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4018A - 전기 온돌판넬 및 이를 갖는 전기 온돌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온돌판넬 및 이를 갖는 전기 온돌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018A
KR20170104018A KR1020160025478A KR20160025478A KR20170104018A KR 20170104018 A KR20170104018 A KR 20170104018A KR 1020160025478 A KR1020160025478 A KR 1020160025478A KR 20160025478 A KR20160025478 A KR 20160025478A KR 20170104018 A KR20170104018 A KR 20170104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ody
terminal
electric
panel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철
Original Assignee
최석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석철 filed Critical 최석철
Priority to KR1020160025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4018A/ko
Publication of KR20170104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0Self-supporting slab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floors ceilings, or roofs, e.g. able to be load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88Applications for non specified applications
    • H05B1/0294Planar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8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적 연결 방법이 간단하고 쉬워 사용자가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는 전기 온돌판넬 및 이를 갖는 전기 온돌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돌판넬은,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하는 전기 발열체 및 전기 발열체를 덮는 바닥판을 갖는 다각형 모양의 판넬 바디와, 중간 부분이 전기 발열체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단이 판넬 바디의 제 1 모서리부에 배치되며 타단이 판넬 바디의 제 1 모서리부와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제 2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제 1 전원선과, 중간 부분이 전기 발열체의 또 다른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단이 판넬 바디의 제 3 모서리부에 배치되며 타단이 판넬 바디의 제 3 모서리부와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제 4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제 2 전원선과, 판넬 바디의 복수의 모서리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박스 바디 및 제 1 전원선의 양쪽 끝단 중 어느 하나 또는 제 2 전원선의 양쪽 끝단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박스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는 단자를 갖는 복수의 단자 박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온돌판넬 및 이를 갖는 전기 온돌시스템{ELECTRIC ONDOL PANEL AND ELECTRIC ONDOL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 온돌판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하는 전기 발열체를 이용하여 바닥을 난방하는 전기 온돌판넬 및 이를 갖는 전기 온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 주택이나 아파트의 건축 시 바닥의 난방을 목적으로 온수파이프를 등간격으로 배치하여 시공한 후 모르타르를 일정 두께만큼 도포하고, 장판, 마루판 등과 같은 마감재로 마감작업을 행하는 습식시공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바닥 난방 시공방법 및 구조는 바닥 온도가 균일하지 못하여 난방에 따른 쾌적감이 떨어지고, 온수파이프를 덮는 모르타르의 양생에 따른 공기가 길어지며, 건축 구조체의 하중을 과도하게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난방에 필요한 온수를 만들어내는 보일러 설치를 위한 보일러실을 마련해야 해서 건축물의 가용 공간이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온수를 대체하여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난방방식인 전기 온돌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전기 온돌시스템은 사무실이나 기숙사, 아파트 및 조립식 주택 등과 같이 난방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 비교적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유지비가 저렴하여 그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전기 온돌시스템은 전기 에너지로 발열하는 전기 발열체가 내장된 복수의 전기 온돌판넬을 바닥에 깔고, 이들 전기 온돌판넬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시공된다.
그런데 종래의 전기 온돌시스템에 사용되는 전기 온돌판넬은 판넬과 판넬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성, 즉 배선 단자가 일측에만 구성되어 있어 여러장의 판넬을 연결하고자할 때 배선 단자에 별도의 전선을 연장한 다음 다른 판넬에 구성된 배선 단자에 배선해야 한다. 따라서 판넬들 간의 전기 배선시 전기 극성이 바뀌지 않도록 많은 주의가 요구되며, 오결선으로 인한 단락 사고의 위험이 커서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하고, 일반 사용자가 시공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기 온돌판넬은 다양한 직사각형의 규격이 필요하여 규격별로 소비전력의 일치, 길이, 크기, 형상 등을 달리하여 제작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원가가 높은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전기 온돌시스템은 전기 온돌판넬들 간의 전기적 연결이 단방향의 병렬연결 방식이므로, 배선의 허용 전류 제약으로 배선의 연결 개수가 증가하면 배선을 분리하여 시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배선의 단선시 수리가 매우 번거롭다. 그리고 시공 전에 온도 조절기의 설치 위치를 선정해야 하고, 온도 조절기의 설치 위치가 매우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46526호 (2009. 11. 05)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89399호 (2005. 07. 14)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적 연결 방법이 간단하고 쉬워 사용자가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고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전기 온돌판넬 및 이를 갖는 전기 온돌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돌판넬은,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하는 전기 발열체와, 상기 전기 발열체를 덮는 바닥판을 갖는 다각형 모양의 판넬 바디; 중간 부분이 상기 전기 발열체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판넬 바디의 제 1 모서리부에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판넬 바디의 제 1 모서리부와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제 2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제 1 전원선; 중간 부분이 상기 전기 발열체의 또 다른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판넬 바디의 제 3 모서리부에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판넬 바디의 제 3 모서리부와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제 