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970B1 -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970B1
KR102167970B1 KR1020190046048A KR20190046048A KR102167970B1 KR 102167970 B1 KR102167970 B1 KR 102167970B1 KR 1020190046048 A KR1020190046048 A KR 1020190046048A KR 20190046048 A KR20190046048 A KR 20190046048A KR 102167970 B1 KR102167970 B1 KR 102167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iber
polyamide
mass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8566A (ko
Inventor
다카유키 히라이
겐조 후쿠모리
데츠야 오다
다카유키 나가이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8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03Solid polymers with solid and/or liqui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2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carbon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6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4Polyamides derived from alpha-amino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7/04Polyamides derived from alpha-amino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4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5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7/04Polyamides derived from alpha-amino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8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additives to improve the compatibility between two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14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polymeric 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 C08L2205/16Fibres; Fibr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0/00Masterbatch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4/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way of prepa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수지 및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중 한쪽 수지를 제1 수지, 다른 쪽 수지를 제2 수지로 하여, 제1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 C(2)와, 연속상 C(2) 내에 분산된 제2 수지로 이루어지는 분산상 c를 구비하는 해도 구조를 갖고 있으며, 또한, 수지 상 분리 단면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강화 섬유(3)의 평균 단면적 이하의 단면적을 갖는 분산상의 단면적의 합계가 모든 분산상의 단면적의 합계에 대하여 20% 이하이다.

Description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FIBER-REINFORCED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수지의 물성 향상을 목적으로서, 성질이 상이한 수지끼리를 혼합하여 수지의 특성을 개질시키는 폴리머 블렌드 및 폴리머 알로이가 왕성하게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폴리머 블렌드 및 폴리머 알로이에 있어서,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와 같이 극성이 상이한 수지끼리를 복합화시킨 수지 조성물에서는, 수지끼리의 상용성이 나쁘기 때문에 강도가 저하되기 쉽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수지 조성물에 탄소 섬유나 유리 섬유 등의 강화 섬유를 함유시킨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도, 그 우수한 충격 강도나 탄성률로부터, 항공기, 자동차, 철도 차량, 선박, 기타 특히 높은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는 일반 산업 용도에 널리 이용되고 있어, 왕성하게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6-179784에는, (A) 멜트 플로 레이트(MFR:JISK6758)가 0.1 내지 4.0g/10min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40 내지 55중량%, (B) 상대 점도(96% H2SO4, 25℃) [ηr]이 2.0 내지 2.7인 폴리아미드 60 내지 45중량%, (C) 상기의 (A)+(B)=100중량부에 대하여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로 그래프트되고, 그 그래프트양이 0.1 내지 3.0중량%인 변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 내지 30중량부 및 (D) 상기의 (A)+(B)=100중량부에 대하여 유리 섬유 20 내지 15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폴리프로필렌계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강화 섬유를 함유하는 이러한 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우수한 충격 강도나 탄성률 등은 달성되기는 하지만, 상기 강화 섬유 말단에의 응력 집중이 주된 원인이라 생각되는 균열이나, 그 균열의 급격한 전반에 의한 취성적인 파단(취성 파괴)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취성 파괴의 발생이 충분히 억제된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및 강화 섬유를 함유하는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및 상기 강화 섬유의 함유량을 어느 것이나 모두 특정한 범위 내로 하고;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의 수지 상 분리 단면 구조를,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중 한쪽 수지를 제1 수지, 다른 쪽 수지를 제2 수지로 하여, 제1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 A 및 제2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 B로 이루어지는 공연속상과, 연속상 A 내에 분산된 제2 수지로 이루어지는 분산상 a 및 연속상 B 내에 분산된 제1 수지로 이루어지는 분산상 b 중 적어도 한쪽 분산상을 구비하는 공연속 구조, 또는, 제1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 C와, 연속상 C 내에 분산된 제2 수지로 이루어지는 분산상 c를 구비하는 해도 구조로 하고; 또한, 현미경으로 관찰되는 상기 수지 상 분리 단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분산상 중, 상기 강화 섬유의 평균 단면적보다도 단면적이 작은 분산상(소분산상)의 비율(소분산상의 합계 단면적/전 분산상의 합계 단면적)을 충분히 적게 함으로써, 취성이 현저하게 개선되어서, 취성 파괴의 발생이 충분히 억제되는 것을 알아냈다.
즉,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및 강화 섬유를 함유하는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합계 100질량%에 대하여,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의 함유량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이 각각 7 내지 93질량%, 7 내지 93질량%이고,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강화 섬유의 함유량이 10 내지 200질량부이고,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중 한쪽 수지를 제1 수지, 다른 쪽 수지를 제2 수지로 하여, 제1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 A 및 제2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 B로 이루어지는 공연속상과, 연속상 A 내에 분산된 제2 수지로 이루어지는 분산상 a 및 연속상 B 내에 분산된 제1 수지로 이루어지는 분산상 b 중 적어도 한쪽 분산상을 구비하는 공연속 구조, 또는, 제1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 C와, 연속상 C 내에 분산된 제2 수지로 이루어지는 분산상 c를 구비하는 해도 구조를 갖고 있으며, 또한, 현미경으로 관찰되는 수지 상 분리 단면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강화 섬유의 평균 단면적 이하의 단면적을 갖는 분산상의 단면적의 합계가 현미경으로 관찰되는 모든 분산상의 단면적의 합계에 대하여 20% 이하이다.
현미경으로 관찰되는 상기 수지 상 분리 단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 내에 존재하고 있는 강화 섬유의 단면적 합계가 현미경으로 관찰되는 모든 강화 섬유의 단면적 합계에 대하여 75%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가, 프로필렌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전 구성 단위 중 50몰% 이상인 중합체를 함유해도 된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멜트 플로 레이트가 0.1 내지 20g/10min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가,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 폴리아미드(610) 및 폴리아미드(11)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강화 섬유가, 탄소 섬유 및 유리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어도 된다.
