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688B1 - 벽면 부착형 발열체 시스템 - Google Patents

벽면 부착형 발열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688B1
KR102166688B1 KR1020190168795A KR20190168795A KR102166688B1 KR 102166688 B1 KR102166688 B1 KR 102166688B1 KR 1020190168795 A KR1020190168795 A KR 1020190168795A KR 20190168795 A KR20190168795 A KR 20190168795A KR 102166688 B1 KR102166688 B1 KR 102166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power line
unit
wal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훈
최경후
김순희
이승정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68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8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ing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벽면 부착형 발열체 시스템은 타일부, 전원 라인부 및 중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타일부는 벽체 상에 복수개가 부착되며, 전류를 공급받아 발열하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라인부는 상기 전극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타일부로 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타일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경우, 상기 전원 라인부는 상기 복수의 타일부들로부터 연장부를 모두 연결한다.

Description

벽면 부착형 발열체 시스템{HEATING SYSTEM ATTACHED TO A WALL}
본 발명은 발열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벽면 등과 같은 벽면 구조물 상에 부착되어 발열을 수행함으로써 벽면이 커버하는 공간상에 온기 또는 열기를 제공할 수 있는 벽면 부착형 발열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축물의 벽면 등과 같은 구조물 상에 부착되어 발열을 수행하는 기술이 다수 개발되어 왔으며, 대표적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9688호가 있다.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 건축물 내장 마감용 준불연성 복합패널에 관한 것으로,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발열되는 발열 카본사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 카본사가 복합패널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 벽체의 설비 단계로부터 내제된 시공방법으로 상기 발열 카본사를 시공하는 것으로, 이미 시공된 상태에서 발열 카본사의 발열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벽체를 해체하고 다시 시공하는 방법을 제외하고는 다른 방법으로의 개선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다.
또한, 이러한 발열체의 시공방법은 상기 등록특허 외에 종래의 대다수의 기술에 적용된 것으로, 이러한 벽체에의 직접 시공은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실내 인테리어의 시공 단계에서 1회성으로 작업될 뿐, 이후 AS 등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시공을 통해 벽체 전체 또는 일부에 발열체가 시공되는 경우, 시공된 발열체 전체에 대한 On/Off 제어만 가능할 뿐이며, 일부 영역에 대한 선택적 On/Off 제어가 어려우며, 상기 발열체가 실제 동작하는 가의 여부는 단순히 열이 발생하는 것을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것 외에는 특별한 방법이 없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9688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벽면 등과 같은 벽면 구조물 상에 부착되어 발열을 수행함으로써 벽면이 커버하는 공간상에 온기 또는 열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일부분에 대한 선택적 동작이 가능하고 외부에서 동작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벽면 부착형 발열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 시스템은 타일부, 전원 라인부 및 중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타일부는 벽체 상에 복수개가 부착되며, 전류를 공급받아 발열하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라인부는 상기 전극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타일부로 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타일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경우, 상기 전원 라인부는 상기 복수의 타일부들로부터 연장부를 모두 연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 라인부는 상기 벽체와 함께 시공되며, 상기 타일부는 상기 벽체 상에 부착되며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전원 라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 라인부는, 상기 벽체에 형성되는 홈을 따라 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 라인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부착되는 복수의 타일부들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직 라인, 및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상기 수직 라인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평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일부는, 상기 벽체 상에 부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발열부에 코팅되어, 상기 발열부의 발열시 외부로 발열 상태를 표시하는 코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베이스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전극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일부는, 상기 전극부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타일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전원 라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상기 전원 라인부를 커버하며 상기 벽체 상에 부착되는 마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일부는 상기 전원 라인부를 커버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부가 상기 타일부의 내측에서 상기 전원 라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상기 타일부가 상기 벽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전원 라인부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전류가 인가되는 전원 라인부와 연결된 타일부만 발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타일부를 벽체에 부착하면서, 기 설치된 전원 라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만으로, 벽체 상에 발열되는 발열체를 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라인부는 전원 라인의 배선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벽체 상에 미리 시공되는 것으로, 타일부의 부착시 전기적 연결만 수행하면 충분하므로, 전체적인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특히, 상기 타일부의 일부가 손상되거나 보수가 필요한 경우, 상기 시공된 발열체 시스템 