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733B1 -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733B1
KR102483733B1 KR1020220086207A KR20220086207A KR102483733B1 KR 102483733 B1 KR102483733 B1 KR 102483733B1 KR 1020220086207 A KR1020220086207 A KR 1020220086207A KR 20220086207 A KR20220086207 A KR 20220086207A KR 102483733 B1 KR102483733 B1 KR 102483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furniture
constructor
custom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소윤
Original Assignee
문소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소윤 filed Critical 문소윤
Priority to KR1020220086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고객의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구 설치 견적 의뢰가 수신되면, 제1 사용자 단말에 가구가 설치될 공간에 대한 실측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측정보가 입력되면, 설정된 가구의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의 세부특성을 반영하여, 실측정보를 기반으로 배치된 가구에 대한 도면 및 견적서를 생성하는 단계와, 도면 및 견적서를 기반으로 제1 사용자 단말과 시공자의 제2 사용자 단말을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IOR BROKERAGE SERVICE}
본 개시는 개인별 맞춤 가구 견적을 기반으로 고객과 시공자의 매칭을 수행하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다양한 수납기능을 수행하는 가정용품 중 하나이면서 실내 인테리어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가구는 다수의 서랍이 구비되는 서랍장을 비롯하여, TV, 비디오 등을 올려 놓는 탁자나 받침장, 이불이나 옷을 수납하는 장롱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또한, 가구에는 설치가 필요한 씽크대, 붙박이장, 신발장, 냉장고장, 베란다장, 키큰장 등 설치용 가구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정보통신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터넷 쇼핑몰이나 TV홈쇼핑을 통해서도 가구를 주문하고 택배로 배송 받아 직접 고객이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는 환경에 까지 발전을 하였으며, 또한 국내 홈 인테리어 시장은 매년 그 규모가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설치가 필요한 설치용 가구 등은 단순하게 인터넷 쇼핑몰이나, TV홈쇼핑으로 주문받고 택배로 배송받을 수 있는 상품이 아니며 제 각각의 시공 대상 공간에 직접 시공되기 전에 사실상 확인해 볼 수 없다는 시장 특성상, 타 산업에 비해 온라인 시장은 매우 협소하여, 현재 단순한 샘플 전시 및 판매의 기능으로 운영되어지고 있다.
설치용 가구는 단순하게 원하는 모델을 예약접수만 받은 후에 추후 판매자가 고객에게 방문을 하여 설치장소를 정확하게 실측하고 도면을 작성하며 설치할 세부 비품을 고객이 결정한 후에야 최종적인 견적서가 나오며 이때서야 비로소 고객이 구매여부를 결정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즉, 온라인으로 견적을 진행하는 경우, 최종 시공 금액이 최초 견적 금액 보다 훨씬 초과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여, 소비자가 불가피하게 예상하지 못하였던 비용을 부담하게 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선행기술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06166호(2022.01.17)
본 개시의 실시 예의 일 과제는, 개인별 맞춤 가구 견적을 기반으로 고객에 최적의 시공자를 매칭하여 설치용 가구 주문의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의 일 과제는, 고객이 설치용 가구를 주문할 때 간단한 실측 정보만을 입력하고, 원하는 부품과, 규격, 색상, 무늬, 재질 등을 선택하면, 도면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가상의 입체도를 제공하고, 동시에 고객이 디자인 및 주문내역을 변경할 때마다 견적서가 실시간으로 제공되도록 하여, 고객이 원하는 전체 비용 내에서 견적 요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의 일 과제는, 가구 설치 견적 의뢰를 원하는 고객이 원하는 시공자와의 매칭이 가능하도록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의 인테리어 견적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시공자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고객의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구 설치 견적 의뢰가 수신되면, 제1 사용자 단말에 가구가 설치될 공간에 대한 실측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측정보가 입력되면, 설정된 가구의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의 세부특성을 반영하여, 실측정보를 기반으로 배치된 가구에 대한 도면 및 견적서를 생성하는 단계와, 도면 및 견적서를 기반으로 제1 사용자 단말과 시공자의 제2 사용자 단말을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하면, 개인별 맞춤 가구 견적을 기반으로 고객에 최적의 시공자를 매칭하여 설치용 가구 주문의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하면, 고객이 설치용 가구를 주문할 때 간단한 실측 정보만을 입력하고, 원하는 부품과, 규격, 색상, 무늬, 재질 등을 선택하면, 도면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가상의 입체도를 제공하고, 동시에 고객이 디자인 및 주문내역을 변경할 때마다 견적서가 실시간으로 제공되도록 하여, 고객이 원하는 전체 비용 내에서 견적 요청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하면, 가구 설치 견적 의뢰를 원하는 고객이 원하는 시공자와의 매칭이 가능하도록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과 시공자 모두에게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으며, 고객의 인테리어 견적 편의성 및 시공자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하면, 우선 순위에 따라 고객에게 맞는 최적의 시공자를 추천함으로써, 고객이 원하는 시공자를 선택하기 위해 필터링 할 수 있도록 하거나, 최적의 시공자가 자동 매칭되도록 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하면, 설치가 필요한 설치용 가구의 도면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제조공장에서 팩스로 받아 제작하면서 발생한 오차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고, 모든 도면, 입체도, 견적서가 전산화됨으로써 영구보관이 가능해 A/S나 파손 등으로 전체 또는 일부분의 수리, 리모델링, 교체를 할 때 추가 정보 입력 없이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시공자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서버(300) 및 네트워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의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인테리어 견적을 의뢰하고자 하는 고객과 인테리어 시공을 수행하는 시공자(또는 시공 업체)의 중개를 수행하는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즉,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고객이 원하는 가구를 선택하여 간단한 실측정보를 입력하고 가구의 구성요소들을 선택하면 도면 및 견적서를 자동 생성하고, 생성된 도면 및 견적서를 기반으로 선정된 시공자에게 견적을 외뢰한 후 최종적으로 인테리어가 실행되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을 온라인/비대면으로 보다 용이하게 중개해주는 시스템이다.
