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891B1 - 플랫폼 기반의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플랫폼 기반의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891B1
KR102377891B1 KR1020210103352A KR20210103352A KR102377891B1 KR 102377891 B1 KR102377891 B1 KR 102377891B1 KR 1020210103352 A KR1020210103352 A KR 1020210103352A KR 20210103352 A KR20210103352 A KR 20210103352A KR 102377891 B1 KR102377891 B1 KR 102377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management server
purchaser
specific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채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서앤그레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서앤그레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서앤그레이스
Priority to KR1020210103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891B1/ko
Priority to PCT/KR2022/004570 priority patent/WO202301384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폼 기반의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복수의 제작자를 포함하는 플랫폼이 관리 서버에 의해 컨트롤되는 상태에서, (a) 관리 서버가,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특정 제품과 관련된 주문 정보를 요청받는 단계, (b) 관리 서버는, 복수의 제작자를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제작자 중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제작자를 선정하고, 주문 정보를 특정 제작자에게 전달하는 단계, 및 (c) 관리 서버는, 특정 제작자의 업무 리스트에 주문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특정 제작자의 업무 리스트를 구매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제작자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제작자에 의하여 제작된 제품을 구매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랫폼 기반의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METHOD FOR PROVIDING PLATFORM-BASED PRODUCT MANUFACTURING SERVI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랫폼 기반의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작자를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구매자로부터 제품의 조건이 특정된 주문 정보를 받아 적절한 제작자에게 제작을 요청하는 등 구매자 및 제작자를 연결하고, 복수의 제작자를 관리하는 플랫폼 기반의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 날 구매자들은 자신의 취향과 용도에 맞는 상품을 통해 개개인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구매를 선호한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맞춤형 상품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87088호에서는 구매자의 니즈를 충족하기 위하여 구매자로부터 제공받은 이미지를 가방에 인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69471호에서는 구매자가 가방의 디자인, 색상, 포켓디자인, 악세서리 및 로고를 단계별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선택한대로 제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맞춤형 제작 서비스는 그 과정이 번거롭고 가격이 비싸며 상품의 품질에 대한 신뢰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상품의 품질과 주문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매자 단말로부터 원하는 제품과 관련된 주문 정보를 수신하고, 이러한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된 복수의 제작자 중 특정 제작자를 선택하여 구매자 단말로 추천하고, 구매자와 제작자가 매칭될 경우 제작자에게 주문 정보를 전달함에 따라, 구매자가 원하는 맞춤 제작 제품을 제작자가 제작하고 이를 구매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 기반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제작자 각각이 복수의 그룹 중 하나의 그룹에 매칭될 수 있고, 복수의 제작자를 등급을 나누어 관리할 수 있으며, 구매자가 관리 서버로 전송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장 유사한 제품을 선별하여 제시함으로써, 효과적인 제작자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구매자에게 보다 적합한 제품이 제작되어 제공될 수 있는 플랫폼 기반의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복수의 제작자를 포함하는 플랫폼이 관리 서버에 의해 컨트롤되는 상태에서, (a) 관리 서버가,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특정 제품과 관련된 주문 정보를 요청받는 단계, (b) 관리 서버는, 복수의 제작자를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제작자 중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제작자를 선정하고, 주문 정보를 특정 제작자에게 전달하는 단계, 및 (c) 관리 서버는, 특정 제작자의 업무 리스트에 주문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특정 제작자의 업무 리스트를 구매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제작자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제작자에 의하여 제작된 제품을 구매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랫폼 기반의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하면, 구매자가 원하는 형태에 맞추어 제품을 맞춤으로 제작하는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공간의 제약이 없는 인재 중심의 제작 시스템 및 다양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 및 제공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작 스케쥴 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작자를 포함하는 플랫폼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맞춤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품 맞춤 제작 서비스는 관리 서버(200)와 구매자 단말(100), 및 제작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매자 단말은 구매자로, 제작자 단말은 제작자로 간략히 기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구매자(100)와 제작자(300)를 모두 연결하는 관리서버(200) 및 이에 포함된 플랫폼(210)을 기반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서버(200)는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제품 사용자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다양한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와이파이(WIFI),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와이브로(WiBro), LTE(Long Term Evolution),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무선랜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인터넷에서 정보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TCP/IP를 따를 수도 있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복수의 제작자를 포함하는 플랫폼(210)을 컨트롤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매자 단말(100)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구매자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또는 데스크탑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매자의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구매자 단말(100)은 제품 제작 서비스의 관리 서버(200)와 연결되어, 구매자가 상기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종류, 기본 디자인, 사이즈, 컬러, 소재와 같은 옵션 디자인을 선정할 수 있고,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구매자가 선정한 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옵션을 제공할 수 있는 제작자의 단말(300)에 제품 제작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제작자 단말(300) 