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708B1 - 증압장치 - Google Patents

증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708B1
KR102162708B1 KR1020197018042A KR20197018042A KR102162708B1 KR 102162708 B1 KR102162708 B1 KR 102162708B1 KR 1020197018042 A KR1020197018042 A KR 1020197018042A KR 20197018042 A KR20197018042 A KR 20197018042A KR 102162708 B1 KR102162708 B1 KR 102162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pressure
fluid
pressurization
pressuriza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5105A (ko
Inventor
히로유키 아사하라
겐고 몬덴
나오키 신조
세이이치 나구라
가즈타카 소메야
Original Assignee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85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3/00Intensifiers or fluid-pressure converters, e.g. pressure exchangers; Conveying pressure from one fluid system to another, without contact between the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46Electrical details
    • F15B13/086Sensing means, e.g. press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8Means for indicating the position, e.g. end of stroke
    • F15B15/2807Position switches, i.e. means for sensing of discrete positions only, e.g. limit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9/00Servomotors with follow-up action, e.g. obtained by feed-back control, i.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actuated member conforms with that of the controlling member
    • F15B9/02Servomotors with follow-up action, e.g. obtained by feed-back control, i.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actuated member conforms with that of the controlling member with servomotors of the reciprocatable or oscillatable type
    • F15B9/08Servomotors with follow-up action, e.g. obtained by feed-back control, i.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actuated member conforms with that of the controlling member with servomotors of the reciprocatable or oscillatable type controlled by valves affecting the fluid feed or the fluid outlet of the servomotor
    • F15B9/09Servomotors with follow-up action, e.g. obtained by feed-back control, i.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actuated member conforms with that of the controlling member with servomotors of the reciprocatable or oscillatable type controlled by valves affecting the fluid feed or the fluid outlet of the servomotor with electrical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9/00Servomotors with follow-up action, e.g. obtained by feed-back control, i.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actuated member conforms with that of the controlling member
    • F15B9/16Systems essentially having two or more interacting servomotors, e.g. multi-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14Energy-recuper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05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valves
    • F15B2211/3056Assemblies of multiple valves
    • F15B2211/30565Assemblies of multiple valves having multiple valves for a single output member, e.g. for creating higher valve function by use of multiple valves like two 2/2-valves replacing a 5/3-valve
    • F15B2211/3058Assemblies of multiple valves having multiple valves for a single output member, e.g. for creating higher valve function by use of multiple valves like two 2/2-valves replacing a 5/3-valve having additional valves for interconnecting the fluid chambers of a double-acting actuator, e.g. for regeneration mode or for flo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1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s of the valve element
    • F15B2211/3122Special positions other than the pump port being connected to working ports or the working ports being connected to the return line
    • F15B2211/3133Regenerative position connecting the working ports or connecting the working ports to the pump, e.g. for high-speed approach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 F15B2211/7055Linear output members having more than two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80Other types of control related to particular problems or conditions
    • F15B2211/88Control measures for saving energy

Abstract

증압장치(10, 10A, 10B)의 제1 증압 챔버(32a) 및 제2 증압 챔버(32b) 중, 적어도 하나에 유체가 공급되어 있는 경우에, 제1 전자 밸브 유닛(22)이 제1 가압 챔버(34a)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제2 가압 챔버(34b)에 공급하거나, 또는, 제2 전자 밸브 유닛(26)이 제3 가압 챔버(36a)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제4 가압 챔버(36b)에 공급한다.

Description

증압장치
본 발명은, 유체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증압장치(pressure booster)에 관한 것이다.
유체압 기기에 고압의 유체를 공급할 목적으로, 공급된 유체를 증압하고, 증압 후의 유체를 외부에 출력하는 증압장치가,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21404호 공보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15890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21404호의 도 1에는, 증압장치에 형성된 3개의 챔버를 피스톤 로드가 관통하고, 각 챔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에 피스톤이 연결되는 것에 의해, 중앙의 챔버가 2개의 구동 챔버로 구획되고, 중앙의 챔버에 대해서 좌우 양측의 챔버가 내측의 압축 챔버와 외측의 작동 챔버로 구획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2개의 압축 챔버 및 좌측끝의 작동 챔버에 에어를 공급하고, 우측끝의 작동 챔버와 좌측의 구동 챔버를 연통시키고, 또한, 우측의 구동 챔버의 에어를 배기하면, 각 피스톤은 우측방향으로 변위하여, 좌측의 압축 챔버의 에어가 증압되어 외부에 출력된다. 한편, 2개의 압축 챔버 및 우측끝의 작동 챔버에 에어를 공급하고, 좌측끝의 작동 챔버와 우측의 구동 챔버를 연통시키고, 또한, 좌측의 구동 챔버의 에어를 배기하면, 각 피스톤은 좌측방향으로 변위하여, 우측의 압축 챔버의 에어가 증압되어 외부에 출력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158901호의 도 1 및 도 2에는, 증압장치에 형성된 2개의 실린더 챔버를 피스톤 로드가 관통하고, 각 실린더 챔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에 피스톤이 연결되는 것에 의해, 우측의 제1 실린더 챔버가 내측의 제1 유체 챔버 및 외측의 제2 유체 챔버로 구획되고, 좌측의 제2 실린더 챔버가 외측의 제3 유체 챔버 및 내측의 제4 유체 챔버로 구획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실린더 챔버와 제2 실린더 챔버와의 사이에 설치된 커버 부재와 제2 실린더 챔버 내의 제2 피스톤과의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이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유체 챔버 및 제3 유체 챔버에 압축공기를 충전하면, 압축공기의 추력이 압축 스프링의 추력을 이겨내어,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1 유체 챔버 및 제3 유체 챔버로부터 압축공기가 배출되면,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은, 압축 스프링의 추력에 의해 좌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종래의 증압장치는, 증압 대상인 유체의 압력값의 조정 기구가 증압장치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설정값에 따라서는, 유체가 공급되어 피스톤을 가압 하는 가압 챔버와,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압축되는 구동 챔버와의 사이, 즉, 피스톤을 사이에 두고 양측의 챔버 사이에서, 압력값이 균형을 이루면, 피스톤이 작동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일본 특허공개공보 특개평9-158901호에서와 같이 압축 스프링 등에 의해 피스톤을 강제로 변위시키는 기구나, 압력차이가 생기도록 가압 챔버 내에 유체가 빠져나가는 홈을 설치하는 대책이 실시되고 있었다. 그 결과, 증압장치 내의 조정 기구가 복잡한 구조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압력값이 균형을 이루는 일 없이 피스톤을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공급되는 유체를 용이하게 증압시킬 수 있음과 함께, 장치 전체의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증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압장치는, 증압 챔버와, 이 증압 챔버의 일단측에 설치된 제1 구동 챔버와, 이 증압 챔버의 타단측에 설치된 제2 구동 챔버를 갖는다. 이 경우, 피스톤 로드는, 상기 증압 챔버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구동 챔버 및 상기 제2 구동 챔버로 연장하고 있다.
상기 증압 챔버 내에서는, 증압용 피스톤이 상기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증압 챔버를 상기 제1 구동 챔버 측의 제1 증압 챔버와 상기 제2 구동 챔버 측의 제2 증압 챔버로 구획한다. 또, 상기 제1 구동 챔버 내에서는, 제1 구동용 피스톤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일단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구동 챔버를 상기 제1 증압 챔버 측의 제1 가압 챔버와 상기 제1 증압 챔버보다 멀리 떨어진 제2 가압 챔버로 구획한다. 게다가, 상기 제2 구동 챔버 내에서는, 제2 구동용 피스톤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타단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구동 챔버를 상기 제2 증압 챔버 측의 제3 가압 챔버와 상기 제2 증압 챔버보다 멀리 떨어진 제4 가압 챔버로 구획한다.
그리고, 상기 증압장치는, 상기 제1 증압 챔버 및 상기 제2 증압 챔버 중 적어도 하나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기구와, 상기 제1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2 가압 챔버에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제2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1 가압 챔버에 공급하는 제1 배출 리턴 기구와, 상기 제3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4 가압 챔버에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제4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3 가압 챔버에 공급하는 제2 배출 리턴 기구를 더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증압장치는, 상기 피스톤 로드를 따라, 상기 제1 구동 챔버, 상기 증압 챔버 및 상기 제2 구동 챔버가 차례로 형성된 3-연장 실린더(three-stage cylinder)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유체 공급 기구로부터 상기 제1 증압 챔버 및 상기 제2 증압 챔버 중 적어도 하나에 유체를 공급할 때, 외측의 상기 제1 구동 챔버 및 상기 제2 구동 챔버에서는,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 또는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에 의해, 일측의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타측의 가압 챔버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 상기 증압용 피스톤 및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2 가압 챔버에 유체가 유입하여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이 제1 가압 챔버 측으로 가압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3 가압 챔버에 유체가 유입하여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이 제4 가압 챔버 측으로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 상기 증압용 피스톤 및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을 상기 제2 구동 챔버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2 증압 챔버 내의 유체를 증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가압 챔버에 유체가 유입하여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이 제2 가압 챔버 측으로 가압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4 가압 챔버에 유체가 유입하여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이 제3 가압 챔버 측으로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 상기 증압용 피스톤 및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을 상기 제1 구동 챔버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증압 챔버 내의 유체를 증압시킬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상기 증압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유체 공급 기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는, 중앙의 상기 제1 증압 챔버 또는 상기 제2 증압 챔버 내에서의 증압에 사용된다. 또,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 상기 증압용 피스톤 및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의 이동은,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 및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에 의한 가압 챔버 사이에서의 배출 유체의 이동에 기인하여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구성으로 각 피스톤의 양측의 압력값이 균형을 이루는 일 없이 각 피스톤을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증압 챔버 또는 상기 제2 증압 챔버에 공급되는 유체를 용이하게 증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증압장치에서는,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 및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에 의한 가압 챔버 사이에서의 배출 유체의 이동을 교대로 행하여,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 상기 증압용 피스톤 및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을 왕복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증압 챔버 및 상기 제2 증압 챔버에 공급되는 유체를 교대로 증압시켜서, 증압 후의 유체를 외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외부로부터 상기 유체 공급 기구를 통하여 상기 제1 증압 챔버 또는 상기 제2 증압 챔버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최대로 3배의 압력값까지 증압하여 외부에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증압시킨 유체의 공급처인 유체압 기기의 사양에 따라서는, 3배 미만의 압력값, 예를 들어, 2배의 압력값으로 충분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사양에 대응해, 상기 증압장치의 직경방향(상기 피스톤 로드에 직교하는 방향)의 크기를 작게 설정하면, 외부로부터 상기 유체 공급 기구를 통하여 상기 제1 증압 챔버 또는 상기 제2 증압 챔버에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이 적어지게 되어, 2배의 압력값의 유체를 외부에 용이하게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종래에 비해, 공급되는 유체의 소비량이 줄어들어 상기 증압장치의 에너지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2배의 압력값의 사양으로 함으로써, 상기 증압장치의 증압 동작의 능력에 여유가 생길 수 있으므로, 이 증압장치의 수명 장기화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설비의 경량 소형화에 수반하여 실린더의 중량을 제한해야 하는 자동 조립 설비에 상기 증압장치를 적절하게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증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 기구로부터 상기 제1 증압 챔버에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적어도,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가 상기 제1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2 가압 챔버에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가 상기 제4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3 가압 챔버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체 공급 기구로부터 상기 제2 증압 챔버에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적어도,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가 상기 제3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4 가압 챔버에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가 상기 제2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1 가압 챔버에 공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 상기 증압용 피스톤 및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이 왕복 이동할 때, 일측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일측의 가압 챔버에 공급된 유체를, 타측방향으로의 이동시에 타측의 가압 챔버에 공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일측의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회수하여 타측의 가압 챔버에 공급하는 것에 의해, 이 유체를 재이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종래와 같이, 피스톤이 이동할 때마다 가압 챔버로부터 유체를 배출하는 경우에 비해, 상기 증압장치 전체의 유체의 소비량을 감소시키면서, 상기 제1 증압 챔버 및 상기 제2 증압 챔버에 공급되는 유체를 증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 및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는, 아래와 같이, 3개의 유체 공급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제1 유체 공급방식은,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 및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의 양측에 있어서의 수압면적의 차이를 이용한 유체 공급방식이다.
즉, 상기 증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 기구로부터 상기 제1 증압 챔버에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는,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가압 챔버 측의 수압면적과 상기 제2 가압 챔버 측의 수압면적과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2 가압 챔버에 공급하고, 또한,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는, 상기 제3 가압 챔버에 유체를 공급함과 함께 상기 제4 가압 챔버로부터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체 공급 기구로부터 상기 제2 증압 챔버에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는, 상기 제1 가압 챔버에 유체를 공급함과 함께 상기 제2 가압 챔버로부터 유체를 배출하고, 또한,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는,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에 있어서의 상기 제3 가압 챔버 측의 수압면적과 상기 제4 가압 챔버 측의 수압면적과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제3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4 가압 챔버에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가압 챔버 및 상기 제2 가압 챔버를 비교하면, 상기 제1 가압 챔버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가 존재하므로, 수압면적이 작아진다. 따라서, 상기 제1 가압 챔버와 상기 제2 가압 챔버와의 사이에서의 수압면적의 차이에 기인하는 압력차이에 의해, 상기 제1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가 상기 제2 가압 챔버로 원활하게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은, 상기 제2 가압 챔버에 유입된 유체에 의해 상기 제1 가압 챔버 측으로 가압되므로,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 상기 증압용 피스톤 및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을 상기 제2 구동 챔버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2 증압 챔버에 공급되는 유체를 용이하게 증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가압 챔버 및 상기 제2 가압 챔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3 가압 챔버 및 상기 제4 가압 챔버를 비교하면, 상기 제3 가압 챔버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가 존재하므로, 수압면적이 작아진다. 따라서, 상기 제3 가압 챔버와 상기 제4 가압 챔버와의 사이에서의 수압면적의 차이에 기인하는 압력차이에 의해, 상기 제3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가 상기 제4 가압 챔버로 원활하게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은, 상기 제4 가압 챔버에 유입된 유체에 의해 상기 제3 가압 챔버 측으로 가압되므로,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 상기 증압용 피스톤 및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을 상기 제1 구동 챔버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증압 챔버에 공급되는 유체를 용이하게 증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는, 외부로부터 상기 유체 공급 기구에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제1 가압 챔버에 공급함과 함께 상기 제2 가압 챔버의 유체를 외부에 배출하고, 한편으로는, 상기 제1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2 가압 챔버에 공급하는 전자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는, 외부로부터 상기 유체 공급 기구에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제3 가압 챔버에 공급함과 함께 상기 제4 가압 챔버의 유체를 외부에 배출하고, 한편으로는, 상기 제3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4 가압 챔버에 공급하는 전자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외부로부터 상기 전자 밸브로의 제어 신호의 공급에 근거하여, 유체의 공급 및 배출 동작, 또는, 배출된 유체의 공급 동작으로, 확실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는, 상기 제1 가압 챔버에 접속되는 제1 전자 밸브, 상기 제2 가압 챔버에 접속되는 제2 전자 밸브, 및, 상기 제1 전자 밸브와 상기 제2 전자 밸브를 접속하는 제1 배출 리턴 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자 밸브 및 상기 제2 전자 밸브의 제1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챔버 및 상기 제2 가압 챔버가 상기 제1 배출 리턴 유로를 통하여 연통한다. 한편, 상기 제1 전자 밸브 및 상기 제2 전자 밸브의 제2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챔버가 상기 유체 공급 기구에 연통함과 함께, 상기 제2 가압 챔버가 외부에 연통한다.
