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092B1 - 솥 자동회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솥 자동회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092B1
KR102158092B1 KR1020190096756A KR20190096756A KR102158092B1 KR 102158092 B1 KR102158092 B1 KR 102158092B1 KR 1020190096756 A KR1020190096756 A KR 1020190096756A KR 20190096756 A KR20190096756 A KR 20190096756A KR 102158092 B1 KR102158092 B1 KR 102158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gear
rolling means
rotation
driv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희
Original Assignee
김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희 filed Critical 김은희
Priority to KR1020190096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솥 자동회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솥 자동회전장치는, 프레임 본체에 체결 및 고정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하부 고정판, 회전기어에 맞물려 회전기어와 함께 회전 구동하는 구동기어, 및 일면이 구동기어에 체결되어 구동기어와 함께 회전 구동하며, 타면에는 솥을 움직이기 위한 복수의 롤링수단을 갖는 상부 회전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솥 자동회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Rotatio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otating Kettl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솥 자동회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음식점에서 사용되는 대형 솥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면서 음식을 저어 내부 음식을 끓이거나 익히는 솥 자동회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인원이 식사를 하는 대형 식당이나 군부대, 학교, 관공서 등의 구내식당에는 밥이나 국과 같은 음식을 대량으로 조리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상부에는 대형 솥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레임 하부에는 솥에 화력을 제공하는 가스버너와 같은 화력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대형 조리용 솥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대부분의 식당들은 큰 솥 등의 음식을 끓일 때 눌어붙지 않도록 저어 주기 위하여 주걱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저어주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주걱을 이용해 수동으로 저어주는 경우에는 일정하게 저어줄 수 없고, 또 사람이 항상 옆에서 대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음식점 매장에서 직접 조리를 하는 경우, 주위에 있는 사람들에게 음식물이 튈 위험이 항상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37038호(2010.01.0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75769호(2016.11.08)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22754호(2008.04.10)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05261호(2016.03.30)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47781호(2018.04.04)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음식점에서 사용되는 대형 솥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면서 음식을 저어 내부 음식을 끓이거나 익히는 솥 자동회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솥 자동회전장치는, 프레임 본체에 체결 및 고정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하부 고정판, 상기 회전기어에 맞물려 상기 회전기어와 함께 회전 구동하는 구동기어, 및 일면이 상기 구동기어에 체결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함께 회전 구동하며, 타면에는 솥을 움직이기 위한 복수의 롤링수단을 갖는 상부 회전판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고정판은,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주변으로 상기 구동기어의 체결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하부 고정판과 상기 구동기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을 돕는 제1 롤링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회전판은, 상기 구동기어를 상기 일면에 체결하는 체결부, 및 외부 가장자리 영역으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 회전판의 회전을 돕는 제2 롤링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롤링수단은, 상기 상부 회전판의 일면과 타면으로 각각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롤링수단의 일측은 상기 하부 고정판과 접촉하며, 타측은 상기 상부 회전판의 가장자리를 덮는 테두리부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솥 자동회전장치는, 상기 하부 고정판의 외곽에 구비되어 상기 솥을 안착시키는 안착부, 및 일측은 상기 안착부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솥의 음식물을 젖기 위해 상기 솥의 내부로 투입되는 주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솥 자동회전장치의 구동방법은, 하부 고정판, 구동기어 및 상부 회전판을 포함하는 솥 자동회전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프레임 본체에 체결 및 고정되는 상기 하부 고정판상에 구비되는 회전기어를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단계, 상기 회전기어에 맞물려 있는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 구동시키는 단계, 및 일면이 상기 구동기어에 체결되고 타면에 솥을 움직이기 위한 복수의 롤링수단을 갖는 상기 상부 회전판을 상기 구동기어와 함께 회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 식당의 경우에도 큰 솥을 이용하여 음식을 만드는 경우,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 회전시킴으로써 편리하게 음식을 조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음식점 매장에서 직접 요리를 하는 경우에도 음식물이 주변의 사람들에게 튀지 않게 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솥 자동회전장치를 이용한 자동회전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솥 자동회전장치의 구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솥 자동회전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솥 자동회전장치를 이용한 솥 