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570B1 -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570B1
KR101976570B1 KR1020180158682A KR20180158682A KR101976570B1 KR 101976570 B1 KR101976570 B1 KR 101976570B1 KR 1020180158682 A KR1020180158682 A KR 1020180158682A KR 20180158682 A KR20180158682 A KR 20180158682A KR 101976570 B1 KR101976570 B1 KR 101976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quest
seller
quotation
bu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용
Original Assignee
박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용 filed Critical 박찬용
Priority to KR1020180158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으로서, 구매자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받은 인테리어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이미지에 포함된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에 대한 판매자의 견적 정보를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중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중개 서버는, 판매자 정보 및 상기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의 카테고리를 등록하는 판매자 등록 모듈;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로부터 인테리어 이미지를 포함하는 의뢰 정보를 입력받아 의뢰를 수신하되, 상기 인테리어 이미지에서 견적을 의뢰하고자 하는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을 표시하여 입력받는 의뢰 수신 모듈; 상기 의뢰 정보를 이용해 상기 판매자 등록 모듈에 등록된 판매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판매자에게 상기 의뢰 수신 모듈이 입력받은 의뢰 정보를 송신하는 판매자 매칭 모듈; 상기 의뢰 정보를 송신한 판매자 디바이스로부터 견적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의뢰 정보와 견적 정보를 매칭하여 관리하는 의뢰 관리 모듈;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에 구매자의 의뢰 정보와 매칭된 견적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의뢰 정보의 공개 여부에 따라 상기 의뢰 정보 및 매칭된 견적 정보의 공개 정도를 설정하여 게시 및 관리하는 견적 제공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견적 제공 모듈은, 상기 의뢰 정보의 공개 여부가 공개이면 상기 의뢰 정보 및 상기 의뢰 정보와 매칭된 견적 정보를 상기 구매자 이외의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게시 및 관리하며, 상기 게시된 의뢰 정보를 그대로 이용하여 동일한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에 대한 견적을 요청한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상기 게시된 의뢰 정보와 매칭된 견적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의뢰 정보를 입력한 구매자 디바이스 및 상기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상기 견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에 따르면, 구매자로부터 인테리어 이미지를 입력받아 해당 인테리어 이미지에 포함된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에 대한 판매자의 견적 정보를 구매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구매자가 사진만 갖고도 원하는 가구나 인테리어 상품을 쉽게 찾아서 구매할 수 있으며, 의뢰 정보 및 견적 정보를 공개하여 구매자 이외의 사용자도 해당 인테리어 이미지를 이용해 쉽게 원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에 따르면, 판매자를 미리 정해진 개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그룹별로 시간차를 두어 순차적으로 의뢰 정보를 송신하되, 구매자의 배송지와 판매자의 판매 지역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그룹을 분류함으로써, 가구의 특성에 따라 물류비가 큰 상품은 가까운 곳의 판매자부터 견적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 운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구매자와 판매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BUYERS AND SELLERS BROKERAGE SYSTEM FOR IMAGE-BASED FURNITURE OR INTERIOR GOODS}
본 발명은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나 인테리어 소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는 가구 판매점이나 공방 등에 직접 방문하여 매장에 진열된 가구를 구경하여 구매하거나, 가구의 카탈로그 등의 홍보물을 열람하여 소망하는 가구를 선택하여 주문하는 형태로 구매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가구 판매 방법은, 가구의 판매자 입장에서는 수많은 세부 품목의 가구를 매장에 진열하여야 하므로, 점포의 면적이 점차 대형화되어 이를 유지하기 위한 관리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구의 생산자 입장에서는 판매장의 매장으로 진열용 가구를 전시시키거나 또는 생산한 가구들의 카탈로그를 제작하여 판매자의 매장에 비치하여야만 하였는데, 판매자의 매장에 진열하기 위한 진열용 가구를 수없이 많은 판매자 점포의 수에 맞추어 생산하기에는 비용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져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가구 판매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소 가구 업체의 경우 자체적인 디자인 개발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하더라도, 디자인된 가구의 생산 판매 외에 물류, 설치까지 각자 부담하게 됨에 따라 이에 의한 비용 상승도 운영에 어려움이 되었다.