또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제작자의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또는 데스크탑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작자의 단말(300)은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제작자들의 정보를 관리 서버(200)의 플랫폼(210)에서 분류 및 관리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품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200)는 플랫폼(210),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 시뮬레이션부(미도시), 및 주문정보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하는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플랫폼(210)에서는 제품을 제작하는 복수의 장인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작자의 작업장 위치, 제작 스케쥴, 과거 작업리스트 및 후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서버(200)는 상기 플랫폼(210)을 관리함으로써, 인재 확보와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매출 규모에 따른 유연한 생산성을 제공할 수 있고, 제품 품질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또한, 구매자(100)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제품의 카테고리 및 기본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제품 데이터베이스 및 선택한 제품에 부가할 수 있는 옵션 정보를 저장하는 옵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서버(200)는 상기 제품 데이터베이스 및 옵션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함으로써, 구매자(100)에게 폭 넓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또한, 상기 플랫폼(210)과 연결되어 각 정보에 따른 내용대로 제작할 수 있는 제작자가 검색되도록 관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 생산 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각 정보에 따른 내용대로 제작하였던 제작자의 기록을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하여 품질 관리에 사용할 수 있고, 고객에게 제공하여 각 옵션에 따른 제작 후기를 참고하여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작자를 포함하는 플랫폼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관리 서버(200) 내 포함된 플랫폼(210)에는 복수의 제작자에 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고 관리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도 2와 같이 제작가능 제품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작자를 제1 그룹 내지 제n 그룹(단 n은 2이상의 자연수)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죽 지갑, 가죽 허리띠 등 작은 크기의 제품을 제작가능한 제작자들을 제1 그룹, 가죽 가방 등 비교적 크기가 큰 크기의 제품을 제작가능한 제작자들을 제2 그룹 등으로 그룹핑할 수 있는 것이다.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기준은 예시와 같이 크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준, 예를 들면 동일한 종류의 제품을 제작하는 제작자들을 동일한 그룹에 그룹핑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제품은 위의 예시와 같이 가죽으로 만들어진 제품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원단으로 만들어진 제품 등 다양한 형상, 용도, 크기의 제품이 본 명세서에서의 제품이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상기 제1 그룹 내지 상기 제n 그룹 각각에 포함된 제작자들을 작업 스케줄에 기초하여 다시 한번 더 구분할 수 있다. 즉, 제1 그룹 내지 상기 제n 그룹 중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제작자들은 동일한 그룹 내에서 작업 스케줄에 기초하여 또 다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200)는 상기 복수의 제작자들로부터 상기 제작가능 제품 관련 정보 및 상기 작업 스케줄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룹에 제작자 A, 제작자 B가 포함되어 있다고 할 때, 소정 기간(ex 12월 첫째주) 동안 날짜별로 작업이 수행가능한지 여부를 제작자(ex 12/3 제작자 A는 가능, 제작자 B는 불가능, 12/4 제작자 A는 가능, 제작자 B는 불가능)마다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관리 서버(200)는 상기 제작가능 제품 관련 정보 및 작업 수행가능여부는 각 제작자의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제1 그룹 내지 제n 그룹 각각에 포함된 제작자들을 소정 점수를 기초로 순위를 매기고, 상기 순위를 참조하여 특정 제품과 관련된 주문 정보를 수행할 특정 제작자를 선정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200)는 주문 정보에 포함된 제품(ex 가죽 지갑)에 대응하는 그룹을 검색하고, 상기 그룹 내에서 소정 점수가 높은 제작자를 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소정 점수는 구매자 평가, 마감일 준수 여부 및 작업 처리량을 고려하는 수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수식에 대하여 도 3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관리 서버(200)는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특정 제품과 관련된 주문 정보를 요청받을 수 있다(S210). 관리 서버(200)는 구매자로부터 특정 제품과 관련된 주문 정보를 요청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주문 정보는 구매자에게 선택 가능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고 구매자가 선택함으로써 특정된 것일 수 있다. 즉, 단계(S210)는 관리 서버(200)가 구매자에게 제공 가능한 제품의 카테고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품의 기본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품에 부가 가능한 디자인 옵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통해 구매자에게 각 정보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공 가능한 제품의 카테고리 정보는, 관리 서버(200) 내 제작 가능한 카테고리로 등록된 제품의 종류로 신발, 가방, 허리띠, 지갑, 휴대폰 케이스, 차량용 키케이스, 시계줄 등일 수 있으며, 제작 가능한 제품은 이러한 가죽 제품에 한정되지 않고, 떡, 빵과 같은 식품, 의료, 가전, 가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품의 기본 이미지 정보는, 선택된 카테고리에서 제작될 수 있는 제품의 기본 골격에 대한 이미지에 대한 정보로서, 제품 카테고리에서 가방을 선택한 경우, 관리 서버(200)는 기본 이미지 정보로 백팩, 핸드백, 크로스백 등의 제품 기본 골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인 옵션 정보는, 상기 단계에서 선택된 제품 카테고리 및 제품의 기본 골격에서, 부가 가능한 디자인 등에 대한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인 옵션 정보는 상기 제품의 사이즈, 상기 제품의 색상, 상기 제품의 무늬, 상기 제품의 소재, 상기 제품에 추가 가능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계에서 핸드백이 선택된 경우, 색상, 재질, 사이즈 등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 수납함, 내부 칸막이, 지퍼, 손잡이 두께와 사이즈, 금속 장식의 소재, 각인 또는 자수 등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자인 옵션 정보는 각 옵션에 대해 기존에 제작하였던 제작자의 정보와 함께, 그에 대한 고객 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에 가방 내부 칸막이에 대한 옵션 부가를 요청한 구매자가 있다면 해당 구매자로부터 후기를 제공받아, 그를 제작한 제작자의 정보와 함께, 그 제작자의 제공 품질은 어떠하였는지, 내부 칸막이를 부가하는 경우 어떠한 장점 및/또는 단점이 있는지 등에 대한 후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200)는 고객 후기를 제공한 해당 구매자에게 별도의 사례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210)는, 관리 서버(200)가 상기 구매자(100)로부터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관리 서버(200)와 연동된 제품 데이터베이스(관리 서버에 포함 또는 외부)에서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와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제품을 결정하고,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제품을 상기 구매자의 단말(100)에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매자의 단말(100)의 구매자는 원하는 소재나 색상에 대한 정확한 명칭을 모르는 경우, 제품 카테고리에서 제작을 원하는 제품을 선택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구매자는 자신이 원하는 제품과 유사한 제품을 직접 촬영하거나 자신이 원하는 제품과 