또한,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은, 상용화제를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상용화제의 함유량이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합계 질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20질량부 이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폴리아미드 수지와 강화 섬유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공정과, 상기 혼합물에 폴리올레핀 수지를 혼합하여 상기 본 발명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혼합물을 얻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 혼합하는 상기 강화 섬유의 배합량이, 상기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배합되는 모든 강화 섬유의 합계 100질량%에 대하여 75질량%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이하와 같이 추정한다. 즉,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및 강화 섬유를 함유하는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가 서로 상용되지 않기 때문에, 수지 상 분리 단면 구조로서, 분산상을 포함하는 2개의 연속상으로 이루어지는 공연속 구조나, 분산상을 포함하는 연속상으로 이루어지는 해도 구조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상 분리 단면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분산상 중, 그 단면적이 작은, 즉, 상기 강화 섬유의 평균 단면적 이하인 분산상(소분산상)의 비율이 충분히 적기 때문에, 상기 강화 섬유에 대하여, 동 강화 섬유가 존재하는 상은 충분히 큰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굽힘의 힘이 가해졌을 때, 응력 집중점이 되어서 균열이 발생하기 쉬운 강화 섬유 말단에 비하여, 상기 강화 섬유 말단이 존재하는 상(바람직하게는, 주로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을 둘러싸는 외측의 상(바람직하게는, 주로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이 피브릴화하여, 상기 균열의 발생 및 진전을 억제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들 상이 상기와 같이 충분히 크기 때문에, 이러한 균열의 발생 및 진전을 억제하는 효과가 충분히 발현되어, 취성 파괴의 발생이 억제되는 것이라고 본 발명자들은 추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취성 파괴의 발생이 충분히 억제된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및 산업적 의의는 유사 도면 부호가 유사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도 1a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단면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1b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단면의 모폴로지 화상 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단면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3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단면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4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단면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5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단면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비교예 1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단면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7은, 비교예 2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단면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에 대하여 굽힘 시험을 실시하여 얻어진 응력-변형 곡선을 나타낸다.
도 9는, 실시예 4 내지 5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에 대하여 굽힘 시험을 실시하여 얻어진 응력-변형 곡선을 나타낸다.
도 10은, 비교예 1 내지 2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에 대하여 굽힘 시험을 실시하여 얻어진 응력-변형 곡선을 나타낸다.
도 11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균열면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12는, 비교예 2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균열면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입각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우선,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및 강화 섬유를 함유하는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이며,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합계 100질량%에 대하여,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의 함유량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이 각각 7 내지 93질량%, 7 내지 93질량%이고,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강화 섬유의 함유량이 10 내지 200질량부이고,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중 한쪽 수지를 제1 수지, 다른 쪽 수지를 제2 수지로 하여, 제1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 A 및 제2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 B로 이루어지는 공연속상과, 연속상 A 내에 분산된 제2 수지로 이루어지는 분산상 a 및 연속상 B 내에 분산된 제1 수지로 이루어지는 분산상 b 중 적어도 한쪽 분산상을 구비하는 공연속 구조, 또는, 제1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 C와, 연속상 C 내에 분산된 제2 수지로 이루어지는 분산상 c를 구비하는 해도 구조를 갖고 있으며, 또한, 현미경으로 관찰되는 수지 상 분리 단면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강화 섬유의 평균 단면적 이하의 단면적을 갖는 분산상의 단면적의 합계가 모든 분산상의 단면적의 합계에 대하여 20% 이하이다.
〔폴리아미드 수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란, 아미드 결합(-NH-CO-)을 통해 복수의 단량체가 단독 중합 또는 공중합되어 이루어지는 쇄상 골격을 갖는 중합체(폴리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을 나타낸다.
상기 폴리아미드를 구성하는 단량체로서는, 아미노카프로산, 11-아미노운데칸산, 아미노도데칸산, 파라아미노메틸벤조산 등의 아미노산; ε-카프로락탐, 운데칸락탐, ω-라우릴락탐 등의 락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로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로서는, 디아민과 디카르복실산을 단량체로 하는 공중합체여도 된다. 상기 디아민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 1,3-디아미노프로판, 1,4-디아미노부탄, 1,6-디아미노헥산, 1,7-디아미노헵탄, 1,8-디아미노옥탄, 1,9-디아미노노난, 1,10-디아미노데칸, 1,11-디아미노운데칸, 1,12-디아미노도데칸, 1,13-디아미노트리데칸, 1,14-디아미노테트라데칸, 1,15-디아미노펜타데칸, 1,16-디아미노헥사데칸, 1,17-디아미노헵타데칸, 1,18-디아미노옥타데칸, 1,19-디아미노노나데칸, 1,20-디아미노에이코산, 2-메틸-1,5-디아미노펜탄, 2-메틸-1,8-디아미노옥탄 등의 지방족 디아민; 시클로헥산디아민,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등의 지환식 디아민; 크실릴렌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m-페닐렌디아민 등의 방향족 디아민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운데칸이산, 도데칸이산, 브러시인산, 테트라데칸이산, 펜타데칸이산, 옥타데칸이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식 디카르복실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폴리아미드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단량체로서 탄소 원자수가 11인 단량체를 사용하여 얻어진 폴리아미드(11)(PA(11)); 폴리아미드(12)(PA(12)); 탄소수가 6인 단량체 중, ε-카프로락탐을 단독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폴리아미드(6)(PA(6));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핀산의 공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아미드(66)(PA(66)); 식물유인 피마자유 유래의 폴리아미드(610)(PA(610)); 폴리아미드(612)(PA(612)); 헥사메틸렌디아민과 테레프탈산의 공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아미드(6T)(PA(6T)); 폴리아미드 6I(PA(6I)); 폴리아미드(9T)(PA(9T)); 폴리아미드(M5T)(PA(M5T)); 폴리아미드(1010)(PA(1010)); 폴리아미드(1012)(PA(1012)); 폴리아미드(10T); 메탁실릴렌디아민(MXDA)과 아디핀산으로부터 얻어지는 결정성의 폴리아미드인 폴리아미드 MXD(6); 폴리아미드(6T/66); 폴리아미드(6T/6I); 폴리아미드(6T/6I/66); 폴리아미드(6T/2M-5T); 폴리아미드(9T/2M-8T)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폴리아미드를 얻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고, 또한, 시판하는 것을 적절히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폴리아미드의 수 평균 분자량(Mn)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수 평균 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으로, 5,000 내지 5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0 내지 10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폴리아미드 중에서도,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폴리아미드 수지로서는, 융점이 비교적 낮고, 혼합 시에 폴리올레핀 수지의 분해를 보다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는 관점에서, 분자 내에 방향환을 포함하지 않는 폴리아미드인 지방족 폴리아미드(예를 들어,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 폴리아미드(610), 폴리아미드(11), 폴리아미드(12), 폴리아미드(46), 폴리아미드(612) 등)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 폴리아미드(610) 및 폴리아미드(11)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 및 폴리아미드(610)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2종 이상인 경우에는 혼합물)을,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8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수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수지란,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하나 포함하는 알켄(올레핀)을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폴리올레핀) 및 이들의 혼합물을 나타낸다.