한편, 컴퓨터 및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가구나 인테리어 소품 거래에 있어서도 인터넷 쇼핑을 활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소셜 미디어, 웹 매거진 등 인터넷을 통해 인테리어 정보를 수집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드라마나 방송 등 각종 미디어에 노출된 가구나 인테리어 소품을 구매하기를 원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원하는 사람도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소셜 미디어나 방송 등을 통해 노출된 가구나 인테리어 소품 등은 판매자에 의해 홍보된 것이 아닌 경우도 많으므로, 소비자가 스스로 그 구매처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원하는 가구나 인테리어 소품을 쉽게 찾아서 구매할 수 있도록 판매자와 구매자를 중개해 주는 플랫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0-0068517호(발명의 명칭: 의류, 모자, 가방, 주방용품, 가구, 인테리어 소품, 장신구, 문구에 대한 구매자 맞춤 주문형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공개일자: 2010년 06월 24일), 공개특허 제10-2012-0097043호(발명의 명칭: 인터넷을 통한 프랜차이즈 형태의 맞춤 가구의 제조, 판매, 및 유통 중개 시스템, 공개일자: 2012년 09월 03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구매자로부터 인테리어 이미지를 입력받아 해당 인테리어 이미지에 포함된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에 대한 판매자의 견적 정보를 구매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구매자가 사진만 갖고도 원하는 가구나 인테리어 상품을 쉽게 찾아서 구매할 수 있으며, 의뢰 정보 및 견적 정보를 공개하여 구매자 이외의 사용자도 해당 인테리어 이미지를 이용해 쉽게 원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판매자를 미리 정해진 개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그룹별로 시간차를 두어 순차적으로 의뢰 정보를 송신하되, 구매자의 배송지와 판매자의 판매 지역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그룹을 분류함으로써, 가구의 특성에 따라 물류비가 큰 상품은 가까운 곳의 판매자부터 견적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 운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구매자와 판매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은,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으로서,
구매자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받은 인테리어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이미지에 포함된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에 대한 판매자의 견적 정보를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중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중개 서버는,
판매자 정보 및 상기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의 카테고리를 등록하는 판매자 등록 모듈;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로부터 인테리어 이미지를 포함하는 의뢰 정보를 입력받아 의뢰를 수신하되, 상기 인테리어 이미지에서 견적을 의뢰하고자 하는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을 표시하여 입력받는 의뢰 수신 모듈;
상기 의뢰 정보를 이용해 상기 판매자 등록 모듈에 등록된 판매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판매자에게 상기 의뢰 수신 모듈이 입력받은 의뢰 정보를 송신하는 판매자 매칭 모듈;
상기 의뢰 정보를 송신한 판매자 디바이스로부터 견적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의뢰 정보와 견적 정보를 매칭하여 관리하는 의뢰 관리 모듈;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에 구매자의 의뢰 정보와 매칭된 견적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의뢰 정보의 공개 여부에 따라 상기 의뢰 정보 및 매칭된 견적 정보의 공개 정도를 설정하여 게시 및 관리하는 견적 제공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견적 제공 모듈은,
상기 의뢰 정보의 공개 여부가 공개이면 상기 의뢰 정보 및 상기 의뢰 정보와 매칭된 견적 정보를 상기 구매자 이외의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게시 및 관리하며, 상기 게시된 의뢰 정보를 그대로 이용하여 동일한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에 대한 견적을 요청한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상기 게시된 의뢰 정보와 매칭된 견적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의뢰 정보를 입력한 구매자 디바이스 및 상기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상기 견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매자 매칭 모듈은,
상기 의뢰 정보를 이용해 검색된 판매자를 미리 정해진 개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며, 가장 높은 등급의 그룹에 포함된 판매자부터 가장 낮은 등급의 그룹에 포함된 판매자까지 그룹별로 시간차를 두어 순차적으로 상기 의뢰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매자 매칭 모듈은,
상기 의뢰 정보에 포함된 구매자의 배송지 및 상기 판매자 정보에 포함된 판매 지역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판매자를 미리 정해진 개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매자 매칭 모듈은,
상기 판매자에 대한 구매자의 구매만족도, 구매자에 의한 견적 선택 비율, 친환경 여부 및 견적 정보 입력 평균 시간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에 더 가중치를 적용하여 판매자를 미리 정해진 개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견적 제공 모듈은,
상기 의뢰 관리 모듈이 상기 판매자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받은 견적 정보를 상기 분류된 그룹별로 시간차를 두어 순차적으로 견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매자 매칭 모듈은,
상기 의뢰 정보에 포함된 공개 여부에 따라 상기 의뢰 정보를 송신하는 판매자의 수를 차등화하며, 상기 공개 여부가 공개이면 비공개일 때보다 더 많은 판매자에게 상기 의뢰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뢰 관리 모듈은,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에 의해 견적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의뢰를 마감하고,
상기 견적 제공 모듈은, 선택된 견적 정보가 구매자에 의해 선택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의뢰는 기성품의 구매 의뢰이며,
상기 의뢰 관리 모듈은,
상기 의뢰 수신 모듈의 의뢰 수신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후,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에 의해 견적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이 없으면,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에 맞춤 제작 의뢰를 요청하고,
