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916B1 - 프린터 - Google Patents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916B1
KR102155916B1 KR1020140080223A KR20140080223A KR102155916B1 KR 102155916 B1 KR102155916 B1 KR 102155916B1 KR 1020140080223 A KR1020140080223 A KR 1020140080223A KR 20140080223 A KR20140080223 A KR 20140080223A KR 102155916 B1 KR102155916 B1 KR 102155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discharge path
casing
control unit
opera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690A (ko
Inventor
가즈유키 아이자와
히로유키 고히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1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Landscapes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음과 더불어, 방적성을 확보할 수 있는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록지 롤(R)이 수용되는 수용부(10)를 가지는 케이싱(2)과, 수용부(10)를 폐색하는 프린터 커버(3)와, 프린터 커버에 설치된 제어 유닛(40)과, 제어 유닛(40)보다도 상방에 있어서 케이싱(2)에 설치된 조작 레버(20)를 구비하고, 프린터 커버(3)에는, 조작 레버(20)와 제어 유닛(40)의 사이로 침입한 액체를 제어 유닛(40)보다도 하방으로 이끄는 배출로(45)가 제어 유닛(40)의 외부에 형성되고, 배출로(45)의 상류측 단부(45a)는, 조작 레버(20)보다도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프린터{PRINTER}
본 발명은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서멀 프린터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기록지 롤로부터 기록지를 인출하여 인쇄를 행하는 프린터에는, 기록지 롤의 세트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기록지 롤을 수납하는 케이싱에 대하여, 프린터 커버가 개폐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 많이 알려져 있다.
서멀 프린터는, 예를 들면 음식점의 점포 내 등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사용자의 손에 묻은 물이나, 주방 등으로부터 비산된 물 등의 액체가, 케이싱과 프린터 커버의 경계 부분으로 프린터의 내부에 침입하여, 기록지나 기판 등에 부착될 우려가 있다. 기록지나 기판 등에의 액체의 부착은, 인쇄 불량이나 전자 부품의 고장 요인이 된다. 따라서, 프린터에는, 내부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구조나, 프린터의 내부에 침입한 물을 기록지나 기판 등에 부착시키지 않고 배수할 수 있는 구조 등, 액체로부터 프린터를 보호하는 것(이하 「방적(防滴)」이라고 한다)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종류의 프린터로서, 프린터 케이싱의 상면에 배지 오목부를 구비하고, 배지 오목부 내에는, 인자(印字) 후의 시트를 배지 오목부 내로부터 프린터의 케이싱 외로 배출하는 슬릿상의 배지구와, 배지 오목부 내에서 배지구를 따라 또한 배지구보다도 저위가 되도록 형성되는 배수 홈을 구비한 프린터가 알려져 있다. 이 프린터에 의하면, 배지구로부터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배수 홈 내의 물을 적극적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서멀 프린터는, 설치 스페이스의 축소화 나, 사용자에 의한 사용 용이함의 향상화를 위해서, 프린터 사이즈를 가능한한 소형화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프린터의 소형화를 실현할 경우, 인자 헤드 및 플래튼 롤러 등으로 구성되는 프린터 기구나, 프린터 커버의 록 및 그 해제를 행하기 위한 커버 개폐 조작 기구, 프린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 등을 케이싱 내의 한정된 공간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프린터 기술에서는, 배지구보다도 저위가 되도록 배수 홈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케이싱 내부에 배지 오목부가 들어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지 오목부의 스페이스만큼 케이싱이 대형화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프린터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방적성(防滴性)을 확보하는 점에서, 과제가 남겨져 있다.
이상의 점에서, 당 기술 분야에서는,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음과 더불어, 방적성을 확보할 수 있는 프린터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련된 프린터는, 기록지가 수용되어,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구하는 수용부를 가지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를 폐색하는 프린터 커버와, 상기 프린터 커버에 설치되어, 조작 기판을 가지는 제어 유닛과, 상기 제어 유닛보다도 중력 방향 상방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고, 상기 프린터 커버의 열림 조작 및 닫힘 조작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조작을 행할 때에 조작되는 조작 레버와, 상기 제어 유닛의 외부의 상기 프린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제어 유닛 사이로 침입한 액체를 상기 제어 유닛보다도 중력 방향 하방으로 이끄는 배출로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로의 상류측 단부가, 상기 조작 레버보다도 중력 방향 하방의 상기 프린터 커버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련된 프린터에 의하면, 조작 기판을 가지는 제어 유닛을 프린터 커버에 설치함으로써, 제어 유닛의 부착을 위해서 필요한 스페이스를 케이싱측에 확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케이싱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 커버에는, 조작 레버와 제어 유닛의 사이에서 침입한 액체를 제어 유닛보다도 중력 방향 하방으로 이끄는 배출로가, 제어 유닛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케이싱의 수용부에 수용된 기록지 및 프린터 커버에 설치된 제어 유닛의 내부에 액체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특히, 배출로의 상류측 단부는, 조작 레버보다도 중력 방향 하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조작 레버에 전파한 액체는, 중력에 의해 적하하고, 배출로의 상류측 단부에 도입되어 배출로를 통류할 수 있다. 따라서,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음과 더불어, 방적성을 확보할 수 있는 프린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레버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는, 상기 프린터 커버가 닫힌 상태일 때, 상기 배출로보다도 중력 방향 상방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련된 프린터에 의하면, 프린터 커버가 열린 상태일 때, 조작 레버에 형성된 돌출부의 선단부가 배출로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조작 레버에 전파한 액체는, 중력에 의해 돌출부의 선단부로부터, 배출로에 적하된다. 따라서, 조작 레버에 전파한 액체를 배출로에 확실하게 도입할 수 있으므로, 방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배출로의 사이에는, 상기 케이싱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장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장출부는, 상기 중력 방향 상방으로부터 보아 상기 조작 기판을 덮음과 더불어, 선단부가 상기 배출로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련된 프린터에 의하면, 장출부는, 중력 방향 상방으로부터 봐서 조작 기판을 덮음과 더불어, 선단부가 배출로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조작 기판에 중력 방향 상방으로부터 액체가 부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장출부에 전파한 액체를 배출로에 확실하게 도입할 수 있다. 