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776B1 - 고무 사출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고무 사출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776B1
KR102174776B1 KR1020190000720A KR20190000720A KR102174776B1 KR 102174776 B1 KR102174776 B1 KR 102174776B1 KR 1020190000720 A KR1020190000720 A KR 1020190000720A KR 20190000720 A KR20190000720 A KR 20190000720A KR 102174776 B1 KR102174776 B1 KR 102174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rubber
nozzle
unit
mold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4975A (ko
Inventor
이치호
Original Assignee
이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호 filed Critical 이치호
Priority to KR1020190000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7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84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01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using a particular environment during moulding, e.g. moisture-free or dust-fr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0Injection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4Shaping under special conditions
    • B29C2791/006Usin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성형이 이루어지는 금형부의 온도 보다 원료 공급경로의 온도를 낮게 관리하여 원료 공급경로에 존재하는 고무액 재료가 가황되지 않도록 하는 고무 사출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무 사출성형 장치는 고무원료가 이동하는 콜드러너판(110), 온열판(120), 단열판(130), 히팅판(140), 상기 히팅판을 통해 가황온도로 가열되는 상부금형(150)이 상부에서부터 차례로 적층된 제1금형부(100)와, 하부금형(210)과 상기 하부금형 상단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중간금형(220)을 구비하며, 상기 제1금형부(100)의 상부금형(150)과 합형되는 제2금형부(200)와, 상기 제1금형부(100) 내부에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사출시 하강하면서 상기 콜드러너판(110)을 통해 공급받은 고무원료를 상부금형(150)으로 토출시키는 노즐부(160)와, 상기 제1금형부(100)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출시 하강하면서 상기 제1금형부(100)와 제2금형부(200)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주는 진공챔버(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무 사출성형 장치{Rubber 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제품성형이 이루어지는 금형부의 온도 보다 원료 공급경로의 온도를 낮게 관리하여 원료 공급경로에 존재하는 고무액 재료가 가황되지 않도록 하는 고무 사출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 사출성형 장치는 제품성형이 이루어지는 금형부의 온도 보다 원료 공급경로의 온도를 낮게 관리하여 원료 공급경로에 존재하는 고무액 재료가 가황되지 않도록 하는 CRB(cold runner block) 금형이 주로 이용된다.
상기 CRB 금형은 러너부를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한 저온유지부와, 상기 러너부로부터 공급받은 고무원료를 금형내부로 주입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를 가황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수단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고무 사출성형 장치는 CRB 금형을 통해 노즐부가 가열수단에 의한 가열이 이루어져도 상기 러너부가 저온을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러너부에 러너 슬러지를 형성시키지 않아 고무재료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고무 사출성형 장치는 러너부에서는 슬러지가 형성되지 않는 다는 이점이 있지만 작업이 완료되면 가열이 종료되면서 노즐부에 다량의 슬러지가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 경우, 재작업시 노즐부에 잔존하는 다량의 슬러지를 제거해 주어야만 하므로 고무재료의 손실은 여전히 발생되고 있으며, 노즐부에 잔존하는 슬러지를 제거하는 동안 작업이 중단되어야 하므로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KR 10-0978008 B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노즐부에 잔존하는 슬러지를 최소화하여 노즐부에 잔존하는 슬러지를 제거하지 않고도 정상적인 사출성형이 이루어지게 되는 고무 사출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고무 사출성형 장치는 고무원료가 이동하는 콜드러너판, 온열판, 단열판, 히팅판, 상기 히팅판을 통해 가황온도로 가열되는 상부금형이 상부에서부터 차례로 적층된 제1금형부와, 상기 제1금형부 내부에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사출시 하강하면서 상기 콜드러너판을 통해 공급받은 고무원료를 상부금형으로 토출시키는 노즐부와,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 상단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중간금형을 구비하며 상기 제1금형부의 상부금형과 합형되는 제2금형부와, 상기 제1금형부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출시 하강하면서 상기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주는 진공챔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금형부의 내부에는 노즐부를 승강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부는 콜드러너판을 통해 고무원료를 공급받는 상부노즐과, 상기 상부노즐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상부노즐 