유사한 제품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해당 이미지를 관리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구매자는 자신이 원하는 제품과 유사한 다른 제품의 이미지를 관리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200)는 구매자의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제작자의 제품과 비교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제1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하는 제품의 소재, 색상,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소재, 색상, 형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 데이터와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제품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제품을 구매자의 단말(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매자는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제1 이미지 데이터의 일부분에 대한 선택 영역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제1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하는 제품 전체가 아닌, 일부분에 대한 선택 영역으로부터 인식되는 소재, 색상,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할 수 있고, 데이터 베이스에서 선택 영역과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제품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인식되는 옵션에 따라 구매자가 원하는 부분만을 선택 가능하도록 하여, 구매자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이 때, 관리 서버(200)는 구매자의 단말(100)의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부에 제1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하는 제품의 기본 형태를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할 수 있다. 구매자는 구매자의 단말(100)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품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부 영역을 마우스 등으로 드래그(drag)하여, 원하는 부분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한 부분의 옵션, 즉, 선택 사항을 제1 이미지 데이터의 기존의 선택 사항과 달리 변경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하는 제품은 시계일 수 있고, 구매자는 구매자의 단말(100)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시계의 양쪽 시계줄 중 한쪽 시계줄을 선택할 수 있다. 구매자는 한쪽 시계줄의 선택 사항 중 색상을 기존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변경하라는 신호를 관리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구매자는 한쪽 시계줄만을 선택(ex 드래그 등)하여 그 부분의 색상을 달리하여 제작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색상의 경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제품의 색상을 인식하여 색상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색상 코드는 RGB, CMYK, PMS, HEX, HSL, HSV 중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색상 코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색상은 판매자가 임의로 지정한 명칭에 의해 표기되어 유사한 명칭이라도 색상이 매우 다르며, 판매자가 업로드한 상세 사진을 참고하더라도 실제 색상과 다른 경우가 많다. 따라서, 관리 서버(200)는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제1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하는 제품의 색상을 색상 코드로 추출하여 제작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고, 제작자 단말(300)의 제작자는 구매자가 원하는 제품의 색상을 명확히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인식되는 색상은 육안으로 확인되는 색상과 상이할 수 있어, 구매자가 코드 일부를 수정하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GB 코드의 경우, 인식된 R, G, B 각각의 0 내지 255 숫자 중, 사용자가 일부의 숫자를 수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수정값에 따라 달라지는 색상을 화면에 즉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구매자에게 각 코드에 대한 수정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매자는 제품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을 각각 선택(ex 드래그 등)할 수 있고, 구매자는 단말을 통해 선택된 일부 영역에 대해서는 제1 색상값(ex RGB)을 설정하고, 선택된 다른 영역에 대해서는 제2 색상값(ex RGB)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구매자가 제1 이미지 데이터의 제품의 일부 영역에 대해서 색상값을 변경한 경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색상값에 어울리는 다른 색상값을 다른 영역에 대해 추천할 수도 있다. 서버(200)는 서로 어울리는 색상값들의 그룹을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위와 같이 추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어울리는 색상값들의 그룹으로 보색(색상환상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색) 그룹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소재의 경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소재를 인식하여, 구매자에게 해당 소재와 유사한 소재를 선택하도록 제공하되, 그 가공방법에 대한 옵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제1 이미지 데이터에서 악어가죽 무늬가 인식된 경우, 악어가죽으로 제작할 것인지 기타 가죽에 악어가죽 무늬를 가공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매자는 본인의 취향, 예산 등에 맞추어 제1 이미지 데이터로 제공한 소재와 유사한 소재를 갖는 제품을 제작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에서 디자인 옵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자로부터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고, 제2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하는 물품의 부피를 산출하여, 옵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측정된 부피 이상의 부피를 갖는 제품를 추천하는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는 제2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하는 물건의 부피 이상의 제품을 구매자가 원하는 경우에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매자가 수납하고 싶은 물건에 대한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면, 상기 측정된 부피 이상의 규격을 갖는 제품의 옵션 목록을 추천할 수 있다. 제2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부피를 측정하는 것은, 원하는 물건과 함께 동전, 지폐, 신용카드, A4 용지 등 규격화된 기준 물질을 촬영하여 제공함으로써 원하는 물건의 부피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관리 서버(200)가 구매자로 하여금 구매자 단말(100)의 카메라를 통해 제품에 수납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ex 로션, 립스틱, 책 등)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수납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물품은 각각 촬영되어 하나의 제2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되어 서버(200)에 전송될 수 있고, 하나의 이미지에 촬영될 수도 있다. 구매자의 단말(100)이 설치된 앱 또는 서버를 통해 상기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면, 본 발명의 서버(200)는 상기 제2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에 대한 각각의 부피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의 부피의 총합을 획득한 후, 서버(200)는 이에 대응하는 부피에 해당하는 제품의 옵션 목록을 추천할 수 있다.
참고로, 부피의 총합에 대응하는 부피에 해당하는 제품을 확인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수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a, b, c 등은 구매자가 수납하고자 하는 각 물품의 부피에 해당하고, n은 구매자가 선택한 물품의 개수, p는 물품당 여유 부피, S는 제작할 제품의 부피에 해당할 것이다. 결국 아래 수식은 각 물품의 부피 + 물품의 개수 x 물품당 여유 부피의 합보다 제작될 제품의 부피가 큰 것을 나타내고 있다.