따라서, 방적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기록지의 폭 방향의 외측에 있어서, 중력 방향 상방을 향해서 세워져 설치된 칸막이벽을 가지고, 상기 칸막이벽을 사이에 끼고 상기 기록지와는 반대측에, 상기 배출로의 하류측 단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련된 프린터에 의하면, 칸막이벽을 사이에 끼고 기록지와는 반대측에, 배출로의 하류측 단부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배출로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적하된 액체가 기록지측에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록지에 액체가 부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지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는, 제1 저류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련된 프린터에 의하면, 기록지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설치된 제1 저류부에, 배출로로부터 배출된 액체를 저류할 수 있으므로, 기록지에 액체가 부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저류부보다도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저류부와 연통하는 제2 저류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저류부의 저면에는, 배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련된 프린터에 의하면, 제1 저류부에 추가하여 제2 저류부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많은 액체를 저류할 수 있다. 또한, 제2 저류부의 저면에는, 배출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액체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저류부는, 제1 저류부보다도 케이싱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저류부보다도 케이싱의 내측에 배출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터의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면서, 배출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로는, 상기 제어 유닛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 기판을 덮는 보호 커버와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련된 프린터에 의하면, 부품 점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또한 스페이스 효율적으로 배출로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의 외부에 설치되어 조작 기판을 덮는 보호 커버에 배출로를 설치함으로써, 조작 기판에 액체가 부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뛰어난 방적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더불어, 소형 및 저비용의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련된 프린터에 의하면, 조작 기판을 가지는 제어 유닛을 프린터 커버에 설치함으로써, 제어 유닛의 부착을 위해서 필요한 스페이스를 케이싱측에 확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케이싱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 커버에는, 조작 레버와 제어 유닛의 사이에서 침입한 액체를 제어 유닛보다도 중력 방향 하방에 이끄는 배출로가, 제어 유닛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케이싱의 수용부에 수용된 기록지 및 프린터 커버에 설치된 제어 유닛의 내부에 액체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특히, 배출로의 상류측 단부는, 조작 레버보다도 중력 방향 하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조작 레버에 전파한 액체는, 중력에 의해 적하하고, 배출로의 상류측 단부에 도입되어 배출로를 통류할 수 있다. 따라서,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음과 더불어, 방적성을 확보할 수 있는 프린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서멀 프린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프린터 커버를 연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의 서멀 프린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플래튼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부착판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헤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커버 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고정날과 가동날 사이에서 기록지를 절단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있어서의 화살표 Z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에 있어서의 화살표 Y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는 도 3에 있어서의 조작 레버 주변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프린터 커버의 본체부를 제거했을 때의 보호 커버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서멀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1 저류부 및 제2 저류부의 확대도이다.
이하에, 이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POS 레지스터 시스템 등에 이용되는 서멀 프린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서멀 프린터(1)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프린터 커버(3)를 연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지면의 상하 방향은, 각각 중력 방향 상방(이하, 간단히 「상방」이라고 한다) 및 중력 방향 하방(이하, 간단히 「하방」이라고 한다)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의 지면에 대하여 좌부 하측을 전방(화살표 FW 방향), 우부 상측을 후방(화살표 BA 방향)으로 하고, 기록지(P)는 전방으로 이송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후 방향을 L1으로 하고, 상하 방향을 L2로 하고, 전후 방향(L1) 및 상하 방향(L2)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L3)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서멀 프린터(1)는, 예를 들면 감열지 등의 기록지(P)에 인쇄를 행하여, 기록지(P)를 티켓이나 영수증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프린터로서, 케이싱(2)과, 프린터 커버(3)와, 조작 레버(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멀 프린터(1)의 내부에는,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2)은, 예를 들면 수지 재료나 금속 재료, 혹은 이들 재료를 적절히 조합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전방에 개구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2)은, 기본 골격이 되는 프레임체와, 프레임체를 덮는 외장 커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2)의 내부는, 전방으로 개구하는 수용부(10)로 되어 있다. 수용부(10)는, 프린터 커버(3)를 열어 개방된다. 수용부(10)에는, 기록지(P)가 통형상으로 권회된 롤(이하, 「기록지 롤」이라고 한다)(R)이 수납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터 커버(3)가 닫힌 상태에 있어서, 프린터 커버(3)의 선단부와 케이싱(2)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기록지(P)는, 이 간극을 이용하여, 케이싱(2)의 내부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어 배출된다. 즉, 프린터 커버(3)의 선단과 케이싱(2)의 간극은, 기록지(P)의 배출구(12)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프린터 커버(3)는, 닫힘 조작되었을 때에 록 된다. 구체적으로는,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이 조합되어, 이들이 일체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록이 행해진다. 또한, 케이싱(2)에는, 전벽(2a)과 상벽(2b)과 한쪽의 측벽(2c)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프린터 커버(3)의 열림 조작을 행할 때에 조작되어, 프린터 커버(3)의 록을 해제하는 조작 레버(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 레버(20)에 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용부(10)는, 한쌍의 측벽부(30)와, 기록지 롤(R)의 외주면에 접하여, 기록지 롤(R)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 벽부(31)(도 3 참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측벽부(30) 및 지지 벽부(31)는, 케이싱(2)을 구성하는 프레임체의 일부이다. 한쌍의 측벽부(30)는, 수납되는 기록지 롤(R)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L3)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고, 상호 이격 거리는 기록지 롤(R)의 가로폭보다도 약간 커진다. 