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997B1 -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997B1
KR102010997B1 KR1020170006018A KR20170006018A KR102010997B1 KR 102010997 B1 KR102010997 B1 KR 102010997B1 KR 1020170006018 A KR1020170006018 A KR 1020170006018A KR 20170006018 A KR20170006018 A KR 20170006018A KR 102010997 B1 KR102010997 B1 KR 102010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runner
bushing
pin
valv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3579A (ko
Inventor
김혁중
Original Assignee
김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혁중 filed Critical 김혁중
Priority to KR1020170006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997B1/ko
Publication of KR20180083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29C45/2703Means for controlling the runner flow, e.g. runner switches, adjustable runne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8Nozzle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8Closure devices therefor
    • B29C2045/273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2045/2759Nozzle centering or gui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는, 사출실린더로부터 용융 수지를 공급받아 금형의 캐비티로 안내 주입하도록 속이 빈 관 형상의 구비되어 외면에는 히터가 감겨진 노즐 및 이 노즐의 내부에서 승강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 중심으로 수지가 통과하도록 속이 빈 관형상으로 제공되고 하측부에는 하향 진행하면서 지름이 감소되면서 일측을 제거하여 수지가 취출되어 수지압이 작용하는 챔버판부 및 이 챔버판부의 끝단부에 돌출 구비되어 금형의 게이트를 개폐하는 개폐팁부가 마련되는 승강런너핀 및 이 승강런너핀에 작용하는 수지압의 해제시 하강시켜 위치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내부에 결합 고정되는 속이 빈 관형상의 부재로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지름을 확장하여 된 부싱바디 및 이 부싱바디의 측방향에 형성되어 내부와 연결되어 수지가 유동되는 부싱유출구멍을 구비한 가이드부싱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런너핀은 상기 가이드부싱의 내부에 상단부가 슬라이드 끼움되고 상승 위치에서 상기 부싱유출구멍과 연결되는 핀유출구멍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위치되는 복귀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그 하면은 하강 위치에서 노즐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단차부 상면에 접촉하여 밀착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이 걸림턱의 하부에는 외면 지름을 감소시켜 상승 이동시 상기 단차부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수지가 유입되는 간극을 형성하는 단차면을 구비하는 런너바디와, 이 런너바디의 단차면 하측으로 감소된 지름으로 구비되면서 일측을 제거하여 수지가 취출되는 구멍인 챔버판부가 형성되고, 이 챔버판부의 끝단부에 돌출형성되어 금형의 게이트를 개폐하는 개폐팁부로 이루어진 런너팁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는, 승강 런너핀의 내부로는 메인 수지로를 형성하고 외부로는 우회수지로를 형성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승강 런너핀의 내,외부로 수지가 유동되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전의 승강 런너핀의 외면에 가공오차나 열팽창에 의해 형성된 간극으로 수지가 침투하여 고화되는 현상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승강 런너핀의 승강동작이 불능 상태로 빠지는 폐단을 해소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Sidegate Valve system of Hotrunner}
본 발명은 수지압을 이용하여 노즐의 게이트 개폐를 단속하는 승강 런너핀을 구비한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 런너핀의 내,외부로 수지가 유동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동작의 안정성을 보장함과 아울러 조립산포나 열팽창에 의한 간극으로 수지가 유입되어 고화되는 현상에 따른 동작불량을 미연에 해소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 사출성형기는 수지를 용융한 형체 실린더로부터 수지원료를 매니폴드로 주입시키고, 주입된 수지는 매니폴드 내에 분기 형성된 수지유로를 따라 균등하게 분배되어 매니폴드의 하부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노즐로 각각 공급되어 제품 성형틀인 상·하 코어가 형성하는 성형공간 즉, 캐비티로 주입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사출성형기는 밸브핀의 승강 동작에 의해 게이트 즉, 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지며, 성형품의 수량에 따라 비교적 여러 개를 일시에 성형하는 경우에는 매니폴드를 통해 수지를 공급받는 매니폴드형이 사용되고, 단품 생산을 하는 경우에는 싱글형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압의 공기를 작동압으로 하여 밸브핀을 승강시키는 사출성형기 용 핫런너 밸브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다캐비티 금형용 사출성형기 밸브장치는 크게 구동부(100)와 밸브장치(200)로 구성되며 밸브핀(210)의 승강 동작을 위한 구동원으로 고압의 공기를 이용한다. 즉, 상기 구동부(100)는 외부로부터 고압의 공기(Air)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관로인 에어채널(air chnnel;110,120)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복수개의 에어채널(110,120)을 통해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실린더(130)내의 피스톤(140)이 승강을 이루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피스톤(130)의 하단에는 밸브핀(210)이 연결되어 연동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밸브핀(210)은 피스톤(130)에 연동하여 승강 됨으로써 노즐(220)의 선단부를 형성하는 게이트 즉, 출구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밸브장치(200)는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수지의 고화를 방지하기 위한 히터가 권선되는 노즐(220)를 포함하며, 이 노즐(220)의 내부에는 밸브핀(210)이 수직방향으로 승강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노즐(220)은 밸브핀(210)의 주위로 일정한 간극을 두고 수지채널(230)이 형성되며, 이 수지채널(230)의 양끝은 노즐의 출구와 매니폴드(300)의 수지채널(310)에 각각 연결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다캐비티 금형용 사출성형기 밸브장치는 상기 에어채널(110,120)을 통해 선택적으로 고압의 작동압이 공급되면 피스톤(140)이 승강 또는 하강을 이루게 되고, 이와 동시에 밸브핀(210) 이 연동하여 일체로 승강 동작이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140)이 승강 됨에 따라 노즐의 출구를 개방 또는 차단시키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매니폴드(300)를 통해 공급되는 수지가 출구를 통해 금형내로 공급되거나 또는 차단되게 된다.
