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400B1 - 복층 일렬주차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층 일렬주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400B1
KR102169400B1 KR1020170151396A KR20170151396A KR102169400B1 KR 102169400 B1 KR102169400 B1 KR 102169400B1 KR 1020170151396 A KR1020170151396 A KR 1020170151396A KR 20170151396 A KR20170151396 A KR 20170151396A KR 102169400 B1 KR102169400 B1 KR 102169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heel
frame
mounting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4616A (ko
Inventor
조민서
Original Assignee
조민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서 filed Critical 조민서
Priority to KR1020170151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400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ar-gripping transfe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6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렬주차를 이층으로 하되, 일층에는 지면에 주차하도록 하고, 이층에는 프레임 위에 주차하도록 형성된 거치프레임(100);과,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을 리프팅하여 상기 거치프레임(100)에 올려놓는 리프터(2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거치프레임(100)은 차량의 바퀴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바퀴거치대(110);와, 상기 바퀴거치대(110)를 지면에서 일정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서포터프레임(120);으로 구성되되, 상기 바퀴거치대(110)와 상기 서포터프레임(120)에는 별도의 구동부분이 없이 고정식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복층 일렬주차 시스템{Parking lot system where multiple layers are arranged}
본 발명은 복층 일렬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렬주차에서 주차공간을 두 배로 활용할 수 있는 복층 일렬 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기계 주차장은 야외에 설치되고, 복층으로 주차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팔레트와 각 주차면마다 구동파트가 구비됨으로써 구동파트에 의해 다수개의 파렛트가 순환식 회전하면서 빈 파렛트에 차량이 주차된다.
즉, 차량이 주차되는 고정파트와, 이 고정파트를 구동시키는 구동파트가 구비되어 동일면적에 비해 주차율을 향상시키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식 주차장은 고정파트와 구동파트가 일체로 결합되어 야외에 설치됨에 따라 철제로 이루어진 구동파트가 날씨에 의해 녹이 슬거나 결함 또는 고장이 발생되기 쉬우며, 각 주차면마다 구동파트가 구비되기 때문에 관리 및 유지보수가 어렵고, 유지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파트와 고정파트를 분리시킴으로써 하나의 구동파트를 운영하여 관리 및 유지보수가 종래보다 편리하며, 운영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복층 일렬주차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렬주차를 이층으로 하되, 일층에는 지면에 주차하도록 하고, 이층에는 프레임 위에 주차하도록 형성된 거치프레임(100);과,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을 리프팅하여 상기 거치프레임(100)에 올려놓는 리프터(2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거치프레임(100)은 차량의 바퀴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바퀴거치대(110);와, 상기 바퀴거치대(110)를 지면에서 일정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서포터프레임(120);으로 구성되되, 상기 바퀴거치대(110)와 상기 서포터프레임(120)에는 별도의 구동부분이 없이 고정식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프터(200)는 상기 바퀴거치대(110)의 구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차량의 바퀴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바퀴홀더(210);와, 상기 바퀴홀더(210)를 구속하여 거동시키는 바퀴홀더 장착부(220);와, 상기 바퀴홀더(210)를 앞단에 장착하여 이송시키는 이동부(230);와, 상기 이동부(230)를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24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바퀴홀더 장착부(220)는 상기 바퀴홀더(210)를 장착한 브라켓(221);과, 상기 브라켓(221)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222);와, 상기 브라켓이 상하로 이동할 때 이동위치와 방향을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22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바퀴홀더(210)를 장착하여 이동시키는 이동부(230)는 외형을 이루는 차체부(231);와, 상기 차체부(231)의 하단에 구비된 휠부(232);와, 상기 액추에이터(240)를 탑재할 수 있는 탑재부(233);와, 상기 액추에이터(240)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휠부(23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미도시);와, 상기 바퀴홀더 장착부(22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235);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바퀴거치대(110)는 일정단면적과 일정길이를 갖되 대략 수평을 이루면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거치봉(111);과, 상기 거치봉(111)을 지지하는 지지대(1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12)는 상기 다수의 거치봉(111) 각각을 하측에서 지지하면서 상기 각각의 거치봉(111)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형성된 공간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지지시키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리프터(200)의 바퀴홀더(210)는 상기 바퀴거치대(1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일정단면적과 일정길이를 갖고, 대략 수평을 