4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제 2 전원선; 및 상기 판넬 바디의 복수의 모서리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박스 바디와, 상기 제 1 전원선의 양쪽 끝단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제 2 전원선의 양쪽 끝단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박스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는 단자를 갖는 복수의 단자 박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돌판넬은, 상기 복수의 단자 박스가 각각 상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복수의 단자 박스 각각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복수의 단자 박스 각각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단자 박스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자 박스 덮개는 각각, 상기 판넬 바디의 복수의 모서리부에 각각 배치되는 단자 박스의 단자와 상기 판넬 바디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판넬 바디에 결합되는 단자 박스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도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자 박스 각각의 단자는 상측으로 개방된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도체는 상기 단자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접속돌기 및 상기 복수의 접속돌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판넬 바디는 정사각형의 네 개의 꼭지점부가 삼각형 모양으로 절단된 다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단자 박스는 상기 판넬 바디의 절단된 꼭지점부에 대응하는 삼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돌시스템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기 온돌판넬; 및 상기 복수의 전기 온돌판넬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전기 온돌판넬 중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 조절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 온돌판넬은 각각,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하는 전기 발열체와 상기 전기 발열체를 덮는 바닥판을 갖는 판넬 바디와, 중간 부분이 상기 전기 발열체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판넬 바디의 제 1 모서리부에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판넬 바디의 제 1 모서리부와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제 2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제 1 전원선과, 중간 부분이 상기 전기 발열체의 또 다른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판넬 바디의 제 3 모서리부에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판넬 바디의 제 3 모서리부와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제 4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제 2 전원선과, 상기 판넬 바디의 복수의 모서리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박스 바디와 상기 제 1 전원선의 양쪽 끝단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제 2 전원선의 양쪽 끝단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박스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는 단자를 갖는 복수의 단자 박스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전기 온돌판넬은, 이들 각각에 구비되는 단자 박스들이 상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단자 박스들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단자 박스들에 각각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단자 박스 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자 박스 덮개는 각각, 상기 판넬 바디에 결합되는 어느 하나의 단자 박스에 구비되는 단자와 상기 판넬 바디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판넬 바디에 결합되는 단자 박스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도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돌시스템은 일정한 규격의 전기 온돌판넬로 구성되므로 설치가 용이하다. 특히, 전기 온돌판넬의 전기 발열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선들 각각의 접속단이 판넬 바디에 대각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판넬 바디가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되어도 그 전기적 극성이 바뀌지 않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자가 판넬 바디의 배치 방향을 크게 신경쓰지 않고 배치하여 손쉽게 시공할 수 있고, 비숙련자도 쉽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돌시스템은 전기 온돌판넬에 구비되는 전기 발열체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선들이 쌍방향 회로로 구성되므로, 전원선들의 굵기를 종래 기술에 비해 가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전원선들의 한쪽 부분이 단선되어도 다른 쪽 부분을 통해 전기 발열체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어 오작동이나 고장 발생의 위험이 적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돌시스템은 판넬 바디에 복수의 단자 박스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판넬 구조체를 격자 형태로 배치한 후, 단자 박스 덮개로 판넬 구조체의 단자 박스를 덮는 것으로 복수의 판넬 구조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배선 작업이 필요 없고, 전기 배선의 오류가 적으며, 비전문가도 손쉽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돌시스템은 전기 온돌판넬이 4방향의 동일한 배선 방식을 취하므로, 종래의 전기 온돌시스템에 비해 온도 조절기의 설치 위치가 자유롭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온돌시스템의 바닥 시공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전기 온돌시스템에 구비되는 전기 온돌판넬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전기 온돌판넬의 판넬 바디와 단자 박스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전기 온돌판넬의 일부 구성을 절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온돌시스템의 전기 온돌판넬들 간의 전기적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돌판넬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돌판넬 및 이를 갖는 전기 온돌시스템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온돌시스템의 바닥 시공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전기 온돌시스템에 구비되는 전기 온돌판넬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전기 온돌판넬의 판넬 바디와 단자 박스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전기 온돌판넬의 일부 구성을 절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전기 온돌시스템(100)은 복수의 전기 온돌판넬(110)과, 온도 조절기(180)를 포함한다. 복수의 전기 온돌판넬(11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온도 조절기(18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한다.