수식) a + b + c + n*p ≤ S
서버는 부피의 총합보다 큰 사이즈에 해당하는 제품을 모두 목록으로서 추천할 수도 있고, 상기 총합보다 큰 복수의 사이즈 중 가장 작은 사이즈를 추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총합보다 크면서, 일정 범위를 넘지 않는 사이즈를 추천할 수도 있고, 이는 구매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부피 측정 단계는,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아 옵션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각각의 이미지를 제공받아 각 옵션에 따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고, 하나의 이미지를 제공받아 그에 따른 여러 옵션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구매자로부터 조건이 특정된 주문 정보를 요청받을 수 있다. 이 때, 기본 이미지나 디자인 옵션 정보는 원하는 것과 가장 유사한 것을 선택하고, 거기에 일부 수정을 요청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제품 맞춤 제작 서비스에서 제공 가능한 제품에 대한 디자인 옵션들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제품 맞춤 제작 서비스에서 제공 가능한 제품의 디자인 옵션들에 관한 정보를 구매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구매자는 서버(200)로부터 제공 가능한 제품의 디자인 옵션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는 기존 구매자들의 제품 구매 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200)는 기존의 제품 구매 내역 정보를 기초로 제품 맞춤 제작 서비스에서 제공 가능한 제품의 디자인 옵션들 중, 추천 대상인 디자인 옵션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추천 모델은 기존 구매자들의 제품 구매 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된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된 모델일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LP(multi-layer perceptron) 등의 신경망 중 하나의 신경망일 수 있다. 제품 디자인 옵션 추천 모델의 인공 신경망은 심층 학습(deep learning), 강화 학습(enforcement learning) 등의 학습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 서버(200)는 복수의 제작자 중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제작자를 선정하고, 상기 주문 정보를 특정 제작자에게 전달(S220)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관리 서버(200)는 복수의 그룹 각각에 포함된 제작자들을 소정 점수를 기초로 순위를 매기고, 순위에 기초하여 제품을 제작할 특정 제작자를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소정 점수는 구매자 평가, 마감일 준수 여부 및 작업 처리량을 고려하는 아래의 수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식) P = A * x - B * y + C * z
상기 수식에서 P는 소정 점수를 의미하고, A * x는 구매자 평가에 대한 변수를 의미하고, B * y 는 마감일 준수 여부에 대한 변수를 의미하고, C * z 는 작업 처리량에 대한 변수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 점수를 의미하는 P는 구매자 평가에 대한 변수(A * z)에 마감일 준수 여부에 대한 변수(B * y)를 빼고 작업 처리량에 대한 변수(C * z)를 더하여 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매자 평가에 대한 변수(A * x)에서 x는 기설정 기간 동안 해당 제작자에 대한 구매자 평가의 평균값일 수 있고, 예를 들면, 기설정 기간인 6개월 동안 해당 제작자의 제품을 구매한 구매자들이 제품을 평가한 점수 전체의 평균값일 수 있다. 그리고 A는 구매자 평가의 평균값 x에 대한 가중치일 수 있다.
그리고, 마감일 준수 여부에 대한 변수(B * y)에서 y는 기설정 기간 동안 해당 제작자가 제품 제작의 마감일을 준수하지 못한 경우의 총 횟수일 수 있다. 그리고 B는 마감일 미준수의 총 횟수인 y에 대한 가중치일 수 있다.
그리고, 작업 처리량에 대한 변수(C * z)에서 z는 기설정 기간, 예를 들면 6 개월 동안 제작을 완료한 제품의 개수일 수 있다. 그리고, C는 제작을 완료한 제품 제품의 개수인 z에 대한 가중치일 수 있다.
이때, 변수 x, y 및 z 각각에 대한 가중치 A, B 및 C 모두의 합 (A+B+C)은 1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가중치 A, B 및 C 모두의 합 (A+B+C)은 1보다 작거나 클 수도 있으며, 이는 관리 서버(200)의 관리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x에 대한 가중치 A, y에 대한 가중치 B, 및 z에 대한 가중치 C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가중치 A, B 및 C는 다양한 조건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중치 A 및 B 각각은 제품의 금액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의 금액과 가중치 A는 서로 비례관계일 수 있다. 즉, 제1 제품의 금액이 제2 제품의 금액보다 높을 경우, 제1 제품의 가중치 A는 제2 제품의 가중치 A보다 높을 수 있다. 즉, 제품의 가격이 상승될수록 구매자의 평가에 대한 변수인 x의 반영 비율이 증가되고, 제품의 가격이 감소될수록 구매자의 평가에 대한 변수인 x의 반영 비율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금액과 가중치 B는 서로 반비례관계일 수 있다. 즉, 제1 제품의 금액이 제2 제품의 금액보다 높을 경우, 제1 제품의 가중치 B는 제2 제품의 가중치 B보다 낮을 수 있다. 즉, 제품의 가격이 상승될수록 마감일 준수 여부에 대한 변수인 y의 반영 비율이 증가되고, 제품의 가격이 감소될수록 마감일 준수 여부에 대한 변수인 y의 반영 비율이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200)는 구매자의 단말(100)로부터 제품에 대한 제작 요청 기간을 수신할 수 있고, 제작이 요청된 해당 제품에 대한 제작자들 각각의 제품의 평균 제작 기간과 상기 제작 요청 기간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매자는 제1 제품에 대한 제작 요청 기간을 5일로 선택할 수 있고, 제1 제품의 특정 제작자는 제1 제품의 평균 제작 기간이 3일일 수 있다. 이와 달리, 구매자는 제1 제품에 대한 제작 요청 기간을 1일로 선택할 수도 있고, 제1 제품의 특정 제작자는 제1 제품의 평균 제작 기간이 3일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관리 서버(200)는 구매자의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제작 요청 기간에서 제작자의 평균 제작 기간을 뺄 수 있고, 이러한 '제작 요청 기간 - 평균 제작 기간'이 양수인 경우, '제작 요청 기간 - 평균 제작 기간'과 가중치 B는 반비례 관계일 수 있다. '제작 요청 기간 - 평균 제작 기간'이 양수일 경우 구매자는 평균 제작 기간보다 넉넉한 기간을 제작 요청 기간으로 선택한 경우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제작 요청 기간 - 평균 제작 기간'이 클수록 마감일 준수에 관한 변수인 y에 대한 가중치 B는 감소되어 설정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제작 요청 기간 - 평균 제작 기간'이 작을 수록 마감일 준수에 관한 변수인 y에 대한 가중치 B는 증가되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200)는 구매자의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제작 요청 기간에서 제작자의 평균 제작 기간을 빼고, 제작 요청 기간동안 제작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날 수를 또 다시 뺄 수 있다. 제작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날 수는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제작 요청 기간 중 제작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즉, 작업 수행이 불가능한 날의 횟수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관리 서버(200)가 복수의 그룹 각각에 포함된 제작자들로부터 수신한 소정 기간 동안 날짜별로 작업이 수행가능한지 여부를 기초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매자 단말(100)는 제작 요청 기간으로 7일을 선택할 수 있고, 특정 제작자의 평균 제작 기간은 3일일 수 있으며, 해당 제작 요청 기간 동안 제작자의 작업 수행이 불가능한 날의 횟수는 2일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작 요청 기간 - 평균 제작 기간 - 작업 불가능 날 수'는 2일일 수 있다. 