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884A - 결로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도어 - Google Patents

결로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884A
KR20190100884A KR1020190020720A KR20190020720A KR20190100884A KR 20190100884 A KR20190100884 A KR 20190100884A KR 1020190020720 A KR1020190020720 A KR 1020190020720A KR 20190020720 A KR20190020720 A KR 20190020720A KR 20190100884 A KR20190100884 A KR 20190100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eating element
temperature
humidity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윤아
김준엽
Original Assignee
홍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윤아 filed Critical 홍윤아
Publication of KR20190100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8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8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the conductor being embedded in an insul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9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10)의 실내측 경계를 이루는 실내측 판재(11)와; 도어(10)의 실외측 경계를 이루는 실외측 판재(12)와; 상기 실내측 판재(11)와 상기 실외측 판재(12)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소정의 굵기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탄소섬유사들로 구성된 탄소섬유 다발(25)을 복수개 준비하여 상기 탄소섬유 다발(25)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발열체(21)와, 상기 발열체(21)의 전, 후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발열체(21)가 상기 실내측 판재(11) 및 실외측 판재(12)와 직접 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불연성 절연체(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열부(20)와; 상기 실내측 판재(11)와 상기 실외측 판재(12)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소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자동으로 작동되어 상기 발열체(21)로 전류가 흐르게 하며, 소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자동으로 상기 발열체(21)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온도센서 또는 바이메탈 소자와, 상기 실내측 판재(11)와 상기 실외측 판재(12)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소정 습도 이상일 경우에 자동으로 작동되어 상기 발열체(21)로 전류가 흐르게 하며, 소정 습도 이하일 경우에 자동으로 상기 발열체(21)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습도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도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결로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도어{Door having a function of condensation prevetion}
본 발명은 겨울철이나, 습도가 높은 우기 때, 차가운 외기와 접촉하는 도어의 외측 표면과 따뜻한 실내 공기와 접하는 도어의 내측 표면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결로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각 세대별 출입문이나 사무용 빌딩의 각 출입문 등에 사용되는 철판을 절곡하여 만든 방화도어, 전원주택이나 개인주택에 주로 사용되는 목재도어, 사무실 또는 상업시설에 주로 사용되는 수지재 도어가 있는데, 이들 도어는, 실내외의 온도차가 크게 발생할 수 있는 겨울철 또는 설치 환경에 의해 도어의 실외측 표면온도와 실내측 표면온도와의 사이에 온도차가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실내표면에 결로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결로현상을 없애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9729호에서 도어의 내부판재 내부에 불연소재가 코팅된 열선을 배열한 발열체나 또는 불연소재가 코팅된 발열체 원단을 발열체로 한 발열수단과 내부판재와 외부판재에 설치 된 온도감지부에서 온도차를 감지하여 온도차이가 10도 이상 발생시에 발열수단부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전자제어부를 형성한 무결로 기능성 도어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도어는 방화문으로서의 필수적인 기능인 방화성능시험을 만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방화문의 방화성능시험은 약 945℃에서 실내외 각각 1시간 이상 화재 및 불꽃을 차단하는 시험에 합격해야 하는데, 상기 가연소재로 제작된 제어부가 도어의 실내측 표면에 노출되어 설치됨으로, 발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전자제어부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도어패널 내부에 설치 된 발열체의 합선으로 상기 발열수단부에 연속적으로 전기가 공급될 경우, 상기 도어가 과열되어 화상 및 화재사고가 발생될 수 있거나, 반대로 전기가 끊어질 경우, 결로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전자기기의 특성상 전자제어부의 기판 또는 배선에 습기나, 물, 이물질 등이 침투하여 쉽게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9729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제어부가 도어의 외부에 노출될 필요가 없으며, 탄소섬유에 의한 균일한 발열제어로 일정온도 이상 상승하지 않아 화재 및 화상의 위험이 없고, 방화성능과 단열성능이 유지되면서도 우수한 결로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10)의 실내측 경계를 