자동회전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솥 자동회전시스템(90)은, 하부 고정판(110), 회전기어(120), 구동기어(160) 및 상부 회전판(17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고, 제1 롤링수단(140), 제2 롤링수단(180) 및 제3 롤링수단(19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더 포함하며, 나아가 프레임 본체(100), 제1 가이드부(130), 안착부(150), 테두리부(210), 솥(220), 주걱부(230), 솥뚜껑(240) 및 음식물튐방지부(25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제3 롤링수단(190)과 같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구동기어(16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상부 회전판(170)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프레임 본체(혹은 본체 프레임)(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고정판(110)을 체결 및 고정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서는 알루미늄 철골구조로 뼈대를 형성하여 프레임 본체(100)를 구성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본체(100)는 음식점의 매장에 설치되는 경우 하부 고정판(110)을 테이블상에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이때 테이블은 프레임 본체(100)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 본체(100)는 다양한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프레임 본체(100)상에는 하부 고정판(110)이 구비된다. 하부 고정판(110)은 프레임 본체(100)에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고정판(110)은 가령 원형을 이루고 그 중앙 부위에 관통홀을 형성하며, 해당 관통홀 부위에는 가스버너와 같은 화염부 또는 화염수단(390)이 배치될 수 있다. 철판 즉 하부 고정판(110)의 일측에는 회전기어(120)와 제1 롤링수단(140)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하부 고정판(110)은 관통홀의 주변으로 제1 가이드부(130)를 더 포함한다. 하부 고정판(110)상에는 가령 상부 회전판(170)과 같은 다양한 부품을 이후에 체결하기 위한 다양한 패턴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이후에 기술하는 부품들의 체결 과정을 통해서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하부 고정판(110)은 가령 원형의 원판을 준비한 후 펀처를 이용해 구멍을 뚫거나 절삭기를 이용해 절삭하는 등의 동작을 통해 위의 특정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하부 고정판(110)을 형성하기 위하여 금형틀을 준비하고, 프레스기에서 해당 금형틀에 주물을 주입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하부 고정판(110)의 일 영역에는 회전기어(120)가 구비된다. 회전기어(120)는 하부 고정판(110)을 기준으로 그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모터 구동부에 의해 동작한다(도 11 참조). 모터 구동부는 가령 나사와 볼트 체결 구조를 갖는 4개의 체결부(97)를 통해 하부 고정판(110)에 고정되며, 모터 구동부를 구성하는 모터의 구동축을 회전기어(120)에 연결하고, 모터의 구동에 따라 구동축이 회전하면, 그에 연결된 회전기어(120)가 회전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모터 구동부는 CPU 등의 제어회로를 포함하므로 가속기나 감속기 등을 제어하여 모터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하부 고정판(110)의 외부 가장자리영역으로는 솥 또는 솥이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착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50)는 이후에 좀더 다루겠지만, 안착부(150)에 솥이 놓이는 경우, 솥 내의 음식을 젓기 위한 주걱부(230)가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주걱부(230)는 안착부(150)에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에 있지만, 안착부(150)에 안착된 솥은 하부의 회전장치(300)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솥 내의 음식물이 저어지게 된다. 안착부(150)는 솥이 안정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하부 고정판(110)에 구비되는 회전기어(120), 제1 가이드부(130) 및 제1 롤링수단(140)의 상측으로는 회전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회전장치(300)는 회전기어(120) 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회전장치(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160), 상부 회전판(170), 제2 롤링수단(180), 제3 롤링수단(190) 및 제2 가이드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어(160)는 상부 회전판(170)과 하부 고정부(혹은 체결부)(161)에 의해 체결된다. 하부 고정부(161)는 나사와 볼트 체결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의 구동기어(160)는 도 2에서 볼 때, 제1 가이드부(130)에 의해 안내되어 제1 롤링수단(140)상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구동기어(160)의 나사산과 회전기어(120)의 나사산이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기어(120)의 회전에 의해 구동기어(160)가 회전하게 되며, 구동기어(160)가 회전하게 되면, 다시 구동기어(160)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상부 회전판(170)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2 롤링수단(180)은 상부 회전판(170)이 회전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롤링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도 3은 회전장치(300)로서 구동기어(160)가 상부 회전판(170)과 체결되어 있는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상부 회전판(170)의 타면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부 회전판(170)의 외곽으로 구성되는 제2 롤링수단(18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상부 회전판(170)의 타면 중앙 부위를 따라서는 제3 롤링수단(190)이 구성된다. 여기서, 제3 롤링수단(190)은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해당 제3 롤링수단(190)에는 솥이 놓이게 된다. 상부 회전판(170)의 회전에 의해 솥이 회전하게 되며, 또 제3 롤링수단(190)에 의해서도 솥이 회전 또는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상부 회전판(170)의 외곽으로는, 더 정확하게는 제2 롤링수단(180)과 제3 롤링수단(190)의 사이에는 제2 가이드부(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 가이드(200)는 상부 회전판(170)의 외곽을 보호하기 위한 테두리부(210)가 놓이게 되며, 테두리부(210)는 제2 롤링수단(180)과 접촉하게 된다. 다시 말해, 테두리부(210)는 고정된 상태에 있지만, 제2 롤링수단(180)에 의해 회전장치(300)의 회전시에도 마찰이 발생하지는 않게 되는 것이다.