상기 폴리올레핀을 구성하는 단량체로서는, 에틸렌; 탄소수 3 내지 20의 불포화 탄화수소 화합물인 α-올레핀(예를 들어,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3-메틸-1-부텐, 4-메틸-1-펜텐)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폴리올레핀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고, 또한, 시판하는 것을 적절히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폴리올레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이, 10,000 내지 5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00 내지 45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000 내지 400,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폴리올레핀 중에서도,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결정화되어 역학 특성이나 내약품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는 관점에서, 프로필렌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전 구성 단위 중 50몰% 이상인 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3 내지 8의 α-올레핀과의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3 내지 8의 α-올레핀과의 중합체(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2종 이상인 경우에는 혼합물)을,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8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의 수지 상 분리 단면 구조에 있어서 하기의 소분산상의 비율이 보다 적어지는 경향이 있다는 관점에서, 230℃, 21.18N에 있어서, JISK721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멜트 플로 레이트(MFR)가, 0.1 내지 50g/10min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30g/10min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내지 20g/10min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강화 섬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강화 섬유로서는, 수지의 강화 섬유로서 공지의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탄소 섬유, 유리 섬유, 알루미나 섬유, BN 섬유, 아라미드 섬유, PBO 섬유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강화 섬유로서는,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의 강도 및 탄성률이 보다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는 관점에서, 탄소 섬유 및 유리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강화 섬유의 형상에는, 섬유상, 바늘상, 판상, 원기둥상 등의 형상을 포함하고, 1차 입자의 가장 긴 직경과 가장 짧은 직경의 비로 표시되는 애스펙트비(가장 긴 직경/가장 짧은 직경)가 3을 초과하는(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강화 섬유로서는, 상기 1차 입자의 가장 긴 직경이 100 내지 10,000㎛(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1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짧은 직경이 30 내지 30,000nm(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5,0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강화 섬유의 가장 긴 직경 및 가장 짧은 직경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에 의한 관찰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1차 입자의 가장 긴 직경이란, SEM에 의해 관찰되는 1차 입자의 장축 방향 길이를 말하고, 상기 가장 짧은 직경이란, 동 1차 입자의 단축 방향의 길이를 말한다.
〔기타 성분〕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은, 상용화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를 상용화시키는 상용화제로서 기능하는 것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성기를 갖는 엘라스토머인 변성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로서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옥텐 등의 α-올레핀 중 2종 이상을 단량체로 하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R),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EBR), 에틸렌-1-펜텐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EOR),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PBR), 프로필렌-1-펜텐 공중합체, 프로필렌-1-옥텐 공중합체(POR)를 들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스티렌계 화합물과 공액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 및 그의 수소 첨가체를 들 수 있고, 상기 스티렌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등의 알킬스티렌; p-메톡시스티렌; 비닐나프탈렌을 들 수 있고, 상기 공액 디엔 화합물로서는, 부타디엔, 이소프렌, 피페릴렌, 메틸펜타디엔, 페닐부타디엔, 3,4-디메틸-1,3-헥사디엔, 4,5-디에틸-1,3-옥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SI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SEPS)를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성기로서는, 산 무수물기(-CO-O-OC-), 카르복실기(-COOH), 에폭시기[-C2O(2개의 탄소 원자와 1개의 산소 원자로 이루어지는 삼원환 구조)], 옥사졸린기(-C3H4NO), 이소시아네이트기(-NCO)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의 반응성이 보다 높은 경향에 있다는 관점에서, 상기 반응성기로서는, 산 무수물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엘라스토머에 상기 반응성기를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엘라스토머의 합성 시에 산 무수물을 단량체로서 첨가하는 방법을 들 수 있고, 상기 산 무수물로서는, 무수 말레산, 무수 프탈산, 무수 이타콘산, 무수 숙신산, 무수 글루타르산, 무수 아디프산, 무수 시트라콘산, 테트라히드로 무수 프탈산, 부테닐 무수 숙신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변성 엘라스토머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무수 말레산 변성 EPR, 무수 말레산 변성 PBR, 무수 말레산 변성 EBR, 무수 말레산 변성 EOR, 무수 말레산 변성 POR 등의 무수 말레산 변성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무수 말레산 변성 SEBS, 무수 말레산 변성 SBS, 무수 말레산 변성 SIS, 무수 말레산 변성 SEPS 등의 무수 말레산 변성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시판하는 것을 적절히 사용해도 된다.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이, 10,000 내지 5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0 내지 50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000 내지 400,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이 상기 상용화제를 더 함유하는 경우, 당해 상용화제로서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보다 상용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무수 말레산 변성 SEBS(m-SEBS), 무수 말레산 변성 EBR(m-EBR) 및 무수 말레산 변성 EPR(m-EPR)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로서는,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 상기 상용화제의 반응물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폴리아미드 수지와 상용화제의 반응물은, 예를 들어 하기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 상기 상용화제를 혼합함으로써 해당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중에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로서는, 본 실시 형태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또 다른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다른 성분으로서는, 상기 강화 섬유 이외의 충전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이외의 다른 열가소성 수지; 난연제; 난연 보조제; 착색제; 항산화제; 항 자외선제; 열 안정화제; 항균제; 대전 방지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강화 섬유 이외의 충전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글래스 비즈, 실리카, 흑연, 규산 화합물(규산 칼슘, 규산 알루미늄, 카올린, 탈크, 클레이 등), 금속 산화물(산화철,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안티몬, 알루미나 등), 탄산염, 황산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다른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페닐렌옥시드계 수지, ABS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폴리락트산, 폴리히드록시알칸산),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난연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할로겐계 난연제(할로겐화 방향족 화합물), 인계 난연제(질소 함유 인산염 화합물, 인산에스테르 등), 질소계 난연제(구아니딘, 트리아진, 멜라민 및 이들의 유도체 등), 무기계 난연제(금속 수산화물 등), 붕소계 난연제, 실리콘계 난연제, 황계 난연제, 적인계 난연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난연 보조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각종 안티몬 화합물, 아연을 포함하는 금속 화합물, 비스무트를 포함하는 금속 화합물, 수산화마그네슘, 점토질 규산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착색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안료 