이루는 실내측 판재(11)와; 도어(10)의 실외측 경계를 이루는 실외측 판재(12)와; 상기 실내측 판재(11)와 상기 실외측 판재(12)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소정의 굵기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탄소섬유사들로 구성된 탄소섬유 다발(25)을 복수개 준비하여 상기 탄소섬유 다발(25)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발열체(21)와, 상기 발열체(21)의 전, 후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발열체(21)가 상기 실내측 판재(11) 및 실외측 판재(12)와 직접 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불연성 절연체(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열부(20)와; 상기 실내측 판재(11)와 상기 실외측 판재(12)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소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자동으로 작동되어 상기 발열체(21)로 전류가 흐르게 하며, 소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자동으로 상기 발열체(21)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온도센서 또는 바이메탈 소자와, 상기 실내측 판재(11)와 상기 실외측 판재(12)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소정 습도 이상일 경우에 자동으로 작동되어 상기 발열체(21)로 전류가 흐르게 하며, 소정 습도 이하일 경우에 자동으로 상기 발열체(21)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습도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도어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때, 상기 발열부(20)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복수개의 상기 각 발열부(20)는 상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독립적으로 구비하여, 상기 도어(10)를 복수개의 구획으로 나누어, 복수개의 상기 각 발열부(20)를 구획별로 배치함으로써, 복수개의 상기 각 발열부(20)가 상기 각 구획별로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어(10)와; 금속성 하우징(33)과, 상기 하우징(33)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소정의 굵기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탄소섬유사들로 구성된 탄소섬유 다발(25)을 복수개 준비하여 상기 탄소섬유 다발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발열체(21)와, 상기 발열체(21)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발열체(21)가 상기 하우징(33)과 직접 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불연성 절연체(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열판넬(30)과; 상기 발열판넬(30) 내부에 구비되며, 소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자동으로 작동되어 상기 발열체(21)로 전류가 흐르게 하며, 소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자동으로 상기 발열체(21)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온도센서 또는 바이메탈 소자와, 상기 발열판넬(30) 내부에 구비되며, 소정 습도 이상일 경우에 자동으로 작동되어 상기 발열체(21)로 전류가 흐르게 하며, 소정 습도 이하일 경우에 자동으로 상기 발열체(21)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습도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발열패널(30)이 상기 도어(10)의 실내측 표면에 탈부착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부(20)와, 상기 온도센서 또는 바이메탈 소자와 습도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부(41)는, 상기 도어(10)가 설치되는 문틀(50)의 내부에도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탄소섬유사 다발을 발열체로 이용하고, 금속재질의 도어 또는 발열패널의 외부로 노출되는 별도의 가연성 재질의 제어부를 구비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도어 또는 발열 패널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으며, 방화성능, 단열성능이 인증시험기준을 만족하면서 결로방지 성능도 만족하는 도어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탄소섬유사 다발을 발열체로 이용함으로써, 과열의 위험을 없앤 안전한 도어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목재 또는 수지도어에도 적용되어, 결로성능을 인증기준에 맞게 유지하면서도 단열성능이 향상된 도어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역별 환경조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여러 개의 온도 및 습도 설정값을 구비하고 있어,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가 설치될 때 그 지역의 환경에 맞추어 하나의 값을 선택하여 장착함으로써 그 지역에 최적의 설정값을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발열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전원 공급배선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팅선택수단을 보여주는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요소의 설명은 각 실시예에서 모두 설명하는 경우 장황한 중복 설명이 되므로, 이러한 공통 요소들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며, 차이점에 관한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발열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방화성능과 단열성능이 인증시험 기준에 맞게 유지되면서 결로방지 기능까지 구비되는 도어를 제안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실내측 판재(11)와, 실외측 판재(12), 발열부(20) 및 센서부(41)로 구성된다.