상기 맞춤 제작 의뢰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후,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에 의해 맞춤 제작 의뢰에 따른 견적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이 없으면,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에 상기 의뢰 정보에 포함된 옵션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에 따르면, 구매자로부터 인테리어 이미지를 입력받아 해당 인테리어 이미지에 포함된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에 대한 판매자의 견적 정보를 구매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구매자가 사진만 갖고도 원하는 가구나 인테리어 상품을 쉽게 찾아서 구매할 수 있으며, 의뢰 정보 및 견적 정보를 공개하여 구매자 이외의 사용자도 해당 인테리어 이미지를 이용해 쉽게 원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에 따르면, 판매자를 미리 정해진 개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그룹별로 시간차를 두어 순차적으로 의뢰 정보를 송신하되, 구매자의 배송지와 판매자의 판매 지역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그룹을 분류함으로써, 가구의 특성에 따라 물류비가 큰 상품은 가까운 곳의 판매자부터 견적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 운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구매자와 판매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에서, 중개 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에서, 의뢰 정보를 입력하는 구매자 디바이스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에서, 게시된 의뢰 정보가 표시된 구매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에서, 견적 정보가 표시된 구매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에서, 상세한 견적 정보를 확인하고 선택하는 구매자 디바이스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에서, 견적 정보의 관리 화면이 표시된 구매자 디바이스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은,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으로서, 구매자 디바이스(300)로부터 입력받은 인테리어 이미지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이미지에 포함된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에 대한 판매자의 견적 정보를 구매자 디바이스(300)에 제공하는 중개 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판매자 디바이스(200), 구매자 디바이스(300) 및 사용자 디바이스(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구는 침대, 소파, 테이블, 식탁, 의자 등 다양한 종류의 가구를 모두 포함하며, 거래가 가능한 형태라면 빌트인 가구나 맞춤 가구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테리어 상품은, 커튼, 조명, 카펫, 액자, 시계, 방석 등 다양한 인테리어 소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가구와 인테리어 소품을 포함하여, 인테리어에 필요한 다양한 상품의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블루투스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중개 서버(100)는, 구매자 디바이스(300)로부터 입력받은 인테리어 이미지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이미지에 포함된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에 대한 판매자의 견적 정보를 구매자 디바이스(3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중개 서버(100)는 판매자 디바이스(200)와 구매자 디바이스(300)를 서로 중개하고,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거래가 가능하도록 중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중개 서버(1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판매자 디바이스(200)는,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판매자는 직접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을 제작하여 판매할 수 있으며, 고객의 주문에 따라 주문 제작을 할 수도 있고, 판매만 하는 판매자일 수도 있다.
구매자 디바이스(300)는,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구매자 디바이스(300)는, 중개 서버(100)에 접속하여 인테리어 이미지를 업로드 함으로써, 원하는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을 사진만 갖고도 쉽게 찾을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400)는, 판매자나 구매자 이외의 모든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거래에 직접 참여하는 판매자나 구매자가 아니더라도,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400)를 이용해 중개 서버(100)에 접속하여 공개된 의뢰를 확인하고 가구나 인테리어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판매자 디바이스(200), 구매자 디바이스(300) 및 사용자 디바이스(400)는,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 등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각종 기기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웹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나 웹 접속이 가능한 통신 기기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판매자 디바이스(200), 구매자 디바이스(300)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400)가 전술한 바와 같은 기기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에서, 중개 서버(1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의 중개 서버(100)는, 판매자 등록 모듈(110), 의뢰 수신 모듈(120), 판매자 매칭 모듈(130), 의뢰 관리 모듈(140) 및 견적 제공 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판매자 등록 모듈(110)은, 판매자 정보 및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의 카테고리를 등록할 수 있다. 즉, 판매자 등록 모듈(110)은, 판매자 디바이스(200)로부터 판매자 정보, 상품의 카테고리 등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등록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판매자 정보는 판매자의 생산 및 납품 가능 규모(예를 들어, 1인 공방, 2인 공방, 공장 생산 등), 배송 지역(예를 들어, 판매자 위치, 배송 가능 지역, 주력 배송 지역 등의 선택), 주문 제작 가능 여부, 친환경 제품 제작 및 취급 여부,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추천 가능 여부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의 카테고리는, 침대, 소파, 스탠드, 카펫 등 상품의 종류일 수 있으며, 판매 상품의 상품명, 이미지, 가격 등을 포함하는 구체적인 정보를 더 등록할 수도 있다.