이루면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홀더봉(21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홀더봉(211)이 상기 각각의 거치봉(111) 사이로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포터프레임(120)은 직육면체로 형성되되, 이층에는 상기 바퀴거치대(110)가 배치되는 사각프레임(121);과, 상기 사각프레임(121)이 이층의 높이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레그부(1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그부(122)의 하단은 상기 1층에 형성된 주차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일층에 주차하는 차량이 상기 서포터프레임(120)의 배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주차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렬주차를 이층으로 함으로써 동일면적에 대해 차량의 주차효율을 높여 차량의 주차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거치프레임을 별도의 구동부분 없이 고정식으로 형성하고, 리프터를 구비시켜 구동파트와 고정파트를 분리시킴으로써 하나의 구동파트를 운영하여 관리 및 유지보수가 종래보다 편리하며, 운영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프레임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프레임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터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이층에 주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이층에 주차할 때 바퀴홀더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a 내지 7b는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이층에서 출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이층에서 출차할 때 바퀴홀더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프레임과 리프터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프레임의 리프터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프레임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프레임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터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이층에 주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이층에 주차할 때 바퀴홀더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a 내지 7b는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이층에서 출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이층에서 출차할 때 바퀴홀더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프레임과 리프터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프레임의 리프터의 측면도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층 일렬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이 일정방향으로 일렬주차에서 주차공간을 두 배로 활용할 수 있는 복층 일렬 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파트와 고정파트를 분리시킴으로써 하나의 구동파트를 운영하여 관리 및 유지보수가 종래보다 편리하며, 운영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복층 일렬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일렬주차 시스템은 일렬주차를 이층으로 하되, 일층에는 지면에 주차하도록 하고, 이층에는 프레임 위에 주차하도록 형성된 거치프레임(100);과,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을 리프팅하여 상기 거치프레임(100)에 올려놓는 리프터(200);로 구성되어 상기 지면에 주차된 차량을 상기 리프터(200)를 통해 상기 거치프레임(100)에 올려놓아 주차시킴에 따라 일렬주차에서 주차공간을 두 배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층으로 형성된 상기 거치프레임(10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일 뿐이며 다수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일층에 주차되는 차량은 원래의 바닥에 주차되도록 별도의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으며, 이층에 차량이 주차되도록 형성된 상기 거치프레임(100)은 차량의 바퀴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바퀴거치대(110);와, 상기 바퀴거치대(110)를 지면에서 일정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서포터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바퀴거치대(110)와 상기 서포터프레임(120)에는 별도의 구동부분이 없이 고정식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리프터(200)는 상기 바퀴거치대(110)의 구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차량의 바퀴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바퀴홀더(210);와, 상기 바퀴홀더(210)를 구속하여 거동시키는 바퀴홀더 장착부(220);와, 상기 바퀴홀더(210)를 앞단에 장착하여 이송시키는 이동부(230);와, 상기 이동부(230)를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리프터(200)는 무인장치이거나 사람이 직접 운전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퀴홀더 장착부(220)는 상기 바퀴홀더(210)를 장착한 브라켓(221);과, 상기 브라켓(221)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222);와, 상기 브라켓이 상하로 이동할 때 이동위치와 방향을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바퀴홀더(210)를 장착하여 이동시키는 이동부(230)는 외형을 이루는 차체부(231);와, 상기 차체부(231)의 하단에 구비된 휠부(232);와, 상기 액추에이터(240)를 탑재할 수 있는 탑재부(233);와, 상기 액추에이터(240)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휠부(23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미도시);와, 상기 바퀴홀더 장착부(22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2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바퀴거치대(110)는 일정단면적과 일정길이를 갖되 대략 수평을 이루면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거치봉(111);과, 