또한,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인테리어 견적 및 인테리어 시공자 선정을 원하는 사용자(이하, 고객)와 인테리어를 시공하는 사용자(이하, 시공자)를 고객별로 맞춰 매칭하여 매칭 만족도가 향상되도록 하고, 시공 후 평가 시스템 등을 통해 고객 및 시공자에게 포인트를 부여하여 다양한 인테리어 요청 사항들에 대해 빠른 견적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시공자의 작업 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고객들도 원하는 시공자를 빠르게 선정하여 인테리어를 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객 만족도 및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는, 싱크대 등의 주방 가구에 대한 견적 의뢰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일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들이 사용자 단말(200)에서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를 요청하고, 시공자로 등록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인테리어 중개 인터페이스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원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제1 사용자 단말(210), 제2 사용자 단말(220) 및 제3 사용자 단말(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사용자 단말(210)은 인테리어 견적 및 시공자 선정을 요청하는 사용자, 즉 고객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용자 단말(220)은 시공을 수행하는 사용자, 즉 시공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제3 사용자 단말(230)은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즉 관리자의 단말일 수 있다.
다만, 일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 단말을 구분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제1 사용자 단말(210), 제2 사용자 단말(220) 및 제3 사용자 단말(230)이 서로 다른 기기를 지칭하기도 하지만, 동일한 단말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은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 또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사이트에 접속한 후 인증 과정을 통하여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인증 과정은 회원가입 등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인증,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또는 서버(300)에서 전송되는 링크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인증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공자는 제2 사용자 단말(220)을 통해 회원가입을 하고 월 정액 또는 건당 몇 프로의 수익 계약을 맺은 후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데스크 탑 컴퓨터,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단말기 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단말기는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서,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또는 서버(3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그 일부 또는 전체가 서버(300)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서버(300)에서 구현될 수 있는데, 서버(300)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포함되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을 운용하기 위한 서버이거나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일부분 또는 전 부분을 구현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300)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견적 의뢰 요청을 수신하여 도면 및 견적서 생성을 수행하고, 고객의 선택 또는 기 설정된 매칭 조건에 따라 시공자를 매칭하며, 매칭된 시공자에게 고객 정보, 도면 및 견적서를 제공하여 최종적으로 가구 설치가 수행되도록 하는 전반의 프로세스에 대한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예를 들어,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성들뿐만 아니라, 관련 디바이스 장치들의 신규등록, 네트워크 환경 등을 관리 관장하여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플랫폼에서의 서비스 제공 및 관리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제반 디바이스 운영을 담당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동작시키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일 수 있다. 그 밖에 서버(300)는 웹 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딥러닝 네트워크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각종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빅데이터 서버 및 AI 서버, 각종 알고리즘의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서버(300)는 상술하는 서버들을 포함하거나 이러한 서버들과 네트워킹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서버(300)는 상기의 웹 서버 및 AI 서버를 포함하거나 이러한 서버들과 네트워킹 할 수 있다.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서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서버(300)는 네트워크(4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400)는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네트워크(400)는 근거리 통신 및/또는 원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400)는 허브, 브리지, 라우터, 스위치 및 게이트웨이와 같은 네트워크 요소들의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인터넷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 및 안전한 기업 사설 네트워크와 같은 사설 네트워크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연결된 네트워크들, 예컨대 다중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에의 액세스는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네트워크(400)는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 및/또는 5G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사용자 인터페이스(120), 메모리(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네트워크(400)와 연동하여 외부 장치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각종 사물 지능 통신(IoT(internet of things), IoE(internet of everything), IoST(internet of small things) 등)을 지원할 수 있으며, M2M(machine to machine) 통신, V2X(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 통신, D2D(device to device) 통신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각종 데이터 또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로 각종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WiFi 모듈, Bluetooth 모듈, 무선 통신 모듈, 및 NFC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 요청 및 명령들이 입력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예컨대, 도면 생성 설정 및 알고리즘 변경, 견적서 생성 설정 및 알고리즘 변경, 기 설정된 매칭 조건 변경, 인테리어 중개 인터페이스의 세부 설정, 각종 분석에 이용되는 학습 모델의 파라미터 및 학습 조건 변경 등)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 및 명령들이 입력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플랫폼에 대한 고객 제공 인터페이스 화면, 시공자 제공 인터페이스 화면, 도면 시뮬레이션 화면 등이 출력되는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사용자 요청 및 명령에 따른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20)의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는 동일한 인터페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제1 사용자 단말(210)과 제2 사용자 단말(220)에서 커뮤니케이션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또는 서버(300)의 동작의 제어(연산)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하고, 제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40)와 전기적 또는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고, 프로세서(140)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140)로 하여금 비대면 상담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제어하도록 야기하는(cause)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3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 등의 비 일시적 저장매체이거나 램(RAM) 등의 일시적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메모리(130)는 내장 메모리 및/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SRAM, 또는 S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NAND 플래시 메모리, 또는 NOR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SSD. CF(compact flash) 카드, SD 카드, Micro-SD 카드, Mini-SD 카드, Xd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과 같은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HDD와 같은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30)에는 본 개시에 따른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 