요약하면,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압을 작동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밸브 게이트(출구) 장치는 고압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해당 에어채널(110,120)을 통해 실린더(130)내로 공급시켜 피스톤(140)을 승강시키게 되며, 이때의 피스톤(140)에 연동하여 밸브핀(210)이 노즐의 출구(게이트)를 개폐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밸브장치는 밸브핀을 승강시키기 위한 작동원으로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므로 공기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구조를 채용해야 하고 작동압을 공급하기 위한 대형 공압장치(콤프레셔)를 필요로 하므로 부피가 커지면서 구조가 복잡해져 설치공간에 많은 제약을 받을 뿐만 아니라 정비 및 관리성이 극히 불량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노즐을 여러 개 구비하는 다 캐비티 금형에 적용되는 경우 각 노즐이 갖는 치수산포로 인해 결과적으로 각 노즐의 사출량에 편차가 발생하여 균일한 품질을 갖는 성형품의 양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에 따른 밸브장치로는 크게 노즐과 구동수단으로 구분되고, 상기 노즐은 내부에 수지를 공급받아 선단부에 구비된 출구를 통해 금형으로 주입하기 위한 수지유로가 형성되는 일반적인 밸브 구조를 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전원 공급에 의해 밸브핀을 승·하강시키는 정·역모터 또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가 사용되는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구성의 출원한 밸브장치는 전원공급을 받아 구동하는 정·역모터 또는 액츄에이터를 구동원으로 채용하는 구조에 의해 밸브장치의 전체적인 크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므로 금형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밸브핀의 이동량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여러 밸브장치에서 정역·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경우 감속기를 구비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모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구조를 적용해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경제적인 양산이 곤란한 단점이 있다.
반면, 솔레노이드 원리를 이용한 액츄에이터의 경우에는 비교적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으나, 밸브핀이 출구를 개방 또는 닫힌 상태에서 상대 위치로 이동하는 시점에서 원활한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는 비단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에서만 발생하는 현상은 아니다. 거의 모든 핫런너 장치에서의 밸브핀은 출구(게이트)의 차단시 그 끝단이 출구에 끼움되고 그 타측단은 직선 이동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싱에 끼움 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출구를 개방하기 위해 밸브핀을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밸브핀에 가해지는 정지저항(밸브핀을 지지하는 부싱 등의 지지요소로 인한 마찰 저항 및 출구에 끼움되었을 때의 마찰 저항)을 극복할 수 있을 정도의 동력 즉, 큰 동력을 필요로 한다. 즉, 대부분의 핫런너 시스템은 밸브핀의 승강 또는 하강된 상태에서 상대 위치로 이동시 초기에 작용하는 마찰저항을 극복하고 하강 또는 상승 동작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정격출력보다 높은 출력의 구동원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높은 출력의 구동원(유·공압 실린더, 정·역·모터, 액츄에이터)이 요구됨에 따라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폐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부피가 커짐에 따라 소형이면서 정밀한 사출물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대한 적용 자유도가 크게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소형이면서 정밀한 부품을 성형하거나, 또는 유동성이 불량한 글라스화이버나 마그네슘 성분 등을 함유한 수지를 이용하여 제품을 성형하는 경우 밸브핀의 승강이 원활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노즐의 끝 부분은 금형과 접촉되어 있어 금형으로 열을 빼앗기게 되는데, 수지가 유동시에는 노즐의 외면에 감겨진 히터에 의해 용융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수지 유동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노즐의 끝 부분에서 발생하는 열 손실로 인해 이 부분의 수지가 고화되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고화된 수지가 다시 녹을 때 까지 사출 공정을 일시 중단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고화된 수지가 완전하게 녹지 않는 경우 성형 불량을 발생하는 폐단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노즐의 끝 부분에 대한 급속 가열을 가능하게 하도록 고주파나 저압방식의 가열수단을 부가 장착하고 있으나 노즐 끝부분에 대한 급속 가열로 