또,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는, 상기 제3 가압 챔버에 접속되는 제3 전자 밸브, 상기 제4 가압 챔버에 접속되는 제4 전자 밸브, 및, 상기 제3 전자 밸브와 상기 제4 전자 밸브를 접속하는 제2 배출 리턴 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3 전자 밸브 및 상기 제4 전자 밸브의 제1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압 챔버 및 상기 제4 가압 챔버가 상기 제2 배출 리턴 유로를 통하여 연통한다. 한편, 상기 제3 전자 밸브 및 상기 제4 전자 밸브의 제2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압 챔버가 상기 유체 공급 기구에 연통함과 함께, 상기 제4 가압 챔버가 외부에 연통한다.
이것에 의해, 외부로부터 상기 제1 ~ 제4 전자 밸브로의 제어 신호의 공급에 근거하여, 유체의 공급 및 배출 동작, 또는, 배출된 유체의 공급 동작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제2 유체 공급방식은, 상기 제1 구동 챔버 및 상기 제2 구동 챔버에 있어서, 일측의 가압 챔버에 축적된 유체를 타측의 가압 챔버에 공급하는 경우와, 타측의 가압 챔버에 축적된 유체를 일측의 가압 챔버에 공급하는 경우를 교대로 행하는 것이 가능한 유체 공급방식이다.
즉, 상기 증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 기구로부터 상기 제1 증압 챔버에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는, 상기 제1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2 가압 챔버에 공급함과 함께,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는, 상기 제4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3 가압 챔버에 공급한다. 한편, 상기 유체 공급 기구로부터 상기 제2 증압 챔버에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는, 상기 제2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1 가압 챔버에 공급함과 함께,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는, 상기 제3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4 가압 챔버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일측의 가압 챔버에 축적된 유체를 타측의 가압 챔버를 향하여 공급하는 경우나, 타측의 가압 챔버에 축적된 유체를 일측의 가압 챔버를 향하여 공급하는 경우에,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 상기 증압용 피스톤 및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을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함께, 상기 증압장치의 수명 장기화를 도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는, 제1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챔버와 상기 제2 가압 챔버를 차단하고, 한편으로는, 제2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챔버와 상기 제2 가압 챔버를 연통시키는 3방 밸브의 제5 전자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5 전자 밸브는, 차단 상태와 연통 상태를 전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상기 제2 가압 챔버로의 공급, 또는, 상기 제2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상기 제1 가압 챔버로의 공급을 행한다.
또,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는, 제1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압 챔버와 상기 제4 가압 챔버를 연통시키고, 한편으로는, 제2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압 챔버와 상기 제4 가압 챔버를 차단하는 3방 밸브의 제6 전자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6 전자 밸브는, 차단 상태와 연통 상태를 전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3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상기 제4 가압 챔버로의 공급, 또는, 상기 제4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상기 제3 가압 챔버로의 공급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외부로부터 상기 제5 전자 밸브 및 상기 제6 전자 밸브로의 제어 신호의 공급에 근거하여, 배출된 유체의 공급 동작을 확실하게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 상기 증압용 피스톤 및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의 원활한 이동과, 상기 증압장치의 수명 장기화를 용이하게 실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제3 유체 공급방식은, 상기 제1 구동 챔버 및 상기 제2 구동 챔버에 있어서, 일측의 가압 챔버에 축적된 유체를 타측의 가압 챔버에 공급함과 함께 외부에 배출하는 유체 공급방식이다.
즉, 상기 증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 기구로부터 상기 제1 증압 챔버에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는, 상기 제1 가압 챔버로부터 유체를 배출함과 함께 상기 제2 가압 챔버에 유체를 공급하고, 또한,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는, 상기 제4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일부를 상기 제3 가압 챔버에 공급하면서, 다른 일부를 외부에 배출한다. 한편, 상기 유체 공급 기구로부터 상기 제2 증압 챔버에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는, 상기 제2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일부를 상기 제1 가압 챔버에 공급하면서, 다른 일부를 외부에 배출하고, 또한,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는, 상기 제3 가압 챔버로부터 유체를 배출함과 함께 상기 제4 가압 챔버에 유체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일측의 가압 챔버에 축적된 유체가 타측의 가압 챔버를 향하여 공급됨과 함께 외부에 배출되므로, 타측의 가압 챔버의 압력이 증가함과 함께, 일측의 가압 챔버의 압력을 급속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 상기 증압용 피스톤 및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을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함께, 상기 증압장치의 수명 장기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는, 외부로부터 상기 유체 공급 기구에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제2 가압 챔버에 공급함과 함께 상기 제1 가압 챔버의 유체를 외부에 배출하고, 한편으로는, 상기 제2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일부를 상기 제1 가압 챔버에 공급하면서, 다른 일부를 외부에 배출하는 제7 전자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는, 외부로부터 상기 유체 공급 기구에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제4 가압 챔버에 공급함과 함께 상기 제3 가압 챔버의 유체를 외부에 배출하고, 한편으로는, 상기 제4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일부를 상기 제3 가압 챔버에 공급하면서, 다른 일부를 외부에 배출하는 제8 전자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외부로부터 상기 제7 전자 밸브 및 상기 제8 전자 밸브로의 제어 신호의 공급에 근거하여, 유체의 공급 및 배출 동작, 또는, 배출된 유체의 공급 동작을 확실하게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 상기 증압용 피스톤 및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의 원활한 이동과, 상기 증압장치의 수명 장기화를 용이하게 실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는, 4방향 5포트의 상기 제7 전자 밸브, 및, 제1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7 전자 밸브는, 제1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챔버가 외부에 연통함과 함께 상기 제2 가압 챔버가 상기 유체 공급 기구에 연통하고, 한편으로는, 제2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 챔버가 상기 제1 체크밸브를 통하여 상기 제1 가압 챔버에 연통함과 함께 외부에 연통한다.
또,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는, 4방향 5포트의 상기 제8 전자 밸브, 및, 제2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8 전자 밸브는, 제1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4 가압 챔버가 상기 제2 체크밸브를 통하여 상기 제3 가압 챔버에 연통함과 함께 외부에 연통하고, 한편으로는, 제2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압 챔버가 외부에 연통함과 함께 상기 제4 가압 챔버가 상기 유체 공급 기구에 연통한다.
이것에 의해, 외부로부터 상기 제7 전자 밸브 및 상기 제8 전자 밸브로의 제어 신호의 공급에 근거하여, 유체의 공급 및 배출 동작, 또는, 배출된 유체의 공급 동작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체크밸브 및 상기 제2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간단한 회로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증압장치 전체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증압장치는,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 또는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 센서를 더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 및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는, 각각, 상기 위치검출 센서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일측의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타측의 가압 챔버로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1 증압 챔버 및 상기 제2 증압 챔버에 공급되는 유체의 증압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종래에는, 노크 핀(knock pins)을 장치에 내장시키고, 피스톤이 이 노크 핀에 맞닿는 것에 기인하여, 유체의 공급 및 배출 동작의 전환을 행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상기 피스톤이 이동하여 상기 노크 핀에 맞닿을 때마다 발생하는 소리(타격음)가 소음이 되어, 이 피스톤의 동작시에 증압장치에서 발생하는 소리(작동음)가 크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에 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상기 위치검출 센서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일측의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타측의 가압 챔버로 공급하기 때문에, 상기 노크 핀이 불필요해진다. 그 결과,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 상기 증압용 피스톤 및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의 이동시에 발생하는 소음이 억제되어, 상기 증압장치의 작동음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검출 센서는, 상기 제1 구동 챔버 또는 상기 제2 구동 챔버의 일단측으로의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 또는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의 도달을 검출하는 제1 위치검출 센서와, 상기 제1 구동 챔버 또는 상기 제2 구동 챔버의 타단측으로의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 또는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의 도달을 검출하는 제2 위치검출 센서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 상기 증압용 피스톤 및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을 구동시키기 위한 방향 제어 밸브가 불필요해져, 상기 증압장치의 내부 구조가 간소화된다. 그 결과, 상기 증압장치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위치검출 센서는,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 또는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에 장착된 자석에 의한 자기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 또는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의 위치를 검출하는 자기 센서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 및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의 위치를 용이하게 또한 양호한 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또, 상기 증압장치는, 일측의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되어 타측의 가압 챔버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를 더 가질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 및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는, 각각, 상기 압력 센서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일측의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타측의 가압 챔버로 공급하는 것을 정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력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위치검출 센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증압 챔버 및 상기 제2 증압 챔버에 공급되는 유체의 증압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 공급 기구는, 상기 제1 증압 챔버 및 상기 제2 증압 챔버로부터의 유체의 역류를 저지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증압장치는, 상기 제1 증압 챔버 또는 상기 제2 증압 챔버에서 증압된 유체를 외부에 출력하는 유체 출력 기구를 더 가지며, 상기 유체 출력 기구는, 상기 제1 증압 챔버 및 상기 제2 증압 챔버로의 유체의 역류를 저지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상기 제1 증압 챔버 및 상기 제2 증압 챔버에 있어서, 공급된 유체에 대한 증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구동 챔버의 직경방향의 크기, 및, 상기 제2 구동 챔버의 직경방향의 크기가, 상기 증압 챔버의 직경방향의 크기보다 작으면, 상기 증압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구동 챔버 및 상기 제2 구동 챔버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 제4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의 유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배출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증압장치에서는, 상기 제1 증압 챔버와 상기 제1 가압 챔버와의 사이에 제1 커버 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제2 증압 챔버와 상기 제3 가압 챔버와의 사이에 제2 커버 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제1 커버 부재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제2 가압 챔버의 단부에는 제3 커버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커버 부재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제4 가압 챔버의 단부에는 제4 커버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은, 상기 제1 커버 부재 및 상기 제3 커버 부재와 접촉하는 일 없이, 상기 제1 구동 챔버 내에서 변위하고,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은, 상기 제2 커버 부재 및 상기 제4 커버 부재와 접촉하는 일 없이, 상기 제2 구동 챔버 내에서 변위하고, 상기 증압용 피스톤은, 상기 제1 커버 부재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와 접촉하는 일 없이, 상기 증압 챔버 내에서 변위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1 ~ 제4 가압 챔버, 상기 제1 증압 챔버 및 상기 제2 증압 챔버에 유체를 공급, 또는, 유체를 배출할 때,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 상기 증압용 피스톤 및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을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첨부한 도면과 협동하는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예의 설명으로부터, 상기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증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증압장치 내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전자 밸브 유닛 및 제2 전자 밸브 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7은, 제1 전자 밸브 유닛 및 제2 전자 밸브 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1의 증압장치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증압장치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증압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증압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비교예의 증압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제1 변형예의 증압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제1 변형예의 증압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제2 변형예의 증압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6은, 제2 변형예의 증압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증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 따른 증압장치(10)는, 도 1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압용 실린더(12)의 일단측(A1 방향측)에 제1 구동용 실린더(14)가 연달아 설치됨과 함께, 타단측(A2 방향측)에 제2 구동용 실린더(16)가 연달아 설치된 3-연장 실린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증압장치(10)에는, A1 방향으로부터 A2 방향을 향하여, 제1 구동용 실린더(14), 증압용 실린더(12) 및 제2 구동용 실린더(16)의 순서로 연달아 설치되어 있다. 제1 구동용 실린더(14)와 증압용 실린더(12)와의 사이에는, 블록 형상의 제1 커버 부재(18)가 개재되고, 한편으로는, 증압용 실린더(12)와 제2 구동용 실린더(16)와의 사이에는, 블록 형상의 제2 커버 부재(20)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증압용 실린더(12)는, 제1 구동용 실린더(14) 및 제2 구동용 실린더(16)보다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구동용 실린더(14) 및 제1 커버 부재(18)의 상면에는 블록 형상의 제1 전자 밸브 유닛(22)(제1 배출 리턴 기구)이 배치되고, 제1 전자 밸브 유닛(22)의 상면에는 제1 커넥터(24)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2 구동용 실린더(16) 및 제2 커버 부재(20)의 상면에는 블록 형상의 제2 전자 밸브 유닛(26)(제2 배출 리턴 기구)이 배치되고, 제2 전자 밸브 유닛(26)의 상면에는 제2 커넥터(28)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커넥터(24) 및 제2 커넥터(28)는, 증압장치(10)에 대한 상위의 제어장치인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30)에 접속되어 있다.
도 2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압용 실린더(12) 내에는, 증압 챔버(3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구동용 실린더(14) 내에는 제1 구동 챔버(34)가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제2 구동용 실린더(16) 내에는 제2 구동 챔버(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구동용 실린더(14)의 A1 방향의 단부에 제3 커버 부재(38)가 고정되고, A2 방향의 단부에 제1 커버 부재(18)가 배치되는 것에 의해, 제1 구동 챔버(34)가 형성된다. 한편, 제2 구동용 실린더(16)의 A1 방향의 단부에 제2 커버 부재(20)가 배치되고, A2 방향의 단부에 제4 커버 부재(40)가 고정되는 것에 의해, 제2 구동 챔버(36)가 형성된다. 또한, 제1 구동 챔버(34) 및 제2 구동 챔버(36)의 직경방향(A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크기는, 증압 챔버(32)의 직경방향의 크기보다 작다.