이에 따라, 수납된 기록지 롤(R)은, 양 단면이 한쌍의 측벽부(30)에 있어서의 내벽면에 의해 지지되어, 좌우 방향(L3)의 위치가 규제된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상태의 서멀 프린터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4에 있어서는, 기록지(P) 및 기록지 롤(R)을 2점 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벽부(31)는, 기록지 롤(R)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1 지지면(31a)과, 기록지 롤(R)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2 지지면(31b)과, 제1 지지면(31a)과 제2 지지면(31b)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1 지지면(31a)과 제2 지지면(31b)에 연속 설치된 저부(31c)에 의해, 종단면에서 봐서 V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록지 롤(R)은, 사용에 의해 직경이 축경함과 더불어, 저부(31c)를 향해서 하방 이동하면서 안정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수용부(10)에 수납된 기록지 롤(R)은, 직경에 관계없이 한쌍의 측벽부(30)와 지지 벽부(31)에 의해, 상하 방향(L2) 및 좌우 방향(L3)으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되게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2부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측벽부(30)에는, 케이싱(2)의 내측 및 전방에 각각 개방된 절결부(3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절결부(32)는, 상하 방향(L2)의 길이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서 좁아지는 측면에서 봐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용부(10) 내에 기록지 롤(R)을 수납했을 때, 절결부(32)에 의해 획성된 공간을 통하여, 기록지 롤(R)의 양 단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도 2 참조). 이에 따라, 이 공간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기록지 롤(R)의 외주면을 접촉하지 않고, 기록지 롤(R)의 양 단면을 파지하면서, 기록지 롤(R)을 수용부(10) 내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절결부(32)에 의해 획성된 공간은, 기록지 롤(R)에 대하여 용이하게 액세스가능한 액세스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측벽부(30)의 사이에는, 텐션 롤러(35)가 좌우 방향(L3)으로 걸쳐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텐션 롤러(35)는, 용수철(35a) 등의 탄성 가압 부재에 의해, 기록지 롤(R)로부터 인출된 기록지(P)를 탄성 가압하여 텐션을 부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록지(P)는, 느슨함이 생기기 어려운 상태에서 기록지 롤(R)로부터 인출되어,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의 사이에 공급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래튼 유닛(4)은, 플래튼 롤러(50) 및 고정날(51)이 조합된 유닛이며, 프린터 커버(3)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래튼 유닛(4)은, 부착판(52)을 통하여 프린터 커버(3)의 선단측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래튼 유닛(4)은, 프린터 커버(3)의 개폐 동작에 따라 이동하고, 헤드 유닛(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는, 플래튼 유닛(4)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부착판(52)(도 5 참조)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L1), 상하 방향(L2), 좌우 방향(L3), 화살표(FW) 및 화살표(BA)의 각 방향은, 프린터 커버(3)가 닫힌 상태(도 1 참조)일 때의 각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래튼 유닛(4)은, 기록지(P)(도 1 참조)를 송출하는 플래튼 롤러(50)와, 플래튼 롤러(50)에 대하여 기록지(P)(도 1 참조)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된 고정날(51)과, 플래튼 롤러(5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예를 들면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 플래튼 프레임(53)과, 플래튼 프레임(53)의 전방을 덮는 예를 들면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 부착판(52)을 구비하고 있다.
플래튼 롤러(50)는, 도시하지 않은 축체의 양단에 부착된 베어링(50a)을 통하여 플래튼 프레임(53)에 지지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50)의 일단측에는, 베어링(50a)을 끼고 종동 기어(50b)가 축체에 연결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고정날(51)은, 기록지(P)의 폭방향(즉 좌우 방향(L3))으로 연장 존재하는 판형상의 날이며, 프린터 커버(3)를 닫았을 때에, 날끝(51a)이 송출된 기록지(P)에 대향하도록 고정날 홀더(55)에 지지되어 있다.
플래튼 유닛(4)에는, 록 샤프트(103)가 부착되어 있다. 록 샤프트(103)는, 플래튼 롤러(50)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고, 플래튼 롤러(50)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고정날(51)과 부착판(52)의 사이에는, 회전가능한 샤프트(56)가 고정날(51)의 근원측에 있어서, 고정날(51)의 연장 방향(즉 좌우 방향(L3))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샤프트(56)는, 플래튼 프레임(53)에 고정된 베어링 부재(53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샤프트(56)의 일단측에는, 누름부(57)와 부채형 기어(58)가 연결되어 있고, 타단측에는 누름부(57)만이 연결되어 있다.
부채형 기어(58)는, 프린터 커버(3)를 닫았을 때에, 헤드 유닛(5)측에 설치된 후술하는 레버부(63)의 내측 기어(63a)(도 8 참조)에 맞물린다. 이 때문에, 레버부(63)의 누름 조작에 연동하여, 부채형 기어(58) 및 샤프트(56)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누름부(57)는, 플래튼 프레임(53)의 내측 또한 고정날(51)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샤프트(56)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누름부(57)는, 부채형 기어(58)의 회전에 따라 샤프트(56)와 함께 회전하고, 고정날(51)의 날끝(51a)측을 후방을 향해서 이동시킨다. 즉, 한쌍의 누름부(57), 부채형 기어(58) 및 샤프트(56)는, 레버부(63)의 조작에 연동하는 연동 기구(54)로서 기능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 유닛(5)은, 서멀 헤드(60) 및 가동날(61)이 구비된 유닛이며, 케이싱(2)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헤드 유닛(5)은, 수용부(10)의 상방 또한 케이싱(2) 전벽(2a)보다도 후방이며, 케이싱(2)의 상벽(2b)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내부 플레이트(2d)에 고정되어 있다.
도 7은, 헤드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커버 플레이트(66)(도 7참조)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고정날(51)과 가동날(61)의 사이에서 기록지(P)를 절단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 유닛(5)은, 고정날(51)(도 5참조)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동날(61)과, 가동날(61)을 구동시키는 가동날 구동계(62)와, 회동 조작가능한 레버부(63)와, 레버부(63)의 회동에 연동하는 해제 기구(64)와, 인출된 기록지(P)에 기록을 행하는 서멀 헤드(60)와, 이들 각 구성품을 지지하는 예를 들면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 지지 프레임(65)과, 가동날(61)의 전방을 덮는 예를 들면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 커버 플레이트(66)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날(61)은, 프린터 커버(3)(도 1 참조)를 닫아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4)(도 5 참조)이 조합되었을 때에, 고정날(51)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날(61)은, 근원으로부터 날끝(61a)까지의 길이가 양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해서 점차 짧아지도록 형성된 전방에서 봐서 대략 V자형의 판형상의 날이다.