온도 조절기(180)는 통상적인 것과 같이, 플러그(182)가 구비된 전원 케이블(181)과, 전기 온돌판넬(110)에 연결되는 연결선(183)을 갖는다. 온도 조절기(180)는 이에 구비되는 연결선(183)이 복수의 전기 온돌판넬(110) 중에서 일부에 연결됨으로써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전기 온돌판넬(110)에 전기를 공급한다. 사용자는 온도 조절기(180)를 이용하여 전기 온돌판넬들(11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기 온돌판넬(110)은 판넬 바디(111)와, 복수의 단자 박스(140)를 포함한다. 판넬 바디(111)는 정사각형의 네 개의 꼭지점부가 삼각형 모양으로 절단된 다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단자 박스(140)는 판넬 바디(111)의 절단된 꼭지점부에 대응하는 삼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네 개의 단자 박스(140)가 판넬 바디(111)의 네 모서리부(131)(132)(133)(134)에 각각 결합되어 정사각형의 판넬 구조체(160)를 형성하게 된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판넬 바디(111)는 하부판(112)과, 전기 발열체(113)와, 부직포(114)와, 바닥판(115)과, 바닥 마감재(119)를 포함한다. 하부판(112)은 최하부에 배치되어 전기 발열체(113)를 지지한다. 하부판(112)은 전기 발열체(113)에서 발생하는 열이 바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열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전기 발열체(113)의 상측에 바닥판(115)이 전기 발열체(113)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바닥판(115)은 금속 등 전기 발열체(113)에서 발생하는 열이 신속하고 고르게 전도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바닥판(115)을 금속으로 하면 전기 발열체(113)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전기 발열체(113)와 바닥판(115)의 사이에는 공기층이 마련되며 이에 부직포(114)가 배치된다. 전기 발열체(113)와 바닥판(115) 사이에 공기층과 부직포(114)를 배치하고 이에 충전된 공기를 전기 발열체(113)로 가열함으로써, 바닥판(115)을 더욱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고, 판넬 바디(111)가 열을 더욱 장시간 머금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바닥 마감재(119)로는 다양한 종류의 바닥재가 이용될 수 있다.
바닥판(115)은 전기 발열체(113)와 부직포(114)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바닥판(115)의 가장자리부(116) 중에서 판넬 바디(111)의 네 모서리부(131)(132)(133)(134)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전원선 인출구멍(117)과 고정구멍(118)이 마련된다. 이들 전원선 인출구멍(117)과 고정구멍(118)은 판넬 바디(111)와 단자 박스(140)의 전기적 및 기구적 결합을 위한 것으로, 이들 각각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면에는 전원선 인출구멍(117)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고정구멍(118)이 구비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고정구멍(118)의 개수나 배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기 발열체(113)는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하는 것으로 다양한 구조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기 발열체(113)는 면상발열체 구조를 갖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전기 발열체(113)는 제 1 전원선(120) 및 제 2 전원선(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전원선(120)(125)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는다. 제 1 전원선(120)은 그 중간 부분이 전기 발열체(113)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전원선(125)은 그 중간 부분이 전기 발열체(113)의 다른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전원선(120)과 제 2 전원선(125)은 상호 절연되도록 판넬 바디(111)의 내측에 배선된다.
제 1 전원선(120)은 그 일단의 제 1 접속단(121)이 판넬 바디(111)의 제 1 모서리부(131)에 배치되고, 그 타단의 제 2 접속단(122)이 판넬 바디(111)의 제 2 모서리부(132)에 배치된다. 판넬 바디(111)의 제 1 모서리부(131)와 제 2 모서리부(132)는 서로 대각 방향에 위치한다. 즉, 제 1 전원선(120)의 제 1 접속단(121)과 제 2 접속단(122)은 판넬 바디(111)의 대각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 1 전원선(120)은 제 1 접속단(121)이나 제 2 접속단(122)으로 전기를 인가받음으로써 전기 발열체(113)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제 1 전원선(120)의 제 1 접속단(121)을 통해 전기 발열체(113)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나, 제 2 접속단(122)으로 전기 발열체(113)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전원선(125)은 그 일단의 제 1 접속단(126)이 판넬 바디(111)의 제 3 모서리부(133)에 배치되고, 그 타단의 제 2 접속단(127)이 판넬 바디(111)의 제 4 모서리부(134)에 배치된다. 판넬 바디(111)의 제 3 모서리부(133)와 제 4 모서리부(134)는 서로 대각 방향에 위치한다. 즉, 제 2 전원선(125)의 제 1 접속단(126)과 제 2 접속단(127)은 판넬 바디(111)의 대각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 2 전원선(125)은 제 1 접속단(126)이나 제 2 접속단(127)으로 전기를 인가받음으로써 전기 발열체(113)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제 2 전원선(125)의 제 1 접속단(126)을 통해 전기 발열체(113)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나, 제 2 접속단(127)으로 전기 발열체(113)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온돌판넬(110)은 제 1 전원선(120)의 제 1 접속단(121)과 제 2 접속단(122)이 판넬 바디(111)에 대각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2 전원선(125)의 제 1 접속단(126)과 제 2 접속단(127)이 판넬 바디(111)에 대각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렇게 판넬 바디(111)의 네 모서리부(131)(132)(133)(134) 각각에 전원선(120)(125)의 접속단(121)(122)(126)(127)이 하나씩 배치됨으로써, 시공시 그 배치 방향이 다양하게 바뀌어도 전기 배선 작업에 문제가 없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단자 박스(140)는 제 1 전원선(120) 또는 제 2 전원선(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판넬 바디(111)의 네 모서리부(131)(132)(133)(134)에 설치된다. 단자 박스(140)는 박스 바디(141)와, 박스 바디(141)의 내측에 설치되는 단자(148)를 포함한다.
