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261B1 - 대형 솥의 회동장치 - Google Patents

대형 솥의 회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261B1
KR101605261B1 KR1020140128903A KR20140128903A KR101605261B1 KR 101605261 B1 KR101605261 B1 KR 101605261B1 KR 1020140128903 A KR1020140128903 A KR 1020140128903A KR 20140128903 A KR20140128903 A KR 20140128903A KR 101605261 B1 KR101605261 B1 KR 101605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housing
spindle
hand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종
Original Assignee
김원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종 filed Critical 김원종
Priority to KR1020140128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상에 거치된 대형 솥을 핸들 조작에 의해 기울일 수 있도록 하여 조리작업을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대형 솥의 회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을 투입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하측에 가열수단이 구비된 솥의양측에 회동축이 일체형으로 장착되고, 이 회동축을 거치하기 위한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솥을 기울이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대형 솥의 회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솥의 회동축을 거치하기 위한 프레임의 일측 상단부에 하우징이 설치되고, 이 하우징 내에는 핸들의 수동 조작시에 회전하는 웜 및 웜기어를 포함한 스핀들을 각각 구비하며, 이 스핀들의 일측은 솥의 회동축으로 연이어지는 제1중계관이 결속됨과 동시에 상기 스핀들의 타측은 제2중계관 및 커플링을 개재하여 공기관이 접속된 가스관을 결속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핸들축의 회전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잠금유닛이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대형 솥의 회동장치 {TILTING DEVICE ROR CAULDRON}
본 발명은 대형 솥을 회동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 상에 거치된 대형 솥을 핸들 조작에 의해 기울일 수 있도록 하여 조리작업을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대형 솥의 회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인원이 식사를 하는 대형 식당이나, 군부대, 학교, 관공서 등의 구내식당에는 밥이나 국과 같은 음식을 대량으로 조리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상부에 대형 솥을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시킨 상태에서 프레임 하부에 솥을 가열하기 위한 가스버너 등의 화력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대형 조리용 솥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대량의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솥은 내부를 세척하거나 조리된 음식을 용이하게 퍼내기 위하여 솥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기울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즉, 대형 솥을 회동시키기 위한 장치와 관련하여 공지된 종래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0822754호 공보에는 중량이 매우 큰 대형 솥을 용이하게 기울이거나 세울 수 있도록 하여 조리작업 및 세척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전동 회전식 솥"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고, 또 등록특허 제0937038호 공보에는 솥을 자동으로 기울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동으로 기울일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이동의 편의성과 바닥에 안정적으로 설치 고정되도록 프레임 다리에 바퀴와 고정패드를 모두 구비하되, 바퀴와 고정패드가 서로 상대방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도록 바닥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한 "수동과 자동 겸용으로 회전되는 솥 장치"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전원 공급에 따른 자동화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가 차단되거나 모터가 고장난 경우에는 솥을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고, 전반적으로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제조비용이 많이 들어 실 생활에 적용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0178571호 공보에는 솥 저면에 버너를 일체로 설치하여 밥이나 국 등을 보다 간편하게 조리하도록 함과 동시에 가스공급관이 버너와 일체로 회전하여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조리할 수 있는 "버너가 일체로 형성된 솥"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는 단순히 솥과 버너를 일체화 한 후 가스공급관에 의한 사고 유발을 예방할 수 있다 하더라도 별도의 안전부재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회전 손잡이가 조작되는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22754호(2008.04.10. 등록), 발명의 명칭: 전동 회전식 솥.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37038호(2010.01.07. 등록), 발명의 명칭: 수동과 자동 겸용으로 회전되는 솥 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78571호(2000.02.02. 등록), 고안의 명칭: 버너가 일체로 형성된 솥.