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742B1 -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 - Google Patents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742B1
KR102164742B1 KR1020207008197A KR20207008197A KR102164742B1 KR 102164742 B1 KR102164742 B1 KR 102164742B1 KR 1020207008197 A KR1020207008197 A KR 1020207008197A KR 20207008197 A KR20207008197 A KR 20207008197A KR 102164742 B1 KR102164742 B1 KR 102164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edge
groove
insert
cutting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8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4820A (ko
Inventor
겐지 나가후치
야스히로 기우치
요시유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몰디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몰디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몰디노
Publication of KR20200034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23C5/1009Ball nose end mills
    • B23C5/1027Ball nose end mills with one or more removable cutting inserts
    • B23C5/1045Ball nose end mills with one or more removable cutting inserts having a cutting insert, the cutting edge of which subtends substantially 90 degr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0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 B23C5/2208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 B23C5/2213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having a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adjustable
    • B23C5/247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adjustable the adjusting means be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12Side or flank surfaces
    • B23C2200/125Side or flank surfaces discontinu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16Supporting or bottom surfaces
    • B23C2200/165Supporting or bottom surfaces with one or more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16Supporting or bottom surfaces
    • B23C2200/168Supporting or bottom surfaces with features related to inde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16Fixation of inserts or cutting bits in the tool
    • B23C2210/163Inde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이 절삭 인서트 (1) 에서는, 레이크면과, 레이크면과는 반대측을 향해 인서트 장착 시트에 착좌되는 착좌면 (3) 과, 레이크면과 착좌면 (3) 의 주위로 연장되는 플랭크면 (4) 을 구비하고, 레이크면과 플랭크면 (4) 의 교차 능선부에는, 원호상으로 연장되는 원호상 절삭날부 (5a, 6a) 와, 원호상 절삭날부 (5a, 6a) 에 접하는 직선상 절삭날부 (5b, 6b) 를 구비한 2 개의 절삭날 (5, 6) 이 형성되고, 착좌면 (3) 에는, 인서트 장착 시트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볼록부에 맞닿을 수 있는 벽면 (8b) 을 갖는 홈부 (8) 가 형성되고, 홈부 (8) 는, 이 홈부 (8) 가 연장되는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홈 폭이 좁아지는 협폭부 (9) 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
본 발명은,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의 엔드 밀 본체의 선단부에 형성된 인서트 장착 시트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절삭 인서트, 및 이와 같은 절삭 인서트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8월 30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17-165664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이와 같은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에 사용되는 절삭 인서트에 있어서는, 2 개의 원호상 절삭날부가 레이크면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반대측에 형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 그와 같은 절삭 인서트에서는, 이들 원호상 절삭날부에 이어져 플랭크면이 되는 절삭 인서트의 측면이 볼록 만곡되게 되기 때문에, 절삭 가공시의 절삭 부하에 의해, 절삭에 사용되는 원호상 절삭날부와는 반대측의 원호상 절삭날부에 이어지는 플랭크면의 만곡을 따라 절삭 인서트가 어긋나 움직이기 쉽다. 그래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에는, 인서트 장착 시트의 바닥면에 돌출되는 볼록부를 형성함과 함께, 절삭 인서트의 착좌면에는, 이 볼록부에 맞닿을 수 있는 벽면을 구비한 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이와 같은 절삭 인서트의 어긋난 움직임을 방지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 1 에 있어서는, 홈부의 대향하는 2 개의 벽면 중 1 개만을 볼록부의 1 개의 측면에 맞닿게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원호상 절삭날부와 직선상 절삭날부를 각각 구비한 주절삭날과 부절삭날을 형성하고, 이들 주절삭날과 부절삭날을 비대칭으로 함으로써, 동형동대 (同形同大) 의 1 종 2 개의 절삭 인서트의 원호상 절삭날부에 의해, 엔드 밀 본체 선단의 축선 부근으로부터 외주에 걸친 절삭과, 이 축선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로부터 외주에 걸친 절삭을 실시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7432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97933호
그런데, 이들 특허문헌 1, 2 의 도면에 기재된 절삭 인서트에서는, 상기 홈부의 대향하는 2 개의 벽면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나타나 있다. 그러나, 홈부의 벽면이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 엔드 밀 본체의 볼록부의 강성을 높여 절삭 인서트의 어긋난 움직임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이 볼록부의 폭을 크게 하면, 절삭 인서트의 홈부의 폭도 커져, 절삭 인서트의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여 절삭 가공시의 부하에 의해 손상이 발생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그 한편으로, 절삭 인서트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홈부의 폭을 작게 하면, 엔드 밀 본체의 볼록부의 폭도 작게 하지 않으면 않게 되어 절삭 인서트의 장착 강성을 확보할 수 없어, 절삭 가공시의 부하에 의한 절삭 인서트의 어긋난 움직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절삭 인서트의 강도를 저해하지 않고, 그 절삭 가공시의 어긋난 움직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절삭 인서트 및 그 절삭 인서트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는, 축선 둘레로 회전되는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의 엔드 밀 본체의 선단부에 형성된 인서트 장착 시트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절삭 인서트로서, 상기 엔드 밀 본체의 회전 방향으로 향해지는 레이크면과, 이 레이크면과는 반대측을 향해 상기 인서트 장착 시트의 바닥면에 착좌되는 착좌면과, 이들 레이크면과 착좌면의 주위로 연장되는 플랭크면을 구비하고, 상기 레이크면과 상기 플랭크면의 교차 능선부에는,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평면시에 있어서 원호상으로 연장되는 원호상 절삭날부와, 이 원호상 절삭날부에 접하도록 연장되는 직선상 절삭날부를 각각 구비한 2 개의 절삭날이, 상기 원호상 절삭날부와 직선상 절삭날부를 상기 레이크면의 둘레 방향에 교대로 위치시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착좌면에는, 상기 인서트 장착 시트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볼록부에 맞닿을 수 있는 벽면을 갖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는, 그 홈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홈 폭이 좁아지는 협폭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은, 이와 같은 절삭 인서트가, 축선 둘레로 회전되는 엔드 밀 본체의 선단부에 형성된 인서트 장착 시트에, 이 인서트 장착 시트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볼록부에 상기 홈부의 벽면을 맞닿게 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에 있어서는, 절삭 인서트의 홈부가, 그 홈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해 홈 폭이 좁아지는 협폭부를 갖고 있으므로, 이 협폭부의 홈 폭이 좁아지는 타단측에 있어서는 절삭 인서트의 두께를 확보하여 응력을 분산시켜,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반대로 협폭부의 일단측에서는 홈 폭이 넓어지므로,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를, 상기 홈부의 상기 협폭부가 맞닿는 부분에서, 그 홈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상기 타단측으로부터 상기 일단측을 향함에 따라 광폭이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절삭 가공시의 부하에 대한 장착 강성을 높여 절삭 인서트의 어긋난 움직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2 개의 절삭날 중 일방은 주절삭날이 됨과 함께 타방은 부절삭날이 되고, 상기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가, 상기 주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에 대해 동일한 반경이고 둘레 방향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어, 절삭 인서트가 특허문헌 2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대칭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형동대의 1 종 2 개의 절삭 인서트에 의해, 주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에 의해 엔드 밀 본체 선단의 축선 부근으로부터 외주에 걸친 절삭을 실시함과 함께, 이 축선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로부터 외주에 걸친 절삭을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에 의해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절삭 인서트의 관리가 용이해짐과 함께 경제적이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상기 홈부가, 상기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측으로부터 상기 주절삭날의 직선상 절삭날부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어, 상기 협폭부는, 상기 주절삭날의 직선상 절삭날부측이 상기 일단측이 됨과 함께, 상기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측이 상기 타단측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부절삭날이 절삭에 사용되는 경우에, 이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에 작용하는 절삭 부하에 대해서는, 협폭부의 폭이 좁아진 타단측에 있어서 절삭 인서트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절삭에 사용되지 않는 주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를 따른 절삭 인서트의 어긋난 움직임은, 이 주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로부터 떨어진 광폭이 되는 협폭부의 일단측에서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홈부는, 상기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에 이어지는 상기 플랭크면으로 개구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가, 그 부절삭날의 직선상 절삭날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착좌면측으로부터 멀어진 후에 그 착좌면측에 가까워지는 볼록 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 바람직하다. 이로써, 이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는, 그 상기 착좌면에 대해 가장 볼록해지는 점인 최볼록점으로부터 서서히 피삭재에 절입하게 되므로, 절삭 저항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즉,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에 사용되는 절삭 인서트에 있어서, 절삭 가공시에는, 원호상 절삭날부의 선단부나, 이것에 이어지는 플랭크면이나 인서트 본체의 측면에는 큰 절삭 부하가 인가된다. 그래서, 이 절삭 부하를 경감시키는 것이나, 절삭 부스러기의 배출성을 고려한 절삭날 형상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원호상 절삭날부와 피삭재의 접촉 형태를 제어하는 것에도 주목하였다.
예를 들어, 절삭 가공 방법으로서, 소정의 축 방향 깊이마다 설정된 픽 피드에 의해 공작물 형상에 접근하는 공구 궤적으로 가공하는 등고선 가공을 선택한 경우에는, 절삭날이 피삭재에 물리는 영역으로서, 절삭 부스러기 두께가 얇아지는 절 삭날 선단측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원호상 절삭날부를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볼록 곡선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비틀림 형상으로 함으로써, 절삭날에 작용하는 충격을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한 절삭날 형상이 된다.