밖에도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범위 내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메모리(130)에 저장된 정보는 서버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됨에 따라 갱신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30)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성과 연결되며, 메모리(1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실행하여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4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임베디드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하드웨어 컨트롤 로직, 하드웨어 유한 상태 기계(Hardware Finite State Machine, FSM),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메모리(130)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어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고객의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가구 설치 견적 의뢰가 수신되면, 제1 사용자 단말(210)에 가구가 설치될 공간에 대한 실측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고객은 제1 사용자 단말(210)을 통해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 또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사이트에 접속한 후 회원가입을 수행한 후 견적 의뢰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은 견적 의뢰를 하고자 하는 공간 또는 가구에 대한 카테고리를 선택한 후 견적 의뢰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테고리는 예를 들어, 주방가구 견적 의뢰 도면화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테리어 공간별, 가구종류별, 의뢰요청내용별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관리자의 제3 사용자 단말(230)에 의해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는, 고객이 견적 의뢰 도면화와 같은 카테고리를 선택한 후, 원하는 가구를 선택할 수 있다. 가구는 예를 들어, 싱크대, 붙박이장, 신발장, 키큰장, 아일랜드 식탁, 창고문, 티비장, 서랍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자의 제3 사용자 단말(230)에 의해 변경 가능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실측정보가 입력되면, 설정된 가구의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의 세부특성을 반영하여, 실측정보를 기반으로 배치된 가구에 대한 도면 및 견적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가구의 구성요소는 도어, 손잡이 등 변경 가능하거나 구분 가능한 구성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싱크대의 경우, 상판, 수전 등 싱크대에 설치 가능한 기본 구성요소들과, 싱크대에 연관되어 설치 가능한 후드, 인덕션 등의 옵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성요소의 세부특성은 색상, 재질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이 견적 의뢰하고자 하는 가구가 설치될 공간에 대해 실측한 사이즈를 입력하면, 사이즈에 대응하여 해당 가구를 도면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가구들은 가구별로 다양한 프레임 형태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일 실시 예에서는, 고객으로부터 원하는 프레임 형태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싱크대는 기본적으로 일자형, 기역자형, 디귿자형 등 3가지 종류의 몸통 프레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붙박이장의 경우 도어는 슬라이딩, 여닫이 프레임 형태, 몸통은 서랍 유무, 이불장, 긴옷, 아우터 장 등 4가지 종류의 몸통 프레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신발장이나 키큰장의 경우 몸통이 한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가구의 가구 배치 프레임 정보를 수신하여, 가구 배치 프레임 정보를 기반으로 도면 및 견적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일 실시 예에서는, 고객이 원하는 가구를 선택한 후 사이즈를 입력하고 원하는 형태의 가구 배치 프레임 정보를 선택하면, 사이즈에 대응하여 배치된 가구를 포함하는 도면 및 견적서가 자동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입력된 가구 배치 프레임 정보를 기반으로 가구를 도면에 나타낼 때, 가구의 구성요소나 구성요소의 세부특성 등은 기 설정된 기본 세팅으로 나타낼 수 있다.
기본 세팅은 특정 가구에 필수적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구성요소가 포함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는 가장 베이직한 제품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색상이나 재질도 가장 베이직한 색상 및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 예에서는, 특수적인 제품들은 고객이 추후 옵션으로 고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직하다는 것은 기존 고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대중적인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기존 고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제품 및 세부특성들은 관리자가 집계하여 설정되거나, 프로세서(140)에서 기존에 선택된 데이터를 집계하여 판단한 후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 예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관리자가 임의로 세팅한 제품 및 세부특성들이 기본 세팅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구 몸통의 대중적인 색상은 화이트, 내츄럴, 그레이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가구의 구성요소 중 선택 가능한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의 세부특성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도면 및 견적서에 설정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서는, 가구 몸통의 색상 및 재질을 고를 수 있도록 하고, 몸통의 색상이 입혀진 뼈대가 형성되면 도어의 색상 및 재질을 고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몸통과 도어의 색상 및 재질이 정해지면 대리석의 색상을 고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대리석을 설정하지 않고 스테인리스로 구성되도록 하는 옵션도 추가될 수 있다.
이후 일 실시 예에서는 기본 구성요소들(몸통, 도어, 손잡이, 상판 등)의 세부특성 설정이 완료되면 후드, 인덕션, 수전 등의 옵션 구성요소들을 고를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때, 옵션 구성요소로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기존 옵션뿐만 아니라,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옵션(예를 들어, 쿡탑, 하츠 후드 등)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싱크대 몸통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PB(Particle Board)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객이 원하는 그 외의 재질로 선택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싱크대 도어의 재질은 LPM(Low Pressure Melamine), MDF (Medium Density Fiber board), 하이그로시, UV UV(Ultra_Violet)도장, 펄, 열전사,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에서 선택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는, 예를 들어, 도어뿐만 아니라 싱크대 상판(대리석, 스테인리스), 손잡이(스마트바, 내리기 등)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싱크대와 함께 아일랜드 식탁 및 키큰장 등을 주방 가구 옵션으로 함께 선택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의 가구의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의 세부특성에 대한 설정 정보 입력이 완료되거나,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도면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생성된 도면의 시뮬레이션 수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은 싱크대 몸통, 도어 등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시뮬레이션을 확인하거나, 옵션까지 선택이 마무리가 되면 완료를 입력하여 최종적으로 주방 가구의 완성 도면 시뮬레이션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면의 시뮬레이션 수행 화면은 2차원 및/또는 3차원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전방향(omnidirectional)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원하는 몸통 색상과 재질, 도어의 색상과 재질 등을 이미지로 확인하여 선택한 후, 도면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 적용된 상태와 유사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서는, 고객에게 맞춤 가구를 추천할 수 있다. 