상기 실내측 판재(11)와 실외측 판재(12)는 도어의 외부 형상을 구성하는 판재인데, 상기 실내측 판재(11)는 도어 설치시 실내측을 향하는 면을 구성하는 금속성 판재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외측 판재(12)는 도어 장착시 실외측을 향하는 면을 구성하는 금속성 판재를 말하며 이 역시 일반적으로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내측 판재(11)와 실외측 판재(12)는 그 가장자리(모서리)에서 서로 접하게 되는데, 그 단열성능과 밀폐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밀폐부재를 개재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실내측 판재(11)와 실외측 판재(12)로 둘러싸인 상기 도어의 내부에는 일반적으로 단열재(13)가 구비된다. 상기 밀폐부재와 단열재(13)는 도어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공지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발열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발열체(21)와 절연체(22)로 구성되며, 상기 실내측 판재(11)와 실외측 판재(12)로 둘러싸인 상기 도어의 내부에 상기 실내측 판재(12)와 나란하게 설치된다.
상기 발열체(21)는 전기의 공급에 의해 열을 방출하는 수단으로서, 소정의 굵기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탄소섬유사로 이루어진다. 이때, 복수개의 탄소섬유사로 이루어지는 탄소섬유 다발(25)을 복수개 준비하여 이를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하고, 상기 탄소섬유 다발(25)의 양 끝단에 전기 접점(26)을 형성하여 전류를 흐르게 한다. 도 2에서는 상기 탄소섬유 다발(25)이 병렬로 배치되는 구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렬로 배치되거나 필요에 따라 직렬 연결과 병렬 연결은 혼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탄소섬유사는 그 굵기에 따라 일정한 저항값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목적한 온도에 맞추어, 소정의 저항값을 갖는 상기 탄소섬유사를 목표한 온도에 맞는 개수만큼 준비하여 이들 다발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발열체(21)가 발열되도록 하며, 만약 상기 발열체(21)에 지속적으로 전류를 흘려도 일정 온도 이상 상승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발열체(21)에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상에 온도센서 또는 바이메탈 소자와 같은 센서부(41)를 설치하여, 가연성의 복잡한 전자제어 컨트롤러에 의한 제어가 없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소정 온도에 온-오프 작동을 하는 온도센서나 바이메탈 소자들이 많이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목적한 바 온도에 맞는 온도센서 또는 바이메탈 소자를 도어 내부에 위치한 회로상에 설치하여 소정 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상기 온도센서 또는 바이메탈 소자와 같은 센서부(41)가 상기 발열체(21)로 전류가 흐르도록 on 작용을 하며, 소정 온도 이상 올라가면 상기 센서부(41)가 off 작용을 하여 상기 발열체(21)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온도센서나 바이메탈 소자는 하나만 설치할 수도 있으며 복수개 설치할 수도 있으며, 혼용하여 설치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발열체(21)에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상에 습도센서를 설치하여, 복잡한 전자제어 컨트롤러에 의한 제어가 없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목적한 바 습도에 맞는 습도센서를 도어 내부에 위치한 회로상에 설치하여, 소정의 습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에 상기 습도센서가 on 상태로 되어 상기 발열체(21)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며, 소정의 습도 이하로 내려갈 경우에 상기 습도센서가 자동으로 off 상태로 되어 상기 발열체(21)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센서부(41)는 상기 온도센서, 바이메탈 소자, 습도센서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온도센서나 바이메탈 소자, 및 상기 습도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스위칭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둘 다 사용하여 스위칭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사용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센서부(41)가 상기 도어(10)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종래 기술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가연성 소재의 컨트롤러가 별도로 도어에 설치됨에따라 방화성능을 저하시키는 단점을 극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의 고장으로 인하여 상기 발열체(21)가 과열되어 화상사고 및 화재의 위험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극복하게 된다. 즉,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으로 인해, 상기 컨트롤러의 장착으로 인하여 도어의 방화성능이 인증시험기준을 만족시킬 수 없으며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전자제어컨트롤러에서 실내외 온도차를 10℃로 설정하고, 설정한 온도차가 발생하면 발열체(21)가 작동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 경우 실외 및 실내온도가 결로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온도(상온)에서도,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가 10℃ 이상만 발생하면 강제적으로 발열체(21)가 작동하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작동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또한 작동되지 않아도 되는 계절이나, 실내외 환경이 달라지면 온-오프를 수동으로 해야 하므로 완전한 자동 작동이 어렵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차가 아닌 특정 온도 또는 특정 습도에서 