및 염료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의 조성〕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의 함유량(혼합물인 경우에는 합계 함유량, 이하 동일)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합계 100질량%에 대하여 7 내지 93질량%이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의 함유량으로서는, 10 내지 9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20 내지 8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의 강도 및 내열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취성 파괴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이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 상기 상용화제의 반응물을 더 함유하는 경우,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의 함유량이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의 배합량 환산에서의 양을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혼합물인 경우에는 합계 함유량, 이하 동일)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합계 100질량%에 대하여 7 내지 93질량%이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으로서는, 10 내지 9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20 내지 8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취성 파괴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의 강도 및 내열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의 함유량과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과의 비(폴리아미드 수지의 함유량: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로서는, 상기와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93:7 내지 7:93이고, 90:10 내지 10:9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20 내지 20:8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강화 섬유의 함유량(혼합물인 경우에는 합계 함유량, 이하 동일)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0질량부이다. 상기 강화 섬유의 함유량으로서는, 15 내지 150질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20 내지 100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강화 섬유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강화 섬유에 의한 보강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되어 성형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이 상기 상용화제를 더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혼합물인 경우에는 합계 함유량, 이하 동일)으로서는,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2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1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상용화제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폴리아미드 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와의 상용화가 진행되어 서로 분산되기 때문에, 상기 소분산상의 비율이 많아져, 취성 파괴가 일어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이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 상기 상용화제의 반응물을 더 함유하는 경우, 상기 상용화제의 함유량이란, 상기 상용화제의 배합량 환산에서의 양을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이 상기의 다른 성분을 더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2종 이상인 경우에는 합계 함유량, 이하 동일)으로서는, 상기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2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내지 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의 역학 특성이나 내열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의 구조〕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상 분리 단면 구조를 갖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중 한쪽 수지를 제1 수지, 다른 쪽 수지를 제2 수지로 하여, 제1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 A 및 제2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 B로 이루어지는 공연속상과, 연속상 A 내에 분산된 제2 수지로 이루어지는 분산상 a 및 연속상 B 내에 분산된 제1 수지로 이루어지는 분산상 b 중 적어도 한쪽 분산상을 구비하는 공연속 구조, 또는, 제1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 C와, 연속상 C 내에 분산된 제2 수지로 이루어지는 분산상 c를 구비하는 해도 구조를 갖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으로 이루어지는 공연속상과,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 내에 분산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분산상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 내에 분산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분산상 중 적어도 한쪽 분산상을 구비하는 공연속 구조;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해상) 및 해당 연속상 내에 분산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분산상(도상)을 구비하는 해도 구조;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해상) 및 해당 연속상 내에 분산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분산상(도상)을 구비하는 해도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중 어느 구조를 형성할지는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비에 따른 것이며, 상기 공연속 구조는,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의 합계 함유량과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합계 함유량의 비(단면적비)가 1:1.5 내지 1.5:1인 경우에 형성되고, 그 이외의 경우에 형성되는 상기 해도 구조에 있어서는, 보다 함유량이 많은 쪽의 수지가 해상(연속상)을, 다른 쪽 수지가 섬상(분산상)을, 각각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수지 상 분리 단면 구조는, 현미경을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출 성형에서 JISK71621BA형으로 성형하게 한 수지 조성물의 평행 부분으로부터 장축 방향으로 수직인 단면을 잘라내서 연마하고, 이 단면을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상 분리 구조에 있어서의 각 상은,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WinROOF(미따니 쇼지 가부시키가이샤제)」 등)를 사용하여 판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로서는, 상기의 공연속 구조 및 해도 구조 중 어느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지만, 적어도,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중 한쪽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연속상 A, B, C) 내에 분산된, 다른 쪽 수지로 이루어지는 분산상(분산상 a, b, c)을 1종 이상 갖는다. 그 중에서도,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로서는,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중 한쪽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과 해당 연속상 내에 분산된 다른 쪽 수지로 이루어지는 분산상을 구비하는 해도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추가로/또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과 해당 연속상 내에 분산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분산상을 적어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 수지 상 분리 단면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강화 섬유의 평균 단면적 이하의 단면적을 갖는 분산상(이하, 경우에 따라 「소분산상」이라고 한다)의 단면적의 합계(소분산상의 합계 단면적)가, 모든 분산상의 단면적의 합계(전 분산상의 합계 단면적)에 대하여 20% 이하이다. 상기 전 분산상의 합계 단면적에 대한 소분산상의 합계 단면적의 비율로서는, 0 내지 18%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0 내지 1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소분산상의 합계 단면적의 비율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취성이 현저하게 악화되어서 취성 파괴가 일어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수지 상 분리 구조에 있어서의 분산상의 단면적 및 강화 섬유의 평균 단면적은,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되는 상기 수지 상 분리 단면 구조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사출 성형에서 JISK71621BA형으로 성형하게 한 상기 강화 섬유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평행 부분으로부터 장축 방향으로 수직인 단면을 잘라내서 연마하고, 이 단면의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되는 200×300㎛의 범위에 있어서,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WinROOF(미따니 쇼지 가부시키가이샤제)」 등)를 사용하여 판별되는 모든 분산상 및 모든 강화 섬유의 단면적을 각각 측정한다. 