의뢰 수신 모듈(120)은, 구매자 디바이스(300)로부터 인테리어 이미지를 포함하는 의뢰 정보를 입력받아 의뢰를 수신하되, 인테리어 이미지에서 견적을 의뢰하고자 하는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을 표시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인테리어 이미지에는 여러 상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구매자는 해당 인테리어 이미지에서 구매를 원하는 상품에 표시를 하여 중개 서버(100)에 업로드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에서, 의뢰 정보를 입력하는 구매자 디바이스(3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의 의뢰 수신 모듈(120)은, 스탠드가 견적 의뢰 대상으로 표시된 인테리어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복수의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때, 인테리어 이미지는 사진 뿐 아니라 도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면을 이용해 구매자는 자신의 공간에 잘 맞는 가구 등을 구매할 수 있다.
한편, 의뢰 수신 모듈(120)이 입력받는 의뢰 정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춤 제작 여부(즉, 기성품 구매 의뢰 또는 맞춤 제작 의뢰), 브랜드, 대략적인 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탠드, 소파 등과 같은 상품의 카테고리, 구입 수량, 구입 예산, 친환경 제품 여부, 배송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는 의뢰 정보의 공개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비공개, 친구만 공개, 전체 공개 등 공개 범위까지 설정할 수도 있다.
구매자 디바이스(300)는, 웹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중개 서버(100)에 접속하고 인테리어 이미지를 포함하는 의뢰 정보를 입력하여 중개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의뢰 수신 모듈(120)은 구매자 디바이스(300)로부터 의뢰 정보를 입력받아 의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에서, 게시된 의뢰 정보가 표시된 구매자 디바이스(300)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4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에서, 의뢰 수신 모듈(120)이 수신한 의뢰는 구매자가 설정한 공개 여부 및 공개 범위에 따라 게시될 수 있다. 즉, 공개 여부 및 공개 범위에 따라, 접속한 구매자 또는 사용자가 확인 가능한 의뢰 정보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 디바이스(300)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40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구매자가 인테리어 이미지에 견적 의뢰 대상을 표시한대로 인테리어 이미지가 게시됨으로써, 제3자인 사용자도 쉽게 견적 의뢰 대상을 식별할 수 있다.
판매자 매칭 모듈(130)은, 의뢰 정보를 이용해 판매자 등록 모듈(110)에 등록된 판매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판매자에게 의뢰 수신 모듈(120)이 입력받은 의뢰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먼저, 판매자 매칭 모듈(130)은 판매자 등록 모듈(110)에 등록된 판매자 중에서 구매자의 의뢰에 적합한 판매자를 검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매자 매칭 모듈(130)은, (1) 의뢰 정보에 포함된 카테고리와 판매자 등록 모듈(110)에 등록된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의 카테고리를 비교하는 1차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카테고리가 일치하는 판매자를 검색할 수 있다. 그 다음, (2) 의뢰 정보에 포함된 맞춤 제작 여부에 따라 2차 필터링을 수행하며, (3) 사용자의 친환경 선택 여부에 따라 판매자의 친환경 제품 취급 여부를 비교해 3차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판매자 매칭 모듈(130)은, 이와 같은 다회의 필터링 과정에 의해 검색된 판매자에게 의뢰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판매자 매칭 모듈(130)은, 의뢰 정보를 이용해 검색된 판매자를 미리 정해진 개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며, 가장 높은 등급의 그룹에 포함된 판매자부터 가장 낮은 등급의 그룹에 포함된 판매자까지 그룹별로 시간차를 두어 순차적으로 의뢰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된 판매자를 5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제1 그룹의 판매자 디바이스(200)들에는 즉시 의뢰 정보를 전달하고, 1시간이나 하루 등 일정한 시간 경과 후 제2 그룹의 판매자 디바이스(200)들에 의뢰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시간차를 두어 순차적으로 의뢰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판매자 매칭 모듈(130)은, 의뢰 정보에 포함된 구매자의 배송지 및 판매자 정보에 포함된 판매 지역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판매자를 미리 정해진 개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 매칭 모듈(130)은, 판매자에 대한 구매자의 구매만족도, 구매자에 의한 견적 선택 비율, 친환경 여부 및 견적 정보 입력 평균 시간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에 더 가중치를 적용하여 판매자를 미리 정해진 개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맞춤 가구 요청 여부, 구입 수량 등을 더 반영하여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판매자 매칭 모듈(130)은, (1) 의뢰 정보에 포함된 구입 수량에 따라 대규모 주문 시에는 공장형 생산 가능 판매자에게 가점을 부여하고, (2) 구매자 배송지와 판매자 판매 지역이 일치하거나 거리가 가까울수록 높은 가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에 대한 구매자의 구매만족도, 구매자에 의한 견적 선택 비율 및 견적 정보 입력 평균 시간 등에 따라 판매자 점수를 부여하고, (3) 판매자 점수가 높을수록 높은 가점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매자 매칭 모듈(130)은, 판매자에게 부여된 가점을 이용해 가점이 높은 순서대로 제1 그룹부터 제5 그룹까지 미리 정해진 개수의 그룹으로 판매자를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신규 판매자의 경우에는 가점에 관계없이 일정한 기간 동안에는 제일 높은 그룹으로 분류하여, 판매자 점수가 낮거나 없더라도 우선하여 의뢰 정보를 받아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판매자 매칭 모듈(130)은, 의뢰 정보에 포함된 공개 여부에 따라 의뢰 정보를 송신하는 판매자의 수를 차등화하며, 공개 여부가 공개이면 비공개일 때보다 더 많은 판매자에게 의뢰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개 여부가 비공개이면 10명의 판매자에게 의뢰 정보를 송신하나, 공개이면 30명의 판매자에게 의뢰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공개 범위가 친구 공개이면 20명의 판매자에게 의뢰 정보를 송신하는 등으로 차등화 할 수 있다.
