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513B1 - 무전원 유체증압장치 - Google Patents

무전원 유체증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513B1
KR102078513B1 KR1020190162562A KR20190162562A KR102078513B1 KR 102078513 B1 KR102078513 B1 KR 102078513B1 KR 1020190162562 A KR1020190162562 A KR 1020190162562A KR 20190162562 A KR20190162562 A KR 20190162562A KR 102078513 B1 KR102078513 B1 KR 102078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ylinder
fluid
pressure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범
Original Assignee
정종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범 filed Critical 정종범
Priority to KR1020190162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5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513B1/ko
Priority to PCT/KR2020/015223 priority patent/WO202111806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3/00Intensifiers or fluid-pressure converters, e.g. pressure exchangers; Conveying pressure from one fluid system to another, without contact between the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1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28Modular units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of the modula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 F15B2211/7055Linear output members having more than two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Abstract

유입되는 유체를, 별도의 외부전원이나 조절장치 없이도, 자체 증압하여 배출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유체증압장치는, 제1 내경의 제1 및 제2 실린더; 상기 제1 내경보다 작은 제2 내경의 제3 실린더; 상기 제1 실린더에 삽입되는 제1 피스톤, 상기 제2 실린더에 삽입되는 제2 실린더, 양단에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이 결합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실린더를 관통하는 공통로드(common rod), 및 상기 공통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제3 실린더에 삽입되는 제3 피스톤을 포함하는 피스톤 모듈; 제1 및 제2 실린더의 양단에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제1 내지 제4 가압경로; 및 상기 제3 실린더 양단에 연결된 유체배출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전원 유체증압장치{apparatus intensifying pressure of fluid without electric power supply}
본 발명은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증가시켜 출력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전원의 공급 없이도 피스톤의 왕복행정 모두에 대해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증가시켜 고압의 유체를 배출할 수 있는 무전원 유체증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체증압장치(intensifier)는 유입되는 유체를 증압시켜 배출하는 장치로 임가공분야, 기계가공분야, 자동차산업분야, 석재가공분야, 식품가공분야, 제지사업분야, 항공기분야 등 매우 다양한 산업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체증압장치는 유체의 증압을 위한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위하여 전원을 이용한 컨트롤 장치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실린더를 관통하여 결합되되 복수의 피스톤이 결합된 피스톤 모듈의 왕복운동을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를, 별도의 외부전원이나 조절장치 없이도, 자체 증압하여 배출할 수 있는 무전원 유체증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유체증압장치는, 제1 내경의 제1 및 제2 실린더; 상기 제1 내경보다 작은 제2 내경의 제3 실린더; 상기 제1 실린더에 삽입되는 제1 피스톤, 상기 제2 실린더에 삽입되는 제2 피스톤, 양단에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이 결합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실린더를 관통하는 공통로드(common rod), 및 상기 공통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제3 실린더에 삽입되는 제3 피스톤을 포함하는 피스톤 모듈; 제1 및 제2 실린더의 양단에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제1 내지 제4 가압경로; 및 상기 제3 실린더 양단에 연결된 유체배출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증압모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 일단에 연결된 제1 및 제3 가압경로로 유체가 공급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피스톤이 대응되는 실린더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3 피스톤에 의하여 증압된 유체가 상기 제3 실린더의 타단의 제1 유출입공을 통하여 상기 유체배출경로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증압모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 타단에 연결된 제2 및 제4 가압경로로 유체가 공급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피스톤이 대응되는 실린더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3 피스톤에 의하여 증압된 유체가 상기 제3 실린더의 일단의 제2 유출입공을 통하여 상기 유체배출경로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는, 증압모드에 따라서, 유체를 상기 제1 및 제3 가압경로로 공급하거나 상기 제2 및 4 가압경로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가압경로 조절부재; 및 증압모드에 따라서, 상기 유체배출경로를 상기 제1 및 제2 유출입공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배출경로 조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실린더는, 상기 제1 실린더의 타단과 상기 제2 실린더의 일단에 결합되는 중심몸체 내에 상기 중심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실린더의 타단과 상기 제2 실린더의 일단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중심몸체에는, 상기 중심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3 실린더와 평행하게 마련되어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가 삽입되는 제1 홀; 및 상기 중심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3 실린더와 평행하게 마련되어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가 삽입되는 제2 홀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홀에 있어서, 길이방향 중심은 유체유입경로와 연통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1 및 제3 가압경로와 연통되는 제1 공급홀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2 및 제4 가압경로와 연통되는 제2 공급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는, 상기 제1 홀의 일단 및 타단에 축고정되되 상기 제1 홀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원기둥형상을 가지며, 일측에는 상기 제1 홀을 가로방향으로 밀봉하는 제1 밀봉부재가 결합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1 홀을 가로방향으로 밀봉할 수 있는 제2 밀봉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증압모드에서는,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는 상기 제1 홀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공급홀은 상기 제1 홀의 중심부와 연통되나 상기 제2 공급홀은 상기 제2 밀봉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1 홀의 중심부와 차단될 수 있다.