이처럼 관리 서버(200)는 '제작 요청 기간 - 평균 제작 기간 - 작업 불가능 날 수'가 양수일 경우 '제작 요청 기간 - 평균 제작 기간 - 작업 불가능 날 수'와 가중치 b는 반비례 관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200)는 구매자의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제작 요청 기간에서 제작자의 평균 제작 기간을 뺄 수 있고, 이러한 '제작 요청 기간 - 평균 제작 기간'이 음수인 경우, '제작 요청 기간 - 평균 제작 기간'의 절대값과 가중치 C는 비례 관계일 수 있다. '제작 요청 기간 - 평균 제작 기간'이 음수일 경우 구매자는 평균 제작 기간보다 작은 기간을 제작 요청 기간으로 선택한 경우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제작 요청 기간 - 평균 제작 기간'의 절대값이 클수록 작업 처리량에 관한 변수인 z에 대한 가중치 C는 증가되어 설정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제작 요청 기간 - 평균 제작 기간'의 절대값이 작을 수록 작업 처리량에 관한 변수인 z에 대한 가중치 C는 감소되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200)는 '제작 요청 기간 - 평균 제작 기간 - 작업 불가능 날 수'가 음수일 경우 '제작 요청 기간 - 평균 제작 기간 - 작업 불가능 날 수'의 절대값과 가중치 C는 비례 관계일 수 있다. '제작 요청 기간 - 평균 제작 기간 - 작업 불가능 날 수'이 음수일 경우 구매자는 제작 요청 기간 내에 작업이 불가능한 날 수를 뺀 작업이 가능한 날 수를 고려하더라도 평균 제작 기간보다 작은 기간을 제작 요청 기간으로 선택한 경우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제작 요청 기간 - 평균 제작 기간 - 작업 불가능 날 수'의 절대값이 클수록 작업 처리량에 관한 변수인 z에 대한 가중치 C는 증가되어 설정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제작 요청 기간 - 평균 제작 기간 - 작업 불가능 날 수'의 절대값이 작을 수록 작업 처리량에 관한 변수인 z에 대한 가중치 C는 감소되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200)는 복수의 그룹 각각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제작자들을 서로 다른 등급으로 구분하여 순위를 산출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앞서 설명한 수식을 이용하여 복수의 제작자 각각의 소정 점수를 산출할 수 있고, 소정 점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작자를 서로 다른 등급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복수의 제작자의 등급은 관리 서버(200)에 의하여 제작자의 단말(300) 및 구매자의 단말(100)로 전달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200)는 요청된 주문 정보에 따라 기존에 제품을 제작하였던 제작자가 있거나, 가장 유사한 제품을 제작하였던 제작자가 있다면 이러한 제작자를 가장 우선순위로 검색하여 추천할 수 있다. 또는, 제작자로부터 각 제품 카테고리, 기본 이미지, 디자인 옵션에 따라 제작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이에 따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제작자 목록을 구매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매자는 이러한 목록을 전달받아, 각 제작자의 작업장 위치, 제작 스케쥴, 과거 작업리스트 및 후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매자는 전송된 제작자 목록 중, 제작자의 작업 스케쥴을 확인하여 본인이 원하는 날짜에 제품을 받을 수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제작자의 작업장 위치를 확인하여 본인이 직접 방문하여 제품을 수령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200)는 전송한 제작자 목록 중 구매자가 선택한 제작자에게, 구매자가 특정한 주문 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구매자의 기본 정보 등을 함께 전달함은 물론이다. 추가적으로, 주문을 받은 제작자는 상기 정보를 전달받은 후, 주문을 수락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관리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는 특정 제작자를 선정하는 단계(S120)에서, 복수의 특정 제작자를 선정하여 하나의 선택된 제작자 그룹을 생성하고, 이어서, 선택된 제작자 그룹이 포함하는 복수의 특정 제작자 각각에게 제품의 제작을 위한 역할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는 특정 제작자를 선정함에 있어 한 명의 제작자가 아닌 복수의 제작자를 복수의 특정 제작자로 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특정 제작자는 하나의 제품을 제작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역할(예를 들면, 재단, 망치질, 바느질, 칠, 데코레이션 등)을 배정받을 수 있다. 관리 서버는 선정된 복수의 특정 제작자를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하여 선택된 제작자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는 선택된 제작자 그룹이 포함하는 복수의 특정 제작자 각각에게 제품의 제작을 위한 앞서 설명한 예시와 같은 역할을 부여할 수 있고, 복수의 특정 제작자 각각이 이용하는 복수의 제작자 단말에 해당 역할에 대한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특정 제작자 각각은 복수의 제작자 단말 각각을 이용하여 제품 제작을 위한 자신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관리 서버(200)는 상기 선정된 특정 제작자의 업무 리스트에 상기 주문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특정 제작자의 업무 리스트를 구매자의 단말(100)에 전송(S230)할 수 있다. 이는 구매자로 하여금 자신이 주문한 제품이 언제쯤 완성되는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관리 서버(200)는 요청받은 제품 주문 정보를 통해 제품을 시뮬레이션하여 구매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형태는 구매자가 요청한 정보에 따른 제품을 2차원 사진 뿐만 아니라 3차원 동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정보는 기존에 판매하였거나 구매자의 요구에 따라 제작하였던 제품을 촬영한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요청받은 제품 주문 정보와 가장 유사한 정보의 제품을 디스플레이하고 적용되지 않은 기타 옵션을 별도로 표기하는 방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구매자가 디스플레이된 제품을 검토한 뒤 피드백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매자는 디스플레이된 제품의 형태 등을 검토한 뒤, 추가적인 요구가 있다면 이를 피드백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가 추가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는 특정 제작자가 사용하는 제작자 단말로부터 제품이 제작되는 복수의 단계 각각에 대한 완료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고, 이러한 완료 신호에 기초하여 제품의 제작 정도를 산출하고, 제품의 제작 정도를 구매자 단말에 전달하여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품의 제작은 복수의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특정 제작자는 복수의 단계를 차례로 수행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단계가 완성될 경우, 제작자 단말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에 해당 단계가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제작자 단말로부터 특정 단계가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전체 복수의 단계 중 완료된 단계를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완료 신호에 기초하여 제품의 제작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품의 제작 정도를 실시간으로 구매자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에 전달된 제품의 제작 정도를 확인하여 자신이 주문한 제품이 제작되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품 맞춤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구매자의 단말(100) 관리 서버(200) 및 제작자 단말(300)을 포함하는 제품 맞춤 제작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구매자 단말(100)에게 조건이 특정된 주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11). 구매자 단말(100)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선택 가능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아 주문 조건을 특정할 수 있고, 관리 서버(200)는 구매자 단말(100)에게 제공 가능한 제품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제공할 수 있는 제품의 카테고리 및 기본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제품 데이터베이스(213) 및 선택한 제품에 부가할 수 있는 옵션 정보를 저장하는 옵션 데이터베이스(2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100)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구매자 단말(100)의 입력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311).