그리고, 증압장치(10) 내에는, 피스톤 로드(42)가 제1 커버 부재(18), 증압 챔버(32) 및 제2 커버 부재(20)를 A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1 구동 챔버(34) 및 제2 구동 챔버(36)에까지 연장하고 있다.
증압 챔버(32)에서는, 피스톤 로드(42)에 증압용 피스톤(44)이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증압 챔버(32)는, A1 방향측의 제1 증압 챔버(32a)와 A2 방향측의 제2 증압 챔버(32b)로 구획된다. 또한, 증압용 피스톤(44)은, 제1 커버 부재(18) 및 제2 커버 부재(20)와 접촉하는 일 없이, 증압 챔버(32) 내에서 A 방향으로 변위한다.
또, 제1 구동 챔버(34)에서는, 피스톤 로드(42)의 A1 방향의 일단에 제1 구동용 피스톤(46)이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구동 챔버(34)는, A2 방향측의 제1 가압 챔버(34a)와 A1 방향측의 제2 가압 챔버(34b)로 구획된다. 또한, 제1 구동용 피스톤(46)은, 제1 커버 부재(18) 및 제3 커버 부재(38)와 접촉하는 일 없이, 제1 구동 챔버(34) 내에서 A 방향으로 변위한다.
게다가, 제2 구동 챔버(36)에서는, 피스톤 로드(42)의 A2 방향의 타단에 제2 구동용 피스톤(48)이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구동 챔버(36)는, A1 방향측의 제3 가압 챔버(36a)와 A2 방향측의 제4 가압 챔버(36b)로 구획된다. 또한, 제2 구동용 피스톤(48)은, 제2 커버 부재(20) 및 제4 커버 부재(40)와 접촉하는 일 없이, 제2 구동 챔버(36) 내에서 A 방향으로 변위한다.
증압용 실린더(12)의 상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의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유체(예를 들어, 에어)가 공급되는 입구 포트(50)가 형성되어 있다. 증압용 실린더(12)에는, 입구 포트(50)에 연통하고, 공급된 유체를 제1 증압 챔버(32a) 및 제2 증압 챔버(32b)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하는 유체 공급 기구(52)가 설치되어 있다.
유체 공급 기구(52)는, 증압용 실린더(12)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24) 및 제2 커넥터(28)측의 배면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유체 공급 기구(52)는, 입구 포트(50)와 제1 증압 챔버(32a)를 연통하는 대략 J자 단면 형상의 제1 공급 유로(52a)와, 입구 포트(50)와 제2 증압 챔버(32b)를 연통하는 대략 J자 단면 형상의 제2 공급 유로(52b)를 갖는다.
제1 공급 유로(52a)에 있어서의 제1 증압 챔버(32a)측에는, 입구 포트(50)로부터 제1 증압 챔버(32a)로의 유체의 공급을 허용하는 한편, 제1 증압 챔버(32a)로부터의 유체의 역류를 저지하는 제1 입구 체크밸브(52c)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2 공급 유로(52b)에 있어서의 제2 증압 챔버(32b)측에는, 입구 포트(50)로부터 제2 증압 챔버(32b)로의 유체의 공급을 허용하는 한편, 제2 증압 챔버(32b)로부터의 유체의 역류를 저지하는 제2 입구 체크밸브(52d)가 설치되어 있다.
증압용 실린더(12)의 전면에는, 증압장치(10)에 의한 후술하는 증압 동작에 의해 증압된 유체를 외부에 출력하는 출력 포트(56)가 형성되어 있다. 증압용 실린더(12)에는, 출력 포트(56)에 연통하고, 제1 증압 챔버(32a) 또는 제2 증압 챔버(32b)에서 증압된 유체를, 출력 포트(56)를 통하여 외부에 출력하는 유체 출력 기구(58)가 설치되어 있다.
유체 출력 기구(58)는, 증압용 실린더(12)에 있어서의 증압 챔버(32)의 아래 쪽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유체 출력 기구(58)는, 출력 포트(56)와 제1 증압 챔버(32a)를 연통하는 대략 J자 단면 형상의 제1 출력 유로(58a)와, 출력 포트(56)와 제2 증압 챔버(32b)를 연통하는 대략 J자 단면 형상의 제2 출력 유로(58b)를 갖는다.
제1 출력 유로(58a)에 있어서의 제1 증압 챔버(32a)측에는, 제1 증압 챔버(32a)로부터 출력 포트(56)로의 증압 후의 유체의 출력을 허용하는 한편, 제1 증압 챔버(32a)로의 유체의 역류를 저지하는 제1 출구 체크밸브(58c)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2 출력 유로(58b)에 있어서의 제2 증압 챔버(32b)측에는, 제2 증압 챔버(32b)로부터 출력 포트(56)로의 증압 후의 유체의 출력을 허용하는 한편, 제2 증압 챔버(32b)로의 유체의 역류를 저지하는 제2 출구 체크밸브(58d)가 설치되어 있다.
도 5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밸브 유닛(22)은, 제1 가압 챔버(34a)에 접속되는 공급용 전자 밸브로서의 제1 전자 밸브(22a)와, 제2 가압 챔버(34b)에 접속되는 배출용 전자 밸브로서의 제2 전자 밸브(22b)를 갖는다. 제1 전자 밸브(22a)는, 단동형의 2위치 3포트의 전자 밸브이며, 제1 가압 챔버(34a)에 접속되는 접속 포트(60a)와, 제1 공급 유로(52a)에 접속되는 공급 포트(62a)와, 배출 포트(64a)와, 솔레노이드(66a)를 갖는다. 한편, 제2 전자 밸브(22b)는, 단동형의 2위치 3포트의 전자 밸브이며, 제2 가압 챔버(34b)에 접속되는 접속 포트(60b)와, 제1 전자 밸브(22a)의 배출 포트(64a)에 접속되는 공급 포트(62b)와, 증압장치(10)의 배면에 형성된 배출 포트(68a)에 연통하는 배출 포트(64b)와, 솔레노이드(66b)를 갖는다. 이 경우, 제1 전자 밸브(22a)의 배출 포트(64a)와, 제2 전자 밸브(22b)의 공급 포트(62b)는, 제1 배출 리턴 유로(70)를 통하여 상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전자 밸브 유닛(22)은, 제1 전자 밸브(22a) 및 제2 전자 밸브(22b)를 가지는 것에 의해, 4위치 듀얼 3포트의 전자 밸브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즉, PLC(30)로부터 제1 커넥터(24)를 통하여 각 솔레노이드(66a, 66b)에 제어 신호가 공급되고 있지 않는 소자(demagnetized)시(제2 위치)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포트(62a)와 접속 포트(60a)가 접속됨과 함께, 접속 포트(60b)와 배출 포트(64b)가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제1 공급 유로(52a)로부터 제1 가압 챔버(34a)에 유체가 공급되는 한편, 제2 가압 챔버(34b)의 유체가 배출 포트(68a)를 통하여 외부에 배출된다. 그 결과, 제1 구동용 피스톤(46)은, 제1 가압 챔버(34a)에 공급된 유체의 압력으로 제2 가압 챔버(34b)측으로 변위한다.
한편, PLC(30)로부터 제1 커넥터(24)를 통하여 각 솔레노이드(66a, 66b)에 제어 신호가 공급되어 여자 되었을 경우(제1 위치)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포트(64a)와 접속 포트(60a)가 접속됨과 함께, 공급 포트(62b)와 접속 포트(60b)가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제1 가압 챔버(34a)와 제2 가압 챔버(34b)는, 제1 배출 리턴 유로(70) 등을 통하여 연통한다. 이 경우, 제1 가압 챔버(34a)에는 피스톤 로드(42)가 존재하기 때문에, 제1 가압 챔버(34a)의 수압면적이 제2 가압 챔버(34b)의 수압면적보다 작다. 이것에 의해, 수압면적의 차이에 기인하는 제1 가압 챔버(34a)와 제2 가압 챔버(34b)와의 압력차이로, 제1 가압 챔버(34a)로부터 배출된 유체는, 제1 배출 리턴 유로(70) 등을 통하여 제2 가압 챔버(34b)에 유입한다. 그 결과, 제1 구동용 피스톤(46)은, 제2 가압 챔버(34b)에 공급된 유체의 압력으로 제1 가압 챔버(34a)측으로 변위한다.
도 5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자 밸브 유닛(26)은, 전술한 제1 전자 밸브 유닛(22)과 동일한 구성이며, 제3 가압 챔버(36a)에 접속되는 공급용 전자 밸브로서의 제3 전자 밸브(26a)와, 제4 가압 챔버(36b)에 접속되는 배출용 전자 밸브로서의 제4 전자 밸브(26b)를 갖는다. 제3 전자 밸브(26a)는, 단동형의 2위치 3포트의 전자 밸브이며, 제3 가압 챔버(36a)에 접속되는 접속 포트(72a)와, 제2 공급 유로(52b)에 접속되는 공급 포트(74a)와, 배출 포트(76a)와, 솔레노이드(78a)를 갖는다. 한편, 제4 전자 밸브(26b)는, 단동형의 2위치 3포트의 전자 밸브이며, 제4 가압 챔버(36b)에 접속되는 접속 포트(72b)와, 제3 전자 밸브(26a)의 배출 포트(76a)에 접속되는 공급 포트(74b)와, 증압장치(10)의 배면에 형성된 배출 포트(68b)에 연통하는 배출 포트(76b)와, 솔레노이드(78b)를 갖는다. 이 경우, 제3 전자 밸브(26a)의 배출 포트(76a)와, 제4 전자 밸브(26b)의 공급 포트(74b)는, 제2 배출 리턴 유로(80)를 통하여 상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전자 밸브 유닛(26)도, 제3 전자 밸브(26a) 및 제4 전자 밸브(26b)를 가지는 것에 의해, 4위치 듀얼 3포트의 전자 밸브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즉, PLC(30)로부터 제2 커넥터(28)를 통하여 각 솔레노이드(78a, 78b)에 제어 신호가 공급되고 있지 않는 소자시(제2 위치)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포트(74a)와 접속 포트(72a)가 접속됨과 함께, 접속 포트(72b)와 배출 포트(76b)가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제2 공급 유로(52b)로부터 제3 가압 챔버(36a)에 유체가 공급되는 한편, 제4 가압 챔버(36b)의 유체가 배출 포트(68b)를 통하여 외부에 배출된다. 그 결과, 제2 구동용 피스톤(48)은, 제3 가압 챔버(36a)에 공급된 유체의 압력으로 제4 가압 챔버(36b)측으로 변위한다.
한편, PLC(30)로부터 제2 커넥터(28)를 통하여 각 솔레노이드(78a, 78b)에 제어 신호가 공급되어 여자되는 경우(제1 위치)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포트(76a)와 접속 포트(72a)가 접속됨과 함께, 공급 포트(74b)와 접속 포트(72b)가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제3 가압 챔버(36a)와 제4 가압 챔버(36b)는, 제2 배출 리턴 유로(80) 등을 통하여 연통한다. 이 경우, 제3 가압 챔버(36a)에는 피스톤 로드(42)가 존재하기 위해, 제3 가압 챔버(36a)의 수압면적이 제4 가압 챔버(36b)의 수압면적보다 작다. 이것에 의해, 수압면적의 차이에 기인하는 제3 가압 챔버(36a)와 제4 가압 챔버(36b)와의 압력차이로, 제3 가압 챔버(36a)로부터 배출된 유체는, 제2 배출 리턴 유로(80) 등을 통하여 제4 가압 챔버(36b)에 유입한다. 그 결과, 제2 구동용 피스톤(48)은, 제4 가압 챔버(36b)에 공급된 유체의 압력으로 제3 가압 챔버(36a)측으로 변위한다.
제1 구동용 실린더(14) 및 제2 구동용 실린더(16)의 각 측면(출력 포트(56)측의 전면, 제1 커넥터(24) 및 제2 커넥터(28)측의 배면)에는, 각각, A 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홈(82)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구동용 실린더(14)의 전면에 형성된 2개의 홈(82)에는, 제1 위치검출 센서(84a) 및 제2 위치검출 센서(84b)가 각각 매설되어 있다. 또, 제1 구동용 피스톤(46)의 외주면에는, 환형상의 영구자석(86)이 매설되어 있다.
제1 위치검출 센서(84a)는, 제1 구동용 피스톤(46)이 제1 구동 챔버(34) 내의 제1 커버 부재(18) 부근의 위치로 변위하였을 때에, 영구자석(86)의 자기를 검출하여, 그 검출 신호를 PLC(30)에 출력하는 자기 센서이다. 제2 위치검출 센서(84b)는, 제1 구동용 피스톤(46)이 제1 구동 챔버(34) 내의 제3 커버 부재(38) 부근의 위치로 변위하였을 때에, 영구자석(86)의 자기를 검출하여, 그 검출 신호를 PLC(30)에 출력하는 자기 센서이다. 즉, 제1 위치검출 센서(84a) 및 제2 위치검출 센서(84b)는, 영구자석(86)에 의한 자기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제1 구동용 피스톤(46)의 위치를 검출한다. PLC(30)는, 제1 위치검출 센서(84a) 및 제2 위치검출 센서(84b)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각 솔레노이드(66a, 66b, 78a, 78b)를 여자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1 커넥터(24) 또는 제2 커넥터(28)에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의 동작]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증압장치(10)의 동작에 대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동작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도 1 ~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증압장치(10)에는, 도 2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압장치(10)의 전후방향 상이한 위치에 피스톤 로드(42), 유체 공급 기구(52) 및 유체 출력 기구(58) 등이 설치되어 있다. 단, 도 8 및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러한 구성요소를 동일 단면에 도시하고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에서는,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및 제2 구동용 피스톤(48)을 A1 방향 및 A2 방향으로 교대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제1 증압 챔버(32a) 및 제2 증압 챔버(32b)에 공급된 유체(예를 들어, 에어)를 교대로 증압하여 외부에 출력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및 제2 구동용 피스톤(48)을 A1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제1 증압 챔버(32a)에 공급된 유체를 증압하는 경우에 대해,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1 구동용 피스톤(46)은, 제1 구동 챔버(34) 내에서 제1 커버 부재(18)로부터 근소한 간극을 두고 위치하며, 증압용 피스톤(44)은, 증압 챔버(32) 내에서 제2 커버 부재(20)로부터 근소한 간극을 두고 위치하며, 제2 구동용 피스톤(48)은, 제2 구동 챔버(36) 내에서 제4 커버 부재(40)로부터 근소한 간극을 두고 위치하고 있다.