제2 증압모드에서는,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는 상기 제1 홀의 타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공급홀은 상기 제1 밀봉부재에 의하여 제1 홀의 중심부와 차단되나 상기 제2 공급홀은 상기 제1 홀의 중심부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증압모드에서,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의 일측 고정축은 상기 제1 실린더의 타측으로 돌출되며, 제2 증압모드에서,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의 타측 고정축은 상기 제2 실린더의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는, 증압모드의 변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에 의하여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의 일측 및 타측 고정축의 돌출부가 교대로 가압되어 상기 제1 홀에서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홀에 있어서, 길이방향 중심은 유체유입경로와 연통되며, 일측은 상기 제2 유출입공 및 상기 유체배출경로와 연통되며, 타측은 상기 제1 유출입공 및 상기 유체배출경로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는, 상기 제2 홀의 일단 및 타단에 축고정되되 상기 제2 홀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원기둥형상을 가지며, 일측에는 상기 제2 홀을 가로방향으로 밀봉하는 제3 밀봉부재가 결합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2 홀을 가로방향으로 밀봉할 수 있는 제4 밀봉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증압모드에서는,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는 상기 제2 홀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유출입공은 상기 제2 홀의 중심부와 연통되나 상기 제2 유출입공은 상기 제4 밀봉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2 홀의 중심부와 차단될 수 있다.
제2 증압모드에서는,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는 상기 제2 홀의 타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유출입공은 상기 제3 밀봉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2 홀의 중심부와 차단되나 상기 제1 유출입공은 상기 제2 홀의 중심부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증압모드에서는, 상기 제2 유출입공이 상기 유체배출경로와 연통되며, 제2 증압모드에서는, 상기 제1 유출입공이 상기 유체배출경로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증압모드에서,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의 일측 고정축은 상기 제1 실린더의 타측으로 돌출되며, 제2 증압모드에서,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의 타측 고정축은 상기 제2 실린더의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는, 증압모드의 전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에 의하여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의 일측 및 타측 고정축의 돌출부가 교대로 가압되어 상기 제2 홀에서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홀의 길이방향 중심은, 상기 제1 홀의 길이방향 중심과 연결되어 상기 유체유입경로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경로는, 상기 중심몸체에 형성된 제1 하위경로 및 상기 제1 실린더의 배럴(barrel)에 형성된 제2 하위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가압경로는, 상기 중심몸체에 형성된 제3 하위경로 및 상기 제2 실린더의 배럴에 형성된 제4 하위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압경로는, 상기 중심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3 하위경로와 연통되며, 상기 제3 가압경로는, 상기 중심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하위경로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중심몸체에는, 제1 증압모드에서 상기 제2 및 제4 가압경로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배출하는 제1 배출공; 및 제2 증압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3 가압경로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배출하는 제2 배출공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유체증압장치는 유입되는 유체의 이동에 따른 구성요소들의 기계적 운동에 기초하여 외부전원의 공급없이도 자체적으로 유체를 증압하여 출력할 수 있으면서도 내구성이 높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유체증압장치는 피스톤 모듈이 왕복운동하는 복수의 실린더의 내경을 달리 설계함으로써 유체를 용이하게 증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유체증압장치의 기본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유체증압장치의 기본구성에 대응되는 블락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제1 증압모드 개시시점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길이방향의 제1 및 제2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제1 증압모드 종료시점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제1 및 제2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은 제2 증압모드 개시시점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제1 및 제2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1 및 도 12는 제2 증압모드 종료시점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제1 및 제2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 또는 기능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기본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는 유입되는 유체의 이동에 따른 구성요소들의 기계적 운동에 기초하여 외부전원의 공급없이도 자체적으로 유체를 증압하여 출력할 수 있으면서도 내구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내구성의 확보를 위하여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은 금속재 및 강화합성수지재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는 피스톤 모듈이 왕복운동하는 복수의 실린더의 내경을 달리 설계함으로써 유체를 용이하게 증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는 제1 실린더(101), 제2 실린더(102), 제3 실린더(103), 피스톤 모듈(110), 복수의 가압경로(121 내지 124)를 포함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1 실린더(101) 및 제2 실린더(102)는 제1 내경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3 실린더(103)는 상기 제1 실린더(101) 및 제2 실린더(102)의 제1 내경보다 작은 제2 내경을 갖는다. 상기 피스톤 모듈(110)은 상기 제1 실린더(101)에 삽입되어 왕복운동하는 제1 피스톤(111), 상기 제2 실린더(102)에 삽입되어 왕복운동하는 제2 피스톤(112), 상기 제3 실린더(103)에 삽입되어 왕복운동하는 제3 피스톤(113) 및 공통 로드(common rod, 114)를 포함한다. 상기 공통 로드(114)는 상기 제1 내지 제3 실린더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공통 로드(114)의 양단에는 상기 제1 피스톤(111) 및 상기 제2 피스톤(112)이 결합되며, 상기 공통 로드(114)의 가로방향 중심부에는 상기 제3 실린더(103)가 결합된다. 상기 공통 로드(114)는 상기 제1 실린더(101)의 한쪽과 상기 제3 실린더(103)의 한쪽과 상기 제2 실린더(102)의 양쪽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피스톤(111 내지 123)과 결합된다.