의뢰 관리 모듈(140)은, 의뢰 정보를 송신한 판매자 디바이스(200)로부터 견적 정보를 입력받아 의뢰 정보와 견적 정보를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의뢰 관리 모듈(140)은 데이터베이스에 의뢰 정보와 견적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새로 입력된 견적 정보를 추가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견적 제공 모듈(150)은, 구매자 디바이스(300)에 구매자의 의뢰 정보와 매칭된 견적 정보를 제공하며, 의뢰 정보의 공개 여부에 따라 의뢰 정보 및 매칭된 견적 정보의 공개 정도를 설정하여 게시 및 관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견적 제공 모듈(150)은, 의뢰 관리 모듈(140)이 판매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입력받은 견적 정보를 분류된 그룹별로 시간차를 두어 순차적으로 견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견적 제공 모듈(150)은, 견적 정보가 입력되는 순서대로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으나, 그룹별로 시간차를 두어 상위 그룹의 판매자의 견적 정보가 우선하여 구매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시간차를 두어 상위 그룹의 판매자가 입력한 견적 정보부터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위 그룹의 판매자가 정해진 시간을 도과하여 견적 정보를 입력한 경우에는, 그 다음 그룹의 견적 정보가 제공될 때 해당 견적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에서, 견적 정보가 표시된 구매자 디바이스(300)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4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의 견적 제공 모듈(150)은, 구매자 디바이스(300)에 견적 정보를 제공하며, 구매자는 웹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의뢰에 대응하여 제공받은 견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견적 제공 모듈(150)은, 구매자 디바이스(300)에 견적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구매자가 아닌 제3자인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400)를 이용해 공개된 의뢰 정보와 해당 의뢰 정보와 매칭된 견적 정보를 웹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확인할 수 있도록 의뢰 정보 및 견적 정보를 게시 및 관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견적 제공 모듈(150)은, 의뢰 정보의 공개 여부가 공개이면 의뢰 정보 및 의뢰 정보와 매칭된 견적 정보를 구매자 이외의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게시 및 관리하며, 게시된 의뢰 정보를 그대로 이용하여 동일한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에 대한 견적을 요청한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게시된 의뢰 정보와 매칭된 견적 정보를 제공하여, 의뢰 정보를 입력한 구매자 디바이스(300) 및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견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디바이스(400)를 이용해 사용자는 타인이 업로드 한 의뢰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나도견적” 메뉴를 이용해 공개된 의뢰 정보를 그대로 이용하여 동일한 스탠드에 대한 견적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견적 제공 모듈(150)은, 사용자 디바이스(400)에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견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견적을 의뢰한 것과 동일하게 판매자들로부터 견적을 받아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신” 메뉴에서 새로운 공개된 의뢰 정보를 게시할 수 있으며, 게시 후에 좋아요(하트 표시) 수나 “나도견적”을 이용한 사용자의 수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이 되면, “인기” 메뉴에 게시할 수 있다. “인기” 메뉴에서는 하루, 한주, 한 달 등 다양한 기간 동안 인기가 많은 의뢰 정보를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에서, 상세한 견적 정보를 확인하고 선택하는 구매자 디바이스(3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견적 정보를 선택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구매자는 원하는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이 맞고, 견적 내용이 마음에 들면 “찾았다!!” 버튼을 이용해 해당 견적을 선택할 수 있으며, 도 6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로 구매” 버튼을 통해 선택된 견적에 따라 해당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매자가 견적 정보를 선택하면, 판매자 등록 모듈(110)은 선택된 견적 정보를 제공한 판매자에게 판매자 점수를 적립하고, 구매자가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을 구매하면 판매를 한 판매자에게 판매자 점수를 적립하며, 구매자가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만족도 평가를 입력하면 평가 내용에 따라 차등화 된 판매자 점수를 적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적립된 판매자 점수는, 판매자 매칭 모듈(130)이 판매자를 그룹으로 분류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으며, 구매자 및 사용자 등에 공개하여 구매에 참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의뢰 관리 모듈(140)은, 구매자 디바이스(300)에 의해 견적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의뢰를 마감하고, 구매자 디바이스(300)에 더 이상 견적 정보를 제공하지 않게 되며, 견적 제공 모듈(150)은, 선택된 견적 정보가 구매자에 의해 선택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선택된 견적 정보에 굵은 테두리 표시를 하거나 “선택”이라고 스티커 표시를 하는 등 다른 견적 정보에 비하여 가시성이 향상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견적 정보가 도착하지 않거나 구매자가 견적 정보를 선택하는 않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의뢰가 마감되지 않을 수 있다. 