외부의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유체는, 입구 포트(50)로부터 유체 공급 기구(52)에 공급된다. 유체 공급 기구(52)는, 제2 공급 유로(52b)를 통하여 제2 증압 챔버(32b)에 유체를 공급한다. 또한, 제1 증압 챔버(32a)에는, 전회의 동작에 의해 이미 유체가 충전되어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제1 위치검출 센서(84a)는, 제1 구동용 피스톤(46)에 장착된 영구자석(86)에 의한 자기를 검출하여, 그 검출 신호를 PLC(30)에 출력한다. PLC(30)는, 제1 위치검출 센서(84a)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제2 커넥터(28)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제2 전자 밸브 유닛(26)에는, 제2 커넥터(28)를 통하여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제2 전자 밸브 유닛(26) 내에서는, 제3 전자 밸브(26a)의 솔레노이드(78a) 및 제4 전자 밸브(26b)의 솔레노이드(78b)가 제어 신호의 공급에 의해 각각 여자 된다. 이것에 의해, 제3 전자 밸브(26a) 및 제4 전자 밸브(26b)는, 도 7의 제1 위치로 변화하므로, 제3 가압 챔버(36a)는, 접속 포트(72a), 배출 포트(76a), 제2 배출 리턴 유로(80), 공급 포트(74b) 및 접속 포트(72b)를 통하여, 제4 가압 챔버(36b)와 연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42)의 존재에 의해, 제3 가압 챔버(36a)의 수압면적은 제4 가압 챔버(36b)의 수압면적보다 작다. 그 때문에, 제3 가압 챔버(36a)와 제4 가압 챔버(36b)와의 압력차이에 의해, 제3 가압 챔버(36a) 내의 유체는, 제3 가압 챔버(36a)로부터 배출되어 제2 배출 리턴 유로(80) 등을 통하여, 제4 가압 챔버(36b)에 원활하게 공급된다. 제4 가압 챔버(36b)에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제2 구동용 피스톤(48)에는, 제3 가압 챔버(36a) 쪽(A1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작용한다.
한편, 제1 전자 밸브 유닛(22)에서는, 제어 신호의 공급이 없기 때문에, 제1 전자 밸브(22a)의 솔레노이드(66a) 및 제2 전자 밸브(22b)의 솔레노이드(66b)는, 소자 상태에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전자 밸브(22a) 및 제2 전자 밸브(22b)는, 도 6의 제2 위치를 유지하므로, 제1 가압 챔버(34a)는, 접속 포트(60a) 및 공급 포트(62a)를 통하여 제1 공급 유로(52a)와 접속되어, 유체 공급 기구(52)로부터 유체를 공급받는다. 한편, 제2 가압 챔버(34b)는, 접속 포트(60b) 및 배출 포트(64b)를 통하여 배출 포트(68a)에 접속되어, 이 제2 가압 챔버(34b) 내의 유체가 외부에 배출된다. 그 결과, 제1 가압 챔버(34a)에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제1 구동용 피스톤(46)에는, 제2 가압 챔버(34b) 쪽(A1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작용한다.
이와 같이, 도 8의 예에서는, 제2 증압 챔버(32b)에 유체가 공급되고, 제1 가압 챔버(34a)에 유체가 공급되고, 제2 가압 챔버(34b) 내의 유체가 배출되고, 제3 가압 챔버(36a) 내의 유체가 제2 배출 리턴 유로(80) 등을 통하여 제4 가압 챔버(36b)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및 제2 구동용 피스톤(48)은, 제1 가압 챔버(34a), 제2 증압 챔버(32b) 및 제4 가압 챔버(36b)에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A1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각각 받는다. 그 결과,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제2 구동용 피스톤(48) 및 피스톤 로드(4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A1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증압 챔버(32a) 내의 유체는, 증압용 피스톤(44)의 A1 방향의 변위에 의해 압축되어, 그 압력값이 증가한다(증압된다). 제1 증압 챔버(32a)에서는, 공급된 유체를 최대로 3배의 압력값까지 증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증압 후의 유체는, 유체 출력 기구(58)의 제1 출력 유로(58a) 및 출력 포트(56)를 통하여 외부에 출력된다.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제2 구동용 피스톤(48) 및 피스톤 로드(42)의 A1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영구자석(86)이 제1 위치검출 센서(84a)의 검출 가능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제1 위치검출 센서(84a)는, PLC(30)에 대한 검출 신호의 출력을 정지한다. 그 후, 제1 구동용 피스톤(46)이 제3 커버 부재(38) 부근의 위치(제3 커버 부재(38)로부터 근소한 간극을 둔 위치)에 도달하고,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제2 구동용 피스톤(48) 및 피스톤 로드(42)의 A1 방향으로의 이동이 정지한다.
다음에,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및 제2 구동용 피스톤(48)을 A2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제2 증압 챔버(32b)에 공급된 유체를 증압하는 경우에 대해,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유체 공급 기구(52)는, 제1 공급 유로(52a)를 통하여 제1 증압 챔버(32a)에 유체를 공급한다. 또한, 도 8의 전회의 동작으로 제2 증압 챔버(32b)에는, 이미 유체가 충전되어 있다. 또, 제2 위치검출 센서(84b)는, 영구자석(86)에 의한 자기를 검출하여, 그 검출 신호를 PLC(30)에 출력한다. PLC(30)는, 제2 위치검출 센서(84b)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제2 커넥터(28)로의 제어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는 한편, 제1 커넥터(24)로의 제어 신호의 출력을 개시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전자 밸브 유닛(22)에는, 제1 커넥터(24)를 통하여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제1 전자 밸브 유닛(22) 내에서는, 제1 전자 밸브(22a)의 솔레노이드(66a) 및 제2 전자 밸브(22b)의 솔레노이드(66b)가 제어 신호의 공급에 의해 각각 여자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전자 밸브(22a) 및 제2 전자 밸브(22b)는, 도 7의 제1 위치로 변화하므로, 제1 가압 챔버(34a)는, 접속 포트(60a), 배출 포트(64a), 제1 배출 리턴 유로(70), 공급 포트(62b) 및 접속 포트(60b)를 통하여, 제2 가압 챔버(34b)와 연통한다. 이 경우에도, 피스톤 로드(42)의 존재에 의해, 제1 가압 챔버(34a)의 수압면적은 제2 가압 챔버(34b)의 수압면적보다 작다. 그 때문에, 제1 가압 챔버(34a)와 제2 가압 챔버(34b)와의 압력차이에 의해, 제1 가압 챔버(34a) 내의 유체는, 제1 가압 챔버(34a)로부터 배출되어 제1 배출 리턴 유로(70) 등을 통하여, 제2 가압 챔버(34b)에 원활하게 공급된다. 제2 가압 챔버(34b)에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제1 구동용 피스톤(46)에는, 제1 가압 챔버(34a) 쪽(A2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작용한다.
한편, 제2 전자 밸브 유닛(26)에서는, PLC(30)로부터의 제어 신호의 공급이 정지하기 때문에, 제3 전자 밸브(26a)의 솔레노이드(78a) 및 제4 전자 밸브(26b)의 솔레노이드(78b)는, 소자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제3 전자 밸브(26a) 및 제4 전자 밸브(26b)는, 도 6의 제2 위치로 변화하므로, 제3 가압 챔버(36a)는, 접속 포트(72a) 및 공급 포트(74a)를 통하여 제2 공급 유로(52b)와 접속되어, 유체 공급 기구(52)로부터 유체를 공급받는다. 한편, 제4 가압 챔버(36b)는, 접속 포트(72b) 및 배출 포트(76b)를 통하여 배출 포트(68b)에 접속되므로, 이 제4 가압 챔버(36b) 내의 유체는 외부에 배출된다. 그 결과, 제3 가압 챔버(36a)에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제2 구동용 피스톤(48)에는, 제4 가압 챔버(36b) 쪽(A2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작용한다.
이와 같이, 도 9의 예에서는, 제1 증압 챔버(32a)에 유체가 공급되고, 제1 가압 챔버(34a) 내의 유체가 제1 배출 리턴 유로(70) 등을 통하여 제2 가압 챔버(34b)에 공급되고, 제3 가압 챔버(36a)에 유체가 공급되고, 제4 가압 챔버(36b) 내의 유체가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및 제2 구동용 피스톤(48)은, 제2 가압 챔버(34b), 제1 증압 챔버(32a) 및 제3 가압 챔버(36a)에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A2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각각 받는다. 그 결과,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제2 구동용 피스톤(48) 및 피스톤 로드(4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A2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것에 의해, 제2 증압 챔버(32b) 내의 유체는, 증압용 피스톤(44)의 A2 방향의 변위에 의해 압축되어, 그 압력값이 증가한다(증압된다). 제2 증압 챔버(32b)에 있어서도, 공급된 유체를 최대로 3배의 압력값까지 증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증압 후의 유체는, 유체 출력 기구(58)의 제2 출력 유로(58b)를 통하여 외부에 출력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증압장치(10)에서는,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제2 구동용 피스톤(48) 및 피스톤 로드(42)를 A1 방향 및 A2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증압 동작을 교대로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 증압장치(10)에서는, 외부의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값을, 최대로 3배의 압력값까지 증압시켜, 증압 후의 유체를 제1 증압 챔버(32a) 및 제2 증압 챔버(32b)로부터 교대로 출력 포트(56)를 통하여 외부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증압장치(10)로부터 출력된 증압 후의 유체를 외부의 탱크(90)에 저장하고, 이 탱크(90)로부터 임의의 유체압 기기(92)에 증압 후의 유체를 공급하는 경우를 도시한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또, 도 12는, 비교예에 따른 증압장치(94)의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비교예에 따른 증압장치(94)는, 좌우의 실린더(96, 98)가 연결된 2-연장 실린더 구조를 가지며, 실린더(96, 98) 사이에 커버 부재(100)가 개재되어 있다. 좌측의 실린더(96) 내에는 실린더 챔버(102)가 형성되고, 우측의 실린더(98) 내에는 실린더 챔버(10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피스톤 로드(106)가 커버 부재(100)를 관통하여, 좌우의 실린더 챔버(102, 104)에 삽입되어 있다. 좌측의 실린더 챔버(102)는, 피스톤 로드(106)의 일단에 연결된 피스톤(108)에 의해, 내측의 증압 챔버(102a)와 외측의 가압 챔버(102b)로 구획된다. 한편, 우측의 실린더 챔버(104)는, 피스톤 로드(106)의 타단에 연결된 피스톤(110)에 의해, 내측의 증압 챔버(104a)와 외측의 가압 챔버(104b)로 구획된다.
비교예에 따른 증압장치(94)에서는, 실선의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가압 챔버(102b) 및 증압 챔버(104a)에 유체를 공급함과 함께, 가압 챔버(104b)의 유체를 배출하는 것에 의해, 피스톤(108, 110) 및 피스톤 로드(106)를 A2 방향으로 일체로 변위시켜, 증압 챔버(102a) 내의 유체를 증압한다. 또, 증압장치(94)에서는, 점선의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증압 챔버(102a) 및 가압 챔버(104b)에 유체를 공급함과 함께, 가압 챔버(102b)의 유체를 배출하는 것에 의해, 피스톤(108, 110) 및 피스톤 로드(106)를 A1 방향으로 일체로 변위시켜, 증압 챔버(104a) 내의 유체를 증압한다. 따라서, 증압장치(94)에서도, 피스톤(108, 110) 및 피스톤 로드(106)의 A1 방향 및 A2 방향으로의 왕복 동작에 의해, 증압 챔버(102a, 104a) 내에서 유체를 교대로 증압하고, 증압 후의 유체를 탱크(9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렇지만, 비교예에 따른 증압장치(94)에서는,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값을 최대 2배의 압력값까지 증압시킬 수밖에 없다. 또, 각 가압 챔버(102b, 104b)에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유체가 공급되고, 또한, 피스톤(108, 110) 및 피스톤 로드(106)가 왕복 이동할 때마다, 어느 하나의 가압 챔버(102b, 104b)의 유체가 배출되므로, 유체의 소비량이 많아진다. 게다가, 피스톤(108, 110)을 사이에 두고 양쪽 챔버의 압력이 균형을 이루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부재 등의 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있어, 증압장치(94)의 내부 구조가 복잡해진다.
이것에 비해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증압장치(1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값을 최대로 3배의 압력값까지 증압시킬 수 있다. 또, 제1 전자 밸브 유닛(22) 및 제2 전자 밸브 유닛(26)을 이용하여, 일측의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타측의 가압 챔버에 공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유체가 쓸모없이 배출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구동용 피스톤(46) 및 제2 구동용 피스톤(48) 양측의 수압면적의 차이에 의한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일측의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타측의 가압 챔버에 공급하기 때문에, 압력의 균형에 의한 제1 구동용 피스톤(46) 및 제2 구동용 피스톤(48)의 정지를 회피할 수 있어, 증압장치(10)의 내부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증압장치(10)에서는, 증압 후의 유체를 효율적으로 탱크(90)에 저장하고, 저장된 유체를 유체압 기기(92)에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증압장치(10)에 의하면, 피스톤 로드(42)(A 방향)를 따라, 제1 구동 챔버(34), 증압 챔버(32) 및 제2 구동 챔버(36)가 차례로 형성된 3-연장 실린더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 유체 공급 기구(52)로부터 제1 증압 챔버(32a) 및 제2 증압 챔버(32b) 중 적어도 하나에 유체를 공급할 때, 외측의 제1 구동 챔버(34) 및 제2 구동 챔버(36)에서는, 제1 전자 밸브 유닛(22) 또는 제2 전자 밸브 유닛(26)에 의해, 증압 챔버(32) 쪽의 내측의 제1 가압 챔버(34a) 또는 제3 가압 챔버(36a)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외측의 제2 가압 챔버(34b) 또는 제4 가압 챔버(36b)에 공급함으로써,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및 제2 구동용 피스톤(48)을 A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2 가압 챔버(34b)에 유체가 유입하여 제1 구동용 피스톤(46)이 제1 가압 챔버(34a) 측으로 가압되는 경우에는,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및 제2 구동용 피스톤(48)을 제2 구동 챔버(36) 쪽(A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2 증압 챔버(32b) 내의 유체를 증압시킬 수 있다.