인해 이와 맞닿은 금형의 손상을 유발하여 금형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고주파 및 저압방식의 가열수단은 노즐 주변에 설치됨에 따라 밸브장치의 전체적인 부피가 커져 설계의 자유도가 제한되는 것은 물론이고, 소형이면서 정밀한 성형품 양산을 위한 금형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며, 구조가 복잡하여 유지관리의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고주파 및 저압 장비를 추가 설비해야 하므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0549호를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밸브장치를 제안한 바 있으며, 그 청구항에는 수지로를 형성한 매니폴드 및 그 일측에 연결되어 수지를 공급받아 금형의 캐비티 측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히터가 권선 된 노즐을 구비하는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그 중심으로 설치홀이 관통 형성되고 하측으로는 설치홀에 대해 감소된 지름을 갖는 출입홀이 형성된 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설치홀에 승강 가능하게 슬라이드 끼움으로 구비되어 수지의 공급압력에 의해 하강되고 복귀수단에 의해 상승되는 것으로, 중심으로 수지를 공급받는 수지유로가 형성되고, 공급되는 수지의 압력에 저항하도록 지름을 감소시킨 유동 저항부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감소된 지름으로 구비되어 상승 이동시에는 상기 노즐의 내측에 위치되고 하강 이동시에는 상기 출입홀을 통과하여 금형에 접촉되며 그 내부에는 수지유로와 연통되는 취출로가 형성된 유동 제어팁을 구비하는 승강핀으로 이루어진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밸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밸브장치는 노즐의 내부로 공급되는 수지의 공급 작용압과 복귀요소를 조합하여 승강핀에 대한 승강 동작을 연동시키고 이 승강핀의 승강 동작에 의해 노즐의 게이트 개폐를 단속하는 구조이므로 종전의 복잡한 구조의 유공압 실린더나 정역모터 또는 액츄에이터 등으로 이루어진 구동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음에 따라 구조가 간소하여 금형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피감소를 통해 금형에 대한 적용 및 설치의 자유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밸브장치는, 승강핀의 내부를 통과하는 수지의 압이 대단히 높기 때문에 상기 승강핀의 외면과 노즐의 내면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어 결과적으로 승강핀의 승강 동작을 불량하게 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유입된 수지가 고화되는 경우 동작을 불가능하게 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또한, 상기의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밸브장치와 유사한 기술로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4081호를 통해 핫런너 밸브장치를 제안한 바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일측의 유입구멍을 통해 수지를 공급받아 타측의 감소된 지름을 형성하는 취출구를 통해 금형의 캐비티로 안내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히터가 권선된 노즐을 포함하는 핫런너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내부에 승강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 중심을 따라 수지가 유동되는 수지유로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몸체 및 상기 취출구 측을 향하는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승강시 취출구를 선택적으로 삽입 통과하여 폐쇄시키는 런너 팁 및 상기 몸체와 런너 팁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의 일측을 제거하여 노즐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수지가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런너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핫런너 밸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핫런너 밸브장치는 노즐의 게이트 개폐를 위한 복잡한 구조의 구동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런너핀에 의해 게이트의 개폐가 단속됨에 따라 수지의 유동 흐름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유동성이 불량한 성분이 함유된 수지에 대해서도 양호한 성형조건을 조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8280호에 개시된 핫런너 밸브장치를 제안한 바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사출 실린더로부터 용융 수지를 공급받아 금형의 캐비티 입구를 형성하는 게이트를 통해 주입하는 취출구를 형성한 노즐과, 이 노즐의 내부에 구비되어 수지압에 의해 승강 변위되는 수지압 승강핀을 포함하는 핫런너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내부에서 승강되게 구비되어 하강시 그 끝단부가 취출구를 통과하여 금형의 게이트를 개폐 단속하는 것으로, 그 중심으로는 수지가 유동되게 관통된 기둥형상의 바디부 및 이 바디부의 일단 외면에 홈을 대칭되게 형성하여 된 걸림홈 및 상기 바디부의 일측 