상기 제1 실린더(101)에서 그 일단에는 제1 가압경로(121) 그 타단에는 제2 가압경로(122)가 연결되며, 상기 제2 실린더(102)에서는 그 일단에는 제3 가압경로(123) 그 타단에는 제4 가압경로(124)가 연결된다. 이러한 가압경로들(121 내지 124)은 증압모드에 따라(즉, 피스톤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제1 피스톤(111) 및 제2 피스톤(112)을 가압하기 위한 유체를 공급하거나, 상기 제1 실린더(101) 및 제2 실린더(102) 내부의 유체를 배출하는 경로로 이용된다.
상기 제3 실린더(103)의 양단에는 제1 유출입공(131) 및 제2 유출입공(1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유출입공(131)은 상기 제3 실린더(103)의 타단을 유체배출경로(미도시)로 연결하며, 상기 제2 유출입공(132)은 상기 제3 실린더(103)의 일단을 상기 유체배출경로로 연결한다. 이러한 유출입공들(131 및 132)은 증압모드에 따라서 상기 제3 실린더(103)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배출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는 유체에 의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피스톤(111 내지 113)이 상기 공통 로드(114)와 함께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3 실린더(103) 내부의 유체는, 상기 제1 실린더(101) 및 제2 실린더(102) 내부의 빈 공간의 단면적을 상기 제3 실린더(103) 내부의 빈 공간의 단면적으로 나눈 압력으로 증압되어 상기 제1 유출입공(131) 또는 상기 제2 유출입공(132)로 배출된다.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는 외부 공급 전원없이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만으로 상술한 유체증압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향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이상에서는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 각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개념도를 참조하여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가 제1 증압모드와 제2 증압모드에서 동작하는 메커니즘에 대해 살펴본다.
참고로 도 1 및 도 2는 제1 증압모드를, 그리고 도 3은 제2 증압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제1 증압모드는 상기 피스톤 모듈(110)이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 내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증압모드를 말하며, 제2 증압모드는 상기 피스톤 모듈(110)이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 내부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는 증압모드를 말한다.
제1 증압모드에서는 상기 제1 실린더(101) 및 상기 제2 실린더(102)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제1 가압경로(121) 및 상기 제3 가압경로(123)로 유체가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제1 피스톤(111) 및 상기 제2 피스톤(112)이 유체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피스톤(111 내지 113)은 대응되는 실린더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공통 로드(114)에 결합된 상기 피스톤 모듈(110) 전체가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3 실린더(103) 내의 유체가 상기 제3 피스톤(113)에 의하여 증압되어 상기 제1 유출입공(131)으로 배출된다.
한편, 제1 증압모드에서는 상기 제1 실린더(101) 및 상기 제2 실린더(102)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는 각각 상기 제2 가압경로(122) 및 상기 제4 가압경로(124)를 통하여 실린더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유출입공(132)을 통해서는 상기 제3 실린더(103) 내부로 유체가 공급된다.
제2 증압모드에서는 상기 제1 실린더(101) 및 상기 제2 실린더(102)의 타단에 연결된 상기 제2 가압경로(122) 및 상기 제4 가압경로(124)로 유체가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제1 피스톤(111) 및 상기 제2 피스톤(112)이 유체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피스톤(111 내지 113)은 대응되는 실린더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공통 로드(114)에 결합된 상기 피스톤 모듈(110) 전체가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3 실린더(103) 내의 유체가 상기 제3 피스톤(113)에 의하여 증압되어 상기 제2 유출입공(132)으로 배출된다.
한편, 제2 증압모드에서는 상기 제1 실린더(101) 및 상기 제2 실린더(102)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는 각각 상기 제1 가압경로(121) 및 상기 제3 가압경로(123)를 통하여 실린더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유출입공(131)을 통해서는 상기 제3 실린더(103) 내부로 유체가 공급된다.
상술한 메커니즘에 따라, 상기 제3 실린더(103)내의 유체는 상기 제1 실린더(101) 및 제2 실린더(102) 내부의 빈 공간의 단면적을 상기 제3 실린더(103) 내부의 빈 공간의 단면적으로 나눈 증압비로 증압되어 배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기본구성에 대응되는 블락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는 앞서 살펴본 제1 내지 제3 실린더(101 내지 103), 제1 내지 제3 피스톤(111 내지 113), 공통 로드(114) 및 제1 내지 제4 가압경로(121 내지 124)에 추가적으로 가압경로 조절부재(140) 및 배출경로 조절부재(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140)는 증압모드에 따라서 상기 제1 가압경로(121) 및 상기 제3 가압경로(123)를 통하여 상기 제1 실린더(101) 및 상기 제2 실린더(102)의 일단으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상기 제2 가압경로(122) 및 상기 제4 가압경로(124)를 통하여 상기 제1 실린더(101) 및 상기 제2 실린더(102)의 타단으로 유체를 공급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150)는 증압모드에 따라서 유체배출경로(160)를 상기 제3 실린더(103)의 제1 유출입공(131) 또는 제2 유출입공(132)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실린더(103)는 상기 제1 실린더(101)의 타단과 상기 제2 실린더(102)의 일단에 결합되는 중심몸체(170)의 내부에 상기 중심몸체(170)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실린더(103)는 상기 제1 실린더(101)의 타단과 상기 제2 실린더(102)의 일단과 연통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피스톤 모듈(110)은 상기 제1 내지 제3 실린더(101 내지 103) 내에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심몸체(170)의 내부에는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140)가 삽입되는 제1 홀(미도시)과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150)가 삽입되는 제2 홀(미도시)이 상기 제3 실린더(103)와 평행하게 상기 중심몸체(17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140) 및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150)는, 외부 전원 공급을 위한 전기장치 없이,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한 기계적 동작만으로 상술한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는 안전사고의 위험성 및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5 및 도 6은 제1 증압모드 개시시점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길이방향의 제1 및 제2 단면도이다. 특히, 도 5의 상부에 원형의 도면들은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가로방향 여러 부분에서의 단면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은 제1 증압모드 종료시점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제1 및 제2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은 제2 증압모드 개시시점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제1 및 제2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11 및 도 12는 제2 증압모드 종료시점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제1 및 제2 단면도를 나타낸다.