한편, 제4 가압 챔버(36b)에 유체가 유입하여 제2 구동용 피스톤(48)이 제3 가압 챔버(36a) 측으로 가압되는 경우,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및 제2 구동용 피스톤(48)을 제1 구동 챔버(34) 쪽(A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1 증압 챔버(32a) 내의 유체를 증압시킬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증압장치(10)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유체 공급 기구(52)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는, 중앙의 제1 증압 챔버(32a) 또는 제2 증압 챔버(32b) 내에서의 증압에 사용되고,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및 제2 구동용 피스톤(48)의 이동은, 제1 전자 밸브 유닛(22) 및 제2 전자 밸브 유닛(26)에 의한 가압 챔버 사이에서의 배출 유체의 이동에 기인하여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1 구동용 피스톤(46) 및 제2 구동용 피스톤(48)의 양측의 압력값이 균형을 이루는 일 없이,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및 제2 구동용 피스톤(48)을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제1 증압 챔버(32a) 또는 제2 증압 챔버(32b)에 공급되는 유체를 용이하게 증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증압장치(10)에서는, 제1 전자 밸브 유닛(22) 및 제2 전자 밸브 유닛(26)에 의한 가압 챔버 사이에서의 배출 유체의 이동을 교대로 행하여,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및 제2 구동용 피스톤(48)을 왕복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1 증압 챔버(32a) 및 제2 증압 챔버(32b)에 공급되는 유체를 교대로 증압 시키고, 증압 후의 유체를 외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체 공급 기구(52)를 통하여 제1 증압 챔버(32a) 또는 제2 증압 챔버(32b)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최대로 3배의 압력값까지 증압하여 외부에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증압시킨 유체의 공급처인 유체압 기기(92)의 사양에 따라서는, 3배 미만의 압력값, 예를 들어, 2배의 압력값으로 충분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사양에 대응하여, 증압장치(10)의 직경방향(A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크기를 작게 설정하면, 외부로부터 유체 공급 기구(52)를 통하여 제1 증압 챔버(32a) 또는 제2 증압 챔버(32b)에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이 적어지게 되어, 2배의 압력값의 유체를 외부에 용이하게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종래에 비해, 공급되는 유체의 소비량이 감소되고, 구체적으로는, 도 12의 증압장치(94)와 비교해서, 유체의 소비량을 50% 정도 감소시킬 수 있어, 증압장치(10)의 에너지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2배의 압력값의 사양으로 함으로써, 증압장치(10)의 증압 동작의 능력에 여유가 생기게 되므로, 이 증압장치(10)의 수명 장기화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설비의 경량 소형화에 수반하여 실린더의 중량을 제한할 수밖에 없는 자동 조립 설비에 증압장치(10)를 적절하게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체 공급 기구(52)로부터 제1 증압 챔버(32a)에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적어도, 제1 전자 밸브 유닛(22)은 제1 가압 챔버(34a)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제2 가압 챔버(34b)에 공급한다. 한편, 유체 공급 기구(52)로부터 제2 증압 챔버(32b)에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적어도, 제2 전자 밸브 유닛(26)은 제3 가압 챔버(36a)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제4 가압 챔버(36b)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및 제2 구동용 피스톤(48)이 왕복 이동할 때, 일측방향으로의 이동시 제1 가압 챔버(34a) 또는 제3 가압 챔버(36a)에 공급된 유체를, 타측방향으로의 이동시 제1 가압 챔버(34a)로부터 제2 가압 챔버(34b), 또는, 제3 가압 챔버(36a)로부터 제4 가압 챔버(36b)에 공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측의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회수하여 타측의 가압 챔버에 공급하는 것에 의해 이 유체를 재이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종래와 같이 피스톤이 이동할 때마다 가압 챔버로부터 유체를 배출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증압장치(10) 전체의 유체의 소비량을 감소시키면서, 제1 증압 챔버(32a) 및 제2 증압 챔버(32b)에 공급되는 유체를 증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증압장치(10)는, 제1 구동용 피스톤(46) 및 제2 구동용 피스톤(48)의 양측에 있어서의 수압면적의 차이를 이용한 제1 유체 공급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즉, 유체 공급 기구(52)로부터 제1 증압 챔버(32a)에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제1 전자 밸브 유닛(22)은, 제1 구동용 피스톤(46)에 있어서의 제1 가압 챔버(34a)측의 수압면적과 제2 가압 챔버(34b)측의 수압면적과의 차이에 근거하여, 제1 가압 챔버(34a)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제2 가압 챔버(34b)에 공급한다. 또, 제2 전자 밸브 유닛(26)은, 제3 가압 챔버(36a)에 유체를 공급함과 함께 제4 가압 챔버(36b)로부터 유체를 배출한다.
한편, 유체 공급 기구(52)로부터 제2 증압 챔버(32b)에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제1 전자 밸브 유닛(22)은, 제1 가압 챔버(34a)에 유체를 공급함과 함께 제2 가압 챔버(34b)로부터 유체를 배출한다. 또, 제2 전자 밸브 유닛(26)은, 제2 구동용 피스톤(48)에 있어서의 제3 가압 챔버(36a)측의 수압면적과 제4 가압 챔버(36b)측의 수압면적과의 차이에 근거하여, 제3 가압 챔버(36a)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제4 가압 챔버(36b)에 공급한다.
즉, 제1 가압 챔버(34a) 및 제2 가압 챔버(34b)를 비교하면, 제1 가압 챔버(34a)에는 피스톤 로드(42)가 존재하므로, 수압면적이 작아진다. 따라서, 제1 가압 챔버(34a)와 제2 가압 챔버(34b)와의 사이에서의 수압면적의 차이에 기인하는 압력차이에 의해, 제1 가압 챔버(34a)로부터 배출된 유체가 제2 가압 챔버(34b)에 원활하게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제1 구동용 피스톤(46)은, 제2 가압 챔버(34b)에 유입한 유체에 의해 제1 가압 챔버(34a) 측으로 가압되므로,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및 제2 구동용 피스톤(48)을 제2 구동 챔버(36)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2 증압 챔버(32b)에 공급되는 유체를 용이하게 증압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가압 챔버(34a) 및 제2 가압 챔버(34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3 가압 챔버(36a) 및 제4 가압 챔버(36b)를 비교하면, 제3 가압 챔버(36a)에는 피스톤 로드(42)가 존재하므로, 수압면적이 작아진다. 따라서, 제3 가압 챔버(36a)와 제4 가압 챔버(36b)와의 사이에서의 수압면적의 차이에 기인하는 압력차이에 의해, 제3 가압 챔버(36a)로부터 배출된 유체가 제4 가압 챔버(36b)에 원활하게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제2 구동용 피스톤(48)은, 제4 가압 챔버(36b)에 유입한 유체에 의해 제3 가압 챔버(36a) 측으로 가압되므로,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및 제2 구동용 피스톤(48)을 제1 구동 챔버(34)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1 증압 챔버(32a)에 공급되는 유체를 용이하게 증압시킬 수 있다.
또, 제1 전자 밸브 유닛(22)은, 제1 전자 밸브(22a), 제2 전자 밸브(22b) 및 제1 배출 리턴 유로(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 전자 밸브(22a) 및 제2 전자 밸브(22b)의 제1 위치에 있어서, 제1 가압 챔버(34a) 및 제2 가압 챔버(34b)가 제1 배출 리턴 유로(70) 등을 통하여 연통한다. 한편, 제1 전자 밸브(22a) 및 제2 전자 밸브(22b)의 제2 위치에 있어서, 제1 가압 챔버(34a)가 유체 공급 기구(52)에 연통함과 함께, 제2 가압 챔버(34b)가 외부에 연통한다.
게다가, 제2 전자 밸브 유닛(26)은, 제3 전자 밸브(26a), 제4 전자 밸브(26b) 및 제2 배출 리턴 유로(8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3 전자 밸브(26a) 및 제4 전자 밸브(26b)의 제1 위치에 있어서, 제3 가압 챔버(36a) 및 제4 가압 챔버(36b)가 제2 배출 리턴 유로(80) 등을 통하여 연통한다. 한편, 제3 전자 밸브(26a) 및 제4 전자 밸브(26b)의 제2 위치에 있어서, 제3 가압 챔버(36a)가 유체 공급 기구(52)에 연통함과 함께, 제4 가압 챔버(36b)가 외부에 연통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전자 밸브 유닛(22) 및 제2 전자 밸브 유닛(26)은, 외부의 PLC(30)로부터 제1 ~ 제4 전자 밸브(22a, 22b, 26a, 26b)로의 제어 신호의 공급에 근거하여, 유체의 공급 및 배출 동작과, 배출된 유체의 공급 동작(배출 리턴)과를, 확실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 증압장치(10)에 있어서, 제1 위치검출 센서(84a) 및 제2 위치검출 센서(84b)가 제1 구동용 피스톤(46)의 위치를 검출하고, 제1 전자 밸브 유닛(22) 및 제2 전자 밸브 유닛(26)은, 제1 위치검출 센서(84a) 및 제2 위치검출 센서(84b)의 검출 결과에 근거한 PLC(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유체의 공급 및 외부로의 배출 동작, 또는, 일측의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타측의 가압 챔버로의 공급 동작을 전환하여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증압 챔버(32a) 및 제2 증압 챔버(32b)에 공급되는 유체의 증압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종래에는, 노크 핀을 증압장치에 내장시키고, 피스톤이 이 노크 핀에 맞닿는 것에 기인하여, 유체의 공급 및 배출 동작의 전환을 행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피스톤이 이동하여 노크 핀에 맞닿을 때마다 발생하는 소리(타격음)가 소음이 되어, 이 피스톤의 동작시에 증압장치에서 발생하는 소리(작동음)가 크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에 비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증압장치(10)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 위치검출 센서(84a) 및 제2 위치검출 센서(84b)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일측의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타측의 가압 챔버로 공급하기 때문에, 노크 핀이 불필요해진다. 그 결과,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및 제2 구동용 피스톤(48)의 이동시에 발생하는 소음이 억제되어, 증압장치(10)의 작동음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위치검출 센서(84a)는, 제1 구동 챔버(34)의 A2 방향측으로의 제1 구동용 피스톤(46)의 도달을 검출하고, 한편으로는, 제2 위치검출 센서(84b)는, 제1 구동 챔버(34)의 A1 방향측으로의 제1 구동용 피스톤(46)의 도달을 검출하므로,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및 제2 구동용 피스톤(48)을 구동시키기 위한 방향 제어 밸브가 불필요해져, 증압장치(10)의 내부 구조가 간소화된다. 그 결과, 증압장치(10)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1 위치검출 센서(84a) 및 제2 위치검출 센서(84b)는, 제1 구동용 피스톤(46)에 장착된 영구자석(86)에 의한 자기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제1 구동용 피스톤(46)의 위치를 검출하는 자기 센서이기 때문에, 제1 구동용 피스톤(46)의 위치를 용이하게 또한 양호한 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또, 유체 공급 기구(52)는, 제1 증압 챔버(32a)로부터의 유체의 역류를 저지하는 제1 입구 체크밸브(52c)와, 제2 증압 챔버(32b)로부터의 유체의 역류를 저지하는 제2 입구 체크밸브(52d)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유체 출력 기구(58)는, 제1 증압 챔버(32a)로의 유체의 역류를 저지하는 제1 출구 체크밸브(58c)와, 제2 증압 챔버(32b)로의 유체의 역류를 저지하는 제2 출구 체크밸브(58d)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증압 챔버(32a) 및 제2 증압 챔버(32b)에 있어서, 공급된 유체에 대한 증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구동 챔버(34)의 직경방향의 크기, 및, 제2 구동 챔버(36)의 직경방향의 크기가, 증압 챔버(32)의 직경방향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증압장치(10) 전체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제1 구동 챔버(34) 및 제2 구동 챔버(36)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에 의해, 제1 ~ 제4 가압 챔버(34a, 34b, 36a, 36b)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의 유량(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배출 포트(68a, 68b)로부터 유체를 배출할 때에 발생하는 소음(도시하지 않은 소음기를 통과할 때에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증압장치(10)에는 제1 ~ 제4 커버 부재(18, 20, 38, 40)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구동용 피스톤(46)은, 제1 커버 부재(18) 및 제3 커버 부재(38)와 접촉하지 않고, 제1 구동 챔버(34) 내에서 변위한다. 또, 제2 구동용 피스톤(48)은, 제2 커버 부재(20) 및 제4 커버 부재(40)와 접촉하지 않고, 제2 구동 챔버(36) 내에서 변위한다. 게다가, 증압용 피스톤(44)은, 제1 커버 부재(18) 및 제2 커버 부재(20)와 접촉하지 않고, 증압 챔버(32) 내를 변위한다.
이것에 의해, 제1 ~ 제4 가압 챔버(34a, 34b, 36a, 36b), 제1 증압 챔버(32a) 및 제2 증압 챔버(32b)에 유체를 공급, 또는, 유체를 배출할 때,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제2 구동용 피스톤(48) 및 피스톤 로드(42)를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제1 위치검출 센서(84a) 및 제2 위치검출 센서(84b)가 제1 구동용 피스톤(46)의 위치를 검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제2 구동용 실린더(16)의 홈(82)에 제1 위치검출 센서(84a) 및 제2 위치검출 센서(84b)를 매설하고, 제2 구동용 피스톤(48)에 영구자석(86)을 장착하여, 제1 위치검출 센서(84a) 및 제2 위치검출 센서(84b)에 의해 제2 구동용 피스톤(48)의 위치를 검출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변형예의 설명]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증압장치(10)의 변형예(제1 변형예의 증압장치(10A) 및 제2 변형예의 증압장치(10B))에 대해, 도 13 ~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증압장치(10)(도 1 ~ 도 11 참조)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제1 변형예의 증압장치(10A)에 대해,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변형예의 증압장치(10A)는, 제2 유체 공급방식으로서 제1 전자 밸브 유닛(22) 및 제2 전자 밸브 유닛(26)이 모두 배출 리턴 동작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및 제2 구동용 피스톤(48)을 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는 점에서, 증압장치(10)와는 다르다. 또한, 제1 변형예에서는, 증압장치(10)와는 달리, 수압면적의 차이에 근거하는 유체의 공급 동작은 행해지지 않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제2 유체 공급방식을 실현하기 위해서, 제1 변형예의 증압장치(10A)는, 아래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제1 전자 밸브 유닛(22)에 있어서, 제1 가압 챔버(34a)와 제2 가압 챔버(34b)를 연통하는 제1 배출 리턴 유로(70)의 도중에, 단동형의 2위치 3포트의 3방 밸브인 제5 전자 밸브(120)와 제1 압력 스위치(122)(압력 센서)가 배치되어 있다. 또, 제2 전자 밸브 유닛(26)에 있어서, 제3 가압 챔버(36a)와 제4 가압 챔버(36b)를 연통하는 제2 배출 리턴 유로(80)의 도중에, 단동형의 2위치 3포트의 3방 밸브인 제6 전자 밸브(124)로 제2 압력 스위치(126)(압력 센서)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전자 밸브 유닛(22)에 있어서, 제5 전자 밸브(120)는, 제1 가압 챔버(34a)에 접속되는 접속 포트(128)와, 제1 압력 스위치(122)를 통하여 제2 가압 챔버(34b)에 접속되는 접속 포트(130)와, 솔레노이드(132)를 갖는다. 또, 제1 압력 스위치(122)는, 제5 전자 밸브(120)를 통하여 제1 가압 챔버(34a)와 제2 가압 챔버(34b)가 연통하고 있는 경우에, 제1 배출 리턴 유로(70)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값이 소정의 역치까지 저하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 그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압력 신호를, 제1 커넥터(24)를 통하여 PLC(30)에 출력한다. PLC(30)는, 압력 신호의 입력에 근거하여, 제1 커넥터(24)를 통하여 솔레노이드(132)를 제어한다.