박스 바디(141)는 정사각형의 꼭지점부가 사선 방향으로 절단된 삼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박스 바디(141)는 상측으로 개방된다. 박스 바디(141)의 내측에는 단자(148)를 수용하는 설치홈(142)이 마련된다. 그리고 박스 바디(141)의 판넬 바디(111)로부터 돌출되는 꼭지점부에는 절개부(143)가 마련된다. 박스 바디(141)의 세 개의 측면 중에서 판넬 바디(111)에 접하는 측면에는 전원선 삽입홈(144)과, 관통구멍(145)이 구비된다. 그리고 박스 바디(141)의 세 개의 측면 중에서 판넬 바디(111)와 접하지 않는 다른 두 개의 측면 각각에는 관통구멍(146)이 형성된다.
박스 바디(141)의 전원선 삽입홈(144)은 판넬 바디(111)의 전원선 인출구멍(117)에 대응하고, 관통구멍(145)은 판넬 바디(111)의 고정구멍(118)에 대응한다. 박스 바디(141)가 판넬 바디(111)에 결합될 때, 박스 바디(141)의 전원선 삽입홈(144)이 판넬 바디(111)의 전원선 인출구멍(117)과 연결되고, 관통구멍(145)이 고정구멍(118)과 연결된다. 판넬 바디(111)의 전기 발열체(113)에 연결된 제 1 전원선(120) 또는 제 2 전원선(125)의 끝단이 판넬 바디(111)의 전원선 인출구멍(117)및 박스 바디(141)의 전원선 삽입홈(144)을 통과하여 박스 바디(141) 내측에 도달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전원선 삽입홈(144)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관통구멍(145)이 구비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관통구멍(145)의 개수나 배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박스 바디(141)는 고정부재(153)에 의해 판넬 바디(111)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153)는 박스 바디(141)의 관통구멍(145)을 관통하여 판넬 바디(111)의 고정구멍(118)에 삽입됨으로써 박스 바디(141)를 판넬 바디(111)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재(153)는 나사 등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박스 바디(141)의 또 다른 관통구멍(146)은 전기 온돌시스템(100)의 시공시 단자 박스(140)와 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다른 단자 박스(140)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기 온돌시스템(100)의 시공시 복수의 판넬 구조체(160)를 이들 각각에 구비된 단자 박스(140)가 서로 모이도록 격자 형태로 배치한다. 이때, 서로 접하는 단자 박스들(140)은 이들 사이가 벌이지지 않도록 결합기구(157)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기구(157)는 볼트(158)와 너트(159)를 포함한다. 단자 박스들(140)이 서로 접할 때 각 단자 박스들(140)의 관통구멍들(146)이 서로 연결되는데, 서로 연결된 관통구멍들(146)에 볼트(158)를 삽입하고 이에 너트(159)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단자 박스들(140)을 서로 압착되도록 단단히 결합할 수 있다.
결합기구(157)는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 이외에 서로 접하는 단자 박스들(140)을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접하는 단자 박스들(140)은 결합기구(157)에 의한 기구적인 결합 구조 이외에, 접착제에 의한 접착 방법 등 다양한 다른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단자 박스(140)의 단자(148)는 박스 바디(141)의 내측 바닥면에 고정된다. 단자(148)는 박스 바디(141)의 내측 바닥면에 접하는 베이스부(149)와, 베이스부(149)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기둥부(150)를 갖는다. 한 쌍의 기둥부(150)는 상호 이격되며, 이들 기둥부(150) 사이에 상측으로 개방된 결합홈(151)이 마련된다. 베이스부(149)는 고정부재(154)에 의해 박스 바디(141)에 고정된다.