내부의 사출압력이 증가할 때 하강하면서 상기 상부노즐 내부로 유입된 고무원료를 제2금형부로 토출시키는 하부노즐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금형부의 수용부에는 하강하는 상기 노즐부에 대하여 상승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노즐의 하부에는 하부노즐을 견인하는 견인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가 합형되도록 상기 제2금형부에 상승력을 부여하는 제1승강유닛과, 상기 제1승강유닛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2금형부에 전후 이동력을 부여하는 전후이송유닛과, 상기 제1승강유닛의 전단에 구비되어 전방으로 이동하는 제2금형부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전방가이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가이드에는 상기 중간금형에 승강력을 부여하는 제2승강유닛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2승강유닛은 상기 전방가이드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2금형부가 전후이송유닛을 통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중간금형의 측단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록킹블록과, 상기 가이드봉들을 동시에 승강시키는 제3승강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진공챔버를 통해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가 고무원료가 외기와 접촉되지 않는 진공상태에서 성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기포 발생으로 인한 불량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노즐부가 상부노즐과 하부노즐로 분할 구성되어 있고 제1금형부에 설치된 탄성부재와 견인부재를 통해 사출이 완료되면 상승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황공정시 하부노즐과 상부금형과의 접촉이 차단되면서 노즐부 내부의 고무원료가 가황되지 않게 되므로 별도의 슬러지 제거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정상적인 사출성형이 가능해지면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사출압력에 의해 노즐부가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출이 완료됨과 동시에 노즐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고무원료 주입이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고무원료의 흘림 현상이 방지되면서 불필요한 고무원료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중간금형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서로 다른 종류의 성형물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무 사출성형 장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금형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전방가이드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무 사출성형 장치 측면도로서,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가 합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금형부 단면도로서, 노즐부가 사출시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고무 사출성형 장치 측면도로서, 사출 성형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고무 사출성형 장치 측면도로서, 전후이송유닛이 사출 성형이 완료된 제2금형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전방가이드의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흡착이송부의 사용상태를 순서대로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무 사출성형 장치는 제1금형부(100)와 상기 제1금형부(100)와 합형되는 제2금형부(200)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제1금형부(100)는 고무원료가 이동하는 콜드러너판(110)과 온열판(120)과, 단열판(130)과, 히팅판(140), 상기 히팅판(140)을 통해 가황온도로 가열되는 상부금형(150)이 상부에서부터 차례로 적층되어 있다. 상기 온열판(120)은 콜드러너판(110)을 가황온도 이하인 50℃ 내지 60℃로 유지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히팅판(140)은 상부금형(150)을 가황온도인 150℃ 내지 200℃로 유지시켜 주게 준다.
상기 단열판(130)은 히팅판(140)으로부터의 고온이 온열판(120) 및 콜드러너판(110)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차단해 준다. 상기 단열판(130)은 가격이 저렴하고 단열성능이 우수한 석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금형(150)과 히팅판(140) 사이에 상부금형(150)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부금형 고정판(151)을 별도로 설치하였다.
한편, 상기 제1금형부(100) 내부에는 상기 콜드러너판(110)을 통해 공급받은 고무원료를 상부금형(150)으로 토출시키는 노즐부(160)가 구비되며, 상기 제1금형부(100)의 내부에는 상기 노즐부(160)를 수용하는 수용부(S)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S)는 콜드러너판(110)과 상부금형(150)에 형성된 홈부와 함께 상기 온열판(120), 단열판(130), 히팅판(140) 및 상부금형 고정판(151)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부(160)는 상기 수용부(S)의 내부에 수직상태로 수용되는 상부노즐(161)과, 상기 상부노즐(161)의 하부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진 하부노즐(162)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부(160)는 수용부(S)의 내부에서 상하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여유있게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히팅판(140)으로부터 열이 쉽게 전도되지 못하도록 히팅판(14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수용된다.
