츄럴, 클래식, 인더스트리얼, 북유럽, 럭셔리, 미니멀, 레트로 중 어느 하나의 인테리어 스타일로 미리 분류된 복수의 학습용 데이터를 입력받아 기준 데이터 목록을 구축할 수 있다.
예컨대, 견적정보 생성부(330)는 모던 스타일/심플 스타일/빈티지 스타일/내츄럴 스타일/클래식 스타일/인더스트리얼 스타일/북유럽 스타일/럭셔리 스타일/미니멀 스타일/레트로 스타일로 인테리어된 학습용 데이터를 각각 100장씩 입력받을 수 있으며, 각각의 입력받은 학습용 데이터를 분석하여 검출된 객체를 동종의 인테리어 소품별로 그룹화할 수 있다.
이후, 견적정보 생성부(330)는 전체 학습용 데이터 수에 대하여 인테리어 스타일별 학습용 데이터에 출현한 수의 비율을 산출하여 인테리어 소품마다 스타일별 점수를 산출하여 상기 기준 데이터 목록에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타일별 학습 데이터를 10장씩 총 100장 입력받고, 그 중 원목식탁으로 구분된 객체가 모던 스타일로 미리 분류된 학습용 데이터에서 총 1회 검색된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출현 횟수를 1회로 카운팅 할 수 있다. 이후, 출현 횟수 1을 전체 입력된 학습용 데이터의 개수인 100으로 나누어 0.01을 산출할 수 있으며, 직관성을 위해 기 설정된 공통계수(예컨대 10)을 곱하여 최종 점수인 0.1을 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견적정보 생성부(330)는 원목식탁은 모던 스타일의 인테리에서는 비교적 적은 빈도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원목식탁은 내츄럴 스타일의 인테리어 분야에서 자주 사용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견적정보 생성부(330)는 학습용 데이터에 포함된 소품의 종류, 색상 등에 따른 인테리어 소품 객체별로 스타일별 점수를 산출하여 기준 데이터 목록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견적정보 생성부(330)는 고객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견적요청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크랩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스크랩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구분할 수 있다.
견적정보 생성부(330)는 구분된 어느 하나의 객체를 상기 기준 데이터 목록에 저장된 모든 소품과의 유사도를 산출한 후 유사도가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소품을 선택하여 스크랩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가 어떤 종류의 인테리어 소품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이때, 견적정보 생성부(330)는 선택된 소품에 미리 설정된 스타일별 점수를 상기 객체에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랩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객체가 기준 데이터 목록에 포함된 황토색 의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황토색 의자에 미리 부여된 스타일별 점수 0.1, 0, 0.9, 0.3, 1, 0.8, 0.2, 1, 0.8, 0.9를 제1 객체에 부여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견적정보 생성부(330)는 스크랩 이미지에 포함된 각각의 객체를 기준 데이터 목록과 비교하여 각각의 객체에 대한 스타일별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이후, 견적정보 생성부(330)는 각각 객체에 부여된 스타일별 점수를 합산하여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는 항목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빈티지 스타일의 점수 합계가 2.1로 가장 높기 때문에, 견적정보 생성부(330)는 고객 단말(100)이 빈티지 스타일을 선호함을 나타내는 스타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이 선호하는 인테리어 스타일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자신이 선호하는 인테리어 사진을 첨부하기만 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견적정보 생성부(330)가 사용자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스타일을 신뢰성 있게 추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매칭부(340)는, 상기 견적정보 생성부(330)로부터 수신된 상기 견적정보를 상기 매칭서버(300)와 연동되는 웹페이지에 게시하여, 상기 견적정보를 열람한 복수의 전문가 단말(200) 중 어느 하나의 전문가 단말(200)을 상기 고객 단말(100)과 매칭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매칭부(340)의 매칭 알고리즘의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매칭부(340)는 고객 단말(100)과 전문가 단말(200) 각각으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특정 고객과 매칭될 업체의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매칭부(340)는 고객 단말(100)과 전문가 단말(200) 각각으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를 요소별로 비교하여, 각 항목이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소정의 우선순위 확률을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매칭부(340)는 고객 단말(100)의 지역과 전문가 단말(200)의 1차데이터(예컨대 위치)가 기 설정된 기준반경 내에 모두 위치하는 경우 우선순위를 33.3%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매칭부(340)는 고객 단말(100)의 지역과 전문가 단말(200)의 2차, 3차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거나 