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477Y1 - 취사기 - Google Patents

취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477Y1
KR200213477Y1 KR2019980009600U KR19980009600U KR200213477Y1 KR 200213477 Y1 KR200213477 Y1 KR 200213477Y1 KR 2019980009600 U KR2019980009600 U KR 2019980009600U KR 19980009600 U KR19980009600 U KR 19980009600U KR 200213477 Y1 KR200213477 Y1 KR 200213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ot
support
combustion chamb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6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256U (ko
Inventor
박찬의
Original Assignee
박찬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의 filed Critical 박찬의
Priority to KR20199800096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477Y1/ko
Publication of KR200000002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2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477Y1/ko

Links

Landscapes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밥이나 국 등을 조리하는 데 사용되는 취사기에 관한 것으로, 뚜껑을 좌우방향 지지부와 전후방향 지지부를 가지는 뚜껑회동지지수단에 의하여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다시 전방측으로 회동시켜 뚜껑이 솥의 직상부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취사 후 뚜껑을 청소할 때 솥의 열기와 수증기에 의하여 작업에 지장을 주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솥을 회동시키기 위한 핸들축의 회전을 규제하는 수단으로서 핸들축에 일체로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정지돌기를 가지는 슬라이더와 핸들축을 지지하는 축받이에 형성되어 상기 정지돌기가 끼워지는 정지홈을 가지는 링형 돌기를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종래 핀으로 고정했을 때와 같은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버너의 점화를 점화놉에 의하여 원터치식으로 함과 아울러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취사기{COOKING MACHINE}
본 고안은 대량 급식소나 군부대 등에서 대량의 밥이나 국 등의 요리를 위한 취사기에 것이다.
종래 대량 급식소나 군부대 등에서 대량의 밥이나 국 등의 요리를 하기 위한 취사기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소실 하우징(2)과, 이 연소실 하우징(2)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솥(4)과, 상기 프레임(1)의 일측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솥(4)을 개폐하는 뚜껑(4a)과,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버너(5)와, 상기 버너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계통(6)과, 상기 연소실 하우징(2)을 회동시키는 솥회동수단과, 상기 뚜껑을 회동 개폐하는 뚜껑회동지지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소실 하우징(2)은 프레임(1)의 상단에 축받이(3a)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우 한 쌍의 수평지지축(3)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료공급계통(6)은 연료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연료공급관(6a)과, 이 연료공급관(6a)에서 분지되어 상기 버너(5)에 연결되는 다수 개(도면에서는 3개)이 분지관(6b)과, 이 분지관(6b)에 설치되어 연료의 공급을 단속함과 아울러 연료 공급량을 조절하는 연료밸브(6c)로 구성된 연료공급계통을 통하여 연료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6d는 파일로트 버너(pilot burner)이다.
상기 솥회동수단은 상기 프레임(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평지지축(7a)에 웜과 웜기어 등의 전동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연동되게 연결되며 핸들(7c)이 결합된 핸들축(7b)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축(7b)을 지지하는 축받이부(8)에는 링형 돌기(8a)를 돌출 형성하고, 스토퍼핀(8b)을 상기 링형 돌기(8a)의 주벽을 관통하여 상기 핸들축(7b)에 끼워지는 스토퍼핀(8b)을 구비하여 상기 스토퍼핀(8b)을 상기 링형 돌기(8a)의 주벽을 관통하여 핸들축(7b)에 끼우면 핸들축(7b)이 임의로 회전되지 않게 되고, 스토퍼핀(8b)을 빼내었을 경우에만 핸드축(7b)이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핸들축(7b)에는 상기 스토퍼핀(8b)이 끼워지는 핀공(도시되지 않음)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뚜껑개방수단은 상기 뚜껑(4a)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1)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암(9)과, 상기 회동암(9)에 상시 뚜껑(4a)이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암(9)은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된 지지대(9a)에 힌지핀(9b)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동암(9)의 상기 지지대(9a)에 대한 개방 각도 범위는 상기 뚜껑(4a)이 수평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을 유지하는 범위로 설정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그 탄성력을 상기 뚜껑(4a)의 열림 각도가 45°이하인 경우에는 뚜껑(4a)의 자중에 의한 닫힘력보다 작게 되어 뚜껑(4a)이 하향 회동되면서 솥(4)을 덮게 되고, 열림 각도가 45°이상인 경우에는 뚜껑(4a)의 자중에 의한 닫힘력보다 크게 되어 뚜껑(4a)이 열리도록 하는 크기로 설정된다.