한편, 절삭 가공 방법으로서, 삼차원 형상의 특정한 피삭재의 구성 부분에 대해, 그 면을 따른 공구 궤적으로 절삭 가공을 실시하는 면 매칭 가공 (주사선 가공) 을 선택한 경우에는, 엔드 밀 본체의 축선 방향으로의 절입시에, 절삭 부스러기 두께가 두꺼워지는 원호상 절삭날부의 선단부측부터 피삭재에 물리기 때문에, 선단부에 큰 절삭 부하가 인가된다. 그래서, 원호상 절삭날부를 볼록 곡선상으로 하여 상기 최볼록점을 형성하여 절삭 인서트를 후육화함으로써, 절삭날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단, 이와 같이 홈부가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에 이어지는 플랭크면으로 개구되어 있음과 함께, 이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가 볼록 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홈부의 상기 플랭크면으로의 개구부는, 상기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의 상기 최볼록점보다 상기 부절삭날의 직선상 절삭날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최볼록점으로부터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가 피삭재에 물려 절입할 때의 충격에 의해 홈부의 개구부로부터 절삭 인서트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착좌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바닥면시에 있어서, 상기 최볼록점과 상기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의 중심을 잇는 직선과, 상기 부절삭날의 직선상 절삭날부측을 향하는 상기 홈부의 벽면과 상기 플랭크면의 교차 능선부의 상기 착좌면측으로의 단부와 상기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의 중심을 잇는 직선이 이루는 제 1 교차각이, 5°∼ 60°의 범위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 1 교차각이 5°를 하회할 만큼 작으면, 홈부의 개구부가 상기 최볼록점에 지나치게 가까워져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에 물릴 때에 절삭 인서트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 한편으로, 이 제 1 교차각이 60°보다 크면, 절삭 인서트에 형성한 장착공에 클램프 나사를 삽입 통과시켜 인서트 장착 시트의 나사공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절삭 인서트를 장착하는 경우에, 홈부나 볼록부가 장착공이나 나사공과 간섭할 우려가 생긴다.
또, 동일하게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홈부가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에 이어지는 플랭크면으로 개구되어 있음과 함께, 이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가 볼록 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착좌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바닥면시에 있어서, 상기 최볼록점과 상기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의 중심을 잇는 직선과, 상기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측으로의 그 부절삭날의 직선상 절삭날부의 연장선이 이루는 제 2 교차각은, 10°∼ 50°의 범위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 2 교차각이 10°를 하회할 만큼 작으면, 부절삭날이 절삭에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최볼록점이 엔드 밀 본체의 축선에 지나치게 가까워져, 축선 둘레의 회전 속도가 작은 부분부터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가 피삭재에 절입하게 되어, 절삭 저항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저해될 우려가 있다. 한편, 이 제 2 교차각이 50°를 상회할 만큼 크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홈부의 개구부를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에 이어지는 플랭크면에 있어서 상기 최볼록점보다 부절삭날의 직선상 절삭날부측에 위치시키려고 했을 때에, 홈부나 볼록부가 절삭 인서트의 장착공이나 인서트 장착 시트의 나사공과 간섭할 우려가 생긴다. 그리고 또, 이 제 2 교차각 (θ2) 이 50°보다 크면, 원호상 절삭날부의 축 방향 레이크각이 부의 값이 되는 영역이 증대하기 때문에, 절삭 부스러기의 배출성이 열화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홈부는, 그 홈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일단측의 상기 플랭크면과 타단측의 상기 플랭크면 중의 적어도 일방으로는 개구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가 볼록 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그 플랭크면에 홈부가 개구되어 있지 않으면 손상을 일으킬 우려도 적다.
또한, 상기 홈부는, 상기 협폭부보다 상기 일단측과 상기 타단측 중의 적어도 일방에서는 일정한 홈 폭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즉, 홈부는, 그 홈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홈 폭이 좁아지는 협폭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타단측에서 홈 폭이 좁아진 협폭부보다도 더욱 타단측에서는 홈부의 홈 폭을 일정하게 하면, 이 부분에서 볼록부의 폭이 지나치게 좁아지는 것을 억제하여 장착 강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또, 상기 홈부에 있어서의 상기 협폭부의 타단에 있어서의 홈 폭은, 이 홈부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절삭날의 상기 원호상 절삭날부의 반경 (r) 에 대해 0.05 × r ∼ 0.18 × r 의 범위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협폭부에 있어서 가장 폭이 좁아지는 타단에 있어서의 홈 폭이 상기 범위를 하회할 만큼 좁으면, 인서트 장착 시트의 볼록부의 폭도 작게 하지 않으면 안 되어, 확실하게 강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한편, 이 협폭부의 타단에 있어서의 홈 폭이 상기 범위를 상회할 만큼 넓고, 홈부의 벽면이 서로 평행한 상태에 가까워지면, 협폭부의 타단측에 있어서 두께를 확보함으로써 응력을 분산시켜 절삭 인서트의 강도를 유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절삭 인서트의 착좌면에 형성된 홈부의 협폭부에 의해, 홈 폭이 좁아지는 홈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타단측에 있어서는 절삭 인서트의 두께를 확보하여 응력을 분산시켜,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 절삭 가공시의 부하에 의한 절삭 인서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홈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일단측에서는 협폭부의 홈 폭이 넓어지므로,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의 볼록부를 광폭으로 형성할 수 있어, 절삭 인서트의 장착 강성을 높여 어긋난 움직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바닥면도이다.
도 4 는, 도 2 및 도 3 에 있어서의 화살표선 A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2 및 도 3 에 있어서의 화살표선 B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6 은, 도 2 및 도 3 에 있어서의 화살표선 C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7 은, 도 2 및 도 3 에 있어서의 화살표선 D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엔드 밀 본체의 선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8 에 나타내는 엔드 밀 본체의 선단부의 정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에 있어서의 화살표선 A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1 은, 도 9 에 있어서의 화살표선 B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2 는, 도 9 에 있어서의 화살표선 C 방향에서 본 바닥면도이다.
도 13 은, 도 9 에 있어서의 화살표선 D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의 일 실시형태의 선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는, 도 14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16 은, 도 15 에 있어서의 화살표선 A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7 은, 도 15 에 있어서의 화살표선 B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8 은, 도 15 에 있어서의 화살표선 C 방향에서 본 바닥면도이다.
도 19 는, 도 15 에 있어서의 화살표선 D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0A 는 홈부에 있어서의 협폭부의 타단의 홈 폭을 변화시킨 경우의 시뮬레이션 해석에 의한 응력의 분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홈 폭이 일정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B 는 홈부에 있어서의 협폭부의 타단의 홈 폭을 변화시킨 경우의 시뮬레이션 해석에 의한 응력의 분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협폭부를 갖고 원호상 절삭날부의 반경 (r) 에 대한 협폭부의 타단부의 홈 폭이 0.133 × r 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C 는 홈부에 있어서의 협폭부의 타단의 홈 폭을 변화시킨 경우의 시뮬레이션 해석에 의한 응력의 분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협폭부를 갖고 원호상 절삭날부의 반경 (r) 에 대한 협폭부의 타단부의 홈 폭이 0.067 × r 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바닥면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바닥면도이다.
도 23 은 도 22 에 있어서의 화살표선 A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4 는 도 22 에 있어서의 화살표선 B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5 는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바닥면도이다.
도 26 은 도 25 에 있어서의 화살표선 A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7 은 도 25 에 있어서의 화살표선 B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8 은 도 25 에 있어서의 화살표선 C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9 는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바닥면도이다.
도 30 은 도 29 에 있어서의 화살표선 A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31 은 도 29 에 있어서의 화살표선 B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32 는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바닥면도이다.
도 1 ∼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 (1) 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 도 8 ∼ 도 13 은, 이 제 1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 (1) 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의 엔드 밀 본체 (11) 의 선단부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14 ∼ 도 19 는, 이 엔드 밀 본체 (11) 의 인서트 장착 시트 (12) 에 제 1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 (1) 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본 발명의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의 일 실시형태의 선단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 (1) 는, 초경합금 등의 경질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평면시에 있어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나뭇잎형의 판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상면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나뭇잎형의 레이크면 (2) 이 된다. 또, 이 레이크면 (2) 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하면은 레이크면 (2) 과 대략 상사형을 이루는 나뭇잎형이고 상기 인서트 장착 시트의 바닥면에 착좌되는 평탄한 착좌면 (3) 이 되고, 이들 레이크면 (2) 과 착좌면 (3) 사이에 있어서 주위로 연장되는 측면은 플랭크면 (4) 이 되어 있다.
레이크면 (2) 과 플랭크면 (4) 의 교차 능선부에는, 레이크면 (2)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평면시에 있어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상으로 연장되는 원호상 절삭날부 (5a, 6a) 와, 이 원호상 절삭날부 (5a, 6a) 에 접하도록 연장되는 직선상 절삭날부 (5b, 6b) 를 각각 구비한 2 개의 절삭날이, 이들 원호상 절삭날부 (5a, 6a) 와 직선상 절삭날부 (5b, 6b) 를 레이크면 (2) 의 둘레 방향에 교대로 위치시켜 형성되어 있다. 이들 2 개의 절삭날 중 일방의 제 1 절삭날은 주절삭날 (5) 이 되고, 타방의 제 2 절삭날은 부절삭날 (6) 이 된다.
