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922B1 -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 - Google Patents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922B1
KR102161922B1 KR1020190170116A KR20190170116A KR102161922B1 KR 102161922 B1 KR102161922 B1 KR 102161922B1 KR 1020190170116 A KR1020190170116 A KR 1020190170116A KR 20190170116 A KR20190170116 A KR 20190170116A KR 102161922 B1 KR102161922 B1 KR 102161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roller
adhesive tape
substrate
turr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400A (ko
Inventor
정헌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다텍
정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다텍, 정헌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다텍
Priority to KR1020190170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922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28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dhesiv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 B65B25/146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packaging rolled-up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65H2301/515323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ro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지플레이트에 회전축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롤러표면을 따라 테이프기재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끌림방지부가 구비된 하부롤러, 상기 하부롤러와 맞물려 테이프기재를 배출하고, 원주면 길이방향으로 절취선 칼날이 장착되어 상기 테이프기재의 폭방향으로 절취선을 형성시키는 상부롤러, 및 상기 하부롤러와 상부롤러를 통과한 테이프기재를 일정길이 만큼 와인딩하는 터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Apparatus for winding adhesive tape role for clealing}
본 발명은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조공정을 거친 점착테이프를 이송하면서 절취선을 형성하고 코어에 일정 길이로 와인딩하는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착테이프는 물질과 물질을 부착하는 접착제의 일종으로 영구접착에 대한 일시적 접착하는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를 도포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점착테이프는 점착테이프 롤 형태로 제품화하여 먼지 등 이물질을 흡착하는 청소용품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점착테이프는 아크릴계 점착제, 핫멜트계 점착제, 합성고무계 점착제, 수용성 점착제 등 사용되는 점착제에 따라 전체적인 제조장치 및 제조프로세서가 달라지게 된다. 또한, 점착테이프는 폐기할 때 점착제로 인한 환경문제가 뒤따르게 되므로 먼지 등 이물질을 흡착하는 흡착성과 함께 점착제의 친환경성을 모두 고려하여야 한다.
등록특허 10-1097242(특허문헌1)에서는 절단눈금 성형롤러(33)와 받이롤러(36) 사이에 점착테이프(2)가 이송되고, 절단눈금 성형롤러(33)에 수직방향으로 칼날판(37)이 설치되어 점착테이프(2)에 절단눈금(4)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절단눈금 성형롤러(33)와 받이롤러(36)가 금속재질로 되어 점착테이프(2)와 맞물릴 때 미끄러지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상기 칼날판(37)은 선단부가 동일한 간격으로 V자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절단눈금 성형롤러(33)와 받이롤러(36)가 맞물린 상태에서 미끌림이 발생될 경우 점착테이프(2)가 뒤틀린 상태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점착테이프(2)에 절단눈금(4)이 원위치에 정확하게 형성될 수 없게 된다. 또한, 절단눈금(4)이 칼날판(37)의 구조와 같이 형성되기 때문에 절단눈금(2)을 형성할 때 점착테이프(2)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10-1097242(2011.12.21.)
제1 과제는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사이에서 테이프기재가 미끄러짐 없이 이송하도록 한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제2 과제는 테이프기재에 절취선을 정확하게 형성되게 할 수 있고, 테이프기재에 절취선을 형성할 때 발생되는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구현예는 지지플레이트에 회전축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롤러표면을 따라 미끌림방지부가 구비된 하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와 맞물려 테이프기재를 배출하고, 원주면 길이방향으로 절취선 기재칼날이 장착되어 상기 접착테이프 기재의 폭방향으로 절취선을 형성시키는 상부롤러 및, 중심 회전축의 양선단부 회전판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회전판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코어 회전축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롤러와 상부롤러를 통과한 테이프기재를 일정길이 만큼 상기 코어 회전축에 각각 와인딩하는 터렛을 포함한다.