이어서, 측정된 모든 강화 섬유의 단면적을 평균화한 값을 상기 강화 섬유의 평균 단면적이라고 하고, 또한, 상기 분산상 중, 단면적이 상기 강화 섬유의 평균 단면적 이하인 상을 소분산상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강화 섬유는, 상기 연속상 내에 존재하고 있어도 상기 분산상 내에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상 내에 존재하고 있어도 상기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상 내에 존재하고 있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강화 섬유로서는, 현미경으로 관찰되는 상기 수지 상 분리 단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 내에 존재하고 있는 강화 섬유의 단면적 합계가 모든 강화 섬유의 단면적 합계에 대하여 7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화 섬유의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 내에 존재하는 비율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의 최대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강화 섬유의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 내에 존재하는 비율은, 상기의 분산상의 단면적 및 강화 섬유의 평균 단면적과 마찬가지로 하여 모든 강화 섬유의 단면적을 측정하고, 그 합계 면적에 대한,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 내에 존재하고 있는 강화 섬유의 합계 단면적의 비율로서 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 내에 존재하는 강화 섬유의 비율은, 배합 시에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 미리 혼합한 강화 섬유의 비율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폴리아미드 수지와 강화 섬유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공정(제1 공정)과, 상기 혼합물에 폴리올레핀 수지를 혼합하여 상기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을 얻는 공정(제2 공정)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혼합물을 얻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 혼합하는 상기 강화 섬유의 배합량이, 상기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배합되는 모든 강화 섬유의 합계 100질량%에 대하여 75질량% 이상이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 상기의 특정한 조성 및 구조의 본 실시 형태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상기 강화 섬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및 얻어지는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로서는, 상기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기재된 바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우선, 제1 공정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 상기 강화 섬유를 혼합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 미리 혼합하는 상기 강화 섬유의 배합량이, 상기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배합되는 모든 강화 섬유의 합계 100질량%에 대하여 75질량% 이상이다. 상기 강화 섬유의 배합량으로서는, 80 내지 10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90 내지 10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강화 섬유의 배합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얻어지는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소분산상의 비율이 많아져, 취성 파괴가 일어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1 공정에 있어서, 상기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배합되는 전량, 즉, 상기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배합되는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0질량부(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50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질량부)를,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 미리 혼합하지 않았을 경우, 잔분의 강화 섬유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와 미리 혼합해도 되고, 하기의 제2 공정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와 혼합할 때 단독으로 첨가하여 혼합해도 된다.
제1 공정에 있어서, 상기 강화 섬유와 혼합하는 폴리아미드 수지의 배합량으로서는, 상기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배합되는 폴리아미드 수지의 합계 100질량%에 대하여 7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내지 10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내지 10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의 배합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얻어지는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소분산상의 비율이 많아져, 취성 파괴가 일어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1 공정에 있어서, 상기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배합되는 전량, 즉, 상기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배합되는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합계 100질량%에 대하여 7 내지 93질량%(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질량%)를, 상기 강화 섬유와 미리 혼합하지 않았을 경우, 잔분의 폴리아미드 수지는, 하기의 제2 공정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와 혼합할 때 단독으로 첨가하여 혼합해도 된다.
제1 공정에 있어서, 상기 혼합의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혼련 장치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혼련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압출기(1축 스크루 압출기, 2축 용융 혼련 압출기 등), 니더, 믹서(고속 유동식 믹서, 패들 믹서, 리본 믹서 등), 사출 성형기를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속적으로 운전해도 되고, 회분적으로(배치식으로) 운전해도 된다. 또한, 혼합하는 각 성분은 일괄하여 혼련해도 되고, 어느 것을 복수회로 나누어서 첨가 투입(다단 배합)하여 혼련해도 된다.
제1 공정에서의 혼합 온도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의 종류에 의해 적절히 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용융된 상태에서 혼합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는, 예를 들어 200 내지 320℃인 것이 바람직하고, 230 내지 3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 시간으로서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분간 내지 1시간이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지는 혼합물로서는, 펠릿화 등에 의해 고형화된 고형물이어도 되고, 용융물이어도 된다. 또한, 다이셀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제의 탄소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상품명: 플라스트론),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의 탄소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상품명: 토레카 단섬유 펠릿, 토레카 장섬유 펠릿) 등 시판하는 것을 적절히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이어서, 제2 공정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과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를 혼합한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상기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배합되는 전량, 즉, 상기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배합되는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합계 100질량%에 대하여 7 내지 93질량%(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질량%)를 그대로 상기 혼합물과 혼합해도 되고, 그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강화 섬유의 잔분과 미리 혼합한 혼합물로서 혼합해도 된다.
또한, 제2 공정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를 상기 강화 섬유의 잔분과 미리 혼합한 혼합물로서 혼합하는 경우, 상기 강화 섬유와 혼합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배합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배합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합계 100질량%에 대하여 7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배합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취성 파괴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제2 공정에 있어서, 상기 혼합의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혼합물,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및 필요에 따라,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단독, 상기 강화 섬유 단독,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와 상기 강화 섬유의 혼합물, 상기 상용화제나 상기 다른 성분을 미리 드라이 블렌드 등에 의해 혼합한 후, 혼련 장치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혼련 장치 및 혼련 방법으로서는 상기의 제1 공정에 기재된 바와 같다.