상기 상부노즐(161)의 상단에는 콜드러너판(110)으로부터 고무원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원료주입구(161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노즐(161)은 콜드러너판(110)으로부터 공급되는 고무원료 주입압력이 아래로 작용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노즐(161)은 하강력을 용이하게 부여받을 수 있도록 상단 가장자리와 콜드러너판(110)사이에 이격공간(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상기 이격공간(A)을 통해 원료주입구(161a)로의 고무원료 진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상부노즐(161)의 상단에 작용하는 하강력이 조기에 확실하게 발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노즐(161)의 하단에는 상기 원료주입구(161a)와 연통되는 하부노즐 삽입구(161b)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노즐(161)은 제1금형부(100)의 온열판(120)으로부터 열기를 제공받아 일정온도로 가열된다.
상기 하부노즐(162)은 상부노즐(161)의 하부노즐 삽입구(161b)에 승강이 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하부노즐(162)은 사출압력이 증가할 때 상기 상부노즐(161) 내부로 유입되는 고무원료에 밀려 하방에 위치한 상부금형(150)과 접촉될 때까지 하강 이동하게 된다. 상부노즐(161) 내부로 유입된 고무원료는 하부노즐(162)을 통과하여 상부금형(150)으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제1금형부(100)에는 노즐부(160)를 수용하는 수용부(S)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히팅판(140)으로부터의 열전도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해 주는 진공판(1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진공판(170)에는 수용부(S)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로에는 외부에 설치된 진공펌프가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공판(170)이 온열판(1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였다.
아울러, 상기 제1금형부(100)는 상기 수용부(S)와 하부노즐(162) 사이의 이격공간과 연통되는 외기연통홈(13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기연통홈(131)은 히팅판(140)에 의해 노즐부(160)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막아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열판(130)에 외기연통홈(131)이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아울러, 상기 제1금형부(100)의 수용부(S)에는 하강하는 상기 상부노즐(161)에 대하여 상승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180)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노즐(161)의 외주면을 따라 단턱부(161c)가 형성되고, 상기 제1금형의 수용부(S)에는 상기 단턱의 하부에 탄성부재(180)가 수용될 수 있는 홈부(17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80)는 상기 홈부(171)에 하단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단턱부(161c)에 상단이 지지되어 노즐부(160)가 하강할 때 압축변형되면서 상기 노즐부(160)에 상승력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노즐(161)의 하부에는 하강한 하부노즐(161)에 대하여 상승력을 부여하는 견인부재(163)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견인부재(163)는 하부노즐(162)이 끼워지는 중앙홀(163a)을 구비하며 하부노즐(162)에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노즐(162)의 외측면에는 상기 중앙홀(163a)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단턱(162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견인부재(163)는 상부노즐(161)과 동반 상승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하부로 이동한 하부노즐(162)의 단턱(162a)이 중앙홀(163a)에 걸리면서 하부노즐(162)을 상부로 견인되어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180)와 견인부재(163)를 통해 하강한 노즐부(160)가 원위치로 상승하게 되면 상기 하부노즐(162)과 상부금형(150)과의 접촉이 자동으로 차단되면서 상부금형(150)으로부터 전도되는 열기에 노즐부(160)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하부노즐에 존재하는 고무액 재료는 가황되지 않ㄴ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홈부가 진공판(170)에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 제1금형부(100)와 합형되는 제2금형부(200)는 하부금형(210)과 상기 하부금형(210) 상단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중간금형(220)을 구비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부금형(210)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안내봉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금형(220)에는 상기 안내봉에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금형(220)이 상기 안내봉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면서 상기 안내봉을 따라 안정적인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금형부(100)의 상부에는 상기 콜드러너판(110)으로 고무원료를 주입해 주는 메인노즐(300) 및 상기 메인노즐(300)로 고무원료를 공급하는 고무원료공급부(400)가 연결된다. 상기 메인노즐(300) 및 고무원료공급부(400)는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금형부(100)의 상부에는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진공챔버(500)가 구비된다. 상기 진공챔버(500)는 하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서 사출시 하강하여 상기 제1금형부(100)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제2금형부(200)의 중간금형(220)의 상단에 하단이 긴밀히 밀착된다. 이에 따라, 사출시 제1금형부(100)와 제2금형부(200)는 진공상태가 되며, 고무원료가 외기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성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기포 발생으로 인한 불량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제2금형부(200)는 제1금형부(100)의 하부에 설치된 제1승강유닛(600)을 통해 승강력을 부여받는다. 상기 제1승강유닛(600)은 합형시 제2금형부(200)를 제1금형부(100)의 하부로 상승 이동시키게 되며, 사출이 완료되면 제2금형부(200)를 원위치로 하강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승강유닛(600)의 후방에는 상기 제2금형부(200)에 전후 이동력을 부여하는 전후이송유닛(610)이 구비된다. 상기 전후이송유닛(610)은 합형시 제2금형부(200)가 제1금형부(100)의 하부로 상승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금형부(200)를 제2금형부(200)의 하방에 위치 이동시키며, 사출이 완료되어 하강한 제2금형부(200)를 전방으로 원위치시킨다.