일치하는 경우 우선순위를 33.3%씩 증가시키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당 차수에서의 우선순위 확률을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매칭부(340)는 합산된 우선순위 확률이 기 설정된 임계확률(예컨대 66.6%)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전문가 단말을 매칭 후보군에 포함시키고, 합산된 우선순위 확률이 임계확률 미만으로 확인되면 해당 전문가 단말을 매칭 후보군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이후, 매칭부(340)는 매칭 후보군에 포함된 복수의 전문가 단말의 활동 지수 데이터에 기반하여 최종 매칭 후보군을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칭부(340)는 활동 지수 데이터를 수치화하여 상위 10개 업체(전문가 단말)를 최종 매칭 후보군으로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활동 지수 데이터는 열람 횟수, 콘텐츠, 스크랩, 추천 횟수, 조회수 등과 같은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업체를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최종적으로, 매칭부(340)는 추출된 최종 매칭 후보군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최종적으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전문가 단말(200)를 사용자 단말(100)과 매칭시킬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매칭부(340)는 웹페이지에 게시된 게시물을 조회한 시공업체가 해당 견적정보에 따른 인테리어 시공을 희망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 단말(100)로 알릴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매칭부(340)로부터 상기 견적정보에 따라 인테리어 시공을 희망하는 시공업체 목록을 수신하면, 수신된 시공업체 목록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문가 단말(200)에 대한 선택정보를 상기 매칭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매칭부(340)는 상기 선택정보에 포함된 전문가 단말(200)이 하나인 경우, 상기 선택정보에 포함된 전문가 단말(200)과 상기 고객 단말(100)을 매칭시키고, 상기 선택정보에 포함된 전문가 단말(200)이 둘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전문가 단말(200) 간의 역경매 방식을 통해 어느 하나의 전문가 단말(200)을 선택할 수 있다.
역경매 방식으로 전문가 단말(200)을 선택하기 위해, 매칭부(340)는 각각의 전문가 단말(200)별로 미리 예치된 예치금의 금액 크기에 비례하여 경매에 참여하기 위한 입찰 토큰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생성하여 전문가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경매에 참여하는 시공업체가 셋이고, 각각의 시공업체가 매칭서버(300)를 통해 미리 예치한 예치금이 각각 10만원, 5만원, 2만원인 경우, 매칭부(340)는 10만원 예치금을 보관 중인 전문가 단말(200)에 3개의 입찰 토큰 데이터를 전송하고, 5만원 예치금을 보관 중인 전문가 단말로는 2개의 입찰 토큰 데이터를, 나머지 업체로는 1개의 입찰 토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첫번째 시공업체의 경우 총 3회의 입찰 기회를 가지게 되고, 두번째 시공업체는 2회, 세번째 시공업체의 경우 1회의 입찰 기회를 갖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업체는 입찰 기회를 늘리기 위해 예치금을 증액하게 되어 본 시스템을 이용한 수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매칭부(340)는 전문가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입찰 토큰 데이터에 기록된 공급가액을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전문가 단말(200)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매칭부(340)는 고객의 인테리어 스타일과의 유사도에 따라 추가적인 입찰 토큰 데이터를 지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매칭부(340)는 전문가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시공사례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시공사례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구분하고, 구분된 어느 하나의 객체를 상기 기준 데이터 목록에 저장된 모든 소품과의 유사도를 산출한 후 유사도가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소품을 선택하고, 선택된 소품에 미리 설정된 스타일별 점수를 상기 객체에 부여할 수 있다. 이는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매칭부(3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객체에 부여된 스타일별 점수를 모두 합산하는것이 아니라, 항목별로 합산하여 인테리어 시공업체의 스타일별 점수 분포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매칭부(340)는 고객 단말로부터 수신된 스크랩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스크랩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구분하고, 구분된 어느 하나의 객체를 상기 기준 데이터 목록에 저장된 모든 소품과의 유사도를 산출한 후 유사도가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소품을 선택하고, 선택된 소품에 미리 설정된 스타일별 점수를 상기 객체에 부여하며, 모든 객체에 부여된 스타일별 점수를 항목별로 합산하여 사용자의 스타일별 점수 분포 패턴을 추정할 수 있다.
