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781B1 - 맨홀 철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맨홀 철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781B1
KR101847781B1 KR1020170089442A KR20170089442A KR101847781B1 KR 101847781 B1 KR101847781 B1 KR 101847781B1 KR 1020170089442 A KR1020170089442 A KR 1020170089442A KR 20170089442 A KR20170089442 A KR 20170089442A KR 101847781 B1 KR101847781 B1 KR 101847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fixed
base body
li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휘
Original Assignee
김광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휘 filed Critical 김광휘
Priority to KR1020170089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09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adjustable in height or incl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과 맨홀본체 상면과의 공간이 협소하여도 설치가 용이하고 맨홀 철개 어셈블리 주변을 메우는 콘크리트가 철개의 높이나 경사도 보정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맨홀 철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 원통형의 철개본체를 포함하되 맨홀덮개가 놓이게 되는 철개; 맨홀본체의 출입구에 삽입 배치되는 중공 원통형의 베이스본체, 상기 베이스본체의 상단에 형성되고 외측으로 절곡되는 상부플랜지, 상기 베이스본체의 하단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절곡되는 하부플랜지, 및 상기 베이스본체의 연장선상에 하단이 상기 상부플랜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중공 원통형의 수직단을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철개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구, 각 고정구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볼, 및 상단은 상기 지지볼에 고정되고 하부는 상기 하부플랜지에 너트로 고정되는 조절볼트로 이루어지는 조절부; 및 상기 철개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호 병치되는 복수의 단위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단의 내측에 위치하는 커버;로 이루어지고, 철개본체의 하단에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경사지는 경사단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단의 외주면에 체결볼트를 통해 상기 단위커버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맨홀 철개 어셈블리{Manhole Lid Assembly}
본 발명은 맨홀 철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맨홀본체의 출입구에 삽입 배치되는 베이스본체와 베이스본체 하단에 형성되되 조절볼트가 고정되는 하부플랜지를 통해 노면과 맨홀본체 상면과의 공간이 협소하여도 설치가 용이한 맨홀 철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맨홀이란 노면의 지하에 매설되는 상하수도관이나 통신케이블 또는 가스관의 유지보수에 필요한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지하 시설물로서, 기본 구성은 주로 콘크리트로 만들어지고 내부에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맨홀본체, 맨홀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출입구를 막는 맨홀덮개 및 맨홀덮개를 맨홀본체에 설치하기 위해 출입구의 상부에 구비되는 철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맨홀의 시공은 보행자의 안전 보행 및 차량의 안전 주행을 위해 맨홀덮개가 주변 노면에 대해 과도하게 함몰되거나 돌출됨이 없도록 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시공 현장의 여건(경사진 노면 등)이나 시공 불량 등 여러 원인에 의해 맨홀덮개가 주변 노면과 동일한 평면을 갖도록 시공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양호한 시공이 이루어지더라도 이후 차량에 의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충격 또는 맨홀 주변의 지반 침하 등의 여러 원인에 의해 상기와 같은 함몰이나 돌출이 발생하여 맨홀덮개와 지면의 높이를 맞추기 위한 보수공사가 요구되기도 한다.
이러한 초기 시공이나 보수공사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맨홀덮개의 높이나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다양한 종래기술이 개시되고 있으며, 본 출원인 또한 이러한 요구에 맞추어 맨홀덮개의 높이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는 맨홀 철개 어셈블리를 국내등록특허 제10-1707609호(등록일자: 2017.02.10.)에 소개한 바 있다.
상기 맨홀 철개 어셈블리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철개(1), 맨홀본체의 출입구에 고정되는 베이스판(2), 철개(1)와 베이스판(2) 사이에 구비되어 철개(1)의 높이나 경사도를 조절하는 조절수단(3) 및 철개(1)와 베이스판(2) 사이에 구비되어 조립체 주변을 메우게 되는 흙이나 콘크리트 또는 아스콘이 조립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흙막이(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일부 맨홀 시공의 경우에는 노면과 맨홀본체 상면과의 공간이 협소하여 철개(1)의 하부에 흙막이(4)와 베이스판(2)이 구비되는 본 발명의 조립체가 설치되기 곤란한 경우가 종종 발행하였다.