이러한 종래의 취사기에 의하여 밥을 지을 경우에는 솥회동수단의 핸들축(7b)을 지지하는 축받이부(8)에 형성된 링형 돌기(8a)를 통하여 핸들축(7b)에 스토퍼핀(8b)을 끼우는 것에 의하여 핸들축(7b)와 이에 전동기구에 의하여 연동되게 연결된 수평지지축(7a) 및 이 수평지지축(7a)에 지지된 연소실 하우징(2)과 솥(4)이 임의로 회동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솥(4)에 쌀과 물을 넣거나 국 재료 등을 넣고 뚜껑(4a)을 덮은 상태에서 버너(5)를 가동시켜 버너(5)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취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취사가 완료되면 뚜껑개방수단에 의하여 뚜껑(4a)을 열고, 솥회동수단의 핸들축(7b)을 지지하는 축받이부(8)에 형성된 링형 돌기(8a)을 통하여 핸들축(7b)에 끼워져 있는 스토퍼핀(8b)을 빼내고 핸들(7c)에 의하여 핸들축(7b)을 돌리면 핸들축(7b)의 회전력이 전동기구(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수평지지축(7a)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수평지지축(7a)에 지지되어 있는 연소실 하우징(2)과 솥(4)이 회동하게 되어 밥이나 국 등의 요리를 쉽게 덜어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취사기에서는 축받이부(8)의 링형 돌기(8a)와 핸들축(7b)에 스토퍼핀(8b)이 끼워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실수로 스토퍼핀(8b)을 빼내지 않은 상태에서 핸들(7c)을 돌리게 되면 스토퍼핀(8b)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스토퍼핀(8b)이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취사기에서는 뚜껑개방수단을 구성하는 회동암(9)이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된 지지대(9a)에 힌지핀(9b)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 도 10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4a)이 솥(4)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솥(4)의 중심선과 뚜껑(4a)의 중심선이 동일 수직면 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되므로 취사 직후 뚜껑(4a)을 청소할 때 솥(4)에 잔류하고 있는 열과 수증기가 작업자의 손과 팔 등에 전달되어 작업 환경이 열악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취반기에서는 버너(5)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계통의 연료공급관(5a)과 이 연료공급관(5a)에서 분지되어 상기 버너(5)에 연결되는 다수개(도면에서는 3개)의 분지관(5b)과 각 분지관(5b)에 설치된 연료밸브(5c)로 구성되어 있어 화력을 조절하기 위하여는 작업자가 연료밸브(5c)를 수동으로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취사가 완료되고 뚜껑을 청소할 경우 솥에 잔류하고 있는 열이나 수증기에 의하여 청소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 취사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연소실 하우징과 솥을 회동시키는 솥회동수단에 설치되어 연소실 하우징과 솥이 임의로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부품이 파손되는 일이 없도록 한 취사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버너와 연료공급관 사이에 가스센서와 경보수단과 연료조절밸브 등이 내장된 콘트롤 박스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조작 및 제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취사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취사기의 일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솥회동수단의 구조 및 작용을 보인 부분 파단 사시도로서,
도 3a는 핸들축이 회동되지 않도록 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3b는 핸들축이 회동되도록 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뚜껑회동지지수단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뚜껑회동지지수단의 작동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뚜껑회동지지수단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뚜껑회동지지수단의 작동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정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종래 취사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것으로,
도 9는 종래 취사기의 정면도.
도 10은 종래 취사기의 측면도.