한편, 제2 전자 밸브 유닛(26)에 있어서, 제6 전자 밸브(124)는, 제3 가압 챔버(36a)에 접속되는 접속 포트(134)와, 제2 압력 스위치(126)를 통하여 제4 가압 챔버(36b)에 접속되는 접속 포트(136)와, 솔레노이드(138)를 갖는다. 또, 제2 압력 스위치(126)는, 제6 전자 밸브(124)를 통하여 제3 가압 챔버(36a)와 제4 가압 챔버(36b)가 연통하고 있는 경우에, 제2 배출 리턴 유로(80)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값이 소정의 역치까지 저하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 그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압력 신호를, 제2 커넥터(28)를 통하여 PLC(30)에 출력한다. PLC(30)는, 압력 신호의 입력에 근거하여, 제2 커넥터(28)를 통하여 솔레노이드(138)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1 변형예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증압 챔버(32b)에 유체가 공급(축적)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체 공급 기구(52)로부터 제1 증압 챔버(32a)에 유체를 공급하는 경우, 먼저, PLC(30)로부터 제2 커넥터(28)에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솔레노이드(138)가 여자되고(제1 위치), 2개의 접속 포트(134, 136)가 접속되므로, 제3 가압 챔버(36a)와 제4 가압 챔버(36b)가 연통한다. 이 경우, PLC(30)로부터 제1 커넥터(24)로 제어 신호를 공급하지 않기 때문에, 솔레노이드(132)는 소자 상태이며(제2 위치), 2개의 접속 포트(128, 130)가 접속되어, 제1 가압 챔버(34a)와 제2 가압 챔버(34b)가 연통한다.
그 결과, 제1 가압 챔버(34a)의 유체는, 제1 배출 리턴 유로(70)에 배출되어, 2개의 접속 포트(128, 130) 및 제1 압력 스위치(122)를 통하여 제2 가압 챔버(34b)에 공급된다. 제1 구동용 피스톤(46)은, 제2 가압 챔버(34b)에 공급된 유체의 압력으로 제1 가압 챔버(34a) 측으로 가압된다. 또, 제4 가압 챔버(36b)의 유체는, 제2 배출 리턴 유로(80)에 배출되어, 제2 압력 스위치(126) 및 2개의 접속 포트(134, 136)를 통하여 제3 가압 챔버(36a)에 공급된다. 제2 구동용 피스톤(48)은, 제3 가압 챔버(36a)에 공급된 유체의 압력으로 제4 가압 챔버(36b) 측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도 13의 예에서는, 제1 증압 챔버(32a), 제2 가압 챔버(34b) 및 제3 가압 챔버(36a)로의 유체의 공급에 의해,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제2 구동용 피스톤(48) 및 피스톤 로드(42)는, 일체로 A2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것에 의해, 제2 증압 챔버(32b) 내의 유체는 증압되어 탱크(90)에 배출된다.
제1 배출 리턴 유로(70) 및 제2 배출 리턴 유로(80)를 흐르는 각 유체의 압력은, 시간 경과와 함께 저하한다. 그리고, 제1 배출 리턴 유로(70)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이 소정의 역치까지 저하한 것을 제1 압력 스위치(122)가 검출했을 경우, 이 제1 압력 스위치(122)는, 그 검출 결과를 압력 신호로서 제1 커넥터(24)를 통하여 PLC(30)에 출력한다. 또, 제2 배출 리턴 유로(80)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이 소정의 역치까지 저하한 것을 제2 압력 스위치(126)가 검출했을 경우, 이 제2 압력 스위치(126)는, 그 검출 결과를 압력 신호로서, 제2 커넥터(28)를 통하여 PLC(30)에 출력한다.
제1 압력 스위치(122) 및 제2 압력 스위치(126)로부터 각 압력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PLC(30)는, 제1 배출 리턴 유로(70) 및 제2 배출 리턴 유로(80)를 통한 유체의 공급에 의해,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제2 구동용 피스톤(48) 및 피스톤 로드(42)가, 제1 구동 챔버(34), 증압 챔버(32) 및 제2 구동 챔버(36)의 A2 방향의 단부 근방에까지 각각 변위하였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PLC(30)는, 제2 커넥터(28)에 대한 제어 신호의 공급을 정지함과 함께, PLC(30)로부터 제1 커넥터(24)로의 제어 신호의 공급을 개시한다. 이것에 의해, 솔레노이드(132)가 여자 상태가 되어(제1 위치), 2개의 접속 포트(128, 130)가 차단되고, 제1 가압 챔버(34a)로부터 제2 가압 챔버(34b)로의 유체의 공급이 정지한다. 한편, 솔레노이드(138)는 소자 상태가 되어(제2 위치), 2개의 접속 포트(134, 136)가 차단되고, 제4 가압 챔버(36b)로부터 제3 가압 챔버(36a)로의 유체의 공급이 정지한다.
다음에,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3의 동작으로 제1 증압 챔버(32a)에 유체가 이미 공급된 상태에 있어서, 유체 공급 기구(52)로부터 제2 증압 챔버(32b)에 유체를 공급하는 경우에도, 먼저, PLC(30)는, 제1 커넥터(24)를 통한 솔레노이드(132)로의 제어 신호의 공급을 정지함과 함께, 제2 커넥터(28)를 통한 솔레노이드(138)로의 제어 신호의 공급을 개시한다. 이것에 의해, 솔레노이드(132)는 소자 상태가 되어(제2 위치), 2개의 접속 포트(128, 130)가 접속되고, 제1 가압 챔버(34a)와 제2 가압 챔버(34b)가 연통한다. 또, 솔레노이드(138)는 여자 상태가 되어(제1 위치), 2개의 접속 포트(134, 136)가 접속되고, 제3 가압 챔버(36a)와 제4 가압 챔버(36b)가 연통한다.
그 결과, 도 13의 예와는 달리, 제2 가압 챔버(34b)의 유체는, 제1 배출 리턴 유로(70)에 배출되어, 제1 압력 스위치(122) 및 2개의 접속 포트(128, 130)를 통하여 제1 가압 챔버(34a)에 공급된다. 제1 구동용 피스톤(46)은, 제1 가압 챔버(34a)에 공급된 유체의 압력으로 제2 가압 챔버(34b) 측으로 가압된다. 또, 제3 가압 챔버(36a)의 유체는, 제2 배출 리턴 유로(80)에 배출되어, 2개의 접속 포트(134, 136) 및 제2 압력 스위치(126)를 통하여 제4 가압 챔버(36b)에 공급된다. 제2 구동용 피스톤(48)은, 제4 가압 챔버(36b)에 공급된 유체의 압력으로 제3 가압 챔버(36a) 측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도 14의 예에서는, 제2 증압 챔버(32b), 제1 가압 챔버(34a) 및 제4 가압 챔버(36b)로의 유체의 공급에 의해,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제2 구동용 피스톤(48) 및 피스톤 로드(42)는, 일체로 A1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증압 챔버(32a) 내의 유체는 증압되어 탱크(90)에 배출된다.
이 경우에도, 제1 압력 스위치(122)는, 제1 배출 리턴 유로(70)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이 역치까지 저하했을 때에, 제1 커넥터(24)를 통하여 PLC(30)에 압력 신호를 출력한다. 또, 제2 압력 스위치(126)도, 제2 배출 리턴 유로(80)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이 역치까지 저하했을 때에, 제2 커넥터(28)를 통하여 PLC(30)에 압력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압력 스위치(122) 및 제2 압력 스위치(126)로부터 각 압력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PLC(30)는,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제2 구동용 피스톤(48) 및 피스톤 로드(42)가, 제1 구동 챔버(34), 증압 챔버(32) 및 제2 구동 챔버(36)의 A1 방향의 단부 근방에까지 각각 변위했다고 판단하여, 제2 커넥터(28)에 대한 제어 신호의 공급을 정지함과 함께, PLC(30)로부터 제1 커넥터(24)로의 제어 신호의 공급을 개시한다. 이것에 의해, 솔레노이드(132)가 여자 상태가 되어(제1 위치), 2개의 접속 포트(128, 130)가 차단되고, 제2 가압 챔버(34b)로부터 제1 가압 챔버(34a)로의 유체의 공급이 정지한다. 한편, 솔레노이드(138)는 소자 상태가 되어(제2 위치), 2개의 접속 포트(134, 136)는 차단되고, 제3 가압 챔버(36a)로부터 제4 가압 챔버(36b)로의 유체의 공급이 정지한다.
그리고, 제1 변형예의 증압장치(10A)에서는, 제1 압력 스위치(122) 및 제2 압력 스위치(126)의 검출 결과(압력 신호)에 근거하여, PLC(30)로부터 솔레노이드(132, 138)로의 제어 신호의 공급을 전환시키는 것에 의해,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제2 구동용 피스톤(48) 및 피스톤 로드(42)를 A1 방향 및 A2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증압 동작을 교대로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증압장치(10A)에 있어서도, 증압장치(10)와 마찬가지로, 외부의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값을, 최대로 3배의 압력값까지 증압시켜, 증압 후의 유체를 제1 증압 챔버(32a) 및 제2 증압 챔버(32b)로부터 교대로 출력 포트(56)를 통하여 탱크(9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변형예의 증압장치(10A)에서는, 일측의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되어 타측의 가압 챔버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제1 압력 스위치(122) 및 제2 압력 스위치(126)를 더 가지므로, 제1 전자 밸브 유닛(22) 및 제2 전자 밸브 유닛(26)은, 각각, 제1 압력 스위치(122) 및 제2 압력 스위치(12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일측의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타측의 가압 챔버로 공급 개시하거나 공급 정지하는 것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증압장치(10A)에서는, 제1 위치검출 센서(84a) 및 제2 위치검출 센서(84b)를 이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증압 챔버(32a) 및 제2 증압 챔버(32b)에 공급되는 유체의 증압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증압장치(10A)에 제1 위치검출 센서(84a) 및 제2 위치검출 센서(84b)를 병설하고, PLC(30)는, 제1 압력 스위치(122) 및 제2 압력 스위치(126)의 검출 결과에 더해 제1 위치검출 센서(84a) 및 제2 위치검출 센서(84b)의 검출 결과도 가미하여, 제1 전자 밸브 유닛(22) 및 제2 전자 밸브 유닛(26)을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 제2 변형예의 증압장치(10B)에 대해,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 변형예의 증압장치(10B)는, 제3 유체 공급방식으로서, 제1 전자 밸브 유닛(22) 및 제2 전자 밸브 유닛(26)이 배출 리턴의 동작을 행할 때, 일측의 가압 챔버에 축적된 유체의 일부를 타측의 가압 챔버에 공급함과 함께, 다른 일부를 외부에 배출하는 것에 의해,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및 제2 구동용 피스톤(48)을 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는 점에서, 전술한 증압장치(10, 10A)와는 다르다. 또한, 제2 변형예에서도, 증압장치(10)와는 달리, 수압면적의 차이에 근거하는 유체의 공급 동작은 행해지지 않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제3 유체 공급방식을 실현하기 위해서, 제2 변형예의 증압장치(10B)는, 아래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제1 전자 밸브 유닛(22)은, 4방향 5포트의 제7 전자 밸브(140), 제1 체크밸브(142) 및 제1 스로틀 밸브(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제2 전자 밸브 유닛(26)은, 4방향 5포트의 제8 전자 밸브(146), 제2 체크밸브(148) 및 제2 스로틀 밸브(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전자 밸브 유닛(22)에 있어서, 제7 전자 밸브(140)는, 제1 가압 챔버(34a)에 접속되는 제1 접속 포트(152)와, 제2 가압 챔버(34b)에 접속되는 제2 접속 포트(154)와, 제1 체크밸브(142)를 통하여 제2 가압 챔버(34b)에 접속되는 제3 접속 포트(156)와, 제1 스로틀 밸브(144)를 통하여 배출 포트(68a)에 접속되는 제4 접속 포트(158)과, 유체 공급 기구(52)에 접속되는 제5 접속 포트(160)와, 솔레노이드(162)를 갖는다. 제1 체크밸브(142)는, 제1 배출 리턴 유로(70)의 도중에 설치되어, 제2 가압 챔버(34b)로부터 제1 가압 챔버(34a)로의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한편, 제1 가압 챔버(34a)로부터 제2 가압 챔버(34b)로의 유체의 흐름을 저지한다. 제1 스로틀 밸브(144)는, 배출 포트(68a)를 통하여 외부에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정 가능한 가변 스로틀 밸브이다.