제2 공정에서의 혼합 온도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등의 종류에 의해 적절히 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예를 들어 200 내지 330℃인 것이 바람직하고, 230 내지 3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 시간으로서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분간 내지 1시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상기 고형물 및/또는 용융물로서 제1 공정으로 얻어진 혼합물과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를 용융 혼련해도 되고, 다단 배합식 혼련 장치 등을 사용하여, 상류측에서 상기 혼합물을 제조한 후에 하류측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를 첨가하여 용융 혼련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을 얻어도 된다. 또한, 얻어지는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은, 펠릿화 등에 의해 고형화되거나, 성형된 고형물이어도 되고, 용융물이어도 된다.
(성형체)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은 어떻게 성형해도 되고, 상기 성형의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수지 조성물의 성형 방법으로서 종래 공지의 방법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출 성형, 압출 성형, 흡입 성형, 압축 성형(프레스 성형) 등,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에 대해서 사용되는 성형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로서는, 그 형상, 크기 및 두께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그 용도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은, 자동차, 철도 차량, 선박, 비행기 등의 외장재, 내장재 및 구조재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의 외장재, 내장재 및 구조재로서는, 자동차용 외장재, 자동차용 내장재, 자동차용 구조재, 자동차용 충격 에너지 흡수재,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재, 자동차용 탑승원 보호재, 엔진룸 내 부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은, 건축물, 가구 등의 내장재, 외장재 및 구조재,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어 표장재, 도어 구조재, 각종 가구(책상, 의자, 선반, 장롱 등)의 표장재, 구조재 등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고, 기타, 포장체, 수용체(트레이 등), 보호용 부재, 파티션 부재, 가전 제품(박형 TV,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휴대 전화, 휴대 게임기, 노트북 컴퓨터 등)의 하우징 및 구조체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모폴로지 관찰 및 성능 평가는 각각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모폴로지 관찰) 모폴로지 관찰에 의해, 수지 상 분리 단면 구조의 확인 및 소분산상 비율의 산출을 행하였다. 우선,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평행 부분으로부터 장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잘라내서 에폭시 수지에 포매하고, 기계 연마를 행하였다. 이어서, 이 단면을 광학 현미경(「ECLIPSELV100N」, 니콘 가부시키가이샤제)을 사용하여 배율 50배로 관찰하였다. 상기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된 200×300㎛의 범위에 있어서,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WinROOF」, 미따니 쇼지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사용하여,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및 강화 섬유를 각각 식별한 후, 상기 범위 내의 모든 분산상 및 모든 강화 섬유의 단면적을 각각 측정하였다. 측정된 모든 강화 섬유의 단면적을 평균화하여 강화 섬유의 평균 단면적으로 하고, 상기 범위 내에 있는 분산상 중, 단면적이 상기 강화 섬유의 평균 단면적 이하인 상을 소분산상으로 하여, 소분산상 비율[%]((소분산상의 합계 단면적/전 분산상의 합계 단면적)×100)을 구하였다. 또한, 상기 범위 내에 있어서, 모든 강화 섬유의 단면적 합계에 대한,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 내에 존재하고 있는 강화 섬유의 단면적 합계 비율[%]((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 내에 존재하고 있는 강화 섬유의 합계 단면적/전 강화 섬유의 합계 단면적)×100)을 구하였다.
(성능 평가) 〔굽힘 탄성률·굽힘 강도 측정〕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80℃에서 12시간 진공 건조시킨 후, 만능 시험기(인스트론 재팬 컴퍼니 리미티드제)를 사용하고, 지점간 거리: 32mm, 변위 속도: 1mm/min, 온도: 23℃의 조건에서 굽힘 시험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응력 [GPa]-변형 곡선의, 변형 0.05% 내지 0.25% 사이의 기울기를 굽힘 탄성률[GPa]로 하고, 최대 응력을 굽힘 강도[GPa]로 하였다.
〔파괴 형태 평가〕 상기의 굽힘 시험에 있어서, 최대 응력을 나타낸 후의 시험편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하기의 기준:
평가 A: 최대 응력을 나타낸 후에 시험편이 분할되지 않았다(절곡 부분에 균열이 발생해도 그 진전이 억제되어서 분할되지 않았다)
평가 B: 최대 응력을 나타낸 후에 시험편이 파단됨과 함께 파단면에서 2개로 분할되어, 취성적인 파단이 일어났다
에 따라 파괴 형태를 평가하였다. 또한, 상기의 굽힘 시험에 의해 최대 응력을 나타낸 후에 나타난 균열면(파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S-3600」,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하이테크 매뉴팩처 & 서비스제)을 사용하여, 가속 전압: 15kV, 배율: 500배의 조건에서 관찰하였다.