상기 거치봉(111)을 지지하는 지지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대(112)는 상기 다수의 거치봉(111) 각각을 하측에서 지지하면서 상기 각각의 거치봉(111)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형성된 공간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지지시키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리프터(200)의 바퀴홀더(210)는 상기 바퀴거치대(1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일정단면적과 일정길이를 갖고, 대략 수평을 이루면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홀더봉(211);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각각의 홀더봉(211)이 상기 각각의 거치봉(111) 사이로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퀴거치대(110)의 거치봉(111)은 홀수개 구비되며, 상기 바퀴홀더(210)의 홀더봉(211)은 짝수개 구비되어 상기 거치봉(111)이 구비된 개수보다 상기 홀더봉(211)이 구비된 개수가 더 크며,
즉, 상기 거치봉(111)의 숫자는 홀수이며, 상기 홀더봉(210)의 숫자는 짝수이고, 상기 거치봉(111)의 숫자보다 홀더봉(210)의 숫자가 더 크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거치봉(111)에서 중앙에 위치한 거치봉(111-1)의 높이가 양쪽에 위치한 거치봉(111-2)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홀더봉(211)에서 안쪽에 위치한 홀더봉(211-1)의 높이가 양쪽에 위치한 홀더봉(211-2)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중앙에 위치한 거치봉(111-1)의 윗면의 높이가 양쪽에 위치한 거치봉(111-2)의 윗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고, 안쪽에 위치한 홀더봉(211-1)의 윗면의 높이가 양쪽에 위치한 홀더봉(211-2)의 윗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에 위치한 거치봉(111-1)의 높이와 양쪽에 위치한 거치봉(111-2)의 높이 차이는 상기 안쪽에 위치한 홀더봉(211-1)의 높이와 양쪽에 위치한 홀더봉(211-2)의 높이 차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서포터프레임(120)은 직육면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층에는 상기 바퀴거치대(110)가 배치되는 사각프레임(121);과, 상기 사각프레임(121)이 이층의 높이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레그부(12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레그부(122)의 하단은 상기 1층에 형성된 주차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일층에 주차하는 차량이 상기 서포터프레임(120)의 배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주차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포터프레임(120)은 상기 거치봉(111)을 지지하는 지지대(112)의 하단에서 상기 지지대(112)를 떠받치는 크로스프레임(12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프레임(123)의 양단은 상기 레그부(122)의 소정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거치봉(111)과 상기 크로스프레임(123) 사이에 상기 지지대(112)의 높이만큼 공간부(S)가 형성된다.
즉, 상기 거치프레임(100)은 차량이 주차되는 주차면 일측에 일렬 주차하는 주차장의 길이방향을 따라 사각프레임(121)이 구비되고, 상기 사각프레임(121)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대칭을 이루는 크로스프레임(12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크로스프레임(123)의 상면은 상기 사각프레임(121)의 상면보다 아래에 배치되어 소정의 높이차가 생기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각프레임(121)과 크로스프레임(123)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레그부(12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사각프레임(121)의 상면에는 주차면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차량의 바퀴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바퀴거치대(110)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바퀴거치대(110) 각각의 거치봉(111)의 하단과 상기 크로스프레임(123) 사이에는 상기 지지대(112)가 배치되어 상기 거치봉(111)을 지지한다.
따라서 중앙에 위치한 거치봉(111-1)과 그 양쪽에 위치한 거치봉(111-2) 사이에서 상부측이 개방되며, 하부측이 상기 크로스프레임(123)으로 막힌 공간부(S)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주차시스템에 따라 차량을 지면에서 상기 거치프레임(100)의 이층으로 주차할 때는 상기 리프터(200)의 홀더봉(211)으로 차량의 바퀴를 홀딩하여 리프팅한 후 상기 홀더봉(211)이 상기 거치봉(111)보다 위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홀더봉(211)을 상기 공간부(S)에 끼워지도록 이동시킴에 따라 차량의 바퀴가 상기 거치봉(111)에 거치되도록 한다.
또한, 차량을 상기 거치프레임(100)의 이층에서 지면으로 출차할 때는 상기 거치봉(111)에 차량의 바퀴가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봉(211)의 높이는 상기 거치봉(111)의 높이와 상기 크로스프레임(123)의 높이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홀더봉(211)을 상기 공간부(S)에 끼워 넣은 후 상기 홀더봉(211)을 상기 거치봉(111)의 높이보다 높이 이동시켜 차량의 바퀴가 상기 홀더봉(211)에 거치되도록 하여 지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렬주차를 이층으로 함으로써 동일면적에 대해 차량의 주차효율을 높여 차량의 주차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거치프레임(100)에 별도의 구동부분 없이 고정식으로 고정파트를 형성하고, 구동파트인 리프터(200)를 별도로 구비시켜 구동파트와 고정파트를 분리시킴으로써 하나의 구동파트를 운영하여 관리 및 유지보수가 종래보다 편리하며, 운영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써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프레임(100)의 상부에 레일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차량을 리프팅하는 리프터(3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리프터(300)는 차량을 적재하는 클램핑부(320)와, 상기 클램핑부(320)를 상하부로 이동시켜 적재된 차량을 이동시키는 리프팅부(310)가 구비되어 지면에 놓인 차량을 리프팅하여 이층의 바퀴거치대에 거치시킨다.