끝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향 진행하면서 지름이 감소되면서 일측을 제거하여 수지가 취출되는 챔버홀을 형성한 챔버판부 및 이 챔버판부의 끝단부에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금형의 게이트를 개폐하는 개폐팁부로 이루어진 수지압승강핀과; 상기 노즐의 내부에 끼움 고정되는 기둥 형상의 부재로서 그 중심으로는 상기 수지압 승강핀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구비되는 관 형상의 몸체부 및 이 몸체부의 상·하단부 중 어느 한 곳 또는 두곳 모두 형성되는 것으로 몸체부에 대해 감소된 두께를 갖는 탄성변위관부 및 이 탄성변위관부에 탄력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지름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가압체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 외면을 길이 방향으로 절개하여 그 내부에 위치한 수지압 승강핀의 걸림홈을 노출되게하는 승강레일홀 및 일단은 상기 승강레일홀을 통해 그 내측에 위치한 걸림홈에 걸림되어 승강 연동되는 클립으로 이루어진 탄성변위부싱과; 상기 클립의 상부에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은 노즐의 내부 일측에 걸림되는 것에 의해 상승 이동된 수지압 승강핀이 하강되게 탄성지지력을 작용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런너 밸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핫런너 밸브장치는 노즐을 통과하려는 수지의 압력이 대단히 높으므로 상기 노즐의 내부 선단측에 크게 작용하게 된다. 이때 대부분의 수지는 노즐의 게이트를 통해 금형으로 토출되지만 일부 수지는 런너핀의 외면과 노즐의 내면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어 결과적으로 런너핀의 가동성 즉, 승강동작을 불량하게 만들뿐만 아니라 고화되는 경우에는 런너핀의 승강동작이 불가능하게 되는 원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핫런너 밸브장치는 승강 런너핀이 원활하게 승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서로 상대하는 조립 구성부품들과 적절한 간극(3/1000mm)을 갖도록 고정밀 치수로 가공이 요구됨에 따라 제조비용이 높고 양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일례로, 승강 런너핀과의 조립되는 부품들과의 간극이 4/1000mm 이상으로 가공되는 경우에는 이 간극을 통해 수지가 침투되어 고화됨에 따라 승강 런너핀이 동작이 불가능해지는 폐단을 초래하며, 승강 런너핀과 조립되는 부품들과의 간극이 2/1000mmk 이하로 가공되는 경우에는 금속의 열팽창에 의해 승강 런너핀이 가열되었을 때 조립되는 부품들과의 마찰로 인해 승강 동작이 불가능해지는 폐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수지가 침투되지 않을 정도의 간극을 형성하되, 금속의 열팽창을 고려하여 승강 동작을 위한 간극이 요구됨에 따라 가공성이 극히 불량하여 경제적인 생산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낮은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90549호(2013.07.23),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밸브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1154081호(2012.05.31), ′핫런너 밸브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1678280호(2016.11.15), ′핫런너 밸브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속이 빈 관 형상으로 제공되어 용융상태의 수지가 내부를 통과하는 승강 런너핀의 외면으로도 용융 수지가 유동되어 게이트로 배출될 수 있는 우회수지로를 형성하여 종전의 가공오차나 열팽창에 의해 승강 런너핀의 외면으로 유입된 수지가 체류되어 고화됨에 따라 승강동작을 저해하는 폐단을 해소할 있는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한 등록특허공보 제10-1678280호에 개시된 핫런너 밸브장치의 구조를 개량하여 구성부품간의 결합부위 간에 형성되는 간극으로 수지가 누출되어 고화됨에 따라 동작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는, 사출실린더로부터 용융 수지를 공급받아 금형의 캐비티로 안내 주입하도록 속이 빈 관 형상의 구비되어 외면에는 히터가 감겨진 노즐 및 이 노즐의 내부에서 승강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 중심으로 수지가 통과하도록 속이 빈 관형상으로 제공되고 하측부에는 하향 진행하면서 지름이 감소되면서 일측을 제거하여 수지가 취출되어 수지압이 작용하는 챔버판부 및 이 챔버판부의 끝단부에 돌출 구비되어 금형의 게이트를 개폐하는 개폐팁부가 마련되는 승강런너핀 및 이 승강런너핀에 작용하는 수지압의 해제시 하강시켜 위치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내부에 결합 고정되는 속이 빈 관형상의 부재로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지름을 확장하여 된 부싱바디 및 이 부싱바디의 측방향에 형성되어 내부와 연결되어 수지가 유동되는 부싱유출구멍을 구비한 가이드부싱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런너핀은 상기 가이드부싱의 내부에 상단부가 슬라이드 끼움되고 상승 위치에서 상기 부싱유출구멍과 연결되는 핀유출구멍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위치되는 복귀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그 하면은 하강 위치에서 노즐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단차부 상면에 접촉하여 