(실시예 1) 우선, 폴리아미드(6)(PA)와 탄소 섬유(CF)가 3:2의 질량비로 미리 혼합된 탄소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의 펠릿(PA-CF, 「플라스토론PA6-CF40」, 다이셀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제)을 50질량부와, 폴리프로필렌(PP, 「E111G」, 가부시키가이샤 프라임폴리머제, MFR: 0.5g/10min)을 50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한 후, 탁상 사출 성형기(가부시키가이샤 신흥 셀 빅제)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270℃의 조건에서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음과 함께, 금형 온도: 135℃의 조건에서 사출 성형을 행하고, 수지 조성물을 JISK71621BA형으로 성형한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탄소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의 펠릿(PA-CF)을 45질량부와, 폴리프로필렌(PP)을 47질량부와, 폴리아미드(6)(PA, 「A1030BRL」, 유니티카 가부시키가이샤제)를 3질량부와, 폴리프로필렌(PP, MFR: 0.5g/10min)과 탄소 섬유가 3:2의 질량비로 미리 혼합된 탄소 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의 펠릿(PP-CF, 「플라스토론PP-CF40」, 다이셀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제)를 5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한 후에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3) 탄소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의 펠릿(PA-CF)을 40질량부와, 폴리프로필렌(PP)을 44질량부와, 폴리아미드(6)(PA)를 6질량부와, 탄소 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의 펠릿(PP-CF)을 10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한 후에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4) 탄소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의 펠릿(PA-CF)을 75질량부와, 폴리프로필렌(PP)을 25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한 후에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5) 탄소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의 펠릿(PA-CF)을 45질량부와, 폴리프로필렌(PP)을 45질량부와, 무수 말레산 변성 SEBS(m-SEBS, 「FG1901G」, 크레이튼 폴리머 재팬사제) 10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한 후에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탄소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의 펠릿(PA-CF)을 35질량부와, 폴리프로필렌(PP)을 41질량부와, 폴리아미드(6)(PA)를 9질량부와, 탄소 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의 펠릿(PP-CF)을 15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한 후에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 탄소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의 펠릿(PA-CF)을 25질량부와, 폴리프로필렌(PP)을 35질량부와, 폴리아미드(6)(PA)를 15질량부와, 탄소 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의 펠릿(PP-CF)을 25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한 후에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에 있어서 배합한 폴리아미드 수지(PA 및/또는 PA-CF), 폴리올레핀 수지(PP 및/또는 PP-CF), 및 상용화제(m-SEBS)의 조성을 하기의 표 1에 나타낸다. 표 1 중의 단위는 「질량부」이다. 표 1에는, 탄소 섬유(CF)에 대해서, 미리 폴리아미드 수지와 혼합한 배합량과 미리 폴리올레핀 수지와 혼합한 배합량을 각 괄호 내에 나타내고, 그 배합비(CF 배합비[PA 내:PP 내])도 합쳐서 나타낸다.
Figure 112019040455541-pat00001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에 대하여 모폴로지 관찰을 실시하여 얻어진 단면의 광학 현미경 사진을, 각각, 도 1a, 도 2 내지 도 7에 나타낸다. 또한, 도 1b에는, 모폴로지 관찰에 있어서,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에 대하여 화상 해석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도 1b에 대해서는, 참고 자료로서 별도 컬러 도면을 제출한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에 대하여 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응력-변형 곡선을 도 8 내지 도 10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균열면(파단면)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사진을 도 11 내지 도 12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모폴로지 관찰을 실시하여 얻어진 소분산상 비율[%], 성능 평가를 실시하여 얻어진 굽힘 탄성률(탄성률[GPa]), 굽힘 강도(강도[GPa]) 및 파괴 형태 평가의 결과를,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수지 조성물의 조성과 합해 하기의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표 2에는, 폴리아미드(6) 및 폴리프로필렌의 합계 질량부(PA+PP)에 있어서의 폴리아미드(6) 및 폴리프로필렌의 각 함유량(PA+PP 내%), 및, 상기 합계 100질량부에 대한 탄소 섬유 및 무수 말레산 변성 SEBS의 각 질량부(쌍PA+PP)도 각 괄호 내에 합쳐서 나타낸다.
Figure 112019040455541-pat00002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있어서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연속상(2) 내에 분산된 폴리아미드(6)로 이루어지는 분산상(1)을 갖고 있으며, 분산상(1)으로서는, 탄소 섬유(3)의 평균 단면적 이하의 단면적을 갖는 소분산상(12) 및 탄소 섬유(3)의 평균 단면적보다도 큰 단면적을 갖는 대분산상(11)이 존재하고 있었지만,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분산상의 비율은 5%로, 충분히 적었다. 또한,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내지 5에 있어서도,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상 및 폴리아미드(6)로 이루어지는 상은 모두, 큰 단면적을 갖는 상을 주로 형성하고 있고,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분산상 비율도 적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5에 있어서는 모두, 상기 폴리아미드(6)로 이루어지는 상 내에 존재하고 있는 탄소 섬유의 단면적 합계가 모든 탄소 섬유의 단면적 합계에 대하여 75% 이상이었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2에 있어서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상 및 폴리아미드(6)로 이루어지는 상은 모두, 미세한 분산상을 갖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고,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분산상 비율이 많았다.
또한, 소분산상 비율이 적었던 실시예 1 내지 5에 있어서는 어느 것이나 모두,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굽힘 탄성률 및 굽힘 강도가 충분히 높음과 함께, 도 8 내지 도 9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균열의 진전이 도중에 억제되어서 큰 변형을 받아도 파단이 일어나지 않고, 취성 파괴의 발생이 억제됨이 확인되었다. 한편, 소분산상 비율이 20%를 초과하는 경우(비교예 1 내지 2에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굽힘 탄성률 및 굽힘 강도는 높지만, 도 10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응력을 초과한 후에 균열이 급속하게 진전되어 파단이 일어나고, 취성이 현저하게 악화되어 버리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2로부터, 실시예 1에서는, 굽힘 시험에서 드러난 균열면에 있어서 탄소 섬유의 주변으로부터 피브릴상으로 연신된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상이 몇개 확인된 것에 비해, 비교예 2에서는, 균열면(파단면)에 이러한 피브릴화는 확인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변형 시에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상이 잡아늘여져서 변형 경화가 일어나, 균열의 진전을 막을 수 있었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취성 파괴의 발생이 충분히 억제된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9)

  1.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및 강화 섬유(3)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합계 100질량%에 대하여,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의 함유량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이 각각 7 내지 93질량%, 7 내지 93질량%이고,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강화 섬유(3)의 함유량이 10 내지 200질량부이고,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중 한쪽 수지를 제1 수지, 다른 쪽 수지를 제2 수지로 하여, 제1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 A 및 제2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 B로 이루어지는 공연속상과, 연속상 A 내에 분산된 제2 수지로 이루어지는 분산상 a 및 연속상 B 내에 분산된 제1 수지로 이루어지는 분산상 b 중 적어도 한쪽 분산상을 구비하는 공연속 구조, 또는, 제1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상 C(2)와, 연속상 C(2) 내에 분산된 제2 수지로 이루어지는 분산상 c를 구비하는 해도 구조를 갖고 있으며, 또한,