고정부재(154)는 박스 바디(141)를 관통하여 박스 바디(141)에 결합됨으로써 베이스부(149)를 박스 바디(141)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재(154)로는 나사 등 다양한 구조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물론, 단자(148)는 고정부재(154)에 의한 기구적 결합 방법 이외에, 접착제에 의한 접착 방법 등 다양한 다른 방법으로 박스 바디(141)에 고정될 수 있다.
단자 박스(140)의 단자(148)에는 제 1 전원선(120) 또는 제 2 전원선(125)의 한쪽 끝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전원선(120) 또는 제 2 전원선(125)은 그 끝단이 판넬 바디(111)의 전원선 인출구멍(117)을 통해 판넬 바디(111)를 빠져나와 박스 바디(141)의 전원선 삽입홈(144)을 통과하여 박스 바디(141) 내측의 단자(1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자(148)와 제 1 전원선(120) 또는 제 2 전원선(125)의 전기적 연결 방법은 납땜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 전원선(120)의 제 1 접속단(121)은 판넬 바디(111)의 제 1 모서리부(131)에 결합된 단자 박스(140)의 단자(1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1 전원선(120)의 제 2 접속단(122)은 판넬 바디(111)의 제 2 모서리부(132)에 결합된 단자 박스(140)의 단자(1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 2 전원선(125)의 제 1 접속단(126)은 판넬 바디(111)의 제 3 모서리부(133)에 결합된 단자 박스(140)의 단자(1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전원선(125)의 제 2 접속단(127)은 판넬 바디(111)의 제 4 모서리부(134)에 결합된 단자 박스(140)의 단자(1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단자 박스(140)의 단자(148)를 통해 제 1 전원선(120)의 제 1 접속단(121) 또는 제 2 접속단(122)에 인가되는 전기가 제 1 전원선(120)을 통해 전기 발열체(113)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단자 박스(140)의 단자(148)를 통해 제 2 전원선(125)의 제 1 접속단(126) 또는 제 2 접속단(127)에 인가되는 전기가 제 2 전원선(125)을 통해 전기 발열체(113)에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 발열체(113)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 1 전원선(120) 및 제 2 전원선(125)은 각각의 중간 부분이 전기 발열체(1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일단 또는 타단을 통해 전기 발열체(113)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쌍방향의 회로구성을 취함으로써, 그 배선 굵기를 종래에 비해 감소시켜도 전기 발열체(113)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전원선(120) 및 제 2 전원선(125)이 상술한 것과 같은 쌍방향의 회로구성을 취함으로써, 제 1 전원선(120)이 부분적으로 단선되는 경우 제 1 전원선(120)의 다른 부분을 통해 전기 발열체(113)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고, 제 2 전원선(125)이 부분적으로 단선되는 경우에도 제 2 전원선(125)의 다른 부분을 통해 전기 발열체(113)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어 오작동이나 고장의 발생 위험이 적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자 박스(140)의 개방된 상측은 단자 박스 덮개(170)에 의해 덮인다. 단자 박스 덮개(170)는 덮개판(171)과, 연결도체(172)를 포함한다.