다시 정리해 보면, 도 4의 상부 회전판(170)의 하부에는 회전기어(120)와 그 회전기어(12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160)가 구비되며, 구동기어(160)는 상부 회전판(170)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며, 또 구동기어(160)의 하부에는 제1 롤링수단(140)을 구비함으로써 구동기어(160)의 회전을 돕는다. 다시 말해, 제1 롤링수단(140)에 의해 구동기어(160)가 롤링됨으로써 회전기어(120)를 회전시키는 모터의 부하가 적어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제2 롤링수단(180) 및 제3 롤링수단(190)의 경우에도 모터의 부하를 적게 하기 위하여 구비된다고 볼 수 있다. 회전장치(30)의 구동 메커니즘은 이후에 좀더 다루기로 한다.
도 4에서 볼 때, 하부 고정판(110)에 상부 회전판(17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그 중앙 영역에는 가스버너와 같은 화염수단(390)이 구비된다. 화염수단(39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회전장치(300)의 상측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솥(220)이 놓인다. 물론 솥(220)의 내부에는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이 담길 것이다. 솥(220)에 놓이는 음식은 안착부(150)에 고정되어 있는 주걱부(230)에 의해 저어지게 된다. 여기서, 주걱부(230)는 휘저음부 또는 주걱 등으로 명명될 수 있을 것이다. 주걱부(230)는 안착부(150)를 기준으로 솥(220)의 방향으로 회전, 더 정확하게는 일정 각도의 꺾임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주걱부(230)는 솥(220)의 내부에 음식이 담긴 후 음식의 휘저음이 필요한 경우 솥(220)의 방향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게 된다. 또한, 주걱부(230)는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바 형상을 갖지만, 솥(220)의 표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라운딩 즉 약간 휘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주걱부(230)가 솥(220)의 내부로 투입된 후, 그 상측, 다시 말해 솥(220)의 상측에는 솥뚜껑(240)이 덮일 수 있으며, 또 솥의 외부로는 음식물튐방지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음식물튐방지부(250)의 경우에는 가령 음식점 매장에서 손님들이 직접 솥(220)에 둘러앉아 음식을 먹고자 할 때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회전장치(300)상의 솥(220)은 회전장치(30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더 정확하게는 모터에 구동축에 연결되는 회전기어(120)와 그 회전기어(120)에 맞물려 회전하는 구동기어(160), 그리고 구동기어(160)를 일측에 체결하는 상부 회전판(170)의 회전에 의해 솥(220)의 내부 음식은 솥(220)의 내부로 투입된 주걱부(230)에 의해 휘저어지게 되면서, 이의 과정에서 음식이 완성되게 된다. 솥(220)은 가령 회전장치(300)와 좌우로 왔다갔다 회전을 하지만, 상부 회전판(170)에 구비되는 제3 롤링수단(190)에 의해 회전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또 다른 움직임을 발생시키면서 이의 과정에서 음식에 고르게 열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솥(220)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시에 제2 방향으로도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솥 자동회전장치의 구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8 내지 도 11을 도 1 내지 도 5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회전장치(300)는 하부 고정판(110)에 설치되어 모터 구동부(260)에 의해 구동하는 회전기어(120), 회전기어(12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160) 및 구동기어(160)에 체결되어 구동기어(16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상부 회전판(1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서 볼 때 상부 회전판(170)의 제3 롤링수단(190)상에는 솥이 놓이게 된다.