한편, 제2 전자 밸브 유닛(26)에 있어서, 제8 전자 밸브(146)는, 제7 전자 밸브(140)와 마찬가지로, 제3 가압 챔버(36a)에 접속되는 제1 접속 포트(164)와, 제4 가압 챔버(36b)에 접속되는 제2 접속 포트(166)와, 제2 체크밸브(148)를 통하여 제4 가압 챔버(36b)에 접속되는 제3 접속 포트(168)와, 제2 스로틀 밸브(150)를 통하여 배출 포트(68b)에 접속되는 제4 접속 포트(170)와, 유체 공급 기구(52)에 접속되는 제5 접속 포트(172)와, 솔레노이드(174)를 갖는다. 제2 체크밸브(148)는, 제2 배출 리턴 유로(80)의 도중에 설치되어, 제4 가압 챔버(36b)로부터 제3 가압 챔버(36a)로의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한편, 제3 가압 챔버(36a)로부터 제4 가압 챔버(36b)로의 유체의 흐름을 저지한다. 제2 스로틀 밸브(150)는, 배출 포트(68b)를 통하여 외부에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정 가능한 가변 스로틀 밸브이다.
그리고, 제2 변형예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증압 챔버(32b)에 유체가 공급(축적)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체 공급 기구(52)로부터 제1 증압 챔버(32a)에 유체를 공급하는 경우, 먼저, PLC(30)로부터 제1 커넥터(24) 및 제2 커넥터(28)에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솔레노이드(162, 174)가 각각 여자된다(제1 위치). 이것에 의해, 제7 전자 밸브(140)에서는, 제1 접속 포트(152)와 제4 접속 포트(158)가 접속됨과 함께, 제2 접속 포트(154)와 제5 접속 포트(160)가 접속된다. 한편, 제8 전자 밸브(146)에서는, 제1 접속 포트(164)와 제3 접속 포트(168)가 접속됨과 함께, 제2 접속 포트(166)와 제4 접속 포트(170)가 접속된다.
그 결과, 제1 전자 밸브 유닛(22)에서는, 유체 공급 기구(52)로부터 제5 접속 포트(160) 및 제2 접속 포트(154)를 통하여, 제2 가압 챔버(34b)에 유체가 공급됨과 함께, 제1 가압 챔버(34a)로부터 제1 접속 포트(152), 제4 접속 포트(158), 제1 스로틀 밸브(144) 및 배출 포트(68a)를 통하여, 외부에 유체가 배출된다. 따라서, 제1 구동용 피스톤(46)은, 제2 가압 챔버(34b)에 공급된 유체의 압력으로 제1 가압 챔버(34a) 측으로 가압된다.
또, 제2 전자 밸브 유닛(26)에서는, 제4 가압 챔버(36b)로부터 배출된 유체 중, 일부의 유체에 대해서는, 제2 배출 리턴 유로(80)의 제2 체크밸브(148), 제3 접속 포트(168) 및 제1 접속 포트(164)를 통하여, 제3 가압 챔버(36a)에 공급되고, 다른 일부의 유체에 대해서는, 제2 접속 포트(166), 제4 접속 포트(170), 제2 스로틀 밸브(150) 및 배출 포트(68b)를 통하여, 외부에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제2 구동용 피스톤(48)은, 제3 가압 챔버(36a)에 공급된 유체의 압력으로 제4 가압 챔버(36b) 측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도 15의 예에서는, 제1 증압 챔버(32a), 제2 가압 챔버(34b) 및 제3 가압 챔버(36a)로의 유체의 공급에 의해,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제2 구동용 피스톤(48) 및 피스톤 로드(42)는, 일체로 A2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것에 의해, 제2 증압 챔버(32b) 내의 유체는 증압되어 탱크(90)에 배출된다.
또한, 제3 가압 챔버(36a) 내의 유체의 압력과 제4 가압 챔버(36b) 내의 유체의 압력이 대략 같아지면, 제2 체크밸브(148)의 작용에 의해, 제4 가압 챔버(36b)로부터 제3 가압 챔버(36a)로의 유체의 공급이 정지된다. 그 결과, 제4 가압 챔버(36b) 내의 유체는, 제2 접속 포트(166), 제4 접속 포트(170), 제2 스로틀 밸브(150) 및 배출 포트(68b)를 통하여, 외부에 배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제2 구동용 피스톤(48) 및 피스톤 로드(42)가 A2 방향 측으로 변위하고, 제1 증압 챔버(32a)에 유체가 공급(축적)된 경우, 다음에, PLC(30)는, 제1 커넥터(24) 및 제2 커넥터(28)로의 제어 신호의 공급을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솔레노이드(162, 174)는 각각 소자 상태로 전환된다(도 16에 나타내는 제2 위치). 이것에 의해, 제7 전자 밸브(140)에서는, 제1 접속 포트(152)와 제3 접속 포트(156)가 접속됨과 함께, 제2 접속 포트(154)와 제4 접속 포트(158)가 접속된다. 한편, 제8 전자 밸브(146)에서는, 제1 접속 포트(164)와 제4 접속 포트(170)가 접속됨과 함께, 제2 접속 포트(166)와 제5 접속 포트(172)가 접속된다.
그 결과, 제1 전자 밸브 유닛(22)에서는, 제2 가압 챔버(34b)로부터 배출된 유체 중, 일부의 유체에 대해서는, 제1 배출 리턴 유로(70)의 제1 체크밸브(142), 제3 접속 포트(156) 및 제1 접속 포트(152)를 통하여, 제1 가압 챔버(34a)에 공급되고, 다른 일부의 유체에 대해서는, 제2 접속 포트(154), 제4 접속 포트(158), 제1 스로틀 밸브(144) 및 배출 포트(68a)를 통하여, 외부에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제1 구동용 피스톤(46)은, 제1 가압 챔버(34a)에 공급된 유체의 압력으로 제2 가압 챔버(34b) 측으로 가압된다.
또, 제2 전자 밸브 유닛(26)에서는, 유체 공급 기구(52)로부터 제5 접속 포트(172) 및 제2 접속 포트(166)를 통하여, 제4 가압 챔버(36b)에 유체가 공급됨과 함께, 제3 가압 챔버(36a)로부터 제1 접속 포트(164), 제4 접속 포트(170), 제2 스로틀 밸브(150) 및 배출 포트(68b)를 통하여, 외부에 유체가 배출된다. 따라서, 제2 구동용 피스톤(48)은, 제4 가압 챔버(36b)에 공급된 유체의 압력으로 제3 가압 챔버(36a) 측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도 16의 예에서는, 제2 증압 챔버(32b), 제1 가압 챔버(34a) 및 제4 가압 챔버(36b)로의 유체의 공급에 의해,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제2 구동용 피스톤(48) 및 피스톤 로드(42)는, 일체로 A1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증압 챔버(32a) 내의 유체는 증압되어 탱크(90)에 배출된다.
또한, 제1 가압 챔버(34a) 내의 유체의 압력과 제2 가압 챔버(34b) 내의 유체의 압력이 대략 같아지면, 제1 체크밸브(142)의 작용에 의해, 제2 가압 챔버(34b)로부터 제1 가압 챔버(34a)로의 유체의 공급이 정지된다. 그 결과, 제2 가압 챔버(34b) 내의 유체는, 제2 접속 포트(154), 제4 접속 포트(158), 제1 스로틀 밸브(144) 및 배출 포트(68a)를 통하여, 외부에 배출된다.
그리고, 제2 변형예의 증압장치(10B)에서는, PLC(30)로부터 솔레노이드(162, 174)에 대한 제어 신호의 공급의 개시 또는 정지를 교대로 행하는 것에 의해,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제2 구동용 피스톤(48) 및 피스톤 로드(42)를 A1 방향 및 A2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증압 동작을 교대로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증압장치(10B)에 있어서도, 증압장치(10, 10A)와 마찬가지로, 외부의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값을, 최대로 3배의 압력값까지 증압시켜, 증압 후의 유체를 제1 증압 챔버(32a) 및 제2 증압 챔버(32b)로부터 교대로 출력 포트(56)를 통하여 탱크(9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변형예의 증압장치(10B)에서는, 일측의 가압 챔버에 축적된 유체가 타측의 가압 챔버를 향하여 공급됨과 함께 외부에 배출되므로, 타측의 가압 챔버의 압력이 증가함과 함께, 일측의 가압 챔버의 압력을 급속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술한 증압장치(10)의 효과에 더하여,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및 제2 구동용 피스톤(48)을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함께, 증압장치(10B)의 수명 장기화를 도모할 수 있다.
PLC(30)로부터 제7 전자 밸브(140) 및 제8 전자 밸브(146)로의 제어 신호의 공급에 근거하여, 유체의 공급 및 배출 동작, 또는, 배출된 유체의 공급 동작을, 확실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제1 구동용 피스톤(46), 증압용 피스톤(44) 및 제2 구동용 피스톤(48)의 원활한 이동과, 증압장치(10B)의 수명 장기화를 용이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제1 체크밸브(142) 및 제2 체크밸브(148)를 포함하는 간단한 회로 구성이기 때문에, 증압장치(10B) 전체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구성을 채택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18)

  1. 중앙에 설치된 증압 챔버(32)와,
    상기 증압 챔버(32)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피스톤 로드(42)와,
    상기 증압 챔버(32)의 상기 피스톤 로드(42)의 연장방향을 따른 일단측에 설치된 제1 구동 챔버(34)와,
    상기 증압 챔버(32)의 상기 연장방향을 따른 타단측에 설치된 제2 구동 챔버(36)와,
    상기 증압 챔버(32) 내에서 상기 피스톤 로드(42)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증압 챔버(32)를 상기 제1 구동 챔버(34) 측의 제1 증압 챔버(32a)와 상기 제2 구동 챔버(36) 측의 제2 증압 챔버(32b)로 구획하는 증압용 피스톤(44)과,
    상기 제1 구동 챔버(34) 내에서 상기 피스톤 로드(42)의 일단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구동 챔버(34)를 상기 제1 증압 챔버(32a) 측의 제1 가압 챔버(34a)와 상기 제1 증압 챔버(32a)보다 멀리 떨어진 제2 가압 챔버(34b)로 구획하는 제1 구동용 피스톤(46)과,
    상기 제2 구동 챔버(36) 내에서 상기 피스톤 로드(42)의 타단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구동 챔버(36)를 상기 제2 증압 챔버(32b) 측의 제3 가압 챔버(36a)와 상기 제2 증압 챔버(32b)보다 멀리 떨어진 제4 가압 챔버(36b)로 구획하는 제2 구동용 피스톤(48)과,
    상기 제1 증압 챔버(32a) 및 상기 제2 증압 챔버(32b) 중 적어도 하나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기구(52)와,
    상기 제1 가압 챔버(34a)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2 가압 챔버(34b)에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제2 가압 챔버(34b)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1 가압 챔버(34a)에 공급하는 제1 배출 리턴 기구(22)와,
    상기 제3 가압 챔버(36a)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4 가압 챔버(36b)에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제4 가압 챔버(36b)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3 가압 챔버(36a)에 공급하는 제2 배출 리턴 기구(26)와,
    상기 제1 증압 챔버(32a) 또는 상기 제2 증압 챔버(32b)에서 증압된 유체를 외부에 출력하는 유체 출력 기구(58)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장치(10, 10A, 10B).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 기구(52)로부터 상기 제1 증압 챔버(32a)에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적어도,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22)가 상기 제1 가압 챔버(34a)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2 가압 챔버(34b)에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26)가 상기 제4 가압 챔버(36b)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3 가압 챔버(36a)에 공급하고,
    한편으로는, 상기 유체 공급 기구(52)로부터 상기 제2 증압 챔버(32b)에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적어도,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26)가 상기 제3 가압 챔버(36a)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4 가압 챔버(36b)에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22)가 상기 제2 가압 챔버(34b)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1 가압 챔버(34a)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장치(10, 10A, 10B).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 기구(52)로부터 상기 제1 증압 챔버(32a)에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22)는,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46)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가압 챔버(34a) 측의 수압면적과 상기 제2 가압 챔버(34b) 측의 수압면적과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가압 챔버(34a)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2 가압 챔버(34b)에 공급하고, 또한,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26)는, 상기 제3 가압 챔버(36a)에 유체를 공급함과 함께 상기 제4 가압 챔버(36b)로부터 유체를 배출하고,
    한편으로는, 상기 유체 공급 기구(52)로부터 상기 제2 증압 챔버(32b)에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22)는, 상기 제1 가압 챔버(34a)에 유체를 공급함과 함께 상기 제2 가압 챔버(34b)로부터 유체를 배출하고, 또한,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26)는,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48)에 있어서의 상기 제3 가압 챔버(36a) 측의 수압면적과 상기 제4 가압 챔버(36b) 측의 수압면적과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제3 가압 챔버(36a)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4 가압 챔버(36b)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장치(10).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22)는, 외부로부터 상기 유체 공급 기구(52)에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제1 가압 챔버(34a)에 공급함과 함께 상기 제2 가압 챔버(34b)의 유체를 외부에 배출하고, 한편으로는, 상기 제1 가압 챔버(34a)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2 가압 챔버(34b)에 공급하는 전자 밸브(22a, 22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26)는, 외부로부터 상기 유체 공급 기구(52)에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제3 가압 챔버(36a)에 공급함과 함께 상기 제4 가압 챔버(36b)의 유체를 외부에 배출하고, 한편으로는, 상기 제3 가압 챔버(36a)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4 가압 챔버(36b)에 공급하는 전자 밸브(26a, 26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장치(10).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22)는, 상기 제1 가압 챔버(34a)에 접속되는 제1 전자 밸브(22a), 상기 제2 가압 챔버(34b)에 접속되는 제2 전자 밸브(22b), 및, 상기 제1 전자 밸브(22a)와 상기 제2 전자 밸브(22b)를 접속하는 제1 배출 리턴 유로(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전자 밸브(22a) 및 상기 제2 전자 밸브(22b)의 제1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챔버(34a) 및 상기 제2 가압 챔버(34b)가 상기 제1 배출 리턴 유로(70)를 통하여 연통하고,
    상기 제1 전자 밸브(22a) 및 상기 제2 전자 밸브(22b)의 제2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챔버(34a)가 상기 유체 공급 기구(52)에 연통함과 함께, 상기 제2 가압 챔버(34b)가 외부에 연통하고,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26)는, 상기 제3 가압 챔버(36a)에 접속되는 제3 전자 밸브(26a), 상기 제4 가압 챔버(36b)에 접속되는 제4 전자 밸브(26b), 및, 상기 제3 전자 밸브(26a)와 상기 제4 전자 밸브(26b)를 접속하는 제2 배출 리턴 유로(8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3 전자 밸브(26a) 및 상기 제4 전자 밸브(26b)의 제1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압 챔버(36a) 및 상기 제4 가압 챔버(36b)가 상기 제2 배출 리턴 유로(80)를 통하여 연통하고,
    상기 제3 전자 밸브(26a) 및 상기 제4 전자 밸브(26b)의 제2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압 챔버(36a)가 상기 유체 공급 기구(52)에 연통함과 함께, 상기 제4 가압 챔버(36b)가 외부에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장치(10).
