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436B1 - 양방향 클러치 적용 다단변속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클러치 적용 다단변속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436B1
KR102170436B1 KR1020180155351A KR20180155351A KR102170436B1 KR 102170436 B1 KR102170436 B1 KR 102170436B1 KR 1020180155351 A KR1020180155351 A KR 1020180155351A KR 20180155351 A KR20180155351 A KR 20180155351A KR 102170436 B1 KR102170436 B1 KR 102170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way clutch
twc
shift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8403A (ko
Inventor
김병옥
김진영
조성원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5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4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68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 F16H61/68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 F16H61/68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with two inputs, e.g. selection of one of two torque-flow paths by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16H3/09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with two or more counter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클러치 적용 다단변속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변속기 주행상태 및 변속 종류에 따라 양방향 클러치 모드(일방향/공전/고정 상태)로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방향 클러치 적용 다단변속기 제어 방법{TWO WAY CLUTCH FOR MULTI SPEED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양방향 클러치 적용 다단변속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변속기 주행상태 및 변속 종류에 따라 양방향 클러치 모드(일방향/공전/고정 상태)로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변속기는 엔진에서 나온 출력을 감속 혹은 가속해 주행상황에 알맞은 토크와 회전수를 만들어내는 장치이며, 자동 변속기는 유체식 토크 컨버터와 유성기어장치를 통해 변속 상태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자동 변속기에는 원웨이클러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원웨이클러치란, 유성기어장치가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구속하여, 역 방향으로는 동력을 차단하고 정 방향으로는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종래 자동 변속기어에서는 LR 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를 사용하여 1단 상태에서 LR 브레이크 요소 슬립 제어 또는 원웨이 클러치 작동으로 락 상태를 구현한다.
그러나 종래 원웨이 클러치 기능과 LR 브레이크 기능을 통합한 양방향 클러치를 자동변속기에 적용시 양방향 클러치 모드(일방향/공전/고정 상태)를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765502호 한국등록특허 제1765501호 한국등록특허 제1734827호 한국등록특허 제176549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행상태에서 인기어 상태로 변경하거나, 변속상태로 변경하거나 변경하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 양방향 클러치 모드를 제어하는 양방향 클러치 적용 다단변속기 제어 방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행상태에서 인기어 상태로 변경하거나, 변속상태로 변경하거나 변경하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 양방향 클러치 모드를 제어한다.
상기 주행상태에서 인기어상태로 변경시, D or N 레인지이면 현재 기어단에 따라 양방향 클러치 모드를 제어한다.
상기 현재 기어단이 D5 또는 N5 이하인 경우 LOCK 상태, 현재기어단이 D5 또는 N5 이하가 아닌 경우 FREE 상태로 변경하여 양방향 클러치 모드를 제어한다.
상기 인기어 상태가 P or R 레인지인 경우, LOCK 상태로 변경하여 양방향 클러치 모드를 제어한다.
상기 주행상태에서 변속상태로 변경시, TWC 제어변속 중 TWC UP 변속이면, TWC 해방 변속 후 변속개시하여 LOCK-OWC 상태로 하고 변속종료하여 OWC-FREE 상태로 하여 양방향 클러치 모드를 제어한다.
상기 TWC 제어변속 중 TWC DN 변속이면, 변속개시하여 FREE-OWC하고 변속종료하여 OWC-LOCK 상태로 하여 양방향 클러치 모드를 제어한다.
상기 주행상태에서 변속상태로 변경하지 않은 경우, TWC LOCK 상태로 변경되었는 지 확인하고, TWC LOCK 상태인 경우 LOCK 상태로, LOCK 상태가 아닌 경우 FREE 상태로 변경하여 양방향 클러치 모드를 제어한다.
상기 양방향 클러치 모드는 일방향 상태 또는 공전 상태 또는 고정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종래 원웨이 클러치과 LR 브레이크 기능을 통합한 양방향 클러치를 자동변속기어 적용시 주행 상태 및 변속 종류별에 따라 양방향 클러치 모드(일방향/공전/고정 상태)로 제어함으로서 원활한 변속 제어 및 변속 충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클러치 적용 다단변속기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챠트이다.
도 2는 (a) 양방향 회전 구속 상태를 보여주고, (b) 시계 방향 회전 구속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원웨이 클러치(OWC), 양방향 원웨이 클러치(TWC),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주행상태에서 인기어 상태로 변경하거나, 변속상태로 변경하거나 변경하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 양방향 클러치 모드를 제어한다.
즉 아래 표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변속기 주행상태 및 변속 종류에 따라 Pawl 1, Pawl 2를 이용하여 양방향 클러치 모드(일방향/공전/고정 상태) 제어 방법을 이용한다.
도 2는 (a) 양방향 회전 구속 상태를 보여주고, (b) 시계 방향 회전 구속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Pawl 1 Pawl 2
공전 X X
일방향 O X
고정 O O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양방향 클러치 적용 다단변속기 제어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주행상태에서 인기어 상태로 변경시, D or N 레인지인지 확인한다(S100, S111, S112).
상기 주행상태에서 인기어 상태로 변경시, P or R 레인지인 경우, LOCK 상태로 변경한다(S113).
현재기어단이 D5(N5) 이하인지 확인한다(S114).
현재기어단이 D5(N5) 이하인 경우 LOCK 상태, 현재기어단이 D5(N5) 이하가 아닌 경우 FREE 상태로 변경한다(S115, S116).
주행상태에서 변속상태로 변경시, TWC 제어변속 중 TWC 해방 변속(UP 변속)이면(S100, S121, S122), TWC 해방 변속 후 변속개시(LOCK-OWC; S125)하고 변속종료(OWC-FREE; S125)한다.
또한 주행상태에서 변속상태로 변경시, TWC 제어변속 중 TWC 해방 변속(DN 변속)(S127)이면, 변속개시(FREE-OWC; S128)하고 변속종료 (OWC-LOCK; S129)한다.
주행상태에서 변속상태로 변경하지 않은 경우, TWC LOCK 상태로 변경되었는 지 확인한다.
상기 변속 상태가 아니고 TWC LOCK 상태인 경우 LOCK으로, LOCK 상태가 아닌 경우 FREE 상태로 변경한다(S130)