맞춤 가구는 구성 요소 및 구성 요소의 세부특성이 정해진 완성형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시공자의 제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맞춤 가구에 대한 정보(제품 크기, 구성 요소 및 구성 요소의 세부특성 정보 등)가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맞춤 가구를 추천하는 것은 완성도가 높은 제품을 제공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어, 주방 가구의 경우 맞춤 가구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맞춤 가구이면서 자체 제작 가구라는 점을 강조해서 마케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에 "원하는 사이즈로 무료 변경 가능한 맞춤 가구 가능", "추가금 없는 맞춤 가구 가능" 등의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입력된 실측정보, 가구의 가구 배치 프레임 정보, 가구의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의 세부특성에 대한 설정 정보(선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추천 맞춤 가구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제2 사용자 단말(220)에서 입력된 맞춤 가구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메모리)를 참조하여,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입력된 실측정보, 가구의 가구 배치 프레임 정보, 가구의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의 세부특성에 대한 설정 정보(선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일치하는 정보가 많은 맞춤 가구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일치하는 정보가 많은 순서, 중요도가 높은 정보가 더 많이 일치하는 순서 등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맞춤 가구 리스트를 정렬하여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 예에서는, 고객이 본인이 선택한 싱크대를 시뮬레이션을 돌려보고 마음에 들면 시공자 선정을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시공자 선정이 요청되면,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의 선택에 의해 생성된 도면 및 견적서를 기반으로 제1 사용자 단말(210)과 시공자의 제2 사용자 단말(220)을 매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 예에서, 제1 사용자 단말(210)과 제2 사용자 단말(220)을 매칭하는 과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즉,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에서 도면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후,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시공자 선정 요청이 수신되면, 우선순위 조건에 따라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시공자 리스트를 정렬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우선순위 조건은, 고객의 위치 기준 거리가 가까운 시공자, 광고 등록된 시공자, 평가 점수가 높은 시공자, 매칭 확률이 높은 시공자, 시공수가 많은 시공자, 최신 등록 시공자, 고객이 생성한 견적서에 포함된 가구의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 세부특성과 일치하는 키워드가 많은 시공자 및 고객이 설정한 가격 기준에 가까운 시공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는, 시공자가 시공을 원하는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 세부특성에 대한 키워드를 사전 입력하면 해당 키워드를 시공자별로 저장할 수 있으며, 시공자별로 시공 평가가 좋거나 시공 수가 많은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 세부특성에 대한 키워드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 설정된 알고리즘은 상기 우선순위 조건들 중 하나에 의해 시공자 리스트를 정렬하여 추출할 수 있고, 상기 우선순위 조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에 의해 시공자 리스트를 정렬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서는, 고객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고객과 가까운 정도에 따라 순서대로 시공자 리스트를 추출하여 빠른 인테리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광고 등록된 시공자를 상단에 위치하도록 하여 시공자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는, 우선순위 조건 중 둘 이상의 조건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광고 등록된 시공자 중 고객의 위치 기준 가까운 순서대로 시공자 리스트를 추출하거나, 광고 등록된 시공자를 상단에 위치시킨 후 이후 고객의 위치 기준 가까운 순서대로 시공자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위치가 동일한 경우, 평가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시공자 리스트를 추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일 실시 예에서는, 관리자에 의해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적용되는 우선순위 기준, 우선순위 기준 적용 순서 및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 기준 가중치 등이 설정되거나, 고객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직접 정렬 기준을 설정하여, 본인이 원하는 시공자가 우선적으로 정렬되어 시공자 리스트가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추출된 시공자 리스트 중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선택되거나, 기 설정된 매칭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선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자를 1차 매칭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일 실시 예에서는, 최대 3곳 정도에 한꺼번에 견적 의뢰를 해서 보다 저렴한 곳으로 고객이 견적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일 실시 예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210)에서 시공자 리스트 중 원하는 시공자(예를 들어, 최대 3곳)를 선택하면, 프로세서(140)는 선택된 시공자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10)과 1차 매칭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기 설정된 매칭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시공자 리스트 중 최적의 시공자(예를 들어, 최대 3곳)를 선정하여 제1 사용자 단말(210)과 1차 매칭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매칭 알고리즘은, 상술한 시공자 리스트 추출을 위한 기 설정된 알고리즘과 동일한 우선순위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는, 기 설정된 매칭 알고리즘과 시공자 리스트 추출을 위한 기 설정된 알고리즘은 동일한 우선순위 조건들을 기반으로 할 수 있으나, 알고리즘 설계는 다를 수 있다. 즉, 시공자 리스트 추출은 회원 등록된 시공자 리스트를 조건에 따라 순서대로 정렬하는 것이고, 1차 매칭을 위한 매칭 알고리즘은 1차 매칭을 위하여 3곳 정도의 시공자를 선정하는 것이므로, 알고리즘이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다만, 고객 맞춤 시공자를 우선적으로 추출하고자 하는 것은 동일하므로 두 알고리즘을 동일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순서대로 정렬하느냐, 순서대로 정렬된 시공자 리스트 중 상위 3곳을 추출하느냐의 차이만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서는, 시공자 리스트를 추출하여, 시공자 리스트에서 1차 매칭을 수행한 후(최대 3곳 정도의 시공자가 선택된 후), 최종 시공자가 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1차 매칭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1차 매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자의 제2 사용자 단말(220)에 제1 사용자 단말(210)에 의해 생성된 도면 및 견적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시공자를 선택하고 견적 의뢰를 요청하면 고객이 선택한 시공자에게 고객이 선택한 싱크대에 대한 도면 및 견적서가 그대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시공 가능한 시공 날짜, 시공 시간 등 시공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1차 매칭된 제2 사용자 단말(220)에 도면 및 견적서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서는, 1차 매칭이 수행되기 전에, 고객에게 실측 시 현장 상황과 사이즈 오류로 인한 추가금이 생길 수 있다는 점과 엘리베이터 없는 4층부터는 사다리차 추가 금액이 포함될 수 있다는 점 등 추가금이 발생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안내사항을 제1 사용자 단말(210)에 미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사용자 단말(210)으로부터의 도면 견적 의뢰에 따른 도면 및 견적서가 제2 사용자 단말(220)에 제공될 때, 프로세서(140)는 제2 사용자 단말(220)에 알림 메시지도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시공자는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후, 수신된 견적서 및 도면을 확인하고, 견적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1차 매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자의 제2 사용자 단말(210)의 각각으로부터 설정 기간(예를 들어, 최대 3일) 내에 견적 정보를 입력받아, 견적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 견적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견적 정보는 가구의 크기, 가구의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 세부특성별 견적금액을 산출할 수 있는 기준 금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자 관리 페이지가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시공자 관리 페이지에는 도면 출력, 최종 금액 수정, 매출 통계, 계약관리, 세금영수증, AS 내역 등이 선택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 예에서는, 1차 매칭 후 설정 기간 내에 제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견적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시공자에 대해서는 1차 매칭을 취소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고객이 원하는 시공 날짜와 시간에 시공 가능한지 여부를 수신하여, 산출한 견적금액과 고객이 원하는 시공 날짜와 시간에 시공 가능한지 여부를 포함하여 제1 사용자 단말(210)에 견적서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에 견적서가 전송될 때, 알림 메시지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고객은 견적서를 보낸 시공자 중에 마음에 드는 시공자를 선택하여, 해당 시공자 선정을 요청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1차 매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자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시공자를 2차 매칭하여, 상기 2차 매칭된 시공자의 제2 사용자 단말(220)에 제1 사용자 단말(210)의 고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고객 정보는 고객의 주소,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회원가입 시 입력되거나 견적 의뢰 및 시공자 선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입력될 수 있다.