또한, 시공시 조립체 주변을 콘크리트로 메우는 경우에는 콘크리트가 흙막이(4)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또한 콘크리트의 액상체가 각 부재의 틈 사이로 침투한 후 증발하여 남은 콘크리트 잔류물이 조절수단(3)의 기동을 방해함으로써, 시공 이후에 지반침하 등의 이유로 보수공사가 실시되는 경우 철개(1)의 높이나 경사도 보정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도출되었다.
KR 10-1707609 B1 2017.02.10.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노면과 맨홀본체 상면과의 공간이 협소하여도 설치가 용이하고 또한, 맨홀 철개 어셈블리 주변을 메우는 콘크리트가 철개의 높이나 경사도 보정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맨홀 철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맨홀 철개 어셈블리는, 중공 원통형의 철개본체를 포함하되 맨홀덮개가 놓이게 되는 철개; 맨홀본체의 출입구에 삽입 배치되는 중공 원통형의 베이스본체, 상기 베이스본체의 상단에 형성되고 외측으로 절곡되는 상부플랜지, 상기 베이스본체의 하단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절곡되는 하부플랜지, 및 상기 베이스본체의 연장선상에 하단이 상기 상부플랜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중공 원통형의 수직단을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철개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구, 각 고정구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볼, 및 상단은 상기 지지볼에 고정되고 하부는 상기 하부플랜지에 너트로 고정되는 조절볼트로 이루어지는 조절부; 및 상기 철개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호 병치되는 복수의 단위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단의 내측에 위치하는 커버;로 이루어지고, 철개본체의 하단에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경사지는 경사단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단의 외주면에 체결볼트를 통해 상기 단위커버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맨홀 철개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상부플랜지에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홀, 및 상기 베이스본체와 상부플랜지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호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리브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맨홀 철개 어셈블리는, 상기 하부플랜지에 복수의 토출공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맨홀 철개 어셈블리는, 상기 수직단의 내측면 상부에 상기 단위커버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패킹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맨홀 철개 어셈블리에 의하면, 맨홀본체의 출입구에 삽입 배치되는 베이스본체와 베이스본체 하단에 형성되되 조절볼트가 고정되는 하부플랜지를 통해 노면과 맨홀본체 상면과의 공간이 협소하여도 맨홀 철개 어셈블리의 설치가 용이해지고, 또한 상부 플랜지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직단과, 상부플랜지에 형성되는 토출홀 및 베이스본체와 상부플랜지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는 보강리브 또는 하부플랜지에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공을 통해 맨홀 철개 어셈블리 주변을 메우는 콘크리트가 철개의 높이나 경사도 보정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철개 어셈블리의 범용성과 관리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맨홀 철개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맨홀 철개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철개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철개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철개 어셈블리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철개 어셈블리가 경사진 노면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철개 어셈블리에서 베이스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철개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철개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철개 어셈블리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맨홀덮개(A)가 놓이게 되는 철개(10), 맨홀본체(B)의 출입구(b)에 고정되는 베이스부(20), 상기 철개(10)와 베이스부(20)의 사이에 구비되는 조절부(30)와 커버(40)로 이루어지고, 조절부(30)의 볼트 조정을 통해 철개(10)의 높이나 경사도가 조절됨으로써 맨홀덮개(A)의 높이와 경사도를 노면에 일치시킬 수 있는 한편, 베이스부(20)의 베이스본체를 맨홀본체(B)의 출입구(b)에 삽입 배치하여 노면과 맨홀본체 상면과의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철개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먼저 철개(10)는 내측 상부 공간에 맨홀덮개(A)가 수용되는 구성으로서, 중공 원통형의 철개본체(11), 상기 철개본체(11)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내측단(13) 및 철개본체(11)의 하단에 형성되는 경사단(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단(13)은 상면에 맨홀덮개(A)가 놓이게 되며, 하면에는 후술할 조절부(30)의 고정구(31)가 고정되게 된다.