또한, 상기 전방가이드(620)의 후방에는 상기 제2금형부(200)에 전후 이동력을 부여하는 전후이송유닛(610)이 구비된다. 상기 전후이송유닛(610)은 제2금형부(200)가 합형위치에 위치하도록 제1금형부(100)의 하부로 후방 이동시키며, 사출이 완료되면 탈형을 위하여 제2금형부(200)를 전방의 원위치로 전방이동시킨다.
아울러, 상기 제1승강유닛(600)의 전단에는 상기 전후이송유닛(610)을 통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제2금형부(200)를 가이드하는 전방가이드(620)가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가이드(620)는 상부와 전방과 후방이 개방된 디귿자 단면을 가진 레일 형태로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제2금형부(200)와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제2금형부(200)의 하부금형(210) 양측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레일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가이드(620)의 양측 벽면 내측에는 상기 레일홈(211)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지지돌기(621)가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성형 완료된 고무성형물을 상기 제2금형부(200)로부터 탈형시키는 흡착이송부(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흡착이송부(700)는 흡착유닛(710)과, 상기 흡착유닛(710)을 제2금형부(200)에서 다음공정까지 이송시켜 주는 이송유닛(720)과, 상기 이송유닛(720)을 제2금형부(200)측으로 하강시켜 주는 승강유닛(730)으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이송부(700)는 사출이 완료되어 전방으로 이동한 제2금형부(200)로 이동한 후 하강하여 중간금형(220)으로부터 고무성형물을 진공 흡착한 후 다음 원위치로 상승한 후에 다음 공정으로 고무성형물을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전방가이드(620)에는 중간금형(220)과 하부금형(210)이 분리되도록 상기 중간금형(220)에 승강력을 부여하는 제2승강유닛(800)이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승강유닛(800)은 상기 전방가이드(620)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810)과, 상기 가이드봉(810)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2금형부(20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중간금형(220)의 양측단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록킹블록(820)과, 상기 가이드봉(810)들을 동시에 승강시키는 제3승강유닛(83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승강유닛(800)은 상기 전방가이드(620) 양측에 고정되어 가이드봉(810)의 유동을 차단하는 가이드블럭(84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금형부(20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전방가이드(620)의 지지돌기(621)가 레일홈(211)에 끼워지면서 제2금형부(200)는 전방가이드(620)와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중간금형(220)은 상기 록킹블록(820)에 슬라이딩 결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제3승강유닛(830)이 동작하여 가이드봉(810)을 상승시키면 가이드봉(810)을 따라 록킹블록(820)이 상승하면서 중간금형(220)이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무 사출성형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먼저, 제1금형의 온열판(120)의 온도를 설정온도까지 상승시킨 다음 제1승강유닛(600)을 이용하여 제2금형부(200)를 제1금형부(100)측으로 상승시켜 합형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금형부(100)와 제2금형부(200)가 합형되면, 진공챔버(500)가 하강하여 제1금형부(100)와 제2금형부(200)를 진공상태로 만든다. 이와 동시에 고무원료공급부(400)로부터 메인노즐(300)로 고무원료가 공급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노즐(300)로 공급되는 고무원료는 제1금형부(100)의 콜드러너판(110)의 콜드러너를 경유하여 상부노즐(161)의 원료주입구(161a)를 통해 상부노즐(161)의 내부로 주입되는데, 이때, 작용하는 주입압력에 의하여 상부노즐(161)이 수용부(S) 내부에서 탄성부재(180)를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게 됨과 동시에 하부노즐(162)이 상부노즐(161)의 하부노즐 삽입구(161b)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그 결과, 하부노즐(162)의 단부가 상부금형(150)에 접촉하게 되며, 하부노즐(162)을 통해 고무원료가 상부금형(150)과 중간금형(220) 및 하부금형(210)으로 토출되면서 사출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부노즐(161) 및 상부노즐(161)을 통과하는 고무원료는 온열판(120)에 의해 적정온도로 용융된 상태로써 주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사출이 완료되면, 더 이상 주입압력이 노즐부(160)에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노즐부(160)가 원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사출이 완료됨과 동시에 상부금형(150)측으로의 고무원료 주입이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고무원료의 흘림 현상이 방지되면서 불필요한 고무원료의 낭비를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무원료의 사출이 완료되면, 히팅판(140)의 온도가 설정된 가황온도까지 상승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부금형(150)이 가열되면서 상부금형(150), 중간금형(220) 및 하부금형(210)으로 주입된 고무원료가 가황과정을 거치면서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노즐부(160)는 히팅판(140)과 이격된 상태이고 하부노즐(162)도 상부금형(150)과 이격된 상태이므로 온도상승이 최대한 억제된다.