구매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매자 디바이스(300)의 화면에서 “모든 판매자에 의뢰서 공개” 메뉴를 이용하여, 검색된 판매자 이외의 모든 판매자에게 의뢰 정보를 제공하여 추가적인 견적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가 비공개로 의뢰를 한 경우 의뢰 정보를 공개로 전환하여 더 많은 판매자에게 의뢰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의뢰 수신 모듈(120)이 수신한 의뢰는 기성품의 구매 의뢰이며, 의뢰 관리 모듈(140)은, 의뢰 수신 모듈(120)의 의뢰 수신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후, 구매자 디바이스(300)에 의해 견적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이 없으면, 구매자 디바이스(300)에 맞춤 제작 의뢰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맞춤 제작 의뢰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후, 구매자 디바이스(300)에 의해 맞춤 제작 의뢰에 따른 견적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이 없으면, 구매자 디바이스(300)에 의뢰 정보에 포함된 옵션 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즉, 구매자가 원하는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을 찾지 못하고 의뢰가 마감되지 않는 경우, 먼저 판매자의 범위를 넓히도록 구매자에게 요청하고, 판매자의 범위가 넓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구매자가 원하는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을 찾지 못하는 경우, 구매자가 기성품의 구매 의뢰를 하였다면 맞춤 제작 의뢰를 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맞춤 제작 의뢰에 따른 견적 정보가 없거나 구매자가 선택하지 않으면, 의뢰 관리 모듈(140)은 구매자에게 의뢰 정보에 포함된 옵션 조정을 요청하여 다시 의뢰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구매자가 원하는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을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에서, 견적 정보의 관리 화면이 표시된 구매자 디바이스(3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에서는, 구매자가 의뢰 정보 및 해당 의뢰 정보와 매칭된 견적 정보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에 따르면, 구매자로부터 인테리어 이미지를 입력받아 해당 인테리어 이미지에 포함된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에 대한 판매자의 견적 정보를 구매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구매자가 사진만 갖고도 원하는 가구나 인테리어 상품을 쉽게 찾아서 구매할 수 있으며, 의뢰 정보 및 견적 정보를 공개하여 구매자 이외의 사용자도 해당 인테리어 이미지를 이용해 쉽게 원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판매자를 미리 정해진 개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그룹별로 시간차를 두어 순차적으로 의뢰 정보를 송신하되, 구매자의 배송지와 판매자의 판매 지역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그룹을 분류함으로써, 가구의 특성에 따라 물류비가 큰 상품은 가까운 곳의 판매자부터 견적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 운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구매자와 판매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중개 서버
110: 판매자 등록 모듈
120: 의뢰 수신 모듈
130: 판매자 매칭 모듈
140: 의뢰 관리 모듈
150: 견적 제공 모듈
200: 판매자 디바이스
300: 구매자 디바이스
400: 사용자 디바이스

Claims (8)

  1.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으로서,
    구매자 디바이스(300)로부터 입력받은 인테리어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이미지에 포함된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에 대한 판매자의 견적 정보를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300)에 제공하는 중개 서버(100)를 포함하며,
    상기 중개 서버(100)는,
    판매자 정보 및 상기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의 카테고리를 등록하는 판매자 등록 모듈(110);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300)로부터 인테리어 이미지를 포함하는 의뢰 정보를 입력받아 의뢰를 수신하되, 여러 상품이 포함되어 있는 상기 인테리어 이미지에서 견적을 의뢰하고자 하는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에 체크표시로 견적 의뢰 대상을 표시하여 입력받는 의뢰 수신 모듈(120);
    상기 의뢰 정보를 이용해 상기 판매자 등록 모듈(110)에 등록된 판매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판매자에게 상기 의뢰 수신 모듈(120)이 입력받은 의뢰 정보를 송신하는 판매자 매칭 모듈(130);
    상기 의뢰 정보를 송신한 판매자 디바이스(200)로부터 견적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의뢰 정보와 견적 정보를 매칭하여 관리하는 의뢰 관리 모듈(140);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300)에 구매자의 의뢰 정보와 매칭된 견적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의뢰 정보의 공개 여부에 따라 상기 의뢰 정보 및 매칭된 견적 정보의 공개 정도를 설정하여 게시 및 관리하는 견적 제공 모듈(150)을 포함하며,