경사단(15)은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경사지는 구조로 제작되어 그 외주면에 후술할 커버(40)의 단위커버(41)가 고정되는데, 경사지게 제작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하고자 한다.
베이스부(20)는 맨홀본체(B)의 출입구(b) 상에 철개(1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출입구(b)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고 출입구(b)에 삽입 배치되는 중공 원통형의 베이스본체(21), 상기 베이스본체(21)의 상단에 형성되고 외측으로 절곡되는 상부플랜지(23), 상기 베이스본체(21)의 하단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절곡되는 하부플랜지(25), 및 상기 베이스본체(21)의 연장선상에 하단이 상기 상부플랜지(23)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중공 원통형의 수직단(26), 상기 상부플랜지(23)에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홀(27), 상기 베이스본체(21)와 상부플랜지(23)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호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리브(28) 및 상기 수직단(26)의 내측면 상부에 고정되는 패킹링(2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본체(21)가 출입구(b)에 삽입 배치되고 또한, 후술할 조절부(30)의 조절볼트(35) 하부가 하부플랜지(25)에 체결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철개 어셈블리의 높이 중 맨홀본체(B) 상면으로 돌출되는 부위의 높이가 낮아져, 노면과 맨홀본체 상면과의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철개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플랜지(23)는 베이스부(20)를 출입구(b) 둘레의 맨홀본체(B) 모서리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를 위한 복수의 체결홀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플랜지(25)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절볼트(35)의 하부가 볼트 체결되며 이를 위해 방사상으로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된다.
수직단(26)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철개 어셈블리 주변을 콘크리트로 메우는 경우 콘크리트가 커버(40)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수직단(26)의 외주면에 콘크리트가 경화 고정되므로 수직단(26)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커버(40)는 조절부(30)의 볼트 조작에 의해 자유로이 승/하강할 수 있다.
토출홀(27)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액상체가 수직단(26)을 넘어 베이스본체(21)와 하부플랜지(25) 사이의 코너(c)에 고인 후 남은 콘크리트 잔류물이 조절부(30)의 볼트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철개 어셈블리 주변을 콘크리트로 메우는 경우 상부플랜지(23)의 상부와 수직단(26)의 측면에 위치하는 공간에 유입된 콘크리트는 콘크리트의 액상체 일부가 상기 토출홀(27)을 통해 출입구(b)를 거쳐 맨홀본체(B) 내부로 미리 배출되기 때문에 수직단(26)을 넘어서는 콘크리트의 액상체 양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다만, 토출홀(27)이 형성된 상부플랜지(23)와 베이스본체(21)의 배면이 맨홀본체(B)에 밀착되면 액상체의 배출이 곤란하므로, 상기 보강리브(28)를 통해 상부플랜지(23)와 베이스본체(21)가 맨홀본체(B)와 간극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부플랜지(23)는 맨홀덮개(A)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하중을 지지하며 철개 어셈블리가 출입구(b) 상에 위치하게 되는데, 토출홀(27)의 형성으로 그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반복적인 외부 하중에 의해 베이스본체(21)와 상부플랜지(23) 사이의 각도(α)가 벌어지는 휨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휨변형은 맨홀덮개(A)의 함몰이나 돌출을 유발하여 보수공사를 해야하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데, 보강리브(28)를 통해 토출홀(27)의 형성으로 저하된 베이스본체(21)와 상부플랜지(23)의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와 같은 휨변형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20)의 다른 실시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앞서 언급한 베이스부(20)의 구성에서 토출홀(27) 및 보강리브(28)를 하부플랜지(25)에 형성된 복수의 토출공(24)으로 대체한 것으로서, 철개 어셈블리 주변을 콘크리트로 메우는 경우 콘크리트의 액상체가 수직단(26)을 넘어서더라도 상기 토출공(24)을 통해 신속히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베이스본체(21)와 하부플랜지(25) 사이의 코너(c)에 콘크리트의 액상체가 고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의 액상체가 상기 조절볼트(35)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토출공(24)은 