따라서, 상부금형(150)에 가장 근접한 하부노즐(162)부(160) 단부 내부의 미량의 고무원료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가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가황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의 양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며, 이후에 별도의 슬러지 제거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정상적인 사출성형이 가능해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가황과정이 완료되면, 진공챔버(500)가 원위치로 상승한 후 제1승강유닛(600)이 제2금형부(200)를 원위치로 하강시킨다. 그리고 전후이송유닛(610)이 제2금형부(200)를 전방으로 이송시킨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금형부(20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전방가이드(620)의 지지돌기(621)가 하부노즐(162)의 레일홈(211)에 끼워지면서 제2금형부(200)는 전방가이드(620)와 슬라이딩 결합됨과 동시에 중간금형(220)이 상기 록킹블록(820)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금형(220)이 록킹블록(820)에 결합되면 제3승강유닛(830)이 동작하여 가이드봉(810)을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봉(810)을 따라 록킹블록(820)이 상승하면서 중간금형(220)이 상승하게 된다. 중간금형(220)이 상승하면 중간금형(220)이 하부금형(210)으로부터 분리되면서 하부금형(210)에 대해서 탈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하부금형(210)에 대한 탈형이 완료되면 흡착이송부(700)가 중간금형(220)으로 이동하여 성형 완료된 고무성형물(A)을 흡착하여 중간금형(220)으로부터 탈형시킨 다음 후속공정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흡착이송부(700)는 성형완료된 고무성형물(A)을 진공으로 흡착하게 되므로 유연재질로 이루어진 고무성형물을 수평상태로 매우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간금형(220)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부금형(150)과 하부금형(210)에 서로 다른 종류의 성형물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무 사출성형 장치를 이용하면 상기와 같은 과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면서 특정형상의 고무성형물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제1금형부 110...콜드러너판
120...온열판 130...단열판
140...히팅판 150...상부금형
160...노즐부 200...제2금형부
210...하부금형 220...중간금형
161...상부노즐 162...하부노즐
180...탄성부재 500...진공챔버
600...제1승강유닛 610...전후이송유닛
620...전방가이드 800...제2승강유닛
810...가이드봉 820...록킹블록
830...제3승강유닛 S...수용부

Claims (5)

  1. 고무원료가 이동하는 콜드러너판, 온열판, 단열판, 히팅판, 상기 히팅판을 통해 가황온도로 가열되는 상부금형이 상부에서부터 차례로 적층된 제1금형부;
    상기 제1금형부 내부에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사출시 하강하면서 상기 콜드러너판을 통해 공급받은 고무원료를 상부금형으로 토출시키는 노즐부;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 상단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중간금형을 구비하며, 상기 제1금형부의 상부금형과 합형되는 제2금형부; 및
    상기 제1금형부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출시 하강하면서 상기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주는 진공챔버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가 합형되도록 상기 제2금형부에 상승력을 부여하는 제1승강유닛;
    상기 제1승강유닛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2금형부에 전후 이동력을 부여하는 전후이송유닛; 및
    상기 제1승강유닛의 전단에 구비되어 전방으로 이동하는 제2금형부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전방가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사출성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가이드에는 상기 중간금형에 승강력을 부여하는 제2승강유닛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사출성형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승강유닛은
    상기 전방가이드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2금형부가 전후이송유닛을 통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중간금형의 측단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록킹블록; 및
    상기 가이드봉들을 동시에 승강시키는 제3승강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사출성형 장치.