상기 주문 정보 선택 시, 구매자 단말(100)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획득한 제공 가능한 제품의 카테고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의 장치는 제공 가능한 가방, 지갑, 벨트, 휴대폰 케이스 등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100)은 디스플레이된 제공 가능한 제품들 중 하나의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구매자 단말(100)은 선택된 제품의 기본 이미지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획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가방을 선택한 경우, 백팩, 핸드백, 크로스백 등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 다음, 구매자 단말(100)은 선택된 제품의 카테고리 및 기본 이미지 정보에 따라 제공 가능한 디자인 옵션 정보들의 이미지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획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계에서 핸드백이 선택된 경우, 색상, 재질, 사이즈 등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 수납함, 내부 칸막이, 지퍼 등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100)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특정된 조건에 따라 제품이 제작될 경우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S313). 즉, 구매자가 요청한 정보에 따른 제품을 2차원 사진뿐만 아니라 3차원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100)은 디스플레이된 제품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추가 피드백을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S315). 이 때, 기존에 선택한 옵션을 수정하고 싶은 경우 S311단계로 돌아갈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상기 주문 정보 및 피드백 정보에 따라 제작 가능한 제작자를 검색할 수 있다(S317). 제작자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제작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제작 가능한 제작자를 검색하여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상기 생성한 제작자 검색 목록을 구매자 단말(100)에게 전달할 수 있다(S319).
구매자 단말(100)은 상기 검색 목록을 검토하고, 제작자를 선택할 수 있다(S321). 이 때, 상기 검색 목록은 각 제작자의 작업장 위치, 제작 스케쥴, 과거 작업리스트 및 후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매자 단말(100)이 이를 확인하고 제작자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100)이 제작자를 선택하면, 관리 서버(200)는 제작자의 주문 정보 및 피드백을 제작자 단말(300)에게 전달할 수 있다(S323). 추가적으로, 제작자 단말(300)는 상기 주문을 수신한 뒤, 제작의뢰를 받을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여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관리 서버는 제작자 단말에 제품 제작을 위한 재료 키트(kit)를 전달한다(S324).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의 관리자는 앞서 설명한 단계(S220)에서 선정된 특정 제작자에게 제품의 제작을 위한 다양한 재료(예를 들면, 원단, 부자재 등)가 포함된 모음인 재료 키트를 제품을 제작할 제작자에게 전달(배송)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관리 서버는 특정 제작자의 제작자 단말에 재료 키트를 전달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할 수 있다. 특정 제작자는 재료 키트를 이용하여 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이어서, 제작자 단말은 관리 서버에 제작 완료된 제품을 전달한다(S325). 특정 제작자는 제품 키트에 포함된 재료를 이용하여 제품을 제작할 수 있고, 제작 완료 후에 관리 서버의 관리자에게 완성된 제품을 전달(배송)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관리 서버는 제작자 단말로부터 제작 완료된 제품을 전달했다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관리 서버는 제품 검수 데이터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다(S326). 관리 서버의 관리자는 특정 제작자로부터 전달받은 제작 완료된 제품에 대한 검수를 진행할 수 있고, 검수의 결과로서 제품 검수 데이터를 관리 서버에 입력할 수 있다. 이에, 관리 서버는 제품에 대한 검수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품에 대한 검수 데이터는 단계(S110)의 주문 정보에 대응되도록 제품이 제작되었는지 확인하는 체크 리스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수 데이터는 주문 정보에 포함된 제품의 구조, 사이즈, 색상, 재질 등에 대응되도록 제품이 제작되었는지 여부, 제품의 박음질 상태 등을 포함하는 마감 상태에 대한 평가, 제품에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평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관리 서버는 구매자 단말에 검수 완료된 제품의 배송 신호를 전달한다(S327). 관리 서버는 단계(S326)에서 입력받은 제품 검수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한 경우 제품의 검수가 완료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관리 서버의 관리자는 검수 완료된 제품을 구매자에게 배송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관리 서버는 구매자 단말에 검수 완료된 제품을 구매자에게 배송하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제품 맞춤 제작 서비스의 디자인 옵션 선택을 위한 출력 결과는 구매자의 단말(이하 구매자로 지칭) 서버 및 제작자를 포함하는 제품 맞춤 제작 시스템에서 제공될 수 있다.