도 11은 종래 취사기의 솥회동수단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프레임 20 : 연소실 하우징
30 : 솥 31 : 뚜껑
40 : 버너 41 : 연료공급관
50 : 핸들축 54 : 축받이
55 : 링형 돌기 55a : 정지홈
56 : 슬라이더 56a : 정지돌기
60 : 지지대 61 : 전후방향 회동편
64 : 좌우방향 회동암 66 : 탄성부재
80 : 점화기 90 : 콘트롤 박스
91 : 점화버튼 92 : 연료량 조절놉
93 : 작동표시등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연소실 하우징과,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솥과, 상기 솥을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버너와, 상기 연소실 하우징과 솥을 회동시키는 솥회동수단과, 상기 뚜껑을 좌우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방향 지지부를 가지는 뚜껑회동지지수단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뚜껑회동지지수단에는 상기 뚜껑을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후방향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취사기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취사기의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으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연소실 하우징(20)과, 상기 연소실 하우징(2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솥(30)과, 상기 솥(30)을 개폐하는 뚜껑(31)과, 상기 연소실 하우징(2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버너(40)와, 상기 연소실 하우징(20)과 솥(30)을 회동시키는 솥회동수단과, 상기 뚜껑(31)을 회동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뚜껑회동지지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취사장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단에는 상기 연소실 하우징(20)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연소실 하우징(20)은 상하부가 개방되어 상부에는 상기 솥(30)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며, 하부에는 상기 버너(40)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솥(30)과 뚜껑(31)은 통상적인 무쇠나 스테인레스 강재로 제작된다.
상기 솥(30)은 상기 연소실 하우징(20)의 상부에서 대략 하반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솥(30)의 외주면에 너트(도시되지 않음)을 용접 고정하고 상기 연소실 하우징(20)의 주벽에 천공된 볼트관통공(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볼트(도시되지 않음)을 관통시켜 상기 너트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 결합하거나, 솥(30)의 외주면과 연소실 하우징(20)의 외주면에 각각 볼트(도시되지 않음)을 용접 고정하고, 이들 볼트가 관통되는 볼트관통공(도시되지 않음)이 천공된 고정연결편(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여 고정연결편의 볼트관통공에 솥(30)과 연소실 하우징(20)에 고정된 볼트를 안에서 밖으로 관통시킨 다음 이에 너트(도시되지 않음)을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 결합할 수 있는 것이며, 이 밖에도 솥(30)을 연소실 하우징(20)에 고정 결합함과 아울러 필요시 분해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를 채용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상기 연소실 하우징(20)은 그 외주벽 양측이 상기 프레임(10)에 축받이(2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우 한 쌍의 수평지지축(2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소실 하우징(20)과 솥(30)의 결합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버너(40)에는 연료공급계통이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의 연료공급계통은 연료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연료공급관(41)과, 이 연료공급관(41)에서 분지되어 상기 버너(40)에 연결되는 다수 개(도면에서는 3개)이 분지관(42)과, 이 분지관(42)에 설치되어 연료의 공급을 단속함과 아울러 연료 공급량을 조절하는 연료밸브(43)로 구성된 연료공급계통을 통하여 연료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44는 파일로트 버너(pilot burner)이다.
상기 솥회동수단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상기 수평지지축(21)과 직각으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지지되며 전방측에 핸들(51)에 고정 설치되는 핸들축(50)과, 상기 핸들축(50)에 고정된 웜(52)과, 상기 일측 수평지지축(21)에 고정되어 상기 웜(52)에 맞물리는 웜기어(53)로 구성된다.
상기 핸들축(50)은 상기 프레임(10)의 양측 상부에 고정되는 축받이(54)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축받이(54)에는 적어도 1개(양측에 1개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의 정지홈(55a)이 형성된 링형 돌기(55)가 형성되며, 상기 핸들축(50)에는 상기 정지홈(55a)에 걸리는 정지돌기(56a)가 형성된 슬라이더(56)가 핸들축(50)과 일체로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핸들축(50)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56)를 핸들축(50)과 일체로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핸들축(50)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축(50)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키(key)(57a)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56)의 내주면에는 상기 키(57a)에 끼워져 안내되는 키홈(57b)이 구비된다.
상기 키(57a)는 핸들축(50)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일반적인 키와 같이 핸들축(50)에 키고정홈을 형성하고 이 키고정홈에 키(57a)를 삽입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뚜껑회동지지수단은 상기 뚜껑(31)을 상기 프레임(1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후방향 지지부와, 상기 뚜껑(31)을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방향 지지부로 구성된다.
상기 뚜껑회동지지수단은 상기 솥회동수단과는 반대측에 설치된다. 즉, 도시례와 같이 솥회동수단이 프레임(10)의 상단 우측에 설치될 경우 뚜껑회동지지수단은 프레임(10)의 좌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전후방향 지지부는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상단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60)와, 상기 지지대(60)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후방향 회동편(61)으로 구성되며, 상기 좌우방향 지지부는 상기 전후방향 회동편(61)에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뚜껑(31)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좌우방향 회동암(64) 및, 상기 좌우방향 회동암(64)을 뚜껑(31)의 열리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66)로 구성된다.