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전과 같이 솥과 버너를 일체화 한 상태에서 핸들 조작에 의한 수동방식으로 솥을 기울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프레임 상에 장착된 하우징 내에 스핀들 (Spindle)을 포함한 중계관 및 커플링을 배치하여 각종 배관을 정돈함으로써 프레임에 설치되던 별도의 커버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대형 솥의 회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들축 상에 별도의 잠금유닛을 마련하여 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솥을 회동시키기 위한 핸들을 원천적으로 조작할 수 없도록 함에 따라 안전사고의 유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대형 솥의 회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을 투입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하측에 가열수단이 구비된 솥의양측에 회동축이 일체형으로 장착되고, 이 회동축을 거치하기 위한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솥을 기울이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대형 솥의 회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솥의 회동축을 거치하기 위한 프레임의 일측 상단부에 하우징이 설치되고, 이 하우징 내에는 핸들의 수동 조작시에 회전하는 웜 및 웜기어를 포함한 스핀들을 각각 구비하며, 이 스핀들의 일측은 솥의 회동축으로 연이어지는 제1중계관이 결속됨과 동시에 상기 스핀들의 타측은 제2중계관 및 커플링을 개재하여 공기관이 접속된 가스관을 결속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핸들축의 회전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잠금유닛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잠금유닛은 하우징의 일측에 체결되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 내에서 스프링에 의해 탄력있게 상,하 작동하여 핸들축을 회전상태로 유지하거나 억제하기 위한 봉형상체와, 이 봉형상체를 회동 조작시키기 위한 레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 상기 케이싱의 상단부에는 걸림홈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레버의 작동시에 상,하 위치를 제어하여 봉형상체에 의한 핸들축의 회전 및 고정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솥의 회동장치에 의하면, 솥의 저면에 버너가 탑재된 지지편을 일체화 하여 함께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하우징 내의 스핀들을 포함한 연동부재들을 이용하여 가스관이나 공기관 등을 정돈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별도의 커버 등을 필요로 하지 않아 외관이 양호해 짐은 물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하우징 상에 설치된 잠금유닛을 이용하여 핸들축의 회전을 저지하여 핸들을 임의로 조작할 수 없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오조작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솥의 회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핸들 및 잠금유닛의 연계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잠금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잠금유닛이 플랜지 상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솥의 회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핸들 및 잠금유닛의 연계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잠금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잠금유닛이 플랜지 상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솥의 회동장치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양측 프레임(10)과, 이들 프레임(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솥(20)과, 이 솥(20)의 저부에 설치되어 열을 가하는 버너(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일측 프레임(10) 상에는 솥(2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브라켓(41)에 장착된 핀(42)을 중심으로 절첩되는 덮개(40)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솥(20)의 양측에는 회동축(21)이 일체로 부착되어 프레임(10) 상에 거치되어 있다.
상기 타측 프레임(10) 상에는 하우징(50)이 체결볼트(11)에 의해 장착되어 있으며, 이 하우징(50) 내에는 핸들(H)의 수동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웜(51) 및 웜기어(52)를 포함한 스핀들(53)이 구비되어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50)을 구성하는 몸체 상단부에는 핸들(H)에 의해 회전하는 핸들축(54)이 매립되어 베어링(55a)을 갖는 고정편(56)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핸들축(54)을 외측으로 연장시킴으로써 도 3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H)을 한쪽이나 양쪽 모두에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핸들축(54)에는 웜(51)이 일체형으로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몸체 중앙부에 배치된 웜기어(52)에 맞물려 있다.
또한, 상기 웜기어(52)는 키홈(53a)이 형성된 스핀들(53)에 장착됨에 따라 핸들(H)을 정,역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에 웜(51) 및 웜기어(52)가 상호 회전하면서 스핀들(53)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며, 이 스핀들(53)은 상기 몸체의 양 측면부에 결속되는 마감커버(57)에 베어링(55b)을 개재하여 조립되어 있다.
상기 스핀들(53)의 양단에는 제1 및 제2중계관(58A,58B)이 각각 고정키(53b)에 의해 결속되어 있고, 상기 제1중계관(58A)에는 닛플(59)을 개재하여 솥(20)의 회동축(21)에 연이어 결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2중계관(58B)에는 커플링(60)을 개재하여 공기관(61)이 접속된 가스관(62)의 끝단부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닛플(59)의 경우, 솥(20)의 하단부에 설치된 지지편(31) 상의 버너(30)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유통관(32)이 장착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핸들(H)의 임의 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유닛(70)은, 핸들축(54)을 수용하는 하우징(50)의 일측에 체결되는 케이싱(71)과, 이 케이싱(71) 내에서 탄력있게 상,하 작동하여 핸들축(54)을 회전상태로 유지하거나 억제하기 위한 봉형상체(72)와, 이 봉형상체(72)를 회동 조작시키기 위한 레버(7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케이싱(71)의 몸체 외주면에는 나사산(74a)이 형성되어 하우징(5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플랜지(63) 상에 체결됨과 동시에 너트(75)에 의해 결속되고, 몸체 상단면에는 한쌍의 걸림홈(76a,76b)을 포함하여 경사면(76c)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봉형상체(72)는 상,하부에 단턱(77a,77b)이 형성되어 스프링(78)을 수용하며, 상단부는 케이싱(71)의 내경부를 통해 레버(73) 일측의 원통부(79) 내에 형성된 나사공(80a)에 체결되고, 하단부는 핸들축(54)의 요홈(54a) 내에서 출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레버(73)는 네크부(80b)를 개재하여 원통부(79)로 연이어져 있으며, 이 원통부(79) 상에 슬롯(81a)을 갖는 고정캡(82)이 안착됨과 동시에 볼트(83)에 의해 결속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우선 웜(51)이 장착된 핸들축(54)을 하우징(50)의 상단부에 매립하여 고정편(56) 상의 베어링(55a)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50) 내로 스핀들(53) 상의 웜기어(52)를 웜(51)에 맞물리도록 하여 배치한다.