이에, 일 실시 예에서, 시공자는 고객과 통화 후 실측 날짜를 잡고 고객이 원하는 장소로 가서 실측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실측 완료 후 실측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2차 매칭된 제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실측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제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실측정보를 획득한 후, 제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최종 결제금액이 입력되면, 제1 사용자 단말(210)에 최종 결제금액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시공자는 예를 들어, 고객과 통화 후 방문 약속을 잡고, 고객이 고른 도면을 기반으로, 고객과 최종으로 실측과 시공 조율을 할 수 있다. 즉, 시공자는 실측 후 시공 날짜와 시간, 최종 금액을 협의 하고 고객과 협의가 끝나면 최종 금액으로 수정 한 후 금액을 입력 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 예에서는, 고객이 최종금액을 확인한 후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는, 인테리어 시공 전이기 때문에 최종금액의 전체 금액이 결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일부 계약금만 결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관리자에 의해 사전에 결정되어 있거나, 고객과 시공자 사이의 협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최종 결제금액의 결제가 수행되면, 제2 사용자 단말(220)에 결제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시공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2 사용자 단말(220)의 시공금액 정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고객의 결제가 완료 되면 시공자에게 결제 완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시공자는 고객과 약속한 기한까지 시공완료를 해 주면 된다. 그리고 모든 시공이 끝나고 고객이 시공 완료를 입력하면, 기 설정된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이 정산되어 제2 사용자 단말(220)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 예에서는, 시공이 완료된 후, 모든 시공에 대한 무상 AS 기간을 예를 들어 1년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AS 내역이 시공별로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는, AS 내역을 상세하게 작성하도록 하여, 고객와 시공자 사이의 분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시공자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2차 매칭된 시공자의 제2 사용자 단말(220)에 대한 평가 결과를 수신하여, 2차 매칭된 시공자의 제2 사용자 단말(220)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일시 예에서는, 예를 들어, 시공 후 후기 및 평가 점수를 주는 등 사후 평가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후기 작성이 활발히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후기 작성 시 포인트가 지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고객은 후기나 평가 점수 등을 보고 시공자를 선정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후기 정보를 입력받아 시공자에 대한 평가 점수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하나 이상의 평가 분야가 표시된 평가표에서 하나 이상의 평가 분야가 선택되고, 선택된 평가 분야에서 평가 정도가 선택되면, 프로세서(140)는 선택된 평가 분야와 평가 정도를 기반으로 시공자에 대한 평가 결과를 파악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평가 분야가 표시된 평가표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평가표는 평가 분야(전문성, 친절도, 완성도, 가격만족도, 청결도, 사전연락/사후관리)가 표시되어 있으며, 해당 평가 분야 옆에는 해당 평가 분야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란이 표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선택란이 체크된 경우는 해당 평가 분야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선택란이 체크되지 않은 경우는 해당 평가 분야를 선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선택된 평가 분야에서 평가의 정도가 선택될 수 있다. 평가 분야가 선택되면, 선택된 평가 분야의 만족도(긍정적 평가) 정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문성의 경우 눈금으로 수치가 표시되어 있으며, 1, 2, 3으로 평가의 정도를 선택할 수 있다. 숫자가 상승할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 사용자 단말(210)에서 평가 분야와 평가 정도를 선택하면, 프로세서(140)는 선택된 평가 분야와 선택된 평가 정도를 기반으로 평가 결과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평가표를 기반으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평가하는 고객이 평가를 보다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평가를 확인하는 고객이나 시공자들이 평가 결과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족도의 평가 정도가 2이고, 완성도의 평가 정도가 1이며, 가격만족도의 평가 정도가 3인 경우, 해당 시공자의 시공 결과 가격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 이러한 평가 정도들을 기반으로 하여, 중요한 평가 분야에 가중치를 할당하는 등의 방식으로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집계함으로써, 각 시공자들의 평가 점수를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고객에게 제공하거나, 고객에게 직접 제공하지 않더라도 추천 시공자 리스트를 추출하거나 시공자를 매칭하는 과정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방식 이외에도 고객들이 직접 후기를 작성하고 모든 고객 및 시공자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거나, 후기를 작성한 고객과 해당 시공자 및 관리자만 해당 후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1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의 회원가입이 요청되면, 해당 사용자를 고객으로 등록한다. 또한, S2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제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시공자 등록이 요청되면, 해당 사용자를 시공자로 등록한다.
S3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가구 견적 의뢰를 요청받을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카테고리 및 가구가 선택될 수 있다. 즉, 일 실시 예에서, 고객은 견적 의뢰를 하고자 하는 공간 또는 가구에 대한 카테고리와 해당 가구를 선택한 후 견적 의뢰를 요청할 수 있다.
S4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실측정보를 입력받으면, S5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기본 도면을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 예에서는, 고객이 견적 의뢰하고자 하는 가구가 설치될 공간에 대해 실측한 사이즈를 입력하면, 사이즈에 대응하여 해당 가구를 도면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구들은 가구별로 다양한 프레임 형태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일 실시 예에서는, 고객으로부터 원하는 프레임 형태를 입력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가구의 가구 배치 프레임 정보를 수신하여, 가구 배치 프레임 정보를 기반으로 도면 및 견적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일 실시 예에서는, 고객이 원하는 가구를 선택한 후 사이즈를 입력하고 원하는 형태의 가구 배치 프레임 정보를 선택하면, 사이즈에 대응하여 배치된 가구를 포함하는 도면 및 견적서가 자동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입력된 가구 배치 프레임 정보를 기반으로 가구를 도면에 나타낼 때, 가구의 구성요소나 구성요소의 세부특성 등은 기 설정된 기본 세팅으로 나타낼 수 있다.