상기 전후방향 회동편(61)은 상기 좌우방향 회동암(64)을 지지하는 양측벽(61a)과 이 양측벽(61a)을 연결하는 저면벽(61b)을 가지는 대략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그 일측에 형성된 힌지부(61c)를 상기 지지대(60)의 상단에 고정된 전후방향 고정힌지편(62)에 형성된 힌지부(62a)에 힌지핀(63)으로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힌지핀(63)은 도시례와 같이 볼트(63a)와 너트(63b)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통상적인 핀 타입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회동암(64)은 상기 전후방향 회동편(61)에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64a)와 이 지지부(64a)에서 연장되어 상기 뚜껑(31)의 상면에 고정되는 뚜껑고정부(64b)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64a)를 상기 전후방향 회동편(61)의 양측벽(61a)에 힌지핀(65)으로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힌지핀(65)은 도시례와 같이 한쌍의 머리달린 핀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통상적인 핀 타입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66)는 그 탄성력을 상기 뚜껑(31)의 열림 각도가 45°이하인 경우에는 뚜껑(31)의 자중에 의한 닫힘력보다 작게 되어 뚜껑(31)이 하향 회동되면서 솥(30)을 덮게 되고, 열림 각도가 45°이상인 경우에는 뚜껑(31)의 자중에 의한 닫힘력보다 크게 되어 뚜껑(31)이 열리도록 하는 크기로 설정된다.
상기 탄성부재(66)로서는 도시례와 같이 상기 전후방향 회동편(61)의 저면벽(61b)와 상기 좌우방향 회동암(64)의 지지부(64a)에 양단이 고정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좌우방향 회동암(64)에 대하여 뚜껑(31)이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66)의 양단은 고정하기 위하여 전후방향 회동편(61)의 저면벽(61b)와 좌우방향 회동암(64)의 지지부(64a)에는 스프링 고정부(67a,67b)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전후방향 회동편(61)에는 걸림홈(68a)이 형성된 고정편(68)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60)의 상단에고정된 고정힌지편(62)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편(68)의 걸림홈(68a)이 끼워지는 나사봉(69)이 고정되며, 상기 나사봉(69)에는 상기 고정편(68)을 고정하기 위한 손잡이달린 너트(70)가 체결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취사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솥회동수단의 핸들축(50)에 설치된 슬라이더(56)를 도 3b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더(56)의 정지돌기(56a)가 축받이(54)에 형성된 링형 돌기(55)의 정지홈(55a)에 끼워져 걸리게 되고, 상기 슬라이더(56)은 키(57a)와 키홈(57b)에 의하여 핸들축(50)과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핸들(51)을 돌리더라도 핸들축(50)이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뚜껑(31)을 들어올려 도 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45°정도 열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66)의 탄성력에 의하여 뚜껑(31)이 도 1의 1점 쇄선 표시 및 도 2의 1점 쇄선 표시와 같이 대략 수직 상태로 열리게 된다.
뚜껑(31)이 열리면 솥(30)에 쌀과 물 또는 국 재료 등을 넣고 뚜껑(31)을 도 1에서 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대략 45°정도 닫히게 되면 뚜껑(31)은 자중에 의하여 탄성부재(66)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서서히 닫히게 된다.