먼저,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제1 실린더(101), 제2 실린더(102), 피스톤 모듈(110) 및 중심몸체(170)로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 모듈(110)은 제1 피스톤(111), 제2 피스톤(112), 제3 피스톤(113) 및 공통 로드(114)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피스톤(112)은 피스톤 패킹(112A)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부재번호를 부여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피스톤(111)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면에는 명확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직경이 작은 제3 피스톤(113)에도 피스톤 패킹이 포함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피스톤(112)의 타단은 실린더 커버(102A)로 밀봉된다. 부재번호는 부여되지 않았으나, 이는 상기 제1 실린더(101)의 일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는 상기 실린더들(101 및 102)은 커버에 의해 밀봉되지 않고 배럴과 연결된 구조로 밀봉될 수도 있다.
상기 중심몸체(170)에는 제3 실린더(103), 가압경로 조절부재(140)가 삽입되는 제1 홀(171), 배출경로 조절부재(150)가 삽입되는 제2 홀(17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심몸체(170)에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다양한 홀들과 연결공 그리고 경로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중 일부는 상기 제1 실린더(101) 및 상기 제2 실린더(102)에 마련된 경로들과 연통된다.
상기 제1 홀(171)의 길이방향 중심은 유체유입경로(173)와 연통되며, 유체는 상기 유체유입경로(173)를 통하여 상기 제1 홀(171)로 유입되어 복수의 홀과 경로를 통하여 다른 구성요소들로 전달된다. 상기 제1 홀(171)의 일단에는 제1 가압경로(121) 및 제3 가압경로(123)와 연통되는 제1 공급홀(17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홀(171)의 타단에는 제2 가압경로(122) 및 제4 가압경로(124)와 연통되는 제2 공급홀(17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심몸체(170)에는 상기 제2 가압경로(122) 및 상기 제4 가압경로(124)와 연통되어 상기 중심몸체(170)로부터 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제1 배출공(17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심몸체(170)에는 상기 제1 가압경로(121) 및 상기 제3 가압경로(123)와 연통되어 상기 중심몸체(170)로부터 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제2 배출공(17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140)는 상기 제1 홀(171)의 일단 및 타단에 축고정되며 상기 제1 홀(171)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원기둥형상을 가진다.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14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홀(171)을 가로방향으로 밀봉할 수 있는 제1 밀봉부재(141)가 결합되며,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140)의 타측에는 상기 제1 홀(171)을 가로방향으로 밀봉할 수 있는 제2 밀봉부재(142)가 결합된다.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140)의 일측 고정축(143) 및 타측 고정축(144)은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140)의 몸체보다 직경이 작으며, 각각 상기 제1 실린더(101)의 타측과 상기 제2 실린더(102)의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홀(172)의 길이방향 중심은 상기 유체유입경로(173)와 연통되어 상기 유체유입경로(173)를 통하여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2 홀(172)은 홀 연통경로(178)를 통하여 상기 제1 홀(171)을 경유하여 상기 유체유입경로(173)에 연통되나,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제2 홀(172)은 상기 유체유입경로(173)와 직접 연통될 수도 있고 다른 경로를 통하여 상기 유체유입경로(173)와 연통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홀(172)의 일측은 상기 제3 실린더(103)에 형성된 제2 유출입공(132) 및 상기 유체배출경로(160)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 홀(172)의 일측은 제1 연결공(180)을 통하여 상기 유체배출경로(160)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 홀(172)의 타측은 상기 제1 유출입공(131) 및 상기 유체배출경로(160)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 홀(172)의 타측은 제2 연결공(181)을 통하여 상기 유체배출경로(160)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150)는 상기 제2 홀(172)의 일단 및 타단에 축고정되며 상기 제2 홀(172)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원기둥형상을 가진다.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150)의 일측에는 상기 제2 홀(172)을 가로방향으로 밀봉할 수 있는 제3 밀봉부재(151)가 결합되며,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150)의 타측에는 상기 제2 홀(172)을 가로방향으로 밀봉할 수 있는 제4 밀봉부재(152)가 결합된다.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150)의 일측 고정축(153) 및 타측 고정축(154)은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150)의 몸체보다 직경이 작으며, 각각 상기 제1 실린더(101)의 타측과 상기 제2 실린더(102)의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유체배출경로(160)는 유체배출공(179)과 연통되어 상기 제3 실린더(103)에서 증압된 유체를 상기 중심몸체(17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경로(121)는 상기 중심몸체(170)에 형성된 제1 하위경로와 상기 제1 실린더(101)의 배럴에 형성된 제2 하위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가압경로(124)는 상기 중심몸체(170)에 형성된 제3 하위경로 및 상기 제2 실린더(102)의 배럴에 형성된 제4 하위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압경로(122)는 상기 중심몸체(170)에 형성되어 상기 제3 하위경로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3 가압경로(123)는 상기 중심몸체(170)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하위경로와 연통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하위경로들은 도면상에서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이들에 대해서는 별도의 부재번호를 부여하지 않았다.