이어서, 양 마감커버(57) 내에 장착된 베어링(55b)을 통해 스핀들(53)을 끼워 조립시킴과 동시에 하우징(50)의 양 마감커버(57)를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스핀들(53)을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50)을 일측 프레임(10) 상에 고정볼트(11)로 장착시킨 후 일측 스핀들(53)의 키홈(53a)에 고정키(53b)를 장착하여 제1중계관(58A)을 조립하고, 다시 이 제1중계관(58A)에 닛플(59)을 개재하여 솥(20)의 회동축(21)과 연결한다.
또한, 상기 스핀들(53)의 타측에는 제2중계관(58B)을 고정키(53b)로 조립시킨 후 이 제2중계관(58B)에 커플링(60)을 나사맞춤에 의해 결속하고, 상기 커플링 (60) 내의 베어링에 공기관(61)이 결속된 가스관(62)의 끝단부를 장착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중계관(58A,58B)이 스핀들(53)과 고정키(53b)에 의해 조립됨에 따라 핸들(H)을 조작하는 경우 핸들축(54) 및 웜(51), 웜기어(52)를 통해 스핀들(53)이 회전하게 되고, 제1중계관(58A)에 연계하여 닛플(59) 및 회동축 (21)이 회전하면서 솥(20)을 포함한 지지편(31) 상의 버너(30)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스핀들(53)의 타측에 접속된 제2중계관(58B) 및 커플링(60)도 스핀들(53)의 회전시에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지만 상기 가스관(62)의 경우에는 커플링(60) 내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결속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50) 및 핸들축(54) 상에는 잠금유닛(70)이 마련되어 솥 (2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핸들(H)을 조작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오조작에 의한 안전사고의 유발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잠금유닛(70)을 구성하는 레버(73)가 핸들축(54)과 동일 방향으로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레버(73)의 네크부(80b)가 케이싱(71)의 경사면(76c)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봉형상체(72)의 끝단부분이 핸들축(54)에 형성된 요홈(54a)에 끼워져 핸들(H)을 돌려도 핸들축(54)이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레버(73)를 시계방향이나 역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레버 (73)의 네크부(80b)가 경사면(76c)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걸림홈(76a,76b)에 의해 유지되므로 봉형상체(72)가 스프링(78)에 의해 탄력있게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면서 핸들축(54)의 요홈(54a)에서 해제되어 핸들(H)을 조작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핸들(H) 조작에 의해 핸들축(54)이 회동함에 따라 웜(51) 및 웜기어 (52)를 통해 스핀들(53)과 회동축(21)을 순차적으로 회동시켜 솥(20)을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솥의 저면에 버너가 탑재된 지지편을 일체화 하여 함께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하우징 내의 스핀들을 포함한 연동축을 이용하여 가스관이나 공기관 등을 정돈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별도의 커버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외관이 양호해 짐은 물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하우징 상에 설치된 잠금유닛을 이용하여 핸들축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작업자의 핸들 오조작에 의한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 프레임 11: 체결볼트
20: 솥 21: 회동축
30: 버너 31: 지지편
32: 유통관 40: 덮개
41: 브라켓 42: 핀
50: 하우징 51: 웜
52: 웜기어 53: 스핀들
53a: 키홈 53b: 키
54: 핸들축 54a: 요홈
55a,55b: 베어링 56: 고정편
57: 마감커버 58A: 제1중계관
58B: 제2중계관 59: 닛플
60: 커플링 61: 공기관
62: 가스관 70: 잠금유닛
71: 케이싱 72: 봉형상체
73: 레버 74a: 나사산
75: 너트 76a,76b: 걸림홈
76c: 경사면 77a,77b: 단턱
78: 스프링 79: 원통부
80a: 나사공 80b: 네트부
81a: 슬롯 82: 고정캡
83: 볼트

Claims (3)

  1. 내부에 음식물을 투입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하측에 가열수단이 구비된 솥의양측에 회동축이 일체형으로 장착되고, 이 회동축을 거치하기 위한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솥을 기울이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대형 솥의 회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솥(20)의 회동축(21)을 거치하기 위한 프레임(10)의 일측 상단부에 하우징(50)이 설치되고, 이 하우징(50) 내에는 핸들(H)의 수동 조작시에 회전하는 웜(51) 및 웜기어 (52)를 포함한 스핀들(53)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스핀들(53)의 일측은 솥(20)의 회동축(21)으로 연이어지는 제1중계관 (58A)이 결속됨과 동시에 상기 스핀들(53)의 타측은 제2중계관(58B) 및 커플링(60)을 개재하여 공기관(61)이 접속된 가스관(62)을 결속하고,
    상기 하우징(50)의 일측에는 핸들축(54)의 회전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잠금유닛(70)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잠금유닛(70)은 하우징(50)의 일측에 체결되는 케이싱(71)과, 이 케이싱 내에서 스프링(78)에 의해 탄력있게 상,하 작동하여 핸들축 (54)을 회전상태로 유지하거나 억제하기 위한 봉형상체(72)와, 이 봉형상체를 회동 조작시키기 위한 레버(73)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솥의 회동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71)의 상단부에는 걸림홈(76a,76b)을 갖는 경사면(76c)이 형성되어 레버(73)의 작동시에 상,하 위치를 제어하여 봉형상체(72)에 의한 핸들축(54)의 회전 및 고정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솥의 회동장치.