도 10은, 도 8에 있어서의 화살표 Z에서 본 도면이며, 도 11은, 도 8에 있어서의 화살표 Y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날 구동계(62)는, 가동날(61)에 부착된 랙(71)과, 랙(71)에 맞물려, 커터용 모터(M1)에 연결된 구동 기어(7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랙(71)을 상하 방향(L2)을 따라 직선 이동시키는 제1 기어(73)(도 10 참조) 및 제3 기어(74)(도 11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기어(72)는, 커터용 모터(M1)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있고, 헤드 유닛(5)의 한쪽의 측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기어(72)의 전방에는, 제1 기어(73)가 랙(71)에 맞물린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1 기어(73)와 구동 기어(72)의 사이에는, 구동 기어(72) 및 제1 기어(73)에 맞물린 제2 기어(75)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커터용 모터(M1)의 구동에 의해 구동 기어(72)가 회전하면, 제2 기어(75)를 통하여 제1 기어(73)에 회전력이 전해져, 랙(71)이 직선이동한다. 즉, 제1 기어(73)는, 구동 기어(7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랙(71)을 직선 이동시킨다.
제1 기어(73)는, 헤드 유닛(5)의 다른쪽의 측면측까지 연장되는 샤프트(76)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헤드 유닛(5)의 다른쪽의 측면측에 있어서, 랙(71)에 맞물린 제3 기어(74)가 샤프트(76)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기어(73)의 회전에 따라 제3 기어(74)도 회전하고, 랙(71)을 마찬가지로 직선 이동시킨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랙(71)은, 가동날(61)의 근원측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77)의 양단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기어(73) 및 제3 기어(74)(도 11 참조)가 회전하면, 한쌍의 랙(71)이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여, 가동날(61)을 상하 방향(L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기어(73)의 내측에는, 평면에서 봐서 C자형상으로 형성된 요동 플레이트(80)가 배치되어 있다. 요동 플레이트(80)는, 제1 기어(73)에 연결되어 있는 샤프트(76)를 중심으로 좌우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요동 플레이트(80)에는, 제2 기어(75)가 회전 지지되어 있다. 제2 기어(75)는, 요동 플레이트(80)가 요동함으로써, 샤프트(76)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한다.
요동 플레이트(80)의 단부에는, 헤드 유닛(5)의 외방을 향하여 돌출한 핀(81)이 부착되어 있다. 제2 기어(75)는, 핀(81)을 구동 기어(72)에 대하여 접근시키도록 요동 플레이트(80)를 움직임으로써, 구동 기어(72)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핀(81)을 구동 기어(72)로부터 이격하도록 요동 플레이트(80)를 움직임으로써, 구동 기어(72)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구동 기어(72)의 후방에는, 고정 핀(82)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핀(82)에는, 비틀림 용수철(83)이 고정되어 있다. 비틀림 용수철(83)의 일단측은, 지지 프레임(65)에 고정되고, 타단측은 핀(81)을 구동 기어(72)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항상 탄성 가압하고 있다. 이 때문에, 통상 시에는 제2 기어(75)와 구동 기어(72)가 항상 맞물린 상태로 되어 있다.
레버부(63)는, 요동 플레이트(80)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레버부(63)는, 회전 지지되어 있고, 후방을 향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레버부(63)의 내측에는, 내측 기어(63a)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기어(63a)는, 프린터 커버(3)(도 2 참조)를 닫고,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4)을 조합시켰을 때에, 플래튼 유닛(4)측의 부채형 기어(58)에 일부가 맞물린다. 따라서, 레버부(63)의 회동에 연동하여 연동 기구(54)를 작동시킬 수 있다.
레버부(63)와 요동 플레이트(80)의 사이에는, 부채형으로 형성된 해제 플레이트(85)가 배치되어 있고, 지지 프레임(65)에 회전 지지되어 있다. 해제 플레이트(85)에는, 해제 기어(85a)가 부착되어 있다. 해제 플레이트(85)는, 레버부(63)의 내측 기어(63a)의 일부에 대하여 맞물려 있다. 따라서, 레버부(63)를 회동시킴으로써, 해제 플레이트(85)는, 구동 기어(72)측으로 회전한다.