이후, 매칭부(340)는 추정된 상기 사용자의 스타일별 점수 분포 패턴(고객 그래프)과 시공업체별로 추정된 상기 시공업체의 스타일별 점수 분포 패턴9시공업체 1, 2 그래프)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타일별 점수 분포 패턴과 가장 유사한 점수 분포 패턴을 갖는 전문가 단말(200) 순서대로 추가적인 입찰 토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시공업체 1이 시공업체 2보다 고객의 점수 분포 패턴과 유사하기 때문에, 매칭부(340)는 시공업체 1에 시공업체 2보다 더욱 많은 개수의 입찰 토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원 발명에 따르면, 매칭서버(300)는 고객과 가장 유사한 인테리어 스타일로 시공한 시공업체에 더욱 많은 경매 입찰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고객 단말(100)과의 매칭 확률을 상승시켜 고객에 최적화된 매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전자계약 관리부(350)는, 매칭부(340)선택된 상기 전문가 단말(200)과 상기 고객단말 간인테리어 시공 서비스에 대한 전자계약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전자계약서를 대한 블록 데이터를 기 구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전자계약 관리부(350)는, 디지털 워터마크를 생성하게 되는데, 상기 역경매 과정에서 상기 입찰 토큰 데이터의 수신 간격 패턴에 기초하여 생성된 복수의 디지절 워터마크의 삽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계약 관리부(350)는 전체 경매 시구간 중 입찰 데이터 토큰이 발생한 시점을 추출하고, 역경매 시구간을 블록 데이터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정규화하여 역경매 시구간에서 입찰이 발생된 지점에 해당되는 블록 데이터의 위치에 디지털 워터마크를 삽입할 수 있다.
즉, 전자계약 관리부(350)는 입찰 토큰 데이터가 수신된 개수만큼 디지털 워터마크를 생성하고, 생성된 각각의 디지털 워터마크를 블록 데이터에 삽입함으로써 디지털 워터마크의 개수 및 삽입 위치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화상통화 제어부(360)는, 인테리어 시공 기간 동안 상기 전문가 단말(200)과 상기 고객 단말(100)간의 화상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화상통화 제어부(360)는 화상통화 과정에서 상기 전문가 단말(200)에서 선택된 화면 위치가 상기 고객 단말(100)의 화면에 동기화되어 표시되거나 상기 고객 단말(100)에서 선택된 화면 위치가 상기 전문가 단말(200)의 화면에 동기화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전문가 단말(200) 및 상기 고객 단말(100)은, 단말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는 입력 신호를 상기 매칭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상통화 제어부(360)는, 수신된 입력 신호의 픽셀 좌표를 상기 터치스크린의 전체 영역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문가 단말(200) 및 상기 고객 단말(100)로 전송하고, 상기 전문가 단말(200) 및 상기 고객 단말(100)은, 수신된 상기 상대적인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소정 위치에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객체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화상통화 제어부(360)는, 상기 전문가 단말(200)과 상기 고객 단말(100)로부터 동시에 상기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각각의 입력 신호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값을 생성한 후, 생성된 두 좌표값을 끝점으로 하는 가이드 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전문가 단말(200) 및 상기 고객 단말(100)에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 및 시공업체는 현재 자신이 화면의 어느 지점을 가리키고 있는지와, 상대방이 화면의 어느 지점을 가리키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대방이 지시하는 화면 위치를 발견하지 못하더라도 가이드 객체를 따라 시선을 이동함으로써 상대방이 현재 주시하고 있는 화면 영역을 따라갈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한 고객과 인테리어 업체간 매칭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한 고객과 인테리어 업체간 매칭 시스템
100: 고객 단말
200: 전문가 단말
300: 매칭서버

Claims (1)

  1. 인테리어 시공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고객 단말; 인테리어 시공 서비스를 공급하는 시공업체가 소지한 전문가 단말; 및 상기 고객 단말 및 상기 전문가 단말과 통신하여 인테리어 시공을 위한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칭서버를 포함하는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한 고객과 인테리어 업체간 매칭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매칭서버는, 통신부; 견적정보 생성부; 매칭부; 전자계약 관리부; 화상통화 제어부; 및 예치금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고객 단말 및 상기 전문가 단말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고객 단말 및 상기 전문가 단말과 데이터를 주고받고,
    상기 견적정보 생성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견적요청 데이터를 분석하여 견적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견적요청 데이터는, 인테리어 시공이 요구되는 현장의 공간적 특징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공간유형정보; 상기 현장의 위치, 전체 면적, 시공 희망일, 시공희망예산액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현장정보; 상기 현장에 대한 세부적인 시공 항목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시공항목정보, 상기 현장에 대한 실사 이미지; 및 사용자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컨셉이 반영된 스크랩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견적정보 생성부는,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크랩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스크랩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구분하고, 구분된 객체를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 목록과 비교하여 구분된 각각의 객체가 어떤 인테리어 스타일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한 