또, 플랭크면 (4) 은, 레이크면 (2) 으로부터 착좌면 (3) 측을 향함에 따라 절삭 인서트 (1) 의 내주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고, 본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 (1) 는 포지티브 타입의 절삭 인서트로 되어 있다. 또한, 레이크면 (2) 과 착좌면 (3) 의 중앙부에는, 절삭 인서트 (1) 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단면 원형의 장착공 (7) 이 개구되어 있고, 이 장착공 (7) 의 레이크면 (2) 측의 부분은 착좌면 (3) 측을 향함에 따라 축경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평면시에 있어서, 주절삭날 (5)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는 대략 1/4 원호상을 이루고 있다. 이에 반해,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는, 주절삭날 (5)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와 동일한 반경이고, 단 둘레 방향의 길이는 주절삭날 (5)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보다 짧게 되어 있어, 즉 1/4 원호보다 짧은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에 수반하여, 주절삭날 (5) 의 직선상 절삭날부 (5b) 는, 반대로 부절삭날 (6) 의 직선상 절삭날부 (6b) 보다 짧게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 (1) 는, 장착공 (7) 의 중심선 둘레로 180°회전 대칭되지는 않고, 비대칭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주절삭날 (5) 과 부절삭날 (6) 의 직선상 절삭날부 (5b, 6b) 는, 상기 평면시에 있어서 주절삭날 (5)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와 부절삭날 (6) 의 직선상 절삭날부 (6b) 가 교차하는 레이크면 (2) 의 제 1 단부 (端部) (2a) 로부터, 주절삭날 (5) 의 직선상 절삭날부 (5b) 와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가 교차하는 레이크면 (2) 의 제 2 단부 (2b) 를 향함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또, 이들 제 1, 제 2 단부 (2a, 2b) 는, 주절삭날 (5) 과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6a) 와 직선상 절삭날부 (5b, 6b) 에 둔각으로 교차하는 모따기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단부 (2a) 는, 제 2 단부 (2b) 보다 착좌면 (3)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들 주절삭날 (5) 과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6a) 는, 각각의 직선상 절삭날부 (5b, 6b)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착좌면 (3) 측으로부터 멀어진 후에 그 착좌면 (3) 측에 가까워지는 볼록 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중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가 이루는 볼록 곡선이 착좌면 (3) 에 대해 가장 멀어져 볼록해지는 점 (착좌면 (3) 으로부터 가장 돌출된 최돌출점) 이, 이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의 최볼록점 (S) 이 된다. 또한, 주절삭날 (5) 과 부절삭날 (6) 의 직선상 절삭날부 (5b, 6b) 는, 플랭크면 (4)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측면시에 있어서도, 도 4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상 절삭날부 (5a, 6a) 가 이루는 볼록 곡선에 접하여, 원호상 절삭날부 (5a, 6a)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착좌면 (3) 측에 가까워지는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레이크면 (2) 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상기 장착공 (7) 의 개구부의 주변에는, 주절삭날 (5) 이나 부절삭날 (6) 보다 착좌면 (3)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평면시에 대략 타원상을 이루는 돌출부 (2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 (2c) 의 상단면은 착좌면 (3) 과 평행한 평탄면으로 되어 있고, 장착공 (7) 은 이 돌출부 (2c) 의 상단면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한, 이 돌출부 (2c) 의 외주면은 상기 상단면측을 향함에 따라 레이크면 (2) 의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또, 레이크면 (2) 은, 주절삭날 (5) 및 부절삭날 (6) 로부터 멀어져 그 레이크면 (2) 의 내측을 향함에 따라 착좌면 (3) 측으로 연장된 후에 오목 곡면상을 이루어 돌출부 (2c) 의 상기 외주면에 이어져 있다.
그리고 또, 주절삭날 (5) 과 부절삭날 (6) 의 직선상 절삭날부 (5b, 6b)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경사지는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주절삭날 (5) 과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6a)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은, 레이크면 (2) 측에서는 이들 원호상 절삭날부 (5a, 6a) 를 따라 절삭 인서트 (1) 의 둘레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지만, 착좌면 (3) 측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경사지면서 평면상으로 노치된 평면부 (4a) 를 갖고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착좌면 (3) 에는 홈부 (8) 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착좌면 (3) 에 수직으로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바닥면시에 있어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제 2 의 2 개의 홈부 (8A, 8B) 가, 착좌면 (3) 에 있어서의 장착공 (7) 의 개구부와 간격을 두고, 이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홈부 (8A) 는 장착공 (7) 의 개구부보다 레이크면 (2) 의 제 1 단부 (2a) 측에 형성되고, 제 2 홈부 (8B) 는 레이크면 (2) 의 제 2 단부 (2b) 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홈부 (8) 는, 그 홈부 (8) 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장착공 (7) 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편평한 대략 장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즉 착좌면 (3) 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 1, 제 2 의 2 개의 벽면 (8a, 8b) 과, 이들 제 1, 제 2 벽면 (8a, 8b) 사이로 연장되는 착좌면 (3) 과 평행한 바닥면 (8c) 을 구비하고 있다. 각 홈부 (8) 의 제 1 벽면 (8a) 은 레이크면 (2) 의 제 1 단부 (2a) 측을 향하고 있고, 제 2 벽면 (8b) 은 레이크면 (2) 의 제 2 단부 (2b) 측을 향하고 있다. 또한, 제 1, 제 2 벽면 (8a, 8b) 과 착좌면 (3) 의 교차 능선부는 볼록 곡면에 의해 모따기되고, 제 1, 제 2 벽면 (8a, 8b) 과 바닥면 (8c) 이 교차하는 구석 모서리부는 오목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 홈부 (8A) 는, 부절삭날 (6) 의 직선상 절삭날부 (6b)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으로 개구됨과 함께, 주절삭날 (5)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으로는 개구되지 않는 막힘 홈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홈부 (8A) 에 있어서의 주절삭날 (5)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측의 단부는, 상기 바닥면 (8c) 으로부터 오목 곡면을 이루도록 하여 착좌면 (3) 에 이어져 있다. 또한, 이 제 1 홈부 (8A) 에서는, 제 1, 제 2 벽면 (8a, 8b) 은 상기 바닥면시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즉 제 1 홈부 (8A) 의 홈 폭은 일정하다. 제 1 홈부 (8A) 에 있어서의 주절삭날 (5)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측의 상기 단부는, 이들 제 1, 제 2 벽면 (8a, 8b) 에 직교하도록 연장되어 있고, 제 1 홈부 (8A) 는 착좌면 (3)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대략 장방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제 2 홈부 (8B)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절삭날 (5) 의 직선상 절삭날부 (5b)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과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의 쌍방으로 개구되는 관통 홈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제 2 홈부 (8B) 가, 그 제 2 홈부 (8B) 가 연장되는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해 홈 폭이 좁아지는 협폭부 (9) 를 갖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절삭날 (5) 의 직선상 절삭날부 (5b)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측이 제 2 홈부 (8B) 의 일단측이 됨과 함께,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측이 타단측이 되고, 또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홈부 (8B) 의 전체가, 이 협폭부 (9) 로 되어 있다. 이 협폭부 (9)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 폭이 좁아지는 비율이 제 2 홈부 (8B) 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해 일정해져, 즉 제 2 홈부 (8B) 의 제 1, 제 2 벽면 (8a, 8b) 은 상기 바닥면시에 있어서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직선상을 이루어 서로 접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으로의 제 2 홈부 (8B) 의 개구부는, 측면시에 볼록 곡선상을 이루는 이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가 착좌면 (3) 에 대해 가장 볼록해지는 상기 최볼록점 (S) 보다 부절삭날 (6) 의 직선상 절삭날부 (6b) 측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바닥면시에 있어서, 상기 최볼록점 (S) 과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가 이루는 원호의 중심 (P) 을 잇는 직선 (L1) 과, 부절삭날 (6) 의 직선상 절삭날부 (6b) 측을 향하는 제 2 홈부 (8B) 의 제 1 벽면 (8a) 과 플랭크면 (4) 의 교차 능선부 (모따기 부분을 제외한다) 의 착좌면 (3) 측으로의 단부 (Q) 와 상기 중심 (P) 을 잇는 직선 (L2) 이 이루는 제 1 교차각 (θ1) 이 5°∼ 60°의 범위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시에 있어서, 상기 최볼록점 (S) 과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의 중심 (P) 을 잇는 상기 직선 (L1) 과,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측으로의 그 부절삭날 (6) 의 직선상 절삭날부 (6b) 의 연장선 (L3) 이 이루는 제 2 교차각 (θ2) 은 10°∼ 50°의 범위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협폭부 (9) 의 타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홈부 (8B) 의 타단) 에 있어서의 홈 폭 (W1) 은, 이 협폭부 (9) 를 갖는 홈부 (제 2 홈부 (8B)) 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원호상 절삭날부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의 착좌면 (3) 측에서 본 반경 (r) 에 대해 0.05 × r ∼ 0.18 × r 의 범위가 되고, 예를 들어 1 ㎜ ∼ 7 ㎜ 의 범위로 되어 있다. 단, 도 3 에 있어서, 원호상 절삭날부 (6a) 의 착좌면 (3) 측에서 본 형상이 원호에서 벗어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벗어난 형상에 대해 가장 근접한 원호를 가상적으로 그리고, 이 가상의 원호로부터 반경 (r) 을 구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대해, 협폭부 (9) 의 일단에 있어서의 홈 폭 (W2) 은 W2 > W1 이 되고, 협폭부 (9) 를 갖는 홈부 (제 2 홈부 (8B)) 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원호상 절삭날부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의 착좌면 (3) 측에서 본 바닥면시, 또는 레이크면 (2) 측에서 본 평면시의 반경 (r) 에 대해 0.10 × r ∼ 0.30 × r 의 범위가 되고, 주절삭날 (5) 의 직선상 절삭날부 (5b) 의 상기 평면시 또는 바닥면시에 있어서의 길이 (R) 에 대해서는 0.10 × R ∼ 0.32 × R 의 범위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홈 폭 (W1, W2) 은, 제 1, 제 2 홈 벽면 (8a, 8b) 이 착좌면 (3)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바닥면시에 있어서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 제 1, 제 2 홈 벽면 (8a, 8b) 이 이루는 직선의 이등분선에 수직인 방향의 폭이고, 도 32 에 나타내는 제 5 실시형태와 같이 일방의 홈 벽면 (제 1 홈 벽면 (8a)) 이 곡선상이고, 타방의 홈 벽면 (제 2 홈 벽면 (8b)) 이 직선상인 경우에는, 직선상의 홈 벽면에 수직인 방향의 폭이다.