on-off 작동되도록 하며, 이때 설정온도나 설정습도는 제조사의 설정에 따라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로 획일적으로 정하든지, 혹은 도어가 사용되고자 하는 지역의 기후 등 환경특성에 맞게 설정하고, 그 온도에서 자동으로 on-off 작동을 하는 온도센서나 바이메탈 소자를 이용하여 소정 온도에서 작동함으로써, 위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전원부에서 상기 발열체(21)로 연결되는 전선은 불연전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실리카, 유리섬유 또는 세라믹 섬유 피복으로 감싼 불연전선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체(21)에서 연결, 연장된 불연전선은 방화문의 힌지 또는 통전금구, 천정, 벽체 등에 설치된 전원부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발열체(21)에 일정 전압 및 전류량만이 상기 발열체(21)로 흘러가도록, 어댑터 등을 매개하여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체(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체(21)가 상기 실내측 판재(11) 및 실외측 판재(12)에 직접 접하지 않도록, 상기 발열체(21)의 양면에 위치하여 상기 발열체(21)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전기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연체(22)는 불연성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절연체(22)의 소재로는 유리섬유 또는 세라믹 섬유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실내 공기의 대류현상 및 그 물리적 특성때문에, 일반적으로 도어의 실내측의 상부와 하부에는 온도 및 습도차이가 발생하게 되고(하부는 상대적으로 차갑고 상부는 상대적으로 따뜻하게 됨), 이로 인해 상부보다는 하부에서 결로가 더 많이 발생하게 되며, 도어가 설치된 환경에 따라서 좌측과 우측의 가장자리에서도 온도 및 습도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도어(10)에서도 결로가 많이 발생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므로, 상기 도어(10)를 둘 이상의 구획으로 나누어 각 구획별로 독립적으로 결로 방지기능을 수행하게 한다면 전기에너지도 불필요하게 낭비되지 않아 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부(20)를 복수개 준비하여, 상기 하나의 도어(10)에 배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즉, 상기 센서부(41)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하는 복수개의 발열부(20)를 준비하여, 상기 각 발열부(20)를 상기 하나의 도어(10)에서 소정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발열부(20) 각각은 각자 독립적으로 구비된 상기 센서부(41)에 의해 개별적,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하나의 도어(10)에서 복수개의 상기 발열부(20)가 각자의 영역에서 개별적으로 요건이 되었을 때에만 작동하므로, 불필요한 전기에너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나라별로, 또한 한 국가 내에서도 지역별로 기후 등 환경이 서로 다르므로, 각각의 지역에 따라 별도로 고유하게 하나의 값으로만 세팅된 제품들을 별도로 생산하여 공급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제품의 재고 관리에 있어서도 불리한 점이 있다. 따라서, 각 지역별 환경에 따른 복수개의 미리 정해진 최적의 온도나 습도 세팅값을 여러개 정하여 두고, 이러한 복수개의 발열조건 세팅값에 따른 센서들을 회로상에 미리 구비하여 두고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복수개의 미리 정해진 세팅값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리 정해진 복수개의 세팅값 중에서 하나를 선택 세팅할 수 있는 발열조건 선택수단(70)을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열조건 선택수단(70)은 상기 센서부(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개의 발열조건 세팅값과 1:1 대응되는 복수개의 슬롯(72)이 구비되며, 상기 슬롯(72) 중에서 사용조건에 맞는 발열조건에 해당하는 슬롯(72)을 선택하여, 핀(73)을 상기 슬롯(72)에 꽂음으로써 세팅값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발열조건 선택수단(70)은 슬롯(72)과 핀(73)으로 선택할 수도 있지만, 상기 슬롯(72) 대신에 버튼으로 구성하여 상기 버튼을 누름으로써 세팅값을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열조건 선택수단(70)은 상기 도어(1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발열조건 선택수단(70)은 금속 커버(71)를 더욱 구비하여 방열성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발열부(20) 및 상기 센서부(41)가 상기 도어(10)에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문틀(50)의 내부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0)의 각 부위마다도 그 온도와 습도 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문틀(50) 역시 실내외 온도차이가 발생하며, 설치부위에 따라 그 온도와 습도 차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문틀(50) 부위도 타 부위와 그 온도와 습도 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언급된 각 실시예들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0) 뿐만 아니라 상기 문틀(50)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열부(20) 및 상기 센서부(41)로의 전원의 공급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0)의 일 측면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전선과, 벽체의 전원으로부터 어댑터(64)를 거쳐 연장되어 오는 전선이 상기 문틀(50)과 상기 도어(10)의 일 측면에서, 통전힌지(61), 통전금구(62), 접촉단자(63) 등에 의해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통전힌지(61), 통전금구(62), 접촉단자(63) 등의 구성과 작용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어댑터(64)에 의해 일정한 값의 전류와 전압이 공급되게 된다.