그리고 상기 제1 가압경로(121) 및 상기 제4 가압경로(124)의 일부는 실린더 커버부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서 부재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중앙몸체(170)와 상기 제1 실린더(101) 및 제2 실린더(102)의 결합부분, 상기 피스톤 모듈(110)이 상기 중앙몸체(170)와 접촉하는 부분,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140)와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150)가 상기 중앙몸체(170)와 접촉하는 부분, 상기 제1 실린더(101) 및 상기 제2 실린더(102)와 실린더 커버의 결합부분에는 밀봉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는 유체의 유입과 이동 및 배출에 필요한 복수의 경로와 홀 그리고 연결공들이 모두 상기 제1 실린더(101), 상기 제2 실린더(102) 및 상기 중심몸체(170)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는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에 유체가 채워져 있는 상태를 가정하여, 증압모드에 따른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유체증압 메커니즘을 살펴본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제1 증압모드에서의 동작 메커니즘을 살펴본다.
제1 증압모드에서 상기 제1 피스톤(111) 및 상기 제2 피스톤(112)은 상기 제1 실린더(101) 및 상기 제2 실린더(102)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3 피스톤(113)는 상기 제3 실린더(103)의 일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140)는 상기 제1 홀(171)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150)는 상기 제2 홀(172)의 일단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140)의 일측 고정축(143)은 상기 제1 실린더(101)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140)가 상기 제1 홀(171)의 일단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제1 공급홀(174)은 상기 제1 홀(171)의 중심부와 연통되며 상기 제2 공급홀(175)은 상기 제2 밀봉부재(142)에 의하여 상기 제1 홀(171)의 중심부와 차단된다.
그러면 상기 제1 홀(171)로 공급되는 유체는 상기 제1 공급홀(174)을 통하여 상기 제1 가압경로(121) 및 상기 제3 가압경로(123)를 통하여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제1 피스톤(111)은 상기 제1 실린더(101)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2 피스톤(112)은 상기 제2 실린더(102)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3 피스톤(113)은 상기 제3 실린더(103)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피스톤 모듈(110) 전체가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내부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1 실린더(101)에 채워진 유체는 상기 제2 가압경로(122)를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제2 실린더(102)에 채워진 유체는 상기 제4 가압경로(124)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제1 실린더(101) 및 상기 제2 실린더(102)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는 상기 제1 배출공(176)을 통하여 상기 중심몸체(170) 외부로 배출된다.
제1 증압모드에서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150)는 상기 제2 홀(172)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유출입공(132)은 상기 제2 홀(172)의 중심부와 연통되나 상기 제1 유출입공(131)은 상기 제4 밀봉부재(152)에 의하여 상기 제2 홀(172)의 중심부와 차단된다.
상기 제3 피스톤(113)이 상기 제3 실린더(103)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2 홀(172)로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제2 유출입공(132)을 통하여 상기 제3 실린더(103)의 일측으로 공급되며, 상기 제3 실린더(103)의 타측에 저장된 유체는 상기 제1 유출입공(131)을 통하여 배출되어 상기 제2 홀(172)의 제2 연결공(181)을 통하여 상기 유체배출경로(160)을 거쳐 상기 유체배출공(179)을 통하여 상기 중심몸체(17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유체배출공(179)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은,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101 및 102) 중 하나의 단면적과 나머지 하나의 단면적에서 상기 공통로드(114)의 단면적을 뺀 값을 합한 값을, 상기 제3 실린더(103)의 단면적에서 상기 공통로드(114)의 단면적을 뺀 값으로 나눈 증압비로 증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실린더(101) 및 상기 제2 실린더(102)의 내경이 80mm이고, 상기 제3 실린더(103)의 내경이 21.5mm이며, 공통 로드(114)의 직경이 20mm인 경우를 가정한다. 그러면, 유체의 증압비는, 상기 제1 실린더(101)의 단면적 802과 상기 제2 실린더(102)의 단면적에서 상기 공통로드(114)의 단면적을 뺀 값인 (802-202)을 합한 값을, 상기 제3 실린더(103)의 단면적에서 상기 공통로드(114)의 단면적을 뺀 값인 (21.52-202)으로 나눈 값인 199.197로 산출될 수 있다. 이는 제2 증압모드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참고로, 증압비는 비율에 관한 것이라 증압비 산출과정에서 공통요소인 원주율과 단위는 생략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는, 외부전원 공급없이, 공급되는 유체에 의한 구동만으로도 유체의 압력을 매우 크기 증압하여 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증압모드가 제1 증압모드에서 제2 증압모드로 전환되는 메커니즘을 살펴본다.