덮개판(171)은 네 개의 단자 박스(140)가 각각의 꼭지점부가 한 점에서 모이면서 만드는 사각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덮개판(171)은 네 개의 단자 박스(140)를 한꺼번에 덮을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단자 박스(140)의 높이를 판넬 바디(111)의 바닥 마감재(119)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두께와 같게 하고 덮개판(171)의 두께를 판넬 바디(111)의 바닥 마감재(119)와 동일하게 하면, 전기 온돌판넬(110)의 시공시 판넬 바디(111)의 상면과 단자 박스 덮개(170)의 상면을 동일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물론, 단자 박스(140)의 높이나 단자 박스 덮개(170)의 덮개판(171) 두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덮개판(171)은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연결도체(172)는 꼭지점부가 서로 접하도록 모인 단자 박스들(140)의 단자들(148)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덮개판(171)의 하면에 결합된다. 연결도체(172)는 네 개의 접속돌기(173)와, 네 개의 접속돌기(173)를 연결하는 연결부(174)를 갖는다. 연결부(174)는 십자 모양으로 마련되고, 네 개의 접속돌기(173)는 연결부(174)의 네 끝단에 각각 배치된다. 물론, 연결부(174)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복수의 접속돌기(173)를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연결도체(172)는 그 접속돌기(173)가 단자(148)의 결합홈(151) 속에 삽입됨으로써 단자(14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접속돌기(173)는 단자(148)의 두 기둥부(150)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두 기둥부(150) 사이의 결합홈(151) 속으로 진입함으로써 단자(148)와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기 온돌시스템(100)의 시공시, 판넬 바디들(111)은 격자 형태로 배치되며, 네 개의 판넬 바디(111) 사이에 배치되는 네 개의 단자 박스(140)를 하나의 단자 박스 덮개(170)가 덮는다. 이때, 단자 박스 덮개(170)에 구비되는 네 개의 접속돌기(173)가 인접하여 배치되는 네 개의 단자 박스(140) 각각의 단자(1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네 개의 단자(148)가 하나의 연결도체(17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배선 작업이 필요 없이 단자 박스 덮개(170)로 단자 박스들(140)을 덮는 것으로 복수의 판넬 바디(111)를 손쉽게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온돌시스템(100)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기 온돌시스템(100)의 시공시, 먼저, 판넬 바디(111)의 네 모서리부(131)(132)(133)(134)에 네 개의 단자 박스(14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복수의 판넬 구조체(160)를 준비한다. 단자 박스(140)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판넬 바디(111)에 고정될 수 있다. 판넬 구조체(160)는 네 개의 단자 박스(140)가 판넬 바디(111)의 네 꼭지점부를 형성하는 정사각형 구조를 이룬다. 복수의 판넬 구조체(160)는 제조 공장 등에서 만들어진 후 시공 위치로 운반될 수 있다.
작업자는 복수의 판넬 구조체(160)를 각각의 네 변에 다른 판넬 구조체들(160)이 맞닿도록 시공 바닥에 격자 형태로 배치한다. 이때, 판넬 구조체(160)가 놓일 수 없는 바닥에는 판넬 구조체(160)의 두께와 같은 두께의 마감 판넬(185)을 배치하여 바닥 전체를 판넬 구조체(160)와 마감 판넬(185)로 덮을 수 있다. 마감 판넬(185)의 경우, 판넬 구조체(160)의 단자 박스(140)와 마주하는 부분에는 단자 박스 덮개(170)의 결합을 위한 적절한 크기의 홈을 마련할 수 있다.
판넬 구조체들(160)을 격자 형태로 배치한 후,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는 단자 박스들(140)을 결합기구(157)로 결합함으로써, 단자 박스들(140)을 이들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상호 압착시킬 수 있다. 이렇게 단자 박스들(140)을 단단히 밀착시키면 단자 박스들(140) 각각에 구비된 단자들(148)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할 수 있고, 인접하는 판넬 구조체들(160) 간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판넬 구조체들(160)을 배치한 후, 이들 사이에 단자 박스 덮개(170)를 결합하여 서로 모여 있는 단자 박스들(140)을 덮는다. 이때, 단자 박스들(140) 각각의 개방된 상측은 단자 박스 덮개(170)의 덮개판(171)으로 덮인다. 그리고 단자 박스 덮개(170)의 연결도체(172)에 구비된 복수의 접속돌기(173)가 단자 박스들(140) 각각의 단자(1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단자(148)가 단자 박스 덮개(170)의 연결도체(17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단자 박스 덮개(170)의 작용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판넬 구조체들(160) 각각에 구비된 전기 발열체들(113)은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단자 박스 덮개(170)가 단자 박스들(140) 위에 결합될 때, 단자 박스 덮개(170)의 연결도체(172)는 단자 박스들(140) 각각의 절개부(143)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단자 박스 덮개(170)는 그 상면이 판넬 바디(11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판넬 바디(111)의 상면과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단자 박스들(140)을 덮을 수 있다. 자업자는 판넬 구조체(160)의 배치 후 별도의 배선 작업 없이 단자 박스 덮개(170)로 단자 박스(140)를 덮는 것으로 복수의 판넬 구조체(16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인접하게 배치된 네 개의 판넬 바디(111) 사이에 놓이는 하나의 단자 박스 덮개(170)는 네 개의 판넬 구조체(16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인접하게 배치된 두 개의 판넬 바디(111) 사이에 놓이는 하나의 단자 박스 덮개(170)는 두 개의 판넬 구조체(16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작업자는 온도 조절기(180)에 구비되는 두 개의 연결선(183)을 복수의 판넬 구조체(160) 중에서 적당한 위치에 배치된 두 개의 판넬 구조체(16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온도 조절기(180)를 설치할 수 있다.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판넬 구조체(160)는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두 개의 판넬 구조체(160)에 온도 조절기(180)를 연결함으로써 모든 판넬 구조체(160)에 대한 전기 공급 및 온도 조절이 가능하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온돌시스템(100)은 일정한 규격의 전기 온돌판넬(110)로 구성되므로 설치가 용이하다. 