제품 맞춤 제작 서비스의 디자인 옵션 선택을 위한 출력 결과는 구매자 단말의 출력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구매자의 단말은 컴퓨터, 패드, 노트북, 스마트폰 등의 개인 장치일 수 있다. 단말의 출력 장치는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디자인 옵션 선택을 위한 출력 결과는 구매자의 단말의 웹사이트,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 형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5(a)와 같이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부분인 제1 부분(도 5(a)에서 상단)은 제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은 구매자의 선택에 따른 제품의 전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구매자의 입력에 따라서 가죽 제품의 전면, 측면 및 후면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분은 구매자의 입력에 따라서, 가죽 제품의 360도 회전 결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색상, 패턴, 무늬 및 기능적 구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서버는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디자인 옵션들이 반영된 제품의 이미지 정보를 구매자의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디자인 옵션들이 반영된 제품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 구매자의 단말은 제1 부분에 제품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부분인 제2 부분(도 5(a)에서 중간)은 제품에 추가 가능한 디자인 옵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부분일 수 있다. 구매자는 구매자의 장치에 구비된 입력 장치를 통해 제2 부분에 디스플레이 된 디자인 옵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디자인 옵션 선택 결과, 구매자의 장치는 선택된 디자인 옵션에 관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부분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자인 옵션들 중 일부 창에는 추천 표시가 더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구매자의 장치는 서버로부터 추천 대상 디자인 옵션에 관한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추천 대상 디자인 옵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페이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 구매자의 후기 또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부분인 제3부분(도 5(a)에서 하단)은 제품에 적용되는 디자인 옵션들의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부분은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색상, 패턴, 무늬 및 기능적 구성의 배치, 구성, 형상 등을 수정하기 위한 입력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선택한 정보를 변경하기 위하여 이전 단계로 되돌아가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b)는 제작자의 정보를 볼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작자는 플랫폼에 포함된 복수의 제작자들 중 1인에 해당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매자가 선택한 주문 정보 및 피드백 정보에 따른 제작이 가능한 제작자를 검색한 후, 그 결과를 구매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고, 구매자는 제공된 제작자 검색 목록 내에서 해당 제작자의 작업장 위치, 제작 스케쥴, 과거 작업리스트 및 후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제작 스케쥴 및 규모 등에 따른 유연한 생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c)는 제품의 카테고리, 기본 이미지, 기타 옵션 등을 모두 선택한 후, 선택한 주문 정보에 따른 가격을 표기하기 위한 화면이다. 이는 제작자의 단말(300)에 주문 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전달하기 전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나 이상이 서로 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은 플랫폼 기반의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제작자를 포함하는 플랫폼이 관리 서버에 의해 컨트롤되는 상태에서, (a) 관리 서버가,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특정 제품과 관련된 주문 정보를 요청받는 단계, (b) 관리 서버는, 복수의 제작자를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제작자 중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제작자를 선정하고, 주문 정보를 특정 제작자에게 전달하는 단계, 및 (c) 관리 서버는, 특정 제작자의 업무 리스트에 주문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특정 제작자의 업무 리스트를 구매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은 관리 서버가 제작가능 제품의 종류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작자를 복수의 그룹이 포함하는 제1 그룹 내지 제n 그룹(단, n은 2이상의 자연수)으로 구분하고, 제1 그룹 내지 제n 그룹에 포함된 제작자들을 각각의 작업 스케줄에 기초하여 구분하며, 복수의 제작자들로부터 제작가능 제품 관련 정보 및 작업 스케줄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특정 제작자를 선정하는 단계는, 관리 서버가, 복수의 특정 제작자를 선정하여 하나의 선택된 제작자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선택된 제작자 그룹이 포함하는 복수의 특정 제작자 각각에게 제품의 제작을 위한 역할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a) 단계는, 관리 서버가, 주문 정보를 요청받기 전에, 구매자의 단말에 제공 가능한 제품 카테고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제품의 기본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제품에 부가 가능한 디자인 옵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a) 단계는, 관리 서버가,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하는 제품과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제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제품을 구매자의 단말로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관리 서버가, 특정 제작자에게 제품의 제작을 위한 재료 키트(kit)를 전달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특정 제작자가 제작 완료한 제품에 대한 검수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관리 서버가, 검수 완료된 제품을 구매자에게 배송하는 신호를 구매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a) 단계는, 관리 서버가,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2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하는 물품의 부피를 산출하는 단계, 및 물품의 부피보다 큰 부피를 갖는 특정 제품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b) 단계는, 관리 서버가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된 복수의 제작자를 소정 점수를 기초로 순위를 매기고, 순위를 참조하여 특정 제작자를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소정 점수는 구매자 평가, 마감일 준수 여부 및 작업 처리량 각각에 대한 변수를 포함하는 수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수식) P = A * x - B * y + C * z (단, P는 소정 점수, x는 기설정 기간 동안 제작자에 대한 구매자 평가의 평균값, y는 기설정 기간 동안 제작자의 마감일 미준수의 총 횟수, z는 기설정 기간 동안 제작자의 제작 완료 제품의 총 수, A는 x의 가중치, B는 y의 가중치, 및 C는 z의 가중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는 복수의 제작자를 포함하는 플랫폼을 컨트롤하고,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특정 제품과 관련된 주문 정보를 요청받고, 복수의 제작자를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제작자 중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제작자를 선정하고, 주문 정보를 특정 제작자에게 전달하고, 특정 제작자의 업무 리스트에 주문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특정 제작자의 업무 리스트를 구매자의 단말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플랫폼 기반의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제작자를 포함하는 상기 플랫폼이 관리 서버에 의해 컨트롤되는 상태에서,
    (a) 상기 관리 서버가,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특정 제품과 관련된 주문 정보를 요청받는 단계;
    (b)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제작자를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그룹에 대응되는 등급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제작자 중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특정 제작자를 선정하여 상기 복수의 특정 제작자를 포함하는 선택된 제작자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주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된 제작자 그룹의 상기 복수의 특정 제작자 각각에 상기 특정 제품의 제작을 위하여 지정된 역할을 전달하는 단계; 및