상기 터렛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면서 기재칼날을 통해 상기 코어 회전축의 코어에 감긴 테이프기재를 절단하는 기재절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재절단부는 양선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따라 승하강 하는 수평가이드와, 상기 수평가이드에 슬라이드 결합되고 기재칼날이 상부로 돌출되게 장착된 슬라이드블록 및, 상기 수평가이드를 작동시키는 절단부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재절단부를 통과한 상기 코어 회전축의 코어에 감긴 테이프기재의 외표면에 포장지를 래핑하는 포장지와래핑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포장지래핑부는 상기 터렛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코어에 감긴 테이프기재와 맞닿아 움직이면서 포장지를 래핑하는 수평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승하강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터렛은 상기 코어 회전축이 상기 중심 회전축을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90ㅀ간격으로 테이프기재 와인딩, 테이프기재 절단, 포장지 래핑, 테이프기재 인출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절취선 칼날은 수평 칼날부와 수평 홈부가 교차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로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절취선 칼날의 수평 칼날부와 수평 홈부는 그 폭간격이 3 : 1 내지 6 : 1 비율로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티렛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코어 회전축에 맞닿아 회전하면서 테이프기재를 안내하는 압동롤러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압동롤러는 상기 하부롤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이루고 동일한 구성수단에 의해 구동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현예에 의하면,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된 하부롤러와 상부롤러에 의해 테이프기재가 미끌림없이 압출방식으로 이송됨으로써 테이프기재가 손상없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롤러에 형성된 절취선 칼날의 수평 칼날부가 테이프기재의 정확한 위치에서 절단되고, 수평 홈부(미절단부)가 폭에 비하여 수평 칼날부의 폭이 크게 형성되어 점착테이프를 절취선에 따라 손쉽게 절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롤러와 상부롤러를 통과할 때 절취선 칼날에 따른 테이프기본의 절취선 오형성에 따는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테이프기재 와인딩, 테이프기재 절단, 포장지 래핑, 테이프기재 인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의 측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의 정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의 절취선형성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의 기재절단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의 포장지래핑부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의 측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의 정면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의 지지플레이트(12) 사이에 하부롤러(20), 상부롤러(30), 터렛(40), 압동롤러(50), 기재절단부(60), 포장지래핑부(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2)의 일측에는 컨트롤박스(8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박스(80)의 내부에 상기 하부롤러(30)와 압동롤러(50)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와인딩장치의 하부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양쪽으로 지지플레이트(12)가 수직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2)에는 상기 하부롤러(20), 상부롤러(30), 터렛(40), 압동롤러(50)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회전축(22,32,42,52)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지지플레이트(12)의 사이에는 상기 하부롤러(20)와 상부롤러(30)를 기준으로 전/후방에 복수의 가이드롤러(14,16)가 배치되어 테이프기재(M)를 수평방향으로 이송되게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롤러(20)와 상부롤러(30)는 테이프기재(M)를 사이에 두고 맞물려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부롤러(20)는 회전축(22)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22)의 선단부에 기어(2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롤러(20)는 컨트롤박스(80)의 구동수단을 통해 일정속도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어(24)는 하부롤러(20)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부롤러(20)는 표면을 따라 미끌림방지부(20a)가 롤러표면을 따라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롤러(30)와 맞물려 회전할 때 미끌림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미끌림방지부(20a)는 경질의 실리콘, 고무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롤러(20)의 직경은 상기 상부롤러(30)의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즉 2배 이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하부롤러(20)의 기어(24)는 후술하는 상부롤러(30)의 기어(34)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롤러(3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롤러(20)의 위쪽에 배치되고 있고, 회전축(32)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32)의 선단부에 기어(34)가 설치되어 상기 하부롤러(20)의 기어(24)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기어(34)는 상부롤러(30)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롤러(30)는 원주면 길이방향으로 절취선 칼날(36)이 부분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절취선 칼날(36)은 상부롤러(30)의 원주면에 대하여 180ㅀ간격으로 1쌍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절취선 칼날(3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칼날부(36a)와 수평 홈부(36b)가 교차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 칼날부의 폭간격(D)과 수평 홈부의 폭간격(d)은 3 : 1, 4 : 1, 5 : 1 또는 6 : 1 비율로 형성할 수 있다. 