특히, 전기 온돌판넬(110)의 전기 발열체(1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선들(120)(125) 각각의 접속단(121)(122)(126)(127)이 판넬 바디(111)에 대각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판넬 바디(111)는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되어도 그 전기적 극성이 바뀌지 않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자가 판넬 바디(111)의 배치 방향을 크게 신경쓰지 않고 배치하여 손쉽게 시공할 수 있고, 비숙련자도 쉽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온돌시스템(100)은 전기 온돌판넬(110)에 구비되는 전기 발열체(113)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선들(120)(125)이 일단 또는 타단을 통해 전기 발열체(113)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쌍방향 회로로 구성되므로, 전원선들(120)(125)의 굵기를 종래 기술에 비해 가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전원선들(120)(125)의 한쪽 부분이 단선되어도 다른 쪽 부분을 통해 전기 발열체(113)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어 오작동이나 고장 발생의 위험이 적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온돌시스템(100)은 판넬 바디(111)에 복수의 단자 박스(14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판넬 구조체(160)를 격자 형태로 배치한 후, 단자 박스 덮개(170)로 판넬 구조체(160)의 단자 박스(140)를 덮는 것으로 복수의 판넬 구조체(16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배선 작업이 필요 없고, 전기 배선의 오류가 적으며, 비전문가도 손쉽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온돌시스템(100)은 전기 온돌판넬(110)이 4방향의 동일한 배선 방식을 취하므로, 종래의 전기 온돌시스템에 비해 온도 조절기(180)의 설치 위치가 자유롭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온돌시스템(100)은 전기 온돌판넬(110)을 일정한 규격으로 만들어서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전기 온돌판넬(110)의 전기 발열체(113)가 면상발열체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전기 온돌판넬(110)의 전기 발열체(113)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은 전열선 구조의 전기 발열체(190)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전기 발열체(190)의 한쪽 끝단에 제 1 전원선(120)의 중간 부분이 연결되고, 전기 발열체(190)의 다른 쪽 끝단에 제 2 전원선(125)의 중간 부분이 연결된다.
또한 도면에는 판넬 바디(111)가 하부판(112), 전기 발열체(113), 바닥판(115), 부직포(114) 및 바닥 마감재(119)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판넬 바디는 전기 발열체와 전기 발열체를 덮는 바닥판을 갖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단자 박스(140)가 삼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단자 박스(140)는 삼각형 이외의 다른 모양으로 이루어져 판넬 바디(11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단자 박스(140)의 모양에 맞춰 단자 박스 덮개(170)의 모양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단자 박스(140)가 고정부재(153)에 의해 판넬 바디(111)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단자 박스(140)는 고정부재(153)에 의한 기구적 결합 구조 이외에 다양한 다른 방법으로 판넬 바디(11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자 박스(140)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나, 용접 등 그 재질에 따라 다양한 결합법으로 판넬 바디(11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전기 온돌시스템 110 : 전기 온돌판넬
111 : 판넬 바디 112 : 하부판
113, 190 : 전기 발열체 114 : 부직포
115 : 바닥판 116 : 가장자리부
117 : 전원선 인출구멍 118 : 고정구멍
119 : 바닥 마감재 120, 125 : 제 1, 2 전원선
121, 122, 126, 127 : 제 1, 2, 3, 4 접속단
131, 132, 133, 134 : 제 1, 2, 3, 4 모서리부
140 : 단자 박스 141 : 박스 바디
142 : 설치홈 143 : 절개부
144 : 전원선 삽입홈 145, 146 : 관통구멍
148 : 단자 149 : 베이스부
150 : 기둥부 151 : 결합홈
153, 154 : 고정부재 157 : 결합기구
158 : 볼트 159 : 너트
160 : 판넬 구조체 170 : 단자 박스 덮개
171 : 덮개판 172 : 연결도체
173 : 접속돌기 174 : 연결부
180 : 온도 조절기 181 : 전원 케이블
182 : 플러그 183 : 연결선
185 : 마감 판넬

Claims (7)

  1.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하는 전기 발열체와, 상기 전기 발열체를 덮는 바닥판을 갖는 다각형 모양의 판넬 바디;
    중간 부분이 상기 전기 발열체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판넬 바디의 제 1 모서리부에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판넬 바디의 제 1 모서리부와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제 2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제 1 전원선;
    중간 부분이 상기 전기 발열체의 또 다른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판넬 바디의 제 3 모서리부에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판넬 바디의 제 3 모서리부와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제 4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제 2 전원선; 및
    상기 판넬 바디의 복수의 모서리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박스 바디와, 상기 제 1 전원선의 양쪽 끝단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제 2 전원선의 양쪽 끝단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박스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는 단자를 갖는 복수의 단자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돌판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 박스는 각각 상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복수의 단자 박스 각각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복수의 단자 박스 각각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단자 박스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돌판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 박스 덮개는 각각, 상기 판넬 바디의 복수의 모서리부에 각각 배치되는 단자 박스의 단자와 상기 판넬 바디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판넬 바디에 결합되는 단자 박스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도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돌판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 박스 각각의 단자는 상측으로 개방된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도체는 상기 단자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접속돌기 및 상기 복수의 접속돌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돌판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 바디는 정사각형의 네 개의 꼭지점부가 삼각형 모양으로 절단된 다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단자 박스는 상기 판넬 바디의 절단된 꼭지점부에 대응하는 삼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돌판넬.