해제 플레이트(85)의 측면에는, 비틀림 용수철(83)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있는 요동 플레이트(80)의 핀(81)이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해제 플레이트(85)가 구동 기어(72)측으로 회전하면, 비틀림 용수철(83)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핀(81)을 구동 기어(72)측으로 눌러, 요동 플레이트(80)를 움직일 수 있다. 그 결과, 제2 기어(75)를 구동 기어(72)로부터 이격시켜 양자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하여, 제2 기어(75), 제1 기어(73) 및 랙(71)을 프리 상태로 할 수 있다. 즉, 레버부(63)를 회동시킴으로써, 랙(71)과 구동 기어(72)의 기계적인 연결을 끊고, 랙(71)의 이동 규제를 해제하여 프리 상태로 할 수 있다. 즉, 요동 플레이트(80), 핀(81), 비틀림 용수철(83) 및 해제 플레이트(85)는, 해제 기구(64)로서 기능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 유닛(5)의 다른쪽 측면에는, 제3 기어(74)에 맞물리는 피니언(86)이 지지 프레임(65)에 회전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86)에는, 코일 용수철(87)이 조합되어 있다. 코일 용수철(87)은, 제3 기어(74)가 회전하여 가동날(61)을 고정날(51)을 향해서 슬라이드 이동시켰을 때에 압축되고, 제3 기어(74)를 역회전시키도록 피니언(86)을 회전 탄성 가압하고 있다. 단, 통상 시에는, 제3 기어(74)는 구동 기어(72)에 관련되어 있으므로, 코일 용수철(87)의 힘으로는 역회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해제 기구(64)(도 10 참조)에 의해, 랙(71)의 이동 규제가 해제되어 프리 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코일 용수철(87)의 힘에 의해 제3 기어(74)가 역회전한다. 그 결과, 가동날(61)을 자동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즉, 코일 용수철(87)은, 랙(71)의 이동 규제가 해제되었을 때에, 가동날(61)을 자동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 가압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피니언(86)의 후방에는,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4)을 조합시켰을 때에, 플래튼 유닛(4)측의 종동 기어(50b)에 맞물리는 플래튼용 기어열(90)과, 플래튼용 모터(M2)의 구동축에 연결됨과 더불어 플래튼용 기어열(90)에 맞물리는 플래튼용 구동 기어(91)가 설치되어 있다. 플래튼용 기어열(90)은, 플래튼용 구동 기어(91)에 맞물리는 제4 기어(92)와, 제4 기어(92)에 맞물리는 제5 기어(93)와, 제5 기어(93) 및 종동 기어(50b)에 맞물리는 제6 기어(94)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4)을 조합시켰을 때에, 플래튼용 모터(M2)의 회전력을 플래튼 롤러(50)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플라튼 롤러(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멀 헤드(60)는, 기록지(P)의 폭방향(즉 좌우 방향(L3))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프린터 커버(3)가 닫혔을 때에 플래튼 롤러(50)(도 2 참조)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멀 헤드(60)는, 좌우 방향(L3)을 따라 라인상으로 늘어선 복수의 발열 소자(60a)를 가지고 있다. 서멀 헤드(60)는, 코일 용수철(60b)(도 4 참조)에 의해 플래튼 롤러(50)측에 탄성 가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서멀 헤드(60)는, 기록지(P)(도 1 참조)에 대하여 확실하게 가압되므로, 양호한 인쇄를 할 수 있다.
서멀 헤드(60)의 후방에는, 기록지(P)(도 1 참조)를 원활하게 끌어들일 수 있도록 만곡 형성된 가이드대(100)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대(100)의 전방에는, 플래튼 롤러(50)의 베어링(50a)(도 5 참조)이 끼워 맞춰지는 끼워맞춤 구멍(101)이 형성되어 있다. 즉, 프린터 커버(3)를 닫으면, 플래튼 롤러(50)의 베어링(50a)이 이 끼워맞춤 구멍(101)에 끼워넣어짐과 더불어,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이 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끼워맞춤 구멍(101)의 후방에는, 록 홈(102)이 형성되어 있다. 록 홈(102)에는, 플래튼 유닛(4)(도 5 참조)과 헤드 유닛(5)을 조합시켰을 때에, 플래튼 유닛(4)의 록 샤프트(103)가 걸어맞춰져 록되도록 되어 있다.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은, 록을 해제하지 않는 한 서로 분리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록의 해제는, 레버부(63) 및 해제 플레이트(85)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제 플레이트(85)는, 레버부(63)가 구동 기어(72)측을 향해서 회동함으로써, 비틀림 용수철(83)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핀(81)을 구동 기어(72)측으로 밀어, 요동 플레이트(80)를 움직이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데, 레버부(63)의 새로운 회동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갈고리부에 의해 록 샤프트(103)(도 5 참조)를 록 홈(102)(도 8 참조) 내에서 이탈시키는 역할도 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레버부(63) 및 해제 플레이트(85)는, 록 샤프트(103)를 록 홈(102)으로부터 이탈시켜, 헤드 유닛(5)과 플래튼 롤러(50)의 조합을 해제하는 유닛 해제 기구(105)로서 기능한다.
다음에, 케이싱(2)에 설치된 조작 레버(2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20)는, 록 위치(P1)와 릴리스 위치(P2)의 사이를 회동 조작 가능(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고, 릴리스 위치(P2)로 이동했을 때에, 프린터 커버(3)의 록을 해제하는 레버이며, 레버 본체(21)와, 조작부(22)와, 돌출부(2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릴리스 위치(P2)에 있는 조작 레버(20)를 2점 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레버 본체 (21)는, 케이싱(2)의 전벽(2a)보다도 한층 낮은 오목면(2e)의 더욱 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프레임체에 설치되어 좌우 방향(L3)으로 연장되는 연결 축부(24)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작 레버(20)는, 연결 축부(24) 둘레에 상하로 회동가능해진다.
조작부(22)는, 레버 본체(21)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오목면(2e)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조작부(22)의 전단면은, 케이싱(2)의 전벽(2a)과 대략 면일이 되도록 평단에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22)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조작 돌출편(22a)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조작 돌출편(22a)에 대하여, 예를 들면 손끝을 걸면서, 조작 레버(20)를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회동 조작할 수 있다.
레버 본체(21)는, 도시하지 않은 용수철 등의 탄성 가압 부재에 의해, 조작부(22)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탄성 가압력을 받고 있다. 이 때, 조작부(22)는, 케이싱(2)에 있어서의 오목면(2e)의 개구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위치 결정된다. 이에 따라, 조작 레버(20)는, 통상 시에 있어서 조작부(22)가 수평으로 배치됨과 더불어 조작 돌출편(22a)이 상방으로 기립한 상태로 자세 유지된다. 또한, 이 위치가 록 위치(P1)가 된다.