전체를 재시공하지 않고, 해당 타일부만 선택적으로 재부착하면 충분한 것으로, AS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며 비용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타일부는, 벽체와의 부착이 용이한 베이스, 및 외부로 발열부의 발열을 표시할 수 있는 코팅부를 포함하므로, 사용자가 외부에서 타일부의 발열 상태에 대하여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라인부는 별도의 마감부에 의해 커버되거나, 또는 타일부를 상기 전원 라인부를 커버하도록 확장하여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원 라인부는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아 깔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으며, 타일부와 전원 라인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의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라인부는 수직 라인 및 수평 라인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중앙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상기 전원 라인부의 선택적 동작이 제어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타일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어, 특정 부분에서만 발열을 통한 온도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벽면 부착형 발열체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타일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타일부와 전원 라인부 사이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1의 타일부와 전원 라인부 사이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벽면 부착형 발열체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타일부와 전원 라인부 사이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벽면 부착형 발열체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타일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타일부와 전원 라인부 사이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1의 타일부와 전원 라인부 사이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벽면 부착형 발열체 시스템(이하, 발열체 시스템이라 함)(10)은 타일부(100), 전원 라인부(200), 마감부(300) 및 중앙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발열체 시스템(10)은, 건물의 내벽에 부착 또는 시공되는 것으로, 방이나 거실 또는 화장실 등의 벽체에 적용되는 것은 물론, 일반 사무실이나 회의실 등의 오피스용 건물의 내벽체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건물의 내벽을 벽체(50)로 통일하여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일부(100)는 상기 벽체(50) 상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벽체(50)에 대한 시공이 완성된 후에, 상기 벽체(50) 상에 추가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타일부(100)는 일반적인 타일의 시공과 유사한 방법으로, 별도의 접착부재를 타일부(100)의 저면과 상기 벽체(50)의 사이에 개재시키면서 상기 벽체(50) 상에 부착할 수 있으며, 상기 타일부(100)의 일부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타일부(100)만 선택적으로 수리 또는 교체가 가능하다.
상기 타일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X)을 따라 일렬로 복수개가 제1 열(11)을 형성하며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열(11)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1 방향(X)에 수직인 제2 방향(Y)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제2 열(12)을 따라서도 복수개가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타일부(100)는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복수개가 일렬로 배열되며, 상기 제2 방향(Y)을 따라서도 복수의 열로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벽체(50)의 전체 면에 균일하게 부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타일부(100)의 상기 배열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외관 상의 미적 효과를 위해 불규칙한 배열이 추가되도록 배열될 수도 있고, 이와 같은 불규칙한 배열이 추가되는 경우, 후술되는 전원 라인부(200) 및 마감부(300)는 상기 타일부(100)의 배열에 따라 자명한 범위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와 같은 배열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상기 타일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 전극부(120), 발열부(130) 및 코팅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타일부(100)의 저면을 형성하며, 상기 벽체(50)에 직접 부착되는 부분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벽체(50)와 상기 베이스(110) 사이에 별도의 부착부재가 개재되면서 상기 베이스(110)가 상기 벽체(5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베이스(110) 자체가 부착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벽체(50)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전극부(120)는 상기 베이스(110)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상기 전원 라인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 경우, 도 2에서는 상기 전극부(12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 전극과 (-) 전극이 서로 단락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이러한 상기 전극부(120)의 구조에 대하여는 상기 전원 라인부(200)와 함께 후술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베이스(110)와 상기 전극부(120)의 사이에 별도의 단열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열층은 상기 베이스(110) 및 상기 전극부(120)의 사이에서, 전 영역에 걸쳐 상기 베이스(110)와 상기 전극부(120)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하도록 단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열층이 구비됨으로서, 상기 전극부(12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발생되는 열이 상기 베이스(110)를 통해 벽체 등의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열부(130)는 상기 전극부(120)의 상면상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부(120)로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된다.
즉, 상기 발열부(130)는 상기 전극부(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체이며, 상기 발열체(130)는 전류의 제공에 따라 발열되는 재료이면 충분하며 재료나 구조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발열부(130)의 발열에 따라, 상기 타일부(100)가 설치되는 상기 벽체(50)로부터는 열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코팅부(140)는 상기 발열부(130)의 상면상에 코팅되며, 상기 코팅부(140)의 코팅 물질을 상기 발열부(130)가 발열되는 경우 외부로 발열에 따른 특별한 색상을 표시하는 재료일 수 있다.