그리고 또, 상기 바닥면시에 있어서, 제 2 홈부 (8B) 의 제 2 벽면 (8b) 의 타단측으로의 연장면이 이루는 직선 (L4) 이,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측으로의 그 부절삭날 (6) 의 직선상 절삭날부 (6b) 의 연장선 (L3) 에 대해 이루는 경사각 (α) 은 45°∼ 90°의 범위로 되어 있다. 동일하게 상기 바닥면시에 있어서, 제 2 홈부 (8B) 의 제 1 벽면 (8a) 의 연장면이 이루는 직선 (L5) 이 주절삭날 (5) 의 직선상 절삭날부 (5b) 에 대해 이루는 경사각 (β) 은 45°∼ 90°의 범위로 되어 있다. 제 2 홈부 (8B) 의 제 2 벽면 (8b) 의 연장면이 이루는 직선 (L4) 이 주절삭날 (5) 의 직선상 절삭날부 (5b) 에 대해 이루는 경사각 (γ) 은 상기 경사각 (β) 보다 작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바닥면시에 있어서, 제 1 홈부 (8A) 는 제 1 단부 (2a) 측에서 부절삭날 (6) 의 직선상 절삭날부 (6b) 와 예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제 2 홈부 (8B) 는 제 2 단부 (2b) 측에서 주절삭날 (5) 의 직선상 절삭날부 (5b) 와 예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은 초경합금 등의 경질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절삭 인서트 (1) 는, 분말 야금 기술의 기본적인 공정에 따라 제조된다. 즉, 절삭 인서트 (1) 가 초경합금제인 경우에는, 탄화텅스텐 분말과 코발트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크롬이나 탄탈 등을 부성분으로 하는 과립상의 조립 (造粒) 분말을 사용하여, 금형을 사용한 분말 프레스 성형을 실시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프레스 성형체는, 적절한 분위기와 온도로 제어된 소결로 내에서 소정 시간 소결함으로써, 절삭 인서트 (1) 가 되는 소결체를 제조할 수 있다. 절삭 인서트 (1) 의 기본적 형상은 상기 금형의 설계에 의해 반영되고, 절삭 인서트 (1) 의 상세 형상은 금형 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또한 절삭 인서트 날끝 형상의 고정밀화를 도모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연삭 지석을 사용한 연삭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제 1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 (1)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 8 ∼ 도 13 에 나타내는 엔드 밀 본체 (11) 의 선단부에 형성된 인서트 장착 시트 (12) 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도 14 ∼ 도 19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의 일 실시형태를 구성한다. 이 엔드 밀 본체 (11) 는 강재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그 후단부는 축선 (O) 을 중심으로 한 원기둥상의 섕크부가 됨과 함께, 선단부는 축선 (O) 상에 중심을 갖는 볼록 반구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은, 이 엔드 밀 본체 (11) 가 축선 (O) 둘레로 엔드 밀 회전 방향 (T) 으로 회전되면서 그 축선 (O) 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송출됨으로써, 인서트 장착 시트 (12) 에 장착된 절삭 인서트 (1) 에 의해 피삭재에 절삭 가공을 실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축선 (O) 이 연장되는 방향 중, 엔드 밀 본체 (11) 의 섕크부로부터 인서트 장착 시트 (12) 로 향하는 방향을 선단측 (도 10 ∼ 도 13 및 도 16 ∼ 도 19 의 좌측) 이라고 하고, 인서트 장착 시트 (12) 로부터 섕크부로 향하는 방향을 후단측 (도 10 ∼ 도 13 및 도 16 ∼ 도 19 의 우측) 이라고 한다. 또, 축선 (O) 과 직교하는 방향을 직경 방향이라고 한다. 직경 방향 중 축선 (O) 에 접근하는 방향을 내주측이라고 하고, 축선 (O) 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을 외주측이라고 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엔드 밀 본체 (11) 의 선단부 외주를 노치하도록 하여 2 개의 칩 포켓 (13) 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칩 포켓 (13) 의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을 향하는 바닥면에, 각각 인서트 장착 시트 (12) 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2 개의 인서트 장착 시트 (12) 에는, 제 1 실시형태에 기초하는 동형동대의 1 종의 제 1, 제 2 절삭 인서트 (1A, 1B) 가 각각 장착된다.
이들 인서트 장착 시트 (12) 는, 엔드 밀 회전 방향 (T) 을 향하는 평탄한 바닥면 (12a) 과, 이 바닥면 (12a) 으로부터 엔드 밀 회전 방향 (T) 으로 연장되어 엔드 밀 본체 (11) 의 외주측을 향하는 선단 내주측의 벽면 (12b) 및 선단 외주측을 향하는 후단 외주측의 벽면 (12c) 을 구비하고 있다. 벽면 (12b, 12c) 은, 바닥면 (12a) 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인서트 장착 시트 (12) 의 외측으로 경사지는 평면상으로 형성되고, 바닥면 (12a) 에 절삭 인서트 (1) 의 착좌면 (3) 을 착좌시킨 상태에서, 주절삭날 (5) 과 부절삭날 (6) 의 직선상 절삭날부 (5b, 6b) 에 이어지는 평면상의 플랭크면 (4) 과 원호상 절삭날부 (5a, 6a)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의 착좌면 (3) 측의 평면부 (4a) 에 맞닿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들 벽면 (12b, 12c) 사이에는, 절삭 인서트 (1) 의 만곡된 플랭크면 (4) 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패인 오목부 (12d) 가 형성되어 있다. 또환, 바닥면 (12a) 에는, 절삭 인서트 (1) 의 장착공 (7) 에 삽입 통과되는 도시되지 않은 클램프 나사가 비틀어 넣어지는 나사공 (12e)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나사공 (12e) 의 중심선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절삭 인서트 (1) 의 착좌면 (3) 을 바닥면 (12a) 에 착좌시켜, 주절삭날 (5) 과 부절삭날 (6) 의 직선상 절삭날부 (5b, 6b) 에 이어지는 평면상의 플랭크면 (4) 과 원호상 절삭날부 (5a, 6a)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의 착좌면 (3) 측의 평면부 (4a) 를 벽면 (12b, 12c) 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절삭 인서트 (1) 의 장착공 (7) 의 중심선보다 오목부 (12d) 측으로 약간 편심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 2 개의 인서트 장착 시트 (12) 중 제 1 인서트 장착 시트 (12A) 는,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드 밀 본체 (11) 의 선단부를, 선단측에서 축선 (O) 을 포함하는 범위까지 노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인서트 장착 시트 (12A) 에는, 제 1 절삭 인서트 (1A) 가, 주절삭날 (5)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를 축선 (O) 근방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축선 (O) 상에 중심을 갖는 볼록 반구 상에 위치시킴과 함께, 주절삭날 (5) 의 직선상 절삭날부 (5b) 를 이 볼록 반구에 접하는 축선 (O) 을 중심으로 한 원통면 상에 위치시키도록 하여 장착된다. 따라서, 제 1 인서트 장착 시트 (12A) 의 벽면 (12b) 에는 제 1 절삭 인서트 (1A) 에 있어서의 부절삭날 (6) 의 직선상 절삭날부 (6b) 에 이어지는 평면상의 플랭크면 (4) 이 맞닿고, 제 1 인서트 장착 시트 (12A) 의 벽면 (12c) 에는 제 1 절삭 인서트 (1A) 에 있어서의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의 플랭크면 (4) 의 평면부 (4a) 가 맞닿는다.
그리고, 이 제 1 인서트 장착 시트 (12A) 의 바닥면 (12a) 에는, 제 1 절삭 인서트 (1A) 의 착좌면 (3) 에 형성된 홈부 (8) 의 벽면이 맞닿을 수 있는 제 1 볼록부 (14A) 가, 나사공 (12e) 과 벽면 (12c) 사이에 돌출됨과 함께, 엔드 밀 본체 (11) 의 선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오목부 (12d) 를 향해 그 오목부 (12d) 의 바로 앞까지 오목부 (12d) 와 간격을 두고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 1 볼록부 (14A) 에는, 제 1 절삭 인서트 (1A) 의 착좌면 (3) 에 형성된 홈부 (8) 중 제 2 홈부 (8B) 가 맞닿음으로써, 제 1 인서트 장착 시트 (12A) 에 제 1 홈부 (8A) 가 맞닿는 볼록부는 형성되어 있지는 않다.
여기서, 이 제 1 볼록부 (14A) 는, 그 제 1 볼록부 (14A) 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엔드 밀 회전 방향 (T) 으로 편평한 대략 장방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전체가 협폭부 (9) 로 된 제 2 홈부 (8B) 에 대해, 이 제 2 홈부 (8B) 가 연장되는 방향의 상기 타단측으로부터 상기 일단측 (엔드 밀 본체 (11) 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 을 향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광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 이 제 1 볼록부 (14A) 의 폭 (제 1 볼록부 (14A) 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 은, 제 2 홈부 (8B) 가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제 1 볼록부 (14A) 에 맞닿는 위치에서의 폭 (제 2 홈부 (8B) 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폭) 보다 약간 작게 되고, 제 1 볼록부 (14A) 의 바닥면 (12a) 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도 제 1 절삭 인서트 (1A) 의 착좌면 (3) 으로부터의 제 2 홈부 (8B) 의 깊이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한편, 2 개의 인서트 장착 시트 (12) 중 제 2 인서트 장착 시트 (12B) 는, 도 9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드 밀 본체 (11) 의 선단측에서 축선 (O) 으로부터 외주측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인서트 장착 시트 (12B) 에는 제 2 절삭 인서트 (1B) 가, 그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를 축선 (O) 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로부터 제 1 절삭 인서트 (1A) 의 주절삭날 (5)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가 위치하는 상기 볼록 반구 상에 위치시킴과 함께, 이 부절삭날 (6) 의 직선상 절삭날부 (6b) 를 제 1 절삭 인서트 (1A) 의 주절삭날 (5) 의 직선상 절삭날부 (5b) 가 위치하는 상기 원통면 상에 위치시키도록 하여 장착된다. 따라서, 제 2 인서트 장착 시트 (12B) 의 벽면 (12b) 에는 제 2 절삭 인서트 (1B) 의 주절삭날 (5) 의 직선상 절삭날부 (5b) 에 이어지는 평면상의 플랭크면 (4) 이 맞닿게 되고, 제 2 인서트 장착 시트 (12B) 의 벽면 (12c) 에는 제 2 절삭 인서트 (1B) 의 주절삭날 (5)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의 플랭크면 (4) 의 평면부 (4a) 가 맞닿게 된다.
그리고, 이 제 2 인서트 장착 시트 (12B) 의 바닥면 (12a) 에는, 나사공 (12e) 보다 선단측에 제 2 볼록부 (14B) 가 형성됨과 함께, 나사공 (12e) 과 벽면 (12c) 사이에는 제 3 볼록부 (14C)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2, 제 3 볼록부 (14B, 14C) 도, 엔드 밀 본체 (11) 의 선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 2 볼록부 (14B) 는 제 2 인서트 장착 시트 (12B) 의 벽면 (12b) 의 바로 앞까지 그 벽면 (12b) 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또 제 3 볼록부 (14C) 는 제 2 인서트 장착 시트 (12B) 의 오목부 (12d) 의 바로 앞까지 그 오목부 (12d) 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볼록부 (14B) 에는 제 2 절삭 인서트 (1B) 의 제 2 홈부 (8B) 가 맞닿고, 제 3 볼록부 (14C) 에는 제 2 절삭 인서트 (1B) 의 제 1 홈부 (8A) 가 맞닿는다.