또한, 록 위치(P1)로부터 조작부(22)를 하방(도 3에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조작 레버(20)를 회동시켰을 때, 레버 본체(21)가 한쪽의 측벽부(30)의 전단면에 맞닿아, 그 이상의 회동이 규제되어 위치 결정된다. 이에 따라, 조작 레버(20)는, 조작부(22)의 조작 돌출편(22a)이 앞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자세 유지된다. 이 위치가 릴리스 위치(P2)로 된다. 이와 같이, 조작 레버(20)는, 록 위치(P1)와 릴리스 위치(P2) 사이에서 회동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돌출부(23)는, 레버 본체(21)로부터 프린터 커버(3)를 향해서 돌출한 단면 U자형상의 부품이며, 헤드 유닛(5)에 있어서의 레버부(63)에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레버부(63)의 선단부는 돌출부(23)의 내부에 삽입되어서 끼워맞춰져 있다. 이에 따라, 레버부(63)는 조작 레버(20)의 회동 조작에 연동하여 조작된다. 조작 레버(20)를 록 위치(P1)로부터 릴리스 위치(P2)로 회동 조작함으로써, 레버부(63)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록 샤프트(103)를 록 홈(102)으로부터 이탈시켜,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4)의 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2는, 도 3에 있어서의 조작 레버(20) 주변 확대도이다. 프린터 커버(3)는, 회전축부(11)(도 3 참조)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거의 90도의 각도 범위에서 개폐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터 커버(3)의 본체부(3a)에는, 프린터 커버(3)와 조작 레버(20)의 간극을 폐색하는 폐색판(37)이 설치되어 있다. 폐색판(37)은, 서멀 프린터(1)의 케이싱(2)의 내측을 향하여, 수평면을 따르도록 돌출되어 있고, 선단부가 록 위치(P1)에 있는 조작 레버(20)의 돌출부(23)에 대하여 조금 이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서멀 프린터(1)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서멀 프린터(1)의 내부를 시인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프린터 커버(3)의 본체부(3a)에는, 조작 버튼(41) 및 조작 기판(42)을 가지는 제어 유닛(40)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버튼(41)은, 예를 들면 전원 버튼이나 종이 이송 버튼이며, 프린터 커버(3)의 본체부(3a)로부터 외면으로 누름가능하게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의 도시의 예에서는, 2개의 조작 버튼(41)이, 조작 레버(20)의 하방에 있어서, 상하 방향(L2)을 따르도록 일렬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기판(42)은, 서멀 프린터(1)의 조작 버튼(41)의 누름에 따라서 전원의 ON/OFF나 종이 이송 조작을 제어하는 기판이며, 프린터 커버(3)의 본체부(3a)보다도 내측, 또한 수용부(10)보다도 좌우 방향(L3)의 외측이며, 조작 버튼(41)의 이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조작 기판(42)은,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전자 부품이나, 조작 버튼(41)의 누름에 의해 ON이 되는 스위치(43)(예를 들면 멤브레인 스위치 등)가 실장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서멀 프린터(1)의 작동을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기판은, 케이싱(2) 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 유닛(40)의 외부이며, 프린터 커버(3)의 본체부(3a)의 내면측에는, 조작 기판(42)을 덮는 보호 커버(44)가 설치되어 있다. 보호 커버(44)는, 예를 들면 태핑 나사 등에 의해, 프린터 커버(3)의 내측으로부터, 프린터 커버(3)의 본체부(3a)에 대하여 고정된다.
도 13은, 프린터 커버(3)의 본체부(3a)(도 3 참조)를 제거했을 때의 보호 커버(44) 주변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3에서는, 조작 기판(42)을 2점 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유닛(40)의 외부에는, 배출로(45)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로(45)는, 보호 커버(44)의 측면이 오목하게 되어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로(45)는, 정면에서 보아 서멀프린터(1)의 폭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출로(45)의 상류측 단부(45a)는, 조작 레버(20)보다도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20)에 설치된 돌출부(23)의 선단부(23a)는, 조작 레버(20)가 록 위치(P1)에 있을 때(즉 프린터 커버(3)가 닫힌 상태일 때), 배출로(45)보다도 상방에 있어서 배출로(45)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조작 레버(20)에 전파한 물 등의 액체는, 중력에 의해 돌출부(23)의 선단부(23a)로부터, 배출로(45)에 적하된다. 따라서, 서멀 프린터(1)의 외부로부터 침입한 액체는, 배출로(45)에 확실하게 도입된다. 배출로(45)의 하류측 단부(45b)에서는, 배출로(45)를 통류한 액체가 하방을 향해 적하된다.
프린터 커버(3)의 본체부(3a)에는, 폐색판(37)의 하방으로 장출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장출부(38)는, 서멀 프린터(1)의 케이싱(2)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장출부(38)는, 선단부(38a)가 조작 기판(42)보다도 케이싱(2)의 내측에 위치함과 더불어, 배출로(45)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장출부(38)는, 상방으로부터 보아 조작 기판(42)을 덮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장출부(38)에 전파한 물 등의 액체를 배출로(45)에 적하할 수 있으므로, 조작 기판(42)에 상방으로부터 액체가 부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장출부(38)에 전파한 액체를 배출로(45)에 확실하게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38)는, 예를 들면 케이싱(2)의 좌우 방향(L3)에 있어서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점차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38)의 상면에 액체가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배출로(45)에 액체를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8)의 경사 방향은, 배출로(45)에 액체를 도입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돌출부(38)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점차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배출로(45)는, 케이싱(2)의 하방에 있어서 서멀 프린터(1)의 외부와 연통해 있다. 이에 따라, 배출로(45)에 도입된 액체는, 중력에 의해 배출로(45) 내를 하방으로 이동하여 하류측 단부(45b)로부터 적하되어, 케이싱(2)의 하방으로부터 배출된다(도 14에 있어서의 화살표 참조).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기판(42)을 가지는 제어 유닛(40)을 프린터 커버(3)에 설치함으로써, 제어 유닛(40)의 부착을 위해서 필요한 스페이스를 케이싱(2)측에 확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케이싱(2)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 커버(3)에는, 조작 레버(20)와 제어 유닛(40)의 사이로 칩입한 액체를 제어 유닛(40)보다도 하방으로 이끄는 배출로(45)가, 제어 유닛(4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케이싱(2)의 수용부(10)에 수용된 기록지 롤(R) 및 프린터 커버(3)에 설치된 제어 유닛(40)의 내부에 액체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특히, 배출로(45)의 상류측 단부(45a)는, 조작 레버(20)보다도 하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조작 레버(20)에 전파한 액체는, 중력에 의해 적하하여, 배출로(45)의 상류측 단부(45a)에 도입되어 배출로(45)를 통류할 수 있다. 