또한, 상기 바퀴거치대는 거치프레임(100)의 소정위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신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치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리프터(300)가 이동되며, 지면에 놓인 차량을 리프팅하여 바퀴거치대에 거치시키거나 바퀴거치대에 거치된 차량을 지면으로 차량을 내려놓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거치프레임 110 : 바퀴거치대
111 : 거치봉 112 : 지지대
120 : 서포터프레임 121 : 사각프레임
122 : 레그부 123 : 크로스프레임
200 : 리프터 210 : 바퀴홀더
211 : 홀더봉 220 : 바퀴홀더 장착부
221 : 브라켓 222 : 구동부
223 : 가이드 230 : 이동부
231 : 차체부 232 : 휠부
233 : 탑재부 235 : 고정부
240 : 액추에이터

Claims (6)

  1. 차량이 일정방향으로 늘어서도록 일렬 주차하는 일렬주차에서 주차공간을 두 배로 활용할 수 있는 복층 일렬 주차 시스템에 있어서,
    일렬주차를 이층으로 하되, 일층에는 지면에 주차하도록 하고, 이층에는 프레임 위에 주차하도록 형성된 거치프레임(100);과,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을 리프팅하여 상기 거치프레임(100)에 올려놓는 리프터(300);로 구성되어 상기 지면에 주차된 차량을 상기 리프터(300)를 통해 상기 거치프레임(100)에 올려놓아 주차시킴에 따라 일렬주차에서 주차공간을 두 배로 활용하는 것이며,
    상기 거치프레임(100)은 차량의 바퀴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바퀴거치대(110);와,
    상기 바퀴거치대(110)를 지면에서 일정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서포터프레임(120);으로 구성되되,
    상기 바퀴거치대(110)와 상기 서포터프레임(120)에는 별도의 구동부분이 없이 고정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거치프레임(100)의 상부에 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차량을 리프팅하는 리프터(300)가 구비되고,
    상기 리프터(300)는
    차량을 적재하는 클램핑부(320)와, 상기 클램핑부(320)를 상하부로 이동시켜 적재된 차량을 이동시키는 리프팅부(310)가 구비되어 지면에 놓인 차량을 리프팅하여 이층의 바퀴거치대에 거치시키며,
    상기 바퀴거치대는 거치프레임(100)의 소정위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신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거치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리프터(300)가 이동되며, 지면에 놓인 차량을 리프팅하여 바퀴거치대에 거치시키거나 바퀴거치대에 거치된 차량을 지면으로 차량을 내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일렬주차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151396A 2017-11-14 2017-11-14 복층 일렬주차 시스템 KR102169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396A KR102169400B1 (ko) 2017-11-14 2017-11-14 복층 일렬주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396A KR102169400B1 (ko) 2017-11-14 2017-11-14 복층 일렬주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616A KR20190054616A (ko) 2019-05-22
KR102169400B1 true KR102169400B1 (ko) 2020-10-23

Family

ID=66679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396A KR102169400B1 (ko) 2017-11-14 2017-11-14 복층 일렬주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40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9319A (ja) * 1994-12-16 1996-07-02 Toyo Umpanki Co Ltd 車両の移送装置
KR100452858B1 (ko) * 2002-09-13 2004-10-20 이완영 스태커크레인을 이용한 무팔레트 가대식 주차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616A (ko)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031B1 (ko) 자동창고
JP4680720B2 (ja) 自動車の入出庫システム
JP3760203B2 (ja) 場所をとらない方法で自動車を駐車させるための装置
CN111017580A (zh) 一种装车码垛装置及装车系统
US3212654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goods
CN108002057B (zh) 一种集装箱公铁转运系统
JPS6071402A (ja) 箱型定形貨物格納設備
KR102169400B1 (ko) 복층 일렬주차 시스템
KR20070024793A (ko) 주차차량 자동이송 시스템
CN103643823A (zh) 一种地下多层升降机侧置式停车设备
KR102121590B1 (ko) 무인운반차
JP2013237511A (ja) カゴ台車用移載装置
KR20060048886A (ko) 다층형 주차설비
CN210635672U (zh) 一种钢柱运输用便于装载的叉车车架
US10794077B1 (en) Mechanical parking garage
JP2013103712A (ja) 線材コイル等積載用可動ラック装置、及びトラック又はトレーラー
CN204060085U (zh) 在负一层旋转掉头的全地下立体车库的进出车交换装置
JP6006100B2 (ja) 機械式駐車装置
CN209777706U (zh) 一种可调的地面导向装置
CN212449159U (zh) 一种箱式复合提升机
JPH07252952A (ja) 立体駐車装置
CN106364941B (zh) 长重组件存运系统
JP5821823B2 (ja) 物品収納設備
JP6010400B2 (ja) 駐車装置
CN103161339B (zh) 一种新型地坑停车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