기본 세팅은 특정 가구에 필수적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구성요소가 포함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는 가장 베이직한 제품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색상이나 재질도 가장 베이직한 색상 및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 예에서는, 특수적인 제품들은 고객이 추후 옵션으로 고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S6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가구의 구성요소 중 선택 가능한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의 세부특성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도면 및 견적서에 설정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S7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상기 설정 정보가 반영된 도면 및 견적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한다는 의미는 기본 도면 및 견적서에 새로 선택된 정보들이 반영되어 변경된다는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S8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도면 시뮬레이션을 제1 사용자 단말(2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의 가구의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의 세부특성에 대한 설정 정보 입력이 완료되거나,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도면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생성된 도면의 시뮬레이션 수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S9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시공자 선정이 요청되면, S10단계에서, 시공자 리스트 정렬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에서 도면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후,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시공자 선정 요청이 수신되면, 우선순위 조건에 따라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시공자 리스트를 정렬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우선순위 조건은, 고객의 위치 기준 거리가 가까운 시공자, 광고 등록된 시공자, 평가 점수가 높은 시공자, 매칭 확률이 높은 시공자, 시공수가 많은 시공자, 최신 등록 시공자, 고객이 생성한 견적서에 포함된 가구의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 세부특성과 일치하는 키워드가 많은 시공자 및 고객이 설정한 가격 기준에 가까운 시공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S11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하나 이상의 시공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S12단계에서, 선택된 시공자를 고객과 1차 매칭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추출된 시공자 리스트 중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선택되거나, 기 설정된 매칭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선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자를 1차 매칭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일 실시 예에서는, 최대 3곳 정도에 한꺼번에 견적 의뢰를 해서 보다 저렴한 곳으로 고객이 견적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일 실시 예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210)에서 시공자 리스트 중 원하는 시공자(예를 들어, 최대 3 곳)를 선택하면, 프로세서(140)는 선택된 시공자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10)과 1차 매칭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기 설정된 매칭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시공자 리스트 중 최적의 시공자(예를 들어, 최대 3 곳)를 선정하여 제1 사용자 단말(210)과 1차 매칭할 수도 있다.
S13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에 의해 생성된 도면 및 견적서를 1차 매칭된 제2 사용자 단말(22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1차 매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자의 제2 사용자 단말(220)에 제1 사용자 단말(210)에 의해 생성된 도면 및 견적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시공자를 선택하고 견적 의뢰를 요청하면 고객이 선택한 시공자에게 고객이 선택한 싱크대에 대한 도면 및 견적서가 그대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시공 가능한 시공 날짜, 시공 시간 등 시공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1차 매칭된 제2 사용자 단말(220)에 도면 및 견적서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S14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제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전송된 견적 정보를 수신하여, S15단계에서, 견적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견적 금액이 프로세서(140)에서 산출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220)에서 견적 금액을 산출한 후 프로세서(14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1차 매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자의 제2 사용자 단말(210)의 각각으로부터 설정 기간(예를 들어, 최대 3일) 내에 견적 정보를 입력받아, 견적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 견적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견적 정보는 가구의 크기, 가구의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 세부특성별 견적금액을 산출할 수 있는 기준 금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16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시공자들 각각의 견적 금액을 제1 사용자 단말(210)에 제공한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제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고객이 원하는 시공 날짜와 시간에 시공 가능한지 여부를 수신하여, 산출한 견적금액과 고객이 원하는 시공 날짜와 시간에 시공 가능한지 여부를 포함하여 제1 사용자 단말(210)에 견적서를 전송할 수 있다.
S17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시공자가 최종 선택되면, S18단계에서, 해당 시공자를 2차 매칭하여, S19단계에서, 해당 시공자의 제2 사용자 단말(220)에 고객 정보를 제공한다.
즉,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1차 매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자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시공자를 2차 매칭하여, 상기 2차 매칭된 시공자의 제2 사용자 단말(220)에 제1 사용자 단말(210)의 고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고객 정보는 고객의 주소,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회원가입 시 입력되거나 견적 의뢰 및 시공자 선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입력될 수 있다.
이에, S20단계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210) 및 제2 사용자 단말(220)의 고객과 시공자가 실측 및 세부조율을 위해 실제 컨택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40)는 컨택이 진행되었는지 여부 확인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210) 및 제2 사용자 단말(220)에 전송하여 컨택 여부를 확인하하건, S21단계에서, 제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실측정보가 입력되면 실제 컨택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S22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제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최종 결제금액이 입력되면, S23단계에서, 제1 사용자 단말(210)에 최종 결제금액을 제공한다. 그리고 S24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에서 시공비용을 결제한다.