도 8에서 볼 때 하부 고정판(110)의 일 영역(111)에는 도 9에서와 같은 회전기어(120)가 체결되며, 이와 같은 체결에 의해 회전기어(120)는 도 1에서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기어(120)는 하부에 위치하는 도 11에서와 같은 형태의 모터 구동부(260)에 의해 구동하여 회전기어(120)에 맞물려 있는 구동기어(160)를 회전시킨다. 회전기어(120)는 모터 구동부(260)의 구동에 따라 좌우로 일정 시간만큼 회전할 수 있다. 모터 구동부(260)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모터와 모터를 전자적으로 제어 동작시키는 구동부 즉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구동축에는 회전기어(120)가 체결될 수 있다. 제어장치는 PCB 기판상에 구성되는 CPU와 그 주변회로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CPU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솥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동작은 조리하려는 음식의 종류나 조리량에 따라 제어동작이 상이할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다양한 동작 설계는 실험 등에 따른 객관적인 데이터를 취득하여 이를 기반으로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회전 기어(120)의 회전에 의해, 도 9에서와 같이 회전 기어(120)에 맞물려 있는 구동기어(160)가 회전하며, 이때 구동기어(160)의 하부 고정부(161) 또는 체결부에 결합되는 상부 회전판(170)이 구동기어(16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부 회전판(170)의 회전시, 그 상부 회전판(170)에 놓인 솥은 상부 회전판(170)에서 노출되는 제3 롤링수단(190)에 의해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대형 솥의 내부 주걱부(230)에 의해 조리된다고 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솥 자동회전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2를 도 8 내지 도 10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솥 자동회전장치(300)는 프레임 본체(100)에 체결 및 고정되는 하부 고정판(110)상에 구비되는 회전기어(120)를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시킨다(S1200). 모터는 물론 위에서 언급한 대로 CPU 등을 포함하는 구동부에 의해 제어되며,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솥 자동회전장치(300)는 회전기어(120)에 맞물려 있는 구동기어(160)를 회전시킨다(S1210). 물론 회전기어(120)와 구동기어(160)가 서로 맞물려 있으므로,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된 회전기어(120)가 회전하면 구동기어(160)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솥 자동회전장치(300)는 상부 회전판(170)의 일면이 구동기어(160)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구동기어(160)와 함께 회전 구동하며, 동시에 타면에 솥을 움직이기 위한 복수의 롤링수단을 가지므로 상부 회전판(170)의 회전시 복수의 롤링수단도 함께 움직임이 발생된다(S1220).
다시 말해, 솥은 상부 회전판(17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지만, 동시에 상부 회전판(170)의 움직임에 대해서만 움직이기보다는 복수의 롤링수단에 의하여도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솥 내부에 있는 주걱부(230)에 의해 음식을 고르게 휘저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표현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프레임 본체 110: 하부 고정판
120: 회전기어 130: 제1 가이드부
140: 제1 롤링수단 150: 안착부
160: 구동기어 161: 하부 고정부(혹은 체결부)
170: 상부 회전판 180: 제2 롤링수단
190: 제3 롤링수단 200: 제2 가이드부
210: 테두리부 220: 솥
230: 주걱부 240: 솥뚜껑
250: 음식물튐방지부 260: 모터 구동부

Claims (5)

  1. 프레임 본체에 체결 및 고정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하부 고정판;
    상기 회전기어에 맞물려 상기 회전기어와 함께 회전 구동하는 구동기어; 및
    일면이 상기 구동기어에 체결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함께 회전 구동하며, 타면에는 솥을 움직이기 위한 복수의 롤링수단을 갖는 상부 회전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회전판은,
    상기 구동기어를 상기 일면에 체결하는 체결부; 및
    외부 가장자리 영역으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 회전판의 회전을 돕는 제2 롤링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롤링수단은, 상기 상부 회전판의 일면과 타면으로 각각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솥 자동회전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판은,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주변으로 상기 구동기어의 체결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하부 고정판과 상기 구동기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을 돕는 제1 롤링수단;을
    포함하는 솥 자동회전장치.