Claims (8)

  1. 주행상태에서의 변경을 인기어 상태 또는 변속 상태로 구분해 양방향 클러치 모드를 제어하되,
    상기 주행상태에서 변속상태로 변경시, TWC 제어변속 중 TWC UP 변속이면, TWC 해방 변속 후 변속개시하여 LOCK-OWC 상태로 하고 변속종료하여 OWC-FREE 상태로 하여 양방향 클러치 모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클러치 적용 다단변속기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상태에서 인기어상태로 변경시, D or N 레인지이면 현재 기어단에 따라 양방향 클러치 모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클러치 적용 다단변속기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현재 기어단이 D5 또는 N5 이하인 경우 LOCK 상태, 현재기어단이 D5 또는 N5 이하가 아닌 경우 FREE 상태로 변경하여 양방향 클러치 모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클러치 적용 다단변속기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기어 상태가 P or R 레인지인 경우, LOCK 상태로 변경하여 양방향 클러치 모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클러치 적용 다단변속기 제어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WC 제어변속 중 TWC DN 변속이면, 변속개시하여 FREE-OWC 상태로 하고 변속종료하여 OWC-LOCK 상태로 하여 양방향 클러치 모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클러치 적용 다단변속기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상태에서 변속상태로 변경하지 않은 경우, TWC LOCK 상태로 변경되었는 지 확인하고, TWC LOCK 상태인 경우 LOCK 상태로, TWC LOCK 상태가 아닌 경우 FREE 상태로 변경하여 양방향 클러치 모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클러치 적용 다단변속기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클러치 모드는 일방향 상태 또는 공전 상태 또는 고정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클러치 적용 다단변속기 제어 방법.
KR1020180155351A 2018-12-05 2018-12-05 양방향 클러치 적용 다단변속기 제어 방법 KR102170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351A KR102170436B1 (ko) 2018-12-05 2018-12-05 양방향 클러치 적용 다단변속기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351A KR102170436B1 (ko) 2018-12-05 2018-12-05 양방향 클러치 적용 다단변속기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403A KR20200068403A (ko) 2020-06-15
KR102170436B1 true KR102170436B1 (ko) 2020-10-28

Family

ID=7108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351A KR102170436B1 (ko) 2018-12-05 2018-12-05 양방향 클러치 적용 다단변속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4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8105A (ja) 2006-04-28 2007-11-15 Toyota Motor Corp クラッチ式変速機の制御装置
KR101649880B1 (ko) * 2015-02-17 2016-08-23 한국보그워너티에스 유한회사 자동변속기의 멀티 모드 클러치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7948A (ko) * 2008-12-12 2010-06-22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역회전 방지기능을 갖춘 변속장치
US9726236B2 (en) * 2013-01-30 2017-08-08 Borgwarner Inc. Multi-mode clutch module
KR101765502B1 (ko) 2015-11-30 2017-08-08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듀얼 클러치 변속기
KR101734827B1 (ko) 2015-11-30 2017-05-15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듀얼 클러치 변속기
KR101765501B1 (ko) 2015-11-30 2017-08-08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듀얼 클러치 변속기
KR101765498B1 (ko) 2015-11-30 2017-08-08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듀얼 클러치 변속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8105A (ja) 2006-04-28 2007-11-15 Toyota Motor Corp クラッチ式変速機の制御装置
KR101649880B1 (ko) * 2015-02-17 2016-08-23 한국보그워너티에스 유한회사 자동변속기의 멀티 모드 클러치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403A (ko) 202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4951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1635302B1 (ko)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
JP3301344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US9951865B2 (en) Control apparatus
KR101637753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출발단 치합 실패를 방지하는 변속 제어 방법
US9951864B2 (en) Control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KR102170436B1 (ko) 양방향 클러치 적용 다단변속기 제어 방법
JP2006242251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6431561B2 (ja) 自動変速機
US9574656B1 (en) Control apparatus
JP6935788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CN110274015B (zh) 车辆的控制装置
JP2018013119A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18017321A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04301249A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6567282B2 (ja) 車両用制御装置
JP2002047961A (ja) エンジン自動停止始動装置
JP4252233B2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6599252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10216427A (ja) フューエルカット制御装置
JP5380381B2 (ja) 自動変速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3335153A (ja) 車輌の制御装置
WO2014024790A1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2243026A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5012969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