또, 이들 제 2, 제 3 볼록부 (14B, 14C) 도, 제 2, 제 3 볼록부 (14B, 14C) 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엔드 밀 회전 방향 (T) 으로 편평한 대략 장방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중 제 2 볼록부 (14B) 는, 맞닿는 제 2 절삭 인서트 (1B) 의 제 2 홈부 (8B) 의 전체가 협폭부 (9) 로 되어 있는 데에 반해, 이 제 2 홈부 (8B) 가 연장되는 방향의 상기 타단측으로부터 상기 일단측 (엔드 밀 본체 (11) 의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 을 향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광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3 볼록부 (14C) 의 폭은, 이 제 3 볼록부 (14C) 가 연장되는 방향에 걸쳐 일정하다.
또한, 이들 제 2, 제 3 볼록부 (14B, 14C) 의 폭 (제 2, 제 3 볼록부 (14B, 14C) 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 도, 제 2, 제 1 홈부 (8B, 8A) 가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제 2, 제 3 볼록부 (14B, 14C) 에 맞닿는 위치에서의 폭(제 2, 제 1 홈부 (8B 8A) 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폭) 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또, 제 2 인서트 장착 시트 (12B) 의 바닥면 (12a) 으로부터의 제 2, 제 3 볼록부 (14B, 14C) 의 돌출 높이도 제 2 절삭 인서트 (1B) 의 착좌면 (3) 으로부터의 제 2, 제 1 홈부 (8B, 8A) 의 깊이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1, 제 2 인서트 장착 시트 (12A, 12B) 에 제 1, 제 2 절삭 인서트 (1A, 1B) 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착좌되어, 도립 (倒立) 한 원뿔대상의 헤드부를 갖는 클램프 나사를 장착공 (7) 에 삽입 통과시켜 나사공 (12e) 에 비틀어 넣어 가면, 이 나사공 (12e) 의 중심선이 절삭 인서트 (1) 의 장착공 (7) 의 중심선보다 오목부 (12d) 측으로 약간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절삭 인서트 (1) 는 오목부 (12d) 측으로 눌려진다.
이 때, 제 1 인서트 장착 시트 (12A) 에 있어서는, 제 1 절삭 인서트 (1A) 의 부절삭날 (6) 의 직선상 절삭날부 (6b)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과 원호상 절삭날부 (6a)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의 평면부 (4a) 가 벽면 (12b, 12c) 에 각각 가압된다. 또, 제 2 인서트 장착 시트 (12B) 에 있어서는, 제 2 절삭 인서트 (1B) 의 주절삭날 (5) 의 직선상 절삭날부 (5b)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이 벽면 (12b) 에 가압되고, 주절삭날 (5)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의 평면부 (4a) 가 벽면 (12c) 에 가압된다.
그리고, 이와 함께, 제 1 인서트 장착 시트 (12A) 에 있어서는, 제 1 볼록부 (14A) 에 제 1 절삭 인서트 (1A) 의 제 2 홈부 (8B) 가 엔드 밀 본체 (11) 의 선단측으로부터 맞닿는다. 따라서, 이 제 1 볼록부 (14A) 에는, 그 엔드 밀 본체 (11) 의 선단측을 향하는 측면 (14a) 에 제 1 절삭 인서트 (1A) 의 제 2 홈부 (8B) 에 있어서의 제 2 벽면 (8b) 이 맞닿고, 제 2 홈부 (8B) 에 있어서의 제 1 벽면 (8a) 과 제 1 볼록부 (14A)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또, 제 2 인서트 장착 시트 (12B) 에 있어서는, 제 2, 제 3 볼록부 (14B, 14C) 에 제 2 절삭 인서트 (1B) 의 제 2, 제 1 홈부 (8B, 8A) 가 동일하게 엔드 밀 본체 (11) 의 선단측으로부터 맞닿는다. 따라서, 제 2, 제 3 볼록부 (14B, 14C) 에는, 그 엔드 밀 본체 (11) 의 선단측을 향하는 측면 (14a) 에 제 2, 제 1 홈부 (8B, 8A) 의 제 1 벽면 (8a) 이 각각 맞닿고, 제 2, 제 1 홈부 (8B, 8A) 의 제 2 벽면 (8b) 과 제 2, 제 3 볼록부 (14B, 14C)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이 벌어진다. 이와 같이, 제 1 ∼ 제 3 볼록부 (14A ∼ 14C) 에 제 1, 제 2 홈부 (8A, 8B) 가 맞닿음으로써, 절삭 가공시의 부하에 의한 절삭 인서트 (1) 의 어긋난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절삭 인서트 (1) 및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에 있어서는, 절삭 인서트 (1) 의 홈부 (8) 중 제 2 홈부 (8B) 가, 이 제 2 홈부 (8B) 가 연장되는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해 홈 폭이 좁아지는 협폭부 (9) 를 갖고 있으므로, 이로 인해 협폭부 (9) 의 홈 폭이 작아지는 제 2 홈부 (8B) 의 타단측에서는, 절삭 인서트 (1) 의 두께를 크게 확보하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절삭 가공시에 과대한 부하가 절삭 인서트 (1) 에 작용해도, 이 제 2 홈부 (8B) 로부터 절삭 인서트 (1) 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제 2 홈부 (8B) 가 연장되는 방향의 일단측에서는 협폭부 (9) 는 반대로 넓어지므로,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의 엔드 밀 본체 (11) 에 있어서는, 이 제 2 홈부 (8B) 의 협폭부 (9) 가 맞닿는 부분에 있어서의 제 1, 제 2 볼록부 (14A, 14B) 를 광폭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절삭 가공시의 부하에 대한 절삭 인서트 (1) 의 장착 강성을 높일 수 있어, 절삭 인서트 (1) 의 어긋난 움직임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여 정밀도가 높은 절삭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 (1) 에 있어서는, 협폭부 (9) 중 가장 폭이 좁아지는 타단에 있어서의 홈 폭 (W1) 이, 이 협폭부 (9) 를 갖는 홈부 (제 2 홈부 (8B)) 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원호상 절삭날부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의 착좌면 (3) 측에서 본 반경 (r) 에 대해 0.05 × r ∼ 0.18 × r 의 범위로 되어 있어, 이것에 의해서도 더욱 확실하게 절삭 인서트 (1) 의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장착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이 협폭부 (9) 의 타단에 있어서의 홈 폭 (W1) 이 상기 범위를 하회할 만큼 좁으면, 인서트 장착 시트 (12) 에 있어서의 제 1, 제 2 볼록부 (14A, 14B) 의 폭도 좁게 하지 않을 수 없게 되어 절삭 인서트 (1) 의 장착 강성을 높일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협폭부 (9) 의 타단에 있어서의 홈 폭 (W1) 이 상기 범위를 상회할 만큼 넓고, 제 2 홈부 (8B) 의 제 1, 제 2 벽면 (8a, 8b) 이 평행에 가까우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2 홈부 (8B) 의 타단측에서 절삭 인서트 (1) 의 두께를 크게 확보하여 절삭 인서트 (1) 의 강도를 확보할 수 없게 되어, 과대한 부하가 작용했을 때에 손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여기서, 도 20A ∼ 도 20C 는, 제 2 홈부의 타단에 있어서의 홈 폭 (W1) 을 변화시킨 경우의 시뮬레이션 해석에 의한 응력의 분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 2 홈부 (8B) 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원호상 절삭날부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의 반경 (r) 이 15.0 ㎜ 일 때, 도 20A 는 홈 폭 (W1) 이 홈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3.0 ㎜ 로 일정한 경우 (협폭부 (9) 를 갖지 않는 경우) 를 나타내고, 도 20B 는 협폭부 (9) 를 갖고 원호상 절삭날부 (6a) 의 반경 (r) 에 대한 타단의 홈 폭 (W1) 이 2.0 ㎜ (0.133 × r) 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20C 도 협폭부 (9) 를 갖고 원호상 절삭날부 (6a) 의 반경 (r) 에 대한 타단의 홈 폭 (W1) 이 1.0 ㎜ (0.067 × r) 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해석은, 엔드 밀 본체 (11) 의 회전수가 2500 min-1, 회전 속도가 230 m/min, 이송 속도가 1500 ㎜/min (1 날 당의 이송량은 0.3 ㎜/1 날), 절입량과 절삭폭은 모두 15 ㎜, 피삭재는 S45C (경도 220 HB), 엔드 밀 본체의 재료는 SKD61 (경도 45 HRC, 인장 강도 1600 ㎫, 피로 강도 500 ㎫) 인 경우를 상정하고, 미제스 응력으로 평가하였다.