후,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스타일을 나타내는 스타일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견적정보 생성부는, 모던, 심플, 빈티지, 내츄럴, 클래식, 인더스트리얼, 북유럽, 럭셔리, 미니멀, 레트로 중 어느 하나의 인테리어 스타일로 미리 분류된 복수의 학습용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학습용 데이터를 분석하여 검출된 객체를 동종의 인테리어 소품별로 그룹화하고, 전체 학습용 데이터 수에 대하여 인테리어 스타일별 학습용 데이터에 출현한 수의 비율을 산출하여 인테리어 소품마다 스타일별 점수를 산출하여 상기 기준 데이터 목록에 저장한 후,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크랩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스크랩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구분하고, 구분된 어느 하나의 객체를 상기 기준 데이터 목록에 저장된 모든 소품과의 유사도를 산출한 후 유사도가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소품을 선택하고, 선택된 소품에 미리 설정된 스타일별 점수를 상기 객체에 부여하며, 모든 객체에 부여된 스타일별 점수를 합산하여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는 항목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한 후, 이를 스타일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매칭부는, 상기 견적정보 생성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견적정보를 상기 매칭서버와 연동되는 웹페이지에 게시하여, 상기 견적정보를 열람한 복수의 전문가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전문가 단말을 상기 고객 단말과 매칭시키되,
    상기 고객 단말은, 상기 매칭부로부터 상기 견적정보에 따라 인테리어 시공을 희망하는 시공업체 목록을 수신하고, 수신된 시공업체 목록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문가 단말에 대한 선택정보를 상기 매칭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매칭부는, 상기 선택정보에 포함된 전문가 단말이 하나인 경우, 상기 선택정보에 포함된 전문가 단말과 상기 고객 단말을 매칭시키고, 상기 선택정보에 포함된 전문가 단말이 둘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전문가 단말 간의 역경매 방식을 통해 어느 하나의 전문가 단말을 선택하되,
    상기 역경매 방식을 통해 어느 하나의 전문가 단말을 선택하는 것은, 상기 매칭부가 각각의 전문가 단말별로 미리 예치된 예치금의 금액 크기에 비례하여 경매에 참여하기 위한 입찰 토큰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생성하여 전문가 단말로 전송한 후, 전문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입찰 토큰 데이터에 기록된 공급가액을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전문가 단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입찰 토큰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생성하여 전문가 단말로 전송하는 것은, 상기 매칭부가 전문가 단말로부터 수신된 시공사례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시공사례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구분하고, 구분된 어느 하나의 객체를 상기 기준 데이터 목록에 저장된 모든 소품과의 유사도를 산출한 후 유사도가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소품을 선택하고, 선택된 소품에 미리 설정된 스타일별 점수를 상기 객체에 부여하고, 모든 객체에 부여된 스타일별 점수를 항목별로 합산하여 인테리어 시공업체의 스타일별 점수 분포 패턴을 추정하고,
    상기 스크랩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스크랩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구분하고, 구분된 어느 하나의 객체를 상기 기준 데이터 목록에 저장된 모든 소품과의 유사도를 산출한 후 유사도가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소품을 선택하고, 선택된 소품에 미리 설정된 스타일별 점수를 상기 객체에 부여하며, 모든 객체에 부여된 스타일별 점수를 항목별로 합산하여 사용자의 스타일별 점수 분포 패턴을 추정하며,
    추정된 상기 사용자의 스타일별 점수 분포 패턴과 시공업체별로 추정된 상기 시공업체의 스타일별 점수 분포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타일별 점수 분포 패턴과 가장 유사한 점수 분포 패턴을 갖는 전문가 단말 순서대로 추가적인 입찰 토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자계약 관리부는, 선택된 상기 전문가 단말과 상기 고객단말 간의 인테리어 시공 서비스에 대한 전자계약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전자계약서에 대한 블록 데이터를 기 구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고,
    상기 화상통화 제어부는, 인테리어 시공 기간 동안 상기 전문가 단말과 상기 고객 단말 간의 화상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며, 화상통화 과정에서 상기 전문가 단말에서 선택된 화면 위치가 상기 고객 단말의 화면에 동기화되어 표시되거나 상기 고객 단말에서 선택된 화면 위치가 상기 전문가 단말의 화면에 동기화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전문가 단말 및 상기 고객 단말은, 단말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감지되는 입력 신호를 상기 매칭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화상통화 제어부는, 수신된 입력 신호의 픽셀 좌표를 상기 터치스크린의 전체 영역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문가 단말 및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전문가 단말 및 상기 고객 단말은, 수신된 상기 상대적인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소정 위치에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객체를 생성하여 표시하며,
    상기 화상통화 제어부는, 상기 전문가 단말과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동시에 상기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각각의 입력 신호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값을 생성한 후, 생성된 두 좌표값을 끝점으로 하는 가이드 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전문가 단말 및 상기 고객 단말에 실시간 전송하는,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한 고객과 인테리어 업체간 매칭 시스템.