KR1020190000720A 2019-01-03 2019-01-03 고무 사출성형 장치 KR102174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720A KR102174776B1 (ko) 2019-01-03 2019-01-03 고무 사출성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720A KR102174776B1 (ko) 2019-01-03 2019-01-03 고무 사출성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975A KR20200084975A (ko) 2020-07-14
KR102174776B1 true KR102174776B1 (ko) 2020-11-06

Family

ID=7152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720A KR102174776B1 (ko) 2019-01-03 2019-01-03 고무 사출성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7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6351B (zh) * 2020-12-16 2022-05-20 惠州学院 一种制鞋成型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008B1 (ko) * 2009-10-09 2010-08-25 한국씰텍주식회사 고무재료의 손실이 적은 고무사출성형에 사용되는 crb 금형
KR101300089B1 (ko) 2011-07-04 2013-08-28 이춘희 포트식 성형가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213B1 (ko) * 2012-04-27 2014-04-23 (주)성진기계 사출 성형기
KR20140023740A (ko) * 2012-08-17 2014-02-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외장 스프링을 구비한 사출기 노즐
KR101793662B1 (ko) * 2015-12-28 2017-11-03 주식회사 대영특수고무 패킹실 구조를 갖는 선박용 신축 조인트 제조를 위한 금형
KR102010997B1 (ko) * 2017-01-13 2019-08-14 김혁중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008B1 (ko) * 2009-10-09 2010-08-25 한국씰텍주식회사 고무재료의 손실이 적은 고무사출성형에 사용되는 crb 금형
KR101300089B1 (ko) 2011-07-04 2013-08-28 이춘희 포트식 성형가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975A (ko) 202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8008B1 (ko) 고무재료의 손실이 적은 고무사출성형에 사용되는 crb 금형
KR102174776B1 (ko) 고무 사출성형 장치
CN113894992A (zh) 一种具有分离式可调机构的注塑机出料设备
KR102205197B1 (ko) 사출 블로우 성형장치
CN210525674U (zh) 一种橡胶射出成型机
KR20160092457A (ko) 슬림 사출금형장치
CN102034579A (zh) 卧式固液两用复合绝缘子成型机
KR200433762Y1 (ko) 사출성형기용 다중 노즐장치
CN115107219A (zh) 一种高效间歇性多规则塑料注塑机
KR101442116B1 (ko) 수직형 사출성형기의 이젝트장치
CN212761071U (zh) 一种锡条浇筑模具的顶针
CN211729971U (zh) 一种二次注塑模具
CN212795716U (zh) 一种斜顶出模具
CN210590230U (zh) 一种用于橡胶射出成型机的注射装置
EP1504871B1 (en) Machine for the injection-molding of soles, technical articles and the like
KR101941890B1 (ko) 개량된 압출 주입구조를 갖는 고무 사출 금형장치
KR20130004864A (ko) 포트식 성형가류장치
CN110893665A (zh) 一种注塑模具
CN112810076A (zh) 一种分散浇口式注塑模具
CN215434776U (zh) 一种橡胶工具箱制造用模具
CN216373201U (zh) 一种具有快速冷却结构且方便脱模的注塑模具
CN217803140U (zh) 一种全自动快速脱模的汽车雨刮盖板塑胶件注塑模具
CN204019904U (zh) 台阶三通顶型脱模机构
CN220331826U (zh) 一种滑环注塑模具
CN211566797U (zh) 一种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