밀착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이 걸림턱의 하부에는 외면 지름을 감소시켜 상승 이동시 상기 단차부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수지가 유입되는 간극을 형성하는 단차면을 구비하는 런너바디와, 이 런너바디의 단차면 하측으로 감소된 지름으로 구비되면서 일측을 제거하여 수지가 취출되는 구멍인 챔버판부가 형성되고, 이 챔버판부의 끝단부에 돌출형성되어 금형의 게이트를 개폐하는 개폐팁부로 이루어진 런너팁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노즐은 상·하면이 개방되고 속이 빈 관 형상으로 제공되어 그 중심으로 수지가 유동되는 수지로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상·하면이 개방된 속이 빈 관 형상의 요소로, 그 내부에는 상기 승강 런너핀이 승강되게 조립된 가이드부싱이 끼움결합되고, 이 가이드부싱의 하측으로 단차부가 형성되며, 개방된 하면으로는 상기 승강 런너핀이 하강시 개폐팁부가 돌출되는 노즐팁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승강 런너핀은;, 상·하면이 개방되고 속이 빈 길이재의 관 형상으로 구비되어 그 중심으로 수지가 유동되는 메인수지로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싱의 내부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것으로 상부 외면에는 복수의 부싱유출구멍과 대응되는 핀유출구멍이 형성된 슬라이드부 및 이 슬라이드부의 하측 외면에 복수 돌출 형성된 걸림턱 및 이 걸림턱의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단부 및 이 연장단부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일부를 제거하여 상승 이동시 우회수지로를 형성하는 단차면으로 형성한 런너바디; 상기 런너바디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하향 진행하면서 지름이 감소되면서 일측을 제거하여 수지가 취출되는 구멍을 형성한 챔버판부 및 이 챔버판부의 끝단부에 돌출 구비되어 금형의 게이트를 개폐하는 개폐팁부로 이루어진 런너팁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가이드부싱은 상·하면이 개방된 속이 빈 관 형상으로 제공되어 그 내부 중심으로 수지가 유동되는 수지유로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노즐팁의 내면에 끼움 고정되되 측면에는 복수의 부싱유출구멍이 내부와 연결되게 관통 형성되고, 이 부싱유출구멍에서 유출되는 수지가 하방향으로 유동되게 외면 일부를 제거하여 된 부싱유출면을 형성한 플랜지부를 갖는 부싱바디와; 상기 부싱바디의 하부에 지름을 감소하여 일체로 연장 구비되는 것으로 그 내면으로 상기 런너바디가 슬라이드 끼움으로 조립되는 부싱가이드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복귀스프링은 그 상단이 상기 부싱바디의 플랜지부의 하면에 접촉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승강런너핀의 걸림턱 상면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승강런너핀을 하강 이동시키는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인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는, 별도의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수지압과 탄성복귀수단을 이용하여 승강 런너핀을 승강동작시키는 구조이므로 종전의 노즐의 게이트 개폐를 위한 밸브개폐 기구를 비롯하여 유공압실린더 또는 액츄에이터 등의 구동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음에 따라 구조가 간소하고 제품의 유지보수 및 취급관리가 대단히 용이한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는, 사출성형기로부터 공급되는 수지의 공급압력에 의해 승강 런너핀이 하강 또는 승강되어 노즐의 게이트를 개방시켜 금형의 캐비티내로 수지를 공급하고, 사출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수지의 공급압력이 제거되는 것에 의해 탄성 복귀수단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승강 런너핀이 원위치로 복귀하여 결과적으로 노즐의 게이트를 차단시키는 구조이므로 종전의 노즐의 게이트 개폐를 위한 복잡한 기구와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아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이고 부피 감소를 통해 금형에 대한 적용의 자유도와 설계의 자유도를 대폭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본 발명의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는, 승강 런너핀의 내부로는 메인 수지로를 형성하고 외부로는 우회수지로를 형성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승강 런너핀의 내,외부로 수지가 유동되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전의 승강 런너핀의 외면에 가공오차나 열팽창에 의해 형성된 간극으로 수지가 침투하여 고화되는 현상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승강 런너핀의 승강동작이 불능 상태로 빠지는 폐단을 해소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핫런너 밸브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에서 승강런너핀의 하강으로 수지토출이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도 2의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에서 승강런너핀의 상승으로 게이트가 수지 토출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의 제1실시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2에 따른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를 발췌한 단면도,
