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411B1 - 원지테이프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원지테이프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411B1
KR100733411B1 KR1020060065783A KR20060065783A KR100733411B1 KR 100733411 B1 KR100733411 B1 KR 100733411B1 KR 1020060065783 A KR1020060065783 A KR 1020060065783A KR 20060065783 A KR20060065783 A KR 20060065783A KR 100733411 B1 KR100733411 B1 KR 100733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er
paper tape
guide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훈
Original Assignee
지리산한지(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리산한지(유) filed Critical 지리산한지(유)
Priority to KR1020060065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02Stationary rods o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Landscapes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지 슬리터장치에 의하여 절단되어 형성된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권취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축지지되고 구동부재에 의하여 회전하는 권취롤러와; 원지테이프가 권취되는 지관이 상기 권취롤러에 접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지관을 축지지하는 지지축과; 상기 원지테이프를 상기 지관에 좌우로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가이드하는 트래버스와; 자중에 의하여 상기 지관을 가압하도록 상기 지지축상에 설치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테이프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원지테이프 권취장치는 원지슬리터장치에 의하여 절단 형성된 원지 테이프를 사절없이 단단하게 지관에 권취하여 지관에 권취된 원지 테이프층이 무너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지관에 많은 양의 원지테이프를 권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슬리터, 권취, 원지, 한지

Description

원지테이프 권취장치{WINDER FOR PAPER TAPE}
도 1은 본 발명의 원지테이프의 권취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가이드부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트래버스, 권취롤러, 지지축 및 가압롤러를 일부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30: 가이드부
310: 복수의 가이드핀 320: 지지대
350: 제1가이드축 370: 제2가이드축
510: 트래버스 512: 트래버스 가이드
514: 트래버스 로드 530: 권취롤러
532: 회전축 550: 지지축
552: 고정축 554: 측판
570: 가압롤러 60: 지관
80: 원지테이프 90: 원지 슬리터장치
910: 이송롤러
본 발명은 원지 슬리터장치에 의하여 절단되어 형성된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권취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축지지되고 구동부재에 의하여 회전하는 권취롤러와; 원지테이프가 권취되는 지관이 상기 권취롤러에 접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지관을 축지지하는 지지축과; 상기 원지테이프를 상기 지관에 좌우로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가이드하는 트래버스와; 자중에 의하여 상기 지관을 가압하도록 상기 지지축상에 설치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테이프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지 슬리터장치에 의하여 절단되어 형성된 복수의 원지테이프는 권취장치에 의하여 지관에 권취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권취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동부재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권취롤러와, 원지테이프가 권취되는 지관을 상기 권취롤러에 접하도록 축지지하는 지지축과, 상기 원지테이프를 상기 지관에 좌우로 공급하여 상기 지관에 원지테이프를 순차적으로 층으로 권취시키기 위한 트래버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권취롤러, 지지축 및 트래버스는 상기 프레임에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권취롤러 등은 하나의 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는 상기 원지 슬리터장치로부터 절단 형성된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각각 방사상으로 펼쳐 해당되는 상기 트래버스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가이드핀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원지슬리터의 이송롤러의 높이는 상기 프레임의 상단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낮기 때문에 원지테이프가 상기 복수의 가이드핀을 통과시 큰 마찰이 발생하여 빈번하게 사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원지 테이프의 경우 신도가 2~3%로서 매우 낮아 상기 권취롤러의 표면속도를 상기 원지슬리터장치의 이송롤러의 표면속도와 동일 또는 미소만큼 크게함으로써, 상기 지관에 원지테이프가 단단하게 권취되지 않아 상기 지관에 형성된 원지테이프의 층이 종종 무너지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권취량이 적은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지슬리터장치에 의하여 절단 형성된 원지 테이프를 사절없이 단단하게 지관에 권취하여 지관에 권취된 원지 테이프층이 무너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지관에 많은 양의 원지테이프를 권취할 수 있는 원지테이프 권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원지슬리터장치에 의 하여 절단된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권취하기 위한 장치로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축지지되고 구동부재에 의하여 회전하는 권취롤러와; 원지테이프가 권취되는 지관이 상기 권취롤러에 접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지관을 축지지하는 지지축과; 상기 원지테이프를 