    상기 견적 제공 모듈(150)은,
    상기 의뢰 정보의 공개 여부가 공개이면 상기 의뢰 정보 및 상기 의뢰 정보와 매칭된 견적 정보를 상기 구매자 이외의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게시 및 관리하되, 제3자인 사용자도 쉽게 견적 의뢰 대상을 식별할 수 있도록, 구매자가 인테리어 이미지에 견적 의뢰 대상을 표시한 대로 체크표시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이미지를 게시하며, 상기 게시된 의뢰 정보를 그대로 이용하여 동일한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에 대한 견적을 요청한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상기 게시된 의뢰 정보와 매칭된 견적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의뢰 정보를 입력한 구매자 디바이스(300) 및 상기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상기 견적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판매자 매칭 모듈(130)은,
    상기 의뢰 정보를 이용해 검색된 판매자를 미리 정해진 개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되, 상기 의뢰 정보에 포함된 구매자의 배송지 및 상기 판매자 정보에 포함된 판매 지역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판매자를 미리 정해진 개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며, 가장 높은 등급의 그룹에 포함된 판매자부터 가장 낮은 등급의 그룹에 포함된 판매자까지 그룹별로 시간차를 두어 순차적으로 상기 의뢰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의뢰 정보에 포함된 공개 여부에 따라 상기 의뢰 정보를 송신하는 판매자의 수를 차등화하며, 상기 공개 여부가 공개이면 비공개일 때보다 더 많은 판매자에게 상기 의뢰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의뢰 관리 모듈(140)은,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300)에 의해 견적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의뢰를 마감하고,
    상기 견적 제공 모듈(150)은, 선택된 견적 정보가 구매자에 의해 선택되었음을 표시하되, 선택된 견적 정보에 스티커 표시를 하여 다른 견적 정보에 비하여 가시성이 향상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매칭 모듈(130)은,
    상기 판매자에 대한 구매자의 구매만족도, 구매자에 의한 견적 선택 비율, 친환경 여부 및 견적 정보 입력 평균 시간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에 더 가중치를 적용하여 판매자를 미리 정해진 개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적 제공 모듈(150)은,
    상기 의뢰 관리 모듈(140)이 상기 판매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입력받은 견적 정보를 상기 분류된 그룹별로 시간차를 두어 순차적으로 견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뢰 수신 모듈(120)이 수신한 의뢰는 기성품의 구매 의뢰이며,
    상기 의뢰 관리 모듈(140)은,
    상기 의뢰 수신 모듈(120)의 의뢰 수신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후,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300)에 의해 견적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이 없으면,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300)에 맞춤 제작 의뢰를 요청하고,
    상기 맞춤 제작 의뢰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후,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300)에 의해 맞춤 제작 의뢰에 따른 견적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이 없으면,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300)에 상기 의뢰 정보에 포함된 옵션 조정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
KR1020180158682A 2018-12-10 2018-12-10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 KR101976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682A KR101976570B1 (ko) 2018-12-10 2018-12-10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682A KR101976570B1 (ko) 2018-12-10 2018-12-10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570B1 true KR101976570B1 (ko) 2019-05-09

Family

ID=66545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682A KR101976570B1 (ko) 2018-12-10 2018-12-10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57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294B1 (ko) * 2019-08-30 2020-05-22 박찬용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 견적 방법
KR102155106B1 (ko) * 2019-08-08 2020-09-11 이병관 확장현실을 이용한 커스터 마이징 가구 제작 서비스 시스템
KR20210037203A (ko) 2019-09-27 2021-04-06 류근 인테리어 중개 시스템 및 방법
CN112818434A (zh) * 2020-10-16 2021-05-18 佛山欧神诺云商科技有限公司 设计图生成方法、终端以及存储装置
KR20210091927A (ko) * 2020-01-15 2021-07-23 김태호 맞춤형 가구거래 중개서버
KR20210102074A (ko) 2020-02-11 2021-08-19 (주)티엔티 인공지능 기반의 가구추천장치