  3. 삭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링수단의 일측은 상기 하부 고정판과 접촉하며, 타측은 상기 상부 회전판의 가장자리를 덮는 테두리부에 접촉하는 솥 자동회전장치.
  5. 삭제
KR1020190096756A 2019-08-08 2019-08-08 솥 자동회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58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756A KR102158092B1 (ko) 2019-08-08 2019-08-08 솥 자동회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756A KR102158092B1 (ko) 2019-08-08 2019-08-08 솥 자동회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092B1 true KR102158092B1 (ko) 2020-09-22

Family

ID=72706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756A KR102158092B1 (ko) 2019-08-08 2019-08-08 솥 자동회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09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0045A (ja) * 2002-04-02 2003-10-14 Noboru Nishiyama 調理機
KR20040091905A (ko) * 2003-04-23 2004-11-03 남상채 고기구이기
KR100822754B1 (ko) 2006-12-29 2008-04-17 억조종합기계(주) 전동회전식 솥
KR20090095776A (ko) * 2008-03-06 2009-09-10 유숙자 자동 취사장치
KR100937038B1 (ko) 2009-08-14 2010-01-15 (주)한일오닉스 수동과 자동 겸용으로 회전되는 솥 장치
KR101450056B1 (ko) * 2013-04-05 2014-10-15 박정윤 불판회전을 위한 회전유닛이 구비된 로스터
KR101605261B1 (ko) 2014-09-26 2016-04-05 김원종 대형 솥의 회동장치
KR101675769B1 (ko) 2015-06-15 2016-11-15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자동 회전장치를 갖는 대형 솥
KR101847781B1 (ko) 2017-07-14 2018-04-10 김광휘 맨홀 철개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0045A (ja) * 2002-04-02 2003-10-14 Noboru Nishiyama 調理機
KR20040091905A (ko) * 2003-04-23 2004-11-03 남상채 고기구이기
KR100822754B1 (ko) 2006-12-29 2008-04-17 억조종합기계(주) 전동회전식 솥
KR20090095776A (ko) * 2008-03-06 2009-09-10 유숙자 자동 취사장치
KR100937038B1 (ko) 2009-08-14 2010-01-15 (주)한일오닉스 수동과 자동 겸용으로 회전되는 솥 장치
KR101450056B1 (ko) * 2013-04-05 2014-10-15 박정윤 불판회전을 위한 회전유닛이 구비된 로스터
KR101605261B1 (ko) 2014-09-26 2016-04-05 김원종 대형 솥의 회동장치
KR101675769B1 (ko) 2015-06-15 2016-11-15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자동 회전장치를 갖는 대형 솥
KR101847781B1 (ko) 2017-07-14 2018-04-10 김광휘 맨홀 철개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5706B1 (en) Fryer and procedure for cooking in a small volume of oil
KR102158092B1 (ko) 솥 자동회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08851954A (zh) 烹调系统
JP3121270B2 (ja) 自動炊きむら防止装置
CN210204396U (zh) 炒菜机
JP6722031B2 (ja) 攪拌装置
CN108851956A (zh) 烹调设备
KR20100122631A (ko) 볶음요리용 자동 볶음기
JP2008110188A (ja) 卓上型回転式自動調理釜
JP6711887B2 (ja) 加熱調理装置
CA2020011C (en) Heating/cooking apparatus
CN1126493C (zh) 食品烹调机
KR101458747B1 (ko) 구이기용 가열수단지지구 및 이를 이용한 구이기
KR20020020995A (ko) 빌트인 곤로
KR101745618B1 (ko) 인덕션 조리기구
JPH03184292A (ja) 回転調理機
JP5147764B2 (ja) 加熱調理器
JP2005257216A (ja) 電子レンジ
CN218128051U (zh) 一种全自动翻炒锅
JPH0968315A (ja) 電子レンジ
JP2601771Y2 (ja) 電磁調理器用五徳
CN220369823U (zh) 一种滚筒搅拌炒菜机
KR102497230B1 (ko) 조리 장치
KR102427609B1 (ko) 회전식 인덕션솥 요리기구
JPH088733Y2 (ja) 調理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