상기 지관에 좌우로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가이드하는 트래버스와; 자중에 의하여 상기 지관을 가압하도록 상기 지지축상에 설치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테이프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측으로 개방된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의 양단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지지편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롤러의 축의 양단은 상기 지지편의 가이드 슬릿에 게재되어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지관을 자중에 의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테이프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핀과, 상기 복수의 가이드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제1가이드롤러 및 제2가이드롤러가 구비되고,
원지 슬리터장치에 의하여 절단형성된 복수의 원지테이프가 상기 제1가이드롤러, 상기 복수의 가이드 중 상호 인접한 가이드핀 사이의 가이드공간 및 상기 제2가이드롤러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트래버스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테이프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원지테이프(80)의 권취장치를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 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지테이프(80)의 권취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원지테이프(80) 권취장치는 원지 슬리터장치(90)에 의하여 절단된 복수의 원지테이프(80)를 지관(60)에 권취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원지테이프(8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0)와, 상기 프레임(10)에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권취롤러(530)와, 상기 원지테이프(80)가 권취되는 지관(60)이 상기 권취롤러(530)에 접하도록 축지지하는 지지축(550)과, 상기 원지테이프(80)가 상기 지관(도 3의 60)에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하여 패키지를 형성하는 트래버스(510)와, 상기 지지축(550)상에 자중에 의하여 상기 지관(도 3의 60)을 가압하는 가압롤러(5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권취롤러(530), 상기 지지축(550), 상기 트래버스(510) 및 상기 가압롤러(570)는 상기 원지 슬리터장치(90)에 의하여 절단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원지테이프(80)의 수에 따라 적정의 복수의 단으로 상기 프레임(10)에 도 1과 같이 형성된다.
도 2는 가이드부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먼저 상기 가이드부(30)는 상기 원지 슬리터장치(90)에 의하여 절단된 복수의 원지테이프(80)를 방사상으로 펼쳐 해당 상기 트래버스(510)로 사절없이 원활하게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핀(310)과, 상기 복수의 가이드핀(3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롤러(350) 및 제2가이드롤러(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핀(310)은 상기 원지 슬리터장치(90)로부터 절단되어 형성된 복수의 원지테이프(80)를 방사상으로 펼쳐 상기 트래버스(510)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10)의 상단부에 설치된 지지대(320)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핀(310) 중 상호 인접한 가이드핀(310)에 의하여 형성된 가이드 공간으로 상기 복수의 원지테이프(80)가 각각 통과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원지테이프(80)는 방사상으로 분리되어 각각 해당 상기 트래버스(510)를 통과되고, 상기 권취롤러(530)에 의하여 상기 지관(도 3의 60)에 권취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대(320)상에 설치된 상기 인접한 가이드핀(311)(313)에 의하여 형성된 가이드 공간(310a)으로 상기 원지테이프(80)가 통과시 상기 원지테이프(80)와 상기 지지대(320)의 상부면, 상기 가이드핀(310)과 마찰이 이루어지고, 마찰이 상기 원지테이프(80)에 크게 작용되는 경우 상기 원지테이프(80)가 빈번하게 사절된다.
상기 원지테이프(80)와 상기 가이드핀(310)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사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가이드롤러(350) 및 상기 제2가이드롤러(370)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제1가이드롤러(350) 및 상기 제2가이드롤러(370)를 상기 원지테이프(80)가 상기 상호 인접한 가이드핀(311)(313)에 의하여 형성된 가이드공간(310a)을 통과시 상기 지지대(320)와 접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가이드핀(3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원지테이프(80)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원지테이프(80)의 사절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원지테이프(80)의 사절율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하여 상기 제1가이드롤러(350) 및 상기 제2가이드롤러(370)를 구동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원지테이프(80)의 공급속도와 동일 또는 미소만큼 빠른속도로 공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좋다.
도 3은 트래버스, 권취롤러, 지지축 및 가압롤러를 일부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그리고 상기 트래버스(510)는 도 3과 같이 상기 복수의 가이드핀(310)을 통과한 상기 원지테이프(80)를 상기 지관(60)에 좌우로 순차적으로 권취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3과 같이 트래버스 로드(514)와, 상기 트래버스 로드(514)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트래버스 가이드(512)로 구성된다.
상기 트래버스 로드(514)는 상기 프레임(10)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좌우 이동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좌우 왕복운동을 행한다.