따라서,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음과 더불어, 방적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서멀 프린터(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프린터 커버(3)가 닫힌 상태일 때, 조작 레버(20)에 형성된 돌출부(23)의 선단부(23a)가 배출로(45)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조작 레버(20)에 전파한 액체는, 중력에 의해 돌출부(23)의 선단부(23a)로부터, 배출로(45)에 적하된다. 따라서, 조작 레버(20)에 전파한 액체를 배출로(45)에 확실하게 도입할 수 있으므로, 방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출부(38)는, 상방으로부터 보아 조작 기판(42)을 덮음과 더불어, 선단부(38a)가 배출로(45)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조작 기판(42)에 상방으로부터 액체가 부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장출부(38)에 전파한 액체를 배출로(45)에 확실하게 도입할 수 있다. 따라서, 방적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로(45)는, 제어 유닛(40)의 외부에 설치되어 조작 기판(42)을 덮는 보호 커버(44)와 일체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품 점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또한 스페이스 효율적으로 배출로(45)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40)의 외부에 설치되어 조작 기판(42)을 덮는 보호 커버(44)에 배출로(45)를 설치함으로써, 조작 기판(42)에 액체가 부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뛰어난 방적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더불어, 소형이고 또한 저비용의 서멀 프린터(1)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서멀 프린터(1)의 사시도이며, 도 16은, 제1 저류부(46) 및 제2 저류부(47)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15에서는, 프린터 커버(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16에 있어서는, 케이싱(2) 이외의 부품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계속하여,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서멀 프린터(1)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로(45)가 케이싱(2)의 하방에 있어서 서멀 프린터(1)의 외부와 연통해 있고, 배출로(45)에 도입된 액체가 케이싱(2)의 하방으로부터 배출되어 있다(도 14 참조). 이에 대하여,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는, 케이싱(2)의 하방에 제1 저류부(46) 및 제2 저류부(47)를 구비하고 있고, 서멀 프린터(1)의 내부에 침입한 액체가, 배출로(45)를 통류하여 제1 저류부(46) 및 제2 저류부(47)에 저류된 후, 케이싱(2)의 하방으로부터 배출되는 점에서,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2) 하벽의 선단부는, 좌우 방향(L3)으로부터 보아 하방으로 움푹패인 오목 곡면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회전 축부(11)를 하방으로부터 덮는 축부 커버부(26)로 되어 있다. 축부 커버부(26)의 내면에는, 배출로(45)의 하류측 단부(45b)(도 13 참조)보다도 하방에, 제1 저류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저류부(46)는, 수용부(10)에 수용된 기록지 롤(R)의 폭방향의 외측에 있어서, 상방을 향하여 세워져 설치된 제1의 벽부(27)와, 제1의 벽부(27)보다도 외측에 있어서 제1의 벽부(27)에 대하여 대략 평행으로 설치된 제2의 벽부(28)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소정량의 액체가 저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배출로(45)의 하류측 단부(45b)(도 14 참조)는, 제1의 벽부(27)를 사이에 끼고 기록지 롤(R)과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배출로(45)의 하류측 단부(45b)로부터 적하된 액체는, 제1의 벽부(27)에 의해 기록지 롤(R)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막아진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저류부(46)의 후방에는, 제2 저류부(47)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저류부(47)는, 제3의 벽부(29)와, 케이싱(2)의 측벽(2c)과, 축부 커버부(26)의 후방 가장자리부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저류부(46)와 제2 저류부(47)는, 제1 저류부(46)의 후방에 있어서 서로 연통해 있다. 또한, 제2 저류부(47)의 저부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배출 구멍(4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저류부(46)에 소정량 이상의 액체가 유입했을 때에는, 액체가 제1 저류부(46)로부터 제2 저류부(47)에 유입되어, 제2 저류부(47)의 배출 구멍으로부터 서멀 프린터(1)의 외부로 배출된다.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의하면, 제1의 벽부(27)를 사이에 끼고 기록지 롤(R)과는 반대측에, 배출로(45)의 하류측 단부(45b)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배출로(45)의 하류측 단부(45b)로부터 적하된 액체가 기록지 롤(R)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록지 롤(R)에 액체가 부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록지 롤(R)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설치된 제1 저류부(46)에, 배출로(45)로부터 배출된 액체를 저류할 수 있으므로, 기록지 롤(R)에 액체가 부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저류부(46)에 추가하여 제2 저류부(47)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많은 액체를 저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저류 가능량을 넘지 않는 액체라면, 서멀 프린터(1)의 하방에 배출하지 않고 내부에 저장해 둘 수 있고, 시간 경과에 따라 이 저류 액체를 증발시킬 수도 있으므로, 서멀 프린터(1)의 재치 부분을 적시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제2 저류부(47)의 저면에는, 배출 구멍(4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액체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저류부(47)는, 제1 저류부(46)보다도 케이싱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저류부(46)보다도 케이싱(2)의 내측에 배출 구멍(48)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서멀 프린터(1)의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면서, 배출 구멍(48)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프린터의 일예로서 서멀 프린터(1)를 예로 들어 설명했는데, 서멀 프린터(1)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잉크적을 이용하여 기록지에 인쇄하는 잉크젯 프린터 등, 서멀 프린터(1) 이외의 프린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로(45)가 조작 기판(42)의 보호 커버(44)와 일체 형성되어 있는데, 배출로(45)가 조작 기판(42)의 보호 커버(44)와는 별도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는, 제1의 벽부(27)와 제2의 벽부(28)에 의해 제1 저류부(46)를 형성하고 있는데, 제2의 벽부(28)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제1의 벽부(27)에 의해, 배출로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적하된 액체가 기록지 롤(R)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는 제1 저류부(46)에 추가하여 제2 저류부(47)를 설치하고 있는데, 제1 저류부(46)만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저류부(46)의 저부에, 서멀 프린터(1)의 외부와 연통하는 배수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그 외,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를 주지의 구성 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적절히 가능하다.