이들 도 20A ∼ 도 20C 에 있어서, 착좌면 (3) 에 희게 그려진 부분의 홈부측의 영역이, 응력이 집중되어 있는 범위가 된다. 그러면, 홈 폭이 일정하고 협폭부 (9) 를 갖는 경우가 없는 절삭 인서트에 의한 도 20A 의 결과보다, 협폭부 (9) 를 갖는 절삭 인서트에 의한 도 20B, 도 20C 가 희게 그려진 부분이 작아 응력이 분산되어 있고, 특히 홈 폭 (W1) 이 작은 절삭 인서트에 의한 도 20C 가 가장 응력이 집중되어 있는 범위가 작게 되어 있다. 이 결과로부터, 협폭부 (9) 를 형성함으로써 응력을 분산시켜 절삭 인서트 (1) 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또 홈 폭 (W1) 이 0.05 × r ∼ 0.18 × r 의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홈 폭 (W1) 은 0.06 × r ∼ 0.17 × r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0.065 × r ∼ 0.16 × r 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홈 폭 (W1) 은, 협폭부 (9) 의 일단에 있어서의 홈 폭 (W2) 에 대해서는, 0.25 × W2 ∼ 0.90 × W2 의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0 × W2 ∼ 0.85 × W2 의 범위가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32 × W2 ∼ 0.80 × W2 의 범위가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이 협폭부 (9) 의 일단에 있어서의 홈 폭 (W2) 은, 상기 반경 (r) 에 대해 0.10 × r ∼ 0.30 × r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12 × r ∼ 0.28 × r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0.15 × r ∼ 0.26 × r 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 (1) 는,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가 주절삭날 (5)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와 동등한 반경이고, 단 둘레 방향의 길이는 짧게 되어 있어, 즉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수반하여, 본 실시형태의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에 있어서도, 제 1 인서트 장착 시트 (12A) 는 엔드 밀 본체 (11) 의 선단부를 선단측에서 축선 (O) 을 포함하는 범위까지 노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데에 반해, 제 2 인서트 장착 시트 (12B) 는 축선 (O) 으로부터 외주측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제 1, 제 2 인서트 장착 시트 (12A, 12B) 에 동형동대의 1 종 2 개의 절삭 인서트 (1) 가, 제 1 절삭 인서트 (1A) 는 주절삭날 (5)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를 엔드 밀 본체 (11) 선단의 축선 (O) 부근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또 제 2 절삭 인서트 (1B) 는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를 축선 (O) 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로부터 연장되도록 하여, 동일한 볼록 반구면 상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1 종의 절삭 인서트 (1) 에 의해 엔드 밀 본체 (11) 의 선단의 축선 (O) 부근으로부터 외주에 걸친 절삭과, 축선 (O) 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로부터 외주에 걸친 절삭을 실시할 수 있어, 절삭 인서트 (1) 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절삭 인서트 (1) 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도 1 종이어도 된다. 또, 제 1 절삭 인서트 (1A) 의 주절삭날 (5) 과 제 2 절삭 인서트 (1B) 의 부절삭날 (6) 에 절삭에 의해 마모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들 절삭 인서트 (1) 를 반대측의 인서트 장착 시트 (12) 에 다시 장착시킴으로써, 제 1 절삭 인서트 (1A) 를 제 2 절삭 인서트 (1B) 로 하고, 또 제 2 절삭 인서트 (1B) 를 제 1 절삭 인서트 (1A) 로 하여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협폭부 (9) 를 갖는 제 2 홈부 (8B) 가,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측으로부터 주절삭날 (5) 의 직선상 절삭날부 (5b) 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협폭부 (9) 는, 이 중 주절삭날 (5) 의 직선상 절삭날부 (5b) 측이 상기 일단측이 됨과 함께,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측이 상기 타단측이 되어, 폭이 좁아지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절삭 인서트 (1B) 로서 부절삭날 (6) 을 절삭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제 2 홈부 (8B) 가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으로 개구되어 있어도, 이 부절삭날 (6) 에 작용하는 부하를 폭이 좁아진 제 2 홈부 (8B) 의 협폭부 (9) 의 타단측에서 받을 수 있어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절삭에 사용되지 않는 주절삭날 (5)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를 따른 제 2 절삭 인서트 (1B) 의 어긋난 움직임은, 이 원호상 절삭날부 (5a) 로부터 떨어진 제 2 홈부 (8B) 의 협폭부 (9) 의 광폭의 일단측에서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주절삭날 (5)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나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가, 직선상 절삭날부 (5b, 6b)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착좌면 (3) 측으로부터 멀어진 후에 다시 착좌면 (3) 측에 가까워지는 볼록 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원호상 절삭날부 (5a, 6a) 는, 절삭시에 착좌면 (3) 에 대해 가장 멀어져 볼록해지는 상기 최볼록점 (S) 으로부터 서서히 피삭재에 물려 절입하게 되므로, 절삭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절삭 인서트 (1) 의 착좌면 (3) 에 형성된 제 2 홈부 (8B) 의 홈 폭 (W1) 이 좁아지는 타단측에 있어서는, 최볼록점 (S) 에 있어서의 두께를 확보하여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 절삭 가공시의 부하에 의한 절삭 인서트 (1) 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최볼록점 (S) 에 있어서의 두께는, 도 4 에 부호 t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좌면 (3) 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착좌면 (3) 으로부터 최볼록점 (S) 까지의 거리이다. 또, 제 2 홈부 (8B) 의 타단측의 협폭부 (9) 에 있어서, 최볼록점 (S) 에 의해 절삭 인서트 (1) 의 두께가 확보되는 범위는, 도 4, 도 7, 도 31 에 있어서 부호 U 로 나타내는 영역이다. 부호 U 로 나타내는 영역에 있어서의 인서트 두께의 값은, 상기 t 값에 대해 0.65 × t ∼ 1.00 × t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70 × t ∼ 1.00 × t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0.75 × t ∼ 1.00 × t 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호상 절삭날부 (5a, 6a) 가 볼록 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제 2 홈부 (8B)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으로 개구되어 있지만, 이 제 2 홈부 (8B) 의 플랭크면 (4) 으로의 개구부는,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의 최볼록점 (S) 보다 부절삭날 (6) 의 직선상 절삭날부 (6b) 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최볼록점 (S) 으로부터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가 피삭재에 물려 절입할 때의 충격이 제 2 홈부 (8B) 의 개구부에 직접 전파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이와 같은 충격에 의해 제 2 홈부 (8B) 의 개구부로부터 절삭 인서트 (1) 가 손상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충격에 의한 절삭 인서트 (1) 의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바닥면시에 있어서, 최볼록점 (S) 과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의 중심 (P) 을 잇는 직선 (L1) 과, 부절삭날 (6) 의 직선상 절삭날부 (6b) 측을 향하는 제 2 홈부 (8B) 의 제 1 벽면 (8a) 과 플랭크면 (4) 의 교차 능선부의 착좌면 (3) 측으로의 단부 (Q) 와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의 중심 (P) 을 잇는 직선 (L2) 이 이루는 제 1 교차각 (θ1) 이, 5°∼ 60°의 범위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제 1 교차각 (θ1) 은 5°∼ 4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5°∼ 20°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제 1 교차각 (θ1) 이 5°를 하회할 만큼 작으면, 제 2 홈부 (8B) 의 플랭크면 (4) 으로의 개구부가, 이 플랭크면 (4) 이 이어지는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의 최볼록점 (S) 에 지나치게 가까워져, 이 원호상 절삭날부 (6a) 가 최볼록점 (S) 으로부터 피삭재에 물릴 때의 충격에 의해 절삭 인서트 (1) 에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이 제 1 교차각 (θ1) 이 60°보다 크면,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절삭 인서트 (1) 의 장착공 (7) 에 삽입 통과된 클램프 나사를 인서트 장착 시트 (12) 의 나사공 (12e) 에 비틀어 넣어 절삭 인서트 (1) 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제 2 홈부 (8B) 나 제 1, 제 2 볼록부 (14A, 14B) 가 장착공 (7) 이나 나사공 (12e) 과 간섭할 우려가 생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일하게 상기 바닥면시에 있어서,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의 상기 최볼록점 (S) 과 이 원호상 절삭날부 (6a) 의 중심 (P) 을 잇는 직선 (L1) 과,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측으로의 그 부절삭날 (6) 의 직선상 절삭날부 (6b) 의 연장선 (L3) 이 이루는 제 2 교차각 (θ2) 이 10°∼ 50°의 범위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에 의해서도 제 2 홈부 (8B) 나 제 1, 제 2 볼록부 (14A, 14B) 와 장착공 (7) 이나 나사공 (12e) 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부절삭날 (6) 의 볼록 곡선상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에 의해 확실한 절삭 저항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제 2 교차각 (θ2) 은 15°∼ 48°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35°∼ 47°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장선 (L3) 은, 절삭 인서트 (1) 를 제 2 절삭 인서트 (1B) 로 하여 제 2 인서트 장착 시트 (12B) 에 장착했을 때에는, 이 제 2 절삭 인서트 (1B) 의 착좌면 (3) 에 대향하는 상기 바닥면시, 또는 장착공 (7) 의 중심선을 따라 레이크면 (2)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평면시에 있어서, 엔드 밀 본체 (11) 의 축선 (O) 과 대략 평행이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제 2 교차각 (θ2) 은, 축선 (O) 상에 위치한 원호상 절삭날부 (6a) 의 중심 (P) 과 최볼록점 (S) 을 잇는 상기 직선 (L1) 과, 축선 (O) 이 이루는 교차각과 대략 동일해진다. 단, 직선상 절삭날부 (5b, 6b) 는, 절삭 인서트 (1) 를 엔드 밀 본체 (1) 에 장착했을 때에 약간의 백 테이퍼 각도를 갖고 있어도 되고, 따라서 교차각 (θ2) 은 엄밀하게 직선 (L1) 과 축선 (O) 이 이루는 교차각과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이 제 2 교차각 (θ2) 이 50°보다 크면, 제 1 교차각 (θ1) 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범위로 했을 때, 제 2 홈부 (8B) 나 제 1, 제 2 볼록부 (14A, 14B) 가 장착공 (7) 이나 나사공 (12e) 과 간섭할 우려가 생긴다. 그리고 또, 이 제 2 교차각 (θ2) 이 50°보다 크면, 제 2 절삭 인서트 (1B)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의 축방향 레이크각이 부 (負) 의 값이 되는 영역이 증대하기 때문에, 절삭 부스러기의 배출성이 열화되기 쉬워진다.
또, 이 제 2 교차각 (θ2) 이 10°를 하회할 만큼 작으면, 제 2 절삭 인서트 (1B)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에 있어서 최볼록점 (S) 이 축선 (O) 에 지나치게 가까워져, 축선 (O) 둘레의 회전 속도가 작은 부분부터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가 피삭재에 절입하게 되어, 절삭 저항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저해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삭 인서트 (1) 의 착좌면 (3) 에 제 1 홈부 (8A) 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절삭 인서트 (1B) 로서 사용될 때에는, 이 제 1 홈부 (8A) 도 제 2 인서트 장착 시트 (12B) 의 제 3 볼록부 (14C) 에 맞닿기 때문에, 더욱 확실하게 제 2 절삭 인서트 (1B) 의 어긋난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인서트 장착 시트 (12A) 의 바닥면 (12a) 에도, 이 제 1 홈부 (8A) 가 맞닿는 볼록부 (14C) 를 형성해도 된다. 또, 이 제 1 홈부 (8A) 는, 주절삭날 (5)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으로는 개구되지 않는 막힘 홈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절삭 인서트 (1A) 로서 사용될 때, 주절삭날 (5)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절삭 부스러기가 제 1 홈부 (8A) 에 끼어 들어가는 경우도 없다.