제1 증압모드에서 제2 증압모드로 전환되기 전,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140)에서 상기 제1 실린더(101)의 타측으로 돌출된 일측 고정축(143) 및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150)에서 상기 제1 실린더(101)의 타측으로 돌출된 일측 고정축(153)이, 이동하는 상기 제1 피스톤(111)의 관성에 의하여 가압된다(도 7 및 도 8 참조).
그러면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140)의 타측 고정축(144)이 상기 제2 실린더(102)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150)에서 타측 고정축(154)이 상기 제2 실린더(102)의 일측으로 돌출된다. 그러면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증압모드는 제1 증압모드에서 제2 증압모드로 전환된다(도 9 및 도 10 참조).
참고로 도 8 및 도 9는 제1 증압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도 8 및 도 9에서의 동작 메커니즘 도 6 및 도 7에서의 동작메커니즘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동작 메커니즘 설명을 위한 부재번호는 생략하였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제2 증압모드에서의 동작 메커니즘을 살펴본다.
제2 증압모드에서 상기 제1 피스톤(111) 및 상기 제2 피스톤(112)은 상기 제1 실린더(101) 및 상기 제2 실린더(102)의 타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3 피스톤(113)은 상기 제3 실린더(103)의 타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140)는 상기 제1 홀(171)의 타단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150)는 상기 제2 홀(172)의 타단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140)의 타측 고정축(144)은 상기 제2 실린더(102)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140)가 상기 제1 홀(171)의 타단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제1 공급홀(174)은 상기 제1 밀봉부재(141)에 의하여 상기 제1 홀(171)의 중심부와 차단되며 상기 제2 공급홀(175)은 상기 제1 홀(171)의 중심부와 연통된다.
그러면 상기 제1 홀(171)로 공급되는 유체는 상기 제2 공급홀(175)을 통하여 상기 제2 가압경로(122) 및 상기 제4 가압경로(124)를 통하여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제1 피스톤(111)은 상기 제1 실린더(101)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2 피스톤(112)은 상기 제2 실린더(102)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3 피스톤(113)은 상기 제3 실린더(103)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피스톤 모듈(110) 전체가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내부에서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1 실린더(101)에 채워진 유체는 상기 제1 가압경로(121)를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제2 실린더(102)에 채워진 유체는 상기 제3 가압경로(123)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제1 실린더(101) 및 상기 제2 실린더(102)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는 상기 제2 배출공(177)을 통하여 상기 중심몸체(170) 외부로 배출된다.
제2 증압모드에서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150)는 상기 제2 홀(172)의 타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유출입공(132)은 상기 제3 밀봉부재(151)에 의하여 상기 제2 홀(172)의 중심부와 차단되나 상기 제1 유출입공(131)은 상기 제2 홀(172)의 중심부와 연통된다.
상기 제3 피스톤(113)이 상기 제3 실린더(103)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2 홀(172)로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제1 유출입공(131)을 통하여 상기 제3 실린더(103)의 타측으로 공급되며, 상기 제3 실린더(103)의 일측에 저장된 유체는 상기 제2 유출입공(132)을 통하여 배출되어 상기 제2 홀(172)의 제1 연결공(180)을 통하여 상기 유체배출경로(160)를 거쳐 상기 유체배출공(179)을 통하여 상기 중심몸체(170)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유체배출공(179)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은, 제1 증압모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실린더(101) 및 제2 실린더(102) 내부의 빈 공간의 단면적을 상기 제3 실린더(103) 내부의 빈 공간의 단면적으로 나눈 증압비로 증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증압모드가 제2 증압모드에서 제1 증압모드로 전환되는 메커니즘을 살펴본다.
제2 증압모드에서 제1 증압모드로 전환되기 전,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140)에서 상기 제2 실린더(102)의 일측으로 돌출된 타측 고정축(144) 및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150)에서 상기 제2 실린더(102)의 일측으로 돌출된 타측 고정축(154)이, 이동하는 상기 제2 피스톤(112)의 관성에 의하여 가압된다(도 11 및 도 12 참조).
그러면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140)의 일측 고정축(143)이 상기 제1 실린더(101)의 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150)에서 일측 고정축(153)이 상기 제1 실린더(101)의 타측으로 돌출된다. 그러면 상기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의 증압모드는 제2 증압모드에서 제1 증압모드로 전환된다(도 7 및 도 8참조).
즉,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140)는, 증압모드의 전환에 따라, 상기 제1 피스톤(111) 및 제2 피스톤(112)에 의하여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140)의 일측 및 타측 고정축(143 및 144)의 돌출부가 교대로 가압되면서 상기 제1 홀(171)에서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150)는, 증압모드의 전환에 따라, 상기 제1 피스톤(111) 및 상기 제2 피스톤(112)에 의하여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150)의 일측 및 타측 고정축(153 및 154)의 돌출부가 교대로 가압되면서 상기 제2 홀(172)에서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참고로 도 11 도 12는 제2 증압모드에서 제1 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도 11 및 도 12에서의 증압동작 메커니즘 도 9 및 도 10에서의 동작메커니즘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동작 메커니즘 설명을 위한 부재번호는 생략하였다.