도 9는 도 2에 따른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에서 승강런너핀과 복귀스프링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절개사시도,
도 10은 도 2에 따른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에서 승강런너핀과 가이드부싱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절개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따른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에서 승강런너핀의 하강으로 수지토출이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도 2의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에서 승강런너핀의 상승으로 게이트가 수지 토출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의 제2실시례의 요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의 제2실시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8 내지 도 19는 도 11에 따른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를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에서 승강런너핀의 하강 이동되어 게이트(g)를 차단함에 따라 수지토출이 이뤄지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의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에서 승강런너핀의 상승으로 게이트가 수지 토출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의 제1실시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도 2에 따른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를 발췌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2에 따른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에서 승강런너핀과 복귀스프링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절개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2에 따른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에서 승강런너핀과 가이드부싱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절개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1)는 사출실린더로부터 용융 수지를 공급받아 금형의 캐비티로 안내 주입하도록 속이 빈 관 형상의 구비되어 외면에는 히터가 감겨진 노즐(20)과, 이 노즐(20)의 내부에서 승강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 중심으로 수지가 통과하도록 속이 빈 관형상으로 제공되고 하측부에는 하향 진행하면서 지름이 감소되면서 일측을 제거하여 수지가 취출되어 수지압이 작용하는 챔버판부(31a) 및 이 챔버판부(31a)의 끝단부에 돌출 구비되어 금형의 게이트(g)를 개폐하는 개폐팁부(31p)가 마련되는 승강런너핀(30)과. 이 승강런너핀(30)에 작용하는 수지압의 해제시 승강런너핀(30)을 하강시켜 수지토출을 차단하도록 위치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20)은 상·하면이 개방되고 속이 빈 관 형상으로 제공되어 그 중심으로 수지가 유동되는 수지로가 형성된 바디(23)와, 상기 바디(23)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상·하면이 개방된 속이 빈 관 형상의 요소로, 그 내부에는 상기 승강 런너핀이 승강되게 조립된 가이드부싱(40)이 끼움결합되고, 이 가이드부싱(40)의 하측으로 단차부(24a)가 형성되며, 개방된 하면으로는 상기 승강런너핀(30)의 하강시 개폐팁부(31p)가 돌출되는 노즐팁(24)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노즐(20)의 내부에는 가이드부싱(40)이 결합 고정되며, 이러한 가이드부싱(40)은 속이 빈 관형상의 부재로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지름을 확장하여 된 부싱바디(41)와, 이 부싱바디(41)의 측방향에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그 내부와 연결되는 것에 의해 수지가 유동되는 관로를 형성하는 부싱유출구멍(41a)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 가이드부싱(40)은 크게 부싱바디(41)와 가이드부싱(42)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싱바디(41)는 상·하면이 개방된 속이 빈 관 형상으로 제공되어 그 내부 중심으로 수지가 유동되는 수지유로(41h)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노즐팁(24)의 내면에 끼움 고정되되 측면에는 복수의 부싱유출구멍(41a)이 내부와 연결되게 관통 형성되고, 이 부싱유출구멍(41a)에서 유출되는 수지가 하방향으로 유동되게 외면 일부를 제거하여 된 부싱유출면(41b)을 형성한 플랜지부(41p)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싱가이드(42)는 상기 부싱바디(41)의 하부에 지름을 감소하여 일체로 연장 구비되는 것으로 그 내면으로 상기 런너바디(33)가 슬라이드 끼움으로 조립되는 구성이다.
상기 승강런너핀(30)은 크게 런너바디(33)와 런너팁(31)으로 구성된다.