KR1020200063314A 2020-05-26 2020-05-26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한 고객과 인테리어 업체간 매칭 시스템 KR102177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314A KR102177336B1 (ko) 2020-05-26 2020-05-26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한 고객과 인테리어 업체간 매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314A KR102177336B1 (ko) 2020-05-26 2020-05-26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한 고객과 인테리어 업체간 매칭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336B1 true KR102177336B1 (ko) 2020-11-10

Family

ID=73549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314A KR102177336B1 (ko) 2020-05-26 2020-05-26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한 고객과 인테리어 업체간 매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336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95668A (zh) * 2020-11-15 2021-02-23 深圳千里马装饰集团有限公司 在线建模的家装方案生成方法及系统、以及存储介质
KR102303357B1 (ko) * 2020-11-17 2021-09-24 주식회사 퍼스트하우스 원격 화상 감리 시스템
KR102364533B1 (ko) * 2021-10-05 2022-02-18 김의현 인공 지능 기반의 인테리어 서비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377891B1 (ko) * 2021-08-05 2022-03-23 주식회사 아서앤그레이스 플랫폼 기반의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409754B1 (ko) * 2022-02-16 2022-06-17 송동정 인테리어 및 건축 관련 중개서비스를 위한 고객 지향적 인공지능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220084640A (ko) * 2020-12-14 2022-06-21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인테리어 서비스의 빅데이터 기반의 기 배치 사물 분석을 통한 사물 특성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220101807A (ko) *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Sns 텍스트 기반의 사용자의 인테리어 스타일 분석 모델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01808A (ko) *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Sns 텍스트 기반의 사용자의 인테리어 스타일 분석 모델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
KR102435579B1 (ko) * 2022-01-21 2022-08-24 주식회사 수리5형제 공간 리모델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46021B1 (ko) * 2023-04-06 2023-06-22 주식회사 그레이스케일 실내 건축을 위한 설계도 및 시공 비교 견적 제공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53041B1 (ko) 2023-03-21 2023-07-07 주식회사 거기엔 인공지능 모델 기반 사용자 및 인테리어 공급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6523473A (zh) * 2023-06-29 2023-08-01 湖南省拾牛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相似企业的项目匹配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20240052517A (ko) 2022-10-14 2024-04-23 정현우 인테리어 데이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967A (ko) 2007-05-30 2009-01-09 박동원 인터넷을 이용한 건축 시공의 직거래 연결 시스템
KR101869356B1 (ko) 2017-03-27 2018-06-20 주식회사 한진모드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방법
KR101922056B1 (ko) * 2018-01-19 2018-11-27 유정규 셀러와 바이어를 최적으로 매칭하는 온라인 박람회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45030A (ko) * 2017-10-23 2019-05-02 강명숙 맞춤형 인테리어 스타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22089A (ko) * 2018-04-19 2019-10-29 주식회사 일렉스홀딩스 인테리어 자동 견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967A (ko) 2007-05-30 2009-01-09 박동원 인터넷을 이용한 건축 시공의 직거래 연결 시스템
KR101869356B1 (ko) 2017-03-27 2018-06-20 주식회사 한진모드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방법
KR20190045030A (ko) * 2017-10-23 2019-05-02 강명숙 맞춤형 인테리어 스타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922056B1 (ko) * 2018-01-19 2018-11-27 유정규 셀러와 바이어를 최적으로 매칭하는 온라인 박람회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22089A (ko) * 2018-04-19 2019-10-29 주식회사 일렉스홀딩스 인테리어 자동 견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95668B (zh) * 2020-11-15 2024-05-17 深圳千里马装饰集团有限公司 在线建模的家装方案生成方法及系统、以及存储介质
CN112395668A (zh) * 2020-11-15 2021-02-23 深圳千里马装饰集团有限公司 在线建模的家装方案生成方法及系统、以及存储介质
KR102303357B1 (ko) * 2020-11-17 2021-09-24 주식회사 퍼스트하우스 원격 화상 감리 시스템
KR20220084640A (ko) * 2020-12-14 2022-06-21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인테리어 서비스의 빅데이터 기반의 기 배치 사물 분석을 통한 사물 특성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2510521B1 (ko) * 2020-12-14 2023-03-16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인테리어 서비스의 빅데이터 기반의 기 배치 사물 분석을 통한 사물 특성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2549939B1 (ko) * 2021-01-12 2023-06-30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Sns 텍스트 기반의 사용자의 인테리어 스타일 분석 모델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