하부플랜지(25)에 형성된 체결홀과 베이스본체(21)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토출공(24)이 형성된 하부플랜지(25)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복수의 보강리브가 하부플랜지(25) 또는 하부플랜지(25)와 베이스본체(21)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링(29)은 커버(4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액상체가 베이스본체(2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되, 고무 등 탄성 재질로 제작하여 탄성변형을 통해, 조절부(30)의 볼트 조절에 의해 승/하강하는 커버(40)의 움직임을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조절부(30)는 철개(10)의 높이나 경사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내측단(13)의 배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구(31), 각 고정구(31)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볼(33) 및 상단은 상기 지지볼(33)에 고정되고 하부는 상기 하부플랜지(25)에 너트로 고정되는 조절볼트(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볼트(35)의 너트 고정을 조절하여 철개(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한편, 각 조절볼트(35)의 높낮이를 달리함으로써 철개(10)의 경사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고정구(31)와 지지볼(33)은 철개(10)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우 철개(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지지볼(33)과 접촉하는 고정구(31)의 내부는 지지볼(33)과 대응되는 반구형의 홈이 형성된다.
커버(40)는 철개(10)와 베이스부(20) 사이의 이격틈을 막아 철개 어셈블리 주변을 메우는 콘크리트 등이 이격틈을 통해 철개 어셈블리 각 부재의 틈 사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철개(10)의 경사도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호 병치되는 복수의 단위커버(41)로 이루어진다.
각 단위커버(41)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철개(10)의 높낮이 및 경사도 조절에 따라 달라지는 이격틈의 상하폭을 안정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체결볼트(45)를 통해 상부가 경사단(15)에 고정되어 철개(10)와 함께 승/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위커버(41)의 양 측단에는 단턱(43)이 형성되는데, 상기 단턱(43)은 이웃하는 단턱(43)과 상호 겹쳐지는 구조로 구비되어 단위커버(41) 사이로 콘크리트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단위커버(41)가 경사진 경사단(15)의 외주면에 체결볼트(45)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립체가 소정의 각도(θ)로 경사진 노면(E)에 설치되는 경우 철개(10)가 상기 각도(θ)로 기울어져도 단위커버(41)는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또한, 일체형으로 된 원통형의 커버가 아닌 상호 독립적으로 승/하강할 수 있는 단위커버(41)로 이격틈을 막음으로써, 단위커버(41)가 수직단(26)의 내벽이나 베이스본체(21)의 내벽에 간섭됨이 없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철개
11: 철개본체 13: 내측단
15: 경사단
20: 베이스부
21: 베이스본체 23: 상부플랜지
24; 토출공 25: 하부플랜지
26: 수직단 27: 토출홀
28: 보강리브 29: 패킹링
30: 조절부
31: 고정구 33: 지지볼
35: 조절볼트
40: 커버
41: 단위커버 43: 단턱
45: 체결볼트

Claims (4)

  1. 중공 원통형의 철개본체(11)를 포함하되 맨홀덮개(A)가 놓이게 되는 철개(10);
    맨홀본체(B)의 출입구(b)에 삽입 배치되는 중공 원통형의 베이스본체(21), 상기 베이스본체(21)의 상단에 형성되고 외측으로 절곡되는 상부플랜지(23), 상기 베이스본체(21)의 하단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절곡되는 하부플랜지(25), 및 상기 베이스본체(21)의 연장선상에 하단이 상기 상부플랜지(23)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중공 원통형의 수직단(26)을 포함하는 베이스부(20);
    상기 철개(10)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구(31), 각 고정구(31)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볼(33), 및 상단은 상기 지지볼(33)에 고정되고 하부는 상기 하부플랜지(25)에 너트로 고정되는 조절볼트(35)로 이루어지는 조절부(30); 및
    상기 철개(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호 병치되는 복수의 단위커버(41)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단(26)의 내측에 위치하는 커버(40);
    로 이루어지고,