이때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좌우 왕복운동 거리를 일정하게 하여 원기둥형상으로 원지테이프(80)를 감을 수 도 있고, 또한 좌우 왕복운동거리를 점차적으로 단축하여 원추형상으로 원지테이프(80)를 감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좌우이동부재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512)는 상기 트래버스 로드(514)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가이드핀(310)을 통과한 상기 원지테이프(80)를 상기 지관(60)에 좌우로 공급한다. 이러한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512)의 간격은 상기 권취롤러(530)의 간격과 동일하도록 상기 트래버스 로드(514)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권취롤러(530)는 상기 지관(6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트래버스 로드(514)의 후방에 위치하는 회전축(532)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532)는 구동부재(미도시)에 의하여 회전된다.
상기 회전축(532)은 상기 권취롤러(530)의 표면속도와 상기 원지 슬리터장치(90)의 이송롤러(910)의 표면속도와 동일 또는 미소만큼 크게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상기 원지 슬리터장치(90)에 의하여 절단되어 형성된 원지테이프(80)의 신도가 대략 2~3%로서 낮기 때문에 상기 권취롤러(530)의 표면속도를 크게 할 경우 상기 원지테이프(80)가 쉽게 사절되기 때문이다.
상기 권취롤러(530)의 상측에는 상기 지관(60)을 선택적으로 회전지지하는 지지축(550)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축(550)은 상기 프레임(10)에 축고정된 고정축(552)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한쌍의 측판(554)에 축설치된다.
상기 지지축(550)의 설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지관(60)을 상기 권취롤러(530)상에 선택적으로 접하도록 고정하여 상기 권취롤러(5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관(6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족하다.
한편, 상기 지지축(550)에 축지지되는 상기 지관(60)을 상기 권취롤러(530)에 의하여 슬립없이 효과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권취롤러(530)의 표면층의 재질을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재질, 코르크재질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상기 지지축(550)상에 상기 지지축(550)에 축지지되는 상기 지관(60)을 자중에 의하여 가압할 수 있는 가압롤러(570)가 구비된다.
상기 권취롤러(530)의 표면속도를 상기 원지 슬리터장치의 이송롤러의 표면속도와 동일 또는 미소만큼 크게 함으로써, 상기 권취롤러(530)와 접하여 회전하는 상기 지관(60)에 상기 원지테이프(80)를 단단하게 권취하지 못하여 상기 지관(60)에 형성된 상기 원지테이프(80)의 층이 빈번하게 무너질 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원지테이프를 권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 가압롤러(570)를 이용하여 상기 지관(60)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지관(60)과 상기 권취롤러(530)의 마찰력을 증대하여 상기 지관(60)이 상기 권취롤 러(530)와 슬립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하고, 또한 상측에서 이미 권취된 원지테이프의 층을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지관(60)에 원지테이프(80)가 단단하게 감길 뿐만 아니라 권취 도중 원지테이프 층이 무너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가압롤러(570)의 구성은 상기 지관(6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상기 지관(60)을 가압할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나, 도 3과 같이 상기 지지축(550)의 양단에 상측이 개방된 가이드슬릿(575a)이 형성된 지지편(575)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압롤러(570)의 축이 상기 지지편(575)의 가이드슬릿(575a)에 게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지관(60)에 권취된 상기 원지테이프(80)의 층의 두께에 따라 상기 가압롤러(570)의 축은 상기 지지편(575)의 가이드슬릿(575a)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항상 같은 압력으로 상기 지관(60)을 가압할 수 있어 상기 지관(60)의 슬립 및 상기 지관(60)에 권취된 원지테이프 층의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지관(60)에 원지테이프를 단단하게 권취할 수 있어 권취량을 대폭 늘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지관(60)을 자중에 의하여 가압하는 가압롤러(57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지관과 상기 권취롤러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상기 지관의 슬립을 방지시켜 원지테이프를 효과적으로 권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지관에 원지테이프가 단단하게 권취되어 권취량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 니라 상기 가압롤러가 이미 권취된 원지테이프층을 가압하여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550)의 양단에 상측으로 개방된 가이드 슬릿(575a)이 형성된 지지편(575)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가압롤러(570)의 축의 양단을 상기 지지편(575)의 가이드 슬릿(575a)에 게재함으로써, 상기 지관에 원지테이프층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슬릿을 따라 상기 가압롤러가 상승하여 항상 동일한 압력 즉 자중에 의한 압력으로 상기 지관을 가압하여 상기 지관의 슬립 및 상기 권취된 원지테이프 층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상단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핀(310)과, 상기 복수의 가이드핀(3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제1가이드롤러(350) 및 제2가이드롤러(37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원지슬리터장치의 이송롤러에 의하여 이송되는 원지테이프와 상기 복수의 가이드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상기 원지테이프의 사절을 대폭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원지슬리터장치에 의하여 절단된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권취하기 위한 장치로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축지지되고 구동부재에 의하여 회전하는 권취롤러와; 원지테이프가 권취되는 지관이 상기 권취롤러에 접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지관을 축지지하는 지지축과; 상기 원지테이프를 상기 지관에 좌우로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가이드하는 트래버스와; 자중에 의하여 상기 지관을 가압하도록 상기 지지축상에 설치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측으로 개방된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의 양단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지지편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롤러의 축의 양단은 상기 지지편의 가이드 슬릿에 게재되어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지관을 자중에 의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테이프 권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핀과, 상기 복수의 가이드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제1가이드롤러 및 제2가이드롤러가 구비되고,
    원지 슬리터장치에 의하여 절단형성된 복수의 원지테이프가 상기 제1가이드롤러, 상기 복수의 가이드 중 상호 인접한 가이드핀 사이의 가이드공간 및 상기 제2가이드롤러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트래버스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테이프 권취장치.