이상에서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유체증압장치(100)는, 외부 전원의 공급없이도, 유체유입경로(173)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의 가압 및 이동에 기초하여 피스톤 모듈(110)의 왕복행정 모두에 대해 유체를 증압하는 제1 증압모드 및 제2 증압모드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무전원 유체증압장치 101: 제1 실린더
102: 제2 실린더 103: 제3 실린더
110: 피스톤 모듈
111: 제1 피스톤 112: 제2 피스톤
113: 제3 피스톤 114: 공통 로드
121: 제1 가압경로 122: 제2 가압경로
123: 제3 가압경로 124: 제4 가압경로
131: 제1 유출입공 132: 제2 유출입공
140: 가압경로 조절부재 150: 배출경로 조절부재
160: 유체배출경로 170: 중심몸체

Claims (12)

  1. 제1 내경을 가지며 중심축이 동일한 제1 및 제2 실린더; 상기 제1 내경보다 작은 제2 내경을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와 중심축이 동일한 제3 실린더; 상기 제1 실린더에 삽입되는 제1 피스톤, 상기 제2 실린더에 삽입되는 제2 피스톤, 양단에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이 결합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실린더를 관통하는 공통로드(common rod), 및 상기 공통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제3 실린더에 삽입되는 제3 피스톤을 포함하는 피스톤 모듈;
    제1 및 제2 실린더 양단을 통해 유체를 공급하는 제1 내지 제4 가압경로; 상기 제3 실린더 양단에 연결된 유체배출경로; 증압모드에 따라서, 유체를 상기 제1 및 제3 가압경로로 공급하거나 상기 제2 및 4 가압경로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가압경로 조절부재; 및 증압모드에 따라서, 상기 유체배출경로를 상기 제1 및 제2 유출입공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배출경로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실린더 내부의 유체는,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 중 하나의 단면적과 나머지 하나의 단면적에서 상기 공통로드의 단면적을 뺀 값을 합한 값을 상기 제3 실린더의 단면적에서 상기 공통로드의 단면적을 뺀 값으로 나눈 값으로 증압하여 배출되며,
    제1 증압모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 일단에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3 가압경로로 유체가 공급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피스톤이 대응되는 실린더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3 피스톤에 의하여 증압된 유체가 상기 제3 실린더의 타단의 제1 유출입공을 통하여 상기 유체배출경로로 배출되며,
    제2 증압모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 타단에 연결된 상기 제2 및 제4 가압경로로 유체가 공급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피스톤이 대응되는 실린더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3 피스톤에 의하여 증압된 유체가 상기 제3 실린더의 일단의 제2 유출입공을 통하여 상기 유체배출경로로 배출되며,
    상기 제3 실린더는, 상기 제1 실린더의 타단과 상기 제2 실린더의 일단에 결합되는 중심몸체 내에 상기 중심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실린더의 타단과 상기 제2 실린더의 일단과 연통되며,
    상기 중심몸체에는, 상기 중심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3 실린더와 평행하게 마련되어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가 삽입되는 제1 홀; 및 상기 중심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3 실린더와 평행하게 마련되어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가 삽입되는 제2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유체증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에 있어서,
    길이방향 중심은 유체유입경로와 연통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1 및 제3 가압경로와 연통되는 제1 공급홀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2 및 제4 가압경로와 연통되는 제2 공급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는,
    상기 제1 홀의 일단 및 타단에 축고정되되 상기 제1 홀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원기둥형상을 가지며, 일측에는 상기 제1 홀을 가로방향으로 밀봉하는 제1 밀봉부재가 결합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1 홀을 가로방향으로 밀봉할 수 있는 제2 밀봉부재가 결합되며,
    제1 증압모드에서는,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는 상기 제1 홀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공급홀은 상기 제1 홀의 중심부와 연통되나 상기 제2 공급홀은 상기 제2 밀봉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1 홀의 중심부와 차단되며,
    제2 증압모드에서는,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는 상기 제1 홀의 타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공급홀은 상기 제1 밀봉부재에 의하여 제1 홀의 중심부와 차단되나 상기 제2 공급홀은 상기 제1 홀의 중심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유체증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1 증압모드에서,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의 일측 고정축은 상기 제1 실린더의 타측으로 돌출되며,
    제2 증압모드에서,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의 타측 고정축은 상기 제2 실린더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는,
    증압모드의 변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에 의하여 상기 가압경로 조절부재의 일측 및 타측 고정축의 돌출부가 교대로 가압되어 상기 제1 홀에서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유체증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홀에 있어서,
    길이방향 중심은 유체유입경로와 연통되며, 일측은 상기 제2 유출입공 및 상기 유체배출경로와 연통되며, 타측은 상기 제1 유출입공 및 상기 유체배출경로와 연통되며,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는,
    상기 제2 홀의 일단 및 타단에 축고정되되 상기 제2 홀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원기둥형상을 가지며, 일측에는 상기 제2 홀을 가로방향으로 밀봉하는 제3 밀봉부재가 결합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2 홀을 가로방향으로 밀봉할 수 있는 제4 밀봉부재가 결합되며,
    제1 증압모드에서는,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는 상기 제2 홀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유출입공은 상기 제2 홀의 중심부와 연통되나 상기 제2 유출입공은 상기 제4 밀봉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2 홀의 중심부와 차단되며,
    제2 증압모드에서는,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는 상기 제2 홀의 타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유출입공은 상기 제3 밀봉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2 홀의 중심부와 차단되나 상기 제1 유출입공은 상기 제2 홀의 중심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유체증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제1 증압모드에서는,