WO2022055188A1 (ko) * 2020-09-08 2022-03-17 김효식 가구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102483733B1 (ko) * 2022-07-13 2022-12-30 문소윤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3096290A1 (ko) * 2021-11-23 2023-06-01 고준우 견적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1707A (ja) * 2003-07-31 2005-02-24 Nec Corp 画像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画像データ通信方法
KR20070052818A (ko) * 2005-11-18 2007-05-23 이경재 인터넷을 이용한 맞춤식 문짝 주문 방법
KR100903005B1 (ko) * 2007-09-12 2009-06-15 주식회사 인터파크지마켓 온라인 마켓에서 공개 견적을 통한 효율적인 전자 상거래방법 및 시스템
KR20170017378A (ko) * 2015-08-06 2017-02-15 주식회사 메디비앙 구매데이터 기반 구매자와 판매자 매칭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1707A (ja) * 2003-07-31 2005-02-24 Nec Corp 画像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画像データ通信方法
KR20070052818A (ko) * 2005-11-18 2007-05-23 이경재 인터넷을 이용한 맞춤식 문짝 주문 방법
KR100903005B1 (ko) * 2007-09-12 2009-06-15 주식회사 인터파크지마켓 온라인 마켓에서 공개 견적을 통한 효율적인 전자 상거래방법 및 시스템
KR20170017378A (ko) * 2015-08-06 2017-02-15 주식회사 메디비앙 구매데이터 기반 구매자와 판매자 매칭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106B1 (ko) * 2019-08-08 2020-09-11 이병관 확장현실을 이용한 커스터 마이징 가구 제작 서비스 시스템
KR102114294B1 (ko) * 2019-08-30 2020-05-22 박찬용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 견적 방법
KR20210037203A (ko) 2019-09-27 2021-04-06 류근 인테리어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91927A (ko) * 2020-01-15 2021-07-23 김태호 맞춤형 가구거래 중개서버
KR102457337B1 (ko) * 2020-01-15 2022-10-20 김태호 맞춤형 가구거래 중개서버
KR20210102074A (ko) 2020-02-11 2021-08-19 (주)티엔티 인공지능 기반의 가구추천장치
WO2022055188A1 (ko) * 2020-09-08 2022-03-17 김효식 가구 주문 시스템 및 방법
CN112818434A (zh) * 2020-10-16 2021-05-18 佛山欧神诺云商科技有限公司 设计图生成方法、终端以及存储装置
WO2023096290A1 (ko) * 2021-11-23 2023-06-01 고준우 견적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483733B1 (ko) * 2022-07-13 2022-12-30 문소윤 인테리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570B1 (ko)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 중개 시스템
US10559019B1 (en) System for centralized E-commerce overhaul
US6873967B1 (en) Electronic shopping assistant and method of use
US20020107756A1 (en) Method for creating and operating a personalized virtual internet store including "disconnected" purchasing capability
US20020010668A1 (en) Online merchandising and marketing system
US20110106653A1 (en) Merchandise display system, apparatus and method
JP719487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600852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ng sales of home furnishings in a non-retail environment
WO2012035818A1 (ja) 購入支援システム
KR102114294B1 (ko) 이미지 기반 가구 또는 인테리어 상품 견적 방법
US20110022499A1 (en) Personal mobile shopping network - a method of sales and retailing involving multimedia messaging feature of mobile cellular phones and PDA devices
KR101657585B1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해시 태그 기반 상품 거래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1606675B1 (ko) Sns상의 사용자별 가상 옷장을 이용한 의류 구매 시스템 및 방법
KR101657588B1 (ko)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 기반 상품 거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9125386A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方法及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US20140012628A1 (en) Estimating wholesale demand for consumer products
JP2001155088A (ja) 材料発注システム、材料発注管理装置、材料発注端末装置、仲介装置、及び記録媒体
KR101657583B1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644172B1 (ko) 고객이 구매하여 제공하는 상품 관련 이미지 또는 영상 정보에 기초한 상품 판매 방법
KR100393916B1 (ko) 유무선 전화망 및 인터넷을 이용한 구매자 중심의 배송시간 결정시스템 및 그 방법
JP6702628B1 (ja) 提供装置、提供方法および提供プログラム
JPWO2017203573A1 (ja) 商品販売システム
JP2017091004A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方法及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101657589B1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 기반 상품 거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57586B1 (ko) 웹을 이용한 상품 거래 정보 기반 개인 성향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