다음으로, 도 21 은, 도 1 ∼ 도 7 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 (1) 의 변형예로, 이 변형예나 후술하는 제 2 ∼ 제 5 실시형태의 도면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배치하고 있다. 또, 도 3 에 나타낸 치수나 각도를 나타내는 보조선도 생략하는데, 특별히 설명이 없는 경우에는, 제 1 실시형태의 치수나 각도가 그대로 적용된다.
도 1 ∼ 도 7 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 (1) 에 있어서는, 제 1 홈부 (8A) 에 있어서의 주절삭날 (5)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측의 단부가, 이 제 1 홈부 (8A) 의 제 1, 제 2 벽면 (8a, 8b) 에 직교하도록 연장되어, 제 1 홈부 (8A) 가 착좌면 (3)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개략 장방 형상을 이루고 있었다. 이에 반해, 이 변형예의 절삭 인서트 (1) 에 있어서는, 제 1 홈부 (8A) 에 있어서의 주절삭날 (5)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측의 단부가, 착좌면 (3)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주절삭날 (5)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에 병행하는 볼록 곡선상 또는 제 1, 제 2 벽면 (8a, 8b) 에 사교 (斜交) 되는 사변상 (斜邊狀) 으로 형성되어 있어, 착좌면 (3)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사다리꼴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변형예의 절삭 인서트 (1) 에서는, 착좌면 (3) 과 플랭크면 (4) 의 교차 능선부와, 이 제 1 홈부 (8A) 에 있어서의 주절삭날 (5)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측의 단부 사이의 간격을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간격 부분의 강도도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고, 제 1 절삭 인서트 (1A) 로서 사용될 때, 더욱 확실하게 주절삭날 (5) 의 원호상 절삭날부 (5a) 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엔드 밀 본체 (11) 의 제 2 인서트 장착 시트 (12B) 의 제 2 볼록부 (14C) 나, 제 1 인서트 장착 시트 (12A) 에 제 1 홈부 (8A) 가 맞닿는 볼록부 (14C) 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이들 볼록부 (14C) 를 인서트 장착 시트 (12) 의 바닥면 (12a)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1 홈부 (8A) 에 대응한 대략 사다리꼴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제 1 홈부 (8A) 와의 맞닿는 면적을 크게 하여 절삭 인서트 (1) 를 더욱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홈부 (8B) 는 주절삭날 (5) 의 직선상 절삭날부 (5b)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과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으로 개구되는 관통 홈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제 2 홈부 (8B) 가 연장되는 방향의 일단측의 플랭크면 (4) 과 타단측의 플랭크면 (4) 중 적어도 일방으로는 개구되어 있지 않은 막힘 홈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20 ∼ 도 22 는,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 (1) 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협폭부 (9) 를 갖는 제 2 홈부 (8B) 가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으로는 개구되지 않는 막힘 홈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의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23 ∼ 도 26 은,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 (1) 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협폭부 (9) 를 갖는 제 2 홈부 (8B) 가,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으로는 개구되지 않음과 함께, 주절삭날 (5) 의 직선상 절삭날부 (5b)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으로도 개구되지 않는 막힘 홈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와 주절삭날 (5) 의 직선상 절삭날부 (5b) 의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7 ∼ 도 29 는,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 (1) 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30 은,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 (1) 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제 1 ∼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홈부 (8B) 의 전체가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홈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협폭부 (9) 였던 것에 반해, 이들 제 4,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홈부 (8B) 의 일단측과 타단측 중 적어도 일방에서는 일정한 홈 폭으로 된 등폭부 (10) 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이들 제 4,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주절삭날 (5) 의 직선상 절삭날부 (5b)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에 교차하는 제 2 홈부 (8B) 의 일단측이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홈 폭이 좁아지는 협폭부 (9) 로 됨과 함께,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에 이어지는 플랭크면 (4) 에 교차하는 제 2 홈부 (8B) 의 타단측이 상기 등폭부 (10) 로 되어 있다. 단,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제 1 ∼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협폭부 (9) 의 홈 폭이 좁아지는 비율은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일정하지만, 제 5 실시형태에서는, 협폭부 (9) 의 홈 폭이 좁아지는 비율은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작아져 있다. 즉,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홈부 (8B) 에 있어서 레이크면 (2) 의 제 2 단부 (2b) 측을 향하는 제 2 벽면 (8b) 은 상기 바닥면시에 직선상인 데에 반해, 제 1 단부 (2a) 측을 향하는 제 1 벽면 (8a) 은 상기 바닥면시에 볼록 곡선상을 이루어 등폭부 (10) 의 제 1 벽면 (8a) 에 접해 있다.
이와 같은 제 4, 제 5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 (1) 에 있어서도, 제 2 홈부 (8B) 가 협폭부 (9) 를 갖고 있으므로, 이 협폭부 (9) 의 타단측에서는 절삭 인서트 (1) 의 두께를 확보하여 강도를 향상시켜,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제 2 홈부 (8B) 의 협폭부 (9) 보다 타단측에서는, 홈 폭이 일정한 등폭부 (10) 를 형성함으로써 홈 폭이 지나치게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엔드 밀 본체 (11) 의 인서트 장착 시트 (12) 에 있어서의 제 1, 제 2 볼록부 (14A, 14B) 를 제 2 홈부 (8B) 와 동일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이들 제 1, 제 2 볼록부 (14A, 14B) 의 폭이 지나치게 작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절삭 인서트 (1) 의 장착 강성을 더욱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등폭부 (10) 는, 제 2 홈부 (8B) 의 일단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 양단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 1 ∼ 제 5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 (1) 에서는, 제 1 홈부 (8A) 는 홈 폭이 일정하지만, 이 제 1 홈부 (8A) 도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폭이 좁아지는 협폭부 (9) 를 갖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에, 제 1 홈부 (8A) 의 협폭부 (9) 는, 제 2 홈부 (8B) 의 협폭부 (9) 와 동일한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게 되어 있어도 되고, 또 제 2 홈부 (8B) 의 협폭부 (9) 와 반대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게 되어 있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절삭 인서트의 착좌면에 형성된 홈부의 협폭부에 의해, 홈 폭이 좁아지는 타단측에 있어서는 절삭 인서트의 두께를 확보하여 응력을 분산시켜,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 절삭 가공시의 부하에 의한 절삭 인서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일단측에서는 협폭부의 홈 폭이 넓어지므로,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의 볼록부를 광폭으로 형성할 수 있어, 절삭 인서트의 장착 강성을 높여 어긋난 움직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 (1A, 1B) : 절삭 인서트
2 : 레이크면
3 : 착좌면
4 : 플랭크면
5 : 주절삭날 (2 개의 절삭날 중 일방)
5a : 주절삭날 (5) 의 원호상 절삭날부
5b : 주절삭날 (5) 의 직선상 절삭날부
6 : 부절삭날 (2 개의 절삭날 중 타방)
6a :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b : 부절삭날 (6) 의 직선상 절삭날부
7 : 장착공
8, 8A, 8B : 홈부
9 : 협폭부
10 : 등폭부
11 : 엔드 밀 본체
12 (12A, 12B) : 인서트 장착 시트
14A, 14B, 14C : 볼록부
r : 홈부 (제 2 홈부 (8B)) 에 있어서의 협폭부 (9) 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원호상 절삭날부 (6a) 의 반경
P : 바닥면시에 있어서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가 이루는 원호의 중심
Q : 부절삭날 (6) 의 직선상 절삭날부 (6b) 측을 향하는 제 2 홈부 (8B) 의 제 1 벽면 (8a) 과 플랭크면 (4) 의 교차 능선부의 착좌면 (3) 측으로의 단부
S :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의 최볼록점
t : 최볼록점 (S) 에 있어서의 절삭 인서트 (1) 의 두께
U : 최볼록점 (S) 에 의해 절삭 인서트 (1) 의 두께가 확보되는 범위
L1 : 바닥면시에 있어서 중심 (P) 과 최볼록점 (S) 을 잇는 직선
L2 : 바닥면시에 있어서 중심 (P) 과 단부 (Q) 를 잇는 직선
L3 : 바닥면시에 있어서 부절삭날 (6) 의 원호상 절삭날부 (6a) 측으로의 부절삭날 (6) 의 직선상 절삭날부 (6b) 의 연장선
W1 : 협폭부 (9) 의 타단에 있어서의 홈 폭
W2 : 협폭부 (9) 의 일단에 있어서의 홈 폭
O : 엔드 밀 본체 (11) 의 축선
T : 엔드 밀 회전 방향
θ1 : 제 1 교차각
θ2 : 제 2 교차각

Claims (12)

  1. 축선 둘레로 회전되는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의 엔드 밀 본체의 선단부에 형성된 인서트 장착 시트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절삭 인서트로서,
    상기 엔드 밀 본체의 회전 방향으로 향해지는 레이크면과, 이 레이크면과는 반대측을 향해 상기 인서트 장착 시트의 바닥면에 착좌되는 착좌면과, 이들 레이크면과 착좌면의 주위로 연장되는 플랭크면을 구비하고,
    상기 레이크면과 상기 플랭크면의 교차 능선부에는,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평면시에 있어서 원호상으로 연장되는 원호상 절삭날부와, 이 원호상 절삭날부에 접하도록 연장되는 직선상 절삭날부를 각각 구비한 2 개의 절삭날이, 상기 원호상 절삭날부와 직선상 절삭날부를 상기 레이크면의 둘레 방향에 교대로 위치시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착좌면에는, 상기 인서트 장착 시트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볼록부에 맞닿을 수 있는 벽면을 갖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는, 그 홈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홈 폭이 좁아지는 협폭부를 갖고 있음과 함께, 상기 타단측이 상기 플랭크면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절삭날 중 일방은 주절삭날이 됨과 함께 타방은 부절삭날이 되고,
    상기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는, 상기 주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에 대해 동등한 반경이고 둘레 방향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는, 상기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측으로부터 상기 주절삭날의 직선상 절삭날부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어, 상기 주절삭날의 직선상 절삭날부측이 상기 일단측이 됨과 함께, 상기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측이 상기 타단측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에 이어지는 상기 플랭크면으로 개구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는, 그 부절삭날의 직선상 절삭날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착좌면측으로부터 멀어진 후에 그 착좌면측에 가까워지는 볼록 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의 상기 플랭크면으로의 개구부는, 상기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가 상기 착좌면에 대해 가장 볼록해지는 최볼록점보다 상기 부절삭날의 직선상 절삭날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바닥면시에 있어서,
    상기 최볼록점과 상기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의 중심을 잇는 직선과,
    상기 부절삭날의 직선상 절삭날부측을 향하는 상기 홈부의 벽면과 상기 플랭크면의 교차 능선부의 상기 착좌면측으로의 단부와, 상기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의 중심을 잇는 직선이 이루는 제 1 교차각이, 5°∼ 60°의 범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바닥면시에 있어서,
    상기 최볼록점과 상기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의 중심을 잇는 직선과,
    상기 부절삭날의 원호상 절삭날부측으로의 그 부절삭날의 직선상 절삭날부의 연장선이 이루는 제 2 교차각이, 10°∼ 50°의 범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그 홈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상기 일단측의 상기 플랭크면으로는 개구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협폭부보다 상기 일단측과 상기 타단측 중의 적어도 일방에서는 일정한 홈 폭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에 있어서의 상기 협폭부의 타단에 있어서의 홈 폭이, 이 홈부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절삭날의 상기 원호상 절삭날부의 반경 (r) 에 대해 0.05 × r ∼ 0.18 × r 의 범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9. 제 1 항에 기재된 절삭 인서트가, 축선 둘레로 회전되는 엔드 밀 본체의 선단부에 형성된 인서트 장착 시트에, 이 인서트 장착 시트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볼록부에 상기 홈부의 벽면을 맞닿게 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홈부의 상기 협폭부가 맞닿는 부분에서는, 그 홈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상기 타단측으로부터 상기 일단측을 향함에 따라 광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
  11. 축선 둘레로 회전되는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의 엔드 밀 본체로서,
    제 1 항에 기재된 절삭 인서트가, 선단부에 형성된 인서트 장착 시트에, 이 인서트 장착 시트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볼록부에 상기 홈부의 벽면을 맞닿게 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의 엔드 밀 본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홈부의 상기 협폭부가 맞닿는 부분에서는, 그 홈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상기 타단측으로부터 상기 일단측을 향함에 따라 광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의 엔드 밀 본체.