    상기 제2 유출입공이 상기 유체배출경로와 연통되며,
    제2 증압모드에서는,
    상기 제1 유출입공이 상기 유체배출경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유체증압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제1 증압모드에서,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의 일측 고정축은 상기 제1 실린더의 타측으로 돌출되며,
    제2 증압모드에서,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의 타측 고정축은 상기 제2 실린더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는,
    증압모드의 전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에 의하여 상기 배출경로 조절부재의 일측 및 타측 고정축의 돌출부가 교대로 가압되어 상기 제2 홀에서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유체증압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의 길이방향 중심은,
    상기 제1 홀의 길이방향 중심과 연결되어 상기 유체유입경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유체증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경로는,
    상기 중심몸체에 형성된 제1 하위경로 및 상기 제1 실린더의 배럴(barrel)에 형성된 제2 하위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4 가압경로는,
    상기 중심몸체에 형성된 제3 하위경로 및 상기 제2 실린더의 배럴에 형성된 제4 하위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압경로는,
    상기 중심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3 하위경로와 연통되며,
    상기 제3 가압경로는,
    상기 중심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하위경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유체증압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몸체에는,
    제1 증압모드에서 상기 제2 및 제4 가압경로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배출하는 제1 배출공; 및
    제2 증압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3 가압경로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배출하는 제2 배출공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유체증압장치.
KR1020190162562A 2019-12-09 2019-12-09 무전원 유체증압장치 KR102078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562A KR102078513B1 (ko) 2019-12-09 2019-12-09 무전원 유체증압장치
PCT/KR2020/015223 WO2021118064A1 (ko) 2019-12-09 2020-11-03 무전원 유체증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562A KR102078513B1 (ko) 2019-12-09 2019-12-09 무전원 유체증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513B1 true KR102078513B1 (ko) 2020-02-17

Family

ID=69670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562A KR102078513B1 (ko) 2019-12-09 2019-12-09 무전원 유체증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8513B1 (ko)
WO (1) WO202111806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064A1 (ko) * 2019-12-09 2021-06-17 정종범 무전원 유체증압장치
CN113332124A (zh) * 2021-06-23 2021-09-03 河南省中医院(河南中医药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用于肺部危急重症的抢救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3103A (ja) * 1999-03-29 2000-10-13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増圧装置
KR20190085105A (ko) * 2016-11-22 2019-07-17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증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5228A (en) * 1993-07-20 1995-07-25 Pneumatic Energy Inc Pneumatic transformer
JP3368052B2 (ja) * 1994-07-11 2003-01-20 甲南電機株式会社 空々増圧器
CN105757015A (zh) * 2014-12-15 2016-07-13 西安众智惠泽光电科技有限公司 液压驱动式无间歇增压装置
KR102078513B1 (ko) * 2019-12-09 2020-02-17 정종범 무전원 유체증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3103A (ja) * 1999-03-29 2000-10-13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増圧装置
KR20190085105A (ko) * 2016-11-22 2019-07-17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증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064A1 (ko) * 2019-12-09 2021-06-17 정종범 무전원 유체증압장치
CN113332124A (zh) * 2021-06-23 2021-09-03 河南省中医院(河南中医药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用于肺部危急重症的抢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8064A1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513B1 (ko) 무전원 유체증압장치
EP2985462B1 (en) Fold-back coaxial gas booster pump and gas pressure creating method
JP5021848B2 (ja) 金属成形機等の加工機を液圧により作動させるための装置及びこのような金属成形機を作動させるための方法
KR101653839B1 (ko) 윤활제를 정해진 양으로 분배하기 위한 장치
CN110520633B (zh) 增压器
CN101363459B (zh) 气液增力装置及其操作方法
CN112567140B (zh) 增压装置
KR102184558B1 (ko) 증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실린더 장치
US5249502A (en) Double action, dual speed and force hydraulic actuators
KR20140094325A (ko) 압력 부스터의 메인에어 급기용 바이패스 장치
KR102027399B1 (ko) 면적차에 의해 연속 작동되는 피스톤과 절환 밸브가 내장된 선형 유체 펌프
KR20040097936A (ko) 격막 펌프 시스템
KR102078514B1 (ko) 수도직결형 무전원 구강세정기
KR20180057162A (ko) 면적차에 의해 연속 작동되는 피스톤과 절환 밸브가 내장된 선형 유체 펌프
US4410304A (en) Free piston pump
CA1325551C (en) Water to emulsion transformer
CN210769173U (zh) 增压泵
RU2119596C1 (ru) Повыситель давления
US3407597A (en) Vibrator assembly
RU2156383C1 (ru) Пневмо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насос-мультипликатор
KR20140094229A (ko) 압력 부스터 회로
KR200412300Y1 (ko) 이단 행정 실린더
JP2874675B2 (ja) 射出成形機
RU2193118C2 (ru) Силовой гидроцилиндр
CN116104725A (zh) 流体流向切换阀及自动控制切换直行程往复动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