KR1020140128903A 2014-09-26 2014-09-26 대형 솥의 회동장치 KR101605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903A KR101605261B1 (ko) 2014-09-26 2014-09-26 대형 솥의 회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903A KR101605261B1 (ko) 2014-09-26 2014-09-26 대형 솥의 회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261B1 true KR101605261B1 (ko) 2016-04-05

Family

ID=5580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903A KR101605261B1 (ko) 2014-09-26 2014-09-26 대형 솥의 회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2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046B1 (ko) * 2017-08-25 2019-01-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 국솥의 회전장치
CN110613324A (zh) * 2018-06-20 2019-12-27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锅盖及一种具有该锅盖的烹饪器具
KR102158092B1 (ko) 2019-08-08 2020-09-22 김은희 솥 자동회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023Y1 (ko) * 2005-02-15 2005-05-24 주식회사 대성주방 록킹장치가 장착된 주방기기용 회전식 국솥
KR200429044Y1 (ko) * 2006-07-19 2006-10-17 주식회사 금호조리기 업소용 대형 국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023Y1 (ko) * 2005-02-15 2005-05-24 주식회사 대성주방 록킹장치가 장착된 주방기기용 회전식 국솥
KR200429044Y1 (ko) * 2006-07-19 2006-10-17 주식회사 금호조리기 업소용 대형 국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046B1 (ko) * 2017-08-25 2019-01-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 국솥의 회전장치
CN110613324A (zh) * 2018-06-20 2019-12-27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锅盖及一种具有该锅盖的烹饪器具
KR102158092B1 (ko) 2019-08-08 2020-09-22 김은희 솥 자동회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261B1 (ko) 대형 솥의 회동장치
KR100822754B1 (ko) 전동회전식 솥
US20160166109A1 (en) Fire Pit Table With Lazy Susan Tabletop Portion
US20130074700A1 (en) Appliance for simultaneous cooking and stirring
KR102101415B1 (ko) 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KR101913927B1 (ko) 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ES2649663T3 (es) Máquina de cocina eléctricamente accionada
US9651265B2 (en) Oven appliance with dual opening and closing doors
JP4794568B2 (ja) 幼児用ブランコシート
US6460453B1 (en) Cover system
KR101593990B1 (ko) 대형 솥의 회동장치
EP1011400B1 (en) Food warmer with controlled-opening cover
US9944313B2 (en) Wheel unit and steering unit for conveying devices on wheels such as beds, stretchers or trolleys
CN110840239A (zh) 烹饪器具
FR2883651A1 (fr) Bouton rotatif et tableau de commande, notamment pour une installation de ventilation, chauffage et/ou climatisation
CN210784012U (zh) 辅食锅
JP5994126B2 (ja) 製パン機
JP5881485B2 (ja)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のセンサ方向調整方法
CN201243894Y (zh) 自助餐炉自动翻盖装置
KR20150136878A (ko) 전기압력밥솥의 자동 잠금장치
KR200213477Y1 (ko) 취사기
JP6192170B2 (ja) 炊飯器
NL7808953A (nl) Kooktoestel.
KR102012224B1 (ko) 회전형 인덕션
EP1340633A1 (fr) Tableau de commande à boutons coaxiaux pour installation de traitement d'air de véhic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