수평 칼날부의 폭간격(D)와 수평 홈부의 폭간격(d)이 4 : 1 또는 5 : 1 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부롤러(30)는 상기 하부롤러(20)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절취선 칼날(36)을 통해 테이프기재(M)에 일정길이마다 절취선을 형성한 후 뒤쪽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부롤러(30)는 승하강 실린더(38)를 통해 상기 하부롤러(20)를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터렛(40)은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회전축(42)의 양선단부에 각각 회전판(44)이 구비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중심 회전축(42)을 기준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회전판(44)을 따라 복수의 코어 회전축(46)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코어 회전축(46)은 코어(C)를 삽입하고 테이프기재(M)를 일정길이로 와인딩한 후 후술하는 기재절단부(60)를 통해 절단하고 포장지(W)를 입힌 다음 인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터렛(40)은 상기 코어 회전축(46)이 상기 중심 회전축(42)을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회전판(44)에 4개가 설치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90ㅀ간격으로 테이프기재(M) 와인딩, 테이프기재(M) 절단, 포장지(W) 래핑, 테이프기재(M) 인출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압동롤러(5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티렛(40)의 전방에 상기 지지플레이트(12)에 회전축(52)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코어 회전축(42)에 장착된 테이프기재(M)과 맞닿아 회전하면서 테이프기재(M)를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압동롤러(50)는 테이프기재(M)가 와인딩 직전까지 안내지지하는 것은 물론, 터렛(40)의 코어 회전축(46)에 장착된 테이프기재(M)와 맞닿으면서 테이프기재(M)가 들뜨지않고 순차적으로 와인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압동롤러(50)는 상기 하부롤러(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이루고 컨트롤박스(80)의 구동수단을 통해 일정속도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재절단부(60)는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선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2)를 따라 승하강 하는 수평가이드(62)와, 상기 수평가이드(62)에 슬라이드 결합되고 기재칼날(65)이 상부로 돌출되게 장착된 슬라이드블록(64) 및 상기 수평가이드(62)를 승하강시키는 절단부 액츄에이터(6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가이드(62)는 양선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2)의 측벽에 설치된 가이드바(63)와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제1 액츄에이터(66)의 로드(66a)가 신축함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12)를 따라 상기 터렛(40)과 나란하게 승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볼록(64)은 상기 수평가이드(62)에 슬라이드 결합 되고 상부에 기재칼날(65)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터렛(40)의 수평방향을 이동하면서 상기 기재칼날(65)을 통해 상기 코어 회전축(42)에 와인딩된 테이프기재(M)를 절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절단부 액츄에이터(66)는 로드(66a)가 상기 수평가이드(62)의 하부에 연결되어 신축함에 따라 상기 수평가이드(62)를 상기 지지플레이트(12)의 측벽에 설치된 가이드바(63)를 따라 승하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블록(66)은 수평방향으로 선택 이동시키는 수평이송수단(미도시)을 통해 상기 수평가이드(62)를 따라 좌에서 우 또는 우에서 좌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포장지래핑부(70)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재절단부(60)를 통과한 코어회전축(46)의 코어(C)에 감긴 테이프기재(M)의 외표면에 포장지(W)를 래핑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포장지래핑부(70)는 상기 터렛(40)의 하부에 배치되고 코어(C)에 감긴 테이프기재(M)와 맞닿아 움직이면서 포장지를 래핑하는 수평이송부(72)와, 상기 수평이송부(72)를 승하강시키는 래핑부 액츄에이터(74)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구성에 의하면, 미끄럼방지부(20a)가 형성된 하부롤러(20)와 상부롤러(30)에 의해 테이프기재(M)가 미끌림없이 압출방식으로 이송됨으로써 테이프기재(M)가 손상없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롤러(30)에 형성된 절취선 칼날(36)의 수평 칼날부(36a)가 테이프기재(M)의 정확한 위치에서 절단되고, 수평 홈부(36b)의 폭에 비하여 수평 칼날부(36a)의 폭이 크게 형성되어 점착테이프의 절취선을 따라 손상없이 절단할 수 있다. 또한, 터렛(40)을 기준으로 90ㅀ간격으로 테이프기재 와인딩, 테이프기재 절단, 포장지 래핑, 테이프기재 인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베이스프레임 12 : 지지플레이트
14, 16 : 가이드롤러 20 : 하부롤러
22 : 회전축 24 : 기어
30 : 상부롤러 32 : 회전축
34 : 기어 36 : 절취선 칼날
38 : 승하강 실린더 40 : 터렛
42 : 중심 회전축 44 : 회전판
46 : 코어 회전축 50 : 압동롤러
52 : 회전축 60 : 기재절단부
62 : 수평가이드 63 : 가이드바
64 : 슬라이드블록 65 : 기재칼날
66 : 절단부 액츄에이터 70 : 포장지래핑부
72 : 수평이송부 74 : 래핑부 액츄에이터
80 : 컨트롤박스
C : 코어 M : 테이프기재
W : 포장지

Claims (7)

  1. 지지플레이트에 회전축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롤러표면을 따라 테이프기재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끌림방지부가 구비된 하부롤러;