즉, 상기 발열부(130)가 발열되지 않는 경우, 흰색 등의 색상을 외부로 표시하지만, 상기 발열부(130)의 발열에 따라 상기 코팅부(14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빨간색 등의 색상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팅부(140)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되도록 표시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발열부(130)의 발열 상태의 여부, 나아가 상기 발열부(130)의 발열 온도에 대하여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원 라인부(200)는 상기 벽체(50) 상에 (+)측 전원라인과 (-)측 전원라인이 한 쌍으로 시공되는 것으로, 상기 타일부(100)의 배열이나 배치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벽체(50) 상에 미리 시공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일부(100)가 제1 방향(X)을 따라 제1 열(11), 제2 열(12) 등으로 배열되는 경우, 상기 전원 라인부(200)는 상기 제1 방향(X)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직 전원라인(21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수직 전원라인(210)은 상기 타일부(100)가 배열되는 열들(11, 12, 13)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복수개가 각 열의 타일부(100)에 인접하도록 배열된다.
또한, 상기 전원 라인부(200)는 상기 수직 전원라인(210)들을 상기 중앙 제어부(400)까지 연결하는 수평 전원라인(2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평 전원라인(2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될 수는 있으나, 상기 수평 전원라인(220)은 상기 복수의 수직 전원라인들(21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중앙 제어부(400)로 연결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연장 방향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라인부(200)는 (+)측과 (-)측이 한 쌍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수직 전원라인들(210) 각각도 (+)측인 제1 수직 라인(211) 및 (-)측인 제2 수직 라인(212)이 한 쌍으로 서로 절연되며 연장되고, 상기 수평 전원라인(220)도 상기 제1 수직 라인(211)에 연결되는 (+)측인 제1 수평 라인(221) 및 상기 제2 수직 라인(212)에 연결되는 (-)측인 제2 수평 라인(222)이 한 쌍으로 서로 절연되며 연장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 라인부(2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체(50) 상에 형성되는 홈부(51)에 삽입되며 연장되도록 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 라인부(220)는 상기 벽체(50)의 내측으로 인입되며 형성되는 것으로, 실제 시공에서는 상기 벽체(50)의 시공과 함께 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3a에서는 상기 전원 라인부(200)가 상기 홈부(51)에 삽입되며, 상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전원 라인부(200)는 상기 벽체(50)의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시공되고, 상기 벽체(50)의 외부로는 상기 타일부(100)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단자들만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전원 라인부(200)는 상기 벽체(50)와 함께, 미리 시공된 상태가 되며, 상기 타일부(100)를 상기 벽체(50)에 부착하면서, 상기 타일부(100)와 상기 전원 라인부(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시공으로, 상기 발열체 시스템(1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타일부(100)의 전극부(120)와 상기 전원 라인부(200)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과 관련하여,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전극부(120)는 실질적으로 서로 절연되며 연장되는 (+)측인 제1 전극(121) 및 (-)측인 제2 전극(122)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부(120)는 상기 타일부(10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연장부(150)를 형성한다.
즉, 상기 연장부(150)는 상기 타일부(10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전극(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연장되는 제1 연장부(151), 및 상기 제2 전극(1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연장되는 제2 연장부(152)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 전극(121)과 상기 제2 전극(122)은 서로 단열되도록 연장되는 것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연장될 수 있으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도 서로 이격되어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전극(121)과 상기 제2 전극(122)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는 서로 이격되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물리적인 이격을 통해 상기 제1 전극(121)과 상기 제2 전극(122)은 단열될 수 있다.
즉, 도 3a 및 도 3b는 예시적인 예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 제1 전극(121) 및 상기 제2 전극(122)은 상기 전극부(120)에서 서로 절연되도록 배치되면 충분한 것으로, 도 3b에서의 평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도 3a에서의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도 3a 및 도 3b를 동시에 고려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극(121)과 상기 제2 전극(122)은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되지 않도록 절연체가 커버하며, 서로 인접하며 연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제1 전극(121) 및 상기 제2 전극(122)은 상기 전극부(120)의 내부에서 서로 절연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전원 라인부(210)로부터 전류를 제공받게 되며, 이렇게 제공받은 전류를 상기 발열부(130)로 제공하여, 상기 발열부(130)를 작동시킨다.
한편, 상기 타일부(100)를 상기 벽체(50) 상에 부착하는 경우, 상기 제1 연장부(151)는 (+)측 전극으로, 상기 제1 수직 라인(2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시공되며, 상기 제2 연장부(152)는 (-)측 전극으로, 상기 제2 수직 라인(2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시공된다.