상기 런너바디(33)는 상기 가이드부싱(40)의 내부에 내부에 상단부가 슬라이드 끼움되고 상승 위치에서 상기 부싱유출구멍(41a)과 연결되는 핀유출구멍(33a)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플랜지부(41p)와의 사이에 위치되는 복귀스프링(50)의 하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그 하면은 하강 위치에서 노즐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단차부(24a) 상면에 접촉하여 밀착되는 걸림턱(37)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이 걸림턱(37)의 하부에는 외면 지름을 감소시켜 상승 이동시 상기 단차부(24a)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수지가 유입되는 간극을 형성하는 단차면(33b)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 런너팁(31)은 상기 런너바디(33)의 단차면(33b) 하측으로 감소된 지름으로 구비되면서 일측을 제거하여 수지가 취출되는 구멍인 챔버판부(31a)가 형성되고, 이 챔버판부(31a)의 끝단부에 돌출형성되어 금형의 게이트(g)를 개폐하는 개폐팁부(31p)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런너바디(33)는 상·하면이 개방되고 속이 빈 길이재의 관 형상으로 구비되어 그 중심으로 수지가 유동되는 메인수지로(30a)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싱(40)의 내부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것으로 상부 외면에는 복수의 부싱유출구멍(41a)과 대응되는 핀유출구멍(33a)이 형성된 슬라이드부(33-1) 및 이 슬라이드부(33-1)의 하측 외면에 복수 돌출 형성된 걸림턱(37) 및 이 걸림턱(37)의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단부(33-2) 및 및 이 연장단부(33-2)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일부를 제거하여 상승 이동시 우회수지로(30b)를 형성하는 단차면(33b)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런너팁(31)은 상기 런너바디(33)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하향 진행하면서 지름이 감소되면서 일측을 제거하여 수지가 취출되는 구멍을 형성한 챔버판부와 이 챔버판부의 끝단부에 돌출 구비되어 금형의 게이트를 개폐하는 개폐팁부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복귀스프링(50)은 그 상단이 상기 부싱바디의 플랜지부의 하면에 접촉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승강런너핀의 걸림턱 상면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승강런너핀을 하강 이동시키는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제공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따른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에서 승강런너핀의 하강으로 수지토출이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 및 도 14는 도 2의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에서 승강런너핀의 상승으로 게이트가 수지 토출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의 제2실시례의 요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의 제2실시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8 내지 도 19는 도 11에 따른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를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례에 따른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례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승강런너핀(3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구성되고 가이드부싱(40)의 하단 일부가 승강런너핀(30)의 상단 내부로 조립되는 차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례에 따른 핫런너 밸브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는, 승강 런너핀의 내부로는 메인 수지로를 형성하고 외부로는 우회수지로를 형성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승강 런너핀의 내,외부로 수지가 유동되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전의 승강 런너핀의 외면에 가공오차나 열팽창에 의해 형성된 간극으로 수지가 침투하여 고화되는 현상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승강 런너핀의 승강동작이 불능 상태로 빠지는 폐단을 해소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핫런너 밸브장치
20 : 노즐 21 : 커버
23 : 바디 24 : 노즐팁
30 : 승강 런너핀 30a : 메인수지로
30b ; 우회수지로 31 : 런너 팁
31a : 취출구 31b,31c : 분기 취출구
33 : 런너 바디 33a : 유출구멍
33b : 유입구멍 35 : 유동 저항부
37 ; 걸림턱 40 : 가이드부싱
41 : 부싱바디 41a : 핀삽입홀부
41b : 단차확장홀부 41h : 수지유로
h : 히터

Claims (5)

  1. 사출실린더로부터 용융수지를 공급받아 금형으로 안내 주입하는 수지로가 형성된 것으로 상·하면이 개방되고 외면에는 히터가 감겨진 바디 및 이 바디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상·하면이 개방된 속이 빈 관 형상의 요소로, 그 내부에는 승강 런너핀이 조립된 가이드부싱이 끼움결합되고, 이 가이드부싱의 하측으로 단차부가 형성되며, 개방된 하면으로는 상기 승강 런너핀이 하강시 개폐팁부가 돌출되는 노즐팁으로 이루어진 노즐과;, 이 노즐의 내부에서 승강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 중심으로 수지가 통과하도록 속이 빈 관형상으로 제공되고 하측부에는 하향 진행하면서 지름이 감소되면서 일측을 제거하여 수지가 취출되어 수지압이 작용하는 챔버판부와;, 이 챔버판부의 끝단부에 돌출 구비되어 금형의 게이트를 개폐하는 개폐팁부가 마련되는 승강런너핀과;, 이 승강런너핀에 작용하는 수지압의 해제시 하강시켜 위치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내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하면이 개방된 속이 빈 관 형상으로 제공되고 그 내부 중심으로 수지가 유동되는 수지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팁의 내면에 끼움 고정되되 측면에는 복수의 부싱유출구멍이 내부와 연결되게 관통 형성되고, 이 부싱유출구멍에서 유출되는 수지가 하방향으로 유동되게 외면 일부를 제거하여 된 부싱유출면을 