    상기 하부롤러와 맞물려 테이프기재를 배출하고, 원주면 길이방향으로 절취선 칼날이 장착되어 상기 테이프기재의 폭방향으로 절취선을 형성시키는 상부롤러;
    상기 하부롤러와 상부롤러를 통과한 테이프기재를 일정길이 만큼 와인딩하는 터렛; 및
    상기 터렛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터렛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면서 기재칼날을 통해 상기 터렛에 감긴 테이프기재를 절단하는 기재절단부;를 포함하는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렛은 중심 회전축의 양선단부에 회전판이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회전판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코어 회전축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롤러와 상부롤러를 통과한 테이프기재를 일정길이 만큼 상기 코어 회전축에 각각 와인딩하는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재절단부를 통과한 상기 코어 회전축의 코어에 감긴 테이프기재의 외표면에 포장지를 래핑하는 포장지래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터렛은 상기 코어 회전축이 상기 중심 회전축을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90°간격으로 테이프기재 와인딩, 테이프기재 절단, 포장지 래핑, 테이프기재 인출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 칼날은 수평 칼날부와 수평 홈부가 교차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 칼날부와 수평 홈부의 폭간격은 3 : 1 내지 6 : 1 비율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
KR1020190170116A 2019-12-18 2019-12-18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 KR102161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116A KR102161922B1 (ko) 2019-12-18 2019-12-18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116A KR102161922B1 (ko) 2019-12-18 2019-12-18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290A Division KR102059587B1 (ko) 2018-06-22 2018-06-22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400A KR20200000400A (ko) 2020-01-02
KR102161922B1 true KR102161922B1 (ko) 2020-10-05

Family

ID=69155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116A KR102161922B1 (ko) 2019-12-18 2019-12-18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9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980B1 (ko) * 2020-06-15 2020-11-13 권오식 테이프 제조용 압출장치
KR102409736B1 (ko) * 2020-08-05 2022-06-16 (주)광진상사 청소용 점착테이프롤 제조 장치
CN112623813A (zh) * 2020-12-14 2021-04-09 刘永 一种建筑用篷布收卷机
CN112935011B (zh) * 2021-01-27 2023-03-21 重庆望变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硅钢卷取机卷筒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649B1 (ko) * 2010-01-22 2010-12-01 주식회사 신광엔지니어링 로딩장치 및 지관 자동 공급장치
KR101300834B1 (ko) * 2010-09-13 2013-08-29 김형민 롤타입 물티슈 제조장치
KR101720876B1 (ko) * 2015-10-12 2017-04-10 이화영 포장지 개구 스티커 리드 자동 부착 장치
KR101793152B1 (ko) * 2017-04-11 2017-11-02 안영섭 절취선 중앙에 절단부가 형성된 비닐봉지 제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5046B (zh) 2010-03-31 2014-06-25 尼托母斯股份有限公司 粘接带辊及该粘接带辊的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649B1 (ko) * 2010-01-22 2010-12-01 주식회사 신광엔지니어링 로딩장치 및 지관 자동 공급장치
KR101300834B1 (ko) * 2010-09-13 2013-08-29 김형민 롤타입 물티슈 제조장치
KR101720876B1 (ko) * 2015-10-12 2017-04-10 이화영 포장지 개구 스티커 리드 자동 부착 장치
KR101793152B1 (ko) * 2017-04-11 2017-11-02 안영섭 절취선 중앙에 절단부가 형성된 비닐봉지 제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400A (ko)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1922B1 (ko)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
KR102059587B1 (ko)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
US20110266386A1 (en) Automatic fast rewinder for shaftless packing film
US33830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winding web material with constant tension
KR101994983B1 (ko) 시트재 자동 절단 장치
CN210210487U (zh) 薄膜分切机
US5634875A (en) Folding machine
EP1520814A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logs on output from a rewinding machine
US3482793A (en) Winder for web materials
JP4978414B2 (ja) ロール紙継ぎ部排出装置
KR100733411B1 (ko) 원지테이프 권취장치
KR101593068B1 (ko) 슬리팅 필름 권취방법 및 슬리팅 필름 권취장치
JP2006056675A (ja) 板材の合紙セット装置
US7261253B2 (en) Rewind arms for plastic film slitting apparatus
JP3475137B2 (ja) 巻取装置
JPH03158350A (ja) 多軸ターレット型巻取機のシート切断端処理装置
CN219408567U (zh) 一种具有调节功能的分切机
JP2592783B2 (ja) 原紙の芯無し自動小巻き方法
ITMI20002399A1 (it) Macchina ribobinatrice periferica e metodo per la produzione di logs di materiali in foglio
JP3388890B2 (ja) 巻取装置の巻取材料巻付装置
JP2016168814A (ja) ゴムストリップ巻付け装置
CN114314115A (zh) 一种弹性绷带自动卷带设备及其方法
JPS63171755A (ja) シ−ト材巻きぐせ除去装置
JPS61255840A (ja) ゴムシ−トの切断装置
CN103204404A (zh) 宽幅卷材分切装置及分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