또한, 상기 언급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도어(10)는 그 재질을 금속재 방화문인 경우를 전제로 하여 기술되어 있으나, 목재 도어나, 수지재 도어의 경우에도 결로방지를 위하여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부(20)가 도어 내부에 직접 장착되지 않고, 별도의 발열패널 내에 장착되어 상기 발열패널을 상기 도어(10)나 문틀(50)에 탈부착될 수 있는 구성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크게 도어(10)와 발열패널(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도어(10)는 일반적으로 철문으로 불리는 일반적인 방화문일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발명은 금속성 도어 뿐만 아니라 목재 및 수지재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발열패널(30)은 크게 금속성 하우징(33), 발열체(21) 및 절연체(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3)은 상기 발열패널(30)의 외부 프레임을 말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실시예의 실내측 판재(11) 및 실외측 판재(12)와 유사하게 내부에 상기 발열체(21)와 절연체(22)로 이루어지는 발열부(20)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이다.
또한, 상기 센서부(41) 역시 상기 하우징(33) 내에 구비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발명은 패널형으로 구성되어 도어(10)의 외부에 장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패널형으로 장착되므로, 상기 도어(10) 뿐만 아니라 문틀(50)이나 벽체 등에도 장착되어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발열체(21)와 상기 절연체(22) 및 상기 센서부(41)에 의한 작동 등, 본 실시예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패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에 탈부착 가능한 점을 제외하고는 모든 구성 및 작동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실시예들이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도어 11: 실내측 판재
12: 실외측 판재 13: 단열재
20: 발열부 21: 발열체
22: 절연체 25: 탄소섬유 다발
26: 전기 접점 30: 발열패널
33: 하우징 41: 센서부
50: 문틀 61: 통전힌지
62: 통전금구 63: 접촉단자
64: 어댑터 70: 발열조건 선택수단
71: 커버 72: 슬롯
73: 핀

Claims (4)

  1. 도어(10)의 실내측 경계를 이루는 실내측 판재(11)와;
    도어(10)의 실외측 경계를 이루는 실외측 판재(12)와;
    상기 실내측 판재(11)와 상기 실외측 판재(12)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소정의 굵기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탄소섬유사들로 구성된 탄소섬유 다발(25)을 복수개 준비하여 상기 탄소섬유 다발(25)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발열체(21)와, 상기 발열체(21)의 전, 후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발열체(21)가 상기 실내측 판재(11) 및 실외측 판재(12)와 직접 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불연성 절연체(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열부(20)와;
    상기 실내측 판재(11)와 상기 실외측 판재(12)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소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자동으로 작동되어 상기 발열체(21)로 전류가 흐르게 하며, 소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자동으로 상기 발열체(21)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온도센서 또는 바이메탈 소자와, 상기 실내측 판재(11)와 상기 실외측 판재(12)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소정 습도 이상일 경우에 자동으로 작동되어 상기 발열체(21)로 전류가 흐르게 하며, 소정 습도 이하일 경우에 자동으로 상기 발열체(21)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습도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20)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복수개의 상기 각 발열부(20)는 상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독립적으로 구비하여,
    상기 도어(10)를 복수개의 구획으로 나누어, 복수개의 상기 각 발열부(20)를 구획별로 배치함으로써, 복수개의 상기 각 발열부(20)가 상기 각 구획별로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도어.