  6.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기 온돌판넬; 및
    상기 복수의 전기 온돌판넬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전기 온돌판넬 중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 조절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 온돌판넬은 각각,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하는 전기 발열체와, 상기 전기 발열체를 덮는 바닥판을 갖는 판넬 바디와,
    중간 부분이 상기 전기 발열체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판넬 바디의 제 1 모서리부에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판넬 바디의 제 1 모서리부와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제 2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제 1 전원선과,
    중간 부분이 상기 전기 발열체의 또 다른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판넬 바디의 제 3 모서리부에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판넬 바디의 제 3 모서리부와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제 4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제 2 전원선과,
    상기 판넬 바디의 복수의 모서리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박스 바디와, 상기 제 1 전원선의 양쪽 끝단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제 2 전원선의 양쪽 끝단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박스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는 단자를 갖는 복수의 단자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돌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기 온돌판넬은, 이들 각각에 구비되는 단자 박스들이 상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단자 박스들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단자 박스들에 각각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단자 박스 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자 박스 덮개는 각각, 상기 판넬 바디에 결합되는 어느 하나의 단자 박스에 구비되는 단자와 상기 판넬 바디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판넬 바디에 결합되는 단자 박스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도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돌시스템.
KR1020160025478A 2016-03-03 2016-03-03 전기 온돌판넬 및 이를 갖는 전기 온돌시스템 KR20170104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478A KR20170104018A (ko) 2016-03-03 2016-03-03 전기 온돌판넬 및 이를 갖는 전기 온돌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478A KR20170104018A (ko) 2016-03-03 2016-03-03 전기 온돌판넬 및 이를 갖는 전기 온돌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018A true KR20170104018A (ko) 2017-09-14

Family

ID=5992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478A KR20170104018A (ko) 2016-03-03 2016-03-03 전기 온돌판넬 및 이를 갖는 전기 온돌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40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226A (ko) * 2017-09-27 2019-04-04 (주)엠코 전기 온돌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226A (ko) * 2017-09-27 2019-04-04 (주)엠코 전기 온돌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6920B2 (en)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US11530820B2 (en) Heat panel, a heating system and a method for installing such a heating system
KR20160019343A (ko) 난방 시스템
CN103015669A (zh) 电热地板块、地板及地板铺装方法
KR101908692B1 (ko) 전기 온돌판넬 모듈 및 이를 갖는 전기 온돌시스템
KR20170104018A (ko) 전기 온돌판넬 및 이를 갖는 전기 온돌시스템
CN215889190U (zh) 一种用于地暖安装的架空结构
EP3805649A1 (en) Construction panel
KR101975227B1 (ko) 조립식 전기 온돌패널
KR200436713Y1 (ko) 전열선이 내장된 나무 마루판
KR101697572B1 (ko)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
KR101975226B1 (ko) 전기 온돌패널
JPH0512659Y2 (ko)
KR200371779Y1 (ko) 온돌 패널
JPH11132482A (ja) 暖房床構造
KR200424476Y1 (ko) 전자파가 없는 조립식 전기온돌판넬
JP2948195B1 (ja) 蓄熱式電気床暖房装置
KR200316602Y1 (ko) 전기온돌판
JP4792265B2 (ja) Oa機器の接地機能を高めたフロア
JPS6130088Y2 (ko)
US20200205236A1 (en) Grooved Floor Underlayment for Radiant Heat
IT202100001103U1 (it) Elemento modulare di pavimentazione o rivestimento e sistema di riscaldamento/raffrescamento radiante
JPS591934A (ja) 暖房用床パネル
JPH0624127U (ja) 床パネル
CN113463878A (zh) 一种用于地暖安装的架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