형성한 플랜지부를 갖는 부싱바디 및 이 부싱바디의 측방향에 형성되어 내부와 연결되어 수지가 유동되는 부싱유출구멍을 포함하는 가이드부싱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런너핀은 가이드부싱의 내부에 상단부가 슬라이드 끼움되고 상승 위치에서 상기 부싱유출구멍과 연결되는 핀유출구멍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위치되는 복귀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그 하면은 하강 위치에서 노즐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단차부 상면에 접촉하여 밀착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이 걸림턱의 하부에는 외면 지름을 감소시켜 상승 이동시 상기 단차부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수지가 유입되는 간극을 형성하는 단차면을 구비하는 런너바디와, 이 런너바디의 단차면 하측으로 감소된 지름으로 구비되면서 일측을 제거하여 수지가 취출되는 구멍인 챔버판부가 형성되고 이 챔버판부의 끝단부에 돌출형성되어 금형의 게이트를 개폐하는 개폐팁부로 이루어진 런너팁으로 구성되되;, 상기 런너바디는 상·하면이 개방되고 속이 빈 길이재의 관 형상으로 그 중심으로 수지가 유동되는 메인수지로가 형성된 것으로 상부 외면에는 복수의 부싱유출구멍과 대응되는 핀유출구멍이 형성된 슬라이드부 및 이 슬라이드부의 하측 외면에 복수 돌출 형성된 걸림턱 및 이 걸림턱의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단부 및 이 연장단부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일부를 제거하여 상승 이동시 우회수지로를 형성하는 단차면이 형성되고;, 상기 런너팁은 챔버판부의 끝단부에 돌출 구비되어 금형의 게이트를 개폐하는 개폐팁부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싱은 상기 부싱바디의 하부에 지름을 감소하여 일체로 연장 구비되는 것으로 그 내면으로 상기 런너바디가 슬라이드 끼움으로 조립되는 부싱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스프링은 그 상단이 상기 부싱바디의 플랜지부의 하면에 접촉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승강런너핀의 걸림턱 상면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승강런너핀을 하강 이동시키는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
KR1020170006018A 2017-01-13 2017-01-13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 KR102010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018A KR102010997B1 (ko) 2017-01-13 2017-01-13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018A KR102010997B1 (ko) 2017-01-13 2017-01-13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579A KR20180083579A (ko) 2018-07-23
KR102010997B1 true KR102010997B1 (ko) 2019-08-14

Family

ID=63102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018A KR102010997B1 (ko) 2017-01-13 2017-01-13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9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3135A1 (ko) * 2021-03-25 2022-09-29 김혁중 사출압 개폐 제어형 핫런너 밸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776B1 (ko) * 2019-01-03 2020-11-06 이치호 고무 사출성형 장치
KR20230100624A (ko) * 2021-12-28 2023-07-05 김혁중 사출압 개폐 제어형 핫런너 밸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549B1 (ko) 2011-01-31 2013-07-29 김혁중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밸브장치
KR101290550B1 (ko) * 2011-04-29 2013-07-29 김혁중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밸브장치
KR101154081B1 (ko) 2012-02-09 2012-06-11 김혁중 핫런너 밸브장치
KR101678280B1 (ko) * 2014-11-14 2016-11-21 김혁중 핫런너 밸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3135A1 (ko) * 2021-03-25 2022-09-29 김혁중 사출압 개폐 제어형 핫런너 밸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579A (ko) 201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081B1 (ko) 핫런너 밸브장치
KR101163938B1 (ko)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밸브장치
KR101678280B1 (ko) 핫런너 밸브장치
KR102010997B1 (ko) 핫런너의 수지압 승강단속형 밸브장치
KR101951790B1 (ko) 핫런너 밸브장치
KR101718324B1 (ko) 핫런너의 사이드게이트 밸브장치
EP2253445B1 (en) Injection mold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290549B1 (ko)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밸브장치
US7210922B1 (en) Valve pin operating mechanism
KR101011842B1 (ko) 다점게이트 사출성형기에서의 노즐게이트 개폐 타이밍조정기구
KR102011001B1 (ko) 사이드 게이트 노즐형 핫런너 밸브장치
KR101811812B1 (ko) 대면적 사출성형이 용이한 핫런너 시스템
CN102858513B (zh) 注塑成型设备
KR101290550B1 (ko)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밸브장치
KR101835049B1 (ko) 유량 제어밸브가 구비된 핫런너 시스템
KR101008760B1 (ko)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시스템
KR102264522B1 (ko) 피스톤 개폐형 핫런너 밸브장치
CN108454011B (zh) 用于注射模制装置的热流道注射喷嘴和致动器
KR101218920B1 (ko) 핫런너 밸브장치
KR101951789B1 (ko) 핫런너의 수지압 개폐형 밸브장치
KR20230114344A (ko) 수지의 압력차이를 이용한 게이트 개폐형 핫런너 밸브장치
KR102240758B1 (ko) 사출기의 노즐장치
KR101588249B1 (ko) 핫런너 밸브장치
KR102522069B1 (ko) 사출압 개폐 제어형 핫런너 밸브장치
KR20230114695A (ko) 사출압을 이용한 게이트 자동 개폐형 핫런너 밸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