  3. 도어(10)와;
    금속성 하우징(33)과, 상기 하우징(33)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소정의 굵기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탄소섬유사들로 구성된 탄소섬유 다발(25)을 복수개 준비하여 상기 탄소섬유 다발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발열체(21)와, 상기 발열체(21)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발열체(21)가 상기 하우징(33)과 직접 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불연성 절연체(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열판넬(30)과;
    상기 발열판넬(30) 내부에 구비되며, 소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자동으로 작동되어 상기 발열체(21)로 전류가 흐르게 하며, 소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자동으로 상기 발열체(21)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온도센서 또는 바이메탈 소자와, 상기 발열판넬(30) 내부에 구비되며, 소정 습도 이상일 경우에 자동으로 작동되어 상기 발열체(21)로 전류가 흐르게 하며, 소정 습도 이하일 경우에 자동으로 상기 발열체(21)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습도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발열패널(30)이 상기 도어(10)의 실내측 표면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도어.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20)와, 상기 온도센서 또는 바이메탈 소자와 습도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부(41)는,
    상기 도어(10)가 설치되는 문틀(50)의 내부에도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도어.
KR1020190020720A 2018-02-21 2019-02-21 결로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도어 KR201901008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299 2018-02-21
KR20180020299 2018-0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884A true KR20190100884A (ko) 2019-08-29

Family

ID=67776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720A KR20190100884A (ko) 2018-02-21 2019-02-21 결로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08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023A (ko) * 2020-03-04 2021-09-14 주식회사 대광도어 방화문의 발열장치
KR102332695B1 (ko) * 2020-12-04 2021-12-01 박문규 히터 설치형 결로방지 방화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729B1 (ko) 2013-07-26 2016-03-04 (주)삼선씨에스에이 무결로 기능성 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729B1 (ko) 2013-07-26 2016-03-04 (주)삼선씨에스에이 무결로 기능성 도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023A (ko) * 2020-03-04 2021-09-14 주식회사 대광도어 방화문의 발열장치
KR102332695B1 (ko) * 2020-12-04 2021-12-01 박문규 히터 설치형 결로방지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0884A (ko) 결로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도어
US3413439A (en) Electric circuit connections
MXPA06014335A (es) Luz auxiliar para electrodomestico.
US20170074544A1 (en) Cover plate with remotely controllable switching circuit
KR100985075B1 (ko) 가열층을 구비한 적층형 요소
US3946194A (en) Building comprising one or more rooms or confined spaces equipped with an electric heating installation, and/or an electric heating installation for this building, equipped with a heating device
US2502147A (en) Electrical heating apparatus
KR100996301B1 (ko) 면상 발열체, 면상 발열판, 및 열풍기
KR920005455B1 (ko) 히터제어회로
RU151643U1 (ru) Электрообогреватель
KR101611802B1 (ko) 봉상 탄소 발열체가 설치된 온돌패널
KR102247373B1 (ko) 결로방지 기능을 갖춘 콘센트 커버기구
EP0878980B1 (en) Process to manufacture heating panels and panels obtained therefrom
CN110476013B (zh) 具有集成式电加热器、风扇和控制器的顶灯或壁灯
US3026393A (en) Baseboard wiring device provided with combination thermostatic switch and manual pushbutton switch temperature control system
US4851646A (en) Electric sauna stove
KR20130010983A (ko) 전기 목재 온돌 패널
US20100239235A1 (en) Panel Heaters
CN205179387U (zh) Ptc电加热器支架以及电加热装置
CN206582944U (zh) 对流型电加热器控制装置
CN207094681U (zh) 电磁烹饪器具
US2582762A (en) Radiant heating installation
CN201749379U (zh) 温度控制器
GB2240618A (en) Electric space heater
JP3405847B2 (ja) 電子レ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