KR102549937B1 (ko) * 2021-01-12 2023-06-30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Sns 텍스트 기반의 사용자의 인테리어 스타일 분석 모델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01808A (ko) *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Sns 텍스트 기반의 사용자의 인테리어 스타일 분석 모델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
WO2022154376A1 (ko) * 2021-01-12 2022-07-21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Sns 텍스트 기반의 사용자의 인테리어 스타일 분석 모델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2154378A1 (ko) * 2021-01-12 2022-07-21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Sns 텍스트 기반의 사용자의 인테리어 스타일 분석 모델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
KR20220101807A (ko) *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Sns 텍스트 기반의 사용자의 인테리어 스타일 분석 모델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377891B1 (ko) * 2021-08-05 2022-03-23 주식회사 아서앤그레이스 플랫폼 기반의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WO2023013840A1 (ko) * 2021-08-05 2023-02-09 주식회사 아서앤그레이스 플랫폼 기반의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364533B1 (ko) * 2021-10-05 2022-02-18 김의현 인공 지능 기반의 인테리어 서비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435579B1 (ko) * 2022-01-21 2022-08-24 주식회사 수리5형제 공간 리모델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09754B1 (ko) * 2022-02-16 2022-06-17 송동정 인테리어 및 건축 관련 중개서비스를 위한 고객 지향적 인공지능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240052517A (ko) 2022-10-14 2024-04-23 정현우 인테리어 데이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553041B1 (ko) 2023-03-21 2023-07-07 주식회사 거기엔 인공지능 모델 기반 사용자 및 인테리어 공급자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46021B1 (ko) * 2023-04-06 2023-06-22 주식회사 그레이스케일 실내 건축을 위한 설계도 및 시공 비교 견적 제공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6523473A (zh) * 2023-06-29 2023-08-01 湖南省拾牛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相似企业的项目匹配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6523473B (zh) * 2023-06-29 2023-08-25 湖南省拾牛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相似企业的项目匹配方法、装置、设备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7336B1 (ko)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한 고객과 인테리어 업체간 매칭 시스템
US11521273B2 (en) Identifying flood damage to an indoor environment using a virtual representation
US10402917B2 (en) Color-related social networking recommendations using affiliated colors
KR102222319B1 (ko) 인테리어 마감소재 맞춤 디자인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1869356B1 (ko)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방법
US20190073710A1 (en) Color based social networking recommendations
US7353188B2 (en) Product sell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9237571A1 (zh) 定向推荐用户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服务器
WO2020020137A1 (zh) 商品推荐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90061849A (ko) 인터넷 상에서 인테리어 업체 비교, 중개 장치 및 방법
CN106030580A (zh) 商品搜索装置、商品搜索系统、服务器系统及商品搜索方法
KR102149035B1 (ko) 퍼포먼스 마케팅을 위한 광고페이지 생성 및 관리 시스템
KR20230116184A (ko) 3d 모델링 및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시스템
KR101345119B1 (ko) 이미지 취향 아이디 코드 생성, 진단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정보 제공 방법
CN110942280A (zh) 一种设计师协同参与的交互方法
CN114581175A (zh) 商品推送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020030976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인테리어 모델링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90080426A1 (en)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real estate transactions
US2022031844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sioning a virtual experience of a building
KR101838116B1 (ko) 도색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20220105976A (ko) 제품 의뢰 및 제작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210128228A (ko) 가상 3차원 도면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장치
JP2017117421A (ja) 民泊施設支援システムおよび民泊施設支援方法
KR102483733B1 (ko)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2149746A (ja) デザイ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