뚜껑(31)이 닫힌 상태에서 연료공급관(41)에 연결된 분지관(42)들에 설치된 연료밸브(43)을 개방하면서 버너(40)를 점화시키면 버너(40)의 연소열에 의하여 취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취사가 완료되면 상술한 방법으로 뚜껑(31)을 열고, 슬라이더(56)를 도 3b의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슬라이더(56)의 정지돌기(56a)가 링형 돌기(55)의 정지홈(55a)에서 이탈하게 하고, 이 상태에서 핸들(51)을 돌리면 핸들축(50)과 이 핸들축(50)에 고정된 웜(52)이 회전되며, 이 웜(52)에 맞물려 있는 웜기어(53)가 회전하게 되어 지지축(21)이 회전되고, 결국 지지축(21)에 지지된 연소실 하우징(20)과 이에 결합된 솥(30)이 회동하게 되어 밥이나 국 등을 쉽게 덜어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축(50)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규제하는 수단으로서 핸들축(50)을 지지하는 축받이(54)에는 정지홈(55a)을 가지는 링형 돌기(55)를 형성하고, 핸들축(50)에는 상기 정지홈(55a)에 끼워지는 정지돌기(56a)를 가지는 슬라이더(56)를 핸들축(50)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면서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더(56)의 정지돌기(56a)가 링형 돌기(55)의 정지홈(55a)에 끼워진 상태에서 핸들축(50)을 다소 무리하게 돌리더라도 링형 돌기(55)나 슬라이더(56) 등의 부품이 파소될 염려가 없다.
한편, 밥이나 국 등을 덜어낸 후에는 솥(30)과 뚜껑(31)을 청소하게 되는 데, 이 때 좌우방향 지지부에 의하여 뚜껑(31)을 도 2의 1점 쇄선 표시와 같이 개방한 상태에서 다시 전후방향 지지부에 의하여 뚜껑(31)을 도 2의 2점 쇄선 표시와 같이 전방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솥(30)에서 올라오는 열기와 수증기 등에 의하여 작업에 지장을 주는 일이 없게 된다.
여기서 뚜껑(31)을 좌우방향 지지부에 의하여 개방하는 과정과 개방된 뚜껑(31)을 전방측으로 회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뚜껑(31)을 들어올리면 뚜껑고정부(64a)가 뚜껑(31)에 고정된 좌우방향 회동암(64)이 상기 전후방향 회동편(61)에 대하여 힌지핀(63)을 중심으로 하여 도 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뚜껑(31)의 열림 각도가 대략 45°에 달하게 되면 뚜껑(31)은 상기 전후방향 회동편(61)과 좌우방향 회동암(64)사이에 연결 설치된 탄성부재(66)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 1 및 도 2의 1점 쇄선 표시와 같이 대략 직각으로 열리게 된다.
다음, 뚜껑(31)을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전후방향 회동편(61)이 지지대(60)의 상단에 고정된 고정힌지편(62)에 대하여 힌지핀(63)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도 2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도 2의 2점 쇄선 표시와 같이 뚜껑(31)이 대략 솥(30)의 직상방에서 벗어나게 된다.
밥이나 국 등을 덜어낸 후 뚜껑(31)을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의 2점 쇄선 표시와 같이 뚜껑(31)을 전방으로 회동시켜 솥(30)의 직상방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에 의하여 솥(30)의 열기와 수증기에 의하여 작업에 지장을 주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버너(40)의 일측에 점화기(80)를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는 상기 점화기(80)를 작동시키는 점화버튼(91)과, 연료공급관(41)을 통해 버너(40)에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연료량 조절놉(92) 및 작동표시등(93)을 가지는 콘트롤 박스(90)를 설치하여 버너(40)의 점화를 간편하게 하도록 함과 아울러 여러개의 연료밸브를 개별적으로 조절하지 않고 하나의 연료량 조절높(92)에 의하여 간편,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도록 한 것이며, 여타 구성 부분은 상술한 실시례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콘트롤 박스(90)의 내부에는 연료로서 가스를 사용할 경우 가스의 누설 등을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가스경보기 등을 내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뚜껑을 좌우방향 지지부와 전후방향 지지부를 가지는 뚜껑회동지지수단에 의하여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다시 전방측으로 회동시켜 뚜껑이 솥의 직상부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취사 후 뚜껑을 청소할 때 솥의 열기와 수증기에 의하여 작업에 지장을 주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솥을 회동시키기 위한 핸들축의 회전을 규제하는 수단으로서 핸들축에 일체로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정지돌기를 가지는 슬라이더와 핸들축을 지지하는 축받이에 형성되어 상기 정지돌기가 끼워지는 정지홈을 가지는 링형 돌기를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종래 핀으로 고정했을 때와 같은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버너의 점화를 점화놉에 의하여 원터치식으로 함과 아울러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연소실 하우징과,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솥과, 상기 솥을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버너와, 상기 연소실 하우징과 솥을 회동시키는 솥회동수단과, 상기 뚜껑을 좌우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방향 지지부를 가지는 뚜껑회동지지수단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뚜껑회동지지수단에는 상기 뚜껑을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후방향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솥회동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연소실 하우징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지지축과 직각으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지지되며 전방측에 핸들에 고정 설치되는 핸들축과, 상기 핸들축에 고정된 웜과, 상기 일측 수평지지축에 고정되어 상기 웜에 맞물리는 웜기어와, 상기 핸들축을 프레임에 지지하는 축받이에 형성되며 적어도 1개 이상의 정지홈을 가지는 링형 돌기와, 상기 핸들축에 일체로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정지홈에 끼워지는 정지돌기를 가지는 슬라이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향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후방향 회동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좌우방향 지지부는 상기 전후방향 회동편에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뚜껑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좌우방향 회동암 및, 상기 좌우방향 회동암을 뚜껑의 열리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향 회동편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고정편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고정된 고정힌지편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편의 걸림홈이 끼워지는 나사봉이 고정되며, 상기 나사봉에는 상기 고정편을 고정하기 위한 손잡이달린 너트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의 일측에 점화기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점화기를 작동시키는 점화버튼과, 연료공급관을 통해 버너에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연료량 조절놉 및 작동표시등을 가지는 콘트롤 박스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기.