  6. 청구항 2 기재의 증압장치(10A)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 기구(52)로부터 상기 제1 증압 챔버(32a)에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22)는, 상기 제1 가압 챔버(34a)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2 가압 챔버(34b)에 공급함과 함께,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26)는, 상기 제4 가압 챔버(36b)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3 가압 챔버(36a)에 공급하고,
    한편으로는, 상기 유체 공급 기구(52)로부터 상기 제2 증압 챔버(32b)에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22)는, 상기 제2 가압 챔버(34b)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1 가압 챔버(34a)에 공급함과 함께,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26)는, 상기 제3 가압 챔버(36a)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4 가압 챔버(36b)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장치(10A).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22)는, 제1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챔버(34a)와 상기 제2 가압 챔버(34b)를 차단하고, 한편으로는, 제2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챔버(34a)와 상기 제2 가압 챔버(34b)를 연통하는 3방 밸브의 제5 전자 밸브(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5 전자 밸브(120)는, 차단 상태와 연통 상태를 전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가압 챔버(34a)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상기 제2 가압 챔버(34b)로의 공급, 또는, 상기 제2 가압 챔버(34b)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상기 제1 가압 챔버(34a)로의 공급을 행하고,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26)는, 제1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압 챔버(36a)와 상기 제4 가압 챔버(36b)를 연통하고, 한편으로는, 제2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압 챔버(36a)와 상기 제4 가압 챔버(36b)를 차단하는 3방 밸브의 제6 전자 밸브(1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6 전자 밸브(124)는, 차단 상태와 연통 상태를 전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3 가압 챔버(36a)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상기 제4 가압 챔버(36b)로의 공급, 또는, 상기 제4 가압 챔버(36b)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상기 제3 가압 챔버(36a)로의 공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장치(10A).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 기구(52)로부터 상기 제1 증압 챔버(32a)에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22)는, 상기 제1 가압 챔버(34a)로부터 유체를 배출함과 함께 상기 제2 가압 챔버(34b)에 유체를 공급하고, 또한,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26)는, 상기 제4 가압 챔버(36b)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일부를 상기 제3 가압 챔버(36a)에 공급하면서, 다른 일부를 외부에 배출하고,
    한편으로는, 상기 유체 공급 기구(52)로부터 상기 제2 증압 챔버(32b)에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22)는, 상기 제2 가압 챔버(34b)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일부를 상기 제1 가압 챔버(34a)에 공급하면서, 다른 일부를 외부에 배출하고, 또한,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26)는, 상기 제3 가압 챔버(36a)로부터 유체를 배출함과 함께 상기 제4 가압 챔버(36b)에 유체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장치(10B).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22)는, 외부로부터 상기 유체 공급 기구(52)에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제2 가압 챔버(34b)에 공급함과 함께 상기 제1 가압 챔버(34a)의 유체를 외부에 배출하고, 한편으로는, 상기 제2 가압 챔버(34b)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일부를 상기 제1 가압 챔버(34a)에 공급하면서, 다른 일부를 외부에 배출하는 제7 전자 밸브(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26)는, 외부로부터 상기 유체 공급 기구(52)에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제4 가압 챔버(36b)에 공급함과 함께 상기 제3 가압 챔버(36a)의 유체를 외부에 배출하고, 한편으로는, 상기 제4 가압 챔버(36b)로부터 배출된 유체의 일부를 상기 제3 가압 챔버(36a)에 공급하면서, 다른 일부를 외부에 배출하는 제8 전자 밸브(14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장치(10B).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22)는, 4방향 5포트의 상기 제7 전자 밸브(140), 및, 제1 체크밸브(14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7 전자 밸브(140)는, 제1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챔버(34a)가 외부에 연통함과 함께 상기 제2 가압 챔버(34b)가 상기 유체 공급 기구(52)에 연통하고, 한편으로는, 제2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 챔버(34b)가 상기 제1 체크밸브(142)를 통하여 상기 제1 가압 챔버(34a)에 연통함과 함께 외부에 연통하고,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26)는, 4방향 5포트의 상기 제8 전자 밸브(146), 및, 제2 체크밸브(14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8 전자 밸브(146)는, 제1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4 가압 챔버(36b)가 상기 제2 체크밸브(148)를 통하여 상기 제3 가압 챔버(36a)에 연통함과 함께 외부에 연통하고, 한편으로는, 제2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압 챔버(36a)가 외부에 연통함과 함께 상기 제4 가압 챔버(36b)가 상기 유체 공급 기구(52)에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장치(10B).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46) 또는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48)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 센서(84a, 84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22) 및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26)는, 각각, 상기 위치검출 센서(84a, 84b)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일측의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타측의 가압 챔버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장치(10, 10A, 10B).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 센서(84a, 84b)는, 상기 제1 구동 챔버(34) 또는 상기 제2 구동 챔버(36)의 일단측으로의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46) 또는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48)의 도달을 검출하는 제1 위치검출 센서(84a)와, 상기 제1 구동 챔버(34) 또는 상기 제2 구동 챔버(36)의 타단측으로의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46) 또는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48)의 도달을 검출하는 제2 위치검출 센서(84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장치(10, 10A, 10B).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 센서(84a, 84b)는,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46) 또는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48)에 장착된 자석(86)에 의한 자기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46) 또는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48)의 위치를 검출하는 자기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장치(10, 10A, 10B).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의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되어 타측의 가압 챔버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122, 12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출 리턴 기구(22) 및 상기 제2 배출 리턴 기구(26)는, 각각, 상기 압력 센서(122, 12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일측의 가압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타측의 가압 챔버로 공급하는 것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장치(10A).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 기구(52)는, 상기 제1 증압 챔버(32a) 및 상기 제2 증압 챔버(32b)로부터의 유체의 역류를 저지하는 체크밸브(52c, 52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장치(10).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 출력 기구(58)는, 상기 제1 증압 챔버(32a) 및 상기 제2 증압 챔버(32b)로의 유체의 역류를 저지하는 체크밸브(58c, 58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장치(10).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챔버(34)의 직경방향의 크기, 및, 상기 제2 구동 챔버(36)의 직경방향의 크기는, 상기 증압 챔버(32)의 직경방향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장치(10, 10A, 10B).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증압 챔버(32a)와 상기 제1 가압 챔버(34a)와의 사이에 제1 커버 부재(18)가 개재되고,
    상기 제2 증압 챔버(32b)와 상기 제3 가압 챔버(36a)와의 사이에 제2 커버 부재(20)가 개재되고,
    상기 제1 커버 부재(18)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제2 가압 챔버(34b)의 단부에는, 제3 커버 부재(38)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커버 부재(20)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제4 가압 챔버(36b)의 단부에는, 제4 커버 부재(40)가 배치되고,
    상기 제1 구동용 피스톤(46)은, 상기 제1 커버 부재(18) 및 상기 제3 커버 부재(38)와 접촉하는 일 없이 상기 제1 구동 챔버(34) 내에서 변위하고,
    상기 제2 구동용 피스톤(48)은, 상기 제2 커버 부재(20) 및 상기 제4 커버 부재(40)와 접촉하는 일 없이 상기 제2 구동 챔버(36) 내에서 변위하고,
    상기 증압용 피스톤(44)은, 상기 제1 커버 부재(18)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20)와 접촉하는 일 없이 상기 증압 챔버(32) 내에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압장치(10, 10A, 10B).
KR1020197018042A 2016-11-22 2017-08-17 증압장치 KR1021627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26988A JP6572872B2 (ja) 2016-11-22 2016-11-22 増圧装置
JPJP-P-2016-226988 2016-11-22
PCT/JP2017/029506 WO2018096739A1 (ja) 2016-11-22 2017-08-17 増圧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105A KR20190085105A (ko) 2019-07-17
KR102162708B1 true KR102162708B1 (ko) 2020-10-07

Family

ID=62195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042A KR102162708B1 (ko) 2016-11-22 2017-08-17 증압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851806B2 (ko)
EP (1) EP3546761B1 (ko)
JP (1) JP6572872B2 (ko)
KR (1) KR102162708B1 (ko)
CN (1) CN110036210B (ko)
BR (1) BR112019010417A2 (ko)
MX (1) MX2019005900A (ko)
RU (1) RU2725402C9 (ko)
TW (1) TWI646266B (ko)
WO (1) WO20180967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98269B (zh) * 2018-08-01 2020-10-09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增压装置和试压系统
JP7314463B2 (ja) * 2018-08-15 2023-07-26 Smc株式会社 増圧装置
KR102078513B1 (ko) * 2019-12-09 2020-02-17 정종범 무전원 유체증압장치
KR102388624B1 (ko) * 2019-12-09 2022-04-19 정종범 초고압수 분사를 이용한 지반굴착용 무전원 보링헤드
KR102188244B1 (ko) * 2020-03-03 2020-12-08 파카코리아(주) 수소 압축 장비의 누유 검출 시스템
JP7443871B2 (ja) 2020-03-25 2024-03-06 Smc株式会社 増圧装置
JP2021156380A (ja) 2020-03-27 2021-10-07 Smc株式会社 増圧出力安定化装置
KR102438556B1 (ko) * 2021-01-25 2022-08-31 (주)지티씨 고효율 가스 압축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707647U (zh) * 2012-08-07 2013-01-30 山东万泰石油设备研制有限公司 气体增压压缩系统
CN105757015A (zh) * 2014-12-15 2016-07-13 西安众智惠泽光电科技有限公司 液压驱动式无间歇增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272A (en) * 1978-07-13 1980-01-28 Giichi Yamatani Booster pump
JP2528147Y2 (ja) 1991-02-27 1997-03-05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増圧装置
US5435228A (en) * 1993-07-20 1995-07-25 Pneumatic Energy Inc Pneumatic transformer
JP3368052B2 (ja) * 1994-07-11 2003-01-20 甲南電機株式会社 空々増圧器
JP2955220B2 (ja) 1995-12-06 1999-10-04 太陽鉄工株式会社 インライン増圧装置
CN2418291Y (zh) * 2000-04-07 2001-02-07 太原理工大学 矿井静压水手动增压器
JP3705730B2 (ja) 2000-04-28 2005-10-12 Smc株式会社 空気圧シリンダの排気回収装置
JP2003013904A (ja) 2001-06-27 2003-01-15 Karasawa Fine Ltd 増圧装置
JP4554345B2 (ja) 2004-12-02 2010-09-29 株式会社コガネイ 増圧装置
WO2011079267A1 (en) * 2009-12-24 2011-06-30 General Compression Inc. System and methods for optimizing efficiency of a hydraulically actuated system
CN102562686A (zh) * 2010-12-08 2012-07-11 西安众智惠泽光电科技有限公司 双作用增压器液压系统
RU2458260C1 (ru) * 2011-03-18 2012-08-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ТАНКИН" (ФГБОУ ВПО МГТУ "СТАНКИН") Мультипликаторная насосная установка сверх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JP5798421B2 (ja) 2011-09-22 2015-10-21 ピー・エス・シー株式会社 ダンパシステム
CN102383769A (zh) * 2011-10-14 2012-03-21 上海大学 动力补偿式液压增压注水系统
AT512322B1 (de) * 2011-12-30 2013-09-15 Bhdt Gmbh Hydraulikantrieb für einen druckübersetzer
RU2513060C1 (ru) * 2012-11-27 2014-04-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природообустройства" Плунжерно-поршневой гидромультипликатор двойного действия
US9695840B2 (en) * 2013-08-20 2017-07-04 Vianney Rabhi Reversible hydraulic pressure converter employing tubular valves
CN103573726A (zh) * 2013-10-28 2014-02-12 西安昆仑液压传动机械厂 气液增压缸装置
US9926947B2 (en) * 2014-05-09 2018-03-27 Montana Hydraulics, LLC Air-to-hydraulic fluid pressure amplifier
JP2016079999A (ja) 2014-10-10 2016-05-16 株式会社中央技研工業 排気回収型の圧力気体供給補助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圧力気体供給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707647U (zh) * 2012-08-07 2013-01-30 山东万泰石油设备研制有限公司 气体增压压缩系统
CN105757015A (zh) * 2014-12-15 2016-07-13 西安众智惠泽光电科技有限公司 液压驱动式无间歇增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72872B2 (ja) 2019-09-11
CN110036210A (zh) 2019-07-19
BR112019010417A2 (pt) 2019-09-03
TW201819777A (zh) 2018-06-01
US20200063760A1 (en) 2020-02-27
JP2018084270A (ja) 2018-05-31
EP3546761B1 (en) 2021-10-06
KR20190085105A (ko) 2019-07-17
TWI646266B (zh) 2019-01-01
EP3546761A1 (en) 2019-10-02
EP3546761A4 (en) 2020-08-05
CN110036210B (zh) 2021-03-16
WO2018096739A1 (ja) 2018-05-31
RU2725402C1 (ru) 2020-07-02
US10851806B2 (en) 2020-12-01
RU2725402C9 (ru) 2021-04-22
MX2019005900A (es) 201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708B1 (ko) 증압장치
RU2731783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вода гидро(пневмо)цилиндра
US7517199B2 (en) Control system for an air operated diaphragm pump
KR20190050844A (ko) 유체압 실린더
US10920796B2 (en) Hydraulic pressure intensifier
JP2012002272A (ja) 油圧シリンダ及び油圧駆動装置
WO2013058602A2 (ko) 유압식 증압실린더
KR102266450B1 (ko) 증압장치
JP7195557B2 (ja) 液圧駆動装置
JP6859411B2 (ja) 増速弁装置
JP4902178B2 (ja) ピストン式コンクリートポンプの制御装置
KR20180022768A (ko) 유압 기계 유닛 및 유압 기계 유닛의 작동 방법
JP5134891B2 (ja) ピストン式コンクリートポンプの運動制御装置
JP6509569B2 (ja) 流体圧制御装置
JP2011241792A (ja) ピストン式コンクリートポンプの制御装置
JP3835682B2 (ja) 往復動ピストンポンプ
JP2003184812A (ja) 油圧制御装置
JP2011241725A (ja) ピストン式コンクリートポンプの制御装置
JP2009079661A (ja) 液圧装置
JP2016200177A (ja) 増速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