Claims (7)

  1. 기록지가 수용되고,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구하는 수용부를 가지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수용부를 폐색하는 프린터 커버와,
    상기 프린터 커버에 설치되며, 조작 기판을 가지는 제어 유닛과,
    상기 제어 유닛보다도 중력 방향 상방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고, 상기 프린터 커버를 여는 조작 레버와,
    상기 제어 유닛의 외부의 상기 프린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제어 유닛의 사이로 침입한 액체를 상기 제어 유닛보다도 중력 방향 하방으로 이끄는 배출로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로의 상류측 단부가, 상기 조작 레버보다도 중력 방향 하방의 상기 프린터 커버에 배치되어 있는, 프린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는, 상기 프린터 커버가 닫힌 상태일 때, 상기 배출로보다도 중력 방향 상방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는, 프린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배출로의 사이에는, 상기 케이싱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장출부(張出部)가 설치되고,
    상기 장출부는, 상기 중력 방향 상방으로부터 봐서 상기 조작 기판을 덮음과 더불어, 선단부가 상기 배출로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프린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기록지의 폭 방향의 외측에 있어서, 중력 방향 상방을 향해서 세워져 설치된 칸막이벽을 가지고,
    상기 칸막이벽을 사이에 끼고 상기 기록지와는 반대측에, 상기 배출로의 하류측 단부가 배치되어 있는, 프린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는, 제1 저류부가 설치되어 있는, 프린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저류부보다도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저류부와 연통하는 제2 저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저류부의 저면에는, 배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프린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는, 상기 제어 유닛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 기판을 덮는 보호 커버와 일체 형성되어 있는, 프린터.
KR1020140080223A 2013-06-27 2014-06-27 프린터 KR1021559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35270A JP6112995B2 (ja) 2013-06-27 2013-06-27 プリンタ
JPJP-P-2013-135270 2013-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690A KR20150001690A (ko) 2015-01-06
KR102155916B1 true KR102155916B1 (ko) 2020-09-14

Family

ID=52115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223A KR102155916B1 (ko) 2013-06-27 2014-06-27 프린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47484B2 (ko)
JP (1) JP6112995B2 (ko)
KR (1) KR102155916B1 (ko)
CN (2) CN1042495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2995B2 (ja) * 2013-06-27 2017-04-1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プリンタ
JP2016124226A (ja) 2015-01-06 2016-07-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JP6587907B2 (ja) * 2015-11-09 2019-10-0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6624902B2 (ja) 2015-11-20 2019-12-2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印字ユニット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
JP6690937B2 (ja) 2015-12-25 2020-04-2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及び印字ユニット
KR102585600B1 (ko) * 2017-07-31 2023-10-06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DE102017123937A1 (de) * 2017-10-13 2019-04-18 di support GmbH Drucksystem zum Drucken von Bildern und/oder Dokumenten
JP7438659B2 (ja) * 2018-10-30 2024-02-2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携帯型プリンタ
JP7362247B2 (ja) * 2018-12-12 2023-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13571367B (zh) * 2021-08-04 2024-04-12 杭州恒汇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具有多段反馈按键的智能云盒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2159A (ja) 2005-08-31 2007-03-15 Seiko Epson Corp 情報機器
JP2013010185A (ja) 2011-06-28 2013-01-17 Casio Computer Co Ltd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82Y2 (ja) * 1985-01-11 1994-02-09 株式会社石田衡器製作所 計量値付け装置
JP4507387B2 (ja) * 2000-10-31 2010-07-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
US6964475B2 (en) * 2002-07-04 2005-11-15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er
JP2005053182A (ja) * 2003-08-07 2005-03-03 Brother Ind Ltd テープ印刷装置及びテープ印刷システム
JP4631586B2 (ja) * 2004-08-09 2011-02-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ラベルプリンタ
JP2006150870A (ja) * 2004-11-30 2006-06-15 Seiko Epson Corp 情報処理装置
JP2007021746A (ja) * 2005-07-12 2007-02-01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
JP4507000B2 (ja) * 2007-07-31 2010-07-21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プリンタおよび電子機器
JP5068598B2 (ja) * 2007-08-01 2012-11-0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CN201080037Y (zh) * 2007-08-08 2008-07-02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打印机
CN202062803U (zh) * 2011-05-25 2011-12-07 广州市吉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打印头
US8974052B2 (en) * 2011-08-30 2015-03-1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inter
JP6112995B2 (ja) * 2013-06-27 2017-04-1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プリン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2159A (ja) 2005-08-31 2007-03-15 Seiko Epson Corp 情報機器
JP2013010185A (ja) 2011-06-28 2013-01-17 Casio Computer Co Ltd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47484B2 (en) 2015-02-03
JP6112995B2 (ja) 2017-04-12
CN104249557B (zh) 2017-04-12
JP2015009397A (ja) 2015-01-19
CN204077071U (zh) 2015-01-07
US20150002605A1 (en) 2015-01-01
CN104249557A (zh) 2014-12-31
KR20150001690A (ko)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916B1 (ko) 프린터
EP2070711B1 (en) Printer device
JP6262429B2 (ja) プリンタ
JP2013010185A (ja) 電子機器
US10035362B2 (en) Thermal printer with liquid drain structure
JP2007176007A (ja) プリンタ
JP7370663B2 (ja) 携帯型プリンタ
JP5200804B2 (ja) 印刷装置
JP5864115B2 (ja) プリンタ
JP2015044395A (ja) 記録装置
US9902173B2 (en) Thermal printer
JP4651513B2 (ja) 遊技機
JP3911272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及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蓋体の開放方法
JP5293228B2 (ja) 記録装置
JP5760656B2 (ja) 開閉装置
JP5850219B2 (ja) 開閉装置
JP2015221580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