    상기 철개본체(11)의 하단에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경사지는 경사단(15)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단(15)의 외주면에 체결볼트(45)를 통해 상기 단위커버(41)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부(20)에는 상기 상부플랜지(23)에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홀(27), 및 상기 베이스본체(21)와 상부플랜지(23)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호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리브(28)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철개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89442A 2017-07-14 2017-07-14 맨홀 철개 어셈블리 KR101847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442A KR101847781B1 (ko) 2017-07-14 2017-07-14 맨홀 철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442A KR101847781B1 (ko) 2017-07-14 2017-07-14 맨홀 철개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781B1 true KR101847781B1 (ko) 2018-04-10

Family

ID=61975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442A KR101847781B1 (ko) 2017-07-14 2017-07-14 맨홀 철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7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092B1 (ko) 2019-08-08 2020-09-22 김은희 솥 자동회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30146282A (ko) * 2022-04-12 2023-10-19 김광휘 맨홀철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088B1 (ko) * 2005-11-26 2006-08-11 (주)정도엔지니어링 맨홀덮개의 높이조절장치
KR100748448B1 (ko) * 2006-04-28 2007-08-10 서지산업 주식회사 맨홀철개 높이조절장치
KR101660400B1 (ko) * 2015-04-13 2016-09-28 주식회사 기남금속 덮개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 및 그 시공방법
KR101707609B1 (ko) * 2015-07-29 2017-02-16 김광휘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맨홀 철개 조립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088B1 (ko) * 2005-11-26 2006-08-11 (주)정도엔지니어링 맨홀덮개의 높이조절장치
KR100748448B1 (ko) * 2006-04-28 2007-08-10 서지산업 주식회사 맨홀철개 높이조절장치
KR101660400B1 (ko) * 2015-04-13 2016-09-28 주식회사 기남금속 덮개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 및 그 시공방법
KR101707609B1 (ko) * 2015-07-29 2017-02-16 김광휘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맨홀 철개 조립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092B1 (ko) 2019-08-08 2020-09-22 김은희 솥 자동회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30146282A (ko) * 2022-04-12 2023-10-19 김광휘 맨홀철개
KR102619363B1 (ko) * 2022-04-12 2023-12-28 김광휘 맨홀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7901B1 (en) Adjustable manhole apparatus
US20070081857A1 (en) Four parts manhole enabling an easy install and height adjustment
US10233609B2 (en) Floating manhole cover assembly
KR101077238B1 (ko) 기둥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47781B1 (ko) 맨홀 철개 어셈블리
US7581655B1 (en) Pullbox assembly
KR20110127824A (ko) 상·하수도용 맨홀
KR101491450B1 (ko) 높이조절용 맨홀뚜껑
KR100612088B1 (ko) 맨홀덮개의 높이조절장치
KR101707609B1 (ko)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맨홀 철개 조립품
US9121157B2 (en) Manhole riser extension assembly
KR101824838B1 (ko) 맨홀 철개 조립체
JP4776569B2 (ja) マンホール設置安定化構造
KR101827734B1 (ko) 가변형 맨홀철개 조립체
KR101157643B1 (ko) 맨홀 철개용 높이 조절장치
KR101660400B1 (ko) 덮개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 및 그 시공방법
KR101179084B1 (ko) 맨홀뚜껑의 잠금장치
KR100892589B1 (ko) 맨홀과 맨홀커버의 고정 장치
JP2008274747A (ja) 上水道、下水道等の蓋構造。
KR101101765B1 (ko) 증고형 방수철개
KR20180043472A (ko) 전주 설치용 베이스 조립체
FI97250B (fi) Syvyydeltään säädettävä avainhylsy
KR100719790B1 (ko) 높이 조절구조가 마련된 맨홀
KR100936097B1 (ko) 맨홀의 높이조절장치
KR102532488B1 (ko) 개량된 시공 높이 조절구조를 갖는 맨홀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