이 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연장부(151)와 상기 제1 수직 라인(211)은 별도의 단자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연장부(152)와 상기 제2 수직 라인(212)도 별도의 단자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장부(150)가 상기 타일부(100)의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수직 라인(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타일부(100)의 시공이 종료된 상태에서, 외부에 상기 연장부(150) 및 상기 수직 라인(150)의 연결 상태가 노출되게 되며, 이러한 노출로 벽체(50)의 외관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가 되며, 습기 등에 대한 노출로 손상이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마감부(300)가 상기 전원 라인부(200)를 커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감부(300)는 상기 수직 라인(210)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되며 설치되는 제1 마감부(310), 및 상기 수평 라인(220)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되며 설치되는 제2 마감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평 라인(220)이 상기 벽체(50)의 내부로 모두 몰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면, 상기 제2 마감부(320)는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히, 상기 제1 마감부(310)가 상기 수직 라인(210)을 커버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150)와 상기 수직 라인(210) 사이의 전기적 연결 상태가 외부 환경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마감부(310)에는 별도의 홈이나 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150)가 상기 홈이나 홀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수직 라인(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마감부(310)는 블록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150)가 와이어(wire) 등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연장부(150)를 눌러 상기 벽체(50) 상에 고정시키는 형태로 상기 연장부(150)를 커버할 수도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400)는 상기 수평 라인(220)과 연결되어, 상기 전원 라인부(200)로 전원을 제공하며, 상기 타일부(100)의 발열을 제어한다.
즉, 상기 중앙 제어부(400)는 별도의 제어 회로를 포함하여, 상기 전원 라인부(200)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타일부(100)의 선택적인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타일부(100)는 각각의 열별(11, 12, 13)로 선택적으로 동작되거나, 각각의 타일부들(100)별로 선택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타일부(100)가 시공되는 실내 공간의 온도를 고려하여 타일부(100)의 선택적 구동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실내 온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벽면 부착형 발열체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타일부와 전원 라인부 사이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벽면 부착형 발열체 시스템(20)은, 타일부(500)가 연장부(550)를 커버하도록 연장되며, 이에 따라 제1 마감부(310)가 생략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발열체 시스템(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발열체 시스템(20)에서는, 상기 타일부(500)가 상기 연장부(550)를 커버하도록 상기 수직 라인(210)까지 연장된다.
그리하여, 상기 수직 라인(210)을 커버하며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제1 마감부(310)의 설치는 불필요하며, 상기 수평 라인(220)을 커버하는 제2 마감부(320)만 설치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즉, 서로 단열되며 연장되는 제1 및 제2 전극부들(521, 522)은 물론, 상기 제1 및 제2 전극부들(521, 5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직 라인(210)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들(551, 552)까지, 상기 타일부(500)의 내부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타일부(500)의 설치시,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551, 552)을 상기 제1 및 제2 수직 라인들(211, 212)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병행하며, 이렇게 상기 타일부(500)가 시공되면, 별도의 마감부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상기 연장부(550)와 상기 수직 라인(21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타일부를 벽체에 부착하면서, 기 설치된 전원 라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만으로, 벽체 상에 발열되는 발열체를 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라인부는 전원 라인의 배선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벽체 상에 미리 시공되는 것으로, 타일부의 부착시 전기적 연결만 수행하면 충분하므로, 전체적인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특히, 상기 타일부의 일부가 손상되거나 보수가 필요한 경우, 상기 시공된 발열체 시스템 전체를 재시공하지 않고, 해당 타일부만 선택적으로 재부착하면 충분한 것으로, AS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며 비용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타일부는, 벽체와의 부착이 용이한 베이스, 및 외부로 발열부의 발열을 표시할 수 있는 코팅부를 포함하므로, 사용자가 외부에서 타일부의 발열 상태에 대하여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라인부는 별도의 마감부에 의해 커버되거나, 또는 타일부를 상기 전원 라인부를 커버하도록 확장하여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원 라인부는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아 깔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으며, 타일부와 전원 라인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의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라인부는 수직 라인 및 수평 라인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중앙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상기 전원 라인부의 선택적 동작이 제어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타일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어, 특정 부분에서만 발열을 통한 온도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20 : 발열체 시스템 100, 500 : 타일부
110 : 베이스 120 : 전극부
130 : 발열부 140 : 코팅부
150, 550 : 연장부 200 : 전원 라인부
210 : 수직 라인 220 : 수평 라인
300 : 마감부 400 : 중앙 제어부
51 : 홈부

Claims (11)

  1. 벽체에 대한 시공이 완성된 후에, 상기 벽체 상에 복수개가 추가로 부착되며, 전류를 공급받아 발열하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타일부;
    상기 전극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타일부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라인부; 및
    상기 타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라인부는 상기 복수의 타일부들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모두 연결하고,
    상기 전원 라인부는 상기 벽체의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벽체와 함께 시공되며, 상기 벽체의 외측으로는 상기 타일부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단자만 노출되고,
    상기 타일부는 상기 벽체 상에 부착되며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전원 라인부로부터 노출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라인부는,
    상기 벽체에 형성되는 홈을 따라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라인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부착되는 복수의 타일부들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직 라인; 및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상기 수직 라인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평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부는,
    상기 벽체 상에 부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발열부에 코팅되어, 상기 발열부의 발열시 외부로 발열 상태를 표시하는 코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베이스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전극부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부는,
    상기 전극부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타일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전원 라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상기 전원 라인부를 커버하며 상기 벽체 상에 부착되는 마감부를 더 포함하는 발열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부는 상기 전원 라인부를 커버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가 상기 타일부의 내측에서 상기 전원 라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상기 타일부가 상기 벽체 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전원 라인부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전류가 인가되는 전원 라인부와 연결된 타일부만 발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 시스템.