이때, 시공자는 예를 들어, 고객과 통화 후 방문 약속을 잡고, 고객이 고른 도면을 기반으로, 고객과 최종으로 실측과 시공 조율을 할 수 있다. 즉, 시공자는 실측 후 시공 날짜와 시간, 최종 금액을 협의 하고 고객과 협의가 끝나면 최종 금액으로 수정 한 후 금액을 입력 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 예에서는, 고객이 최종금액을 확인한 후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는, 인테리어 시공 전이기 때문에 최종금액의 전체 금액이 결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일부 계약금만 결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관리자에 의해 사전에 결정되어 있거나, 고객과 시공자 사이의 협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최종 결제금액의 결제가 수행되면, 제2 사용자 단말(220)에 결제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S25단계에서, 실제 시공이 실행된 후, 시공이 완료되면, S26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시공 완료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S27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제2 사용자 단말(220)에서 시공비용을 정산한다. 일 실시 예에서는, 모든 시공이 끝나고 고객이 시공 완료를 입력하면, 기 설정된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이 정산되어 제2 사용자 단말(220)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S28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에 시공자 후기(평가) 입력을 요청하여, 시공자에 대한 후기(평가) 입력 데이터를 확인하고, S29단계에서, 시공자 평가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2차 매칭된 시공자의 제2 사용자 단말(220)에 대한 평가 결과를 수신하여, 2차 매칭된 시공자의 제2 사용자 단말(220)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일시 예에서는, 예를 들어, 시공 후 후기 및 평가 점수를 주는 등 사후 평가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후기 작성이 활발히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후기 작성 시 포인트가 지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고객은 후기나 평가 점수 등을 보고 시공자를 선정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후기 정보를 입력받아 시공자에 대한 평가 점수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하나 이상의 평가 분야가 표시된 평가표에서 하나 이상의 평가 분야가 선택되고, 선택된 평가 분야에서 평가 정도가 선택되면, 프로세서(140)는 선택된 평가 분야와 평가 정도를 기반으로 시공자에 대한 평가 결과를 파악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평가 분야가 표시된 평가표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평가표는 평가 분야(전문성, 친절도, 완성도, 가격만족도, 청결도, 사전연락/사후관리)가 표시되어 있으며, 해당 평가 분야 옆에는 해당 평가 분야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란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S30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210)과 제2 사용자 단말(220) 사이의 사후관리(AS)가 수행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즉, 일 실시 예에서는, 시공이 완료된 후, 모든 시공에 대한 무상 AS 기간을 예를 들어 1년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AS 내역이 시공별로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는, AS 내역을 상세하게 작성하도록 하여, 고객와 시공자 사이의 분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서는, 사전 연락 및 사후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객과 시공자가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채팅방 등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실측을 위한 컨택 약속을 정하는 경우나, 가구가 제작되는 제작단계에서도 고객이 주문내역이나 도면을 변경을 원할 경우나, 설치 후 A/S가 필요한 경우 보다 용이하게 연락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개시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개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개시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
110 : 통신 인터페이스
12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30 : 메모리
140 : 프로세서
200 : 사용자 단말
300 : 서버
400 : 네트워크

Claims (19)

  1. 각 단계의 적어도 일부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개인별 맞춤 가구 견적을 기반으로 고객과 시공자의 매칭을 수행하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고객의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구의 설치 견적 의뢰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상기 가구가 설치될 공간에 대한 실측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측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구의 가구 배치 프레임 정보와, 상기 가구의 구성요소 및 상기 구성요소의 세부특성을 수신해, 상기 가구 배치 프레임 정보를 기반으로 한 상기 가구에 연계된 도면 및 견적서에 상기 가구의 구성요소 및 상기 구성요소의 세부특성을 반영하여, 상기 가구에 연계된 도면 및 견적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구에 연계된 도면 및 상기 견적서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시공자의 제2 사용자 단말을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가구에 연계된 도면 및 견적서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실측정보, 상기 가구의 가구 배치 프레임 정보, 상기 가구의 구성요소 및 상기 구성 요소의 세부특성을 기반으로 추천 맞춤 가구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천 맞춤 가구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맞춤 가구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실측정보, 상기 가구의 가구 배치 프레임 정보, 상기 가구의 구성요소 및 상기 구성요소의 세부특성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 중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맞춤 가구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많은 순서로 정렬하여 상기 추천 맞춤 가구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공자 선정 요청이 수신되면, 우선순위 조건에 따라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시공자 리스트를 정렬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시공자 리스트 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되거나, 상기 시공자 리스트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시공자를 1차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 조건에 따라 기 설정된 알고리즘은,
    기 설정된 우선순위 조건 적용 순서 및 우선순위 조건 적용 가중치를 기반으로, 고객의 위치 기준 거리가 가까운 시공자, 광고 등록된 시공자, 평가 점수가 높은 시공자, 매칭 확률이 높은 시공자, 시공수가 많은 시공자, 최신 등록 시공자, 고객이 생성한 견적서에 포함된 가구의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 세부특성과 일치하는 키워드가 많은 시공자, 고객이 설정한 가격 기준에 가까운 시공자 및 고객에 의해 선택된 시공자를 포함하는 우선순위 조건의 조합에 의해 시공자 리스트를 정렬하여 추출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평가 점수는, 시공 완료한 시공자에 대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평가된 값이며, 전문성, 친절도, 완성도, 가격만족도, 청결도 및 시공 전후 관리를 포함하는 평가 분야가 표시된 평가표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평가 분야별 평가 정도 수치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평가 분야별로 할당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상기 선택된 평가 정도 수치를 집계해 산출된 값인,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에 연계된 도면 및 견적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상기 가구의 구성요소 및 상기 구성요소의 세부특성에 대한 설정 정보 입력이 완료되거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면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생성된 도면의 시뮬레이션 수행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1차 매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자의 제2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생성된 상기 도면 및 상기 견적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매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자의 제2 사용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설정 기간 내에 견적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견적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 견적금액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1차 매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자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시공자를 2차 매칭하여, 상기 2차 매칭된 시공자의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고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매칭된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측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측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최종 결제금액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상기 최종 결제금액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최종 결제금액의 결제가 수행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결제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공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시공금액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2차 매칭된 시공자의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대한 평가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2차 매칭된 시공자의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9. 삭제