    (c)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특정 제작자의 업무 리스트 각각에 상기 주문 정보 및 상기 지정된 역할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복수의 특정 제작자의 업무 리스트를 상기 구매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제작가능 제품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작자를 상기 복수의 그룹이 포함하는 제1 그룹 내지 제n 그룹(단, n은 2이상의 자연수)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그룹 내지 상기 제n 그룹에 포함된 제작자들을 각각의 작업 스케줄에 기초하여 구분하며, 상기 복수의 제작자들로부터 상기 제작가능 제품 관련 정보 및 상기 작업 스케줄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주문 정보를 요청받기 전에, 상기 구매자의 단말에 제공 가능한 제품 카테고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품의 기본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품에 부가 가능한 디자인 옵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하는 제품과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제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제품을 상기 구매자의 단말로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 제작자에게 상기 제품의 제작을 위한 재료 키트(kit)를 전달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 제작자가 제작 완료한 상기 제품에 대한 검수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검수 완료된 상기 제품을 상기 구매자에게 배송하는 신호를 상기 구매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하는 물품의 부피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물품의 부피보다 큰 부피를 갖는 상기 특정 제품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된 상기 복수의 제작자를 소정 점수를 기초로 순위를 매기고, 상기 순위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제작자를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점수는 구매자 평가, 마감일 준수 여부 및 작업 처리량 각각에 대한 변수를 포함하는 수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식은 P = A * x - B * y + C * z (단, P는 상기 소정 점수, x는 기설정 기간 동안 상기 제작자에 대한 구매자 평가의 평균값, y는 상기 기설정 기간 동안 상기 제작자의 마감일 미준수의 총 횟수, z는 상기 기설정 기간 동안 상기 제작자의 제작 완료 제품의 총 수, A는 상기 x의 가중치, B는 상기 y의 가중치, 및 C는 상기 z의 가중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10. 복수의 제작자를 포함하는 플랫폼을 컨트롤하고,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특정 제품과 관련된 주문 정보를 요청받고,
    상기 복수의 제작자를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그룹에 대응되는 등급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제작자 중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특정 제작자를 선정하여 상기 복수의 특정 제작자를 포함하는 선택된 제작자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주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된 제작자 그룹의 상기 복수의 특정 제작자 각각에 상기 특정 제품의 제작을 위하여 지정된 역할을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특정 제작자의 업무 리스트 각각에 상기 주문 정보 및 상기 지정된 역할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복수의 특정 제작자의 업무 리스트를 상기 구매자의 단말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210103352A 2021-08-05 2021-08-05 플랫폼 기반의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377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352A KR102377891B1 (ko) 2021-08-05 2021-08-05 플랫폼 기반의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PCT/KR2022/004570 WO2023013840A1 (ko) 2021-08-05 2022-03-31 플랫폼 기반의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352A KR102377891B1 (ko) 2021-08-05 2021-08-05 플랫폼 기반의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891B1 true KR102377891B1 (ko) 2022-03-23

Family

ID=80963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352A KR102377891B1 (ko) 2021-08-05 2021-08-05 플랫폼 기반의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77891B1 (ko)
WO (1) WO202301384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3840A1 (ko) * 2021-08-05 2023-02-09 주식회사 아서앤그레이스 플랫폼 기반의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WO2023200058A1 (ko) * 2022-04-12 2023-10-19 주식회사 샵팬픽 제품 관련 추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6289A (ko) * 2016-04-08 2017-10-19 주식회사 어벤놈스 개인 맞춤형 의류 제작 주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7671B1 (ko) * 2019-10-18 2020-04-06 전영석 고객 맞춤형 창호 시공 중개 시스템
KR102177336B1 (ko) * 2020-05-26 2020-11-10 주식회사 드림인사이트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한 고객과 인테리어 업체간 매칭 시스템
KR102251304B1 (ko) * 2020-08-31 2021-05-12 주식회사 아서앤그레이스 가죽 제품의 맞춤 제작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891B1 (ko) * 2021-08-05 2022-03-23 주식회사 아서앤그레이스 플랫폼 기반의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6289A (ko) * 2016-04-08 2017-10-19 주식회사 어벤놈스 개인 맞춤형 의류 제작 주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7671B1 (ko) * 2019-10-18 2020-04-06 전영석 고객 맞춤형 창호 시공 중개 시스템
KR102177336B1 (ko) * 2020-05-26 2020-11-10 주식회사 드림인사이트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한 고객과 인테리어 업체간 매칭 시스템
KR102251304B1 (ko) * 2020-08-31 2021-05-12 주식회사 아서앤그레이스 가죽 제품의 맞춤 제작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3840A1 (ko) * 2021-08-05 2023-02-09 주식회사 아서앤그레이스 플랫폼 기반의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WO2023200058A1 (ko) * 2022-04-12 2023-10-19 주식회사 샵팬픽 제품 관련 추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3840A1 (ko)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7891B1 (ko) 플랫폼 기반의 제품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0831106B1 (ko) 개인 색상 주문 시스템 및 개인 색상 주문 방법
US852161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itting and sizing recommendations
US201402010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Fitting and Consumer Interaction
US201402792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iding User In Online Searching and Purchasing of Multiple Items
US20110295711A1 (en) Apparel Fit Advisory Service
US9183510B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ized recommendation of lifestyle items
CN108648059A (zh) 订单推荐方法及装置
TWI540525B (zh) 傢飾佈置提議系統與方法
KR102251304B1 (ko) 가죽 제품의 맞춤 제작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20246035A1 (en) Computer software program and fashion styling tool
JP2014002453A (ja) 販売システム、販売サーバ及び販売方法
TW201413616A (zh) 用於產品供應商選擇之系統及方法
US113349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virtual fitting using virtual fitting catalogs
US20140214603A1 (en) Ecommerce order optimization tool
Wiradinata et al. Online Measuring Feature for Batik Size Prediction using Mobile Device: A Potential Application for a Novelty Technology
CN114662555A (zh) 多源物品创建系统
KR20190097615A (ko) 디자인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조 수량을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50193860A1 (en) Electronic commerce system and method
Marconi et al. An innovative framework for managing the customization of tailor-made shoes
US20190172122A1 (en) Ecommerce order optimization tool
JP6916095B2 (ja) サーバ及び商品提供システム
US1142347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selection and ordering of hair products
WO20190755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RECOMMENDATION OF EYEWEAR
TWI433043B (zh) The system and method of online makeup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