    현미경으로 관찰되는 수지 상 분리 단면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강화 섬유(3)의 평균 단면적 이하의 단면적을 갖는 분산상(12)의 단면적의 합계가 상기 현미경으로 관찰되는 모든 분산상의 단면적의 합계에 대하여 20% 이하이고,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 혼합되는 상기 강화 섬유의 배합량이, 상기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배합되는 모든 강화 섬유의 합계 100질량%에 대하여 75질량% 이상인,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현미경으로 관찰되는 상기 수지 상 분리 단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 내에 존재하고 있는 강화 섬유(3)의 단면적의 합계가 상기 현미경으로 관찰되는 모든 강화 섬유(3)의 단면적의 합계에 대하여 75% 이상인,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가, 프로필렌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전 구성 단위 중 50몰% 이상인 중합체를 함유하는,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멜트 플로 레이트가 0.1 내지 20g/10min인,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가,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 폴리아미드(610) 및 폴리아미드(11)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섬유(3)가, 탄소 섬유 및 유리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를 상용화시키는 상용화제를 더 포함하는,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의 함유량이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20질량부 이하인,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9.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와 강화 섬유(3)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제1 공정과,
    상기 혼합물에 폴리올레핀 수지를 혼합하여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을 얻는 제2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정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 혼합하는 상기 강화 섬유(3)의 배합량이, 상기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에 배합되는 모든 강화 섬유(3)의 합계 100질량%에 대하여 75질량% 이상인,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90046048A 2018-06-05 2019-04-19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67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07803 2018-06-05
JP2018107803A JP6934451B2 (ja) 2018-06-05 2018-06-05 繊維強化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566A KR20190138566A (ko) 2019-12-13
KR102167970B1 true KR102167970B1 (ko) 2020-10-20

Family

ID=66248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048A KR102167970B1 (ko) 2018-06-05 2019-04-19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65295B2 (ko)
EP (1) EP3578593B1 (ko)
JP (1) JP6934451B2 (ko)
KR (1) KR102167970B1 (ko)
CN (1) CN110564049B (ko)
BR (1) BR102019011361A2 (ko)
RU (1) RU2717054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54156A1 (en) 2017-03-30 2018-10-04 Progenity Inc. Treatment of a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il-10 or an il-10 agonist
CN111019221A (zh) * 2019-12-27 2020-04-17 江苏海威塑业科技有限公司 一种超大口径非开挖排水用pe管及其制备方法
CN114591622B (zh) * 2022-03-30 2023-08-11 江苏金发科技新材料有限公司 一种聚酰胺聚丙烯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8458A (ja) * 1983-09-09 1985-04-04 Mitsui Petrochem Ind Ltd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7119349B2 (ja) 1987-11-04 1995-12-20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ガラス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630799B2 (ja) * 1988-03-18 1997-07-16 東燃化学株式会社 繊維強化ポリマー組成物
JPH04270758A (ja) * 1991-01-14 1992-09-28 Showa Denko Kk 強化ポリアミド・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JPH06200087A (ja) * 1992-02-26 1994-07-19 Tonen Chem Corp 繊維強化ポリマー組成物
JPH06179784A (ja) 1992-12-14 1994-06-28 Tosoh Corp ポリプロピレン系組成物
JP3216428B2 (ja) * 1994-06-13 2001-10-09 チッソ株式会社 長繊維強化ポリマーアロイ樹脂組成物
KR100792115B1 (ko) 2001-12-27 2008-01-04 삼성토탈 주식회사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4899350B2 (ja) * 2005-06-14 2012-03-21 東レ株式会社 耐不凍液性に優れた水回り部材用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水回り部材
RU2315784C1 (ru) * 2006-03-31 2008-01-27 Некоммерческая организация Учреждение Институт проблем химической физики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татус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учреждения (ИПХФ РАН) Термопластичные армированные композиционные материалы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готовления
JP5505304B2 (ja) 2009-03-16 2014-05-28 東レ株式会社 繊維強化樹脂組成物、成形材料および繊維強化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675654B1 (ko) * 2011-12-22 2016-11-11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성형체
JP2013203772A (ja) 2012-03-27 2013-10-07 Mitsubishi Rayon Co Ltd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
CN102719934B (zh) * 2012-06-21 2014-01-29 浙江理工大学 一种海岛复合纺丝法制备超细可染聚丙烯纤维的方法
JP5798595B2 (ja) 2012-06-22 2015-10-21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樹脂組成物
KR102010437B1 (ko) * 2012-12-28 2019-08-13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EP3281969B1 (en) 2015-09-30 2020-03-18 Teijin Limited Press-molded product
JP6916459B2 (ja) * 2016-06-22 2021-08-11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樹脂組成物
JP6149994B1 (ja) * 2016-09-28 2017-06-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体
JP2018053082A (ja) * 2016-09-28 2018-04-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体
JP6939005B2 (ja) 2017-03-24 2021-09-2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樹脂成形体用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64049B (zh) 2022-05-13
US11365295B2 (en) 2022-06-21
JP6934451B2 (ja) 2021-09-15
BR102019011361A2 (pt) 2019-12-10
CN110564049A (zh) 2019-12-13
EP3578593B1 (en) 2020-05-13
US20190367689A1 (en) 2019-12-05
KR20190138566A (ko) 2019-12-13
RU2717054C1 (ru) 2020-03-17
EP3578593A1 (en) 2019-12-11
JP2019210379A (ja)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0015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167565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성형체
KR10167565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780569B1 (ko) 수지 조성물
JP5914318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102167970B1 (ko)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3147645A5 (ko)
JP2016538390A (ja) 大きい成形部品のためのポリアミド成形用コンパウンド
JP6916459B2 (ja) 樹脂組成物
EP3438182B1 (en) Dispersion diameter adjustment method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10717827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molded body
KR20200073335A (ko) 유리섬유 보강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