  3. 삭제
KR1020060065783A 2006-07-13 2006-07-13 원지테이프 권취장치 KR100733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783A KR100733411B1 (ko) 2006-07-13 2006-07-13 원지테이프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783A KR100733411B1 (ko) 2006-07-13 2006-07-13 원지테이프 권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3411B1 true KR100733411B1 (ko) 2007-06-29

Family

ID=38373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783A KR100733411B1 (ko) 2006-07-13 2006-07-13 원지테이프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4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495B1 (ko) * 2008-08-18 2010-12-06 김강훈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30257A1 (en) 1988-02-26 1989-08-30 FORMIA NUOVA S.r.L. Fabric rolling unit of tangential type, with a load-control device
KR19980069510A (ko) * 1997-02-28 1998-10-26 이만복 자동 매트 권취기
JPH10338395A (ja) 1997-06-05 1998-12-22 Kataoka Mach Co Ltd シート分割巻取装置
JP2003221149A (ja) 2002-01-29 2003-08-05 Ozeki Techno Kk 紙のスリット、巻き取り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30257A1 (en) 1988-02-26 1989-08-30 FORMIA NUOVA S.r.L. Fabric rolling unit of tangential type, with a load-control device
KR19980069510A (ko) * 1997-02-28 1998-10-26 이만복 자동 매트 권취기
JPH10338395A (ja) 1997-06-05 1998-12-22 Kataoka Mach Co Ltd シート分割巻取装置
JP2003221149A (ja) 2002-01-29 2003-08-05 Ozeki Techno Kk 紙のスリット、巻き取り方法及びその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495B1 (ko) * 2008-08-18 2010-12-06 김강훈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96843B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wrapping loadable objects
KR102161922B1 (ko)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
JP2006256769A (ja) 板ガラス製品の合紙供給装置
KR100733411B1 (ko) 원지테이프 권취장치
KR102059587B1 (ko)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와인딩장치
US5842663A (en) Winding of tape into pads
KR101403666B1 (ko) 대형 폭의 비닐 폴딩장치
CN216734916U (zh) 一种平板玻璃包装用支架
JP2017114581A (ja) シート巻取装置
JP2015048219A (ja) プリンタ装置
JP7367039B2 (ja) 複数の梱包用の厚紙シートを互いに連続的に接合することによって、梱包用の厚紙片を具現化するための装置
CN204369205U (zh) 一种纸筒卷带机
EP1270484A2 (en) Apparatus for unwinding wire from reels with high inertia
JP6092739B2 (ja) プリンタ装置
JP2003276915A (ja) 巻取部自動切替装置
CN210102137U (zh) 片材供给装置
KR102219005B1 (ko) 코드 밴드 절단용 슬리터
US3718354A (en) Apparatus for sectionally delivering a web from a storage roll
JP4562349B2 (ja) ウエブの巻き取り装置及び方法
US200401298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nding of webs
JP2008213919A (ja) 保護シート積込装置
JP2007161409A (ja) アキューム装置
JPH09278242A (ja) 帯状物の巻取装置
US34593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nsioning a moving strip
KR101350209B1 (ko) 필름 슬리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