KR1020190168795A 2019-12-17 2019-12-17 벽면 부착형 발열체 시스템 KR102166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795A KR102166688B1 (ko) 2019-12-17 2019-12-17 벽면 부착형 발열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795A KR102166688B1 (ko) 2019-12-17 2019-12-17 벽면 부착형 발열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688B1 true KR102166688B1 (ko) 2020-10-19

Family

ID=73042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795A KR102166688B1 (ko) 2019-12-17 2019-12-17 벽면 부착형 발열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68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988B1 (ko) * 2006-10-27 2007-12-12 주식회사 피아이피 배관용 벽돌과 매립용박스 트렌치블럭을 이용하여 배관 설치구 및 홈을 더해 조적작업과 배관작업을 간편하게 하는 시공방법
KR101371509B1 (ko) * 2012-09-12 2014-03-11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적외선 난방 제어 시스템
KR20180000743U (ko) * 2016-09-05 2018-03-14 백지수 전선용 몰딩
KR101999688B1 (ko) 2019-01-16 2019-07-16 주식회사 제네코 건축물 내장 마감용 준불연성 플라스틱복합패널
KR20190138178A (ko) * 2018-06-04 2019-12-12 홍성태 전기 난방 타일 세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988B1 (ko) * 2006-10-27 2007-12-12 주식회사 피아이피 배관용 벽돌과 매립용박스 트렌치블럭을 이용하여 배관 설치구 및 홈을 더해 조적작업과 배관작업을 간편하게 하는 시공방법
KR101371509B1 (ko) * 2012-09-12 2014-03-11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적외선 난방 제어 시스템
KR20180000743U (ko) * 2016-09-05 2018-03-14 백지수 전선용 몰딩
KR20190138178A (ko) * 2018-06-04 2019-12-12 홍성태 전기 난방 타일 세트
KR101999688B1 (ko) 2019-01-16 2019-07-16 주식회사 제네코 건축물 내장 마감용 준불연성 플라스틱복합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4397B2 (ja) 照明されるタイルシステム
CN105093607A (zh) 阵列基板、触控显示面板以及触控显示装置
EP3453943B1 (en) A fastening device and a system for fastening lighting devices to a false ceiling
CN103216877A (zh) 可自由移动拆装地暖
WO2013008145A1 (en) Modular illuminating tile
KR102166688B1 (ko) 벽면 부착형 발열체 시스템
JP2008539347A (ja) 電気制御可能な平板暖房要素付き建物室内用壁構造および敷設モジュール
JP2008257903A (ja) 発光ダイオードを用いた照明装置
KR20190100884A (ko) 결로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도어
US11554078B2 (en) Modular sauna heat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sauna
US2582762A (en) Radiant heating installation
JP2011113867A (ja) 照明装置
KR200442612Y1 (ko) 전열보드
KR20190036235A (ko) 조립식 전기 온돌패널
IT201800001530A1 (it) Rivestimento riscaldante
KR20170104018A (ko) 전기 온돌판넬 및 이를 갖는 전기 온돌시스템
JP2002221330A (ja) 床暖房用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75226B1 (ko) 전기 온돌패널
JP2012120283A (ja) 建築用壁材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JP2006292311A (ja) 床暖房システム
JP2001201067A (ja) 床暖房用パネルヒータ
CA3234270A1 (en) Method for applying an electric heating foil, as well as a building provided with the heating foil
JP2555424Y2 (ja) 融雪屋根構造
JP5704185B2 (ja) 上箱型小形簡易保温室及びその形成方法
JP3898352B2 (ja) 床暖房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