  1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 1 항,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개인별 맞춤 가구 견적을 기반으로 고객과 시공자의 매칭을 수행하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고객의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구 설치 견적 의뢰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상기 가구가 설치될 공간에 대한 실측정보를 요청하는 동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측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구의 가구 배치 프레임 정보와, 상기 가구의 구성요소 및 상기 구성요소의 세부특성을 수신해, 상기 가구 배치 프레임 정보를 기반으로 한 상기 가구에 연계된 도면 및 견적서에 상기 가구의 구성요소 및 상기 구성요소의 세부특성을 반영하여, 상기 가구에 연계된 도면 및 견적서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가구에 연계된 도면 및 상기 견적서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시공자의 제2 사용자 단말을 매칭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가구에 연계된 도면 및 견적서를 생성한 이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실측정보, 상기 가구의 가구 배치 프레임 정보, 상기 가구의 구성요소 및 상기 구성 요소의 세부특성을 기반으로 추천 맞춤 가구 리스트를 추출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추천 맞춤 가구 리스트를 추출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맞춤 가구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실측정보, 상기 가구의 가구 배치 프레임 정보, 상기 가구의 구성요소 및 상기 구성요소의 세부특성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 중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맞춤 가구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많은 순서로 정렬하여 상기 추천 맞춤 가구 리스트를 추출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매칭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공자 선정 요청이 수신되면, 우선순위 조건에 따라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시공자 리스트를 정렬하여 추출하는 동작, 및
    상기 시공자 리스트 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되거나, 상기 시공자 리스트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시공자를 1차 매칭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 조건에 따라 기 설정된 알고리즘은,
    기 설정된 우선순위 조건 적용 순서 및 우선순위 조건 적용 가중치를 기반으로, 고객의 위치 기준 거리가 가까운 시공자, 광고 등록된 시공자, 평가 점수가 높은 시공자, 매칭 확률이 높은 시공자, 시공수가 많은 시공자, 최신 등록 시공자, 고객이 생성한 견적서에 포함된 가구의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 세부특성과 일치하는 키워드가 많은 시공자, 고객이 설정한 가격 기준에 가까운 시공자 및 고객에 의해 선택된 시공자를 포함하는 우선순위 조건의 조합에 의해 시공자 리스트를 정렬하여 추출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평가 점수는, 시공 완료한 시공자에 대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평가된 값이며, 전문성, 친절도, 완성도, 가격만족도, 청결도 및 시공 전후 관리를 포함하는 평가 분야가 표시된 평가표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평가 분야별 평가 정도 수치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평가 분야별로 할당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상기 선택된 평가 정도 수치를 집계해 산출된 값인,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에 연계된 도면 및 견적서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상기 가구의 구성요소 및 상기 구성요소의 세부특성에 대한 설정 정보 입력이 완료되거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면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생성된 도면의 시뮬레이션 수행 화면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
  14. 삭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하는 동작은,
    상기 1차 매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자의 제2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생성된 상기 도면 및 상기 견적서를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1차 매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자의 제2 사용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설정 기간 내에 견적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견적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 견적금액을 산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1차 매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자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시공자를 2차 매칭하여, 상기 2차 매칭된 시공자의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고객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2차 매칭된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측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측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최종 결제금액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상기 최종 결제금액을 제공하는 동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최종 결제금액의 결제가 수행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결제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공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시공금액 정산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2차 매칭된 시공자의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대한 평가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2차 매칭된 시공자의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
  19. 삭제
KR1020220086207A 2022-07-13 2022-07-13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83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207A KR102483733B1 (ko) 2022-07-13 2022-07-13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207A KR102483733B1 (ko) 2022-07-13 2022-07-13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733B1 true KR102483733B1 (ko) 2022-12-30

Family

ID=84538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207A KR102483733B1 (ko) 2022-07-13 2022-07-13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7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577B1 (ko) * 2024-02-07 2024-05-20 윤은혜 인공지능 기반 인테리어 시공 발주 주문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5452U (ko) * 2013-04-11 2014-10-22 서민식 설치용 가구에 관한 온라인 주문 시스템 및 통합 관리 방법
KR101976570B1 (ko) * 2018-12-10 2019-05-09 박찬용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
KR102000788B1 (ko) * 2018-10-04 2019-07-16 박아영 인테리어 상품 실시간 견적 방법
KR20190122089A (ko) * 2018-04-19 2019-10-29 주식회사 일렉스홀딩스 인테리어 자동 견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KR20200089225A (ko) * 2020-01-13 2020-07-24 김성용 증강현실을 이용한 인테리어 디자인 중개 시스템
KR20210037203A (ko) * 2019-09-27 2021-04-06 류근 인테리어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2330823B1 (ko) * 2021-02-03 2021-11-24 구본웅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맞춤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006166A (ko) 2020-07-07 2022-01-17 이찬용 사용자 중심의 건축 전자 입찰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5452U (ko) * 2013-04-11 2014-10-22 서민식 설치용 가구에 관한 온라인 주문 시스템 및 통합 관리 방법
KR20190122089A (ko) * 2018-04-19 2019-10-29 주식회사 일렉스홀딩스 인테리어 자동 견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00788B1 (ko) * 2018-10-04 2019-07-16 박아영 인테리어 상품 실시간 견적 방법
KR101976570B1 (ko) * 2018-12-10 2019-05-09 박찬용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
KR20210037203A (ko) * 2019-09-27 2021-04-06 류근 인테리어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9225A (ko) * 2020-01-13 2020-07-24 김성용 증강현실을 이용한 인테리어 디자인 중개 시스템
KR20220006166A (ko) 2020-07-07 2022-01-17 이찬용 사용자 중심의 건축 전자 입찰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2330823B1 (ko) * 2021-02-03 2021-11-24 구본웅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맞춤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577B1 (ko) * 2024-02-07 2024-05-20 윤은혜 인공지능 기반 인테리어 시공 발주 주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356B1 (ko)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방법
US7353188B2 (en) Product sell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6487449B2 (ja) アメニティ、特別サービスおよびフード/飲み物の検索並びに購入予約システム
US7909241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mplementing processes relating to retail sales
US8108267B2 (en) Method of facilitating a sale of a product and/or a service
US20180114154A1 (en) O2O Business Model For Marketing Services
US20070239567A1 (en) Builders on-line assistant
US20080040303A1 (en) Builders on-line assistant
KR102280362B1 (ko) 인테리어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5452U (ko) 설치용 가구에 관한 온라인 주문 시스템 및 통합 관리 방법
KR20150100336A (ko) 온라인 인테리어 공사 토탈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33408B1 (ko) 가격과 성능을 함께 고려한 건축 자재 및 설비의 정보 제공 및 거래 중개 방법
US20240005424A1 (en) Property enhancement analysis
JP2007094983A (ja) 定番商品の販売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KR102483733B1 (ko)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4088892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requests for quotes from aggregated construction-related and permitting information
KR101976903B1 (ko) 소셜 공유플랫폼 제공장치 및 그 소셜 공유플랫폼 제공방법
KR20150013374A (ko) 소셜 공유플랫폼 시스템, 소셜 공유플랫폼 제공장치 및 그 제공방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소셜 공유플랫폼 서비스방법
JP2019016257A (ja) 物件検索装置、物件検索方法及び物件検索プログラム
Jeong et al. Framework of manufacturer‐retailer relationship in the manufactured housing construction
JP7217096B2 (ja) 広告オプション割当装置、広告オプション割当プログラム、広告オプション割当方法、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10041654A (ko) 설계 및 시공에 대한 중개 시스템 및 중개 방법
JP5313073B2 (ja) 不動産情報管理システム
KR20010000644A (ko) 통신망을 통한 인테리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20094279A (ko) 인테리어 공사 중계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