KR2019980009600U 1998-06-05 1998-06-05 취사기 KR2002134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600U KR200213477Y1 (ko) 1998-06-05 1998-06-05 취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600U KR200213477Y1 (ko) 1998-06-05 1998-06-05 취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256U KR20000000256U (ko) 2000-01-15
KR200213477Y1 true KR200213477Y1 (ko) 2001-03-02

Family

ID=69515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600U KR200213477Y1 (ko) 1998-06-05 1998-06-05 취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47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081B1 (ko) 2005-03-10 2006-10-25 황주환 조리기용 뚜껑 개폐장치
KR100640075B1 (ko) 2006-04-26 2006-11-01 주식회사 대성종합주방 조리기
KR100728250B1 (ko) 2006-06-20 2007-06-13 임남수 조리기용 고정구
KR100770408B1 (ko) 2006-05-25 2007-10-31 (주)대명피에스 가스 회전식 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255B1 (ko) * 2006-06-20 2007-06-13 임남수 조리기용 고정구
KR100937038B1 (ko) * 2009-08-14 2010-01-15 (주)한일오닉스 수동과 자동 겸용으로 회전되는 솥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081B1 (ko) 2005-03-10 2006-10-25 황주환 조리기용 뚜껑 개폐장치
KR100640075B1 (ko) 2006-04-26 2006-11-01 주식회사 대성종합주방 조리기
KR100770408B1 (ko) 2006-05-25 2007-10-31 (주)대명피에스 가스 회전식 솥
KR100728250B1 (ko) 2006-06-20 2007-06-13 임남수 조리기용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256U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3477Y1 (ko) 취사기
CA2018330A1 (en) Control system for gas burners
JP4189237B2 (ja) 調理器具
KR0139306Y1 (ko) 코크 어셈블리와 노브 연결 구조
JP3886002B2 (ja) エンジン発電機
KR100441206B1 (ko) 빌트인 가스레인지의 안전가스밸브
GB2109919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oker hobs
KR200399807Y1 (ko) 가스차단기
KR200145533Y1 (ko) 전기 보온 압력 밥솥의 내뚜껑 개폐장치
KR0122471Y1 (ko) 깨볶음기
JPH06101842A (ja) ロースターにおけるガスコックの遠隔操作装置
KR0128753Y1 (ko) 히터겸용 가스버너
JP2019078480A (ja) カセットガスボンベ式ストーブ
JP5204570B2 (ja) 加熱調理器
KR20030010296A (ko) 튀김기의 배유장치
EP0725250B1 (en) Improved control and safety device for gas appliances
JP3128470B2 (ja) ガス機器の燃焼調整装置
KR200317205Y1 (ko) 가스레인지용 수직형 가스 콕크 장치
JP2810336B2 (ja) 調理釜
JP2008089145A (ja) 回転操作式のガス器具栓
JPS5938642Y2 (ja) ガスこんろの火炎調節装置
GB2149497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oker hobs
KR910002656Y1 (ko) 가스렌지의 그릴 안전장치
GB218153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obs
JP2018013320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