KR1020207008197A 2017-08-30 2018-08-01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 KR102164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65664 2017-08-30
JP2017165664 2017-08-30
PCT/JP2018/028871 WO2019044343A1 (ja) 2017-08-30 2018-08-01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ボールエンドミ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820A KR20200034820A (ko) 2020-03-31
KR102164742B1 true KR102164742B1 (ko) 2020-10-13

Family

ID=65527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197A KR102164742B1 (ko) 2017-08-30 2018-08-01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59111B2 (ko)
EP (1) EP3677368B1 (ko)
JP (2) JP6540928B1 (ko)
KR (1) KR102164742B1 (ko)
CN (1) CN111050965B (ko)
WO (1) WO20190443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89439B2 (ja) * 2019-02-26 2022-12-14 株式会社Moldino 刃先交換式エンドミル、エンドミル本体および切削インサート
US11344958B2 (en) * 2019-04-18 2022-05-31 Tungaloy Corporation Cutting insert
CN114365329B (zh) 2019-10-03 2024-03-22 日本制铁株式会社 电池单元壳体和使用该壳体的电池的制造方法
US11097362B2 (en) * 2019-12-10 2021-08-24 Iscar, Ltd. Cutting insert having two upper cutting edges and a lower central protuberance with four abutment walls defining an imaginary quadrilateral, and rotary cutting tool
WO2022181123A1 (ja) 2021-02-26 2022-09-01 株式会社Moldino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7391904B2 (ja) * 2021-03-03 2023-12-05 ダイジ▲ェ▼ット工業株式会社 切削用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回転切削工具
JP7312364B1 (ja) 2022-10-31 2023-07-21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工具およびその工具本体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3A (en) 1977-06-03 1979-01-05 Sumitomo Chemical Co Inorganic compositions for binding or coating
DE3405211A1 (de) 1984-02-14 1985-08-14 Walter Kieninger GmbH, 7630 Lahr Schneidwerkzeug fuer spanabhebende bearbeitung
DE3446455A1 (de) * 1984-12-20 1986-06-26 Otto 7210 Rottweil Dieterle Drehmeissel mit wendeschneidplatte
DE3533125A1 (de) * 1985-09-17 1987-03-19 Valenite Modco Gmbh Fraeser fuer das hochgeschwindigkeitsfraesen
BR8800380A (pt) * 1987-07-24 1989-02-08 Gte Valenite Corp Ferramenta de cortar
JPH0567414U (ja) * 1992-02-14 1993-09-0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該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を用いたボールエンドミル
JP2559531Y2 (ja) * 1992-03-31 1998-01-19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ボールエンドミル
SE505488C2 (sv) 1992-04-28 1997-09-08 Sandvik Ab Verktyg för avstickning eller liknande operationer
SE504205C2 (sv) 1994-04-27 1996-12-09 Sandvik Ab Skär med rillor
JPH0839326A (ja) * 1994-07-29 1996-02-13 Mitsubishi Materials Corp 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JP3189657B2 (ja) * 1995-12-20 2001-07-16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JPH1170404A (ja) * 1996-11-01 1999-03-16 Sumitomo Electric Ind Ltd ボールエンドミル用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TW363001B (en) 1996-11-01 1999-07-0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Multi-blades of ball end milling cutter
JP3161353B2 (ja) 1997-02-24 2001-04-2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式ボールエンドミル
JPH11197933A (ja) 1998-01-13 1999-07-27 Mitsubishi Materials Corp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スローアウェイ式ボールエンドミル
JP2000190116A (ja) * 1998-12-22 2000-07-11 Kanefusa Corp 植刃式フライス
JP2001315022A (ja) * 2000-05-01 2001-11-13 Daishowa Seiki Co Ltd 切削インサート及びインサートホルダ並びにこれらを備えた切削工具
EP1240961A1 (fr) * 2001-03-13 2002-09-18 Applitec Moutier S.A. Outil de coupe
JP2002355716A (ja) * 2001-05-31 2002-12-10 Mitsubishi Materials Corp スローアウェイ式ボールエンドミル
IL144154A0 (en) * 2001-07-05 2002-05-23 Iscar Ltd Cutting tool and cutting insert therefor
SE526109C2 (sv) * 2003-03-17 2005-07-05 Seco Tools Ab Fräsverktyg och indexerbart skär med samverkande utsprång och urtagningar
EP1635976B1 (en) 2003-03-17 2010-09-01 Seco Tools AB Indexable insert with corners with different radii
IL209396A (en) * 2010-11-17 2015-03-31 Iscar Ltd Cutting tool and holding tool for tangential cutting job
EP2614907B1 (en) 2012-01-13 2016-11-30 Seco Tools Ab Cutting insert with angled supporting surface, toolholder with angled abutment surface, and cutting tool
CN103418823B (zh) * 2013-09-03 2015-09-02 株洲华锐硬质合金工具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铣削加工的刀片及其配套铣刀
JP6287197B2 (ja) 2013-12-26 2018-03-0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ドリル用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ドリル
US9216458B2 (en) * 2014-02-19 2015-12-22 Iscar, Ltd. Cutting tool having adjustable insert cutting angle
US9700947B2 (en) 2014-06-27 2017-07-11 Kennametal Inc. Ballnose cutting tool and ballnose cutting insert
EP2992991A1 (en) * 2014-09-05 2016-03-09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Cutting insert and milling tool
KR102252055B1 (ko) 2014-12-05 2021-05-17 대구텍 유한책임회사 회전 절삭 공구 및 그 절삭 인서트
CN105269058A (zh) * 2015-11-13 2016-01-27 株洲钻石切削刀具股份有限公司 一种装有圆形刀片的切削刀具
JP2017165664A (ja) 2016-03-15 2017-09-21 株式会社ツツミプランニング 洗浄料及び同洗浄料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50965B (zh) 2021-04-09
EP3677368B1 (en) 2023-09-20
EP3677368A4 (en) 2021-06-02
WO2019044343A1 (ja) 2019-03-07
JP6540928B1 (ja) 2019-07-10
JP7248892B2 (ja) 2023-03-30
US20200070259A1 (en) 2020-03-05
KR20200034820A (ko) 2020-03-31
EP3677368A1 (en) 2020-07-08
JPWO2019044343A1 (ja) 2019-11-07
CN111050965A (zh) 2020-04-21
US11059111B2 (en) 2021-07-13
JP2019107770A (ja)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4742B1 (ko)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볼 엔드 밀
US9649701B2 (en) Cutting insert and indexable insert-type cutting tool
US11813678B2 (en) Cutting insert and indexable cutting tool
JP5024483B2 (ja) 切削インサート
KR101798695B1 (ko) 절삭 인서트
WO2010100953A1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インサート着脱式切削工具
WO2017068922A1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
JP7197809B2 (ja) 切削インサート
JP7417137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ボールエンドミル
JP7464877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7473835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7260747B2 (ja) 切削インサート、刃先交換式ボールエンドミル
JP7260748B2 (ja) 切削インサート、刃先交換式エンドミル
JP2020138241A (ja) 刃先交換式エンドミル、エンドミル本体および切削インサート
JP6318558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穴加工工具
JP2020127990A (ja) 切削インサート、刃先交換式ボールエンドミルおよびエンドミル本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